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0735B1 - 수트 블로워 - Google Patents

수트 블로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0735B1
KR101650735B1 KR1020150012695A KR20150012695A KR101650735B1 KR 101650735 B1 KR101650735 B1 KR 101650735B1 KR 1020150012695 A KR1020150012695 A KR 1020150012695A KR 20150012695 A KR20150012695 A KR 20150012695A KR 101650735 B1 KR101650735 B1 KR 101650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sleeve pipe
flange
combustion structure
p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2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2274A (ko
Inventor
이종춘
Original Assignee
이종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춘 filed Critical 이종춘
Priority to KR1020150012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0735B1/ko
Publication of KR20160092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2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0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07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1/00Non-rotary, e.g. reciprocated, appliances
    • F28G1/16Non-rotary, e.g. reciprocated, appliances using jets of fluid for removing debr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1/00Non-rotary, e.g. reciprocated, appliances
    • F28G1/16Non-rotary, e.g. reciprocated, appliances using jets of fluid for removing debris
    • F28G1/163Non-rotary, e.g. reciprocated, appliances using jets of fluid for removing debris from internal surfaces of heat exchange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cineration Of Waste (AREA)

Abstract

수트 블로워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수트 블로워는, 연소 구조물의 외부에 배치되어 연소 구조물로 스팀을 공급시키는 스팀 공급부; 일측부는 스팀 공급부에 연결되고 타측부는 연소 구조물에 연결되는 슬리브 파이프; 및 슬리브 파이프에 결합 되어 연소 구조물의 내부로 스팀을 공급시키는 피딩 파이프를 포함하고, 슬리브 파이프와 피딩 파이프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볼트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트 블로워{SOOT BLOWER}
본 발명은, 수트 블로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소 구조물의 내부로 스팀을 공급시켜 수트를 제거시키는 피딩 파이프를 편리하게 유지보수할 수 있는 수트 블로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화력 발전소 보일러나 소각로에서 오랜 시간 동안 가동을 하게 되면 수트(SOOT, 재 또는 그을음)는 보일러 벽이나 수관(TUBE)에 부착된다. 이 부착된 수트를 틈틈이 제거해 주지 않으면 엄청난 량의 수트가 계속해서 전열관에 부착되어 증기의 발생 효율을 현저하게 저하시킴과 동시에 연소가스의 통로를 막아 보일러 작동을 불안정하게 만든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일러에는 수트 블로워가 설치되고 있다. 수트 블로워는 고압의 과열증기와 공기를 노즐로부터 분사하여 비산회(fly ash)를 날려버림으로써 전열 효율을 회복시킴과 동시에 연소 가스의 통로를 청소하는 장치로 석탄 화력의 가동에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수트 블로워는 롱 리트랙터블 수트블로워(Long retractable soot blower)와, 부분 리트랙터블 수트 블로워(Part retractable soot blower)와, 로터리 수트 블로워(Rotary soot blower)와, 월 블로워(Wall blower)로 크게 구분된다.
롱 리트랙터블 수트 블로워는 보일러나 온도가 높은 슈퍼 히터(SUPER HEATER), 이코노마이저(ECONOMIZER) 등 일반적으로 온도가 높은 곳(400°C이상)에 사용되는 타입으로 기계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보일러 밖으로 랜스 튜브(LANCE TUBE)를 보호하기 위해 빼놓는다. 그럼으로 고온에서 랜스 튜브와 노즐을 보호할 수 있도록 설계된 타입이다. 수트 블로워의 가동 시 회전하면서 정해진 거리 만큼 전진 및 후진하면서 스팀 및 압축 공기 등를 분사하며 수트를 제거하는 기계이다.
부분 리트랙터블 수트 블루워는 보일러의 이코노마이저 및 에어 예열히터, SCR의 내부를 효율적으로 세척하기 위한 장치로서 일정 길이의 랜스 튜브가 보일러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구조로 제작되는 타입이다. 비교적 온도가 낮은 구간(400°C이하) 에 설치가 된다.
