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4607B1 - 어쿠스틱 수트 블로워 - Google Patents

어쿠스틱 수트 블로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4607B1
KR101924607B1 KR1020170101662A KR20170101662A KR101924607B1 KR 101924607 B1 KR101924607 B1 KR 101924607B1 KR 1020170101662 A KR1020170101662 A KR 1020170101662A KR 20170101662 A KR20170101662 A KR 20170101662A KR 101924607 B1 KR101924607 B1 KR 101924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wave
inner diameter
pipe
diameter expanding
gas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1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성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너텍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너텍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너텍글로벌
Priority to KR1020170101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46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7/00Cleaning by vibration or pressure wa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2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distortion, beating, or vibration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 B08B7/026Using sound wa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15/00Details
    • F28G15/003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15/00Details
    • F28G15/04Feeding and driving arrangements, e.g. power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cineration Of Was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쿠스틱 수트 블로워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파를 이용하여 대상물에 수트나 분진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는 어쿠스틱 수트 블로워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어쿠스틱 수트 블로워는 하나의 혼에 복수의 음향발생부가 장착되어 음향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음파가 혼 내에서 중첩되면서 증폭되어 수트제거대상물에 전달되므로, 수트나 분진의 제거 및 적층방지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어쿠스틱 수트 블로워{Acoustic Soot Blower}
본 발명은 어쿠스틱 수트 블로워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파를 이용하여 대상물에 수트나 분진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는 어쿠스틱 수트 블로워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소로의 튜브나 폐열 열 교환기 등은 튜브(또는 전열관) 다발이 반복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형태이다. 이들 열 교환기 튜브에 연소중에 발생한 분진이나 오염물이 쌓이면 열효율이 저하되므로 주기적으로 이들을 제거하거나 분진이나 오염물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특히, 석탄을 연료로 사용하는 화력 발전용 대형보일러는 보일러 내에서 연료를 연소시켜 발생되는 고온 고압 증기 에너지를 터빈에 전달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전한다. 이 과정에서 보일러 노 내에서 연료가 연소되면서 연소재인 회(Ash)가 발생되며, 고온의 연소열에 의하여 회(Ash)가 용융되고, 용융된 회는 보일러의 수관식 내벽 또는 보일러 튜브에 냉각 및 흡착되어 수트(Soot) 상태로 축적되며, 이 축적물이 수 미터의 크링커(Clinker)로도 성장할 수 있다.
이러한 수트는 튜브의 열전달을 방해하기 때문에 튜브 외면 또는 보일러의 내벽의 수트를 제거하기 위한 수트 블로워(Soot Blower)가 설치되어 주기적으로 운전된다.
수트 블로워는 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67641호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5073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연소 구조물 내로 스팀(Steam)을 분사하여 수트를 제거하는 방식이 적용된다.
그런데, 스팀을 이용한 수트블로워는 이미 수트가 튜브의 표면에 쌓인 상태에서 스팀을 분사하여 튜브를 세척하므로 튜브의 표면이 간헐적으로 깨끗한 상태가 유지되는 단점이 있으며, 스팀이 접촉되는 부분만 수트가 제거되어 수트 제거 면적이 좁은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67641호 : 보일러 수트 블로워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50735호 : 수트 블로워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02024호 : 음파탈진기를 이용한 탈진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음파를 통해 연소 구조물 내에 수트가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여 연속적으로 튜브의 표면의 청결상태를 유지하고, 수트 제거 반경이 넓으면서, 보일러 외의 연소로에도 적용이 가능한 어쿠스틱 수트 블로워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어쿠스틱 수트 블로워는 음파를 발생시키는 복수의 음파발생부와; 각 상기 음파발생부로부터 발생된 음파를 증폭하여 수트 제거 대상물에 전달하는 것으로서, 일측에 복수의 상기 음파발생부와 각각 연결되게 분기된 제1 및 제2분기관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트제거대상물 방향인 타측에 복수의 상기 음파발생부에서 각각 발생한 음파가 중첩될 수 있도록 상호 접하는 상기 제1 및 제2분기관부의 단부에서 상기 수트제거대상물 방향으로 연장된 메인관부가 포함되는 음파중첩관과, 상기 메인관부와 연결되고 내측에 상기 수트제거대상물 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확장되게 연장된 제1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메인관부에서 중첩된 음파를 상기 수트제거대상물로 안내하는 나팔관으로 이루어진 혼과; 상기 음파발생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음파발생부의 음파 발생을 위한 기체를 전달하는 기체공급관과, 상기 기체공급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기체공급관을 개폐하는 메인개폐밸브를 포함하는 기체공급부와; 상기 메인개폐밸브의 개폐와 상기 기체공급관의 기체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체공급관은 복수의 상기 음파발생부에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음파발생부연결관과, 상기 제1 및 제2음파발생부연결관과 연결되며 상기 메인개폐밸브가 설치되는 메인기체공급관을 구비하며, 상기 기체공급부는 상기 제1 및 제2음파발생부연결관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와 각각 연결되어 복수의 상기 음파발생부에 각각 공급되는 기체의 압력이 다르게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음파발생부연결관을 개폐하는 제1 및 제2음파조절밸브를 더 구비한다.
