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922A - 내부 진동 완충형 진동스크린 - Google Patents

내부 진동 완충형 진동스크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922A
KR20200000922A KR1020180073195A KR20180073195A KR20200000922A KR 20200000922 A KR20200000922 A KR 20200000922A KR 1020180073195 A KR1020180073195 A KR 1020180073195A KR 20180073195 A KR20180073195 A KR 20180073195A KR 20200000922 A KR20200000922 A KR 202000009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coupled
vibration
main body
screen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3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7334B1 (ko
Inventor
정명구
김영인
Original Assignee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폴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폴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3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7334B1/ko
Publication of KR20200000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07B1/4609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ing surfaces or meshe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물, 골재, 폐기물 등의 이송물을 크기별로 분류 선별하는 진동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양 측판(111)과 후면판(112)이 결합된 본체부(110); 상기 본체부(110)의 양 측판(111)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이격 배치 결합된 다수개의 멍에부재(120); 상기 멍에부재(120) 상부를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 결합된 다수개의 완충장치(130); 상기 완충장치(130) 상부에 상기 멍에부재(120)와 직교하도록 이격 배치 결합된 장선부재(140); 상기 장선부재(140) 상부에 본체부(110)의 바닥면을 이루도록 배치 결합된 다수장의 스크린패널(150);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진동 완충형 진동스크린(100)」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내부 진동 완충형 진동스크린{Internal vibration damping type vibration screen}
본 발명은 광물, 골재, 폐기물 등의 이송물을 크기별로 분류 선별하는 진동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진동스크린이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슈트에서 낙하된 이송물(광물, 골재, 폐기물 등)을 일정간격으로 짜여진 메쉬스크린을 통해 크기별로 선별하는 선별장비이며, 바이브레이터의 작동으로 선별과정에서 필요한 진동을 전달하는 장비이다. 상기 진동스크린의 본체부와 지주 사이에는 상기 바이브레이터가 발생시킨 진동이 지면이나 타구조물에 전달되는 것을 감쇄시키기 위해 완충스프링이 구비되어 있다.
다만, 종래의 진동스크린은 수송물의 낙하 및 진동 선별 과정에서 상기 메쉬스크린에 가해지는 타격과 마찰에 의해 상기 메쉬스크린의 파손율이 높으며 비산먼지에 대한 대책이 없고, 상기 바이브레이터에서 발생된 진동에 의한 진동스크린 본체의 파손을 방지하는 수단이 없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진동스크린에 구비된 메쉬스크린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철망으로 구성되어, 이송물에 의한 타격, 마찰 등에 취약하여 파손되기 쉽고, 파손 시 철선(얇은 환봉)이 돌출하는 상태가 되어, 그 돌출된 부분이 하부의 콘베이어 벨트를 찢는 경우도 있어, 이에 대한 대책 마련도 필요하다.
