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5458Y1 - 골재 선별기 - Google Patents

골재 선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5458Y1
KR200405458Y1 KR2020050029487U KR20050029487U KR200405458Y1 KR 200405458 Y1 KR200405458 Y1 KR 200405458Y1 KR 2020050029487 U KR2020050029487 U KR 2020050029487U KR 20050029487 U KR20050029487 U KR 20050029487U KR 200405458 Y1 KR200405458 Y1 KR 2004054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gregate
sorting table
main body
support
s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94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진
Original Assignee
신명환경(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명환경(주) filed Critical 신명환경(주)
Priority to KR20200500294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54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54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545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07B1/34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jigging or moving to-and-fro perpendicularly or approximately perpendiculary to the plane of the scre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르면, 호퍼를 통해 공급되는 각종 골재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차단하는 측면판이 구비된 본체와;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판이 본체 내측에서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은 하부로 동일하게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되어 골재를 선별하는 선별대와; 본체의 내측에 결합된 상태로 선별대의 일측 저면에 연결되며, 선별대 상의 골재 무게에 따른 탄성변형에 의해 선별대를 상하로 움직이도록 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선별대의 각 판 사이에 골재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지지대를 포함하는 골재 선별기가 개시된다. 개시된 골재 선별기에 의하면 선별대의 각 판 하단부에 완충지지대가 교번 하면서 구비되어 상하로 탄성변형 되기 때문에 골재가 선별대 사이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각종 골재가 선별대로 낙하 될 때 완충지지대에 의해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품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골재, 완충지지대, 선별기