또한 보일러 외부에 공간이 협소해도 설치에 제약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미리 세팅된 거리 만큼 주기어 박스가 움직이면 밸브 작동기(Operating mechanism)가 작동하여 포핏 밸브(Poppet valve)가 열리며, 증기가 증기 유입 튜브를 통해 랜스 튜브로 유입되어 튜브 끝 부분의 노즐을 통해 분사되어 보일러 튜브 표면의 수트를 제거하는 블로윙(Blowing)이 시작된다.
로터리 수트 블로워는 고정된 위치에서 엘리먼트 튜브(ELEMENT TUBE)의 회전 운전만으로 블로윙 될 수 있도록 했고, 포핏 밸브를 통해 유입된 증기는 리턴 밴드(RETURN BAND)로 통과하여 바로 엘리먼트 튜브의 노즐을 통해 분사 되도록 되어있다. 엘리먼트 튜브가 역시 보일러의 내부에 들어가 있는 타입으로 온도가 낮은 구간(400°C이하)에 설치된다.
월 블로워는 보일러 벽에 설치된 수많은 수관에 부착된 수트를 제거하기 위해 보일러 벽에 설치된다. 랜스 튜브의 삽입시 노즐의 각도를 보일러 벽쪽으로 하여 스팀 등을 분사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보일러 벽의 수트 만을 전문적으로 제거하는 기계이다.
한편 종래의 월 블로워는 포핏 밸브에 결합되는 슬리브 튜브와 스팀을 보일러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랜스 튜브를 커플링이나 소켓을 이용하여 연결함으로써 보일러 안에서 수축 및 팽창에 따른 튜브의 깨짐이나 휨 현상을 방지하였다.
하지만 슬리브 튜브와 랜스 튜브를 커플링이나 소켓을 이용하여 결합하면 랜스 튜브의 손상이나 마모가 발생되어 교체할 필요가 있는 경우 분리가 용이하지 않아 작업에 어려움과 불편함이 있다.
또한 전술한 결합 방식으로는 슬리브 튜브와 랜스 튜브의 직진도 변형을 방지하는 데 부족한 점이 있다.
그리고 슬리브 튜브와 포핏 밸브가 결합되는 영역에는 사각형 모양의 그랜드 패킹(gland packing)이 마련되는 데 이 경우 누수 기밀성의 보완이 필요하므로 이에 대한 개선책이 요구된다.
나아가 슬리브 튜브와 포핏 밸브가 결합되는 영역에는 슬리브 튜브가 내부로 유입되는 수분과 이물질 등에 의해 부식, 회전에 의한 마모가 심하여 스팀의 누수 현상이 심하게 발생하므로 이에 대한 대비책도 요구된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특허등록공보 제10-1367541호(이순이) 2014. 02. 19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슬리브 튜브와 연결되며 보일러의 내부에 배치되는 랜스 튜브를 편리하게 정비할 수 있고, 리크 방지와 랜스 튜브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수트 블러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연소 구조물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연소 구조물로 스팀을 공급시키는 스팀 공급부; 일측부는 상기 스팀 공급부에 연결되고 타측부는 상기 연소 구조물에 연결되는 슬리브 파이프; 및 상기 슬리브 파이프에 결합 되어 상기 연소 구조물의 내부로 유체를 공급시키는 피딩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 파이프와 상기 피딩 파이프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볼트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트 블로워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슬리브 파이프의 일단부에는 제1 플랜지가 마련되고, 상기 피딩 파이프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1 플랜지에 대응되며 상기 제1 플랜지에 볼트 결합 되는 제2 플랜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플랜지와 상기 제2 플랜지의 결합 영역은 상기 연소 구조물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플랜지 및 상기 제2 플랜지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돌기가 마련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되는 결합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슬리브 파이프와 상기 스팀 공급부의 결합 영역에 마련되는 패킹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패킹부는 끼움홈이 각각 마련된 복수의 패킹부재를 서로 끼워 맞춤 결합하여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패킹부는, 최외각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패킹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제1 패킹부재 사이에 마련되는 복수의 제2 패킹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1 패킹부재와 상기 복수의 제2 패킹부재가 접하는 영역에는 