1. 등록특허 10-0850762 "진동스크린의 변형구조를 이용한 이물질 분리방법 및 그 장치" 2. 등록특허 10-0719459 "밀폐형 진동스크린을 이용한 이물질의 분리방법 및 그 장치" 3. 공개특허 10-2016-0070239 "완충장치" 4. 등록특허 10-1692056 "컨베이어 벨트용 완충 가이드 장치"
본 발명은 1) 내구성이 우수하고, 부분 교체가 가능한 스크린이 구비되어 있고, 진동이 본체부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하며, 3) 비산먼지를 제어하기 위한 살수설비가 구비된 진동스크린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양 측판(111)과 후면판(112)이 결합된 본체부(110); 상기 본체부(110)의 양 측판(111)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이격 배치 결합된 다수개의 멍에부재(120); 상기 멍에부재(120) 상부를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 결합된 다수개의 완충장치(130); 상기 완충장치(130) 상부에 상기 멍에부재(120)와 직교하도록 이격 배치 결합된 장선부재(140); 상기 장선부재(140) 상부에 본체부(110)의 바닥면을 이루도록 배치 결합된 다수장의 스크린패널(150);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진동 완충형 진동스크린(100)」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장선부재(140) 상부 중심을 따라 설치되고, 양 측에 가이드턱(161)이 형성된 가이드슈(16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크린패널(150)은 양 측 하부에 끼움턱(151)이 형성되어, 상기 끼움턱(151)이 상기 가이드턱(161)과 끼움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진동 완충형 진동스크린(100)」을 함께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크린패널(150)에는 다수의 스크린홀(151)이 횡방향으로는 나란히 배치되고, 종방향으로는 지그재그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진동 완충형 진동스크린(100)」을 함께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크린패널(150)을 하부 부재와 체결하는 결합볼트(171)의 볼트머리 하부에는 테두리에 상기 볼트머리를 보호하는 보호커버(173)가 형성된 와셔(17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진동 완충형 진동스크린(100)」을 함께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크린패널(150) 상부에 설치되며 관로에 다수개의 분사노즐(181)이 이격설치된 노즐바(18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진동 완충형 진동스크린(100)」을 함께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완충장치(130)는 정사각형 종단면을 갖는 제1,2공간부(132a, 132b)가 형성된 프레임(131); 상기 제1,2공간부(132a, 132b) 내에 마름모꼴 단면을 갖도록 가로질러 배치되고 축부재(133); 상기 프레임(131)과 축부재(133) 사이의 각 코너공간에 삽입된 탄성 완충부재(134);상기 축부재(133)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결합축(135); 상기 멍에부재(120)와 결합하는 바닥판 및 상기 제1공간부 축부재와 결합하는 사이드판이 구비된 하부브래킷(136); 및 상기 장선부재(140)와 결합하는 천장판 및 상기 제2공간부 축부재와 결합하는 사이드판이 구비된 상부브래킷(137);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레임(131)은 횡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종단면이, 격벽에 의해 분절되어 상기 제1,2공간부(132a, 132b)가 구분되고, 일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상기 상,하부브래킷(136, 137)과 결합된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1. 본 발명은 스크린패널이 멍에부재와 장선부재에 지지되어 내구성이 우수하고, 모듈화된 크기의 스크린패널의 부분 교체가 간편하다.
2. 바이브레이터에 의해 가해지는 진동은 스크린패널 위의 이송물을 흔들고 고르게 펴주는데 활용되나, 진동스크린의 본체부에 직접 전달되는 진동은 감쇄시킨다.
3. 스크린패널의 판면에 스크린홀을 종방향으로 지그재그 배치함으로써, 수송물에 의한 충격을 분산시키고 스크린패널의 파손율을 저감시킬 수 있다.
4. 분사노즐이 구비된 노즐바의 설치로 물이나 약제를 분사함으로써 비산먼지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진동스크린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제공하는 내부 진동 완충형 진동스크린의 스크린데크 조립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가이드슈와 스크린패널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스크린패널의 스크린홀 배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스크린패널을 고정시키는 결합볼트 및 결합볼트의 볼트머리를 보호하는 보호커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노즐바 설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완충장치 세부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완충장치에 의한 완충효과 설명을 위해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양 측판(111)과 후면판(112)이 결합된 본체부(110); 상기 본체부(110)의 양 측판(111)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이격 배치 결합된 다수개의 멍에부재(120); 상기 멍에부재(120) 상부를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 결합된 다수개의 완충장치(130); 상기 완충장치(130) 상부에 상기 멍에부재(120)와 직교하도록 이격 배치 결합된 장선부재(140); 및 상기 장선부재(140) 상부에 본체부(110)의 바닥면을 이루도록 배치 결합된 다수장의 스크린패널(150);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진동 완충형 진동스크린(100)」을 제공한다.
