KR102048916B1 - 퓨즈박스용 터미널 및 퓨즈박스 - Google Patents

퓨즈박스용 터미널 및 퓨즈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8916B1
KR102048916B1 KR1020180063246A KR20180063246A KR102048916B1 KR 102048916 B1 KR102048916 B1 KR 102048916B1 KR 1020180063246 A KR1020180063246 A KR 1020180063246A KR 20180063246 A KR20180063246 A KR 20180063246A KR 102048916 B1 KR102048916 B1 KR 102048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fuse
terminal
upright piec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3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환
Original Assignee
㈜알파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파오 filed Critical ㈜알파오
Priority to KR1020180063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89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8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8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165Casings

Landscapes

  • F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퓨즈박스용 터미널은 전선 피복이 절개되면서 전선의 심선이 접속되도록 구성된 전선 터미널; 및 전선 터미널에 연결되며, 퓨즈의 단자가 접속되는 퓨즈 터미널을 포함하며, 전선 터미널은 상단부에 외측으로 하향 경사진 하나 이상의 커팅부가 마련된 중앙 직립편; 중앙 직립편에서 이격되어 위치하며, 중앙 직립편의 커팅부와 대칭되어 하향 경사진 커팅부가 마련된 하나 이상의 외측 직립편; 및 중앙 직립편과 외측 직립편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중앙 직립편의 커팅부와 외측 직립편 커팅부의 하부에, 전선진입부, 전선 집입부에서 전선의 심선을 중앙 직립편 측으로 안내하는 경사부, 및 경사부에 연결되며 전선 내부의 심선이 안치되도록 중앙 직립편에 마련된 심선 접속부가 마련된다.

Description

퓨즈박스용 터미널 및 퓨즈박스{TERMINAL FOR FUSE BOX AND FUSE BOX}
본 발명은 퓨즈박스용 터미널 및 퓨즈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선들을 연결하는 퓨즈가 있는 퓨즈박스용 터미널 및 퓨즈박스에 관한 것이다.
퓨즈 박스는 전장 부품에 과대한 전류가 흘러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규정 값 이상의 전류가 흐르면 녹아 버리는 것을 차단하는 퓨즈들을 모아 놓은 상자이다. 퓨즈는 전장 부품의 허용 전류에 맞는 것이 설치된다.
이러한 퓨즈 박스에는 연결되는 전선들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터미널들이 구비된다. 터미널들은 전선의 피복을 탈피하여 물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터미널들은 일정 전류 이상에서 회로를 보호하기 위한 퓨즈로 연결된다. 퓨즈는 허용치 이상의 전류가 터미널들을 통해 흐르면 끊어지는 것이다.
퓨즈 박스의 터미널들에 각각의 전선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전선의 피복을 벗긴 후에, 노출된 심선을 터미널에 끼우는 방식이 사용된다. 이를 위해서는, 전선의 피복을 벗기는 작업이 필요하며, 전선의 심선을 터미널에 고정시키기 위한 조임 나사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고정수단이 터미널에 구비되어 있어야 한다.
기존의 퓨즈 박스에는 주로 터미널에 피복이 벗겨진 전선의 심선을 고정시킬 수 있는 조임 나사가 있거나 심선에 선택적인 방식에 의해 탄력적으로 접촉되는 고정수단이 구비되어 있었다.
이러한 기존의 퓨즈 박스는 전선을 피복하는 작업이 필요하며, 전선의 피복을 벗긴 심선을 터미널에 고정시키는 작업이 필요하므로 작업 능률 측면에서 비효율적이었다.
또한 기존의 퓨즈 박스의 터미널들에 있는 전선의 심선 고정 방식은, 나사 조임이나 탄력적인 고정 수단이 사용되므로, 터미널에서 전선이 분리될 가능성이 있었다.
한편 퓨즈 박스에 채용되어 있지 않지만, 유사한 기존 기술로서 커넥터에 장착할 때 피복 일부를 절단하는 칼날이 구비된 터미널에 의하여 전선들을 접속하는 다양한 방안이 있다.
기존의 전선 터미널을 살펴보면, 상방의 전선진입부에 커팅부가 마련되고 하방에 심선 접속부를 가지며 서로 간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된 복수의 직립편의 하단부를 일체형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기존의 터미널은 커팅부의 경사각이 심선의 중심선과 직각을 이루지 못하여 절단 효력이 극대화되지 못하거나, 심선접속부도 일자 직립 구조로 되어 있어 심선과의 접속면적이 최대화되지 못하였으며, 외측 직립편의 폭이 넓지 않아 심선에 의해 외측으로 밀려 직립편이 벌어지면서 접속력이 약화되며 접촉저항이 높아졌다.
이러한 터미널이 배치되는 기존의 커넥터는 본체와 커버의 연결에 의한 커버의 사선 방향 가압이 불가피하여 결과적으로 사선 가압을 최대한 회피하기 위해 커넥터 자체의 길이가 길어지게 됨은 물론 전선에 대한 가압력도 약하여 작업성이 떨어졌다.
또한, 단일 커버에 의해 두 가닥의 전선을 동시에 눌려야 하기 때문에 큰 가압력이 소요되면서 이 역시 가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상기 터미널이 장착되는 커넥터 하우징과 전선의 결합력이 약하여 전선이 커넥터 하우징에서 이탈될 가능성이 있었다.
