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3404Y1 - 음수대용 물튀김 방지판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음수대용 물튀김 방지판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3404Y1
KR200403404Y1 KR20-2005-0026075U KR20050026075U KR200403404Y1 KR 200403404 Y1 KR200403404 Y1 KR 200403404Y1 KR 20050026075 U KR20050026075 U KR 20050026075U KR 200403404 Y1 KR200403404 Y1 KR 2004034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revention plate
plate
faucet
protruding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60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종철
Original Assignee
구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종철 filed Critical 구종철
Priority to KR20-2005-00260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34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34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34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20Pillar fountains or like apparatus for dispensing drinking wa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수도꼭지가 설치되고, 수도꼭지 아래에는 떨어진 물이 고이는 스테인레스 강판으로 이루어진 바닥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음수대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수도꼭지 아래의 바닥에는 지름이 20 ~ 50cm 크기의 방지판 설치홀이 형성되되, 상기 방지판 설치홀은 높이가 5 ~ 10cm의 단이 형성되고, 단의 저부에는 플랜지 형태로 중심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턱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턱의 하부는 중심방향으로 하향되어 일정하게 경사지며, 중심에는 배수공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턱에는 다수의 타공이 형성된 물튀김 방지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수대용 물튀김 방지판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음수대용 물튀김 방지판 설치구조{Mounting structure of spatter preventing plate for water die}
본 고안은 음수대에 설치되는 물튀김 방지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수기용 수도꼭지에서 물이 떨어질 때 떨어진 물이 바닥에 부딪혀 주위로 비산되지 않도록 하고, 떨어진 물이 신속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음수대용 물튀김 방지판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 운동장이나 공공시설물 등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개의 수도꼭지(20)가 설치된 음수대(1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음수대의 수도꼭지(20) 아래에는 떨어지는 물이 바닥(30)에 부딪혀 비산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의 옷이 젖는 등의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물튀김방지판(40)이 설치된다.
물튀김 방지판(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인레스 강판을 타공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물이 떨어지는 수도꼭지(20) 아래에 스테인레스 강판(30)에 구멍을 뚫고 여기에 배면에서 밀착하여 용접 설치된다. 즉 바닥과 물튀김 방지판의 평면이 거의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수도꼭지(20)에서 물이 떨어지면 타공판(40)에 부딪히면서 무화되어 물이 비산되지 않는다. 그리고 음수대 바닥(50)과 물튀김 방지판(40) 사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고, 이격된 거리만큼 공간이 형성되므로 물튀김방지판(40)을 통과한 물은 여기에 고이게 된다.
그런데 물튀김방지판(40)이 설치되어 있어도, 바닥과 거의 동일평면상에 있기 때문에 타공된 구멍과 구멍 사이에 부딪힌 물의 일부가 비산되어 옷 등이 젖는 문제가 발생되고, 물튀김방지판(40)을 통해 유입되어 바닥에 고인 물은 바닥의 일측면에 형성된 배수구(60)를 통해 배출되는데, 음수대의 바닥(50)이 평평하지 않으면 물이 한쪽으로 고이게 되고, 평평하더라도 물튀김방지판(40)을 통해 유입된 찌꺼기(음식물 찌꺼기, 주변에서 날아 들어오는 오염물질, 세수할때나 양치할 때 발생되는 찌꺼기 등) 등과 혼합되어 흘러 다니므로서 미관상 매우 불쾌하고, 여름철 등에는 부패되어 심한 악취가 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된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도꼭지에서 떨어지는 물이 물튀김 방지판에 부딪힌 후에도 비산되지 않도록 하고, 물튀김방지판을 통과한 물은 음수대 바닥에 고이거나 흘러다니지 않고 신속하게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악취 등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음수대용 물튀김 방지판 설치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수도꼭지가 설치되고, 수도꼭지 아래에는 떨어진 물이 고이는 스테인레스 강판으로 이루어진 바닥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음수대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수도꼭지 아래의 바닥에는 지름이 20 ~ 50cm 크기의 방지판 설치홀이 형성되되, 상기 방지판 설치홀은 높이가 5 ~ 10cm의 단이 형성되고, 단의 저부에는 플랜지 형태로 중심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턱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턱의 하부는 중심방향으로 하향되어 일정하게 경사지며, 중심에는 배수공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턱에는 다수의 타공이 형성된 물튀김 방지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튀김 방지판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각각의 방지판의 배수공은 하나의 배수파이프로 모두 연결되고, 상기 배수파이프는 하향되어 일정한 기울기로 경사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수대용 물튀김 방지판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인레스 강판으로 이루어진 바닥(130)과 그 위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수도꼭지(120)가 설치된 음수대(110)가 구비된다.
스테인레스 강판으로 이루어진 바닥(130)에는 대략 20 ~ 50cm 정도 크기의 방지판 설치홀(135)을 형성하되, 바닥(130)에서 대략 5 ~ 10cm 정도의 높이를 갖는 단턱(132)이 형성되고, 단턱(132)의 저부에는 원주를 따라 대략 1cm 정도의 돌출턱(134)이 형성되며, 돌출턱(134)의 하부에서 부터 중앙으로 가면서 일정한 경사각을 갖도록 하여 그 단면이 포물선 형태가 되도록 하고, 중앙에는 배수공(137)이 형성된다. 상기에서 방지판 설치홀(135)의 크기와 단턱(132)의 높이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상기한 방지판 설치홀(135)은 각각의 수도꼭지 아래에 일렬로 설치되고, 각각의 방지판 설치홀(135)은 배수공(137)을 통해 하나의 배수파이프(160)에 연결된다.
배수파이프(160)는 최선단의 방지판 설치홀(135)로부터 최후단 방지판 설치홀(135)까지 일정한 경사를 이루도록 하여 배수공(137)을 통해 유입되는 물이 중력에 의해 원활히 흐를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방지판 설치홀(135)에는 원판에 다수의 타공이 형성된 물튀김 방지판(140)이 설치되고, 물튀김 방지판(140)은 방지판 설치홀(135)의 돌출턱(134)에 안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도꼭지(120)를 틀어 물이 떨어지면 그 하부에 설치된 물튀김 방지판(140)에 부딪히는데, 떨어진 물은 물튀김 방지판(140)에 형성된 타공으로 유입되어 대부분의 물이 배수되고, 타공과 타공사이에 떨어진 일부 물은 비산되나 물이 비산될 때 직상향되어 비산되는 물은 떨어지는 물에 의해 막혀서 비산되지 못하고, 일정각도로 측면으로 비산되는 물은 방지판 설치홀(135)의 단턱(132)에 의해 형성된 벽면에 막혀 비산되지 못하므로 스테인레스 강판으로 이루어진 바닥 위로의 비산이 최소화 된다. 즉 사용자의 안면이나 옷 등으로 비산되지 않는다.
물튀김 방지판(140)을 통과한 물은 배수공(137)을 통해 배수파이프(160)로 유입되고, 배수파이프(160)로 유입된 물은 경사진 배수파이프(160)를 따라 목적하는 배수구로 최종 배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물튀김 방지판이 바닥 보다 일정 깊이 아래 까지 단이 형성된 방지판 설치홀에 안착되므로 수도꼭지에서 떨어진 물이 비산될 때 방지판 설치홀의 벽면에 막혀 비산되지 못하여 사용시 물튀김이 방지되어 옷 등이 젓지 않고, 수도꼭지에서 떨어진 물이 바닥에 고이지도 않고 직접 배수공을 통해 배수파이프로 직접 유입되므로 바닥에 여기 저기로 물이 흘러다니거나 고여서 부패하는 현상도 없으며, 배수파이프가 경사져 있어서 배수파이프로 유입된 물이 신속하게 배출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음수대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물튀김 방지판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종래 물튀김 방지판의 설치구조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물튀김 방지판의 설치구조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음수대 120 : 수도꼭지
130 : 바닥 132 : 단턱
134 : 돌출턱 135 : 방지판 설치홀
137 : 배수공 140 : 물튀김 방지판
160 : 배수파이프

