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5681Y1 - 온수관 전열선 삽입장치 - Google Patents

온수관 전열선 삽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5681Y1
KR200405681Y1 KR2020050029524U KR20050029524U KR200405681Y1 KR 200405681 Y1 KR200405681 Y1 KR 200405681Y1 KR 2020050029524 U KR2020050029524 U KR 2020050029524U KR 20050029524 U KR20050029524 U KR 20050029524U KR 200405681 Y1 KR200405681 Y1 KR 2004056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water pipe
heating wire
pipe
in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95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희섭
Original Assignee
임희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희섭 filed Critical 임희섭
Priority to KR20200500295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56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56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568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 F24D13/02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 F24D13/024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in walls, floors, cei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08Electric 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85Pipe s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Induction Hea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온수관 전열선 삽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온수관의 내부를 관통하는 전열선이 구비된 유도기는 신축성이 뛰어남과 더불어 펌프부의 당기는 힘과 함께 압축공기의 미는 힘을 동시에 받을 수 있으므로 상기 유도기는 형상의 변화가 생긴 온수관의 내부도 아주 신속하고 용이하게 관통하는 온수관 전열선 삽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온수관 전열선 삽입장치는 전열선을 부착하여 온수관을 관통하는 유도기에 펌프부의 당기는 힘과 압축공기의 미는 힘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으므로 형상의 변화가 없는 온수관은 물론이고 형상의 변화가 생긴 온수관 또한 아주 쉽게 관통할 수 있으며, 상기 유도기는 신축성이 뛰어난 재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더욱 용이하게 형상의 변화가 생긴 온수관을 관통할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전열선, 온수관, 유도기, 펌프

Description

온수관 전열선 삽입장치{INSERTION THE DEVICE OF THE ELECTRIC HEAT LINE FOR THE HOT WATER PIPE}
도 1은 종래의 온수관 전열선 삽입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수관 전열선 삽입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온수관 전열선 삽입장치의 작동 후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도 2의 A부분 확대 단면도.
도 5는 유도관의 일면에 구비되는 차단밸브와 게이트 밸브를 도시한 것으로 "가"와 "나"는 작동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6의 "가"와 "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유도기를 도시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온수관 2 : 유도관
2h : 유도공 3 : 펌프
3a : 토출관 4 : 유도기
6 : 전열선 10 : 본 고안의 온수관 전열선 삽입장치
20 : 물 공급부 22 : 삽입공
30 : 유도관 32 : 주입부
34 : 차단밸브 36 : 게이트 밸브
37 : 몸체 38 : 회전체
39 : 게이트부 40 : 펌프부
42 : 토출관 50 : 유도기
52 : 전열선 60 : 온수관
62 : 나사부 64 : 체결부
70 : 바닥 80 : 에어컴프레서
본 고안은 온수관 전열선 삽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온수관의 내부를 관통하는 전열선이 구비된 유도기는 신축성이 뛰어남과 더불어 펌프부의 당기는 힘과 함께 압축공기의 미는 힘을 동시에 받을 수 있으므로 상기 유도기는 형상의 변화가 생긴 온수관의 내부도 아주 신속하고 용이하게 관통하는 온수관 전열선 삽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이미 설치되어 있는 온수관이나 설치를 하고자 하는 온수관의 내부에 전열선을 삽입하기 위한 장치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0435872호가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방법이다.
즉, 도 1은 종래의 온수관 전열선 삽입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조에 연결된 펌프(3)의 토출관(3a)에 연결된 유도관(2)의 일측에 천공된 유도공(2h)으로 전열선(6)이 유도기(4)에 묶음 결합되어 삽입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유도공(2h)으로 공기가 유입되어 온수관(1)내에 채워지는 물에 공기가 유입되면서 기포가 발생되어 물의 표면장력, 응집력을 분산시켜 유도기(1)가 유도관(2)을 통과하기 용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온수관(1) 내에 전열선(6)을 삽입할 때 유도공(2h)으로 스며든 공기를 전열선(6)을 삽입한 후 다시 제거해야 되는 번거러움 또한 있었다. 