기존의 피복을 벗겨낼 수 있는 커터가 구비된 터미널의 선행 기술로는, 일본공개특허 제2001-217014 호에 개시된 "압접단자, 이하 선행기술 1"와 한국등록특허 제10-1694274호에 개시된 "무탈피 전선이음 커넥터용 터미널 및 이를 갖는 전선이음 커넥터, 이하 선행기술 2"가 있다.
선행기술 1과 선행기술 2에는 피복 커팅을 위한 칼날 하부에서 심선이 안착되어 심선 접속부에 해당되는 부분까지 경사진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 1과 선행기술 2의 칼날 하부에서 심선 접속부까지는 경사진 구조가 아니며, 직하방으로 형성된 수직인 구조이다.
이처럼 선행기술 1과 선행기술 2에는 경사부와 오목부에 심선이 피복으로부터 편심되어 위치할 수 있는 구조가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않으므로, 탈피된 전선이 접속되면서 칼날 하부에서 굴절되지 그대로 배치됨에 따라 전선이 터미널에서 이탈된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선행기술 1과 선행기술 2에는 피복이 탈피된 전선의 심선이 한쪽으로 치우쳐 안치되면서 접속되는 오목부가 개시되어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에 대응하여 심선을 정확하게 오목부에 안착시키기 위한 돌출부가 개시되어 있진 않다.
이처럼 선행기술 1과 선행기술 2에는 전선의 피복을 탈피시킬 수 있는 커터 구조가 구현되어 있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퓨즈 박스의 터미널들에 상호 연결될 전선을 배치한 상태에서 전선을 터미널 측으로 가압하여 전선의 피복을 탈피시켜 심선을 터미널에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으며, 터미널에서 전선을 굴절시켜 접속함으로써 전선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퓨즈박스용 터미널 및 퓨즈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단자연결부를 갖는 터미널의 일측에 피복을 벗겨내는 커터를 마련하여 전선 연결 시 커터를 통해 전선 피복이 절개되는 동시에 전선 내부의 피복이 커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함으로써 터미널과 전선 간의 연결 작업이 수월하고 신속하게 되는 퓨즈박스용 터미널 및 퓨즈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전선을 수직으로 가압하여 전선의 탈피를 위한 가압력을 줄일 수 있으며, 양쪽 전선이 터미널에 의해 연결된 상태에서 양쪽 전선과 퓨즈 박스와의 결합력이 강화되어 전선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퓨즈박스용 터미널 및 퓨즈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하나의 퓨즈박스용 터미널은, 전선 피복이 절개되면서 전선의 심선이 접속되도록 구성된 전선 터미널; 및 상기 전선 터미널에 연결되며, 퓨즈의 단자가 접속되는 퓨즈 터미널을 포함하며, 상기 퓨즈 터미널은, 상부가 벌어진 한 쌍의 접속 바; 및 상기 접속 바의 하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수평 바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접속 바와 한 쌍의 수평 바는 상호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 중 하나의 퓨즈박스용 터미널은, 전선 피복이 절개되면서 전선의 심선이 접속되도록 구성된 전선 터미널; 및 상기 전선 터미널에 연결되며, 퓨즈의 단자가 접속되는 퓨즈 터미널을 포함하며, 상기 전선 터미널은, 상단부에 외측으로 하향 경사진 하나 이상의 커팅부가 마련된 중앙 직립편; 상기 중앙 직립편에서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중앙 직립편의 커팅부와 대칭되어 하향 경사진 커팅부가 마련된 하나 이상의 외측 직립편; 및 상기 중앙 직립편과 외측 직립편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 직립편의 커팅부와 상기 외측 직립편 커팅부의 하부에, 전선진입부, 상기 전선 집입부에서 상기 전선의 심선을 상기 중앙 직립편 측으로 안내하는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에 연결되며 상기 전선 내부의 심선이 안치되도록 상기 중앙 직립편에 마련된 심선 접속부가 마련된다.
상기 중앙 직립편의 경사부 하부에는, 상기 심선접속부가 심선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접속되도록 라운드진 오목부가 마련되며, 상기 외측 직립편에는 상기 오목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심선을 오목부 방향으로 밀어주기 위한 돌출부가 마련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외측 직립편에서 상기 경사부의 하단 벽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경사부와 상기 오목부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심선과의 공차에 의한 심선의 들뜸을 방지하도록 전선의 피복 일부를 수용하는 공간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경사부는 상기 중앙 직립편과 상기 외측 직립편에 각각 마련되되, 상기 중앙 직립편의 경사부와 상기 외측 직립편 경사부는 상기 전선의 심선을 진입된 방향의 좌우로 굴절시키도록 상하 방향에 교차하여 경사진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중앙 직립편의 커팅부는, 중앙 상단에서 양측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며, 상기 외측 직립편은 복수로 상기 중앙 직립편의 양측에 연결되되, 상기 중앙 직립편과 상기 복수의 외측 직립편은 상호 직경이 다른 전선에 대응하여 심선이 접속되도록 양측에서 다른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퓨즈 터미널은, 상부가 벌어진 한 쌍의 접속 바; 및 상기 접속 바의 하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수평 바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접속 바와 한 쌍의 수평 바는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박스는, 상기 퓨즈박스용 터미널; 및 상기 퓨즈박스용 터미널이 쌍으로 상호 마주하여 상기 퓨즈 터미널들 끼리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전선 터미널이 장착되는 전선접속 하우징과 상기 퓨즈 터미널이 장착되는 퓨즈접속 하우징이 양측에 마련된 하우징 본체; 상기 하우징 본체의 전선접속 하우징에 연결되며, 상기 전선접속 하우징이 삽입되어 암수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전선접속 하우징에 배치되는 상기 전선 터미널 상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이 전선을 가압하는 전선접속 커버; 및 한 쌍의 상기 퓨즈접속 하우징이 삽입되어 암수 결합되도록 구성된 퓨즈접속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전선접속 하우징에는, 하나 이상의 전선이 대응하여 하나 이상의 제1 위치 고정 홈부가 마련되며, 상기 전선접속 커버에는 상기 제1 위치 고정 홈부에 대응하여 제2 위치 고정 홈부가 마련된다.