Description

골재 선별기{Apparatus for sorting aggregate}
도 1은 종래의 골재 선별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재 선별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골재 선별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완충지지대 및 선별대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골재 선별기 200...본체
210...측면판 220...회전체
230...상부지지대 240...하부지지대
300...선별대 400...완충지지대
410...탄성부재 420...지지축
430...지지핀 440...슬라이딩축
본 고안은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골재를 크기나 용도에 맞게 선별될 수 있도록 하는 골재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재 선별기는, 각종 골재를 선별대에 의해 크기나 용도별로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선별하는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가 일반적으로 채용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의 골재 선별기(10)는 골재가 투입되는 몸체와(20), 골재를 크기에 맞게 선별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20)의 내측에 소정간격으로 결합되는 복수개의 선별판(30)과, 상기 몸체(20)의 양측면부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20)를 상하로 진동시키는 탄성부재(40)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골재 선별기(10)는 상기 선별판(30)의 상부에 낙하되는 골재의 하중으로 상기 탄성부재(40)의 탄성변형에 의해 상기 몸체(20)를 상하로 움직이게 되면 골재가 각 상기 선별판(30) 사이로 빠지거나 상기 본체 몸체(20) 외부로 배출되면서 선별된다.
그러나, 종래의 골재 선별기(10)는 상기 선별판(30)이 상기 몸체(20)에 결합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40)에 의해 상기 몸체(20)가 상하로 움직이기 때문에 골재가 상기 선별판(30) 사이에 걸리게 되고 걸려진 골재를 매번 수작업으로 제거해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골재가 낙하되면서 양단이 결합고정된 상기 선별판(30)의 상부로 직접 충격이 가해지기 때문에 상기 선별판(30)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골재를 크기나 용도별로 선별하는 과정에서 골재가 각 선별판 사이에 걸리지 않도록 하면서 선별 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골재 선별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 및 장점들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골재선별기는, 호퍼를 통해 공급되는 각종 골재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차단하는 측면판이 구비된 본체와;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판이 상기 본체 내측에서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은 하부로 동일하게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되어 골재를 선별하는 선별대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선별대의 일측 저면에 연결되며, 상기 선별대 상의 골재 무게에 따른 탄성변형에 의해 상기 선별대를 상하로 움직이도록 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선별대의 각 판 사이에 골재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지지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완충지지대는 양단부가 상기 본체 내측에 결합 되어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는 지지핀과 일단부가 상기 선별대의 저면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탄성부재가 삽입되며, 상기 지지핀이 일측에 관통 고정된 상태에서 상하 슬라이딩을 할 수 있는 슬라이딩축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의 내측에는 상기 선별대를 지지할 수 있는 상부지지대 및 하부지지대가 설치되며, 상기 선별대의 저면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하면서 상기 선 별대에 진동을 발생하여 각 판 사이에 골재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체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골재 선별기를 나타낸 사시도와 분해 사시도 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골재 선별기(100)는 골재가 유입되는 본체(200)와, 상기 본체(200)의 내측에 복수개의 판이 기울어진 상태로 유입되는 골재를 선별하는 선별대(30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200)의 내측에는 탄성부재(410)의 탄성변형에 의해 상기 선별대(300)를 상하로 움직이게 하는 완충지지대(40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본체(200)는 호퍼를 통해 각종 골재가 공급되는 부분으로서, 골재가 외 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측면판(21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200) 내측에는 상기 선별대(300)의 저면에 접촉된 상태로 동력부(미도시)에 의해 타원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선별대(300)에 진동을 발생하여 골재의 걸림현상을 방지하는 회전체(220)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본체(200)의 측면판(210) 내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선별대(300)를 지지할 수 있는 상부지지대(230) 및 하부지지대(240)가 설치된다.
상기 선별대(300)는 호퍼를 통해 투입되는 각종 골재와 접촉되어 골재를 용도나 크기별로 선별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선별대(300)는 상기 몸체(200)의 내측에 복수개의 판이 일정간격으로 이격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선별대(300) 각 판의 일단부는 통공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지지대(230)에 회전 가능하도록 핀 결합되고, 타단부는 하부로 동일하게 기울어진 상태로 상기 하부지지대(240)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선별대(300) 상부로 골재가 투입되면 상기 선별대(300)의 각 판 사이로 통과될 수 있는 골재는 상기 본체(200)의 내측 하부로 유입되고, 상기 본체(200) 내측으로 유입되지 못하고 상기 선별대(300)의 각 판 상부에 쌓이는 골재는 상기 선별대(300)의 기울기에 의해 하부로 이동되면서 상기 본체(200)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선별대(300)의 각 판은 낙하하는 골재의 충격에 견딜 수 있도록 상단부의 폭이 하단부의 폭보다 넓게 쇄기형상으로 제작된다.
상기 완충지지대(400)는 상기 선별대(300)의 저면에 연결되어 골재의 무게에 따라 상기 선별대(300)의 각 판을 상기 탄성부재(410)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게 하여 각 판 사이에 골재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는 부재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완충지지대(400)는 양면이 서로 마주보며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양측 하단부가 상기 본체(200)의 하부지지대(240)에 고정되는 한쌍의 지지축(420)과, 일단부가 상기 선별대(300)의 저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410)가 삽입되며, 한쌍의 상기 지지축(420)사이에서 상하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일측에 장공이 형성된 슬라이딩축(44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축(440)의 장공에 관통된 상태에서 양단부가 상기 지지축(420)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탄성부재(410)를 지지하는 지지핀(43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축(420)은 상기 슬라이딩축(440)이 상기 탄성부재(410)에 의해 상하로 슬라이딩 될 때 상기 하부지지대(240)의 상면에 상기 슬라이딩축(440)이 접촉되지 않도록 소정높이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완충지지대(400)는 상기 선별대(300)의 각 판이 인접한 판끼리 동일하게 상하로 움직일 경우 골재가 걸린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으므로 골재의 걸림 현상을 방지하도록 각 판에 교번 설치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골재 선별기(100)의 작동을 도 2 내지 도 4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호퍼를 통해 각종 골재가 상기 본체(200)로 투입되면서 상기 선별대 (300)의 상부로 낙하되면 상기 선별대(300)의 기울어진 하부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선별대(300)의 각 판 사이로 통과되는 골재는 상기 본체(200)의 내측하부로 유입되며, 각 판 사이로 통과되지 못한 골재는 기울어진 하부로 이동되어 상기 본체(200)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이동되는 골재의 하중에 따라 상기 완충지지대(400)가 상기 선별대(300)에 교번하여 설치된 상태에서 탄성변형에 의해 각 판이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선별대(300)는 각 판이 교번하면서 상하로 움직이기 때문에 각 판 사이에 골재가 걸리지 않으면서 각 판 사이로 통과되지 못한 골재를 상기 본체(200)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이와같이, 상기 골재 선별기(100)는 상기 선별대(300)의 각 판 하단부에 상기 완충지지대(400)가 교번하면서 구비된 상태로 상하 탄성변형 되기 때문에 골재가 상기 선별대(300) 사이에 걸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각종 골재가 상기 선별대(300)로 낙하 될 때 상기 완충지지대(400)에 의해 낙하하는 골재로부터 상기 선별대(300)에 받는 충격을 감소시켜 상기 선별대(3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골재 선별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선별대의 각 판 하단부에 번갈아 가면서 완충지지대가 구비되어 상하로 탄성 되기 때문에 골재가 각 판 사이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선별대에 완충지지대가 구비되어 골재의 낙하시 선별대가 받는 충격이 감소 되기 때문에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 킬 수 있으며, 선별대의 진동시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 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6)

