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5063Y1 - Artificial stone tile for wall having texture of natural stone - Google Patents

Artificial stone tile for wall having texture of natural st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5063Y1
KR200405063Y1 KR2020050029505U KR20050029505U KR200405063Y1 KR 200405063 Y1 KR200405063 Y1 KR 200405063Y1 KR 2020050029505 U KR2020050029505 U KR 2020050029505U KR 20050029505 U KR20050029505 U KR 20050029505U KR 200405063 Y1 KR200405063 Y1 KR 2004050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natural
tile
textur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950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영찬
Original Assignee
한영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영찬 filed Critical 한영찬
Priority to KR20200500295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506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50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5063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3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xtending into the back side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04F13/14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with an outer layer imitating natural stone, brick work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정핀이 설치된 천연석 질감의 인공 성형 스톤 타일에 관한 것으로서, 천연석과 동일한 질감 및 색채가 표면에 그대로 나타나도록 제조한 고정핀이 설치된 인공 성형 스톤 타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rtificial molded stone tile of a natural stone texture provided with a fixing pin, and relates to an artificial molded stone tile provided with a fixing pin manufactured so that the same texture and color as the natural stone appear on the surface.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자연상태의 천연석을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플라스틱 성형틀을 제작하고, 이 플라스틱 성형틀에 시멘트, 자갈 등을 소정의 배합비로 혼합시킨 몰탈재료를 부은 후, 경화 및 탈형시키는 공정등을 통하여, 외표면의 질감 및 색채가 자연적인 천연석과 동일하면서 별도의 탈락 방지용 고정핀이 설치되어 제조된 고정핀이 설치된 천연석 질감의 인공 성형 스톤 타일을 제공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inally produce a plastic molding mold using natural stone in a natural state, and to pour the mortar material mixed with cement, gravel, etc. in a predetermined mixing ratio, and then curing and demolding the plastic mold. Through, the surface and texture of the outer surface is the same as natural natural stone, but provides an artificial molded stone tile of the natural stone texture with a fixed pin prepared by installing a separate fall prevention fixing pin is installed.

따라서, 본 고안의 스톤 타일을 건축물의 벽체에 시공함에 따라, 무절제한 천연석 채취 및 자연 훼손 없이 주변 환경과 잘 어울리는 친환경적인 자연석 외양의 벽체 시공이 가능해지고, 습식 시공되더라도 고정핀에 의해 스톤 타일의 탈락이 방지되는 장점과 함께 대형 규격으로 스톤 타일의 공급 및 시공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제공된다.Therefore, by installing the stone tile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wall of the building, it is possible to construct the wall of the eco-friendly natural stone appearance that fits well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ithout the unrestricted natural stone collection and natural damage, even if wet construction of the stone tile by the pin Along with the advantage of falling off, it is possible to supply and construct stone tiles in a large size.

건축물, 벽체, 벽면, 천연석, 현무암, 인조석, 스톤, 타일, 고정핀 Architecture, wall, wall, natural stone, basalt, artificial stone, stone, tiles, pin

Description

고정핀이 설치된 천연석 질감의 인공 성형 스톤 타일{Artificial stone tile for wall having texture of natural stone} Artificial stone tile for wall having texture of natural stone

도 1 내지 도 9는 현무암을 이용하여 본 고안에 따른 천연석 질감의 스톤 타일을 제조하는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내는 사시도,1 to 9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in sequence the process of producing a stone tile of natural stone tex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ing basalt,

도 10은 본 고안의 스톤 타일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핀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fixing pin fixed to the stone ti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고안의 제조과정에서 제품 성형용 성형틀 내에 몰탈재료가 충전된 후 고정핀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pin is installed after the mortar material is filled in the mold for forming a product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최종 완성된 본 고안의 스톤 타일을 도시한 후면 사시도,12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one ti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nal completion;

도 13은 본 고안의 스톤 타일이 벽체에 시공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13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one til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on the wall,

도 14a와 도 14b는 본 고안의 스톤 타일이 벽체에 시공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14A and 14B are sectional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 stone ti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on a wall;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2 : 현무암 원석 14 : 우레탄12: basalt ore 14: urethane

16 : 우레탄 성형틀 18 : 실리콘16: urethane molding frame 18: silicone

20 : 실리콘 블록체 22 : 성형용 철판틀20: silicon block body 22: forming iron plate frame

24 : 플라스틱 재료 26 : 제품 성형용 성형틀24: plastic material 26: forming mold for forming the product

30 : 몰탈재료 32 : 스톤 타일30: mortar material 32: stone tiles

33 : 고정핀 34 : 관통공33: fixed pin 34: through hole

35 : 콘크리트 못 41 : 벽면35: concrete nail 41: wall surface

42 : 몰탈 43 : 채움재42: mortar 43: filler

본 고안은 고정핀이 설치된 천연석 질감의 인공 성형 스톤 타일에 관한 것으로서, 천연석과 동일한 질감 및 색채가 표면에 그대로 나타나도록 제조한 고정핀이 설치된 인공 성형 스톤 타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rtificial molded stone tile of a natural stone texture provided with a fixing pin, and relates to an artificial molded stone tile provided with a fixing pin manufactured so that the same texture and color as the natural stone appear on the surface.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현무암은 용암류로부터 산출된 암석이다.As is well known, basalt is a rock produced from lava flows.

즉, 화산활동으로 만들어진 물질에는 물, 연기, 재, 그리고 녹아 있는 물질 등이 있으며, 이렇게 녹아 있는 물질이 지표면 밖에서 굳어져 만들어진 화산석이 바로 현무암이다.In other words, the volcanic material is water, smoke, ash, and melted material. Volcanic stone is a basalt rock formed by melting the melted material out of the surface of the earth.

상기 현무암은 국내에서는 주로 제주도 및 울릉도, 강원도 철원 지역에 분포되어 있는데, 외관상으로는 회흑색 내지 흑색을 띠고 있고, 세립이면서 치밀하게 보이지만 다공질로 되어 있으며, 성질이 굳기 때문에 건축재료로도 널리 쓰이고 있는 천연석이다.The basalt is distributed mainly in Jeju, Ulleungdo, and Gangwon-do, Cheorwon, Korea. The basalt is grayish black to black in appearance, and it looks fine and fine, but it is porous, and because it is hard, it is widely used as a building material. to be.

상기 현무암의 표면에 형성된 다공 구조는 마그마가 지표면 밖으로 나올 때 여러 가지 가스가 빠져나간 자국으로 생성된 구조이다. The porous structu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basalt is a structure generated by the marks that various gases escape when the magma comes out of the ground surface.

현재 현무암은 건축자재 및 관광상품을 만드는데 많이 애용되고 있으며, 특히 제주도와 같은 관광지에서는 현무암 자체를 벽이나 담을 축조하는데 사용하고 있다.Currently, basalt is widely used to make building materials and tourism products, and especially in tourist attractions such as Jeju Island, basalt itself is used to construct walls and walls.

이는 관광산업의 특수성과 함께 천연 현무암의 미관이 수려하고 그 강도와 내구성이 우수한 점에 기인한다.This is due to the peculiarity of the tourism industry and the beauty of natural basalt and its strength and durability.

그러나, 천연 현무암은 원석의 채취 및 가공 등의 면에서 콘크리트 제품에 비하여 훨씬 비싸고, 원석의 크기에 따라 가공되는 제품의 사이즈도 제한을 받는 단점이 있다.However, natural basalts are much more expensive than concrete products in terms of extraction and processing of gemstones, and the size of products processed according to the size of gemstones is also limited.