상기 끼움홈이 마련되어 상기 한 쌍의 제1 패킹부재와 상기 복수의 제2 패킹부재는 상기 끼움홈을 통해 서로 억지 끼워 맞춤 결합 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1 패킹부재는 금속 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복수의 제2 패킹부재는 고무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슬리브 파이프와 상기 스팀 공급부의 결합 영역에 상기 패킹부와 함께 마련되는 부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 공급부와 상기 연소 구조물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슬리브 파이프를 지지하는 월 박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월 박스에는 상기 연소 구조물의 외부의 공기를 상기 연소 구조물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공기 유입관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월 박스에 마련되어 상기 공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나선형으로 회전시켜 상기 연소 구조물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나선형 안내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슬리브 파이프와 피딩 파이프를 서로 분리 가능하게 볼트 결합함으로써 피딩 파이프를 편리하게 분리 또는 결합할 수 있으므로 피딩 파이프를 용이하게 정비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볼트 결합 방식에 의해 슬리브 파이프와 피딩 파이프의 결합 영역에서 누설을 방지할 수 있고, 피딩 파이프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트 블로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트 블로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안전 커버가 제거된 단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배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패킹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실시 예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트 블로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트 블로워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안전 커버가 제거된 단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배면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패킹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수트 블로워(1)는, 보일러를 포함하는 연소 구조물(BS)의 외부에 배치되어 연소 구조물(BS)로 스팀을 공급시키는 스팀 공급부(100)와, 일측부는 스팀 공급부(100)에 연결되고 타측부는 연소 구조물(BS)에 연결되는 슬리브 파이프(200)와, 슬리브 파이프(2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연소 구조물(BS)의 내부로 스팀을 공급시키는 피딩 파이프(300)와, 슬리브 파이프(200)와 스팀 공급부(100)의 결합 영역에 마련되는 패킹부(400)와, 스팀 공급부(100)에 마련되어 스팀 유로를 개폐시키는 스팀 유로 개폐구동부(600)와, 스팀 유로 개폐구동부(6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 브래킷(700)과, 일측부는 베이스 브래킷(700)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연소 구조물(BS)의 벽체(W)에 결합되어 피딩 파이프(300)를 지지하는 월 박스(800)를 구비한다.
스팀 공급부(100)는, 스팀 공급원(미도시)에서 공급되는 스팀을 연소 구조물(BS, 도 7 참조)의 내부로 공급시키며, 스팀 유로 개폐구동부(600)의 작동에 의해 스팀 유로를 개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스팀 공급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바디(110)와, 밸브 바디(110)에 마련되어 스팀 유로를 개폐하는 스팀 유로 개폐부(120)를 포함한다.
스팀 공급부(100)의 밸브 바디(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팀의 유입 통로가 되는 스팀 유입구(111)와, 유입된 스팀의 배출 통로가 되는 스팀 배출구(112)와, 스팀 유로 개폐부(120)의 밸브 레버(130)가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레버 지지암(113)을 포함한다.