상기 제1 및 제2분기관부는 상기 메인관부로 갈수록 상호 접하게 굴곡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음파중첩관은 상기 제1 및 제2분기관부가 상호 접하는 내주면 단부측에 상기 나팔관 방향으로 연장되되 폭이 증가하다 다시 감소하여 기체의 와류발생을 방지하는 와류발생방지부를 구비한다.
상기 나팔관은 상기 메인관부에서 상기 수트제거대상물 방향으로 직선으로 연장되며 연장방향으로 내경이 확장되는 제1내경확장관과, 상기 제1내경확장관에서 상기 수트제거대상물 방향으로 직선으로 연장되며 연장방향으로 내경이 확장되는 상기 제2내경확장관을 구비하고, 상기 혼은 상기 수트제거대상물에 수트가 한 부분에 편중되는 경우 상기 수트가 집중된 부분으로 상기 제2내경확장관이 연장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내경확장관과 상기 제2내경확장관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제2내경확장관 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확장되되 연장된 길이가 일측보다 타측이 길게 연장된 비대칭굴곡관을 더 구비한다.
상기 나팔관은 상기 메인관부에서 상기 수트제거대상물 방향으로 직선으로 연장되며 연장방향으로 내경이 확장되는 제1내경확장관과, 상기 제1내경확장관에서 상기 수트제거대상물 방향으로 직선으로 연장되며 연장방향으로 내경이 확장되는 상기 제2내경확장관을 구비하고, 상기 혼은 상기 수트제거대상물에 수트가 집중되는 부분으로 상기 제2내경확장관의 연장 방향이 전환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전환수단을 더 구비한다.
상기 방향전환수단은 상기 수트제거대상물이 설치된 구조물의 일측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제1내경확장관의 연장방향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호형상으로 연장된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의 연장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레일부에 안착되며 상기 제2내경확장관을 지지하는 슬라이딩부와, 상기 제2내경확장관이 상기 슬라이딩부와 함께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내경확장관과 상기 제2내경확장관 사이에 장착되며 길이가 신축가능한 주름관과, 음파가 상기 제1내경확장부에서 상기 슬라이딩부의 이동에 따라 방향이 전환되는 상기 제2내경확장관으로 이동시 상기 주름관의 내주면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주름관 내에 위치되되 일측이 상기 제1내경확장관에 연결되며 상기 제2내경확장관 방향으로 연장된 관 형상으로서 상기 제2내경확장관의 방향 전환에 따라 구부러짐 및 신축이 가능한 유연관과, 상기 제2내경확장관의 음파 진행 방향이 전환될 수 있도록 일측이 상기 슬라이딩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타측이 상기 구조물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길이 신축가능하여 상기 슬라이딩부를 상기 레일부의 연장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길이신축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어쿠스틱 수트 블로워는 압축된 기체를 이용하여 음파발생부에서 발생된 음파를 수트제거대상물에 전달하여 수트나 분진을 제거하는 간단한 구조로서 스팀을 이용한 방식에 비해 시설설비 비용을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어쿠스틱 수트 블로워는 하나의 혼에 복수의 음향발생부가 장착되어 음향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음파가 혼 내에서 중첩되면서 증폭되어 수트제거대상물에 전달되므로, 수트나 분진의 제거 및 적층방지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어쿠스틱 수트 블로워는 수트나 분진이 쌓인 후 스팀을 공급하여 수트제거대상물을 세척하는 방식보다 짧은 주기로 음파를 이동시켜 수트제거대상물의 표면에 수트나 분진이 적층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수트제거대상물의 열교환 효율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어쿠스틱 수트 블로워에 대한 일부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어쿠스틱 수트 블로워에 대한 일부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어쿠스틱 수트 블로워가 수트대상물체가 설치된 구조물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어쿠스틱 수트 블로워의 혼에 대한 일부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어쿠스틱 수트 블로워의 방향전환수단을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어쿠스틱 수트 블로워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어쿠스틱 수트 블로워(1)는 수트제거대상물에 음파를 전달하여 수트(soot)나 분진이 수트제거대상물에 축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으로서 혼(10)과, 복수의 음파발생부(30)와, 기체공급부(50)와, 제어부(70)를 구비한다.