현무암 자체를 벽이나 담, 또는 그 밖의 건축자재나 관광상품의 재료로 계속 사용함에 따라서 현재 그 수요에 비하여 공급이 매우 부족한 상태에 있고, 원석의 외부 유출이 어려워 산지 이외의 지역에서 현무암을 건축자재로 사용하기가 쉽지 않으며, 천연석의 무계획적인 채취로 인하여 자연상태의 현무암이 고갈될 위기에 처해 있는 것이 현실이다.As the basalt itself continues to be used as a wall, wall, or other building material, or as a material for tourism products, it is currently in a very short supply compared to its demand. It is not easy to use, and the reality is that the basalt of natural state is in danger of being exhausted due to unintentional sampling of natural stone.

그리고, 환경친화적인 입장에서 볼 때 원석을 채취하는 과정에서 자연환경 훼손이 불가피하고, 원석의 가공시에도 다량의 석분이 발생하여 환경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In addition, from an environmentally friendly point of view, damage to the natural environment is inevitable in the process of collecting ore, and a large amount of stone is generated even during processing of the ore, causing environmental problems.

따라서, 천연 현무암을 대체하여 천연 현무암에 최대한 가까운 외양을 지니면서도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하여 자연환경의 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인조 현무 암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며, 이러한 점은 관광지로서의 제주도에 있어서 그 필요성이 더욱 절실하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rtificial basalt which can replace natural basalt and have the appearance as close to natural basalt as possible but at the lowest cost to minimize the damage to the natural environment, and this is the necessity for Jeju Island as a tourist destination. This is even more urgent.

현재 현무암을 건축재료로 사용하는 몇 가지의 예를 들어 보면, 현무암을 자연상태로 채취한 뒤 그대로 높게 쌓아 벽이나 담을 축조하기도 하나, 안료의 첨가, 에폭시 수지의 첨가, 고온의 열처리 등을 거친 고급 건축석재로 상품화하여 제공하기도 하며, 건축석재로서의 강도나 방수성, 광택성 등을 보강하기 위하여 유약 및 열처리 가공 등을 거친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Some examples of current use of basalt as a building material include the collection of basalt, which is then stacked high to build walls or fences, but with the addition of pigments, the addition of epoxy resins, and high-temperature heat treatment. It is commercialized as a building stone and provided, and products that have undergone glazing and heat treatment have been released to reinforce strength, waterproofness, and gloss as building stone.

또한, 특허등록번호 제411745호에서는 주재료인 백토 및 흙점토를 혼합, 분쇄 및 압출 후 압출된 소지의 표면에 현무암 입자를 압착시키고, 이를 벽돌 형태로 성형한 후 건조 및 소성하여 건축용 벽돌을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된 바 있다.In addition, Patent No. 411745 discloses a method for manufacturing building bricks by mixing, grinding, and extruding basalt particles on the surface of an extruded body after mixing, pulverizing, and extruding the main materials, and molding and drying them in the form of bricks. The method has been disclosed.

그리고, 실용신안등록번호 제368274호에서는 천연 현무암과 시멘트, 모래, 석분, 자갈과 물을 혼합한 콘크리트 몰탈을 형틀에 성형하여 블록을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In additio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368274 disclos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lock by molding a concrete mortar mixed with natural basalt and cement, sand, stone powder, gravel and water into a mold.

그러나, 위에서 언급한 건축자재의 제조를 위해서는 여전히 적지않은 천연 현무암이 사용되어야 하므로 대량 생산에 많은 제약 및 어려움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However, it is true that there are still a lot of limitations and difficulties in mass production because a lot of natural basalt must still be used for the manufacture of the building materials mentioned above.

그 밖에 천연 현무암을 사용하지는 않으나 그것의 외형과 질감을 모방한 다양한 건축자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In addition, it does not use natural basalt, but various building materials that mimic its appearance and texture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가장 간단한 예로는 섬유 강화 플라스틱을 사용한 내장재 또는 섬유 강화 플라스틱 표면에 현무암 원석을 붙이는 방법 등이 있으며, 섬유 강화 플라스틱 내장 재의 경우 시각적인 효과를 유사하게 만들 수는 있지만 그 질감은 묘사할 수 없으며, 주로 실내 장식용 내장재로만 사용되고 실외의 벽이나 담과 같은 실외 자재로는 사용하지 않고 있다. The simplest examples include interior materials with fiber-reinforced plastic or basalt stones on the surface of fiber-reinforced plastics. Fiber-reinforced plastic interiors can make similar visual effects but cannot describe their texture. It is only used for interior decoration and is not used for outdoor materials such as walls or fences.

그리고, 공개특허 제1999-75834호에는 주로 지반 보강을 목적으로 하는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 및 그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이는 다공성이라는 점을 제외하면 그 외양에 있어서도 천연 현무암과는 많은 차이가 있다.In additio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999-75834 discloses a porous concrete block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mainly for the purpose of reinforcing soil, and there are many differences from natural basalt in its appearance except that it is porous.

또한, 공개특허 제2000-72274호에는 미세한 석분과 시멘트를 주원료로 하고 스티로폼을 이용하여 다공질 용암석 형태의 콘크리트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으나, 스티로폼을 이용하여 다수의 기공을 형성하는 과정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고, 기공을 형성하기 위한 용해제가 콘크리트의 내부까지 스며들기 어렵기 때문에 내부에 잔류하는 스티로폼으로 인하여 다공질 용암석 형태의 콘크리트의 강도가 현저히 저하되어 건축재료로 사용되기에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Patent Publication No. 2000-72274 discloses a method for producing a porous lava stone concrete using styrofoam as a main raw material and fine stone powder and cement, but many methods for forming a plurality of pores using styrofoam. It takes time and cost, and since the solvent to form pores is difficult to penetrate into the interior of the concrete, the strength of the porous lava stone concrete is greatly reduced due to the remaining styrofoam, so it is used as a building material. Has a difficult problem.

그 밖에 시멘트에 발포성 재료를 첨가하여 제조되거나, 현무암 석분에 수지를 혼합한 건축자재(실용신안등록번호 제385757호) 등이 있으며, 특허등록번호 제466528호,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74561호, 공개특허 제2003-39812호 등과 같이 인공으로 조성된 석재 등도 개발된 바 있다.In addition, there are building materials manufactured by adding foaming material to cement or mixing resin with basalt stone powder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385757), Patent Registration No. 466528,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74561, Publication Artificial stone, such as Patent No. 2003-39812, has been developed.