스팀 공급부(100)의 스팀 유로 개폐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팀 유로 개폐구동부(600)에 연결되며 구동 모터(620)의 구동에 의해 작동되어 스팀 유입구(111)를 개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스팀 유로 개폐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팀 유입구(111)가 마련된 밸브 바디(110)의 상측부에 삽입 결합되는 스템 가이드(121)와, 스템 가이드(121)를 통해 밸브 바디(110)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측부가 밸브 바디(110)의 외부로 노출되는 스템(122)과, 밸브 바디(110)의 내부에 마련되며 스팀 유입구(111)를 부분적으로 밀폐하는 밸브 시트(123)와, 스템고정부재(124)와 록킹플레이트(124a)에 의해 스템(122)에 결합되어 스팀 유입구(111)를 개폐시키는 밸브콘(125)과, 밸브 바디(110)의 상단부 외측에 마련되어 스템(122)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밸브 스프링(126)과, 밸브 스프링(126)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스프링 리테이너(127)와, 스프링 리테이너(127)를 스템(122)에 고정시키는 스프링 키(128)와, 하측부가 밸브 바디(110)의 상부 외측부에 안착되며 밸브 스프링(126)의 내부에 배치되어 밸브 스프링(126)을 지지하는 스프링 안착 하우징(129)과, 밸브 바디(110)의 레버 지지암(11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캠 디스크(640)의 레버 가압돌기(641)에 의해 작동되어 스템(122)을 승강시키는 밸브 레버(130)와, 밸브 바디(110)의 내부에 마련되어 록 볼트(141) 및 록 스크류(142)에 의해 체결 및 조절되는 압력 제어 디스크(14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는 밸브 스프링(126)을 도 3에 도시된 코일 스프링을 사용할 수도 있고, 판형 스프링을 사용할 수도 있다. 판형 스프링을 채택하는 경우 코일 스프링의 사용 시 발생되는 단점 즉 탄성 및 소성이 약하여 밸브의 열림 양을 조절하는 데 있어 장시간 사용에 따른 내구성 문제가 발생되는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스팀 유로 개폐부(120)의 작동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스팀 유로 개폐구동부(600)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슬리브 파이프(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부는 밸브 바디(110)의 스팀 배출구(112)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슬리브 파이프(2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피딩 파이프(300)를 스팀 공급부(100)에 연결시켜 밸브 바디(110)로 유입되는 스팀을 피딩 파이프(300)로 공급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슬리브 파이프(200)의 일단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랜지(210)가 마련되며, 이 제1 플랜지(210)를 통해 슬리브 파이프(200)는 피딩 파이프(300)에 분리 가능하게 볼트 결합 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1 플랜지(210)는 슬리브 파이프(200)의 몸체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 결합 될 수 있고, 피딩 파이프(300)의 제2 플랜지(310)와 대향되는 면에는 복수의 결합돌기(220)가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슬리브 파이프(200)와 스팀 배출구(112)의 사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랜드(G)가 마련되며, 이 그랜드(G)에 의해 슬리브 파이프(200)는 밸브 바디(110)에 고정될 수 있다.
피딩 파이프(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 구조물(BS)의 내부에 배치되며 슬리브 파이프(200)와 결합되어 스팀을 연소 구조물(BS)의 내부로 안내함과 아울러 스팀을 분사하는 노즐(미도시)의 설치 장소로 제공된다.
본 실시 예에서 슬리브 파이프(200)와 접하는 피딩 파이프(300)의 단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플랜지(310)가 마련되며, 제2 플랜지(310)와 제1 플랜지(210)에는 복수의 체결홀이 각각 마련되어 양자는 서로 볼트 결합 될 수 있다.
또한 제1 플랜지(210)와 대향되는 제2 플랜지(31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홈(320)이 마련된다.