  1. 호퍼를 통해 공급되는 각종 골재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차단하는 측면판이 구비된 본체와;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판이 상기 본체 내측에서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은 하부로 동일하게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되어 골재를 선별하는 선별대; 및
    상기 본체의 내측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선별대의 일측 저면에 연결되며, 상기 선별대 상의 골재 무게에 따른 탄성변형에 의해 상기 선별대를 상하로 움직이도록 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선별대의 각 판 사이에 골재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선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지지대는,
    양면이 서로 마주보며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양측 하단부가 상기 본체의 내측에 결합고정되는 한쌍의 지지축과,
    일단부가 상기 선별대의 저면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탄성부재가 삽입되며, 일측에 상하 슬라이딩을 할 수 있도록 장공이 형성된 슬라이딩축과,
    상기 슬라이딩축의 장공에 관통된 상태에서 양단부가 상기 지지축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는 지지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선별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지지대는 상기 선별대의 각 판에 교번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선별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대의 각 판은 낙하하는 골재의 충격에 견딜 수 있도록 일단의 폭이 타단의 폭보다 넓게 쇄기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선별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측에는 상기 선별대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지지하는 상부지지대 및 하부지지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선별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측에는 상기 선별대의 저면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하면서 상기 선별대에 진동을 발생하여 각 판 사이에 골재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선별기.
KR2020050029487U 2005-10-18 2005-10-18 골재 선별기 KR2004054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487U KR200405458Y1 (ko) 2005-10-18 2005-10-18 골재 선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487U KR200405458Y1 (ko) 2005-10-18 2005-10-18 골재 선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5458Y1 true KR200405458Y1 (ko) 2006-01-10

Family

ID=41757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9487U KR200405458Y1 (ko) 2005-10-18 2005-10-18 골재 선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545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934B1 (ko) 2006-05-10 2008-04-10 주식회사 가나엔지니어링 밤 규격 선별기
KR102007781B1 (ko) * 2018-08-06 2019-08-06 조호현 가리비 선별기
KR20200000922A (ko) * 2018-06-26 2020-01-06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내부 진동 완충형 진동스크린
CN112354673A (zh) * 2020-11-19 2021-02-12 陈新 一种云母粉制备加工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934B1 (ko) 2006-05-10 2008-04-10 주식회사 가나엔지니어링 밤 규격 선별기
KR20200000922A (ko) * 2018-06-26 2020-01-06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내부 진동 완충형 진동스크린
KR102147334B1 (ko) * 2018-06-26 2020-08-24 폴텍주식회사 내부 진동 완충형 진동스크린
KR102007781B1 (ko) * 2018-08-06 2019-08-06 조호현 가리비 선별기
CN112354673A (zh) * 2020-11-19 2021-02-12 陈新 一种云母粉制备加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5458Y1 (ko) 골재 선별기
KR100722574B1 (ko) 진동스크린
CN105457896A (zh) 一种硬币分级机
KR100997858B1 (ko) 바이브레이팅 팰릿선별기
JP2013169483A (ja) 篩装置
KR101340565B1 (ko) 그리즐리 선별기
KR20120127369A (ko) 투과구간의 하측에 경사판을 구비한 막힘없는 멸치선별판
CN101987698A (zh) 弹跳分选输送机
KR100268028B1 (ko) 진동 선별기
CN205518656U (zh) 一种硬币分级机
KR100854374B1 (ko) 그리즐리의 막힘방지가 가능한 코크스 스크린
KR200462438Y1 (ko) 다단 쇄석 선별장치
US2226416A (en) Cleaner for sifting screens
CN218309214U (zh) 一种具有减震装置的骨料线筛网
KR200388830Y1 (ko) 진동스크린
CN215278525U (zh) 一种防堵塞的圆振动筛
CN209997953U (zh) 一种螺栓和垫片的分拣机
CN112844633B (zh) 防飞溅的砂石生产一体设备
KR200218203Y1 (ko) 광석 선별 장치
KR101203633B1 (ko) 원료 선별용 스크린장치
CN210995235U (zh) 缓冲分级振筛机
KR200403390Y1 (ko) 그리즈리스크린이 장착된 골재선별기
KR200253893Y1 (ko) 분급성능을 극대화한 볼트레이가 구비된 진동선별기
CN201777635U (zh) 弹跳分选输送机
CN209997932U (zh) 一种耐磨钢球筛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