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4082Y1 - 보일러 급수펌프 출구수 재순환 밸브 - Google Patents

보일러 급수펌프 출구수 재순환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4082Y1
KR200404082Y1 KR20-2005-0027573U KR20050027573U KR200404082Y1 KR 200404082 Y1 KR200404082 Y1 KR 200404082Y1 KR 20050027573 U KR20050027573 U KR 20050027573U KR 200404082 Y1 KR200404082 Y1 KR 2004040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iler
housing
pressure
boiler fe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75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흥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흥
Priority to KR20-2005-00275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40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40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40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DPREHEATING, OR ACCUMULATING PREHEATED, FEED-WATER FOR STEAM GENERATION; FEED-WATER SUPPLY FOR STEAM GENERATION; CONTROLLING WATER LEVEL FOR STEAM GENERATION; AUXILIARY DEVICES FOR PROMOTING WATER CIRCULATION WITHIN STEAM BOILERS
    • F22D5/00Controlling water feed or water level; Automatic water feeding or water-level regulators
    • F22D5/26Automatic feed-control systems
    • F22D5/34Applications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16K21/02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providing a continuous small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DPREHEATING, OR ACCUMULATING PREHEATED, FEED-WATER FOR STEAM GENERATION; FEED-WATER SUPPLY FOR STEAM GENERATION; CONTROLLING WATER LEVEL FOR STEAM GENERATION; AUXILIARY DEVICES FOR PROMOTING WATER CIRCULATION WITHIN STEAM BOILERS
    • F22D5/00Controlling water feed or water level; Automatic water feeding or water-level regulators
    • F22D5/18Controlling water feed or water level; Automatic water feeding or water-level regulators for varying the speed or delivery pressure of feed pumps
    • F22D5/20Controlling water feed or water level; Automatic water feeding or water-level regulators for varying the speed or delivery pressure of feed pumps without flo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DPREHEATING, OR ACCUMULATING PREHEATED, FEED-WATER FOR STEAM GENERATION; FEED-WATER SUPPLY FOR STEAM GENERATION; CONTROLLING WATER LEVEL FOR STEAM GENERATION; AUXILIARY DEVICES FOR PROMOTING WATER CIRCULATION WITHIN STEAM BOILERS
    • F22D5/00Controlling water feed or water level; Automatic water feeding or water-level regulators
    • F22D5/26Automatic feed-control systems
    • F22D5/28Automatic feed-control systems responsive to amount of steam withdrawn; responsive to steam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일러 급수펌프 출구수 재순환 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력 발전용 보일러에 구비되는 보일러 드럼에 고압으로 급수하는 보일러 급수 펌프(Boiler Feedwater Pump : BFP)를 구비함에 있어 상기 보일러 드럼에 적정 압력으로 감압시킨 뒤 순환시키는 보일러 급수펌프 출구수 재순환 밸브에 관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보일러에서 필요한 급수를 적정 압력으로 공급하는 보일러 급수 펌프(BFP)의 급수시 설정압력으로 감압시키는 감압 밸브에 있어서, 상기 감압 밸브는, 상기 보일러 급수 펌프에 연결되는 관로 도중에 양단이 고정된 상태로 마련되어 일측은 유입구이고 타측은 배출구이며, 내부 중심 부위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확대되는 단차가 일체로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길이보다 더 연장되도록 이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되 일단에 적정 길이만큼 형성되는 유입홀과 상기 유입홀의 끝단에 둘레 면까지 적정 각도를 가지면서 방사상으로 관통 형성된 배출홀이 서로 연통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서 일체로 연장되며 상기 하우징의 중심부 내경보다 미세량만큼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 연장부로 이루어지는 감압부; 를 포함하여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급수펌프 출구수 재순환 밸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보일러 급수펌프 출구수 재순환 밸브{RECIRCULATING VALVE FOR BOILER FEED WATER PUMP}
본 고안은 보일러 급수펌프 출구수 재순환 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력 발전용 보일러에 구비되는 보일러 드럼에 고압으로 급수하는 보일러 급수 펌프(Boiler Feedwater Pump : BFP)를 구비함에 있어 상기 보일러 드럼에 적정 압력으로 감압시킨 뒤 순환시키는 보일러 급수펌프 출구수 재순환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 급수 펌프는 보일러에서 필요한 급수를 적정한 압력으로 공급해 주는 펌프로써, 발전소나 일반 열 전용 보일러 설비의 중추적인 펌프이며, 고온/고압에서 운전되는 관계로 펌프의 선정 및 운전에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는 펌프이다.