본 실시 예는 피딩 파이프(300)와 슬리브 파이프(200)를 이전과 같이 커플링이나 소켓이 아닌 플랜지를 이용하여 맞대기 볼팅 방식으로 결합시키므로, 피딩 파이프(300)의 분리가 용이하여 피딩 파이프(300)의 정비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볼트의 조임 정도를 조절하여 제1 플랜지(210)와 제2 플랜지(31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리크를 방지할 수 있고, 제1 플랜지(210)와 제2 플랜지(310)의 사이에 가스켓을 마련하여 스팀의 누설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패킹부(4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 파이프(200)의 일단부가 결합되는 밸브 바디(110)의 스팀 배출구(112)에 마련되어 슬리브 파이프(200)와 스팀 배출구(112)의 사이 공간으로 스팀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패킹부(4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외각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패킹부재(410)와, 한 쌍의 제1 패킹부재(410) 사이에 마련되는 복수의 제2 패킹부재(420)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한 쌍의 제1 패킹부재(410)와 복수의 제2 패킹부재(420)가 접하는 영역, 복수의 제2 패킹부재(420) 각각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홈(400a)이 마련되어 한 쌍의 제1 패킹부재(410)와 복수의 제2 패킹부재(420)는 끼움홈(400a)을 통해 서로 억지 끼워 맞춤 결합 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끼움홈(400a)은 "V"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이 경우 각각의 패킹부재를 결합 시 끼움홈(400a)이 확장되면서 접촉 영역이 증가 되므로 기존에 사용되는 사각 모양의 그랜드 패킹보다 누수 기밀성 및 제품 수명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한 쌍의 제1 패킹부재(410)는 금속 재질로 제작되고, 복수의 제2 패킹부재(420)는 고무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부싱 부재(5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킹부(400)와 인접하되 패킹부(400) 보다 앞선 위치의 스팀 배출구(112)에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부싱 부재(500)는 이전의 블로워에 적용되지 않은 구성으로 본 실예는 부싱 부재(500)를 마련함으로써 슬리브 파이프(200)가 내부로 유입되는 수분과 이물질 등에 의한 부식, 회전에 의한 마모가 심하여 스팀의 누수 현상이 발생 되는 것을 방지하고 슬리브 파이프(200)의 회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부싱 부재(500)는 황동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스팀 유로 개폐부(120)는, 스팀 공급부(100)의 밸브 바디(110)에 마련되며 스템(122)을 상승 또는 하강(승강)시켜 스팀 유입구(111)를 개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스팀 유로 개폐부(12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팀 배출구(112)가 위치하는 밸브 바디(110)에 마련되는 모터 브래킷(610)과, 모터 브래킷(6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 모터(620)와, 슬리브 파이프(2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구동 모터(620)와 기어 결합되어 회전되는 구동기어(630)와, 구동 모터(620)와 구동기어(630)의 사이에 배치되며 구동기어(6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밸브 레버(130)를 시키는 캠 디스크(640)와, 모터 브래킷(6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전 커버(650)를 포함한다.
스팀 유로 개폐부(120)의 모터 브래킷(61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팀 유입구(111)가 마련된 밸브 바디(110)에 분리 가능하게 볼트 결합될 수 있다.
스팀 유로 개폐부(120)의 구동 모터(620)는, 모터 브래킷(610)에 분리 가능하게 볼트 결합 될 수 있고, 그 일측에는 모터축(621)이 마련되고, 모터축(621)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기어(630)와 기어 맞물림 되는 모터 기어(622)가 마련된다.
따라서 구동 모터(620)가 구동되어 모터축(621)이 회전되면 모터축(621)에 마련된 모터 기어(622)가 구동기어(630)와 기어 맞물림 되어 있으므로 구동기어(630)도 같이 회전된다.
스팀 유로 개폐부(120)의 구동기어(6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에는 슬리브 파이프(200)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마련되고, 외주면에는 플라이 휠(flywheel)과 같이 기어이가 연속적으로 마련된다.
스팀 유로 개폐부(120)의 캠 디스크(64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기어(630)에 결합되며, 캠 디스크(640)의 일측부에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 가압돌기(641)가 마련된다.
본 실시 예에서 레버 가압돌기(641)가 마련된 캠 디스크(640)는 구동기어(630)와 같이 회전되므로 구동기어(630)의 회전 시 레버 가압돌기(641)도 같이 회전된다. 레버 가압돌기(641)의 회전 반경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레버(130)의 장착 위치와 대응되므로, 레버 가압돌기(641)가 일정 각도로 회전되면 밸브 레버(130)를 밸브콘(125) 방향으로 가압한다.
밸브 레버(130)가 가압되면 밸브 레버(130)와 접하고 있는 스템(122)도 가압되어, 도 5를 기준으로 아래 방향으로 하강한다. 스템(122)이 하강되면 스템(122)과 연결된 밸브콘(125)도 하강되어 스팀 유입구(111)는 개방되므로, 스팀은 피딩 파이프(300)로 공급될 수 있다.
