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3929Y1 - 차단막을 갖는 배관용 퀵 커넥터 - Google Patents

차단막을 갖는 배관용 퀵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3929Y1
KR200403929Y1 KR20-2005-0027938U KR20050027938U KR200403929Y1 KR 200403929 Y1 KR200403929 Y1 KR 200403929Y1 KR 20050027938 U KR20050027938 U KR 20050027938U KR 200403929 Y1 KR200403929 Y1 KR 2004039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socket
plug
present
quick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79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엔텍엠제이보일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엔텍엠제이보일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엔텍엠제이보일러
Priority to KR20-2005-00279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39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39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39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14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 F16K15/144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the closure elements being fixed along all or a part of their periphery
    • F16K15/147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the closure elements being fixed along all or a part of their periphery the closure elements having specially formed slits or being of an elongated easily collapsible fo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 F16L37/3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only one of the two pipe-end fittings
    • F16L37/4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only one of the two pipe-end fittings with a lift valve being opened automatically when the coupling is appl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차단막을 갖는 배관용 퀵 커넥터가 개시된다.
본 고안은 외부 배관과 연통(連通)되는 인입홈이 형성된 소켓; 및 상기 인입홈에 탈착 가능하게 끼움 고정되어 상기 소켓과 통수(通水)되는 중공 돌출부가 형성된 플러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배관용 퀵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내부에 마련되는 역류 및/또는 누수 방지용 차단막;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의하면 퀵 커넥터의 분리시 관내 유체의 역류와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단막을 갖는 배관용 퀵 커넥터{Quick-Connector in pipes having fluid isolation membrane}
본 고안은 퀵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고안은 플러그와 소켓으로 이루어지는 배관용 퀵 커넥터에 있어서, 이 플러그 내부에 차단막을 마련하여 플러그의 소켓 탈착시 플러그 내부 유체의 역류 및/또는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단막을 갖는 배관용 퀵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배관(piping)은 급수, 배수, 급탕, 냉난방 또는 가스 공급 등에 있어서 유체를 유동시키기 위하여 관(pipe)을 이어서 부설하는 것 또는 그 부설물을 의미한다. 관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로는 통상 물 등의 액체와 가스 등의 기체가 있으며, 유체는 관 내부의 압력구배에 의해 저압지점으로 유동한다.
도 1은 퀵 커넥터를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로, 이 퀵 커넥터는 플러그(10)와 소켓(20)으로써 이루어진다. 이 퀵 커넥터의 플러그(10)는 일면에 중공(中空)형 돌출부(11)가 돌기되어 있고, 이 돌출부(11)가 소켓(20)의 일부에 형성된 인입홈(22)에 끼움되도록 구성된다. 미설명 부호 “91”,“92”는 유체배관이며, 이 유체배관(91,92)은 각각 통수(通水)를 위하여 위 돌출부(11) 및 인입홈(22)과 연통(連通)된다. 그리고 소켓(20) 내부에는 유체의 흐름을 단락하기 위한 제어밸브(30)가 장착되어 있고, 이 소켓(20)과 플러그(10)의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각각 소켓(20) 및 플러그(10)에는 결합부(40)가 병설되어 있다.
이 퀵 커넥터는 예컨대 난방을 위한 온수배관(91,92)을 상호 간편하게 탈착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데, 도 3을 참조하여 이 퀵 커텍터의 동작 원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유체는 소켓(20)으로부터 플러그(10) 방향으로 유동한다.
플러그(10)와 소켓(20)이 결합되면 플러그(10)의 돌출부(11)가 제어밸브(30) 내측으로 인입된다. 제어밸브(30) 내측에는 스프링(32)에 의해 지지되는 격판(31)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 돌출부(11)가 이 격판(31)을 제어밸브(30)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소켓(20)의 온수(溫水)를 받아들인다. 이로써 소켓(20) 내부의 온수가 돌출부(11)를 통해 플러그(10)로 유동하여 통수가 이루어진다. 도면에서, 화살표를 갖는 파단선은 온수의 유동방향을 보이기 위한 보조선이다.