이러한, 보일러 급수 펌프의 대표적인 구성은, 탈기기(Deaerator)로부터 급수를 흡입하여 고압 급수 가열기(High Pressure Feed Water Heater)를 거쳐 보일러 드럼(Drum)에 급수를 공급하는 것입니다.
여기서, 상기 보일러 급수 펌프의 급수량은 제어 방식에 따라 다르며 일정한 수위를 항상 유지하도록 연속 제어하는 방법과, 상, 하한선을 정하여 간헐적으로 운전하는 방법이 있고 연속제어 하는 경우에는 급수펌프의 토출 밸브를 제어하여 그 유량을 조절한다.
종래의 보일러 급수펌프 출구수 재순환 밸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일러 급수 펌프(도면에 미도시)로 물이 공급되는 관로 도중에 결합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구비되어 고압의 물이 유입되는 과정에서 감압되는 감압부(20)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0)은 내부 선단이 유입구(12)이고 후단이 배출구(14)로 그 내부에 단차가 중심부를 기점으로 점차 확대되는 내경을 갖은 상태로 형성되며 가장 작은 직경을 갖는 측벽은 물이 충돌되는 충돌벽(16)이다.
상기 감압부(20)는 상기 하우징(10)의 유입구(12)에서 배출구(14) 방향으로 삽입시켜 그 하우징(10)의 충돌벽(16)에서 미세 길이만큼 이격되게 위치시키며 일체로 이루어진 몸체부(22) 및 연장부(28)와 상기 몸체부(22) 선단에 나선 체결되는 결합부(22a)와 상기 몸체부(22)의 유입홀(24)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부(22a)의 이탈을 방지하는 핀부(P)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부(22)는 단차진 봉 형상으로 일단은 적정 직경만큼 돌출되고 그 돌출된 둘레 면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그 중심부에서 소정 길이만큼 유입홀(24)이 형성되며 상기 유입홀(24)의 끝단에서 적정 각도만큼 외측 방향을 향해 방사형으로 관통 형성되는 다수개의 배출홀(2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22) 일단 즉,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돌출 부위에 홈을 형성하여 그 홈에 핀부(P)를 결합시킨다.
상기 결합부(22a)는 원추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중심부에 관통된 유입홀(22b)이 형성되며 후단 내주면에는 상기 몸체부(22)의 수나사와 체결될 수 있도록 암나사가 형성된다.
상기 핀부(P)는 상기 몸체부(22)의 유입홀(24)보다 직경이 작으며 선단 외주면에는 직교된 구멍을 형성시키고 그 구멍에 몸체부(22)의 돌출 부위의 직경보다 작은 핀을 삽입시킨다.
여기서, 상기 핀부(P)는 체결된 결합부(22a)가 몸체부(22)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상기 보일러 급수 펌프에 의해 보일러 드럼(도면에 미도시)에 급수시 감압시키는 감압밸브(1)는 고압의 물이 관로를 통해 하우징(10)의 유입구(12)로 유입되고 감압부(20)의 결합부(22a)에 형성된 유입홀(22b)을 거친 다음 몸체부(22)의 유입홀(24)을 통해 유동하다 그 유입홀(24)의 끝단에 방사상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배출홀(26)에 의해 하우징(10)의 충돌벽(16)에 충돌한 후에 감속된 물이 배출구(14)로 배출되고 보일러 급수 펌프에 유입된다.