베이스 브래킷(7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부가 모터 브래킷(610)에 분리 가능하게 볼트 결합되어 슬리브 파이프(200)를 지지함과 아울러 월 박스(800)의 연결 장소로 제공된다.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 브래킷(700)의 하측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바디(110)에 분리 가능하게 볼트 결합 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 브래킷(700)과 구동기어(630)의 사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러스트 베어링(B)이 마련될 수 있다.
월 박스(8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부는 베이스 브래킷(700)에 분리 가능하게 볼트 결합되고, 타측부는 연소 구조물(BS)의 벽체(W)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슬리브 파이프(200)를 지지함과 아울러 연소 구조물(BS) 내부의 유해 가스가 대기 밖으로 나오지 못하도록 실링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월 박스(8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부가 연소 구조물(BS)의 벽체(W)에 분리 가능하게 볼트 결합되는 박스 바디(810)와, 박스 바디(810)의 외측부에 마련되어 외부의 공기를 박스 바디(810)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공기 유입관(820)과, 박스 바디(810)의 내부에 마련되어 공기 유입관(820)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나선형태로 연소 구조물(BS)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나선형 안내부재(830)를 포함한다.
월 박스(800)의 박스 바디(810) 내부로 관통되는 슬리브 파이프(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랜드(G)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그랜드(G)는 내마모성 및 내구성이 약하여 깨짐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주강 또는 SS400(S41) 스틸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연소 구조물(BS)의 벽체(W)와 접하는 박스 바디(810)에는 공기 유입관(820)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연소 구조물(BS)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개방될 수 있다.
월 박스(800)의 공기 유입관(8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 구조물(BS)의 벽체(W)와 인접한 영역의 박스 바디(810)에 마련될 수 있다.
월 박스(800)의 나선형 안내부재(8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유입관(820)의 바로 하측부에 마련될 수 있고, 유입되는 공기를 나선형으로 회전시켜 냉각한 후 연소 구조물(BS)의 내부로 공급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나선형 안내부재(830)는 코일 스프링 등 유입되는 공기를 나선형태로 회전시킬 수 있는 부재를 포함한다.
도 7은 본 실시 예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에서 도 7을 참고하여 본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간략히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상태는 밸브콘(125)이 스팀 유입구(111)를 막아 피딩 파이프(300)로 스팀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 구동모터를 구동시켜 모터축(621)을 회전시키면 모터축(621)에 마련된 모터 기어(622)가 구동기어(630)와 기어 맞물림 되어 구동기어(630)가 회전된다. 구동기어(630)가 회전되면 구동기어(630)에 결합 된 캠 디스크(640)가 회전되고, 캠 디스크(640)에는 레버 가압돌기(641)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레버 가압돌기(641)도 구동기어(630)와 같이 회전된다.
계속해서 구동모터를 구동시키면 레버 가압돌기(641)가 회전되어 밸브 레버(130)를 하방으로 가압한다. 밸브 레버(130)가 아래 방향으로 눌러지면 밸브 레버(130)와 접촉(도 5 참조)된 스템(122)도 아래 방향으로 눌러 지고, 이로 인해 스템(122)과 연결된 밸브콘(125)도 아래 방향으로 이동되어 스팀 유입구(111)는 개방된다.
