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5508Y1 - 게이트 밸브 - Google Patents

게이트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5508Y1
KR200405508Y1 KR2020050030035U KR20050030035U KR200405508Y1 KR 200405508 Y1 KR200405508 Y1 KR 200405508Y1 KR 2020050030035 U KR2020050030035 U KR 2020050030035U KR 20050030035 U KR20050030035 U KR 20050030035U KR 200405508 Y1 KR200405508 Y1 KR 2004055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vertical
vertical space
gate valve
upp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00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호
Original Assignee
(주) 비에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비에스테크 filed Critical (주) 비에스테크
Priority to KR20200500300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55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55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550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02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 F16K3/0227Pack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30Details
    • F16K3/314Forms or constructions of slides; Attachment of the slide to the spind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0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screw-spindle or internally threaded actu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liding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게이트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개폐 조정수단이 하우징 내부에 구비된 수직 공간부와 양 관통공 사이에 구비되어 반복적인 개폐를 통해 유로를 통해 기체나 유체를 단속되도록 하는 게이트 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게이트 밸브는 내부의 중간에 상부가 개방되게 구비되고 내측 상부에는 탭부가 형성된 수직 공간부와 그 양측에 기체나 유체가 통과되도록 구비되고 그 내측에는 탭부가 형성된 양 관통공을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수직 공간부에 승강되게 구비되고 중간에 수직 탭홀이 형성된 게이트와, 상기 수직 공간부의 탭홀에 체결되며 중앙에 구비되어 내측 하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외측에는 나선부가 형성된 돌출관을 포함하는 하우징 캡과, 상기 돌출관의 내부에 관통되어 하부에 구비된 나사부가 상기 수직 탭홀에 체결되며 중간에는 상기 걸림턱에 안착되는 이탈 방지턱이 구비되고 상부에는 축부가 구비되는 회전축과, 상기 이탈 방지턱의 상부 둘레에 삽입되어 누유를 방지하는 원형링 패킹과, 상기 돌출관의 상부에 체결되어 캡 너트, 및 상기 회전축의 상부에 고정되어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핸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하우징 , 게이트 , 개폐 조정수단

Description

게이트 밸브{Gate valv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의 게이트 밸브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의 게이트 밸브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의 게이트 밸브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의 게이트 밸브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종래의 게이트 밸브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
11 : 수직 공간부
12 : 관통공
2 : 게이트
21 : 수직 탭홀
22 : 돌출부
23 : 고정판
231 : 제1함몰홈, 232 : 스프링, 233 : 볼
24 : 밀착판
241 : 제2함몰홈
3 : 하우징 캡
31 : 돌출관
32 : 걸림턱
4 : 회전축
41 : 이탈 방지턱
42 : 축부
43 : 나사부
5 : 원형링 패킹
6 : 누름 원형링
7 : 캡 너트
8 : 핸들
본 고안은 게이트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개폐 조정수단이 하우징 내부에 구비된 수직 공간부와 양 관통공 사이에 구비되어 반복적인 개폐를 통해 유로를 통해 기체나 유체를 단속되도록 하는 게이트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게이트 밸브라 함은 배관 사이에 장착되어 배관을 통과하는 기체나 유체를 단속하는 수단으로써 사용되고 있다.
즉 상기 게이트 밸브가 기체나 유체를 단속할 경우 내부에 승강 개폐수단이 게이트 밸브의 양 측에 구비된 각 통과공의 내측면에 밀착하게 되면 관통공이 폐쇄되어 기체나 유체를 단속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본 출원인이 출원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1028호가 있다. 이 기술에 따른 게이트 밸브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상부가 개방된 수직 공간부(200)가 형성되어 있고 그 양측에는 기체나 유체가 통과되며 각각에는 배관이 연결되는 탭부가 형성된 관통공(300)이 구비되어 있는 몸체(100)와, 상기 수직 공간부(200)의 양 측면에 밀착되게 구비된 게이트(400)와, 이 게이트(400)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양 관통공(300)의 내측면 둘레에 밀착되는 원호형의 돌출부(500)와, 상기 게이트(400)의 상부에 회전이 가능하게 수직으로 장착되는 수직 나선축(600)과, 상기 수직 공간부(200)를 커버하는 것으로 상기 수직 나선축(600)이 관통 체결되는 캡(700), 및 상기 수직 나선축(6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수직 나선축(600)을 회전 승강시키면서 상기 게이트(400)를 개폐하는 핸들(800)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수직 나선축이 탭홀에서 반복적으로 승강될 경우 수직 나선축의 나선부와 상기 수직 나선축이 채결되는 캡의 탭홀이 직접적으로 접촉됨으로써, 접촉을 통한 마찰로 인해 접촉 부분에 편마모가 일어나게 된다.