그러나, 상기와 같이 개시된 종래의 인공 건축자재의 경우, 조성 및 제조공정이 복잡하여 제조시 많은 노하우가 필요하며, 이들 건축자재를 대량으로 사용하여 천연석 표면 질감의 벽체 시공을 하기에는 가격 등 경제적인 측면에서 불리한 점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artificial building materials disclosed as described above, a lot of know-how is required in manufacturing due to the complicated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process, and economical aspects such as price to construct a wall of natural stone surface texture using a large amount of these building materials. Many disadvantages are true.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자연상태의 천연석을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플라스틱 성형틀을 제작하고, 이 플라스틱 성형틀에 시멘트, 자갈 등을 소정의 배합비로 혼합시킨 몰탈재료를 부은 후, 경화 및 탈형시키는 공정등을 통하여, 외표면의 질감 및 색채가 자연적인 천연석과 동일하면서 별도의 탈락 방지용 고정핀이 설치되어 제조된 고정핀이 설치된 천연석 질감의 인공 성형 스톤 타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finally produced a plastic molding mold using natural stone in a natural state, mortar mortar mixed with cement, gravel and the like in a predetermined mixing ratio After the material is poured, it is hardened and demolded to make artificial stone stone tiles of natural stone texture with fixing pins installed with separate pins for preventing fallout while the texture and color of the outer surface are the same as natural natural stones. The purpose is to provid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물, 시멘트, 모래, 자갈, 혼화제를 적절한 비율로 배합시킨 재료를 사용하여 천연석 표면 질감 및 색채의 외측 표면을 가지는 여러 가지 형상의 인공 천연석 타일로 성형되되, 습식 시공시의 부착 벽면에 발라진 몰탈에 매립 및 고정되어서 몰탈 양생 후 탈락을 방지하게 되는 다수개의 고정핀이 타일 외곽 변의 각 위치에서 돌출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핀이 설치된 천연석 질감의 인공 성형 스톤 타일을 제공한다.Using materials that contain water, cement, sand, gravel, and admixtures in appropriate proportions, they are molded into artificial natural stone tiles of various shapes with natural stone surface texture and color outer surface, and applied to the mortar applied to the wall of attachment during wet construction. The buried and fixed to provide a natural stone artificial molded stone tile is installed,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fixing pins are installed to protrude from each position of the outer edge of the tile to prevent falling after mortar curing.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핀은 타일 외곽 변의 각 위치에 일측이 삽입 고정된 상태에서 외부로 나와 있는 고정핀 부분이 후방 돌출 후 그 끝부분이 타일 외곽 라인으로부터 측방 돌출된 구조로 설치되어, 상기 측방 돌출된 끝부분이 이웃 시공된 스톤 타일의 안쪽으로 위치되게 매립되어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fixing pin is installed in a structure in which one end is fixed to the outer side of the tile outer line after the protruding rear portion of the fixing pin portion protruded from the rear in a state where one side is fixed to each position of the tile outer side, Side protruding en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struction is embedded to be located inside the neighboring stone tiles.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핀은 소정 폭 및 길이의 금속 판재가 2단으로 절곡되어 일측의 절곡된 부분이 타일 외곽 변의 각 위치에 삽입 고정된 상태에서 나머지 타측의 절곡된 부분이 후방 및 측방으로 돌출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more preferred embodiment, the fixing pin is bent in two stages of a metal plate of a predetermined width and length so that the bent portion of one side is inserted and fixed at each position of the outer edge of the tile and the other bent portion of the other side rear and sid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ding structure.

또한, 상기 고정핀의 측방 돌출된 끝부분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이 관통공을 통하여 벽면에 고정되는 앵커 또는 콘크리트 못에 의해서 벽면에 완전 고정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hrough-hole is formed in the side protruding end of the fixing pi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completely fixed to the wall by the anchor or concrete nail fixed to the wall through the through-hole.

또한, 상기 외측 표면이 천연 현무암의 표면 질감 및 색채와 동일하게 제작되어, 상기 외측 표면에 거칠고 불균일한 다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uter surface i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surface texture and color of the natural basalt,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surface has a rough and uneven pores formed.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tail as follows.

도 1 내지 도 9는 현무암을 이용하여 본 고안에 따른 천연석 질감의 스톤 타일을 제조하는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to 9 are perspective views sequentially showing a process of manufacturing a stone tile of natural stone tex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ing basalt.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환경친화적인 입장에서 천연석의 무절제한 채취를 크게 줄이는 동시에 천연석을 대체하고자 천연석의 표면 질감 및 색채가 동일하게 표현된 벽면 시공용 인공 성형 스톤 타일(stone tile)을 제공하는데 있는 바, 이러한 본 고안의 스톤 타일이 갖는 특징을 각 제조공정에 결부시켜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rtificially shaped stone tiles for wall construction in which the surface texture and color of natural stone are expressed in the same way to greatly reduce the unrestricted sampling of natural stones from an environmentally friendly point of view. Bar, described in sequence with the features of the stone til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ach manufacturing process as follows.

본 고안의 스톤 타일을 벽체에 적절히 배치하여 부착 시공한 후에 벽체의 외관상으로 드러나는 면은 스톤 타일의 외측 표면이 되며, 이 외측 표면상에 자연상태로 존재하는 천연석의 표면을 그대로 모사(模寫)하여 천연석의 표면 질감 및 색채가 표현된 스톤 타일을 제조한다.After properly arranging and attaching the stone til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wall, the exterior surface of the wall becomes the outer surface of the stone tile and simulates the surface of the natural stone existing in the natural state on the outer surface as it is. To produce a stone tile expressing the surface texture and color of the natural stone.

다음의 제조공정 설명은 현무암 원석을 이용하여 천연 현무암 질감을 가지는 스톤 타일의 제조공정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하는 바, 본 고안의 스톤 타일이 다음의 설명과 같이 현무암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면 질감이 미려하여 건축자재로서의 이용 가치가 있으면서 표면 모사가 용이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지는 자연상태의 천연석이라면 그 어떠한 것이라도 본 고안의 스톤 타일을 제조하는 데에 이용이 가능하다.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will be described taking a step of manufacturing a stone tile having a natural basalt texture using basalt ore as an example. It is limited that the stone ti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using basalt as described below. If the natural texture of the natural state of the surface texture is beautiful and has a value of use as a building material and easy to simulate the surface can be used to manufacture the stone tile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최초 공정으로서, 자연상태로 존재하는 현무암 원석 중에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면 질감을 모사하고자 하는 적절한 현무암 원석(12)을 선택한 후,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무암 원석(12)의 상부 표면에 우레탄(14)을 붓는다.First, as a first process, a suitable basalt ore 12 to simulate the surface texture is selected from the basalt ore existing in a natural state as shown in FIG. 1, and then, as shown in FIG. Pour urethane 14 onto the top surface.

여기서, 우레탄이 부어지는 현무암 원석(12)의 표면에는 탈형의 용이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이형유를 고르게 도포하되, 엔진오일과 일반경유를 5:1 비율로 혼합시킨 이형유를 고르게 도포한다.Here, the surface of the basalt stone 12 in which the urethane is poured is evenly applied to the release oil in order to provide easy demolding, and evenly applied to the release oil mixed with the engine oil and general diesel oil in a 5: 1 ratio.

현무암 원석은 채취 후 별도 장소로 옮기거나 가공하는 작업 없이 자연상태로 있는 현무암 원석을 그대로 이용하며, 따라서 최종 제조되는 스톤 타일(도 12의 도면부호 32임)의 형상은 선택된 현무암 원석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되고, 채취 및 가공작업 없이 현무암 원석을 자연상태 그대로 이용하므로 스톤 타일을 보 다 대형화하여 제조할 수 있는 등 제조하고자 하는 스톤 타일의 규격에 아무런 제약이 없게 된다.Basalt ore is used as a basalt ore in its natural state without moving or processing to a separate place after collection, and thus the shape of the final stone stone (32 is shown in Figure 12) is a variety of shapes depending on the selected basalt ore It is manufactured by using the basalt ore as it is without collecting and processing work as it is in the natural state, so there is no restriction in the size of the stone tile to be manufactured, such as to make the stone tile larger than the size.

