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5560Y1 - 보일러 수트 블로워 포핏 밸브 - Google Patents

보일러 수트 블로워 포핏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5560Y1
KR200405560Y1 KR2020050030603U KR20050030603U KR200405560Y1 KR 200405560 Y1 KR200405560 Y1 KR 200405560Y1 KR 2020050030603 U KR2020050030603 U KR 2020050030603U KR 20050030603 U KR20050030603 U KR 20050030603U KR 200405560 Y1 KR200405560 Y1 KR 2004055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poppet valve
contact
closing member
boi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06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흥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흥
Priority to KR20200500306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55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55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556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42Valve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5/00Details relating to contact between valve members and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cineration Of Waste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일러 수트 블로워 포핏 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트 블로워인 랜스 튜브(Lance Tube)와 피딩 파이프(Feeding Pipe)의 내부에 습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증기 발생부에서 증기를 공급 또는 차단시키는 보일러 수트 블로워 포핏 밸브에 관하 것이다.
즉, 본 고안은 고온/고압의 증기를 랜스 튜브 및 피딩 파이프로 연결된 보일러에 공급 또는 차단시키는 포핏밸브(Poppet Valve)에 있어서, 증기발생기가 결합되는 수직 방향의 입구와, 상기 랜스 튜브가 결합되는 수평 방향의 출구가 연결되어 통하도록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 내부에서 수직운동을 하여 몸체 내부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며 하단의 머리부 둘레를 따라 경사면이 형성되고 이 머리부보다 축소되는 직경으로 연장되는 연장부가 몸체 상측까지 형성되는 개폐부재; 상기 몸체 내부에서 탈, 부착되며 상기 개폐부재의 경사면보다 축소되는 내경을 갖는 관 형상의 접촉부재; 상기 몸체 외부로 노출되는 개폐부재의 둘레에 구비되어 상기 개폐부재가 외력을 가하기 전까지 접촉부재에 접촉된 상태로 구비되다 하강 후 외력을 제거하면 복원될 수 있도록 개폐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수트 블로워 포핏 밸브에 관한 것이다.
화력 발전소용 보일러, 수트 블로워(Soot Blower), 포핏 밸브(Poppet Valve), 애쉬(Ash), 선 접촉, 탈부착, 습기, 건조

Description

보일러 수트 블로워 포핏 밸브{POPPET VALVE FOR BOILER SOOT BLOWER}
도 1은 종래의 보일러 수트 블로워 포핏 밸브가 보일러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 수트 블로워 포핏 밸브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포핏 밸브(Poppet Valve) 112: 몸체
114: 입구 116: 출구
118: 접촉부재 120: 개폐부재
122: 머리부 122a: 경사면
124: 연장부재 V: 벤트 밸브(Vent valve)
본 고안은 보일러 수트 블로워 포핏 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트 블로워인 랜스 튜브(Lance Tube)와 피딩 파이프(Feeding Pipe)의 내부에 습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증기 발생부에서 증기를 공급 또는 차단시키는 보일러 수트 블로워 포핏 밸브에 관하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탄을 연료로 사용하는 발전용 대형 보일러는 그 보일러 내에서 연료를 연소시켜 발생되는 고온/고압 증기에너지에 의해 터빈 발전기를 구동하게 되는데, 상기 보일러 노내에서 연료가 연소되면서 연소 재인 애쉬(Ash)가 다수열의 증기발생 튜브 외면에 축적되게 되며, 이러한 축적물은 증기발생 튜브의 열전달을 방해하기 때문에 고압공기 또는 고압증기를 분사하여 튜브 외면의 축적물을 제거하기 위한 수트 블로워(Soot Blower)가 설치되어 주기적으로 운전된다.
이러한, 상기 수트 블로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선단에 분사노즐이 형성된 랜스튜브(Lance Tube: L)와, 상기 랜스튜브(L)를 회전 또는 수평이송시키는 구동장치(도면에 미도시)와, 상기 랜스튜브(L)를 보일러 노벽(B)에 지지시키는 지지대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랜스튜브(L)의 내부에는 이 랜스튜브(L)의 내경보다 작은 피딩파이프(Feeding Pipe: P')가 구비되어 그 피딩 파이프(P')를 통해 증기가 공급된다.