상기 제1 위치 고정 홈부는, 상기 전선 터미널의 심선접속부에 대응하여 상기 전선접속 하우징의 외벽 안쪽에 위치하며, 상기 전선에 대응하여 둥글게 형성된 안치 홈부; 및 상기 전선 터미널의 전선 진입부에 대응하여 상기 전선접속 하우징의 외벽부에 형성되며, 상기 전선 터미널의 경사부에 의해 상기 전선이 상기 안치 홈부로 굴절되도록 상기 전선을 지지하는 지지 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위치 고정 홈부는, 상기 안치 홈부에 대응하여 상기 전선접속 커버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전선을 상기 안치 홈부로 가압하여 밀어 넣는 가압 홈부; 및 상기 지지 홈부에 대응하여 상기 전선접속 커버의 외벽부 안쪽에 위치하며, 상기 가압 홈부에 엇갈려 상기 전선을 수용하는 수용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위치 고정 홈부와 상기 제2 위치 고정 홈부는, 서로 다른 굵기의 전선이 배치 가능하도록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선접속 하우징의 상부와 상기 전선접속 커버의 하부를 연결하며, 상기 전선접속 커버가 상기 전선접속 하우징에 포개져 암수 결합 가능한 길이를 갖는 전선커버 연결부; 및 상기 퓨즈접속 하우징의 상부와 상기 퓨즈접속 커버의 하부를 연결하며, 상기 퓨즈접속 커버가 상기 퓨즈접속 하우징에 포개져 암수 결합 가능한 길이를 갖는 퓨즈커버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퓨즈 박스의 터미널들에 상호 연결될 전선을 배치한 상태에서 전선을 터미널 측으로 가압하여 전선의 피복을 탈피시켜 심선을 터미널에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으며, 터미널에서 전선을 굴절시켜 접속함으로써 전선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퓨즈박스용 터미널 및 퓨즈박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단자연결부를 갖는 터미널의 일측에 피복을 벗겨내는 커터를 마련하여 전선 연결 시 커터를 통해 전선 피복이 절개되는 동시에 전선 내부의 피복이 커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함으로써 터미널과 전선 간의 연결 작업이 수월하고 신속하게 되는 퓨즈박스용 터미널 및 퓨즈박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전선을 수직으로 가압하여 전선의 탈피를 위한 가압력을 줄일 수 있으며, 양쪽 전선이 터미널에 의해 연결된 상태에서 양쪽 전선과 퓨즈 박스와의 결합력이 강화되어 전선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퓨즈박스용 터미널 및 퓨즈박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퓨즈박스용 터미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좌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큰 사이즈의 퓨즈가 장착된 상태도이다.
도 6은 도 1에 작은 사이즈의 퓨즈가 장착된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퓨즈박스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서 전선 연결을 나타낸 좌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7에 큰 사이즈의 퓨즈가 장착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퓨즈박스에 작은 사이즈의 퓨즈를 장착하고, 상이한 두 전선을 연결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실시 예들에 차이는 상호 배타적이지 않은 사항으로 도면 복합적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실시 예들에 관련하여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다른 실시 예들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변경 가능한 것으로 도면들의 조합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다양한 측면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가리킬 수 있으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구체적인 형태는 설명 상의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된 것일 수 있다.
도면의 방향과 위치는 XYZ 직교 좌표계를 상정하여 설명하며, 전후 또는 상하 좌우는 XY좌표 평면계와 YZ좌표 평면계를 상정하여 방향과 위치를 결정한다. 하부 요소들이 설명되지 않은 각각의 유닛, 모듈, 부, 부재 또는 임의 구조는 각기 부여된 기능을 갖기 위한 통상적인 하부 요소들이 포함되거나 포함 가능한 것으로 상정하며, 도면에 도시된 하부 요소들이나 세부 구조로 제한하진 않는다. 도시되었으나 통상적인 내용으로 그 설명이 생략된 구성 요소들은,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에 내재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특별히 정의된 용어를 제외하고는 통상적인 한자, 국어 혹은 영어의 사전적인 의미 혹은 해당 분야에서 사용되는 용어와 부합하는 속성을 갖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하나의 구성 요소가 "포함한다, 구성된다, 또는 구비한다"로 기술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외 구성요소들을 더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구성 요소가 "고정, 구속, 결합, 연결된다"는 이동과 움직임이 완전히 제한되거나 일부 제한됨을 의미한다. 반대로 "회전 및 힌지"는 대상 객체의 일부 혹은 전부가 회전하여 이동 가능함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관용적인 사항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실질적인 구현성이 높으며, 산업적 이용 가능성이 높은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퓨즈박스용 터미널 및 퓨즈박스를 설명한다.