상기와 같이 우레탄(14)을 붓는 과정에서, 현무암 원석(12)의 상부 표면을 소정 두께로 덮도록 우레탄(14)을 붓게 되며, 경화된 우레탄은 후에 현무암 원석(12)의 표면이 모사된 실리콘 블록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틀(16)이 되는 바, 이 우레탄 성형틀(16)의 측면이 바닥면과 함께 형성될 수 있도록 우레탄(14)을 현무암 원석(12)의 상면은 물론 그 둘레를 따르는 상부 측면에도 소정 두께로 덮어준다. In the process of pouring the urethane 14 as described above, the urethane 14 is poured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basalt gemstone 12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the cured urethane is the silicon of which the surface of the basalt gemstone 12 is later simulated. It becomes a mold 16 for molding a block, and the urethane 14 is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top surface of the basalt stone 12 so that the side surface of the urethane mold 16 can be formed together with the bottom surface. The upper side is also covered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이때 현무암 원석(12)의 상부 측면에 둘레를 따라 별도의 철판틀(15)을 갖다 대어 고정한 후 우레탄(14)이 측면상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urethane 14 may be prevented from flowing down on the side after fixing by applying a separate iron plate 15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side of the basalt stone 12.

다음으로, 우레탄(14)이 완전히 경화되고 나면 현무암 원석(12)으로부터 탈형시키고, 이와 같이 탈형시킨 경화된 우레탄, 즉 우레탄 성형틀(16)을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래(17) 위에 뒤집어서 배치시킨다.Next, after the urethane 14 is completely cured, it is demolded from the basalt gemstone 12, and the cured urethane, that is, the urethane mold 16, demolded in this way is turned over on the sand 17 as shown in FIG. Place it.

이때 상기 우레탄 성형틀(16)의 내측면(17)에는 현무암 원석의 표면 질감, 즉 거칠고 불균일한 다공을 갖는 표면이 그대로 나타난 상태가 된다.At this time, the inner surface 17 of the urethane mold 16 is in a state where the surface texture of the basalt gemstone, that is, the surface having rough and non-uniform pores.

이어서, 상기 우레탄 성형틀(16)의 내부에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상의 실리콘(18)을 부어서 경화시킨 후 이와 같이 성형된 실리콘 블록체(20)를 탈형시키는 단계를 진행하는 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화/탈형된 실리콘 블록체(20)는 최초 현무암 원석(12)의 상부 표면과 동일한 형상 및 면적을 가지며, 특히 현무암 원석(12)의 표면 질감과 동일한 질감이 실리콘 블록체(20)의 표면에 그대로 나타나게 된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4, the liquid silicone 18 is poured into the urethane mold 16 and cured, followed by demolding the molded silicone block 20. As shown in Fig. 5, the cured / deformed silicon block body 20 has the same shape and area as the upper surface of the original basalt gemstone 12, and in particular the same texture as the surface texture of the basalt gemstone 12. It will appear as it is on the surface of (20).

바람직한 상기 액상의 실리콘은 경화속도를 빠르게 얻기 위하여 실리콘 주제와 경화제가 10:1로 혼합된 것을 사용한다.Preferred liquid silicones are those in which a silicone main material and a curing agent are mixed at a ratio of 10: 1 to obtain a fast curing rate.

다음으로, 시공하고자 하는 벽체에 대하여 소정 면적 벽면의 전체에 고르게 배치하여 부착할 수 있는 여러 형상의 스톤 타일들을 성형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하나의 평면상에 조합이 가능한 여러 형상의 실리콘 블록체(20)들을 성형 제조하는 바, 이때 성형되는 실리콘 블록체(20)의 형상에 맞게 다양한 형상의 현무암 원석들을 골라서 이용하게 된다.Next, in order to form and manufacture stone tiles of various shapes that can be attached and evenly disposed on the entire wall of a predetermined area with respect to the wall to be constructed, various shapes of silicon that can be combined on one plane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Bar blocks 20 are manufactured by molding, in which case basalt stones of various shapes are selected and us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silicon block body 20 to be molded.

이후, 상기와 같이 성형 제조한 복수개의 실리콘 블록체(20)들을 두께 등이 일정하게 되도록 적절히 가공한 후,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성형용 철판틀(22)의 안쪽으로 배치하는 단계를 진행한다.Thereafter, the plurality of silicon block bodies 20 molded and manufactured as described above are appropriately processed to have a constant thickness and the like, and then the steps of arranging the inner side of the forming iron plate frame 22 as shown in FIG. 6 are performed. do.

이때 각 실리콘 블록체(20)들을 성형용 철판틀(22) 내에 서로 이격 배치하고, 성형용 철판틀(22)과 실리콘 블록체(20)의 외측면간도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한다.In this case, the silicon block bodies 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orming iron plate frame 22, and the outer side surfaces of the forming iron plate frame 22 and the silicon block body 20 are also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다음으로, 상기 성형용 철판틀(22)의 안쪽으로 용융상태의 플라스틱 재료(24)를 부어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실리콘 블록체간의 이격공간과 상면에 걸쳐서 플라스틱 재료(24)를 채우는 동시에 경화시키는 단계를 진행한다.Next, the plastic material 24 in the molten state is poured into the forming steel plate 22, and the plastic material 24 is fi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silicon block bodies and the upper surface as shown in FIG. At the same time proceed to the curing.

플라스틱 재료(24)를 붓는 과정에서 상기 우레탄을 채우는 것과 동일하게 성형용 철판틀(22)의 높이까지 플라스틱 재료(24)를 완전히 채워 부어줌으로써, 하측의 실리콘 블록체들이 플라스틱 재료(24)에 의해 완전히 덮힌 상태로 가려져 보이지 않게 한다.By pouring the plastic material 24 completely up to the height of the forming steel plate 22 in the process of pouring the plastic material 24, the lower silicon block bodies are formed by the plastic material 24. It is completely covered and hidden from view.

한편, 상기 플라스틱 재료(24)를 부어주는 이유는 본 고안의 스톤 타일 제조를 위한 제품 성형용 성형틀(26)을 만들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적용되는 바람직한 플라스틱 재료(24)는 DOP 30Kg, 연질 PVC분말 20Kg, PVC열안정제 600g, 탄산칼슘 30Kg을 혼합시킨 후, 약 200∼250℃로 1시간 동안 교반시킨 것을 사용한다.On the other hand, the reason for pouring the plastic material 24 is to make a molding die 26 for forming a product for the production of stone til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ferred plastic material 24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OP 30Kg, soft 20Kg of PVC powder, 600g of PVC thermal stabilizer, and 30Kg of calcium carbonate are mixed, followed by stirring at about 200 to 250 ° C for 1 hour.

따라서, 상기와 같이 경화된 플라스틱 재료(24)를 실리콘 블록체(20)로부터 탈형시킴으로써 본 고안의 스톤 타일 제조를 위한 제품 성형용 성형틀(26)이 만들어지고, 여기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품 성형용 성형틀(26)의 상면에는 각 실리콘 블록체 형상의 탈형자리면(28)이 형성된 상태가 되는데, 특히 이 탈형자리면(28)에는 현무암 원석의 표면 질감, 즉 거칠고 불균일한 다공을 갖는 표면이 그대로 나타난 상태가 된다.Thus, by demolding the plastic material 24 cured as described above from the silicon block body 20, a molding die 26 for forming a product for producing a stone ti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as shown in FIG. In the upper surface of the molding die 26 for forming the product is a state in which the demolding surface 28 of each silicon block shape is formed, in particular, the demolding surface 28 is a surface texture of the basalt stone, that is, rough and uneven pores. The surface having the is intact.