한편, 플러그(10)와 소켓(20)을 상호 분리하면 격판(31)이 스프링(32)에 의해 최초 위치로 복귀되어 제어밸브(30)가 폐쇄된다. 그리고 돌출부(11) 내압은 대기압으로 감압된다. 그러나 플러그(10)를 소켓(20)으로부터 탈락시키는 그 순간에는 돌출부(11) 내부에 온수를 유동시키는 유압에 준하는 압력이 잔존하게 되는데, 이 압력은 순간적으로 대기압으로 감압되나 이 감압되는 순간의 압력변화에 따라 미소량의 온수가 돌출부 선단을 통하여 누수(漏水) 된다.
이 누수현상은 심각한 수준의 문제를 야기하지는 아니하나, 그렇다고 무시될수는 없다. 누수량이 미소하다 하더라도 이는 사용상 불편한 문제점임이 명확하다. 또한, 누수량이 적다면 누수압(漏水壓)도 크게 문제되지는 아니하나, 만일 소켓(20) 내부에 고압의 유동압이 가해진다면 누수량은 이에 비례하여 증가되고, 그 누수되는 압력도 상당하여 사용자에게 해를 가할 수 있다.
누수현상을 다른 관점에서 살펴본다면, 이 누수현상은 플러그(10) 내부의 유동방향을 변화시키는 역류현상이다. 분리된 플러그(10)를 재차 소켓(20)에 연결시킬 경우, 소켓(20)에 가해지는 유동압에 의해 플러그(10) 내압이 가압되는 동안에는 온수의 유동이 원활하지 않다.
따라서 플러그(10)와 소켓(20)이 분리될 시 플러그(10) 내압을 완전하게 보존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하겠으나, 현실적으로 이를 구현하기는 곤란하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퀵 커넥터의 분리시 발생될 수 있는 누수 및/또는 역류현상을 방지하고자 함이다.
이 외의 언급되지 아니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들은 아래에 기재된 내용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연스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목적에 해당된다 할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이 채택하는 기술구성은 다음과 같다.
외부 배관과 연통(連通)되는 인입홈이 형성된 소켓(20);과, 상기 인입홈(22)에 탈착 가능하게 끼움 고정되어 상기 소켓(20)과 통수(通水)되는 중공 돌출부(11)가 형성된 플러그(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배관용 퀵 커넥터에 있어서, 본 고안은 상기 돌출부(11)의 내부에 역류 및/또는 누수 방지용 차단막(100,200)을 구비한다.
일 예로써, 상기 차단막(100)은, 상기 돌출부(11)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링부(110); 및 상기 링부(110)의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중심으로부터 방사형으로 절개되어 수개의 탄성 날개부(121)를 갖는 막부(1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일 예로써, 상기 차단막(200)은, 상기 돌출부(11)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링부(210); 및 양단이 상기 링부(210)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중심바(230)와, 상기 중심바(230)를 공유하고 공히 일측으로 기울어져 개폐되는 한쌍의 반원형 판부(221)를 갖는 막부(2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는 공지/공용의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아래에서 본 고안을 이루는 각 부를 지칭하기 위하여 제시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본 고안이 속한 업계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각 부를 이루는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모든 도면에 걸쳐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가 사용된다.
<실시예1>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위 차단막(100)이 링부(110)와 막부(120)로 이루어진다. 이 링부(110)와 막부(120)는 바람직하게는 일체되어 형성된다. 이 링부(110)는 돌출부(11)의 내주면에 밀착 고정되는 탄성소재이며, 막부(120)는 이 링부(110)의 내측으로 연장 성형되고 중심으로부터 방사형으로 절개되어 수개의 탄성 날개부(121)를 갖는다. 돌출부(11)는 선단을 향하여 단면이 점차 감소되는 원뿔대형 형상을 가지며, 선단에는 유체의 유동과 고온의 온수로 인한 열변형을 고려하여 수개의 홈(11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차단막(100)은 가능한 한 돌출부(11) 선단에 인접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온의 온수에 견디기 위하여 일정한 내열성 및 내식성을 가지며 원형 복원이 가능하도록 탄성소재로써 제조함이 바람직하다.