퓨즈박스용 터미널 및 퓨즈박스는 전선을 퓨즈박스에 절개 탈피하여 연결하기 위한 것이며, 수동적인 피복 탈피에 대한 작업 작업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점을 두고 개발된 기술로서, 기존보다 측면에서 피복 탈피와 전선의 분리 방지 측면에서 개선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퓨즈박스용 터미널 및 퓨즈박스의 주요 구성 요소들을 도면을 기초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퓨즈박스용 터미널(1)은, 전선(5) 피복이 절개되면서 전선(5)의 심선(7)이 접속되도록 구성된 전선 터미널(8)과, 전선 터미널(8)에 연결되며 퓨즈의 단자가 접속되는 퓨즈 터미널(80)을 포함한다.
전선 터미널(8)은, 중앙 직립편(10), 외측 직립편(20), 및 연결부(30)를 포함한다.
중앙 직립편(10)은 상단부에 외측으로 하향 경사진 하나 이상의 커팅부(11)가 마련된 것이다. 중앙 직립편(10)의 중앙 상단 양측으로는 경사진 커팅부(11)가 형성된다. 커팅부(11)는 양측으로 경사져 있으며, 양측에 교차하는 하방 아래로도 비스듬하게 경사져 있다.
이러한 중앙 직립편(10)의 양측 경사진 커팅부(11)는 상호 다른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길이가 긴 커팅부(11) 측으로는 굵기가 더 큰 전선(5)의 피복이 절개될 수 있다.
외측 직립편(20)은 중앙 직립편(10)의 양측에 기립되어 배치된 것이다. 이러한 외측 직립편(20)은 중앙 직립편(10)에서 이격되어 위치하며, 중앙 직립편(10)의 커팅부(11)와 대칭되어 하향 경사진 커팅부(11)가 마련된 것이다.
외측 직립편(20)의 커팅부(11)는 중앙 직립편(10)의 커팅부(11)와 상하 라인에 대해 대칭되게 형성된다. 외측 직립편(20)의 커팅부(11)는 중앙 직립편(10)의 커팅부(11)와 함께 투입되는 전선(5)의 피복을 절개할 수 있다.
연결부(30)는 중앙 직립편(10)과 외측 직립편(20)을 연결하도록 중앙 직립편(10)과 외측 직립편(20)의 하부에 위치한다. 연결부(30) 상으로 중앙 직립편(10)과 양측 외측 직립편(20)이 삼지창 형상으로 배치된다.
연결부(30)의 상부인 중앙 직립편(10)과 외측 직립편(20)에는, 전선 진입부(40)가 마련된다. 전선 진입부(40)는 중앙 직립편(10)의 커팅부(11)와 외측 직립편(20) 커팅부(11)의 하부에 있다. 전선 진입부(40)는 실질적으로 중앙 직립편(10)과 외측 직립편(20)의 커팅부(11) 하단의 이격된 입구이다. 전선(5)은 중앙 직립편(10)과 외측 직립편(20)의 커팅부(11)들 사이에서 피복이 절개되면서 전선 진입부(40)로 투입된다.
전선 진입부(40) 하부에는 전선 진입부(40)에서 전선(5)의 심선(7)을 중앙 직립편(10) 측으로 안내하는 경사부(23)와, 경사부(23)에 연결되며 전선(5) 내부의 심선(7)이 안치되도록 중앙 직립편(10)에 마련된 심선 접속부(50)가 마련된다.
경사부(23)는 중앙 직립편(10)의 양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경사부(23)는 피복이 절개되어 탈피된 심선(7)을 안내하는 통로이면서, 상부에서 하부로 중앙 직립편(10) 측으로 가깝게 경사져 있으며, 중앙 직립편(10)에 연결된 퓨즈 터미널(80) 측으로 전선(5)이 굴절되도록 비스듬하게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한다.
경사부(23)는 중앙 직립편(10)과 외측 직립편(20)에 각각 마련되며, 중앙 직립편(10)의 경사부(23) 벽부와 외측 직립편(20) 경사부(23) 벽부는 전선(5)의 심선(7)을 진입된 방향의 좌우로 굴절시키도록 상하 방향에 교차하여 경사진 경사면이다.
중앙 직립편(10)의 경사부(23) 하부에는, 심선 접속부(50)가 심선(7)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접속되도록 라운드진 오목부(12)가 마련된다.
외측 직립편(20)에는 오목부(12) 방향으로 돌출되어 심선(7)을 오목부(12) 방향으로 밀어주기 위한 돌출부(22)가 마련되며, 돌출부(22)는 외측 직립편(20)에서 경사부(23)의 하단 벽부에 위치할 수 있다.
중앙 직립편(10)의 커팅부(11)는, 중앙 상단에서 양측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며, 외측 직립편(20)은 복수로 중앙 직립편(10)의 양측에 연결되되, 중앙 직립편(10)과 복수의 외측 직립편(20)은 상호 직경이 다른 전선(5)에 대응하여 심선(7)이 접속되도록 양측에서 다른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앙 직립편(10)의 양측에는 직경이 다른 전선(5)이 배치되면서 접속될 수 있다.
경사부(23)와 오목부(12) 하부에 연결되며, 심선(7)과의 공차에 의한 심선(7)의 들뜸을 방지하도록 전선(5)의 피복 일부를 수용하는 공간부(60)가 마련될 수 있다.