다음 단계로서, 상기 제품 성형용 성형틀(26)의 각 실리콘 블록체 탈형자리면(28)에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 시멘트, 모래, 자갈, 혼화제가 소정의 비율로 배합된 몰탈재료(30)를 진동을 주면서 충전(充塡)시킨 후, 증기 및 열로 양생시키는 단계를 진행시킨다.As a next step, a mortar material in which water, cement, sand, gravel, and admixture are mixed in a predetermined ratio on each silicon block body demolding surface 28 of the molding die 26 for forming the product, as shown in FIG. After filling (30) with vibration, the step of curing with steam and heat proceeds.

바람직하기로는, 몰탈재료(30)가 충전된 제품 성형용 성형틀(26)을 양생실의 내부에 배치시키고, 증기 및 열로 양생시키되, 양생실의 온도를 40℃로 유지시키면서 8시간 동안 진행시킨다.Preferably, the molding mold 26 for molding a product filled with the mortar material 30 is disposed inside the curing chamber, and cured with steam and heat, and the curing chamber is proceeded for 8 hours while maintaining the temperature of the curing chamber at 40 ° C. .

상기 몰탈재료(30)가 양생되고 난 후 탈형시킨 것이 바로 본 고안의 스톤 타일(32)이 된다.After the mortar material 30 is cured, it is demolded to become the stone tile 32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때 상기 물, 시멘트, 모래, 자갈, 혼화제의 배합비는 호칭강도에 따라 조 금씩 달라지는데, 그 표준시방 배합비는 다음의 표 1과 같다.At this time, the mixing ratio of the water, cement, sand, gravel, admixture is sligh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nominal strength, the standard specification is as shown in Table 1 below.

Figure 112005058690603-utm00001
Figure 112005058690603-utm00001

아울러, 천연석 현무암의 색채를 그대로 표현하기 위한 색소, 예를 들어 검은 색 계통의 색소를 시멘트 전체 중량의 1 ~ 3% 정도로 추가 첨가할 수 있다.In addition, a pigment for expressing the color of the natural stone basalt as it is, for example, a black pigment may be added to about 1 to 3% of the total weight of the cement.

상기와 같이 실시되는 스톤 타일 제조과정에서, 하나의 실리콘 블록체를 성형용 철판틀 내에 배치한 후, 이 성형용 철판틀 내에 플라스틱 재료를 부어 경화시키고, 이후 플라스틱 재료가 완전히 경화된 후 탈형시킨 하나의 제품 성형용 성형틀을 이용하여 스톤 타일 하나를 낱개로 성형 제조할 수도 있다.In the stone tile manufacturing process carried out as described above, one silicon block body is placed in a forming steel plate, and then a plastic material is poured into the forming steel plate to cure, and then the plastic material is completely cured and then demolded. It is also possible to manufacture a single stone tile using a molding die for molding a product.

다만, 이 경우에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여러 개의 실리콘 블록체를 이용하여 소정 면적의 벽면 전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스톤 타일을 동시에 성형 제조하는 것에 비해서는 공정수가 많아질 수 있다. However,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he number of processes may be increased compared to simultaneously forming and manufacturing a plurality of stone tiles disposed on the entire wall surface of a predetermined area using a plurality of silicon block bodies.

한편, 본 고안의 스톤 타일은, 추후 습식 시공 후 탈락이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와 같이 몰탈재료(30)가 제품 성형용 성형틀(26)의 각 탈형자리면(28)에 충전된 상태에서 몰탈재료(30)가 양생되기 전에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핀(33)을 심어서 제조한 것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stone ti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mortar material 30 is filled in each of the deformed seat surface 28 of the molding die 26 for forming a product, as described above, so that dropping after the wet construction can be prevented. Before the mortar material 30 is cur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nufactured by planting the fixing pin 33 as shown in FIG.

도 10은 본 고안의 각 스톤 타일에 고정 설치되어서 스톤 타일의 벽면 부착시에 벽면의 몰탈 내에 매립되어 스톤 타일을 벽면에 견고히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 즉 상기 고정핀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의 제조과정에서 제품 성형용 성형틀 내에 몰탈재료가 충전된 후 고정핀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fixing means that is fixed to each stone ti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mbedded in the mortar of the wall when the wall surface of the stone tile is attached, that is, the fixing pin for fixing the stone tile to the wall firmly,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pin is installed after the mortar material is filled in the mold for forming a product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최종 완성된 본 고안의 스톤 타일을 도시한 후면 사시도이다.1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stone ti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nal completed.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핀(33)으로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 폭 및 길이의 금속 판재를 2단으로 절곡시켜 제작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as the fixing pin 33 can be produced by bending the metal plate of a predetermined width and length in two stages as shown in FIG.

상기 고정핀(33)은 그 일측이 양생 중인 스톤 타일의 몰탈재료(30) 내부에 심어져서 스톤 타일(32)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는 바, 설치 후 그 절곡된 형상에 의해 상기 일측이 스톤 타일(32)에 고정된 상태로 그 타측은 스톤 타일(32)의 후면, 즉 스톤 타일(32)의 벽면 부착면으로부터 일정 정도 후방 돌출되는 구조가 된다.The fixing pin 33 is planted inside the mortar material 30 of the stone tile in which one side is being cured and is fixedly installed in the stone tile 32. The one side is a stone tile by the bent shape after installation. In the state fixed to (32), the other side is a structure which protrudes to some extent back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stone tile 32, ie, the wall surface of the stone tile 32.

특히, 상기 고정핀(33)은 최종 완성된 스톤 타일(32)에서 외부로 나와 있는 고정핀 부분이 상기와 같이 후방 돌출되는 동시에 그 끝 부분이 스톤 타일(32)의 외곽 라인에서 측방으로 돌출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In particular, the fixing pin 33 is projected to the rear of the fixed pin portion outward from the final stone tile 32 as described above and the end portion protrudes laterally from the outer line of the stone tile 32 Is installed as a structure.

상기와 같은 고정핀(33)은 다양한 형상으로 성형되는 스톤 타일(32)에 대하여 다수개가 전 둘레에 걸쳐 고르게 적절한 위치에 외곽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설치되는 갯수는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하다.The fixing pin 33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so that a plurality of the stone tiles 32 are formed in various shapes to protrude outwardly at an appropriate position evenly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the number of the installed can be variously changed.

즉, 도 12를 참조하면 스톤 타일(32)의 전 둘레에 걸쳐 총 7개의 고정핀(33)이 설치되고 있으나, 스톤 타일의 크기에 따라 그 이상 또는 그 이하로도 설치가 가능하다.That is, referring to FIG. 12, a total of seven fixing pins 33 are installed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stone tile 32, but may be installed more or less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stone tile.

그리고, 본 고안에서 상기 고정핀(33)의 형상은 도시한 예로 한정되지는 않으며, 고정핀이 다양한 형상 및 크기로 적용 가능하다.In addition, the shape of the fixing pin 33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example, the fixing pin can be applied in various shapes and sizes.

예컨대, 성형 제조되는 스톤 타일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클 경우에는 길이 및 폭을 보다 크게 하여 제작된 고정핀이 사용될 수 있고, 필요에 의해 금속 판재가 아닌 절곡 형성된 금속 로드(rod), 즉 금속 선재를 절곡시켜 제작한 고정핀이 사용될 수도 있다. For example, when the size of the stone tiles to be manufactured is relatively large, a fixed pin made by increasing the length and width may be used, and a metal rod, that is, a metal wire, which is bent instead of a metal plate, may be used as necessary. Bending pins may also be used.

