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2380Y1 - 케이블용 수용관의 이음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용 수용관의 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2380Y1
KR200402380Y1 KR20-2005-0024481U KR20050024481U KR200402380Y1 KR 200402380 Y1 KR200402380 Y1 KR 200402380Y1 KR 20050024481 U KR20050024481 U KR 20050024481U KR 200402380 Y1 KR200402380 Y1 KR 2004023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ole
receiving
main body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44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순
Original Assignee
김덕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순 filed Critical 김덕순
Priority to KR20-2005-00244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23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23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23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7/00Supporting of pipes or cables inside other pipes or sleeves, e.g. for enabling pipes or cables to be inserted or withdrawn from under roads or railways without interruption of traffic
    • F16L7/02Supporting of pipes or cables inside other pipes or sleeves, e.g. for enabling pipes or cables to be inserted or withdrawn from under roads or railways without interruption of traffic and sealing the pipes or cables inside the other pipes, cables or sleev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케이블 수용관의 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택지개발로 인해 매설되는 통신 및 전력용 케이블을 외부환경으로 부터 보호하기 위해 설치되는 수용관에 이음장치를 마련하여 수용관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택지개발로 인한 수용관의 위치변경 또는 추가적인 설치에도 용이하게 대응가능케, 수용관홈을 끝단에 마련하고 본체의 중앙부 일측에 분리관을 돌출형성시켜 내부와 통하게 함과 동시에 본체를 분리시켜 고정가능케 하므로, 택지개발시 용이하게 수용관을 설치하게 함과 동시에 기존 설치된 수용관에도 추가 설치를 간편하게 하여 기밀상태를 유지하여 수용관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으므로 케이블의 포설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것으로, 현장여건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 설치가 가능함으로써 작업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즉, 본체(11)내부에 일선상의 통공(14)을 마련하되 상기 통공(14)과 통하는 분기통공(16)을 형성한 분기관(15)을 직각방향으로 마련하고, 상기 통공(14)과 분기통공(16)의 끝단에는 수용관홈(18)을 형성한 수용고정관(17)을 일체로 형성한 본체(11)의 전,후판(12)(13)으로 길이방향으로 분리시켜 그 경계부에 고정부재(21)를 형성하여 통상의 볼트와 너트를 이용한 고정구(120)로 고정가능케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케이블용 수용관의 이음장치{A water pipe for cable connection device}
본 고안은 케이블 수용관의 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택지개발로 인해 매설되는 통신 및 전력용 케이블을 외부환경으로 부터 보호하기 위해 설치되는 수용관에 이음장치를 마련하여 수용관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케이블 수용관은 택지개발로 인해 매설되는 통신 및 전력용 등과 같은 케이블을 지하에 매립시킬 때에는 합성수지 재질의 수용관을 단방향으로 지하에 매설한 후, 이 수용관 내부에 케이블을 삽입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택지개발로 인해 수용관을 설치하게 되면 택지 준공후 신축시 변경되는 수용관의 위치변경 또는 추가적인 설치를 요구하게 되면 새로운 케이블용 수용관을 별도로 설치하거나 또는, 케이블의 진행 방향이 조금이라도 변경되는 곳에서는 상기 수용관을 절단하여 그 절단부에 별도의 이음장치를 마련하여 진행방향을 변경시키고 상기 절단부와 연결하여야 하였다.
이때, 상기 절단부를 이음장치로 연결하는 과정에서 이음부를 통하여 수분,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주의를 하여야 하며 자칫, 이음부를 통하여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이음부가 꺾어질 경우, 케이블이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상기 수용관을 절단하여 그 사이에 별도의 이음장치를 간편하게 고정가능케 함과 동시에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게 하면서 수용관의 위치변경 또는 추가적인 설치에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는 수용관 이음장치를 찾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위와 같이 택지개발로 인한 수용관의 위치변경 또는 추가적인 설치에도 용이하게 대응가능케 하는 것으로, 상기 절단된 수용관을 용이하게 결속가능케 수용관홈을 끝단에 마련하고 본체의 중앙부 일측에 분리관을 돌출형성시켜 내부와 통하게 함과 동시에 본체를 분리하여 전,후판을 별도로 고정가능케 하므로, 택지개발시 용이하게 수용관을 설치하게 함과 동시에 기존 설치된 수용관에도 추가 설치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이음장치를 안출한 것인데,
이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케이블 수용관(3)의 이음장치의 구성으로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체(11)내부에 일선상의 통공(14)을 마련하되 상기 통공(14)과 통하는 분기통공(16)을 형성한 분기관(15)을 직각방향으로 마련하고, 상기 통공(14)과 분기통공(16)의 끝단에는 수용관홈(18)을 형성한 수용고정관(17)을 일체로 형성한 본체(11)의 전,후판(12)(13)으로 길이방향으로 분리시켜 그 경계부에 고정부재(21)를 형성하여 통상의 볼트와 너트를 이용한 고정구(120)로 고정가능케 한 것이다.
상기 본체(11)의 길이방향으로 분리된 경계부에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경계부의 경계면에는 끼임홈(30)과 끼임부재(31)를 각각 형성한 것이다.
상기 본체(11)의 내부에 형성된 통공(14)은 수용관(3)의 내경과 동일하게 함이 바람직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택지(1) 개발로 인해 통신 및 전력용 케이블을 외부환경으로 부터 보호하기 위한 수용관(3)을 설치하기 위해 택지(1) 준공후 신축시 변경되는 수용관(3)의 위치변경 또는 추가적인 설치를 용이하게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택지(1)로 연결되는 수용관(3)의 연결되는 경계부에 본 고안의 이음장치(10)를 마련가능케 수용관(3)을 절단하여 그 절단부에 이음장치(10)의 끝단에 형성된 수용관홈(18)에 끼워 본체(11) 일측에 형성된 고정부재(21)에 별도의 고정구(120)로 고정가능케 하는 것이다.
즉,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체(11)의 수용관홈(18)에 삽입된 수용관(3)의 내부로 통신 및 전력용 케이블(2)을 마련가능케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택지(1) 개발로 인한 케이블(2)을 마련하기 위해 설치되는 수용관(3)을 택지(1)로 용이하게 연결가능케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택지(1) 준공후 신축시 변경되는 수용관(3)의 위치변경이나 추가설치를 하기 위해 이미 설치된 수용관(3)의 절단하여 이음장치(10)의 고정구(120)를 열어 본체(11)를 분리시켜 분리된 본체(11)의 후판(13)의 수용관홈(18)을 그 절단부 양단에 위치시키고 본체(11)의 전판(12)과 후판(13)에 형성된 끼임부재(31)와 끼임홈(30)을 끼워 1차 고정시키고 본체(11)의 외주연에 형성된 고정부재(21)에 고정구(120)를 결합하여 고정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수용관 이음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택지 개발시 설치되는 수용관을 절단하여 그 사이에 이음장치를 마련하여 통공과 분기통공을 통해 케이블을 위치변경을 용이하게 하여 종래의 단방향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또한, 택지 준공후 케이블의 추가 또는 변경으로 인한 수용관의 추가 설치시에도 기존의 수용관을 절단하여 그 사이에 본체를 분리시켜 수용관의 전,후면 끝단에 형성된 수용관홈에 상기 절단된 수용관을 위치시켜 고정구를 분리된 본체를 고정가능케 하므로, 수용관 이음장치에 의해 기밀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수용관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으므로 케이블의 포설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것으로, 현장여건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 설치가 가능함으로써 작업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본체의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이음장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면의 중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택지 2 : 케이블
3 : 수용관 10 : 이음장치
11 : 본체 12 : 전판
13 : 후판 14 : 통공
15 : 분기관 16 : 분기통공
17 : 수용고정관 18 : 수용관홈
20 : 고정구 21 : 고정부재
30 : 끼임홈 31 : 끼임부재