공간부(60)는 연결부(30)의 상부에 있다. 피복이 벗겨진 심선(7)이 오목부(12)에 배치되면 공간부(60)에는 절단되지 않은 심선(7) 아래의 피복이 배치된다. 이에 따라 심선(7)이 공간부(60)에 배치되는 피복에 의해 움직임이 저지되면서 안정적으로 오목부(12)에 위치 고정될 수 있다.
경사부(23)의 간격은 상기 직립편들(10, 20) 사이로 진입된 심선(7)이 진입 순간부터 심선 접속부(50)에 안착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심선(7)이 양측 직립편(10, 20)과 접속 상태를 유지하여 비록 심선(7)이 심선 접속부(50)에 도달하지 못하더라도 접속을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심선(7)의 직경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전선(5)은 양 커팅부(11, 21)에 의해 피복이 절단되는 동시에 전선(5) 내부의 심선(7)은 동일 직경 크기의 경사부(23)로 경사 하강하며 경사면에 의해 좌우로 굴절된다.
이처럼 동일 직경 크기인 경사부(13, 23)를 따라 심선(7)이 하강하다가 심선 접속부(50)에 도달하는 동시에 심선(7)의 외주면 부위가 오목부(12)에 안착되면서 최종적으로 심선(7)과 직립편(10, 20) 간의 완전한 접속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터미널(8)은 커팅부(11)를 심선(7)의 중심선(7)과 직각이 되도록 경사를 주어 피복 절단력을 극대화함으로써, 심선 접속부(50)를 향한 심선(7)의 진입이 용이하며, 심선(7) 접속의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중앙 직립편(10)은 심선 접속부(50)에 위치한 심선(7)을 감싸 접속면적이 최대화되도록 오목부(12)를 마련하여 심선(7)과 터미널간의 접속 상태가 양호하게 됨으로써, 심선(7) 접속 상태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선 접속부(50)가 전선 진입부(40)의 중앙에서 중앙 직립편(10) 측으로 경사진 하부에 위치하며, 심선 접속부(50)에 심선(7)이 안착되어 접속되도록 오목부(12)가 구성된다.
오목부(12)의 맞은편인 외측 직립편(20)에 심선(7)을 오목부(12)로 가압하는 동시에 심선(7)에 의해 밀리지 않도록 오목부(12)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22)를 마련하여 심선(7)과 오목부(12) 간의 안정적인 접속은 물론 외측 직립편(20)의 변형 및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심선 접속부(50)가 커팅부(11) 하부인 전선 진입부(40)에서 경사진 하방에 위치함으로써 심선(7)으로부터 피복이 원활하게 절단되면서 심선(7)이 드러나며, 직립편들 사이에서 경사진 구조에 의해 피복이 원만하게 밀리면서 심선(7)이 노출되며, 노출된 심선(7)이 심선 접속부(50)에 안착되어 접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경사부(23)에 의해 전선(5)과 심선(7)이 중앙 직립편(10) 측으로 굴절되어 배치됨으로써 터미널의 오목부(12)에서 심선(7)이 분리되기 어렵게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의 퓨즈 터미널(80)은, 상부가 벌어진 한 쌍의 접속 바(81)와, 접속 바(81)의 하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수평 바(85)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접속 바(81)와 한 쌍의 수평 바(85)는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퓨즈 터미널(80)은 전선 터미널(8)에 기다란 연결 바로 일체로 연결되는 것이며, 한 쌍의 접속 바(81)와 수평 바(85)를 구비하여 퓨즈가 접속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한 쌍의 접속 바(81)는 기다랗게 기립되며, 퓨즈 단자가 접속이 용이하도록 상단부가 벌어져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수평 바(85)는 한 쌍의 접속 바(81)에 연결된 것으로서, 한 쌍의 퓨즈 터미널(80)이 배치되는 경우 양측 한 쌍의 수평 바(85)는 상호 인접하게 배치된다. 접속 바(81)는 주로 용량이 큰 퓨즈의 접속에 사용되며, 수평 바(85)는 그 보다 작은 퓨즈의 접속에 사용된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한 쌍의 퓨즈 터미널(80)이 사용되면 퓨즈 양단의 단자가 접속되며, 양측에 배치되는 전선 터미널(8)에 연결되는 전선(5)이 퓨즈를 통해 연결된다.
퓨즈는 과전류에 의해 끊어지도록 구현된 것으로서, 퓨즈를 중심으로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퓨즈 터미널(80)을 통해 연결된 양측 전선 터미널(8)에 접속된 전선(5)의 통전 상태에서 따라 전류를 끊어 전기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술한 퓨즈박스용 터미널(1)과 함께 퓨즈박스용 터미널(1)이 장착되는 퓨즈박스(10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박스(100)는, 상기의 퓨즈박스용 터미널(1), 퓨즈박스용 터미널(1)이 쌍으로 상호 마주하여 배치되도록 전선접속 하우징(106)과 퓨즈접속 하우징(150)을 구비한 하우징 본체(105), 전선접속 커버(116)와 퓨즈접속 커버(151)를 포함한다.
하우징 본체(105)는 퓨즈 터미널(80)들 끼리 인접하게 배치되며, 전선 터미널(8)이 장착되는 전선접속 하우징(106)과 퓨즈 터미널(80)이 장착되는 퓨즈접속 하우징(150)이 양측에 마련된 것이다.