그러나 상기 감압밸브(1)에 의해 고압의 물을 감압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결합부(22a)의 유입홀(22b)과 몸체부(22)의 유입홀(24)을 통과하는 고압의 물에 의해 그 몸체부(22)의 유입홀(24)에 대략 0.5㎜ 이격되게 삽입된 핀부(P)가 진동하여 그 진동에 의해 상기 핀부(P)가 파손되어 결합부(22a)가 몸체부(22)에서 이탈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결합부(22a)가 몸체부(22)에서 이탈하여 유지보수가 주기적으로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상기 감압부를 일체형으로 구비하여 그 감압부 내부를 유동하는 고압의 물에 의해 진동 발생을 방지함에 따라 수명 연장과 유지보수가 필요하지않는 보일러 급수펌프 출구수 재순환 밸브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보일러에서 필요한 급수를 적정 압력으로 공급하는 보일러 급수 펌프(BFP)의 급수시 설정압력으로 감압시키는 감압 밸브에 있어서, 상기 감압 밸브는, 상기 보일러 급수 펌프에 연결되는 관로 도중에 양단이 고정된 상태로 마련되어 일측은 유입구이고 타측은 배출구이며, 내부 중심 부위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확대되는 단차가 일체로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길이보다 더 연장되도록 이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되 일단에 적정 길이만큼 형성되는 유입홀과 상기 유입홀의 끝단에 둘레 면까지 적정 각도를 가지면서 방사상으로 관통 형성된 배출홀이 서로 연통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서 일체로 연장되며 상기 하우징의 중심부 내경보다 미세량만큼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 연장부로 이루어지는 감압부; 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감압부를 일체형으로 구비하여 그 감압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유입홀으로 고압의 물이 유동할 때 진동 발생을 방지하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서의 상기 배출홀은, 급수되는 방향과 예각인 범위에서 형성되는 것이 급수시 하우징의 충돌벽에 충돌이 용이하므로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보일러 급수펌프 출구수 재순환 밸브를 도면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 급수펌프 출구수 재순환 밸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과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감압부(120)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10)은 종래의 그것과 마찬가지로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는 원통 형상이며, 최저 내경을 갖는 중심부를 기점으로 양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확대되는 단차가 형성되고 중심부의 단차벽에 고압의 물이 충돌하는 충돌벽(116)이 형성된다. 여기서, 설명하지 않은 부호 (112)는 유입구이고 (114)는 배출구이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10)의 양측면에는 보일러 급수 펌프(Boiler Feedwater Pump : BFP)로 고압의 물이 공급되는 관로가 결합된다.
상기 감압부(120)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하우징(110)의 최소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수평 방향의 몸체부(122)와 상기 하우징(110)의 최소 내경보다 미세 직경만큼 작으면서 몸체부(122)에 삽입시 상기 몸체부(122)의 후방까지 돌출되도록 적정 길이를 갖는 연장부(128)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감압부(120)는 상기 하우징(110)의 유입구(112)에서 배출구(114) 방향으로 삽입시킨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10)의 유입구(112)에 위치되는 감압부(120)의 선단은 적정 각도만큼 경사로 형성되고 그 경사가 끝나는 부분부터 몸체부(122)의 후단까지 외주면에 크롬(Cr) 코팅한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128)의 외주면도 적정 길이만큼 크롬 코팅한다.
즉, 상기 몸체부(122)는 단차진 봉 형상으로 일측면 중심부에서 소정 길이만큼 유입홀(124)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홀(124)의 끝단에서 적정 각도만큼 외측 방향을 향해 방사형으로 관통 형성되는 다수개의 배출홀(126)이 형성되며, 본 고안에서는 6개로 형성시키고 그 배출홀(126)의 개수는 증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홀(126)은 급수시 진행방향에서 예각 범위내에 형성되며 본 고안에서의 배출홀(126)은 43°의 경사로 형성되며 그 배출홀(126)의 각도 변경 실시가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감압부(120)의 몸체부(122)에 경사진 배출홀(126)을 형성시켜 고압의 물이 유입홀(124)을 따라 유동하다 방사형으로 구비되는 다수개의 배출홀(126)을 통해 방사상으로 배출될 때, 고압의 물이 하우징(110)내 충돌벽(116)에 충돌하여 감속되어 배출되어 감압된 상태로 보일러 급수 펌프에 급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10)의 내주면과 감압부(120)의 외주면은 틈이 발생되어 그 틈으로도 고압의 물이 유동하다 하우징(110)의 충돌벽(116)에 충돌함에 따라 보일러 급수 펌프에 급수시 감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감압부(120)는 상기 하우징(110)의 충돌벽(116)과 미세길이만큼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어 그 이격된 공간으로 감압된 물이 유동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보일러 급수펌프 출구수 재순환 밸브의 작동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일러 드럼에 급수를 보일러 급수 펌프에 의해 고압으로 수행하여 그 수행 과정에서 상기 보일러 급수 펌프에 급수를 적정압으로 감압시키는 