음파발생부(30)는 후술되는 기체공급부(50)에서 공급되는 기체의 미는 힘에 의해 내부떨림판(미도시)을 진동시켜 음파를 발생시키는 부분이다.
혼(10)은 복수의 음파발생부(30)에서 발생된 음파를 수트 제거 대상물(a) 전달하는 하는 것으로, 복수의 음파발생부(30)와 결합되는 음파중첩관(11)과, 음파중첩관(11)과 결합되며 수트제거대상물(a)로 연장된 나팔관(21)을 구비한다.
음파중첩관(11)은 나팔관(21)과 결합되는 메인관부(12)와, 메인관부(12)에서 분기되며 음파발생부(30)와 각각 결합되는 제1 및 제2분기관부(15,17)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분기관부(15,17)은 각 일측 단부에 음파발생부(30)가 각각 결합되며 메인관부 방향인 타측 방향으로 상호 나란하게 연장되다 타측 단부로 갈수록 마주하는 측이 상호 접하도록 굴곡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으로 내경이 확장되게 형성된다.
메인관부(12)는 타측이 상호 접하게 굴곡형성되는 제1 및 제2분기관부(15,17)의 단부에서 수트제거대상물(a) 방향으로 연장된 것으로서, 복수의 상기 음파발생부(30)에서 각각 발생되어 제1 및 제2분기관(15,17)의 타측으로 이동되는 음파가 중첩되어 나팔관(21)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한다.
메인관부(12)는 제1 및 제2분기관부(15,17)에서 전달되는 음파가 중첩되어 나팔관(21) 방향으로 이동이 용이하도록, 제1 및 제2분기관부(15,17)과 연결되는 일측의 폭이 후술되는 나팔관(21)과 연결되는 타측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는 곡면을 형성한다.
나팔관(21)은 메인관부(12)와 결합되고 내측에 수트제거대상물(a) 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확장되게 연장된 제1중공(22)이 형성되어 메인관부(12)에서 전달된 음파를 수트제거대상물(a)로 안내한다.
나팔관(21)은 메인관부(12)에서 수트제거대상물(a) 방향으로 직선으로 연장되며 연장방향으로 내경이 확장되는 제1내경확장관(22)과, 제1내경확장관(22)과 결합되며 제1내경확장관(22)에서 수트제거대상물(a) 방향으로 직선으로 연장되며 연장방향으로 내경이 확장되는 제2내경확장관(24)을 구비하나, 도시된 예와 다르게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기체공급부(50)는 음파발생부(30)에서 음파 발생에 필요한 압축된 기체를 공급하는 것으로서, 기체공급관(51)과, 메인개폐밸브(56)와, 기체필터(61)와, 레귤레이터(63)와, 수동차단밸브(65), 에어컴프레셔(미도시)를 구비한다.
기체공급관(51)은 복수의 음파발생부(30)에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음파발생부연결관(52,53)과, 제1 및 제2음파발생부연결관(52,53)과 연결되며 기체를 공급하는 에어컴프레셔로 연장된 메인기체공급관(54)을 구비한다.
메인기체공급관(54)은 내측에 에어컴프레셔에서 전달되는 기체를 제1 및 제2음파발생부연결관(52,53)로 전달하기 위한 관로가 형성된다.
메인개폐밸브(56)는 메인기체공급관(54)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어부(70)의 제어에 따라 메인기체공급관(54)의 관로를 개폐하는 것으로서, 전자제어가 가능한 솔레노이드(Solenoid Valve) 밸브가 적용된다.