이러한 전선접속 하우징(106)은 터미널을 제외한 것이며, 전선 터미널(8)에 연결시키기 위한 전선(5)이 배치되도록 구성된 것이며, 전선(5)의 피복이 절개되어 접촉 가능한 전선 터미널(8)이 장착 가능하게 구성된 것이다.
전선접속 커버(116)는 하우징 본체(105)의 전선접속 하우징(106)에 연결되며, 전선접속 하우징(106)이 삽입되어 암수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전선접속 하우징(106)에 배치되는 전선 터미널(8) 상에 배치되는 전선(5)을 가압하는 것이다.
이러한 전선접속 커버(116)는 복수의 전선(5)의 피복 커팅과 함께 각각의 심선(7)을 노출시켜 상호 연결하도록 구성된 전선 터미널(8)이 장착 가능하게 구성된 전선접속 하우징(106)이 삽입하도록 전선접속 하우징(106) 측으로 결합된다.
전선접속 커버(116)는 전선접속 하우징(106)에 암수 결합되며 전선(5)을 전선 터미널(8) 측으로 가압하여 피복을 탈피시키며 전속접속 하우징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전선접속 하우징(106)과 전선접속 커버(116) 사이에는 전선 터미널(8)과 두 가닥의 상호 굵기가 다른 전선(5)이 함께 혹은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의 전선접속 하우징(106)에는, 복수의 전선(5)이 대응하여 복수의 제1 위치 고정 홈부(111)가 마련되며, 전선접속 커버(116)에는 제1 위치 고정 홈부(111)에 대응하여 제2 위치 고정 홈부(131)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박스(100)에서 전선접속 커버(116)가 전선접속 하우징(106)에 결합되는 동안, 전선(5)이 전선 터미널(8)에 끼워지면서 피복이 절개되며, 피복이 벗겨진 구간은 전선 터미널(8)의 심선 접속부(50)에 안치된다. 이에 따라 전선(5)은 전선 터미널(8)에 연결된다.
제1 위치 고정 홈부(111)는, 안치 홈부(112)와 지지 홈부(115)를 포함한다.
안치 홈부(112)는 전선 터미널(8)의 심선 접속부(50)에 대응하여 전선접속 하우징(106)의 외벽 안쪽에 위치하며 전선(5)에 대응하여 둥글게 형성된 것이다.
지지 홈부(115)는 전선 터미널(8)의 전선 진입부(40)에 대응하여 전선접속 하우징(106)의 외벽부에 형성되며 전선 터미널(8)의 경사부(23)에 의해 전선(5)이 안치 홈부(112)로 굴절되도록 전선(5)을 지지하는 것이다.
안치 홈부(112)는 지지 홈부(115)의 중심 라인에서 전선 터미널(8)의 중심라인에 인접한 안쪽으로 배치된다. 이에 따라 지지 홈부(115)에서 안치 홈부(112)로 배치되어 피복이 벗겨지는 전선(5)은 굴절된다. 전선(5)은 이러한 굴절에 따라 전선 터미널(8)과 전선접속 하우징(106)에 전선접속 커버(116)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분리가 어렵게 된다.
전선접속 커버(116)의 제2 위치 고정 홈부(131)는 가압 홈부(132)와 수용 홈부(135)를 포함한다.
가압 홈부(132)는 안치 홈부(112)에 대응하여 전선접속 커버(116)의 내측에 배치되며 전선(5)을 안치 홈부(112)로 가압하여 밀어 넣는 것이다.
수용 홈부(135)는 지지 홈부(115)에 대응하여 전선접속 커버(116)의 외벽부 안쪽에 위치하며, 가압 홈부(132)에 엇갈려 전선(5)을 수용하는 것이다. 이처럼 수용 홈부(135)에 대해 가압 홈부(132)가 수용 홈부(135)의 중심 라인에서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전선접속 하우징(106)과 전선접속 커버(116)의 결합 시에 전선(5)이 좌우로 굴절된다.
제1 위치 고정 홈부(111)와 제2 위치 고정 홈부(131)는, 서로 다른 굵기의 전선(5)이 배치 가능하도록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위치 고정 홈부(111)와 제2 위치 고정 홈부(131)는 각각 전선접속 하우징(106)과 전선접속 커버(116)에 두 개씩 배치되며, 서로 굵기가 다른 전선(5)이 수용될 수 있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의 퓨즈접속 커버(151)는 한 쌍의 퓨즈접속 하우징(150)이 삽입되어 암수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퓨즈접속 커버(151)는 한 쌍의 퓨즈 터미널(80)이 하우징 본체(105)에 장착된 상태에서 한 쌍의 퓨즈 터미널(80)을 연결하도록 퓨즈가 결합된 후, 퓨즈와 함께 퓨즈접속 하우징(150)을 보호하도록 퓨즈접속 하우징(150)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박스(100)는, 전선커버 연결부(140)와 퓨즈커버 연결부(30)를 더 포함한다.
전선커버 연결부(140)는 전선접속 하우징(106)의 상부와 전선접속 커버(116)의 하부를 연결하며 전선접속 커버(116)가 전선접속 하우징(106)에 포개져 암수 결합 가능한 길이를 갖는 것이다.
이러한 전선커버 연결부(140)는 전선접속 하우징(106)에 전선접속 커버(116)가 포개져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전선 터미널(8)에 대한 가압력을 높일 수 있게 만든다.