뿐만 아니라 통상의 펌프는 물을 끌어올리게 설계되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구조로 설치된 펌프(3)는 물을 미는 방식으로 설계되어 있으므로 이에 따라 별도로 펌프(3)를 제작해야 되는 단점이 발생되어 비효율적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이미 바닥에 매설되어 있는 온수관(1)은 외부의 요인에 의해서 그 형상이 변화되어 부분적으로 찌그러져 있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온수관(1)에 삽입된 유도기(4)는 상기 온수관(1)의 찌그러진 부분에 걸려 더 이상 관통되지 못하게 되는 근본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형상의 변화가 없는 온수관이나 형상의 변화가 생긴 온수관에 상관없이 전열선이 구비된 유도기가 아주 신속하고 용이하게 온수관의 내부를 관통할 수 있는 온수관 전열선 삽입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부; 상기 물 공급부의 하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온수관과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일면에는 압축공기의 출입을 제어할 수 있는 차단밸브와 상기 압축공기가 물 공급부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게이트밸브가 구비된 유도관; 상기 온수관과 일측이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수조통의 물을 빨아 당길 수 있는 펌프부; 및 상기 유도관의 일측으로 삽입되며, 한가닥 또는 한가닥 이상의 전열선이 부착되거나 관통되게 형성되고, 형상의 변화가 생긴 온수관의 내부에도 쉽게 관통할 수 있도록 신축성이 뛰어난 재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유도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도관의 차단밸브에는 압축공기를 제공하는 에어컴프레서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온수관 전열선 삽입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수관 전열선 삽입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온수관 전열선 삽입장치의 작동 후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먼저 도 2를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본 고안의 온수관 전열선 삽입장치(10)는 크게 물을 저장하고 있는 물 공급부(20), 상기 물 공급부(20)에 일측이 결합되어 있는 유도관(30), 상기 물 공급부(20)의 물을 빨아 당길 수 있는 펌프부(40) 및 상기 유도관(30)의 일측 내부로 삽입되며 전열선(52)이 구비된 유도기(50)로 구성되어 있으며, 바닥(70)에는 상기 유도관(30)과 펌프부(40)에 결합되는 온수관(60)이 매설되어 있다.
상기 물 공급부(20)는 내부에 물을 담고 있는 통상의 수조의 형태로써, 하부에 삽입공(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공(22)으로 유도관(30)의 일측이 삽입된다.
상기 유도관(30)은 일측이 상기 물 공급부(20)의 삽입공(22)으로 삽입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온수관(60)과 분리 가능하도록 나사 결합되며, 일면에는 압축공기의 출입을 단속할 수 있는 차단밸브(34)와 상기 압축공기가 물 공급부(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게이트밸브(36)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유도관(30)에는 주입부(32)가 형성되어 상기 주입부(32)에 압축공기를 생산하는 통상의 에어컴프레서(80)가 연결된다.
상기 펌프부(40)는 상기 온수관(60)과 일측이 분리 가능하도록 나사 결합되어 물 공급부(20)에 저장되어 있는 물을 빨아 당기는 것이다. 물론, 상기 펌프부(40)는 온수관(60)에 결합되어 물 공급부(20)로 물을 배출시키는 토출관(42)이 구비됨은 당연하다.
상기 유도기(50)는 상기 유도관(30)의 일측으로 삽입되며, 온수관(60)의 내 부에 구비될 전열선(52)이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전열선(52)은 통상 피복이 입혀진 형태로 사용되는 피복 전열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한가닥 또는 한가닥 이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유도기(50)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온수관(60)은 바닥에 이미 매설되어 있으며, 일측은 상기 유도관(30)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펌프부(40)의 토출관(42)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온수관(60)은 이미 바닥(70)에 매설되어 있는 온수관(60)과 매설되기 전의 온수관(60)으로 나눌 수 있으며, 상기 온수관(60)은 통상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만곡부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예시로 도시되어 있는 온수관(60)은 이미 바닥(70)에 매설되어 외측인 요인으로 인해 일부분이 찌그러져 그 형상에 변화가 생긴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이때, 도 3을 살펴보면, 유도기(50)에 부착된 전열선(52)이 온수관(60)의 내부에 관통 구비되고, 상기 온수관(60)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있는 유도관(30)과 펌프부(40)가 온수관(60)에서 분리되어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도 2의 A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온수관(60)과 유도관(30)의 결합부분을 도시한 것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관(60)의 일단부에 나사부(62)를 형성시 키고 상기 나사부(62)에 대응하여 체결되도록 상기 유도관(30)의 하부에는 체결부(64)를 관접시켜 상호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됨을 알 수 있다.
이렇게 단단한 결합관계를 가짐으로 물 공급부(20)에서 공급되는 물이 외부로 비산되지 않을 것은 물론이고 체결과 분리가 아주 용이한 것이다.
도 5는 유도관의 일면에 구비되는 차단밸브와 게이트밸브를 도시한 것으로 "가"와 "나"는 작동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유도관(30)의 일면에는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에어컴프레서(80)와 연결되는 주입부(3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주입부(32)에는 상기 에어컴프레서(80)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제어할 수 있는 통상의 차단밸브(3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유도관(30)에는 게이트밸브(36)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게이트밸브(36)는 몸체(37), 상기 몸체(37)의 상단에 구비되는 회전체(38) 및 상기 회전체(38)에 볼트 결합되어 상기 회전체(38)의 회전으로 상하단 이동되는 게이트부(39)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게이트밸브(36)는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므로 상세한 작동관계는 생략하기로 한다.