이러한 구성의 수트 블로워의 작동상태는 다음과 같다. 즉, 보일러 노벽(B)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통공에 상기한 랜스튜브(L)가 각각 설치되며, 수트 블로워의 운전중 상기 랜스튜브(L)는 보일러 노내의 증기발생 튜브(도면에 미도시) 사이의 공간으로 전후 왕복하며 압축공기 또는 증기를 그 선단에 형성된 노즐을 통하여 분사시켜 증기발생 튜브 외면에 쌓인 축적물들을 분리 비산시키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보일러 노내의 애쉬는 상기 랜스튜브(L)와 지지대 틈새로 새어나오게 된다. 또한, 이러한 애쉬의 누출에는, 중량이 무겁고 길이가 긴 랜스튜브(L)가 고온인 보일러 노내를 왕복하면서 아래로의 처짐과 비틀림 변형이 발생하여 랜스튜브(L)가 편심되게 되어 발생된 틈새도 그 원인이 된다. 그리고 랜스튜브(L) 편심방향의 지지대 부위는 랜스튜브(L) 이송중 마찰이 특히 증가되어 국부적 마멸로 수명이 짧아지고 결국 밀봉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트 블로워의 후단은 포핏밸브(10)의 출구(16)와 연결되고 상기 포핏밸브(10)의 입구는 증기 발생부(도면에 미도시)와 연결되며, 상기 포핏밸브(10)의 출구와 대향되는 외벽에 벤트 밸브(V)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포핏밸브(10)는 압력 밸브의 일종으로 외력을 가해 내부가 개방되면 증기 발생부에서 공급되는 증기가 랜스튜브(L) 및 피딩 파이프(P')를 거쳐 보일러 노내로 공급되고 상기 증기 발생부를 정지시켜 적정압 이하로 낮아지면 차단된다.
여기서, 상기 벤트 밸브(V)는 상기 랜스튜브(L)와 피딩 파이프(P')의 내부를 건조시키되 상기 포핏밸브(10)의 개방시 그 포핏밸브(10) 내부압에 의해 폐쇄되어 증기 발생부의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랜스튜브(L)로 향하도록 하며, 상기 포핏밸브(10)의 폐쇄시 압력 저하에 의해 자동으로 개방됨에 따라 외부의 공기를 랜스튜브(L) 내부로 유입하고 그 유입된 외부 공기로 상기 랜스튜브(L)의 내부에 존재하는 습기를 건조시켜 그 랜스튜브(L) 및 피딩 파이프(P')의 내주면에 녹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종래의 포핏밸브(10)는 하단에 형성되는 입구(14)와 일측벽에 형성되 는 출구(16)가 내부에서 연결되어 통하는 몸체(12)와, 상기 몸체(12) 내부에서 외부 상측까지 연장되되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이 포핏밸브(10)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개폐부재(20)와, 상기 개폐부재(20)가 중심부에 삽입되어 이 개폐부재(20)를 상하 지점에서 지지하는 상, 하부 결합부재(26, 28)와, 상기 상부 결합부재(26)의 상부에 결합되어 후술한 탄성부재(32)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탄성력 조절 부재(30)와, 상기 개폐부재(20)에 설정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32)와, 상기 탄성부재(32)의 상단을 가압하는 가압부재(34) 및 상기 가압부재(34)를 개폐부재(20)의 연장부(24) 끝단에 고정시키는 너트(36)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상부 결합부재(26)와 탄성력 조절부재(30)의 사이에는 실링부재(S)가 개재된다.
상기 몸체(12)의 내부에서 승강 동작을 반복하여 포핏밸브(10)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개폐부재(20)는 몸체(12) 내부에 일체로 형성된 접촉부위(18)에 접촉 또는 이탈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상기 개폐부재(20)는 상기 몸체(12) 내 중앙부에서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고 이 돌출 부위의 저면에 단차 형성된 접촉부위(18)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머리부(22)와 상기 머리부(22)와 일체로 형성되되 이 머리부(22)의 직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으면서 몸체(12)의 외부까지 돌출되는 연장부(24)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머리부(22)의 상면 가장자리는 몸체(12)의 접촉부위(18)에 의해 밀착되어 몸체(12) 내부가 폐쇄될 수 있도록 수평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12)의 접촉부위(18)도 수평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재(30)는 상기 몸체(12)의 내부에 일단이 위치 고정되고 타단은 개폐부재(20)가 머리부(22)에 위치 고정되어 상기 개폐부재(20)에 탄성력을 가해진 상태로 개재됨에 따라 그 개폐부재(20)의 머리부(22)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 탄성력에 의해 벤트 밸브(V)는 항시 폐쇄된 상태이다.