그리고, 메인기체공급관(54)에는 제1 및 제2음파발생부로 일정한 압력으로 기체를 공급할 수 있도록 조정하는 레귤레이터(regulator)(63)와, 기체 내의 이물을 여과하는 기체필터(61)가 설치된다.
또한, 메인기체공급관(54)에는 메인개폐밸브(56)의 개폐조작이 불가할 시, 메인기체공급관의 관로를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수동차단밸브(65)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히다.
제어부(70)는 음파발생부(30)로의 기체공급을 제어하기 위해 메인개폐밸브(56)와, 레귤레이터(63)와, 에어컴프레셔(미도시)와 연결된다. 또한 제어부(70)는 메인개폐밸브(56)와, 레귤레이터(63)와 에어컴프레셔의 작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미도시)와 연결되며, 전원공급 조작을 위한 스위치(미도시)를 포함한다. 마련된다. 제어부(70)는 사용자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보일러의 연소로와 같은 수트(soot)나 분진이 적층되는 구조물의 외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어쿠스틱 수트 블로워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메인개폐밸브(56)가 조작되어 메인기체공급관(54)의 관로가 개방되면서, 제1 및 제2음파발생부연결관(52,53)으로 일정한 압력으로 기체가 공급된다.
제1 및 제2음파발생부연결관(52,53)를 통해 음파발생부(30)로 기체가 공급되면, 기체의 압력에 의해 음파발생부(30) 내의 떨림판(미도시)이 진동하여 혼(10) 내의 공기 중의 압력이 변화되면서 음파가 발생된다.
혼(10)은 음파발생부로(30)부터 발생된 음파를 증폭시켜 수트제거대상물(a) 쪽으로 전달한다. 복수의 음파발생부(30)에는 동일한 기체의 압력이 각각 전달되므로 동일 주파수의 음파가 발생되며, 각 음파는 제1 및 제2분기관부(15,17)를 각각 지나 메인관부(12)에서 중첩되어 나팔관(21)으로 이동되어 수트제거대상물(a)로 전달된다. 음파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보일러 시설(미도시)의 연소로와 같은 구조물(100) 내의 수트제거대상물(a)인 다수의 전열관(도 3참조.)에 도달하면서 기계적인 진동으로 바뀌어 전열관이 진동되면서 부착된 수트(soot)나 분진이 떨어지거나, 전열관에 축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어쿠스틱 수트 블로워(1)는 하나의 혼(10)에 복수의 음향발생부(30)가 장착되고 음향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음파가 중첩되면서 증폭되어 수트제거대상물에 전달되므로 수트나 분진의 제거 및 적층방지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어쿠스틱 수트 블로워(1)는 수트나 분진이 쌓인 후 스팀을 공급하여 수트제거대상물을 세척하는 방식보다 짧은 주기로 음파가 전달하여 수트제거대상물의 표면에 수트나 분진이 적층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수트제거대상물 즉 전열관의 열교환 효율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어쿠스틱 수트 블로워(2)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어쿠스틱 수트 블로워(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어쿠스틱 수트 블로워(1)에 제1 및 제2음파조절밸브(57,58)를 더 구비한다.
제1 및 제2음파조절밸브(57,58)은 제1 및 제2음파발생부연결관(52,53)에 각각 설치되며 제어부(40)와 각각 연결되어 복수의 음파발생부(30)에 각각 공급되는 기체에 의한 압력이 다르게 전달될 수 있도록 제1 및 제2음파발생부연결관(52,53)을 개폐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어쿠스틱 수트 블로워(2)는 제1 및 제2음파발생부연결관(52,53)에서 음파발생부(30)로 공급되는 기체의 압력을 달리하여 제1분기관부(15)와 제2분기관부(17)로 전달되는 음파의 주파수가 다르게 발생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어쿠스틱 수트 블로워(2)는 메인관부(12)에서 중첩되거나 상쇄되어 나팔관(21)을 통해 수트제거대상물로 전달되는 음파가 불규칙적으로 전달되면서 수트제거대상물에 부착되거나 부착되려는 수트나 분진을 흔들수 있어 수트나 분진 제거 또는 적층방지효과를 높일 수 있다.
한편,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어쿠스틱 수트 블로워(3)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어쿠스틱 수트 블로워(3)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어쿠스틱 수트 블로워(1)에 비대칭굴곡관(23)을 더 구비한다.
