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5222Y1 - 팽이 - Google Patents

팽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5222Y1
KR200405222Y1 KR2020050029022U KR20050029022U KR200405222Y1 KR 200405222 Y1 KR200405222 Y1 KR 200405222Y1 KR 2020050029022 U KR2020050029022 U KR 2020050029022U KR 20050029022 U KR20050029022 U KR 20050029022U KR 200405222 Y1 KR200405222 Y1 KR 2004052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y
bundle
light emitting
groove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90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영복
Original Assignee
임영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영복 filed Critical 임영복
Priority to KR20200500290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52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52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522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00Tops
    • A63H1/28Musical to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00Tops
    • A63H1/24Tops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2Optical, colour, or shadow to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5/00Musical or noise- producing devices for additional toy effects other than acoust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팽이가 회전하는 동안 경쾌한 소리가 나면서 불빛이 반짝이는 발광 기능을 겸비하여 사용자에게 청각과 시각적으로도 즐거움을 줄 수 있도록 하여 유희용구로서의 기능을 보강할 수 있는 팽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팽이가 고속으로 회전시 중심을 유지하는 다수 개의 회전볼을 팽이 하단부 받침대내 이탈됨이 없이 내장 시켜 경쾌한 소리를 발생시키는 소리발생부와 팽이 회전시 발생되는 미세한 진동으로 인해 스프링타입 스위치를 일정한 주기로 개폐시켜 마치 불빛이 반짝이는 시각적 효과를 부여한 팽이에 관한 고안 임.
팽이, 유희, 발광, 소음발생, 어리이 유희, 장난감, 유희용 팽이

Description

팽이 {TOP}
도 1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팽이의 사용 상태도
도 2는 종래의 실시예의 팽이 조립체를 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연결뭉치의 저면도.
도 4는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팽이 스타디움을 상면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5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팽이 스타디움을 저면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6는 본 고안에서의 바람직한 사용예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단면도
도 8는 본 고안의 정면을 보인 예시도
도 9은 본 고안의 저면을 보인 예시도
도 10는 본 고안의 발광 다이오드를 보인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발광램프 2 : "+" 접점
3 : 스프링타입 "- "접점 4 : 날개
5 : 소형 볼 6 : 받침대
7 : 중심축 볼 8 : 투명케이스
10 : 소형전지부 11 : 고정피이스
12 : 웨이트 볼 100 : 팽이
110 : 베이스 111 : 안착홈
112 : 관통공 114a : 유동방지홈
116a,176b : 안내/체결홈 118 : 고정돌기
120 : 체결공 130 : 자석
140 : 회전축뭉치 142 : 회전지점
144 : 원통체 146 : 안착걸림테
148 : 자석수용부 150 : 상부뭉치
160 : 어택링 162 : 관통공
164 : 날개홈 166 : 잠금돌기
170 : 연결뭉치 172 : 스토퍼
174b : 유동방지돌기 175 : 안내홈
176 : 잠금홈 178 : 슈터지지편
179 : 웨이트링 고정편 180 체결편
190 : 웨이트링 192 : 고정홈
200 : 팽이 스타디움 210 : 상판
215 : 이탈방지벽 220 : 지지판
225 : 플랜지 230 : 자석블록
240 : 스탠드 245 : 쐐기부
300 : 슈터 350 : 슈터부
400 : 와인더
본 고안은 팽이가 회전하는 동안 경쾌한 소리가 나면서 불빛이 반짝이는 발광 기능을 겸비하여 사용자에게 청각과 시각적으로도 즐거움을 줄 수 있도록 하여 유희용구로서의 기능을 보강할 수 있는 팽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현재 탑 블레이드로 알려진 팽이와 팽이 스타디움이 어린이들 사이에 널리 사용 되고 있다. 아이들은 이 스타디움에서 서로의 팽이를 선회 시켜 공격을 하는 게임을 하고 있다. 이를 통해, 자신의 팽이가 우월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팽이 게임은 공격 파워가 주로 팽이의 크기나 그 선회력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팽이의 크기나 선회력이 같은 경우에는 공격 파워가 거의 유사할 뿐 아니라 팽이의 궤적 또한 거의 일정하여 아이들의 흥미를 자극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종래의 출원번호 20-2002-0000152의 경우 팽이 조립체는 중심에 관통공이 형성된 안착홈과 대향 하는 측면에 형성된 체결공을 갖는 베이스; 자석; 하단에 형성된 회전지점과, 상단이 상기 안착홈에 삽입 안착되고 상기 자석이 내장될 원통체를 갖는 회전축뭉치; 하면에 상기 회전축뭉치의 스토퍼가 형성되고, 상면에 걸이부가 형성된 상부뭉치; 상기 각각의 체결공에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와 상기 상부뭉치를 체결하는 체결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경우 팽이의 중심 중량을 높여 공격력과 방어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종래의 팽이(출원번호 20-2002-0000152)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실시 예에 따른 팽이 조립체(100)는 크게 베이스(110), 자석(130), 회전축뭉치(140), 상부뭉치(150) 및 한 쌍의 체결편(180)으로 구성된다.