따라서 공급되는 스팀은 스팀 유입구(111), 슬리브 파이프(200), 피딩 파이프(300)를 순차적으로 통해 연소 구조물(BS)의 내부로 공급되며, 피딩 파이프(300)에 마련되는 노즐에 의해 분사되어 수트를 제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 예는 슬리브 파이프와 피딩 파이프를 서로 분리 가능하게 볼트 결합함으로써 피딩 파이프를 편리하게 분리 또는 결합할 수 있으므로 피딩 파이프를 용이하게 정비할 수 있고, 슬리브 파이프와 피딩 파이프의 결합 영역에서 누설을 방지할 수 있으며, 피딩 파이프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는 스팀 배출구에 부싱 부재를 추가로 마련하여 슬리브 파이프가 내부로 유입되는 수분과 이물질 등에 의한 부식, 회전에 의한 마모가 심하여 스팀의 누수 현상이 발생 되는 것을 방지하고 슬리브 파이프의 회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 예는 스팀 배출구에 마련되는 패킹부를 사각 모양이 아닌 "V" 형상의 홈을 갖는 복수의 패킹부재로 마련하여 누수 기밀성 및 제품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수트 블로워
100 : 스팀 공급부 110 : 밸브 바디
111 : 스팀 유입구 112 : 스팀 배출구
113 : 레버 지지암 120 : 스팀 유로 개폐부
121 : 스템 가이드 122 : 스템
123 : 밸브 시트 124 : 스템고정부재
125 : 밸브콘 126 : 밸브 스프링
127 : 스프링 리테이너 128 : 스프링 키
129 : 스프링 안착 하우징 130 : 밸브 레버
140 : 압력 제어 디스크 141 : 록 볼크
142 : 록 스크류 200 : 슬리브 파이프
210 : 제1 플랜지 220 : 결합돌기
300 : 피딩 파이프 310 : 제2 플랜지
320 : 결합홈 400 : 패킹부
410 : 제1 패킹부재 420 : 제2 패킹부재
500 : 부싱 부재 600 : 스팀 유로 개폐구동부
610 : 모터 브래킷 620 : 구동 모터
621 : 모터축 622 : 모터 기어
630 : 구동기어 640 : 캠 디스크
641 : 레버 가압돌기 650 : 안전 커버
700 : 베이스 브래킷 800 : 월 박스
810 : 박스 바디 820 : 공기 유입관
830 : 나선형 안내부재 B : 스러스트 베어링
BS : 연소 구조물 G : 그랜드
W : 벽체

Claims (11)

  1. 연소 구조물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연소 구조물로 스팀을 공급시키는 스팀 공급부;
    일측부는 상기 스팀 공급부에 연결되고 타측부는 상기 연소 구조물에 연결되는 슬리브 파이프; 를 포함하되,
    상기 슬리브 파이프와 상기 스팀 공급부의 결합 영역에 마련되는 패킹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패킹부는 끼움홈이 각각 마련된 복수의 패킹부재를 서로 끼워 맞춤 결합하여 마련되며, 상기 패킹부는 최외각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패킹부재와 상기 한 쌍의 제1 패킹부재 사이에 마련되는 복수의 제2 패킹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1 패킹부재와 상기 복수의 제2 패킹부재가 접하는 영역에는 상기 끼움홈이 마련되어 상기 한 쌍의 제1 패킹부재와 상기 복수의 제2 패킹부재가 상기 끼움홈을 통해 서로 억지 끼워 맞춤 결합되며;
    상기 슬리브 파이프에 결합 되어 상기 연소 구조물의 내부로 스팀을 공급시키는 피딩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 파이프와 상기 피딩 파이프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볼트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트 블로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파이프의 일단부에는 제1 플랜지가 마련되고,
    상기 피딩 파이프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1 플랜지에 대응되며 상기 제1 플랜지에 볼트 결합 되는 제2 플랜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트 블로워.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와 상기 제2 플랜지의 결합 영역은 상기 연소 구조물의 내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트 블로워.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 및 상기 제2 플랜지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돌기가 마련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되는 결합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트 블로워.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패킹부재는 금속 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복수의 제2 패킹부재는 고무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트 블로워.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파이프와 상기 스팀 공급부의 결합 영역에 상기 패킹부와 함께 마련되는 부싱 부재를 더 포함하는 수트 블로워.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팀 공급부와 상기 연소 구조물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슬리브 파이프를 지지하는 월 박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월 박스에는 상기 연소 구조물의 외부의 공기를 상기 연소 구조물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공기 유입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트 블로워.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월 박스에 마련되어 상기 공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나선형으로 회전시켜 상기 연소 구조물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나선형 안내부재를 더 포함하는 수트 블로워.