Claims (2)

  1. 케이블을 내부에 수용하는 다수의 수용관을 연결시키기 위한 케이블용 수용관의 이음장치에 있어서,
    본체(11)내부에 일선상의 통공(14)을 마련하되 상기 통공(14)과 통하는 분기통공(16)을 형성한 분기관(15)을 직각방향으로 마련하고, 상기 통공(14)과 분기통공(16)의 끝단에는 수용관홈(18)을 형성한 수용고정관(17)을 일체로 형성한 본체(11)의 전,후판(12)(13)으로 길이방향으로 분리시켜 그 경계부에 고정부재(21)를 형성하여 통상의 볼트와 너트를 이용한 고정구(120)로 고정가능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수용관의 이음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본체(11)의 길이방향으로 분리된 경계부의 경계면에는 끼임홈(30)과 끼임부재(31)를 각각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수용관의 이음장치.
KR20-2005-0024481U 2005-08-25 2005-08-25 케이블용 수용관의 이음장치 KR2004023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481U KR200402380Y1 (ko) 2005-08-25 2005-08-25 케이블용 수용관의 이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481U KR200402380Y1 (ko) 2005-08-25 2005-08-25 케이블용 수용관의 이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2380Y1 true KR200402380Y1 (ko) 2005-11-30

Family

ID=43703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4481U KR200402380Y1 (ko) 2005-08-25 2005-08-25 케이블용 수용관의 이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238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5240B2 (en) Cord seal for swimming pool and spa light niches
US20110147081A1 (en) Cable Gland
RU2257652C2 (ru) Кабельный штекер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их кабельных соединений
KR100787577B1 (ko) 건축물내의 지중케이블 파형보호관 연결구조
KR102376997B1 (ko) 지중케이블의 배선을 위한 입상관의 방수장치
KR101491010B1 (ko) 광케이블용 다중관 연결 컨넥터
KR101491008B1 (ko) 광케이블용 다중관 컨넥터
KR200402380Y1 (ko) 케이블용 수용관의 이음장치
KR200256956Y1 (ko) 파형관용 접속장치
KR100850305B1 (ko) 지중전력 케이블 관로의 연결구
KR100706785B1 (ko) 지중 케이블 관로의 연결구
KR100633283B1 (ko) 하수도관 연결구
KR20180001810U (ko) 광케이블 통신관 조립체
KR20090011547A (ko) 관 이음장치
KR100770167B1 (ko) 관과 연결구가 일체로 형성된 내장형 아답터 플랜지관 연결조립체
KR102136340B1 (ko) 광케이블용 다중관 컨넥터
KR200449411Y1 (ko) 수중 케이블용 연결구
KR200385731Y1 (ko) 관체 접속구조
KR100894896B1 (ko) 맨홀의 배수관 연결구조
KR200365114Y1 (ko) 방수콘센트
KR20050103678A (ko) 케이블 덕트 연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케이블 덕트
JP3095025U (ja) ケーブル導管固定装置
JP2003274545A (ja) ケーブル用導管の防水装置とその装置を使用した防水施工方法
JP5010889B2 (ja) 分岐管継手部構造
KR100714907B1 (ko) 케이블 관로방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70104

Effective date: 2007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