Claims (2)

  1.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수도꼭지가 설치되고, 수도꼭지 아래에는 떨어진 물이 고이는 스테인레스 강판으로 이루어진 바닥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음수대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수도꼭지 아래의 바닥에는 지름이 20 ~ 50cm 크기의 방지판 설치홀이 형성되되, 상기 방지판 설치홀은 높이가 5 ~ 10cm의 단이 형성되고, 단의 저부에는 플랜지 형태로 중심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턱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턱의 하부는 중심방향으로 하향되어 일정하게 경사지며, 중심에는 배수공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턱에는 다수의 타공이 형성된 물튀김 방지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수대용 물튀김 방지판 설치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방지판의 배수공은 하나의 배수파이프로 모두 연결되고, 상기 배수파이프는 하향되어 일정한 기울기로 경사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수대용 물튀김 방지판 설치구조.
KR20-2005-0026075U 2005-09-09 2005-09-09 음수대용 물튀김 방지판 설치구조 KR2004034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6075U KR200403404Y1 (ko) 2005-09-09 2005-09-09 음수대용 물튀김 방지판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6075U KR200403404Y1 (ko) 2005-09-09 2005-09-09 음수대용 물튀김 방지판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3404Y1 true KR200403404Y1 (ko) 2005-12-09

Family

ID=43704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6075U KR200403404Y1 (ko) 2005-09-09 2005-09-09 음수대용 물튀김 방지판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340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860Y1 (ko) * 2009-12-09 2012-04-19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차량의 물튀김 측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860Y1 (ko) * 2009-12-09 2012-04-19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차량의 물튀김 측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20564C (en) Fixture for disposing of bodily waste having an anti-overflow feature and a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7383594B1 (en) Toilet overflow prevention system
JP5352782B2 (ja) 排水トラップ
KR200403404Y1 (ko) 음수대용 물튀김 방지판 설치구조
KR200405829Y1 (ko) 악취 방지용 맨홀뚜껑
JP4842021B2 (ja) 排水トラップ
JP4849664B2 (ja) 排水トラップ
KR100707720B1 (ko) 인버트와 트랩이 일체로 형성된 오수받이의 본체구조
JP2016173030A (ja) 小便用水洗システム
JP2019218736A (ja) 防臭ワン
JP2006265971A (ja) 流水ボールオーバーフロー管の逆流防止構造
JP6072426B2 (ja) 小便器
JP2011208416A (ja) 水洗大便器
KR200154741Y1 (ko) 비산방지수단이 설치된 식수대
KR20160081050A (ko) 플로우트 볼을 갖는 일자형 배수트랩 및 이를 구비한 싱크대
CN211472743U (zh) 用于盥洗盆的排水筛以及盥洗盆
JP5285938B2 (ja) 温水器用排水ホッパー
KR200305355Y1 (ko) 하수관용 배수덮개
JP2011063143A (ja) 車両用小便器又は手洗器内への汚水噴き上げ防止装置
JP4408359B2 (ja) 浴室ユニット排水構造
KR200333044Y1 (ko) 배수트랩
JP6659207B2 (ja) 水洗式便器
KR101063305B1 (ko) 교환 가능한 망 설치용 급수대
KR200446316Y1 (ko) 맨홀용 악취방지장치
JPH0953270A (ja) 小便器トラ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