상기 본체부(110)는 진동스크린(100)의 외곽틀로서,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측판(11)과 후면판(112)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양 측판(11)의 외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브레이터가 결합되어 상기 바이브레이터에서 가해지는 진동이 상기 본체부(110)를 통해 후술할 스크린패널(150) 위의 이송물에 전달되어 직경에 따라 분리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본체부(110)는 전방이 트여 있고 전방이 낮게 기울어져 있어, 후방의 스크린패널(150) 위로 공급된 이송물이 진동에 의해 분리되며 점점 전방쪽으로 이동하여 배출된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 부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10)와 지주 사이에는 상기 바이브레이터가 발생시킨 진동이 지면이나 타구조물에 전달되는 것을 감쇄시키기 위해 완충스프링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본체부(110)의 구성은 종래 기술과 동일하다.
상기 멍에부재(120)는 스크린패널(150) 설치를 위한 구조부재로서,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멍에부재(120)가 상기 본체부(110)의 양 측판(111)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이격 배치 결합된다. 즉, 상기 멍에부재(120)의 양단이 상기 본체부(110)의 양 측판(111)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멍에부재(120) 상부에는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완충장치(130)가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 결합되어 있다. 상기 완충장치(130)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성기 장선부재(140)는 [도 2]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완충장치(130) 상부에 상기 멍에부재(120)와 직교하도록 이격 배치 결합된다. 상기 장선부재(140)는 상기 스크린패널(150)을 설치하기 위한 구조부재이고, 상기 완충장치(130)를 보호하기 위한 가드부재이기도 하다. 따라서, 상기 장선부재(140)는 상기 완충장치(130)의 측면을 덮도록 ∩형 단면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패널(150)은 상기 장선부재(140) 상부에 결합되는 부재로서, [도 2]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장의 스크린패널(150)이 조합되어 상기 본체부(110)의 바닥면을 이루게 된다. 상기 스크린패널(150)은 강재로 구성하여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스크린패널(150)에는 일정 크기의 스크린홀이 형성되어 있어, 직경이 상기 스크린홀의 폭보다 작아 하방으로 배출되는 이송물과 직경이 상기 스크린홀 보다 커서 하방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전방으로 배출되는 이송물이 분리된다. 상기 스크린패널(150)은 두 장 이상을 겹쳐 사용할 수 있다.
[도 2]의 (e)에는 상기 스크린패널(150)의 폭을 상기 장선부재(140)의 설치 간격에 맞추어 제작하고, 상기 스크린패널(150)의 길이를 멍에부재(120)의 설치 간격의 2분의 1일 되도록 제작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스크린패널(150)은 개별적인 교체 조립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선부재(140) 상부 중심을 따라 설치되고, 양 측에 가이드턱(161)이 형성된 가이드슈(1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크린패널(150)은 양 측 하부에 끼움턱(151)이 형성되어,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끼움턱(151)을 상기 가이드턱(161)과 끼움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크린패널(150)에는 다수의 스크린홀(151)을 횡방향으로는 나란히 배치하고, 종방향으로는 지그재그로 배치함으로써, 상기 수송물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볼 때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 구간과 살 구간이 교대로 반복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린패널(150)에 스크린홀(151)을 상하좌우로 나란히 배치하는 경우에는 종방향의 스크린홀(151)을 구분하는 살 부분이 타격, 마찰, 진동 등의 외력에 대한 취약지점이 되나,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린홀(151)을 종방향으로 지그재그 배치함으로써, 종방향 살이 횡방향 살을 보강하는 구조가 이루어져 스크린패널(15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패널(150)은 결합볼트(171)로 상기 장선부재(140) 또는 가이드슈(160)와 같은 하부 부재와 체결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패널(150)과 가이드슈(160) 간의 끼움결합이 이루어지더라도 상기 결합볼트(171)의 체결로 상기 스크린패널(150)의 결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다만, 상기 스크린패널(150) 위에 이송물이 투입되어 몸체부(110)에 가해진 진동과 경사에 의해 전방쪽으로 이동하여 배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이송물이 상기 결합볼트(171)의 볼트머리를 타격하여 상기 볼트머리가 훼손되거나 결합볼트(171)의 체결상태가 해체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결합볼트(171)의 볼트머리 하부에 와셔(172)를 끼워 두되, 상기 와셔(172)의 테두리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커버(173)를 형성시킴으로써 이송물로부터 상기 볼트머리를 보호할 수 있다.