전술한 구성에서, 베이스(110)의 중심에는 일정한 깊이의 안착홈(111)이 형성되고, 안착홈(111) 중심에 관통공(112)이 천공 설치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110)의 상면에는 안착홈(111)을 중심으로 한 쌍의 유동방지홈(114a)과 한 쌍의 안내/체결홈(116a)이 서로 대향 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체결홈(116a)에는 고정돌기(11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안내/체결홈(116a)이 형성된 베이스(110)의 측면에는 체결공(120)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회전축뭉치(140)는 베이스(110)의 관통공(112)에 삽입되어 안착홈(111)에 안착 고정되는 것으로, 지면과 접촉하는 회전 중심점인 회전지점(142)이 하단에 형성되고, 상단에는 안착걸림테(146)가 형성되고 회전지점(142)과 안착걸림테(146)를 연결하며 자석(130)을 내장할 자석수용부(146)가 형성된 원통체(144)로 이루어진다.
상기 안착걸림테(146)는 안착홈(111)에 압입(또는 억지끼움)되어 회전축뭉치(140)가 안착홈(111)에 대해 헛돌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외부로 빠져 나오지 못하도록 즉, 하방 스토퍼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회전축뭉치(140)에 자석(130)이 내장되어 있어, 팽이의 중심 중량을 높여 공격력과 방어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상부뭉치(150)는 크게 어택링(160), 연결뭉치(170) 및 웨이트링(190)으로 구성된다.
상기 어택링(160)은 외주면에 블레이드가 형성되며, 중심에 관통공(162)이 형성되고, 관통공(162)의 외주면에는 한 쌍의 잠금돌기(162)와 한 쌍의 날개홈(164)이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뭉치(170)는 베이스(110)와 결합되는 하면과 어택링(160)과 결합되는 상면 및 웨이트링(190)과 결합되는 측면으로 구성된다. 연결뭉치(170)의 하면에는 회전축뭉치(140)를 하방으로 밀면서 상방으로 빠져 나오지 못하도록 돌출된 스토퍼(172)가 설치되며, 전술한 유동방지홈(114a)과 안내/체결홈(116a)과 대응되도록 유동방지돌기(114b)와 안내/체결홈(116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동방지홈(114a)과 유동방지돌기(114b)의 결합으로 팽이의 회전에 따른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연결뭉치(170)의 상면에는 잠금돌기(166)가 안내되는 안내홈(175)과 잠금홈(176)이 형성된다. 즉, 각각의 잠금돌기(166)가 안내홈(175)에 삽입되면 잠금홈(176)으로 안내되고 잠금홈(176)을 따라 회전하면 걸림턱(미도시)에 걸려더 이상 돌릴 수 없을 때 결합된다.