이 차단막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10)와 소켓(20)이 분리된 상태에서는 원형을 유지하고 있다. 돌출부(11)와 연통되는 배관(91)은 예컨대 온수매트 등의 열교환부와 연결되는 배관이며, 제어밸브(30)와 연통되는 배관(92)은 예컨대 보일러 등의 가열부와 연결되는 배관이다. 플러그(10)와 소켓(20)이 결합되면 돌출부(11)가 제어벨브(30)의 격판(31)을 제어밸브(30) 내부로 인입시킨다. 이로써 이 제어밸브(30)가 개방되어 양측의 온수가 통수된다. 이때 온수의 유압 및 유동에 의해 차단막(100)의 날개부(121)가 탄성하여 방사형으로 펼쳐짐으로써 유체의 유동을 돕는다. 환언하면, 차단막(100)이 탄성하므로 이 온수가 막부(120)의 날개부(121)를 통과하면서 날개부(121)가 자연스럽게 방사형으로 펼쳐지게 되는 것이다. 플러그(10)와 소켓(20)이 분리되면 격판(31)이 최초 위치로 복귀되어 제어밸브(30)가 폐쇄된다. 이 제어밸브(30)는 관내 온수의 유동을 단속하는 스토핑(line stopping) 기능을 갖는다. 돌출부(11)가 분리되면 돌출부(11)의 관내 유압이 대기압으로 전환된다. 날개부(121)는 최초 원형의 위치로 복원되어 돌출부(11) 내부의 유체가 역류하는 것을 막고, 또한 돌출부(11) 선단으로 일부 온수가 누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에서, 미설명 도면부호 “300”은 차단막(100)이 일방향으로만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역류 방지용 링형 스토퍼(stopper)이다.
<실시예2>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차단막(200)이 링부(210)와 막부(220)로 이루어지나, 이 막부(220)가 중심바(230)와 반원형 판부(221)를 갖는다.
링부(210)는 실시예1의 경우에 준하고, 막부(220)의 일부를 이루는 이 중심바(230)는 링부(210)의 내측을 양분하며 양단이 상기 링부(210)의 내주면에 결합된다. 이 중심바(230)를 한쌍의 반원형 판부(221)가 공유하고 있다. 즉, 반원형 판부(221)의 일측부가 이 중심바(230)에 결합되어 있으며, 각 판부의 호(arc)부(221a)는 링부(210)와 긴밀하게 연속적으로 연접된다. 이 판부(221)는 위 중심바(230)를 공유하며, 주변 압력 변화에 따라 공히 일측으로 기울어져 개폐된다.
이 차단막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10)와 소켓(20)이 분리된 상태에서는 원형을 유지하고 있고, 플러그(10)와 소켓(20)이 결합되면 제어밸브(30)가 개방되고 온수의 유압 및 유동에 의해 차단막(200)의 판부(221)가 중심바(230)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유체의 유동을 돕는다. 환언하면, 온수가 유동하면서 판부(221)가 자연스럽게 벌어지게 되는 것이다. 플러그(10)와 소켓(20)이 분리되면 판부(221)는 최초 위치로 복원된다. 이 판부(221)에 원형 복원력이 없다 하더라도, 분리되는 순간 돌출부(11) 내압은 대기압 보다 약간 크다. 따라서 이 압력차에 의해 판부(221)가 최초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도 9에서, 미설명 도면부호 “310”은 차단막(200)이 일방향으로만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한쌍의 역류 방지용 입방형 스토퍼(stopper)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단막을 갖는 배관용 퀵 커넥터에 관하여 설시하였으나 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시예로써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구성 및 작용이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은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제시된 기술사상과 기술구성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양하게 변화되거나 일부 또는 전부의 구성이 등가 치환되거나 또는 일부 변경 실시되는 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을 상술하기 위하여 참조되는 것이므로, 도면에 도시되고 이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시예로써 설명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와 구성 및 작용이 한정/제한되지는 아니할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퀵 커넥터의 분리시 관내 유체의 역류와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퀵 커넥터를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퀵 커넥터의 내부 온수유동을 보이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1에 의한 차단막을 보이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1에 의한 차단막을 보이는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1에 의한 차단막의 사용예를 보이는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2에 의한 차단막을 보이는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2에 의한 차단막을 보이는 측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2에 의한 차단막의 사용예를 보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플러그 11 : 돌출부
20 : 소켓 22 : 인입홈
30 : 제어밸브 31 : 격판
32 : 스프링 40 : 결합부
11a : 홈 100,200 : 차단막
110,210 : 링부 120,220 : 막부