또한, 대형의 스톤 타일(32)을 제작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앵커 또는 콘크리트 못(도 14b에서 도면부호 35임)에 의한 벽면 고정이 가능하도록 스톤 타일(32)의 측방으로 돌출되는 고정핀 부분에 앵커 또는 콘크리트 못(35)이 관통하게 되는 관통공(34)을 형성시킨 고정핀(33)이 사용될 수도 있다(도 10의 우측 도면 참조). In addition, in the case of manufacturing a large stone tile 32, as described later, fixing pins protruding to the side of the stone tile 32 to enable wall fixing by anchors or concrete nails (35 in Figure 14b). A fixing pin 33 having a through hole 34 through which the anchor or concrete nail 35 penetrates may be used (see the right figure of FIG. 10).

상기와 같이 고정핀(33)을 설치한 후 몰탈재료(30)가 완전히 양생되고 나면, 마지막으로 제품 성형용 성형틀(26)로부터 양생된 몰탈재료(30)를 탈형시키는 바, 이와 같이 탈형 후의 최종 제품이 바로 본 고안의 인공 성형 스톤 타일(32)이다.After the mortar material 30 is completely cured after the fixing pin 33 is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the cured mortar material 30 is finally demolded from the molding die 26 for forming a product. The final product is the artificial shaped stone tile 32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은 제조공정을 거친 본 고안의 스톤 타일(32)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핀(33)이 일체로 설치된 제품형태로 제공되며, 그 외측 표면에 천연 현무암 원석의 표면 질감, 즉 거칠고 불균일한 다공성을 갖는 표면이 그대로 표현되어 마치 천연 현무암과 같이 보여지게 된다.The stone tile 32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has undergone the manufacturing process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product in which the fixing pins 33 are integrally installed as shown in FIG. 12, and the surface texture of the natural basalt ore, that is, rough The surface with non-uniform porosity is expressed as it is and looks like natural basalt.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스톤 타일(32)은 대략 2 ~ 5cm의 두께로 성형 제조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stone tile 32 may be molded to a thickness of approximately 2 ~ 5cm.

상기의 제조공정 설명에서 현무암 원석을 사용하여 천연 현무암 질감을 가지는 스톤 타일의 제조공정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하였는 바, 본 고안의 스톤 타일이 반드시 현무암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면 질감이 미려하여 건축자재로서의 이용 가치가 있으면서 자연상태로 이용이 가능한 천연석이라면 그 어떠한 것이라도 본 고안의 스톤 타일 제조에 적용이 가능하다.In the description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described above using a basalt stone,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a stone tile having a natural basalt texture as an example, the stone ti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being manufactured using basalt, the surface texture Any beautiful stone that can be used in a natural state while being valuable as a building material can be applied to the manufacture of the stone ti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고안의 스톤 타일이 벽체에 시공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4a와 도 14b는 본 고안의 스톤 타일이 벽체에 시공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FIG. 13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tone tile of the present invention manufactured as described above is constructed on a wall, and FIGS. 14A and 14B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tone ti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on a wall.

상기와 같이 제조된 천연석 질감의 인조 스톤 타일(32)을 선시공한 건축물 벽체, 즉 건축물의 각종 외벽이나 내벽, 또는 실외 담장의 벽면에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절히 조립 배치하여 부착 시공함으로써, 자연적인 천연석의 외적인 미감(표면 질감)이 표출되는 벽체의 시공이 가능해진다.The natural stone texture artificial stone tile 32 manufactured as described above is prefabricated to the building wall, that is, various exterior walls or inner walls of the building, or the wall surface of the outdoor fence as shown in FIG. It is possible to construct walls that express the external aesthetics (surface texture) of natural stone.

즉, 본 고안의 인조 스톤 타일(32)을 벽면에 간편하게 부착 시공하게 되면 마치 천연 원석을 축조하여 시공한 벽과 같은 느낌을 줄 수 있게 된다.In other words, when the artificial stone tile 3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asily attached to the wall construction, it is possible to give a feeling like a wall constructed by constructing a natural gemstone.

본 고안의 인조 스톤 타일(32)을 벽체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벽면(41)에 몰탈(또는 접착제)(42)을 바른 후 양생시켜, 양생된 몰탈의 접착력에 의해 타일(32)이 벽면에 고정될 수 있게 하는 습식 시공법이 이용된다.In order to attach the artificial stone tile 32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wall, the mortar (or adhesive) 42 is applied to the wall surface 41 and cured, and the tile 32 is fixed to the wall by the adhesive force of the cured mortar. Wet construction methods are used.

도 13와 도 14a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스톤 타일이 벽면에 습식 시공되는 예를 설명하면, 시공하고자 하는 벽면(41) 전체에 양생 후 접착력을 제공하게 되는 통상의 몰탈(또는 접착제)(42)을 일정 두께로 고루 바른다.Referring to an example in which the stone ti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et-installed on the wall surface with reference to FIGS. 13 and 14a, a conventional mortar (or adhesive) 42 which provides adhesive strength after curing on the entire wall surface 41 to be constructed Apply evenly to a certain thickness.

이어 스톤 타일(32)을 몰탈(42) 위에 갖다 댄 후 그 외부 표면에 힘을 가해서 각 고정핀(33)이 몰탈(42) 내부에 매립되도록 스톤 타일을 벽면(41)에 부착하고, 고정핀(33)들이 매립된 부분에 추가적으로 몰탈을 바른다. The stone tile 32 is then placed on the mortar 42 and a force is applied to its outer surface to attach the stone tile to the wall 41 so that each fixing pin 33 is embedded in the mortar 42. (33) Apply additional mortar to the buried portion.

이후, 측방으로 다른 스톤 타일(32)을 동일 방법으로 부착하되, 먼저 부착된 스톤 타일의 고정핀(33)이 나중에 부착된 스톤 타일의 안쪽으로 위치되도록 부착한다.Thereafter, the other stone tiles 32 are laterally attached in the same way, but the fixing pins 33 of the first attached stone tiles are attached so as to be positioned inward of the stone tiles attached later.

이러한 부착 방법을 반복하여 전체 벽면에 스톤 타일(32)을 모두 부착시키고, 최종적으로 스톤 타일(32)의 경계선, 즉 스톤 타일간의 각 틈을 모두 채움재(43)로 메워 마감한다.Repeat this attachment method to attach all of the stone tiles 32 to the entire wall surface, and finally to fill the boundary 43 of the stone tiles 32, that is, each gap between the stone tiles filled with the filler 43.

한편, 본 고안의 스톤 타일이 대형으로 제조되는 경우, 각 스톤 타일의 자체 중량이 크기 때문에 벽체로부터 뜻하지 않게 탈락될 수 있는 바, 이는 몰탈의 접착력이 대형 스톤 타일의 중량을 지지하지 못하거나, 시공인부의 부주의에 의한 시공 불량이 원인이 될 수 있는데, 시공 후 스톤 타일이 탈락하는 경우 사고 발생의 큰 위험이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stone ti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in large size, because the weight of each stone tile is large, it can be inadvertently dropped from the wall, which means that the adhesion of mortar does not support the weight of the large stone tile, or construction Inadequate construction may be caused by carelessness of the worker. If the stone tile is dropped after construction, there is a great risk of an accident.

이러한 대형 스톤 타일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대형 스톤 타일(32)의 경우에는 관통공(34)이 형성된 고정핀(33)을 설치하고, 시공과정에서 앵커 또는 콘크리트 못(35)을 고정핀의 관통공(34)에 삽입하여 벽면(벽체)(41)에 박아줌으로써 앵커 또는 콘크리트 못(35)에 의해 스톤 타일(32)이 벽면(41)에 보다 견고히 고정될 수 있게 한다.In order to prevent the fall of such a large stone tile, in the case of the large stone tile 32 is provided with a fixing pin 33 formed with a through hole 34, the anchor or concrete nail 35 in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fixing pin It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34 and embedded in the wall (wall) 41 so that the stone tile 32 can be more firmly fixed to the wall 41 by the anchor or the concrete nail 35.