퓨즈커버 연결부(30)는 퓨즈접속 하우징(150)의 상부와 퓨즈접속 커버(151)의 하부를 연결하며, 퓨즈접속 커버(151)가 퓨즈접속 하우징(150)에 포개져 암수 결합 가능한 길이를 갖는 것이다.
도 1과 도 12와 도 13을 참조하면, 퓨즈박스용 터미널(1)에 전선(5)이 연결된 후, 전선접속 커버(116)와 퓨즈접속 커버(151)가 모두 하우징 본체(105)에 결합된 상태를 보면, 경사부(23)에 의해 전선(5)과 심선(7)이 중앙 직립편(10) 측으로 굴절되어 배치된다. 전선 터미널(8)의 오목부(12)에서 심선(7)이 분리되기 어렵게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 본체(105)에서 전선(5)이 굴절되어 배치되며, 하우징 본체(105)에서 전선(5)이 분리되기 어렵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를 기초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본질적인 기술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
1: 퓨즈박스용 터미널
5 : 전선 7 : 심선
8: 전선 터미널
10 : 중앙 직립편 11 : 커팅부
12 : 오목부 13 : 경사부
20 : 외측 직립편 21 : 커팅부
22 : 돌출부 23 : 경사부
30 : 연결부 40 : 전선 진입부
50 : 심선 접속부 60 : 공간부
80 : 퓨즈 터미널 81: 접속 바
85: 수평 바
100 : 퓨즈박스
105: 하우징 본체 106: 전선접속 하우징
111: 제1 위치 고정 홈부 112: 안치 홈부
115: 지지 홈부 116: 전선접속 커버
131: 제2 위치 고정 홈부 132: 가압 홈부
135: 수용 홈부
140: 전선커버 연결부 150: 퓨즈접속 하우징
151: 퓨즈접속 커버 160: 퓨즈접속 연결부

Claims (10)

  1. 전선 피복이 절개되면서 전선의 심선이 접속되도록 구성된 전선 터미널; 및
    상기 전선 터미널에 연결되며, 퓨즈의 단자가 접속되는 퓨즈 터미널을 포함하며,
    상기 퓨즈 터미널은, 상부가 벌어진 한 쌍의 접속 바; 및 상기 접속 바의 하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수평 바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접속 바와 한 쌍의 수평 바는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전선 터미널은,
    상단부에 외측으로 하향 경사진 하나 이상의 커팅부가 마련된 중앙 직립편;
    상기 중앙 직립편에서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중앙 직립편의 커팅부와 대칭되어 하향 경사진 커팅부가 마련된 하나 이상의 외측 직립편; 및
    상기 중앙 직립편과 외측 직립편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 직립편의 커팅부와 상기 외측 직립편 커팅부의 하부에, 전선진입부, 상기 전선 집입부에서 상기 전선의 심선을 상기 중앙 직립편 측으로 안내하는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에 연결되며 상기 전선 내부의 심선이 안치되도록 상기 중앙 직립편에 마련된 심선 접속부가 마련된 퓨즈박스용 터미널.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직립편의 경사부 하부에는, 상기 심선접속부가 심선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접속되도록 라운드진 오목부가 마련되며,
    상기 외측 직립편에는 상기 오목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심선을 오목부 방향으로 밀어주기 위한 돌출부가 마련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외측 직립편에서 상기 경사부의 하단 벽부에 위치하는 퓨즈박스용 터미널.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와 상기 오목부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심선과의 공차에 의한 심선의 들뜸을 방지하도록 전선의 피복 일부를 수용하는 공간부가 마련되는 퓨즈박스용 터미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중앙 직립편과 상기 외측 직립편에 각각 마련되되, 상기 중앙 직립편의 경사부와 상기 외측 직립편 경사부는 상기 전선의 심선을 진입된 방향의 좌우로 굴절시키도록 상하 방향에 교차하여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 퓨즈박스용 터미널.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직립편의 커팅부는, 중앙 상단에서 양측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며, 상기 외측 직립편은 복수로 상기 중앙 직립편의 양측에 연결되되,
    상기 중앙 직립편과 상기 복수의 외측 직립편은 상호 직경이 다른 전선에 대응하여 심선이 접속되도록 양측에서 다른 간격으로 배치되는 퓨즈박스용 터미널
  7. 제1 항, 제 3항 내지 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퓨즈박스용 터미널; 및
    상기 퓨즈박스용 터미널이 쌍으로 상호 마주하여 상기 퓨즈 터미널들 끼리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전선 터미널이 장착되는 전선접속 하우징과 상기 퓨즈 터미널이 장착되는 퓨즈접속 하우징이 양측에 마련된 하우징 본체;
    상기 하우징 본체의 전선접속 하우징에 연결되며, 상기 전선접속 하우징이 삽입되어 암수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전선접속 하우징에 배치되는 상기 전선 터미널 상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이 전선을 가압하는 전선접속 커버; 및
    한 쌍의 상기 퓨즈접속 하우징이 삽입되어 암수 결합되도록 구성된 퓨즈접속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전선접속 하우징에는, 하나 이상의 전선이 대응하여 하나 이상의 제1 위치 고정 홈부가 마련되며, 상기 전선접속 커버에는 상기 제1 위치 고정 홈부에 대응하여 제2 위치 고정 홈부가 마련된 퓨즈박스.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 고정 홈부는,
    상기 전선 터미널의 심선접속부에 대응하여 상기 전선접속 하우징의 외벽 안쪽에 위치하며, 상기 전선에 대응하여 둥글게 형성된 안치 홈부; 및
    상기 전선 터미널의 전선 진입부에 대응하여 상기 전선접속 하우징의 외벽부에 형성되며, 상기 전선 터미널의 경사부에 의해 상기 전선이 상기 안치 홈부로 굴절되도록 상기 전선을 지지하는 지지 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위치 고정 홈부는,
    상기 안치 홈부에 대응하여 상기 전선접속 커버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전선을 상기 안치 홈부로 가압하여 밀어 넣는 가압 홈부; 및
    상기 지지 홈부에 대응하여 상기 전선접속 커버의 외벽부 안쪽에 위치하며, 상기 가압 홈부에 엇갈려 상기 전선을 수용하는 수용 홈부를 포함하는 퓨즈박스.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 고정 홈부와 상기 제2 위치 고정 홈부는, 서로 다른 굵기의 전선이 배치 가능하도록 복수로 배치되는 퓨즈박스.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접속 하우징의 상부와 상기 전선접속 커버의 하부를 연결하며, 상기 전선접속 커버가 상기 전선접속 하우징에 포개져 암수 결합 가능한 길이를 갖는 전선커버 연결부; 및
    상기 퓨즈접속 하우징의 상부와 상기 퓨즈접속 커버의 하부를 연결하며, 상기 퓨즈접속 커버가 상기 퓨즈접속 하우징에 포개져 암수 결합 가능한 길이를 갖는 퓨즈커버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퓨즈박스.