그러므로 편마모가 생긴 부분에 틈이 발생되어 기체나 유체의 누수에 원인을 제공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으로, 회 전축이 승강되지 않고 회전만을 통해 게이트를 개폐할 수 있음에 따라 상기 회전축의 외측과 몸체를 구성하는 하우징 캡의 관통홀의 사이에 구비된 원형링 패킹이 상,하 유동을 방지함에 따라 유체의 누수 현상을 사전에 예방하고자하는 게이트 밸브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의 중간에 상부가 개방되게 구비되고 내측 상부에는 탭부가 형성된 수직 공간부와 그 양측에 기체나 유체가 통과되도록 구비되고 그 내측에는 탭부가 형성된 양 관통공을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수직 공간부에 승강되게 구비되고 중간에 수직 탭홀이 형성된 게이트와, 상기 수직 공간부의 탭홀에 체결되며 중앙에 구비되어 내측 하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외측에는 나선부가 형성된 돌출관을 포함하는 하우징 캡과, 상기 돌출관의 내부에 관통되어 하부에 구비된 나사부가 상기 수직 탭홀에 체결되며 중간에는 상기 걸림턱에 안착되는 이탈 방지턱이 구비되고 상부에는 축부가 구비되는 회전축과, 상기 이탈 방지턱의 상부 둘레에 삽입되어 누유를 방지하는 원형링 패킹과, 상기 돌출관의 상부에 체결되어 캡 너트, 및 상기 회전축의 상부에 고정되어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핸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의 게이트 밸브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게이트 밸브는 내부의 중간에 상부가 개방되게 구비되고 내측 상부에는 탭부가 형성된 수직 공간부(11)와 그 양측에 기체나 유체가 통과되도록 구비되고 그 내측에는 탭부가 형성된 양 관통공(12)을 포함하는 하우징(1)과, 상기 수직 공간부(11)에 승강되게 구비되고 중간에 수직 탭홀(21)이 형성된 게이트(2), 및 상기 수직 공간부(11)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게이트(2)를 승강시켜 유로를 개폐하는 개폐 조정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을 한다.
특히, 상기 개폐 조정수단은, 상기 수직 공간부(11)의 탭홀에 체결되며 중앙에 구비되어 내측 하부에는 걸림턱(32)이 형성되고 외측에는 나선부가 형성된 돌출관(31)을 포함하는 하우징 캡(3)과, 상기 돌출관(31)의 내부에 관통되어 하부에 구비된 나사부(43)가 상기 수직 탭홀(21)에 체결되며 중간에는 상기 걸림턱(32)에 안착되는 이탈 방지턱(41)이 구비되고 상부에는 축부(42)가 구비되는 회전축(4)과, 상기 이탈 방지턱(41)의 상부 둘레에 삽입되어 누유를 방지하는 원형링 패킹(5)과, 상기 돌출관(32)의 상부에 체결되어 캡 너트(7), 및 상기 회전축(4)의 상부에 고정되어 회전축(4)을 회전시키는 핸들(8)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게이트(2)는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양 관통공(12)의 내측면 둘레에 밀착되는 원호형의 돌출부(22)로 구성된다.
즉 상기 게이트(2)과 이 하우징(1)의 관통공(12)과 밀착될 경우 게이트(2)의 양측에 구비된 원호형의 돌출부(22)가 구비됨으로써 이를 통해 게이트(2)와 하우징(1)의 관통공(12) 간에 선접촉으로 밀착되게 된다.