감압밸브(100)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감압밸브(100)는 고압의 물이 관로를 통해 하우징(110)의 유입구(112)로 유입되고 감압부(120)의 몸체부(122)에 형성된 유입홀(124)을 통해 유동하다 그 유입홀(124)의 끝단에 방사상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배출홀(126)에 의해 하우징(110)의 충돌벽(116)에 충돌한 후에 감속된 물이 배출구(114)로 배출되고 보일러 급수 펌프에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10) 내주면과 감압부(120)의 외주면 사이에도 공간이 형성되어 그 공간으로도 고압의 물이 유입되다 그 하우징(110)의 충돌벽(116)에 충돌한 후에 감속된 물이 배출구(114)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보일러 급수펌프 출구수 재순환 밸브는 보일러 급수 펌프에 급수할 때 고압의 물을 갑압시켜 적정압으로 공급하기 위해 구비되며 상기 보일러 급수 펌프를 연결시킨 관로 상에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되 일체형의 감압부에 의해 그 갑압부의 유입홀을 거친 고압의 물이 배출홀을 통과하면서 하우징의 충돌벽에 충돌한 후 감속되고 감속된 물이 재순환되어 배출구로 배출되므로 일체형의 감압부에 의해 수명을 반영구적으로 연장하여 유지보수가 불필요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보일러 급수펌프 출구수 재순환 밸브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 급수펌프 출구수 재순환 밸브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감압밸브 112 : 유입구
114 : 배출구 116 : 충돌벽
120 : 감압부 122 : 몸체부
124 : 유입홀 126 : 배출홀
128 : 연장부

Claims (2)

  1. 보일러에서 필요한 급수를 적정 압력으로 공급하는 보일러 급수 펌프(BFP)의 급수시 설정압력으로 감압시키는 감압 밸브에 있어서,
    상기 감압 밸브는,
    상기 보일러 급수 펌프에 연결되는 관로 도중에 양단이 고정된 상태로 마련되어 일측은 유입구이고 타측은 배출구이며, 내부 중심 부위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확대되는 단차가 일체로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길이보다 더 연장되도록 이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되 일단에 적정 길이만큼 형성되는 유입홀과 상기 유입홀의 끝단에 둘레 면까지 적정 각도를 가지면서 방사상으로 관통 형성된 배출홀이 서로 연통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서 일체로 연장되며 상기 하우징의 중심부 내경보다 미세량만큼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 연장부로 이루어지는 감압부; 를 포함하여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급수펌프 출구수 재순환 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홀은,
    급수되는 방향과 예각인 범위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급수펌프 출구수 재순환 밸브.
KR20-2005-0027573U 2005-09-26 2005-09-26 보일러 급수펌프 출구수 재순환 밸브 KR2004040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7573U KR200404082Y1 (ko) 2005-09-26 2005-09-26 보일러 급수펌프 출구수 재순환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7573U KR200404082Y1 (ko) 2005-09-26 2005-09-26 보일러 급수펌프 출구수 재순환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4082Y1 true KR200404082Y1 (ko) 2005-12-16

Family

ID=43705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7573U KR200404082Y1 (ko) 2005-09-26 2005-09-26 보일러 급수펌프 출구수 재순환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408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02278B2 (ja) 多段化されたコンプレッサ水洗システム
US20100206966A1 (en) Spray nozzle
KR200404082Y1 (ko) 보일러 급수펌프 출구수 재순환 밸브
JP2005028305A (ja) 気液混合物生成装置、汚水浄化装置及び燃料噴射装置
US20140119155A1 (en) Hydrodynamic super-cavitation apparatus
JP2010022919A (ja) 微細気泡発生ノズル
FI126305B (fi) Muuttuvapoikkipintainen mustalipeäsuutin ja menetelmä mustalipeän polttamiseksi
KR20160095051A (ko) 세척 노즐 및 가스 터빈 엔진
KR102277955B1 (ko) 사일렌서
CN106268404B (zh) 蒸汽混合器
JP7102197B2 (ja) 蒸気弁および発電設備
KR100392944B1 (ko) 보일러 난방 배관의 내경 세척 방법
JP2010091176A (ja) 空気流による乾燥方法
JP2009011928A (ja) 脱気装置
RU2760080C1 (ru) Термический деаэратор (варианты)
KR101595418B1 (ko) 건식 세척장치용 분사노즐
KR102349155B1 (ko) 버너 장치
JP4481123B2 (ja) 蒸気用減圧弁
SU1042784A1 (ru) Струйный аппарат
KR200491015Y1 (ko) 에어챔버의 사수배출장치
EP2055388A1 (en) A device for washing liquid turbulation for rotary jet heads, especially water-cleaning machines
RU229296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внутренней полости трубопровода
US20090113642A1 (en) Device for washing liquid turbulation for rotary jet heads, especially water-cleaning machines
WO2009008776A1 (ru) Ствол для получения струй аэрозольного распыла
JP2008223700A (ja) 蒸気タービンを利用したプロセス蒸気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