상기 앵커 또는 콘크리트 못(35)의 시공은 시공현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콘크리트 타카 등을 이용하여 시공한다.The construction of the anchor or concrete nail 35 is constructed using a concrete taka widely used in the construction site.

이와 같이 하여, 본 고안은 건축물이나 토목현장, 조경현장의 건축물 벽체나 옹벽 외벽에 부착되어 내구성을 높여주면서 그 외관을 미려하게 장식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건축, 토목, 조경용 인조 스톤 타일에 관한 것으로, 이에 의해 천연석의 표면 질감을 가지면서 주변 환경과 잘 어울리는 친환경적인 자연석 외양의 벽체 시공이 가능해진다.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rtificial stone tile for architecture, civil engineering, and landscaping, which is attached to a building wall or retaining wall outer wall of a building, a civil engineering site, or a landscaping site to enhance the durability and to beautifully decorate its exterior.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wall of eco-friendly natural stone that has a surface texture of natural stone and matches well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상기한 본 고안의 인공 성형 스톤 타일은 앞서 설명한 벽면 타일 외에 바닥 타일로도 사용이 가능한 바, 예를 들어 정원 조경용 바닥재나 바닥 디딤돌로 사용될 수 있으며, 시공시의 부착방법은 고정핀을 사용하는 것 등이 앞서 설명한 벽면 시공시와 동일하다.The artificial molded stone til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floor tile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wall tile, for example, it can be used as a flooring or floor stepping stone for garden landscaping, and the attachment method for construction is to use a fixing pin. The back is the same as the wall construction described above.

종래 습식 타일류의 시공시에는 시공인부의 부주의나 시공 후 계절적 영향(결빙 혹은 혹서)으로 인하여 습식 시공법이 갖고 있는 문제점, 즉 타일이 탈락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고안의 인조 스톤 타일의 경우 벽체에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 및 고정시킬 수 있는 별도 고정핀이 설치됨으로써, 시공 후 탈락하는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게 된다. In the case of conventional wet tile construc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wet construction method had due to the carelessness of the construction worker or seasonal effects (freezing or heat) after construction, that is, the tile fell off, but in the case of the artificial stone til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separate fixing pin that can be supported and fixed more stably is installed, the problem of dropping after construction can be eliminated.

또한, 본 고안에서 고정핀에 앵커 또는 콘크리트 못을 박아 벽체에 완전 고정하는 방식을 이용하므로, 천연석 표면 질감을 가지는 대형 인조 스톤 타일의 공급이 가능해지며, 이는 토목현장의 콘크리트 옹벽과 같은 대형 구조물 벽체에 시공이 가능하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nchor pin or concrete nail is fixed to the wall to completely fix the wall, so that it is possible to supply a large artificial stone tile having a natural stone surface texture, which is a large structure wall such as a concrete retaining wall of a civil engineering site. Construction is possible.

종래 몰탈을 이용한 타일의 제조과정에서 반죽한 몰탈을 금형에 투입, 진동시키면 슬러그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 슬러그가 몰탈의 침전과정에서 수분과 함께 표면으로 떠오른 후 양생과정에서 수분은 증발하고 표면에는 피막이 형성된다.Slug is generated when the mortar knead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tile using the conventional mortar and vibrates into the mold, and the slug rises to the surface with moisture during the precipitation of the mortar, and the water evaporates during the curing process and the film is coated on the surface. Is formed.

이 피막은 시공된 벽체가 외부의 온도에 의하여 수축, 팽창의 과정을 반복하게 될 때 분리현상을 유발하므로 종래에는 작업자가 아무리 노력하여도 타일의 탈락은 불가피하게 발생된다.This coating causes a separation phenomenon when the constructed wall is repeatedly contracted and expanded by external temperature. Thus, in the conventional art, the tile is inevitably generated no matter how hard the operator tries.

따라서, 건축물의 벽체에 부착하는 목적으로 만들어지는 종래의 습식 타일의 경우, 토목현장의 대형 구조물에는 적용이 어려운 소형 규격이 될 수밖에 없다.Therefore,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wet tile made for the purpose of attaching to the wall of the building, it is bound to be a small standard that is difficult to apply to large structures of civil works.

이와는 달리 본 고안의 인조 스톤 타일은 별도 고정핀을 구비하므로 대형 규격으로도 공급이 가능하며, 특히 상기 고정핀의 경우 다양한 형상의 인조 스톤 타일에 두루 적용이 가능하므로 하나의 벽체에 다양한 형상을 가지는 여러 종류의 스톤 타일을 동시에 시공할 수 있게 되는 바, 보다 자연스러운 천연석 외관의 벽체 시공이 가능해진다는 장점을 가진다. On the other hand, the artificial stone til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eparate fixing pin, so that it can be supplied in a large size, and in particular, the fixing pin can be applied to various shapes of artificial stone tiles, and thus has various shapes on one wall. Since various types of stone tiles can be constructed at the same time, the natural wall of natural stone appearance can be construct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고정핀이 설치된 천연석 질감의 인공 성형 스톤 타일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artificial molded stone tile of the natural stone texture provided with the fixing p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are obtained.

1)천연석의 표면 질감을 가지면서 주변 환경과 잘 어울리는 친환경적인 자연 석 외양의 벽체 시공이 가능해진다.1) With natural stone surface texture,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n eco-friendly natural stone wall that matches well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2)천연석이 포함되지 않은 건축자재로서, 천연석을 성형틀 제조에만 이용하므로, 무절제한 천연석 채취 및 자연 훼손을 유발하지 않으며, 낮은 제조비용으로 사실적이고 자연스러운 질감이 표현된 인조석 타일의 제공이 가능해진다.2) As a building material that does not include natural stones, natural stone is used only for the production of molding molds, so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artificial stone tiles with realistic and natural textures at low manufacturing costs without causing uncontrolled natural stone collection and natural damage. .

3)제조방법 및 공정이 비교적 간단하고, 대량 생산에 특별한 제약 및 어려움이 없으며, 특정 성분 조합에 의한 질감 모사가 아니므로 강도 저하 등의 문제가 없다. 3) The manufacturing method and process is relatively simple, there are no special restrictions and difficulties in mass production, and there is no problem of strength reduction, because it is not a texture simulation by a specific component combination.

4)벽체에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 및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핀이 설치됨으로써, 습식 시공의 문제점, 즉 타일이 탈락하는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게 된다. 4) By the fixing pin that can be supported and fixed to the wall more stably, the problem of wet construction, that is, the problem that the tiles fall off can be solved.

5)고정핀에 앵커 또는 콘크리트 못을 박아 벽체에 완전 고정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천연석 표면 질감을 가지는 대형 인조 스톤 타일의 공급이 가능해지고, 토목현장의 콘크리트 옹벽과 같은 대형 구조물 벽체에 시공이 가능하다. 5) It is possible to use anchoring or concrete nails on the fixing pins to completely fix them to the wall, so that large artificial stone tiles with natural stone surface texture can be supplied, and construction on large wall structures such as concrete retaining walls in civil works It is possible.