그러므로 원호형의 돌출부(22)와 관통공(12)간에 선접촉됨에 따라 기체나 유체의 누수를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원형링 패킹(5)과 캡 너트(7) 사이에는 원형링 패킹(5)을 압축하는 누름 원형링(6)이 더 구비됨으로써, 원형링 패킹을 통해 기체나 유체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누름 원형링을 눌러 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회전축(4)의 하부에 구비된 나사부(43)가 왼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즉 회전축(4)의 나사부(43)가 왼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핸들(8)을 좌회전시키게 되면 회전축(4)도 좌회전됨에 따라 게이트(2)가 하부로 하강되어 양 관통공(12)을 폐쇄하고, 반대로 핸들(8)을 우회전시키게 되면 회전축(4)도 우회전됨에 따라 게이트(2)가 상부로 상승되어 양 관통공(12)을 개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게이트 밸브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하우징 캡(3)의 중앙에 형성된 돌출관(31)에 회전축(4)을 상부로부터 하부로 관통 삽입한다.
그러면 상기 회전축(4)의 중간에 구비된 이탈 방지턱(41)이 상기 돌출관(31)의 내부 하부에 형성된 걸림턱(32)에 걸리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탈 방지턱(41)의 상부인 회전축(4)에 원형링 패킹(5)을 삽입한다.
즉 상기 원형링 패킹(5)을 회전축(4)의 외측과 돌출관(31)의 내측의 사이에 삽입하여 밀봉하는 것이다.
다음 상기 원형링 패킹(5)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회전축(4)에 관통되게 삽입되는 누름 원형링(6)을 끼운 후, 돌출관(31)의 상부에 회전축(4)이 관통되는 캡 너트(7)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누름 원형링(6)을 눌러 주어 고정하는 것이다.
다음 상기와 같이 조립된 조립체의 회전축(4)의 하부에 형성된 나사부(43)를 게이트(2)의 수직 탭홀(21)에 체결한다.
다음 상기 조립체 중 게이트(2)와 회전축(4)의 나사부(43)가 하우징(1)의 내부에 형성된 수직 공간부(11)에 삽입하고 하우징 캡(3)의 수직 공간부(11)의 상부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게이트(2)가 포함된 조립체와 하우징(1)을 일체로 조립하는 것이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상기 회전축(4)의 축부(42) 상부에 핸들(8)을 조립함으로써 밸브의 조립을 완성하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의 게이트 밸브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의 게이트 밸브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유체를 단속한 상태와 유체를 개방한 상태로 나누어 설명한다.
먼저, 도 2는 유체가 단속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게이트(2)의 양측에 형성된 원호형의 돌출부(22)가 수직 공간부(11)의 하부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로서 양 관통공(12)을 통과하는 유체를 단속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3은 유체의 흐름을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핸들(8)의 우회전 을 통해 회전축(4)의 왼방향 나사인 나사부(43)를 우회전시켜 게이트(2)에 형성된 수직 탭홀(21)을 상승 체결함으로써, 게이트(2)의 양측에 형성된 원호형의 돌출부(22)를 상승시켜 양 관통공(12)의 유로를 개방하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이 핸들(8)의 우회전을 통해 유로를 개방할 경우에는 회전축(4)만이 회전됨에 따라 이 회전축(4)과 상기 하우징 캡(3)의 돌출관(31) 내측에 구비된 원형링 패킹(5)이 상,하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므로 상기 원형링 패킹(5)을 통한 밀봉효과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유체의 누수를 예방하는 것이다.