도 3을 참고하면, 수트제거대상물(a)이 설치된 구조물(100)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어쿠스틱 수트블로워(1)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어쿠스틱 수트블로워(3)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어쿠스틱 수트 블로워(3)는 구조물(100)에 설치된 수트제거대상물(a)에 수트가 편중되는 경우 인접하는 어쿠스틱 수트 블로워(1)와 함께 수트가 편중되는 부분으로 음파가 집중될 수 있게 사용된다.
비대칭굴곡관(23)은 제1내경확장관(24)과 상기 제2내경확장관(22) 사이에 장착되는 것으로, 수트제거대상물에 수트가 한 부분에 편중되는 경우 수트가 집중된 부분으로 제2내경확장관(24)이 연장될 수 있도록, 제2내경확장관(24) 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확장되되 연장된 길이가 일측부보다 타측부가 길게 연장형성된다.
도3을 참조하면, 비대칭굴곡관(23)은 제2내경확장관(24)이 좌측으로 향하게 설치되어 있으나, 도시된 예와 다르게 재2내경확장관(24)이 우측으로 향하도록 일게 연장된 타측부와 좌측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어쿠스틱 수트 블로워(4)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어쿠스틱 수트 블로워(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어쿠스틱 수트 블로워(1)에 와류발생방지부(80)를 더 구비한다.
와류발생방지부(80)는 제1 및 제2분기관부(15,17)가 마주하는 방향의 상호 접하는 내주면 단부 측에 나팔관(21) 방향으로 연장되되 폭이 증가하다 다시 단부록 갈수록 폭이 감소되게 형성되어 음파중첩관(11) 내의 기체의 와류발생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어쿠스틱 수트 블로워(4)는 와류발생방지부(80)에 의해 음파의 진행방향을 따라 나팔관(21)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음파중첩관(11)내의 기체의 와류발생을 방지하므로 음파의 이동에 대한 간섭을 줄여 음파가 수트제거대상물로 전달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어쿠스틱 수트 블로워(5)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어쿠스틱 수트 블로워(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어쿠스틱 수트 블로워(1)에 방향전환수단(200)을 더 구비한다.
방향전환수단(200)은 수트제거대상물(a)에 수트가 집중되는 부분으로 제2내경확장관(24)의 연장 방향이 전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레일부(210)와, 슬라이딩부(220)와, 주름관(230)과, 유연관(240)과, 길이신축부재(250)를 구비한다.
레일부(210)는 제1내경확장관(22)의 연장방향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호형상으로 연장형성되며, 레일부(210) 양측에서 수트제거대상물(a)이 설치된 구조물(100)(도 3 참조)의 내벽으로 각각 연장된 프레임(215)을 통해 고정설치된다.
레일부(210)는 상측에 상방으로 돌출되며 연장방향으로 연장된 더브테일 돌기(212)가 형성된다.
슬라이딩부(220)는 레일부(210)에 안착되어 레일부(210)의 연장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도록, 레일부(210)의 호형곡률에 대응되되 레일부보다 짧게 연장형성되며 하부에 하방에서 상방으로 인입되어 더브테일돌기(212)가 수용되는 더브테일홈(미도시)이 형성되며, 제2내경확장관(24)을 지지한다.
주름관(230)은 제2내경확장관(24)이 슬라이딩부(220)와 함께 이동될 수 있도록 제1내경확장관(22)과 제2내경확장관(24) 사이에 장착되며 길이가 신축가능한 주름진 형태로 형성된다.
주름관(230)은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주름진 주름관 본체(231)와, 주름관 본체(231)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제1 및 제2내경확장관(22,24)의 플렌지부(22a,24a)에 장착되는 제1 및 제2플렌지결합부(232,233)가 형성된다.
유연관(240)은 주름관 본체(231) 내에 위치되되 일측이 상기 제1내경확장관의 단부에 원주방향으로 인입형성된 삽입홈(22b)에 삽입되며, 타측이 제2내경확장관(24) 방향으로 연장된 관 형상이다.
유연관(240)은 제2내경확장관(24)의 방향 전환에 따라 구부러짐 및 신축이 가능하게 형성되는데, 고무와 같은 유연한 소재로 형성된다.,
유연관(240)은 제1내경확장관(22)에서 슬라이딩부(220)의 이동에 따라 방향이 전환되는 제2내경확장관(24)으로 음파가 이동시, 주름관 본체(231)의 내주면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여 음파의 간섭을 최소화 한다.
