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3258Y1 - 공놀이 운동구 - Google Patents

공놀이 운동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3258Y1
KR900003258Y1 KR2019860016218U KR860016218U KR900003258Y1 KR 900003258 Y1 KR900003258 Y1 KR 900003258Y1 KR 2019860016218 U KR2019860016218 U KR 2019860016218U KR 860016218 U KR860016218 U KR 860016218U KR 900003258 Y1 KR900003258 Y1 KR 9000032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cavity
handle
melody
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62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7613U (ko
Inventor
안세존
안춘복
Original Assignee
안세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세존 filed Critical 안세존
Priority to KR20198600162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3258Y1/ko
Publication of KR8800076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76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32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2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20Games using a bat or racket with a ball or other body tethered thereto
    • A63B67/22Games using a bat or racket with a ball or other body tethered thereto the bat or racket having one or more holes or pockets therein, e.g. for catching or collecting the ball; the bat comprising a ring or cup having a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9/00Bats, rackets, or the like, not covered by groups A63B49/00 - A63B57/00
    • A63B59/30Bats, rackets, or the like, not covered by groups A63B49/00 - A63B57/00 forming hand-held throwing or catching aids for use with rings, discs, wheels or cylindrical throwing-bodies, or for use with balls having a central bo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25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08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magnet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y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공놀이 운동구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단면 구성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돌출부 2 : 공동부
3 : 완충글로브 4 : 자석
5 : 공동부 6 : 발성수단
7 : 근접스위치 8 : 공동부
9 : 글로브 10 : 캡
11 : 멜로디 유출공 21 : 손잡이
22 : 헤드 23 : 글로브
24 : 공
본 고안은 공놀이 운동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난이도가 큰 놀이를 할 수 있고 난이도가 큰 공놀이에서 공을 제대로 받았을 때 경쾌한 멜로디가 흘러 나오게 되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 공놀이 운동구라 함에 손잡이(21)측에 구성되는 오목한 홈 형태의 글로부(23)와 임의로 던져올렸다가 글로부로 받을 수 있게 되어 있는 공(24)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글로부(23)는 주로 손잡이(21) 끝에 부착되는 헤드(22)의 양단면에 대, 소규격으로 배열되어 해머에 가까운 형태로 되어 있으며, 공(24)은 끈으로 헤머에 연결해두거나 분리시켜 임의높이와 방향으로 던질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이며, 공놀이의 요령은 공을 던져 올린다음 낙하 하는 공을 글로브 위에 받아 내거나 한사람이 공을 던지면 상대편의 한사람이 글로브에 공을 받아내어 승부를 가릴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으로, 글로브의 크기가 대소로 되어 있어 놀이의 난이도를 바꿀 수 있고 놀이구가 간단하면서 저속의 던져진 공 예컨데 가볍게 던져올린 공의 자유낙하속도 하에서 공을 받는 것이어서 좁은 장소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작은 글로브에 의해 공을 받아내기 때문에 민첩하고 정확한 신체동작 발달과 전신근육발달에 유용하며 놀이를 겸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공놀이 운동구는 손잡이 속에 피리를 내장한 공동을 만들고 글로부에 공을 받았을 때의 글로브에 가해지는 공기압력에 의해 피리에서 단음으로 발성되게 한 것, 손잡이 미단부에도 글로부를 구성하여 세 개의 글로브를 가지는 것등이 알려져 있으나 이들은 기본적으로 글로브로 공을 받아내는 것으로서 미용상의 난이도가 비슷하여 경기가 단조로울 뿐 아니라 발성자체도 순간적인 피리의 진동음에 불과하여 놀이구로서의 의미도 반감되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고안으로서 종래와 같은 글로브에 의한 공놀이가 가능함은 물론 난이도가 큰 공놀이를 할 수 있고, 이러한 특정 방법으로 공을 받았을 때 내장된 멜로디 발성 수단에 의해 멜로디칩에 수록된 멜로디가 흘러나오게 함으로써 운동구로서 단조로움을 개선하고 놀이기구로서 흥미를 높일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을 첨부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손잡이(21) 끝의 헤드(22) 양단면 또는 손잡이(21) 미단에 대소의 글로브(23)를 구성하고 글로브(23)로 받을 수 있는 공(24)을 구비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손잡이(21)선단을 연장하여 헤드(22)밖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와 돌출부(1)에 대응되는 공(24)측의 공동부(2) 및 헤드(22)상부의 완충글로브(3)를 구성하였으며, 공동부(2) 내측에 자석(4)을 부착하고 손잡이(21)내부의 공동부(5)에 트랜지스터, 멜로디칩, 관련된 주변회로, 전지 및 소형 스프커등으로 구성되는 멜로디 발성수단(6)을 내장하여 그 발성동작 개폐용 근접스위치(7)를 돌출부(1)의 공동부(8)의 첨단에 위치시켜 자석(4)에 의해 동작되게 하였으며, 글로브(9)를 가지는 손잡이(21) 미단부 캡(10)을 구성하여 발성수단(6)을 공동부(2)(8)에서 출입시킬 수 있게 하여 발성수단(6)의 전지를 바꿀 수 있게 하였고 손잡이(21)와 캡(10)에 멜로디 유출공(11)을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종래의 공놀이 운동구와 같이 공(24)을 던져놓고 글로브(23)로 받기놀이를 할 수 있음은 물론 종래의 것보다 난이도가 큰 놀이를 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것보다 새롭게 할 수 있는 놀이를 보면 공을 위로 던져놓고 낙하하는 과정에 손잡이(21)를 바로세워 돌출부(1)로 공을 받는다.
만일 이와 같이 공을 받으려다가 여의치 못하면 재빨리 자세를 바꿔 전과같이 글로브(23) 또는 글로브(9)로 공을 받는다.
이러한 공놀이는 종래의 공놀이보다 어렵고 위와같이 자세를 바꿔 공을 받을 수 있는 점에서도 재미를 느끼게 되는 것이다.
위에서 언급한 공놀이의 난이도는 던져 올린 공의 공등부(2)에 돌출부(1)를 적증시켜야 되기 때문에 공의 포착용적이 극히 적어져서 난이도를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며 공동부(2) 입구의 개구면적에 따라 난이도를 조절하여 제작할 수 있고, 던져 올린공은 일정한 스핀을 갖기 때문에 공을 받을 때는 물론 공을 던져 올리는데에도 매우 신중한 요령이 요구되는 것이며, 따라서 본 고안의 공놀이 운동구는 집중력을 훈련하는 데에도 유용한 놀이구가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놀이과정에서 멜로디에 의한 재미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자세히는 돌출부(1)에 의해 던져올린 공(24)을 받아내면 공(24)은 완충글로브(3)에 얹혀 헤드(22)위에 안착되면서 돌출부(1)는 공동부(2) 깊숙히 끼워진다.
이때 돌출부(1) 내측의 공동부(8)에 있는 근접스위치(7)는 공동부(2) 내의 자석(4)에 근접되어 스위칭 동작이 이루어지며, 이 동작으로 전지를 포함하는 발성수단(6)이 구동되어 멜로디칩에 수록된 멜로디가 스피커를 통하여 흘러나오게 되며 이러한 멜로디는 멜로디유출공(11)을 통하여 외부로 흘러나와 놀이시에 멜로디를 들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한곡의 멜로디가 끝나면 발성수단(6)에 포함된 스위칭 회로가 멜로디의 재생을 중지시켜 멜로디 재생은 중지되는 것이며, 발성수단(6)에 부착되는 전지는 캡(10)을 분리시키고 공동부(5)를 개방한 후 바꿔 부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공놀이는 글로브 또는 돌출부로 공을 받은 자세에서 그대로 던져 올림으로써 연속적인 놀이를 구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는 종래와 같이 글로부에 의한 공놀이가 가능함은 물론 난이도가 큰 공놀이를 할 수 있고 놀이가 성공적으로 진행되면 놀이중에 멜로디를 들을 수 있어 매우 흥미롭게 사용할 수 있는 공놀이 운동구를 제공하게 된 것이다.