투입된 이송물은 후방에서 전방쪽으로 이동하므로, 상기 보호커버(173)는 상기 볼트머리의 후방측에만 형성시켜도 무방하다.
상기 멍에부재(120), 완충장치(130), 장선부재(140) 및 스크린패널(150) 또는 상기 멍에부재(120), 완충장치(130), 장선부재(140), 스크린패널(150) 및 가이드슈(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데크구조물을 이하에서는 '스크린데크'라 칭한다.
상기 스크린데크는 상기 본체부(110) 내에 1층 또는 복수층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패널(150) 상부에 설치되며 관로에 다수개의 분사노즐(181)이 이격설치된 노즐바(180)를 설치할 수 있는데, 상기 스크린데크가 복수층으로 구성된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린데크의 사이 사이에 상기 노즐바(180)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노즐바(180)에는 이송물의 낙하, 진동, 분리 등에 의해 발생하는 비산먼지를 억제하기 위한 물이나 약제를 공급하여, 상기 물이나 약제가 상기 분사노즐(181)을 통해 상기 본체부(110) 내에 고르게 분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완충장치(130)를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완충장치(1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사각형 종단면을 갖는 제1,2공간부(132a, 132b)가 형성된 프레임(131); 상기 제1,2공간부(132a, 132b) 내에 마름모꼴 단면을 갖도록 가로질러 배치되고 축부재(133); 상기 프레임(131)과 축부재(133) 사이의 각 코너공간에 삽입된 탄성 완충부재(134); 상기 축부재(133)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결합축(135); 상기 멍에부재(120)와 결합하는 바닥판 및 상기 제1공간부 축부재와 결합하는 사이드판이 구비된 하부브래킷(136); 및 상기 장선부재(140)와 결합하는 천장판 및 상기 제2공간부 축부재와 결합하는 사이드판이 구비된 상부브래킷(137);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적용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완충장치(130)의 실시예는 상기 프레임(131)이 횡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종단면이 격벽에 의해 분절되어 상기 제1,2공간부(132a, 132b)가 구분되어 있다. 즉, 일체화된 프레임의 내부 격벽으로 상기 제1,2공간부(132a, 132b)가 분할된 것이다. 다만, 상기 프레임(131)은 정사각형의 종단면을 갖는 분리된 프레임(131) 2개를 조합하여 구성해도 무방하다.
상기 제1,2공간부(132a, 132b) 각각에는 축부재(133), 탄성 완충부재(134) 및 결합축(135)이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다만, 하나 또는 복수개의 결합축(135)이 상기 축부재(133)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는데, 상기 제1공간부(132a)의 결합축(135)은 상기 하부브래킷(136)의 사이드판과 결합하고, 상기 제2공간부(132b)의 결합축(135)은 상기 상부브래킷(137)의 사이드판과 결합된다.
상기 하부브래킷(136)은 그 바닥판이 상기 멍에부재(120)와 결합하므로 아래에서 위로 가해지는 진동은 상기 제1공간부(132a)의 탄성 완충부재를 거쳐 감쇄된다. 상기 상부브래킷(137)은 그 천장판이 상기 장선부재(140)와 결합하므로 위에서 아래로 가해지는 진동이 상기 제2공간부(132b)의 탄성 완충부재를 거쳐 감쇄된다.