길이신축부재(250)는 제2내경확장관(24)의 음파 진행 방향이 전환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부(220)와 연결되어 슬라이딩부(220)를 당기거나 밀어 레일부(210)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길이신축부재(250)는 일측이 슬라이딩부(22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타측이 수트 제거 대상물이 수용되는 구조물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길이신축부재(250)는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유압의 유입 및 유출에 따라 길이 신축가능한 유압실린더로서, 길이에 따라 구조물에 직접 연결되거나 구조물에 설치된 프레임(미도시)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길이신축부재(250)는 실린더부(251)와, 실린더부(251)에 진퇴 가능하게 수용되며 일측이 슬라이딩부(22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로드부(252)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5실시 예에 따른 어쿠스틱 수트 블로워(5)는 길이신축부재(250)의 길이 신축 조작을 위해, 유체가 저장된 유체저장탱크(260)와, 유체가 유입 및 유출되는 제1 및 제2유체공급관(261,262), 제어부(70)와 연결되어 제1 및 제2유체공급관(261,262)를 개폐하는 제1 및 제2유체공급관 개폐밸브(263,264), 제1 및 제2유체공급관을 통과하는 유체를 펌핑하는 제1 및 제2펌프(265,266)를 구비한다.
길이신축부재의 길이 신축에 따른 제2내경확장관의 이동방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길이신축부재(250)의 길이 연장을 위해, 제1유체공급관(261)을 통해 실린더부(251)의 일측에 유체를 공급시키면 로드부(252)의 일측이 실린더부(251)에 대해 멀어지게 진출되면서, 로드부(252)가 슬라이딩부(220)를 밀어 제2내경확장관(24)이 우측으로 이동된다. 길이신축부재(250)의 길이 축소를 위해, 제2유체공급관(262)를 통해 실린더부(251)의 타측에 유체를 공급시키면 로드부(252)의 일측이 실린더부(251)에 대해 인접하게 수용되면서, 로드부(252)가 슬라이딩부(220)를 당겨 제2내경확장관(24)이 좌측으로 이동된다.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어쿠스틱 수트 블로워(5)는 음파의 진행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방향전환수단(200)에 의해 수트나 분진이 집중된 위치가 달라지더라도 수트나 분진 제거 및 적층 방지 효율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어쿠스틱 수트 블로워는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어쿠스틱 수트 블로워
10 : 혼 11 : 음파중첩관
12 : 메인관부 15 : 제1분기관부
17 : 제2분기관부 21 : 나팔관
22 : 제1내경확장관 24 : 제2내경확장관
30 : 음파발생부 50 : 기체공급부
51 : 기체공급관 52 : 제1음파발생부연결관
53 : 제2음파발생부연결관 54 : 메인기체공급관
56 : 메인개폐밸브 61 : 기체필터
63 : 레귤레이터 65 : 수동차단밸브
70 : 제어부

Claims (6)

  1. 음파를 발생시키는 복수의 음파발생부와;
    각 상기 음파발생부로부터 발생된 음파를 증폭하여 수트 제거 대상물에 전달하는 것으로서, 일측에 복수의 상기 음파발생부와 각각 연결되게 분기된 제1 및 제2분기관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트제거대상물 방향인 타측에 복수의 상기 음파발생부에서 각각 발생한 음파가 중첩될 수 있도록 상호 접하는 상기 제1 및 제2분기관부의 단부에서 상기 수트제거대상물 방향으로 연장된 메인관부가 포함되는 음파중첩관과, 상기 메인관부와 연결되고 내측에 상기 수트제거대상물 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확장되게 연장된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메인관부에서 중첩된 음파를 상기 수트제거대상물로 안내하는 나팔관으로 이루어진 혼과;
    상기 음파발생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음파발생부의 음파 발생을 위한 기체를 전달하는 기체공급관과, 상기 기체공급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기체공급관을 개폐하는 메인개폐밸브를 포함하는 기체공급부와;
    상기 메인개폐밸브의 개폐와 상기 기체공급관의 기체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분기관부는 상기 메인관부로 갈수록 상호 접하게 굴곡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음파중첩관은 상기 제1 및 제2분기관부가 상호 접하는 내주면 단부측에 상기 나팔관 방향으로 연장되되 폭이 증가하다 다시 감소하여 기체의 와류발생을 방지하는 와류발생방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쿠스틱 수트 블로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공급관은
    복수의 상기 음파발생부에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음파발생부연결관과,