상기 너트(36)는 상기 개폐부재(20)의 연장부(24) 상단에 형성된 구멍과 상응하면서 연통될 수 있도록 대향되는 양단에 구멍이 형성됨에 따라 그 구멍에 고정핀(38)을 삽입하면 연장부(24)의 구멍까지 통과되므로 상기 탄성력 조절부재(30)와 가압부재(34) 사이에 개재된 탄성부재(32)를 상기 가압부재(34)로 가압하고 이 가압부재(34)가 이탈되지 않고 가압한 상태로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상기 포핏밸브(10)에 벤트 밸브(V)가 고정된 상태에서 이 포핏밸브(10)의 내부에 증기가 증기 발생부로부터 유입됨에 따라 상기 포핏밸브(10)가 개방되어 내부 압력이 작용하고 그에 따라 내부압에 의해 개폐부재(20)의 머리부(22)가 이동하며 상기 머리부(22)의 상면 가장자리부가 몸체(12)의 접촉부위(18) 저면에 접촉하여 상기 벤트 밸브(V)를 폐쇄시킨다.
그러다 상기 보일러를 가동시킨 후 적정 시간 후에 발생되는 연소 재인 애쉬(Ash)를 제거하기 위해 그 보일러 내부 압력을 낮추고 수트 블로워(도면에 미도시)를 구동시키되 증기 발생부에서 공급되는 증기에 의해 랜스 튜브(L)와 피딩 파이프(P')의 내부에 습기가 생기게 되며, 그 후, 상기 증기 발생부를 정지시키면 포핏밸브(10)가 폐쇄되고 외부에서 개폐부재(20)를 가압하여 하강시킨 다음 상기 개폐부재(20)의 머리부(22)가 몸체(12)의 접촉부위(18)에서 이탈되므로 입구(14)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에 의해 랜스 튜브(L)와 피딩 파이프(P')의 습기가 건조된다.
그 후, 상기 랜스 튜브(L)와 피딩 파이프(P')의 습기가 건조된 후 상기 증기 발생부를 가동시킨 후 외력을 가하면 이 외력에 의해 포핏밸브(10)가 개방되며 상기 벤트 밸브(V)가 폐쇄되면서 증기 발생부의 증기가 재차 랜스 튜브(L)와 피딩 파이프(P')를 통해 보일러 노내로 유입된다.
그러나 상기 보일러 구동시 생성되는 애쉬를 반복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수트 블로워를 반복적으로 작동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포핏밸브(10)의 개폐부재(20) 머리부(22)와 상기 머리부(22)가 접촉하는 몸체(12)의 접촉부위(18)와의 접촉 면적이 면 접촉함에 따라 그 접촉부위(18)에 애쉬가 잔류되고 응고되어 틈이 발생되고 그에 따라 포핏밸브(10)와 수트 블로워의 내부 압력 유지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몸체(12)의 접촉부위(18)와 개폐부재(20)의 머리부에 응고된 애쉬의 제거 작업 수행시 상기 개폐부재(20)는 몸체(12)에서 분리하여 제거하면 되지만 몸체(12)에 일체로 형성된 접촉부위(18)에 응고된 애쉬는 제거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상기 몸체의 접촉부위와 개폐부재를 서로 선 접촉시켜 내마모성 향상 및 애쉬가 잔류되는 것을 방지하고, 개폐부재가 접촉하는 접촉부재를 탈부착되도록 별도로 구비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할 수 있게 한 보일러 수트 블로워 포핏 밸브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고온/고압의 증기를 랜스 튜브 및 피딩 파이프로 연결된 보일러에 공급 또는 차단시키는 포핏밸브(Poppet Valve)에 있어서, 증기발생기가 결합되는 수직 방향의 입구와, 상기 랜스 튜브가 결합되는 수평 방향의 출구가 연결되어 통하도록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 내부에서 수직운동을 하여 몸체 내부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며 하단의 머리부 둘레를 따라 경사면이 형성되고 이 머리부보다 축소되는 직경으로 연장되는 연장부가 몸체 상측까지 형성되는 개폐부재; 상기 몸체 내부에서 탈,부착되며 상기 개폐부재의 경사면보다 축소되는 내경을 갖는 관 형상의 접촉부재; 상기 몸체 외부로 노출되는 