상기 프레임(131)이나 축부재(133)에 외력(본 발명에서는 바이브레이터에 의한 진동)이 가해지는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부재(133)는 상기 프레임(131) 내에서 일정 각도 축회전하고 이에 따라 상기 탄성 완충부재(134)가 변형된다. 다만, 외력 소멸 후에는 상기 탄성 완충부재(13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축부재(133)가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상기 프레임(131)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상기 상,하부브래킷(136, 137)과 결합시킴으로써, 외력에 대한 완충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인 실시예와 함께 상세하게 살펴보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위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와 같은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100 : 진동스크린
110 : 본체부 111 : 측판 112 : 후면판
113 : 바이브레이터 114 : 완충스프링 115 : 지주
120 : 멍에부재
130 : 완충장치 131 : 프레임 132a : 제1공간부
132b : 제2공간부 133 : 축부재 134 : 탄성 완충부재
135 : 결합축 136 : 하부브래킷 137 : 상부브래킷
140 : 장선부재
150 : 스크린패널 151 : 스크린홀
160 : 가이드슈 161 : 가이드턱
171 : 결합볼트 172 : 와셔 173 : 보호커버
180 : 노즐바 181 : 분사노즐

Claims (7)

  1. 양 측판(111)과 후면판(112)이 결합된 본체부(110);
    상기 본체부(110)의 양 측판(111)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이격 배치 결합된 다수개의 멍에부재(120);
    상기 멍에부재(120) 상부를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 결합된 다수개의 완충장치(130);
    상기 완충장치(130) 상부에 상기 멍에부재(120)와 직교하도록 이격 배치 결합된 장선부재(140); 및
    상기 장선부재(140) 상부에 본체부(110)의 바닥면을 이루도록 배치 결합된 다수장의 스크린패널(150);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진동 완충형 진동스크린(100).
  2. 제1항에서,
    상기 장선부재(140) 상부 중심을 따라 설치되고, 양 측에 가이드턱(161)이 형성된 가이드슈(16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크린패널(150)은 양 측 하부에 끼움턱(151)이 형성되어, 상기 끼움턱(151)이 상기 가이드턱(161)과 끼움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진동 완충형 진동스크린(100).
  3. 제1항에서,
    상기 스크린패널(150)에는 다수의 스크린홀(151)이 횡방향으로는 나란히 배치되고, 종방향으로는 지그재그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진동 완충형 진동스크린(100).
  4. 제1항에서,
    상기 스크린패널(150)을 하부 부재와 체결하는 결합볼트(171)의 볼트머리 하부에는 테두리에 상기 볼트머리를 보호하는 보호커버(173)가 형성된 와셔(17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진동 완충형 진동스크린(100).
  5. 제1항에서,
    상기 스크린패널(150) 상부에 설치되며 관로에 다수개의 분사노즐(181)이 이격설치된 노즐바(18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진동 완충형 진동스크린(100).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완충장치(130)는,
    정사각형 종단면을 갖는 제1,2공간부(132a, 132b)가 형성된 프레임(131);
    상기 제1,2공간부(132a, 132b) 내에 마름모꼴 단면을 갖도록 가로질러 배치되고 축부재(133);
    상기 프레임(131)과 축부재(133) 사이의 각 코너공간에 삽입된 탄성 완충부재(134);
    상기 축부재(133)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결합축(135);
    상기 멍에부재(120)와 결합하는 바닥판 및 상기 제1공간부 축부재와 결합하는 사이드판이 구비된 하부브래킷(136); 및
    상기 장선부재(140)와 결합하는 천장판 및 상기 제2공간부 축부재와 결합하는 사이드판이 구비된 상부브래킷(137);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진동 완충형 진동스크린(100).
  7. 제6항에서, 상기 프레임(131)은,
    횡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종단면이, 격벽에 의해 분절되어 상기 제1,2공간부(132a, 132b)가 구분되고,
    일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상기 상,하부브래킷(136, 137)과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진동 완충형 진동스크린(100).