    상기 제1 및 제2음파발생부연결관과 연결되며 상기 메인개폐밸브가 설치되는 메인기체공급관을 구비하며,
    상기 기체공급부는
    상기 제1 및 제2음파발생부연결관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와 각각 연결되어 복수의 상기 음파발생부에 각각 공급되는 기체의 압력이 다르게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음파발생부연결관을 개폐하는 제1 및 제2음파조절밸브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쿠스틱 수트 블로워.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팔관은
    상기 메인관부에서 상기 수트제거대상물 방향으로 직선으로 연장되며 연장방향으로 내경이 확장되는 제1내경확장관과,
    상기 제1내경확장관에서 상기 수트제거대상물 방향으로 직선으로 연장되며 연장방향으로 내경이 확장되는 제2내경확장관을 구비하고,
    상기 혼은
    상기 수트제거대상물에 수트가 한 부분에 편중되는 경우 상기 수트가 집중된 부분으로 상기 제2내경확장관이 연장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내경확장관과 상기 제2내경확장관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제2내경확장관 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확장되되 연장된 길이가 일측보다 타측이 길게 연장된 비대칭굴곡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쿠스틱 수트 블로워.
  5. 음파를 발생시키는 복수의 음파발생부와;
    각 상기 음파발생부로부터 발생된 음파를 증폭하여 수트 제거 대상물에 전달하는 것으로서, 일측에 복수의 상기 음파발생부와 각각 연결되게 분기된 제1 및 제2분기관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트제거대상물 방향인 타측에 복수의 상기 음파발생부에서 각각 발생한 음파가 중첩될 수 있도록 상호 접하는 상기 제1 및 제2분기관부의 단부에서 상기 수트제거대상물 방향으로 연장된 메인관부가 포함되는 음파중첩관과, 상기 메인관부와 연결되고 내측에 상기 수트제거대상물 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확장되게 연장된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메인관부에서 중첩된 음파를 상기 수트제거대상물로 안내하는 나팔관으로 이루어진 혼과;
    상기 음파발생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음파발생부의 음파 발생을 위한 기체를 전달하는 기체공급관과, 상기 기체공급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기체공급관을 개폐하는 메인개폐밸브를 포함하는 기체공급부와;
    상기 메인개폐밸브의 개폐와 상기 기체공급관의 기체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나팔관은
    상기 메인관부에서 상기 수트제거대상물 방향으로 직선으로 연장되며 연장방향으로 내경이 확장되는 제1내경확장관과, 상기 제1내경확장관에서 상기 수트제거대상물 방향으로 직선으로 연장되며 연장방향으로 내경이 확장되는 제2내경확장관을 구비하고,
    상기 혼은
    상기 수트제거대상물에 수트가 집중되는 부분으로 상기 제2내경확장관의 연장 방향이 전환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전환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방향전환수단은
    상기 수트제거대상물이 설치된 구조물의 일측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제1내경확장관의 연장방향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호형상으로 연장된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의 연장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레일부에 안착되며 상기 제2내경확장관을 지지하는 슬라이딩부와,
    상기 제2내경확장관이 상기 슬라이딩부와 함께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내경확장관과 상기 제2내경확장관 사이에 장착되며 길이가 신축가능한 주름관과,
    음파가 상기 제1내경확장관에서 상기 슬라이딩부의 이동에 따라 방향이 전환되는 상기 제2내경확장관으로 이동시 상기 주름관의 내주면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주름관 내에 위치되되 일측이 상기 제1내경확장관에 연결되며 상기 제2내경확장관 방향으로 연장된 관 형상으로서 상기 제2내경확장관의 방향 전환에 따라 구부러짐 및 신축이 가능한 유연관과,
    상기 제2내경확장관의 음파 진행 방향이 전환될 수 있도록 일측이 상기 슬라이딩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타측이 상기 구조물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길이 신축가능하여 상기 슬라이딩부를 상기 레일부의 연장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길이신축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쿠스틱 수트 블로워.