개폐부재의 둘레에 구비되어 상기 개폐부재가 외력을 가하기 전까지 접촉부재에 접촉된 상태로 구비되다 하강 후 외력을 제거하면 복원될 수 있도록 개폐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몸체 내부를 개폐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의 경사면이 접하는 접촉부재를 접촉 면적을 줄일 수 있게 구비하되 상기 접촉부재를 몸체 내부에 탈, 부착 가능하게 구비하여 개폐부재의 경사면과 접촉부재의 접촉 부위에 연소 재인 애쉬가 잔류되어 응고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접촉부재의 마모시 용이하게 접촉부재를 분리시켜 유지보수를 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서의 상기 개폐부재의 경사면에 접하는 접촉부재의 내주면 하단 모서리는 경화시킨 후 선 접촉될 수 있도록 곡면 가공함으로써, 상기 개폐부재의 경사면과의 반복적인 접촉 또는 고온/고압 증기 배출시 마모를 방지하므로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보일러 수트 블로워 포핏 밸브를 도면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 수트 블로워 포핏 밸브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2)와, 접촉부재(118)와, 개폐부재(120)와, 상, 하부 결합부재(126, 128)와, 탄성력 조절부재(130)와, 탄성부재(132)와, 가압부재(134) 및 너트(136)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112)는 입구(114)와 출구(116)가 내부에서 연통되며 상기 입구(114)에는 증기 발생부(도면에 미도시)와 연결되고 상기 출구(116)에는 랜스 튜브(L)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12) 내 중심부에는 수직 방향의 구멍이 형성되고 그 구멍의 둘레면에는 나선홈이 형성되며, 일측벽에는 벤트 밸브(V)가 고정된다.
상기 접촉부재(118)는 직립된 관 형상으로 상단 둘레면에 상기 몸체(112) 내부에 형성된 나선홈에 체결될 수 있도록 상응되는 나선돌기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접촉부재(118)의 내주면 하단 모서리는 후술할 개폐부재(120)의 머리부(122)에 형성되는 경사면(122a)이 선 접촉될 수 있도록 적정 반지름으로 곡면 가공된다.
여기서, 상기 접촉부재(118)의 곡면 가공된 부위에는 스텔라이트(Stellite: 육성용접봉)로 용접하여 개폐부재(120)의 머리부(122)와의 접촉과 고온/고압의 증기에 의한 마모를 방지하며, 이때, 접촉 부위를 반지름 1.5㎜로 곡면 가공한다.
여기서, 상기 접촉부재(118)의 내주면 하단 모서리의 반지름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반지름으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더욱이, 상기 접촉부재(118)의 내경은 상기 경사면(122a)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접촉부재(118)에 머리부(122)의 경사면(122a)이 접촉하여 서로 밀착되는 것이다.
상기 개폐부재(120)는 둘레면에 경사면(122a)이 형성되는 머리부(122)와, 상기 머리부(122)에서 일체로 형성되되 그 직경이 머리부(122)의 직경보다 작은 연장부(126)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경사면(122a)은 예각 범위 내에서 형성되되 그 각도는 29°가 바람직하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각도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재(120)의 상단에는 수평방향의 관통된 구멍이 형성되며, 이는 후술한 너트(136)를 고정핀(138)으로 고정하기 위해 가공된 것이다.