이때, "가"를 보면, 압축공기를 제어하는 차단밸브(34)는 닫혀 있고, 게이트밸브(36)는 열려 있어 유도관(30)의 내부로 물과 함께 전열선(52)이 부착된 유도기(50)가 관통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나"를 보면, 상기 게이트밸브(36)의 게이트부(39)가 낙하되어 내부 를 밀폐하고 있고, 압축공기를 제어하는 차단밸브(34)가 열려 있다. 이때, 상기 게이트밸브(36)의 게이트부(39)는 완전히 밀폐되도록 끝까지 낙하되는 것은 아니며, 그 하단으로 전열선(52)이 계속 지나갈 수 있을 만큼 공간은 확보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게이트밸브(36)에 의해서 일측이 밀폐됨으로 압축공기가 상기 유도관(30)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유도기(50)의 진행 방향대로 강하게 밀어주게 되는 것이다.
즉, 펌프부(40)에서 빨아 당기는 압력과 뒤에서 밀어주는 압축공기에 의해서 상기 유도기(50)는 온수관(60)의 내부를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관통될 것이다.
도 6의 "가"와 "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유도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유도기(50)는 온수관(60)의 내부를 용이하게 관통되도록 원통형의 형상을 가짐이 바람직하며, 미리 바닥(70)에 매설되어 형상의 변화가 생긴 온수관(60)의 내부에도 쉽게 관통할 수 있도록 신축성이 뛰어난 재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형성되어 있는 유도기(50)에 전열선(52)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열선(52)을 상기 유도기(50)에 연결하는 방법으로는 묶음 결합, 별도의 심선에 의한 결합 및 유도기(50)에 고리부를 형성하여 결합하는 등 아주 다양할 것은 명백하다.
상기에서 전술한 본 고안의 온수관 전열선 삽입장치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에어컴프레서(80)의 압축공기를 제어하는 차단밸브(34)는 닫혀있고, 게이트밸브(36)는 열려 있다. 또한, 물 공급부(20)에 물이 저장됨에 따라 유도관(30) 및 온수관(60)에는 펌프부(40)의 작동에 상관없이 소량의 물이 유입되어 있다.
먼저, 물 공급부(20)에 일측이 결합되어 있는 유도관(30) 내부로 전열선(52)이 부착된 유도기(50)를 삽입한 다음 펌프부(40)를 작동시킨다. 상기 펌프부(40)의 빨아 당기는 힘에 의해서 물 공급부(20)의 물과 함께 상기 유도기(50)는 유도관(30)을 따라 펌프부(40)의 토출관(42)으로 이동될 것이다. 이렇게 상기 유도기(50)가 토출관(42) 입구에 도달하게 되면 펌프부(40)의 작동을 멈추고 상기 온수관(6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유도관(30)과 펌프부(40)의 토출관(42)을 온수관(60)에서 분리시킨다. 상기한 과정이 끝나고 나면 상기 온수관(60)의 내부에는 전열선(52)이 구비되게 됨은 당연하다.
여기서, 상기 온수관(60)의 형상이 아무런 변화 없이 초기의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면 펌프부(40)에서 빨아 당기는 힘만으로 온수관(60)의 내부를 유도기(50)가 관통될 수 있을 것이나, 온수관(60)의 형상에 변화가 발생되어 일부분이 찌그러져 있다면 상기 펌프부(40)의 힘만으로 상기 유도기(50)가 온수관의 내부를 관통하기 쉽지 않을 것은 너무나 당연할 것이다. 이때, 유도관(30)에 구비되어 있 는 게이트밸브(36)는 닫고, 차단밸브(34)를 개방하면 에어컴프레서(80)에서 발생된 압축공기가 유도관(30)의 내부로 강하게 유입되어 상기 유도기(50)의 진행 방향대로 강하게 밀게 될 것이다.