KR1020180073195A 2018-06-26 2018-06-26 내부 진동 완충형 진동스크린 KR102147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195A KR102147334B1 (ko) 2018-06-26 2018-06-26 내부 진동 완충형 진동스크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195A KR102147334B1 (ko) 2018-06-26 2018-06-26 내부 진동 완충형 진동스크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922A true KR20200000922A (ko) 2020-01-06
KR102147334B1 KR102147334B1 (ko) 2020-08-24

Family

ID=69158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3195A KR102147334B1 (ko) 2018-06-26 2018-06-26 내부 진동 완충형 진동스크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733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9990Y1 (ko) * 2004-05-24 2004-08-26 송인란 광석 선별용 스크린 고정장치
KR200405458Y1 (ko) * 2005-10-18 2006-01-10 신명환경(주) 골재 선별기
KR100719459B1 (ko) 2005-11-18 2007-05-17 태성개발(주) 밀폐형 진동스크린을 이용한 이물질의 분리방법 및 그 장치
KR20080058076A (ko) * 2006-12-21 2008-06-25 (주)금광 이 엔 지 진동스크린의 변형구조를 이용한 이물질 분리방법 및 그장치
KR20160070239A (ko) 2014-12-09 2016-06-20 폴텍주식회사 완충장치
KR101633419B1 (ko) * 2015-12-21 2016-06-24 주식회사 초당산업 가변진동발생기를 이용한 골재선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골재생산방법
KR101692056B1 (ko) 2015-01-09 2017-01-04 폴텍주식회사 컨베이어 벨트용 완충 가이드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9990Y1 (ko) * 2004-05-24 2004-08-26 송인란 광석 선별용 스크린 고정장치
KR200405458Y1 (ko) * 2005-10-18 2006-01-10 신명환경(주) 골재 선별기
KR100719459B1 (ko) 2005-11-18 2007-05-17 태성개발(주) 밀폐형 진동스크린을 이용한 이물질의 분리방법 및 그 장치
KR20080058076A (ko) * 2006-12-21 2008-06-25 (주)금광 이 엔 지 진동스크린의 변형구조를 이용한 이물질 분리방법 및 그장치
KR100850762B1 (ko) 2006-12-21 2008-08-06 (주)금광 이 엔 지 진동스크린의 변형구조를 이용한 이물질 분리방법 및 그장치
KR20160070239A (ko) 2014-12-09 2016-06-20 폴텍주식회사 완충장치
KR101692056B1 (ko) 2015-01-09 2017-01-04 폴텍주식회사 컨베이어 벨트용 완충 가이드 장치
KR101633419B1 (ko) * 2015-12-21 2016-06-24 주식회사 초당산업 가변진동발생기를 이용한 골재선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골재생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7334B1 (ko) 2020-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2994B1 (ko) 3차원 면진 구조의 내진어셈블리 및 그것이 적용된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KR20120127771A (ko) 부하 대응 각 변위 스크린보드를 갖는 진동 스크린
JP2018043201A (ja) 篩装置のスクリーン用の流れ阻害具、篩装置用のスクリーン及び篩装置
KR20200000922A (ko) 내부 진동 완충형 진동스크린
KR20210004384A (ko) 자주식 계사청소기
KR100756616B1 (ko) 벨트 컨베이어
US9486805B2 (en) Crusher feed distributor
CA3032518C (en) Vibratory classifiers
US20160074908A1 (en) Vibrating screen
AU2013395141A1 (en) Mosaic liner for chute/hopper lining
CN207865676U (zh) 减振装置和空调设备
CN105905465A (zh) 一种削弱石块对料仓前壁撞击的方法及装置
KR101426661B1 (ko) 엘리베이터 케이지 벽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4407403A (en) Vibratory belt cleaning apparatus for an endless conveyor
CN109552799A (zh) 一种防堵柔性振动溜槽
JP2007238230A (ja) ベルトコンベア用スカート装置
JP7168442B2 (ja) 壁体取付用インパクトダンパー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壁体
KR102137576B1 (ko) 리니어 피더의 슈트와 진동기 결합 및 경량화장치
CN207390347U (zh) 物料缓冲器
KR200359990Y1 (ko) 광석 선별용 스크린 고정장치
CN108203046A (zh) 具有摆动补偿的乘客传送机
KR20240059670A (ko) 석탄 이송용 슈트의 탄 고착 방지 장치
JP2016521666A (ja) 改良ライナー
KR102501144B1 (ko) 교량 상부구조 보강장치
KR20160036563A (ko) 슈트/홉퍼 라이닝용 모자이크 라이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