KR1020180063246A 2018-06-01 2018-06-01 퓨즈박스용 터미널 및 퓨즈박스 KR102048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246A KR102048916B1 (ko) 2018-06-01 2018-06-01 퓨즈박스용 터미널 및 퓨즈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246A KR102048916B1 (ko) 2018-06-01 2018-06-01 퓨즈박스용 터미널 및 퓨즈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8916B1 true KR102048916B1 (ko) 2019-11-26

Family

ID=68731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3246A KR102048916B1 (ko) 2018-06-01 2018-06-01 퓨즈박스용 터미널 및 퓨즈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891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9207A (ja) * 1998-05-13 1999-11-30 Sumitomo Wiring Syst Ltd 連続端子構造
JP2001217014A (ja) * 2000-02-03 2001-08-10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圧接端子
KR200405990Y1 (ko) * 2005-10-27 2006-01-11 동해전장 주식회사 이원화 구조를 갖는 퓨즈릴레이박스
KR20160043192A (ko) * 2014-10-10 2016-04-21 주식회사 조우스 커넥터용 터미널 및 이를 갖는 커넥터
KR101694274B1 (ko) * 2015-09-24 2017-01-23 이영환 무탈피 전선이음 커넥터용 터미널 및 이를 갖는 전선이음 커넥터
KR101887884B1 (ko) * 2017-05-29 2018-09-06 유옥자 전선이음 커넥터용 터미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9207A (ja) * 1998-05-13 1999-11-30 Sumitomo Wiring Syst Ltd 連続端子構造
JP2001217014A (ja) * 2000-02-03 2001-08-10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圧接端子
KR200405990Y1 (ko) * 2005-10-27 2006-01-11 동해전장 주식회사 이원화 구조를 갖는 퓨즈릴레이박스
KR20160043192A (ko) * 2014-10-10 2016-04-21 주식회사 조우스 커넥터용 터미널 및 이를 갖는 커넥터
KR101694274B1 (ko) * 2015-09-24 2017-01-23 이영환 무탈피 전선이음 커넥터용 터미널 및 이를 갖는 전선이음 커넥터
KR101887884B1 (ko) * 2017-05-29 2018-09-06 유옥자 전선이음 커넥터용 터미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2329B1 (ko) 전기터미널및커플링커넥터
KR100238930B1 (ko) 플러그를 끼울수 있는 모듈 스플라이싱 커넥터 및 브리징 어댑터
KR100624582B1 (ko) 케이블 상호 접속 장치
US7988481B2 (en) Electrical disconnect with push-in connectors
US7037118B2 (en) Access module
KR20120105383A (ko) 와이어-투-와이어 커넥터
EP1819017A2 (en) Attachment part, and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for connection to same attachment part
JP2006190685A (ja) パネル取付け用電気コネクタ
US4029377A (en) Push-on bus bar
KR20070029069A (ko) 전기 커넥터
JP2006236854A (ja) 圧接結線用コネクタ
US20120058667A1 (en) Electrical connector
US10270189B2 (en) Push wire connectors
EP3104467A1 (en) Laminated connector
US20070059973A1 (en) Hot plug wire contact and connector assembly
US9551483B1 (en) Multiple cable disconnect
US20110130047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fastening device
CN100585947C (zh) 端子板部件和无螺钉连接器
CN204179251U (zh) 端子板以及使用该端子板的照明器具
KR101643218B1 (ko) 커넥터용 터미널 및 이를 갖는 커넥터
KR102048916B1 (ko) 퓨즈박스용 터미널 및 퓨즈박스
CN104737378A (zh) 电缆连接设备和系统
US9780478B2 (en) Connector and connection structure
JP2862433B2 (ja) 電線用接続端子及び該端子用接続部品
KR102039651B1 (ko) 커넥터 하우징 및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