6)특히, 현무암 원석을 채취 및 가공하지 않고 자연상태에서 그대로 이용하므로 스톤 타일을 보다 대형화하여 제조할 수 있는 등 제조하고자 하는 스톤 타일의 규격에 아무런 제약이 없게 된다. 6) In particular, since the basalt ore is not collected and processed, it is used in its natural state, so that the stone tile can be manufactured in a larger size.

7)본 고안에 적용되는 고정핀은 다양한 형상의 인조 스톤 타일에 두루 적용이 가능하므로 하나의 벽체에 다양한 형상을 가지는 여러 종류의 스톤 타일을 동시에 시공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시공은 일정 형상 및 크기를 가지는 규격화된 타일의 시공과는 분명한 차이가 있으며, 보다 자연스러운 천연석 외관의 벽체 시공이 가능해지는 장점을 제공한다.7) Since the fixing pin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rtificial stone tiles of various shapes, it is possible to construct various types of stone tiles having various shapes on one wall at the same time. In other words, the constr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learly different from the construction of the standardized tile having a certain shape and size, and provides the advantage that the wall construction of the natural stone appearance is more natural.

Claims (5)

물, 시멘트, 모래, 자갈, 혼화제를 적절한 비율로 배합시킨 재료를 사용하여 천연석 표면 질감 및 색채의 외측 표면을 가지는 여러 가지 형상의 인공 천연석 타일로 성형되되, 습식 시공시의 부착 벽면에 발라진 몰탈에 매립 및 고정되어서 몰탈 양생 후 탈락을 방지하게 되는 다수개의 고정핀이 타일 외곽 변의 각 위치에서 돌출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핀이 설치된 천연석 질감의 인공 성형 스톤 타일.Using materials that contain water, cement, sand, gravel, and admixtures in appropriate proportions, they are molded into artificial natural stone tiles of various shapes with natural stone surface texture and color outer surface, and applied to the mortar applied to the wall of attachment during wet construction. A natural stone artificial stone stone formed of a natural stone tex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ed pins are installed to be embedded and fixed so that a plurality of fixing pins to prevent falling after curing mortar curing protrudes at each position of the outer edge of the tile.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고정핀은 타일 외곽 변의 각 위치에 일측이 삽입 고정된 상태에서 외부로 나와 있는 고정핀 부분이 후방 돌출 후 그 끝부분이 타일 외곽 라인으로부터 측방 돌출된 구조로 설치되어, 상기 측방 돌출된 끝부분이 이웃 시공된 스톤 타일의 안쪽으로 위치되게 매립되어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핀이 설치된 천연석 질감의 인공 성형 스톤 타일. The fixing pin has a fixed pin portion coming out from the outside in the state that one side is inserted fixed to each position of the tile outer side after the rear end is installed in a structure that protrudes laterally from the tile outer line, the side protruding end An artificial molded stone tile having a natural stone texture with a fixing pin installed therein, which is embedded to be placed inside the neighboring stone tile.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상기 고정핀은 소정 폭 및 길이의 금속 판재가 2단으로 절곡되어 일측의 절 곡된 부분이 타일 외곽 변의 각 위치에 삽입 고정된 상태에서 나머지 타측의 절곡된 부분이 후방 및 측방으로 돌출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핀이 설치된 천연석 질감의 인공 성형 스톤 타일. The fixing pin has a structure in which a metal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length is bent in two stages so that the bent portion of one side is inserted and fixed at each position of the tile outer side and the other bent portion protrudes rearward and sideward. Artificial stone pattern of natural stone texture with a fixed pin.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고정핀의 측방 돌출된 끝부분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이 관통공을 통하여 벽면에 고정되는 앵커 또는 콘크리트 못에 의해서 벽면에 완전 고정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핀이 설치된 천연석 질감의 인공 성형 스톤 타일.A through hole is formed at the side protruding end of the fixing pin, and the artificial stone of the natural stone texture with the fixing pin installed on the wall surface can be completely fixed by the anchor or concrete nail fixed to the wall through the through hole. Molded Stone Tiles.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외측 표면이 천연 현무암의 표면 질감 및 색채와 동일하게 제작되어, 상기 외측 표면에 거칠고 불균일한 다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핀이 설치된 천연석 질감의 인공 성형 스톤 타일.The outer surface is made of the same as the surface texture and color of the natural basalt, the artificial stone stone tile of the natural stone texture with a fixed pin is installed, characterized in that the rough and uneven pore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KR2020050029505U 2005-10-18 2005-10-18 Artificial stone tile for wall having texture of natural stone KR20040506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505U KR200405063Y1 (en) 2005-10-18 2005-10-18 Artificial stone tile for wall having texture of natural st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505U KR200405063Y1 (en) 2005-10-18 2005-10-18 Artificial stone tile for wall having texture of natural st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5063Y1 true KR200405063Y1 (en) 2006-01-10

Family

ID=41756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9505U KR200405063Y1 (en) 2005-10-18 2005-10-18 Artificial stone tile for wall having texture of natural st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5063Y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0179B1 (en) 2005-11-30 2007-05-18 김정석 Retaining pattern of concrete wall manufacturing method
KR101944212B1 (en) 2018-02-09 2019-01-30 채승완 Apparatus and method for installing interior finishing material of a building
KR101944213B1 (en) 2018-02-09 2019-01-30 채승완 Apparatus and method for installing interior finishing material of a building
KR20210096727A (en) * 2020-01-28 2021-08-06 (주)극동엔지니어링 Lightweight stone deck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0179B1 (en) 2005-11-30 2007-05-18 김정석 Retaining pattern of concrete wall manufacturing method
KR101944212B1 (en) 2018-02-09 2019-01-30 채승완 Apparatus and method for installing interior finishing material of a building
KR101944213B1 (en) 2018-02-09 2019-01-30 채승완 Apparatus and method for installing interior finishing material of a building
KR20210096727A (en) * 2020-01-28 2021-08-06 (주)극동엔지니어링 Lightweight stone deck
KR102341131B1 (en) * 2020-01-28 2021-12-22 (주)극동엔지니어링 Lightweight stone dec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62360B2 (en) Concrete mosaic
US20210270043A1 (en) Simulated Rock Panels
CN105316988A (en) Permeable terrace brick manufacturing method
KR200405063Y1 (en) Artificial stone tile for wall having texture of natural stone
US20020100241A1 (en) Sheet of articulated masonry-like unit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20060026919A1 (en) Imitation stone siding system
KR100900155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double-sided natural stone block
US5451620A (en) Methods of producing light weight cement-like building products
KR101946888B1 (en) Compositions for making synthetic basalt ston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making of synthetic basalt stone sculpture thereof
KR101097120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stone
KR100502726B1 (en) Epoxy mortar block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JP6748585B2 (en) Natural stone-like shaped body manufacturing method
RU2446941C1 (en) Method of manufacturing production imitating natural stone
KR100311207B1 (en) Construction method for circular color concrete building materials using native rocks
KR20180047927A (en) method and apparatus manufacturing of block
KR100961257B1 (en) Natural stone block and manufacturing method
KR100880368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artificial cubic stone united with protruding lining mark
KR101266136B1 (en) Block for reveting wa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06110983A (en) Precast member for constructing structure imitating masonry work or the lik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7916746A (en) Green building first pours decorative cover fusion and is integrally formed assembled wallboard and production method
RU100758U1 (en) DECORATIVE EXTERNAL ELEMENT
KR200268975Y1 (en) Block for footway using basalt
KR100720179B1 (en) Retaining pattern of concrete wall manufacturing method
CN107953717B (en) Method for manufacturing building decoration hanging plate by utilizing natural colored soil
RU2429132C1 (en) Method to produce decorative st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