  6. 삭제
KR1020170101662A 2017-08-10 2017-08-10 어쿠스틱 수트 블로워 KR101924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662A KR101924607B1 (ko) 2017-08-10 2017-08-10 어쿠스틱 수트 블로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662A KR101924607B1 (ko) 2017-08-10 2017-08-10 어쿠스틱 수트 블로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4607B1 true KR101924607B1 (ko) 2019-02-22

Family

ID=65584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1662A KR101924607B1 (ko) 2017-08-10 2017-08-10 어쿠스틱 수트 블로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46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1296B1 (ko) * 2018-12-21 2020-01-02 박재황 음파 제매기를 구비하는 소각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61651A (en) * 1983-02-08 1984-07-24 Foster Wheeler Limited Sonic cleaning device and method
JPH11179310A (ja) * 1997-12-22 1999-07-06 Babcock Hitachi Kk 音波式スートブロワ
KR100402024B1 (ko) 1999-12-23 2003-10-17 주식회사 포스코 음파탈진기를 이용한 탈진방법
JP2012226010A (ja) * 2011-04-15 2012-11-15 Babcock Hitachi Kk 音波発生装置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音波式付着物除去・抑制装置、音波式スートブロワ装置、熱交換装置、排ガス処理装置、産業機器ならびに音波発生装置の運用方法、熱交換装置の運用方法
KR101367641B1 (ko) 2012-06-29 2014-02-26 한국화학연구원 탄화수소기 함량이 적은 과불소폴리에테르를 포함하는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50735B1 (ko) 2015-01-27 2016-08-24 이종춘 수트 블로워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61651A (en) * 1983-02-08 1984-07-24 Foster Wheeler Limited Sonic cleaning device and method
JPH11179310A (ja) * 1997-12-22 1999-07-06 Babcock Hitachi Kk 音波式スートブロワ
KR100402024B1 (ko) 1999-12-23 2003-10-17 주식회사 포스코 음파탈진기를 이용한 탈진방법
JP2012226010A (ja) * 2011-04-15 2012-11-15 Babcock Hitachi Kk 音波発生装置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音波式付着物除去・抑制装置、音波式スートブロワ装置、熱交換装置、排ガス処理装置、産業機器ならびに音波発生装置の運用方法、熱交換装置の運用方法
KR101367641B1 (ko) 2012-06-29 2014-02-26 한국화학연구원 탄화수소기 함량이 적은 과불소폴리에테르를 포함하는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50735B1 (ko) 2015-01-27 2016-08-24 이종춘 수트 블로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1296B1 (ko) * 2018-12-21 2020-01-02 박재황 음파 제매기를 구비하는 소각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25381B (zh) 用于发电设备的蒸汽管道的快速加热的设备和方法
KR101924607B1 (ko) 어쿠스틱 수트 블로워
JP2010249505A (ja) 蒸気発生設備を運転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KR102014715B1 (ko) 어쿠스틱 수트 블로워
CN101319861A (zh) 新型无漏同步长伸缩蒸汽吹灰器
WO2017179420A1 (ja) 煤吹装置
JP5598179B2 (ja) 灰除去装置
KR101441297B1 (ko) 핀 튜브 클리닝 장치 및 복합화력발전설비
CN102245971B (zh) 用于热电站的对流段的清洁装置
RU2549279C1 (ru) Устройство пульсирующего горения
CN210291931U (zh) 一种变频声波吹灰装置系统
KR101825693B1 (ko) 배관 부생가스 제거장치
KR102462933B1 (ko) 주파수 가변기능이 있는 어쿠스틱 수트 블로워
WO2007085491A3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reinigung von heizflächen in thermischen anlagen
CN103234210A (zh) 一种清灰装置
CN110041967B (zh) 高温高压烟气的二级旋风回料及余热利用系统
RU2005127950A (ru) Способ откачки газа из отключенного участка газопровода и мобильная компрессорн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ткачки газа
CN107476868B (zh) 排气管以及车辆
KR20210067361A (ko) 어쿠스틱 수트 블로워
CN105509077B (zh) 一种自控音频声波除灰装置
JP5225804B2 (ja) ボイラ及び熱回収装置
JP2017534798A (ja) コンバインドサイクル発電プラントのための低負荷ターンダウン
JP6810378B2 (ja) ごみ発電システム
CN211175712U (zh) 一种耐高温管道系统
JP6809625B1 (ja) ボイラ熱交換設備のダスト除去装置及びボイラ熱交換設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