즉, 상기 유도기(50)는 펌프부(40)의 당기는 힘과 압축공기의 미는 힘을 택일하여 받거나 동시에 받을 수 있으므로 형상의 변화가 생긴 온수관(60)이 내부도 비교적 쉽게 관통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유도기(50)는 신축성이 뛰어난 재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더욱 용이하게 형상의 변화가 생긴 온수관(60)을 관통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고안의 실용신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고안의 실용신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고안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고안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개시된 고안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고안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고안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온수관 전열선 삽입장치는 전열선을 부착하여 온수관을 관통하는 유도기에 펌프부의 당기는 힘과 압축공기의 미는 힘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으므로 형상의 변화가 없는 온수관은 물론이고 형상의 변화가 생긴 온수관 또한 아주 쉽게 관통할 수 있으며, 상기 유도기는 신축성이 뛰어난 재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더욱 용이하게 형상의 변화가 생긴 온수관을 관통할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2)

  1. 바닥의 내부에 이미 매설되어 있거나 매설을 하고자 하는 온수관에 전열선을 삽입하는 온수관 전열선 삽입장치에 있어서,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부;
    상기 물 공급부의 하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온수관과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일면에는 압축공기의 출입을 제어할 수 있는 차단밸브와 상기 압축공기가 물 공급부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게이트밸브가 구비된 유도관;
    상기 온수관과 일측이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수조통의 물을 빨아 당길 수 있는 펌프부; 및
    상기 유도관의 일측으로 삽입되며, 한가닥 또는 한가닥 이상의 전열선이 부착되거나 관통되게 형성되고, 형상의 변화가 생긴 온수관의 내부에도 쉽게 관통할 수 있도록 신축성이 뛰어난 재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유도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관 전열선 삽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관의 차단밸브에는 압축공기를 제공하는 에어컴프레서가 연결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관 전열선 삽입장치.
KR2020050029524U 2005-10-18 2005-10-18 온수관 전열선 삽입장치 KR2004056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524U KR200405681Y1 (ko) 2005-10-18 2005-10-18 온수관 전열선 삽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524U KR200405681Y1 (ko) 2005-10-18 2005-10-18 온수관 전열선 삽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5681Y1 true KR200405681Y1 (ko) 2006-01-11

Family

ID=41757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9524U KR200405681Y1 (ko) 2005-10-18 2005-10-18 온수관 전열선 삽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5681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702B1 (ko) 2007-11-19 2008-02-20 주식회사 대우에너텍 온수관의 전열선 및 압력조절볼 삽입장치 및 그 삽입방법
KR100875718B1 (ko) 2008-07-01 2008-12-26 이춘서 펌프를 이용한 온수관 발열선 삽입장치
KR100973632B1 (ko) 2008-07-01 2010-08-02 이춘서 롤러를 이용한 온수관 발열선 삽입장치
KR101078748B1 (ko) 2010-01-08 2011-11-01 가나안전자정밀(주) 블로윙 머신
KR20160050424A (ko) * 2014-10-29 2016-05-11 주식회사 햇빛난방 열선 삽입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702B1 (ko) 2007-11-19 2008-02-20 주식회사 대우에너텍 온수관의 전열선 및 압력조절볼 삽입장치 및 그 삽입방법
KR100875718B1 (ko) 2008-07-01 2008-12-26 이춘서 펌프를 이용한 온수관 발열선 삽입장치
KR100973632B1 (ko) 2008-07-01 2010-08-02 이춘서 롤러를 이용한 온수관 발열선 삽입장치
KR101078748B1 (ko) 2010-01-08 2011-11-01 가나안전자정밀(주) 블로윙 머신
KR20160050424A (ko) * 2014-10-29 2016-05-11 주식회사 햇빛난방 열선 삽입 장치
KR101679026B1 (ko) * 2014-10-29 2016-11-23 주식회사 햇빛난방 열선 삽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5681Y1 (ko) 온수관 전열선 삽입장치
CN102587087B (zh) 洗涤剂盒及具有该洗涤剂盒的洗衣机
AR050993A1 (es) Procedimiento para mejorar la produccion de espuma durante la preparacion de bebidas a partir de un cartucho y un dispositivo para su puesta en funcionamiento
CN101189171A (zh) 用于固定在容器上的具有插入式套口的分配封口件
CN207211432U (zh) 一种套筒灌浆堵浆系统
CN100566649C (zh) 餐具清洗机
KR20070009055A (ko) 공압식 하수구 관통장치
JP5847929B2 (ja) 浴槽の空気噴射装置
KR200423119Y1 (ko) 온수관의 전열선 삽입장치
CN108729140B (zh) 一种洗涤添加剂盒
KR101449852B1 (ko) 꿀벌 사양장치 및 급수장치
KR101297362B1 (ko) 하이드로포 탱크 및 이를 적용한 하이드로포 시스템
KR200193162Y1 (ko) 가압 액체를 이용한 연질 튜브의 노후관내 반전삽입장치
KR101158842B1 (ko) 가압식 배수관 뚫는 장치
CN200948798Y (zh) 旅客列车上水管快速接头
US8756721B1 (en) Toilet with built-in plunger
CN103891540B (zh) 植物栽培容器
CN110872940A (zh) 排液装置及其使用方法
CN1958928B (zh) 用于节水洗衣机的进水口装置
CN204063602U (zh) 热水器
JP6439110B2 (ja) エジェクターポンプを使用した地盤改良用負圧駆動装置
CN204063603U (zh) 热水器
CN111053046A (zh) Ivc笼具自动补水装置
CN202492621U (zh) 羽毛水洗机的自动进水装置
CN209180546U (zh) 一种快插式洗衣机下水接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