또한, 걸림턱(미도시)이 형성된 부근에는 후술된 슈터(300)의 슈터부(350)가 지지되는 슈터지지편(178)이 대향 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어택링(160)과 연결뭉치(170)의 상면이 결합됨으로써, 날개홈(164)은 슈터지지편(178)과 함께 슈터부(350)의 수용 및 걸이부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연결뭉치(170)의 측면에는 웨이트링(190)이 안착되어 유동을 방지하는 웨이트링 고정편(179)이 대향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웨이트링 고정편(179)에 웨이트링(190)에 형성된 고정홈(192)이 끼워진다.
따라서, 팽이의 회전방향으로 유동하지 않으며, 어택링(160)에 의해 상방으로 빠져 나오지 못하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상부뭉치(170)의 조립관계를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상부뭉치(170) 즉 연결뭉치(170)와 베이스(110)의 조립관계를 설명한다.
전술한 안내/체결홈(116a;176b)간의 결합을 통해 그 사이에는 공동부가 형성된다.
상기 공동부의 측면에는 체결공(120)이 형성되어 있음은 이미 설명하였다.
상기 체결공(120)을 통해 체결편(180)이 삽입됨으로써, 조립이 완성되는 것이다.
즉, 체결편(180)은 체결공(120)에 삽입되면서 그 사이로 고정돌기(118)가 삽입된다.
상기 체결편(180)이 계속 공동부를 따라 진행하다가 체결편(180)의 선단이 연결뭉치(170)에 형성된 홈에 위치하게 되면, 체결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팽이 조립체가 완성되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인더(400)가 정착된 슈터(300)를 팽이(100)에 장착하고, 와인더(400)를 빼내면 팽이가 선회되는 것이다.
상기 팽이 스타디움(200)은 만곡 또는 벨로드롬 형상의 상판(210)과 상판(210)의 외주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지지판(220) 및 지지판(220)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돌출한 플랜지(225)로 구성된다. 이때 이 상판(210)의 이면에는 자석이 있는 블록(230)(이하 '자석블록'이라 합니다.)이 양면테이프로 부착되어 있다.
상기 자석블록(230)은 하나 이상 부착될 수 있는데, 자석블록(230)이 상판 중심 부근에 부착될 경우 플랜지(225)가 지면에서 들뜬 상태로 되어 스타디움이 불안정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스탠드(240)가 플랜지(225)에서 잘 빠져 나오지 않도록 쐐기부(24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판(210)의 외주면에는 팽이(1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이탈방지벽(215)이 적소에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종래의 실시예의 팽이 조립체와 팽이 스타디움을 가지고 게임하는 것을 설명하는데, 자석블록(230)이 3개 세팅된 것으로 설명한다. 먼저, 팽이 조립체(100)의 자석(130)과 자석블록(230)은 서로 같은 극성이 위치하도록 조립 부착된다.
즉, 자석(130)의 하방과 자석블록(230)의 상방이 S극끼리(본 실시예의 경우) 또는 N극끼리 되도록 조립 부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세팅된 스타디움에서 자석이 없는 팽이(다른 팽이)와 경기를 하는 것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팽이가 서로 선회하면서 상판의 경사면으로 인해 중심에 모이게 되면서 서로 충돌하고 이 충돌로 인해 서로 밀려나게된다. 밀려난 팽이는 다시 경사면을 따라 중심으로 모이게 되는 반복을 하면서 경기를 하게 된다. 그런데, 본 팽이(100)는 자석이 없는 상대방 팽이와는 다르게 경사면을 타고 올라간 다음 내려올 때 자석블록(230)간의 반발력이 작용하여 하강 속도가 상승하게 됨으로써 공격 파워가 강력하게 될 수 있다.
또한, 팽이(100)의 위치에 따라 반발 되는 방향 또한 다양하게 되어 공격 위치의 예측을 어렵게 하는 등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다.
한편, 종래의 팽이(100)와 같이 자석이 있는 상대방 팽이와 경기를 하는 경우에는 서로 자석블록(230)을 통해 반발력을 받게 된다.