121 : 날개부 230 : 중심바
221 : 판부

Claims (3)

  1. 외부 배관과 연통(連通)되는 인입홈이 형성된 소켓; 및 상기 인입홈에 탈착 가능하게 끼움 고정되어 상기 소켓과 통수(通水)되는 중공 돌출부가 형성된 플러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배관용 퀵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내부에 마련되는 역류 및/또는 누수 방지용 차단막;을 더 포함하는 배관용 퀵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은,
    상기 돌출부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링부; 및
    상기 링부의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중심으로부터 방사형으로 절개되어 수개의 탄성 날개부를 갖는 막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퀵 커넥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은,
    상기 돌출부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링부; 및
    양단이 상기 링부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중심바와, 상기 중심바를 공유하고 공히 일측으로 기울어져 개폐되는 한쌍의 반원형 판부를 갖는 막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퀵 커넥터.
KR20-2005-0027938U 2005-09-29 2005-09-29 차단막을 갖는 배관용 퀵 커넥터 KR2004039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7938U KR200403929Y1 (ko) 2005-09-29 2005-09-29 차단막을 갖는 배관용 퀵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7938U KR200403929Y1 (ko) 2005-09-29 2005-09-29 차단막을 갖는 배관용 퀵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3929Y1 true KR200403929Y1 (ko) 2005-12-14

Family

ID=43704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7938U KR200403929Y1 (ko) 2005-09-29 2005-09-29 차단막을 갖는 배관용 퀵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392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69484A1 (en) 2006-12-05 2008-06-12 Jong Hyun Nam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treating allergy, natural tea using the sam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10011826A (ko) * 2019-07-23 2021-02-02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WO2024096415A1 (ko) * 2022-11-01 2024-05-10 유광희 배터리화재 외부소화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69484A1 (en) 2006-12-05 2008-06-12 Jong Hyun Nam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treating allergy, natural tea using the sam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10011826A (ko) * 2019-07-23 2021-02-02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395183B1 (ko) * 2019-07-23 2022-05-06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WO2024096415A1 (ko) * 2022-11-01 2024-05-10 유광희 배터리화재 외부소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12842B (ko)
JP5593470B2 (ja) チェックバルブ
US20100096028A1 (en) Anti-backflow valve
KR200403929Y1 (ko) 차단막을 갖는 배관용 퀵 커넥터
CN204647386U (zh) 流体阀组件和用于流体阀组件的密封套筒
US6719271B2 (en) Combination face and plug seal
KR20170056944A (ko)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
US7575016B2 (en) Pipe disconnector with increased sealing power
KR100826867B1 (ko) 정유량 밸브
JPH10103016A (ja) 蒸気タービンの制御
US3428087A (en) Anti-hammer faucet device
JP2013143106A (ja) 水用減圧弁
JP4464489B2 (ja) 逆止弁
CN206958453U (zh) 新型快速接头用壳体阀座
US20150137019A1 (en) Control valve structure of plastic faucet
CN108458137A (zh) 用于防止回流的单向阀
KR200426911Y1 (ko) 유체밸브
KR200325953Y1 (ko) 배관용 파이프의 이음관 결합구조
JP2004190851A (ja) バタフライ弁
JP6104073B2 (ja) 減圧弁
JP2004132469A (ja) プラグバルブ
KR20170052157A (ko) 패킹 실링타입 서비스 밸브
CA2641267A1 (en) Anti-backflow valve
JP5203126B2 (ja) スチームトラップを具備したボール弁
WO2023093424A1 (zh) 截止阀、加工方法及装配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