KR1020150012695A 2015-01-27 2015-01-27 수트 블로워 KR101650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2695A KR101650735B1 (ko) 2015-01-27 2015-01-27 수트 블로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2695A KR101650735B1 (ko) 2015-01-27 2015-01-27 수트 블로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2274A KR20160092274A (ko) 2016-08-04
KR101650735B1 true KR101650735B1 (ko) 2016-08-24

Family

ID=56709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2695A KR101650735B1 (ko) 2015-01-27 2015-01-27 수트 블로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073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4607B1 (ko) 2017-08-10 2019-02-22 주식회사 에너텍글로벌 어쿠스틱 수트 블로워
KR20190062973A (ko) 2017-11-29 2019-06-07 주식회사 에너텍글로벌 어쿠스틱 수트 블로워
KR20210044563A (ko) 2019-10-15 2021-04-23 주식회사 에너텍글로벌 어쿠스틱 수트 블로워 무선 원격 진단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5560Y1 (ko) * 2005-10-28 2006-01-10 주식회사 신흥 보일러 수트 블로워 포핏 밸브
KR101367541B1 (ko) * 2013-07-09 2014-02-26 이순이 보일러 수트 블로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5560Y1 (ko) * 2005-10-28 2006-01-10 주식회사 신흥 보일러 수트 블로워 포핏 밸브
KR101367541B1 (ko) * 2013-07-09 2014-02-26 이순이 보일러 수트 블로워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4607B1 (ko) 2017-08-10 2019-02-22 주식회사 에너텍글로벌 어쿠스틱 수트 블로워
KR20190062973A (ko) 2017-11-29 2019-06-07 주식회사 에너텍글로벌 어쿠스틱 수트 블로워
KR20210044563A (ko) 2019-10-15 2021-04-23 주식회사 에너텍글로벌 어쿠스틱 수트 블로워 무선 원격 진단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2274A (ko) 2016-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5788B1 (ko) 수트(soot) 및 스케일 제거가 용이한 수트 블로워장치
KR101650735B1 (ko) 수트 블로워
US5765510A (en) Retractable, sealed sootblower for high pressure, high temperature applications
US9303870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jecting compound into utility furnace
CN106940021A (zh) 一种吹灰器装置
US2545886A (en) Openable closure for chambers under superatmospheric internal pressure and associated fluid pressure means for preventing the escape of fluids therefrom
US4093242A (en) Slag blower wall box seal
US4333742A (en) Soot blower using fuel gas as blowing medium
WO2017179420A1 (ja) 煤吹装置
KR101995668B1 (ko) 열분해 가스화로
KR101927527B1 (ko) 보일러 노즐배관의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US2528671A (en) Furnace combustion chamber closure with fluid jet gas escape prevention means
US2622549A (en) Closure means for chamber wall opening with fluid pressure gas escape prevention means
JPS6151707B2 (ko)
KR101167373B1 (ko) 발전소 배수 및 배기관의 보올 밸브 결합장치
JP5840063B2 (ja) ショットクリーニング用のショット球散布装置、ショット球散布方法及びボイラー
JPH0686927B2 (ja) すす吹き装置
KR20060077810A (ko) 온수 보일러
KR200405560Y1 (ko) 보일러 수트 블로워 포핏 밸브
US3004502A (en) Furnace seal means
CN209483965U (zh) 焚烧炉尾部受热面的出灰组合阀
KR100888486B1 (ko) 코크스 오븐 가스 집합관의 고압안수 개폐장치
KR100786340B1 (ko) 급탄기 막힘스위치용 퍼지 브래킷
KR102618175B1 (ko) 실링에어의 누설을 감지 및 방지할 수 있는 에어실링댐퍼
KR100973895B1 (ko) 냉각 및 이물질 유입방지 기능을 갖춘 화염 검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