따라서, 팽이간의 움직임이 다이나믹 하게 되고 그 궤적 또한 다양하여 게임의 생동감을 줄 수 있게 고안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팽이 구조는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상에 문제점이 있어 상용화 되지 못하는 것과 종래의 탑 블레이드로 알려진 팽이와 크게 다른점이 없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경우 경기가 너무 단조로와 장시간 놀이시 지겨움을 느껴 흥미를 잊어버려 아동들이 즐겨 찾지 않은 문제와 기존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팽이와 비교시 특별한 기능이 없어 아이들이 즐겨 찾지않은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팽이의 중심을 오래 토록 유지시켜 선회력을 길게하며, 특히 본 고안은 구조가 간단하면서 어린이 들이 흥겨움을 느낄 수 있도록 마치 반딧불 처럼 빛나는 발광 기능과 팽이 선회시 굴곡진 바닥에서도 중심을 잡을 수 있도록 다수개의 웨이트볼 겸 소리발생용 소형볼을 이용 소리발생부를 창작하여 어린이들이 즐겨 찾을 수 있도록 팽이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팽이(100)조립체는 크게 소리발 생부와 발광부로 나누어 지며,
상기 소리발생부는 역원뿔 형상의 외접부에 받침대(4)를 형성시켜 그 내부에 구름운동이 원활한 소형볼(5)의 이탈됨이 없이 삽착 된다.
상기 받침대(6)는 외부에서 내부로 향하는 경사면을 두어 팽이(100)가 수평을 유지시켜 선회시 무게중심이 팽이 하단부 중심축 볼(7)에 집중되는 무개중심을 형성한다.
상기 소리발생부 소형볼(5)은 팽이가 회전 시 서로 부딪혀서 경쾌한 소리를 내도록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발광부는 투명케이스(8)내 위치하며, 도 10에서와 같이 소형전지부(10)을 팽이(100)몸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피이스(11)와 소형전지부(10)내 전지를 이탈됨이 없이 감싸는 형태를 취하는 "+" 접점(2)과 팽이(100)진동에 의해 자동으로 발광램프(1)에 전류를 접속 단락 시키는 구조인 스프링타입 "- "접점(3)이 평상시에는 "+" 접점(2)과 이격 되어 전지의 소모를 최소화 시킬 수 있는 것과; 상기 스프링타입 "-"접점(3)이 고정된 "+" 접점(2)에 접촉되는 유무에 따라 발광램프(1) 에 불이 켜지는 발광구조를 취한다.
상기 팽이(100)몸체 내 웨이트볼(12) 각각의 무개는 소형전지부(10)무개와 일치되어 평행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역원뿔 형상의 하단 중심에 회전축심에는 중심축 볼(7)이 돌출되게 견고히 고정된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 하면 다음과 같다. 와인더(400)가 정착된 슈터(300)를 팽이(100)에 장착하고, 와인더(400)를 빼내면 팽이(100)는 중심축 볼(7)을 축으로 하여 선회되며, 이때 발생되는 미세한 진동에 의해 소형 볼(5)은 받침대(6)내에서 좌,우로 흔들리면서 경쾌한 소리를 내게 되어 청각적으로 즐거움을 선사하고, 회전시 무개중심을 중심축 볼(7)에 집중시켜 넘어지지 않고 오래 토록 선회 시키는 작용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발광부는 팽이(100)가 회전하지 않은 동안 스프링타입 "-"접점(3)과 상기 "+" 접점(2)이 단락된 상태로 유지되고, 회전시 팽이(100)의 미세 진동에 스프링타입 "- "접점(3)이 +" 접점(2)에 접속과 단락을 반복 하므로 인해 발광램프(1)에 소형전지부(10)측 전류를 흘러보내 소형 발광램프(1)가 점멸되어 투명케이스(8)를 통해 외부로 빛을 발산시켜 마치 불빛이 반짝이는 느낌을 주어 시각적으로 빛의 아름다움을 선사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실시예의 팽이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팽이가 회전하면서 반짝이는 발광램프를 통해 어리이들에게 반딧불이 빛나는 느낌을 주 어 시각적인 즐거움을 선사함과 동시에 소리발생부를 통해 경쾌한 소리를 발생시킴에 따라 청각으로도 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유희용 팽이에 있어서,
    역원뿔 형상의 외접부에 받침대(4)를 형성시켜 그 내부에 소형볼(5)의 이탈됨이 없이 삽착 된 소리 발생부와;
    팽이(100)상부 투명케이스(8)내부에 위치한 발광부는 소형전지부(10)내 전지를 이탈됨이 없이 감싸는 형태를 취하는 "+" 접점(2)과 팽이(100)진동에 의해 자동으로 스프링타입 "- "접점(3)이 "+" 접점(2)과 접속과 단락을 반복하여 발광램프(1)를 점멸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팽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 발생부 받침대(6)는 팽이(100)외부에 돌출되며, 외부에서 내부로 향하는 경사면을 형성 소형볼(5)의 무개중심이 중심축 볼(7)에 집중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팽이.