상기 상부 결합부재(126)는 상기 몸체(112)의 상면에 관통된 구멍이 형성되되 그 구멍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선홈에 체결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나선돌기가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개폐부재(120)의 연장부(124)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응한 구멍이 수직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하부 결합부재(128)는 상기 상부 결합부재(126)의 하단 둘레면에 나선 체결될 수 있도록 상단 내주면에 나선홈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력 조절부재(130)는 상기 상부 결합부재(126)의 상단 내주면에 나선 체결되며 중심부에는 상기 개폐부재(120)의 연장부(124)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응한 구멍이 수직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력 조절부재(130)의 저면과 상부 결합부재(126)내 저면에는 실링부재(S)가 개재되어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132)는 압축 스프링으로 하단은 탄성력 조절부재(130)의 상단에 위치되고 상단은 개폐부재(120)의 연장부(124) 상단에 삽입되는 가압부재(134)의 저면에 위치되어 개폐부재(120)에 탄성력을 가한 상태로 구비됨에 따라 그 개폐부재(12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 접촉부재(118)에 머리부(122)의 경사면(122a)이 접촉된 상태이므로 탄성력에 의해 몸체(110) 내부는 항시 폐쇄된 상태이다.
상기 너트(136)는 탄성력 조절부재(130)와 가압부재(134) 사이에 개재된 탄성부재(132)를 항시 가압된 상태로 위치시켜 상기 가압부재(134)가 연장부(124)의 상단에서 이탈되지 못하도록 위치 고정하는 것으로 이 너트(136)에 수평 방향의 구멍을 가공한 후 상기 너트의 구멍을 통해 고정핀(138)을 삽입하면 연장부(124)의 상단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연장부(124)에 고정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보일러 수트 블로워 포핏 밸브의 작동 과정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탄성부재(132)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개폐부재(120) 의 머리부(122) 경사면(122a)은 접촉부재(118)의 내주면 하단 모서리의 곡면 형성된 부위에 항시 선 접촉된 상태로 위치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후, 상기 보일러를 가동시킨 후 적정 시간 후에 발생되는 연소 재인 애쉬를 제거하기 위해 수트 블로워(도면에 미도시)를 반복적으로 구동시키되 증기 발생부(도면에 미도시)에서 공급되는 증기에 의해 랜스 튜브(L)와 피딩 파이프(도면에 미도시)의 내부에 습기가 생기게 되며, 그 후, 상기 증기 발생부를 정지하면 포핏밸브(P)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면서 탄성부재(132)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머리부(122)의 경사면(122a)이 접촉부재(118)의 곡면 부위에 선 접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접촉부재(118)의 내주면 하단 모서리는 적정 반지름을 갖도록 곡면 형성되어 개폐부재(120)의 머리부(122) 경사면(122a)이 선 접촉하게 되며 접촉 면적이 축소됨에 따라 반복적으로 수트 블로워를 구동시켜도 경사면(122a)과 접촉부재(118)와의 접촉 부위에 애쉬의 응고 및 이물질이 잔류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머리부(122)의 경사면(122a)과 접촉부재(118)와의 접촉시 그 접촉 면적을 축소시켜 상호 마모를 대비함에 따라 수명을 연장할 뿐만 아니라 접촉 부위에 이물질인 애쉬가 잔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 접촉부재(118)는 몸체(112)의 내부에서 탈, 부착이 가능하므로 상기 접촉부재(118)의 경사면(122a)과 접촉부재(118)의 접촉 부위에 이물질이나 애쉬가 응고되거나 잔류하여도 상기 접촉부재(118)를 몸체(112)로부터 분리한 다음 유지보수하고 재부착하면 된다.
그리고 폐쇄된 포핏밸브(110)는 그 내부압이 낮아져 상기 벤트 밸브(V)가 개 방하여 이 벤트 밸브(V)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에 의해 랜스 튜브(L)와 피딩 파이프의 내부에 존재하는 습기를 건조시킨다.