그리고, 다시 밸브의 유로를 차단할 경우에는, 핸들(8)의 좌회전을 통해 회전축(4)의 왼방향 나사인 나사부(43)를 좌회전시켜 게이트(2)에 형성된 수직 탭홀(21)을 풀음에 따라 게이트(2)의 양측에 형성된 돌출부(22)를 하강시켜 양 관통공(12)의 유로를 차단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의 게이트 밸브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에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의 게이트 밸브는, 상기 제1실시예의 구성을 포함한 것으로, 수직 공간부(11)와 양 관통공(12)을 포함하는 하우징(1)과, 상기 수직 공간부(11)에 승강되게 구비되고 중간에 수직 탭홀(21)이 형성된 게이트(2)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2)는 외측에 다수의 제1함몰홈(231)과, 상기 제1함몰홈(231)에 삽입되는 스프링(232)과 볼(233)을 포함하는 고정판(23)과, 상기 고정판(23)의 외측에 결합되며, 상기 볼(233)에 걸리도록 내측벽에 다수로 형성되어 있는 제2함몰홈(241)을 포함하는 밀착판(24)으로 구성된다.
즉 하우징(1) 내측과 게이트(2)의 외측이 밀착되는 부분이 마모되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밀착은 견고히 해줌으로써 누유를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외부 충격에 의해 제1함몰홈에 구비된 스프링에 의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의 게이트 밸브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의 게이트 밸브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의게이트 밸브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유체를 단속한 상태와 유체를 개방한 상태로 나누어 설명한다.
먼저, 도 4는 유체가 단속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고정판(23) 외측에 결합된 밀착판(24)이 수직 공간부(11)의 하부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로서 양 관통공(12)을 통과하는 유체를 단속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5는 유체의 흐름을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핸들(8)의 우회전을 통해 회전축(4)의 왼방향 나사인 나사부(43)를 우회전시켜 고정판(23)과 밀착판(24)을 포함하는 게이트(2)에 형성된 수직 탭홀(21)을 상승 체결함으로써, 게이트(2)에 구비된 밀착판(23)을 상승시켜 양 관통공(12)의 유로를 개방하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이 핸들(8)의 우회전을 통해 유로를 개방할 경우에는 회전축(4)만이 회전됨에 따라 이 회전축(4)과 상기 하우징 캡(3)의 돌출관(31) 내측에 구비된 원형링 패킹(5)이 상,하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므로 상기 원형링 패킹(5)을 통한 밀봉효과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유체의 누수를 예방하는 것이다.
그리고, 다시 밸브의 유로를 차단할 경우에는, 핸들(8)의 좌회전을 통해 회전축(4)의 왼방향 나사인 나사부(43)를 좌회전시켜 게이트(2)에 형성된 수직 탭홀(21)을 풀음에 따라 게이트(2)에 구비된 밀착판을 하강시켜 양 관통공(12)의 유로를 차단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회전축이 승강되지 않고 회전만을 통해 게이트를 개폐할 수 있음에 따라 상기 회전축의 외측과 몸체를 구성하는 하우징 캡의 관통홀의 사이에 구비된 원형링 패킹에 의해 회전축의 상,하 유동을 방지함으로서, 밸브를 장기간 동안 사용하더라도 유체의 누수 현상을 사전에 예방하고자 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고안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Claims (3)

  1. 내부의 중간에 상부가 개방되게 구비되고 내측 상부에는 탭부가 형성된 수직 공간부(11)와 그 양측에 기체나 유체가 통과되도록 구비되고 그 내측에는 탭부가 형성된 양 관통공(12)을 포함하는 하우징(1)과,
    상기 수직 공간부(11)에 승강되게 구비되고 중간에 수직 탭홀(21)이 형성된 게이트(2)와,
    상기 수직 공간부(11)의 탭홀에 체결되며 중앙에 구비되어 내측 하부에는 걸림턱(31)이 형성되고 외측에는 나선부가 형성된 돌출관(32)을 포함하는 하우징 캡(3)과,
    상기 돌출관(32)의 내부에 관통되어 하부에 구비된 나사부(43)가 상기 수직 탭홀(21)에 체결되며 중간에는 상기 걸림턱(31)에 안착되는 이탈 방지턱(41)이 구비되고 상부에는 축부(42)가 구비되는 회전축(4)과,
    상기 이탈 방지턱(41)의 상부 둘레에 삽입되어 누유를 방지하는 원형링 패킹(5)과,
    상기 돌출관(32)의 상부에 체결되어 캡 너트(7), 및
    상기 회전축(4)의 상부에 고정되어 회전축(4)을 회전시키는 핸들(8)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2)는,
    이 게이트(2)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양 관통공(12)의 내측면 둘레에 밀착되는 원호형의 돌출부(2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밸브.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2)는,
    이 외측에 다수의 제1함몰홈(231)과 상기 제1함몰홈(231)에 삽입되는 스프링(232)과 볼(233)을 포함하는 고정판(23)과,
    상기 고정판(23)의 외측에 결합되며, 상기 볼(233)에 걸리도록 내측벽에 다수로 형성되어 있는 제2함몰홈(241)을 포함하는 밀착판(24)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밸브.