KR2020050029022U 2005-10-10 2005-10-10 팽이 KR2004052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022U KR200405222Y1 (ko) 2005-10-10 2005-10-10 팽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022U KR200405222Y1 (ko) 2005-10-10 2005-10-10 팽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5222Y1 true KR200405222Y1 (ko) 2006-01-11

Family

ID=41756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9022U KR200405222Y1 (ko) 2005-10-10 2005-10-10 팽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522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68961A1 (ko) * 2012-05-08 2013-11-14 Choi Sin-Kyu 팽이
KR101489050B1 (ko) 2013-01-10 2015-02-04 최신규 팽이의 금속 휠 고정 장치
KR101501928B1 (ko) * 2014-03-26 2015-03-12 정정상 회전축의 방향이 일정한 팽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68961A1 (ko) * 2012-05-08 2013-11-14 Choi Sin-Kyu 팽이
US9616351B2 (en) 2012-05-08 2017-04-11 Shin-Kyu Choi Top
US10137380B2 (en) 2012-05-08 2018-11-27 Shin-Kyu Choi Top
KR101489050B1 (ko) 2013-01-10 2015-02-04 최신규 팽이의 금속 휠 고정 장치
KR101501928B1 (ko) * 2014-03-26 2015-03-12 정정상 회전축의 방향이 일정한 팽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81965B2 (en) Combination yo-yo and top
WO2015062427A1 (zh) 一种可弹跳的玩具陀螺
ES2705853T3 (es) Peonza
JP2001351416A (ja) 圧電式発光装置
KR200405222Y1 (ko) 팽이
JP2013000284A (ja) コマ玩具遊戯台、及び、コマ玩具遊戯台セット
CN104998416A (zh) 一种旋转玩具游戏装置
WO2012162706A1 (en) Electric top
KR20060081384A (ko) 팽이
US20160136517A1 (en) Spinning Disk Game
JP2007111144A (ja) コマ玩具
CN212395839U (zh) 一种对战玩具
JPH0984964A (ja) 乳幼児用遊戯具
CN213724821U (zh) 鼓偶组合玩具
JP3066857U (ja) コマ玩具
KR200204709Y1 (ko) 야간 레저용 배드민턴 공
JP3242808U (ja) 遊具
KR200287907Y1 (ko) 자력으로 발전하여 발광하는 배드민턴 셔틀콕
JP4429024B2 (ja) 飛出しゲーム玩具
KR200176489Y1 (ko) 팽이
KR200382366Y1 (ko) 회전끈을 일체로 구비한 팽이
JP3225668U (ja) マレットゴルフ用ホールカップ
KR101302472B1 (ko) 놀이용 비행원반
KR200371530Y1 (ko) 민속무용용 칼
KR200434747Y1 (ko) 비행접시 놀이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70227

Effective date: 20080131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