그 후, 상기 랜스 튜브와 피딩 파이프 내부가 건조되면 상기 증기 발생부를 가동시키고 외력을 가해 포핏밸브(110)를 개방시키며 상기 벤트 밸브(V)가 폐쇄되어 증기 발생부의 증기가 폐쇄된 벤트 밸브(V)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재차 랜스 튜브(L)와 피딩 파이프를 통해 보일러 노내로 유입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보일러 수트 블로워 포핏 밸브는 상기 몸체 내부에 구비되는 접촉부재에 밀착 또는 이탈시켜 몸체를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마련하되 상기 개폐부재와 접촉부재와의 접촉 면적을 작게 하여 내마모성 형상과 접촉 부위에 애쉬가 잔류되어 응고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개폐부재의 경사면과 접하는 접촉부재에 애쉬가 응고되어도 상기 접촉부재를 몸체에서 분리한 후 용이하게 유지보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고온/고압의 증기를 랜스 튜브 및 피딩 파이프로 연결된 보일러에 공급 또는 차단시키는 포핏밸브(Poppet Valve)에 있어서,
    증기발생기가 결합되는 수직 방향의 입구와, 상기 랜스 튜브가 결합되는 수평 방향의 출구가 연결되어 통하도록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 내부에서 수직운동을 하여 몸체 내부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며 하단의 머리부 둘레를 따라 경사면이 형성되고 이 머리부보다 축소되는 직경으로 연장되는 연장부가 몸체 상측까지 형성되는 개폐부재;
    상기 몸체 내부에서 탈, 부착되며 상기 개폐부재의 경사면보다 축소되는 내경을 갖는 관 형상의 접촉부재;
    상기 몸체 외부로 노출되는 개폐부재의 둘레에 구비되어 상기 개폐부재가 외력을 가하기 전까지 접촉부재에 접촉된 상태로 구비되다 하강 후 외력을 제거하면 복원될 수 있도록 개폐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수트 블로워 포핏 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의 경사면에 접하는 접촉부재의 내주면 하단 모서리는 경화시킨 후 선 접촉될 수 있도록 곡면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수트 블로워 포핏 밸브.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의 경사면 각도는,
    예각 범위 내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수트 블로워 포핏 밸브.
KR2020050030603U 2005-10-28 2005-10-28 보일러 수트 블로워 포핏 밸브 KR2004055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603U KR200405560Y1 (ko) 2005-10-28 2005-10-28 보일러 수트 블로워 포핏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603U KR200405560Y1 (ko) 2005-10-28 2005-10-28 보일러 수트 블로워 포핏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5560Y1 true KR200405560Y1 (ko) 2006-01-10

Family

ID=41757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0603U KR200405560Y1 (ko) 2005-10-28 2005-10-28 보일러 수트 블로워 포핏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556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366B1 (ko) * 2013-07-09 2014-03-13 이순이 보일러 수트 블러워 포핏밸브
KR20160092274A (ko) * 2015-01-27 2016-08-04 이종춘 수트 블로워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366B1 (ko) * 2013-07-09 2014-03-13 이순이 보일러 수트 블러워 포핏밸브
KR20160092274A (ko) * 2015-01-27 2016-08-04 이종춘 수트 블로워
KR101650735B1 (ko) * 2015-01-27 2016-08-24 이종춘 수트 블로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5875B1 (ko) 피스톤 엔진 및 그에 관한 방법
CN106668890B (zh) 移动式土壤蒸汽消毒机
ITMI20001362A1 (it) Transition piece per camere di combustione di turbine a gas non anulari.
KR200405560Y1 (ko) 보일러 수트 블로워 포핏 밸브
CN101087919A (zh) 柴油打桩机
JP6876884B2 (ja) 付着物除去装置
KR102139266B1 (ko) 가스터빈
KR100639513B1 (ko) 터보차저의 웨이스트 게이트 밸브 구조
KR200403921Y1 (ko) 보일러 수트 블로워용 벤트 밸브
US20110132282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jecting compound into utility furnace
JP5976940B2 (ja) 取り外し可能な火格子を備えたペレットボイラ
KR102014715B1 (ko) 어쿠스틱 수트 블로워
KR101650735B1 (ko) 수트 블로워
KR101994903B1 (ko) 편마모 억제가 가능한 수평형 테일 앤드 보일러용 부착 분진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평형 테일 앤드 보일러
KR102315241B1 (ko) 발전소 보일러의 밸브 시트용 랩핑장치
CN201531891U (zh) 激波吹灰器
KR101373366B1 (ko) 보일러 수트 블러워 포핏밸브
TWM503414U (zh) 焦爐的爐蓋洗淨裝置
KR101647595B1 (ko) 과열 및 감압제어장치가 구비된 감온제어밸브
KR100768722B1 (ko) 발전용 보일러의 부착물 제거장치
KR200441291Y1 (ko) 가스 토치램프
US2803848A (en) Means for supporting and sealing retractable soot blowers
KR20090006883U (ko) 보일러 수트 블로워용 스파이럴 노즐
CN100535086C (zh) 煤气发生器
JP4850160B2 (ja) クリンカホッパアッシュゲートの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