KR2020050030035U 2005-10-21 2005-10-21 게이트 밸브 KR2004055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035U KR200405508Y1 (ko) 2005-10-21 2005-10-21 게이트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035U KR200405508Y1 (ko) 2005-10-21 2005-10-21 게이트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5508Y1 true KR200405508Y1 (ko) 2006-01-10

Family

ID=41757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0035U KR200405508Y1 (ko) 2005-10-21 2005-10-21 게이트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550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065B1 (ko) * 2007-07-31 2008-05-27 주식회사 삼진정밀 소형 제수밸브의 부식 방지 장치
KR101055443B1 (ko) * 2011-06-23 2011-08-08 이종호 채널 게이트 밸브의 처짐방지장치
KR101774785B1 (ko) * 2017-03-28 2017-09-05 양주현 밀폐력 및 유량 조절력을 향상시킨 초저온 밸브의 제조방법 및 그 초저온 밸브
KR101980334B1 (ko) 2017-12-19 2019-05-20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압 조절형 디스크 및 이를 갖는 게이트 밸브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065B1 (ko) * 2007-07-31 2008-05-27 주식회사 삼진정밀 소형 제수밸브의 부식 방지 장치
KR101055443B1 (ko) * 2011-06-23 2011-08-08 이종호 채널 게이트 밸브의 처짐방지장치
KR101774785B1 (ko) * 2017-03-28 2017-09-05 양주현 밀폐력 및 유량 조절력을 향상시킨 초저온 밸브의 제조방법 및 그 초저온 밸브
KR101980334B1 (ko) 2017-12-19 2019-05-20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압 조절형 디스크 및 이를 갖는 게이트 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5508Y1 (ko) 게이트 밸브
JP6850833B2 (ja) 閉鎖弁
KR102134220B1 (ko) 멀티 포트 밸브
KR200387580Y1 (ko) 디스크 기구를 사용한 게이트 밸브
KR20080023211A (ko) 평형 슬라이드 게이트 밸브 구조
JP5436872B2 (ja) 開閉弁
KR20050109053A (ko) 볼 밸브
KR101848858B1 (ko) 누설방지용 밸브 구동조립체
JP4810017B2 (ja) 真空用バルブ
KR101118271B1 (ko) 벨로우즈 글로브 밸브
KR102554382B1 (ko) 플러그 밸브
CN213039850U (zh) 一种磁性锁式闸阀
US5454546A (en) Water faucet mechanism
KR101381404B1 (ko) 가스켓을 이용한 기밀유지 실린더밸브
KR200409572Y1 (ko) 밸브의 스톱퍼 구조
KR200236398Y1 (ko) 패킹누설방지링을 갖는 밸브
KR101233592B1 (ko) 조절가능한 씰링장치
KR200309157Y1 (ko) 세라믹 디스크형 앵글밸브
JP2755526B2 (ja) 仕切弁
KR102395696B1 (ko) 회전형 옥외 지상식 소화전
CN219975433U (zh) 一种偏心半球阀芯座密封结构
JP4778741B2 (ja) バタフライバルブ
KR200432093Y1 (ko) 평형 슬라이드 게이트 밸브 구조
KR200361028Y1 (ko) 게이트 밸브
JP2011127653A (ja) 開閉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