Claims (1)

  1. 손잡이(21)끝의 헤드(22)양단면 또는 손잡이(21) 미단에 대소글로브(23)를 구성하고 글로브(23)로 받을 수 있는 공(24)을 구비하여 된것에 있어서, 손잡이(21)선단을 연장하여 헤드(22)밖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 돌출부(1)에 대응되는 공(24)측의 공동부(2) 및 헤드(22) 상부의 완충글로브(3)를 구성하고, 공(24)의 공동부(20내측에 자석(4)을 부착하고 이에 대응하여 손잡이(21)내부 공동부(5)에 내장시킨 멜로디재생용 발성수단(6)의 스윗칭용 근접스위치(7)를 자석(4)에 근접시 동작되게 돌출부(1) 내측 공동부(8)에 위치시켰으며, 글로브(9)를 가지는 캡(10)을 공동부(5) 개폐용으로 구성하고, 손잡이(21)와 캡(10)상에 멜로디 유출공(11)을 구성하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놀이 운동구.
KR2019860016218U 1986-10-24 1986-10-24 공놀이 운동구 KR9000032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6218U KR900003258Y1 (ko) 1986-10-24 1986-10-24 공놀이 운동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6218U KR900003258Y1 (ko) 1986-10-24 1986-10-24 공놀이 운동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7613U KR880007613U (ko) 1988-06-28
KR900003258Y1 true KR900003258Y1 (ko) 1990-04-20

Family

ID=19256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6218U KR900003258Y1 (ko) 1986-10-24 1986-10-24 공놀이 운동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325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7613U (ko) 1988-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88069A (en) Talking football
US5133551A (en) Sound producing game bat
US4840371A (en) Novelty golf club with programmed sound playing device
US6899585B2 (en) Body suspended novelty music system
US6113457A (en) Sporting implement protection and sound-producing device
JPH0727385B2 (ja)
US5908344A (en) Sporting implement protection and sound-producing device
US5181726A (en) Apparatus and methods employing elastic cords with hand balls
US5544894A (en) Tethered ball having facial features and sound output
US5803840A (en) Sound producing baseball bat
US6544099B2 (en) Suspendable talking apparatus
GB2302034A (en) A marble
US20030099919A1 (en) Bilingual toy
CN212395839U (zh) 一种对战玩具
KR900003258Y1 (ko) 공놀이 운동구
US20080254846A1 (en) Game piece advancing skill game and methods
US4739995A (en) Tethered ball toy
CN116036617A (zh) 一种用于提高手眼协调能力的玩具及其使用方法
US20020132705A1 (en) Rotating play device capable of training wrist coordination
US20010034181A1 (en) Smart musical toy
US3970308A (en) Ring, ball and cone retrieval apparatus
JPH11104358A (ja) ゴルフ体験遊戯玩具
KR200279016Y1 (ko) 공기 저항이 적은 배드민턴의 비전원식 발성셔틀콕
US4093231A (en) Superfly game apparatus
RU2019239C1 (ru) Игра "олимпийский факел"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41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