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2150Y1 - 교량의 받침장치 - Google Patents
교량의 받침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2150Y1 KR200402150Y1 KR20-2005-0024550U KR20050024550U KR200402150Y1 KR 200402150 Y1 KR200402150 Y1 KR 200402150Y1 KR 20050024550 U KR20050024550 U KR 20050024550U KR 200402150 Y1 KR200402150 Y1 KR 20040215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bridge
- pad bearing
- piece
- upper plat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1—Elastomeric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량의 상판과 교각 사이에 설치되는 교량의 받침장치에 관한 것으로, 교량 상판의 하중과 변형을 효과적으로 수용하면서 수평하중으로 인해 변형되거나 파손되기 쉬운 소모성 부품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주요 구성품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교량 상판의 하단에 고정되는 상부 플레이트와, 상부 플레이트의 좌우 양측부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상부 돌출편과, 상부 플레이트를 대향하도록 교각의 상단에 고정되는 하부 플레이트와, 상부 돌출편과 소정 간격을 두고 교차되도록 하부 플레이트의 좌우 양측부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되 하부 플레이트와는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교차되는 상부 돌출편을 통해 소정 이상의 수평하중을 받으면 절곡되거나 파단되도록 상부 폭이 하부 폭보다 협소하게 형성된 한 쌍의 하부 돌출편과,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어 상판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탄성지지하면서 교량 상판의 수평 이동은 허용하는 패드 베어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교량의 받침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량 상판의 하중과 변형을 효과적으로 수용하면서 수평하중으로 인해 변형되거나 파손되기 쉬운 소모성 부품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주요 구성품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데 적당하도록 한 교량의 받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의 받침장치는 교량의 교각과 상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판을 지지하는 가운데 다양한 이유들 때문에 발생하는 상판의 변위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한편 충격하중을 흡수 또는 감소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이같은 받침장치를 교량에서 사용하는 것은 교량에는 상판과 교각의 상대적인 변위와 하중을 야기하는 요인들이 끊임없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차량 통행에 따른 동하중의 작용, 계절 및 온도 변화로 인한 상판 길이의 변화, 지진으로 인한 충격력 등을 들 수 있다. 교량의 받침장치는 상기와 같은 요인들로 인해 발생하는 상판의 변위 및 하중을 적절히 대비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교량의 전체 또는 부분 붕괴를 막을 수 있게 된다.
이에, 도 1은 종래 교량의 받침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용 탄성받침대는 앵커(11)에 의해 교량 상판에 고정되는 상부 플레이트(10),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상부 돌출편(20)과, 교각에 고정되는 하부 플레이트(30), 상기 하부 플레이트(30)에 설치되는 하부 돌출편(40)과, 교량 상판의 하중을 탄력 있게 지지하고 수평방향으로 상판의 변위를 허용하기 위한 패드 베어링(50)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상부 돌출편(20) 및 하부 돌출편(40)이 상호 작용하여 교각에 대한 교량 상판의 상대운동을 어느 정도 제한하는 동시에 지진 등 수평방향으로 큰 힘이 작용하는 경우 파괴되면서 패드 베어링(50)의 변형으로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었다. 상기 패드 베어링(50)은 상부 플레이트(10)와 하부 플레이트(30) 사이에서 교량 상판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가운데 변형되면서 교량 상판의 수평방향 변위를 허용하는 한편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교량의 받침장치는 상부 돌출편(20)과 하부 돌출편(40)이 동일한 형태로 설치된 관계로 둘 중 어느 편이 파괴될지 예측하기 어렵고, 파괴된 돌출편(20,40)을 교체하는 작업이 그리 간단치 않았다. 이는 상기 돌출편(20,40)이 상기 플레이트(10,30)에 용접 등에 의해 완전히 고정 접합된 관계로 파괴된 돌출편(20,40)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상기 플레이트(10,30)까지 교량 상판 또는 교각으로부터 뜯어내어 교체한 후 콘크리트 시공을 다시 하는 등 번거롭고 힘든 작업이 수반되어야 하기 때문이었다. 이는 시간, 인력 및 비용 측면에서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하였다.
한편, 상기 패드 베어링(50)이 교량 상판의 수평이동을 허용하면서 변형될 때 패드 베어링(50)을 걸면서 지지하는 걸림턱(60)으로 인해 패드 베어링(50)이 손상을 입는 문제가 있었다. 이는 고무 소재의 패드 베어링(50)이 상이한 스틸 소재로 구성된 걸림턱(60)에 강하게 직접적으로 접촉되면서 발생하는 문제였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교량 상판의 하중과 변형을 효과적으로 수용하면서 수평하중으로 인해 변형되거나 파손되기 쉬운 소모성 부품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교량의 받침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교량의 받침장치는 교량의 상판과 교각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교량 상판의 하단에 고정되는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좌우 양측부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상부 돌출편과, 상기 상부 플레이트를 대향하도록 상기 교각의 상단에 고정되는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돌출편과 소정 간격을 두고 교차되도록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좌우 양측부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되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는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교차되는 상기 상부 돌출편을 통해 소정 이상의 수평하중을 받으면 절곡되거나 파단되도록 상부 폭과 하부 폭이 다르게 형성된 한 쌍의 하부 돌출편과,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교량 상판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탄성지지하면서 상기 교량 상판의 수평 이동은 허용하는 패드 베어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하부 돌출편의 착탈 가능한 결합을 위해,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양측부에는 상기 하부 돌출편의 하단부가 끼워지는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돌출편이 상기 절개부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볼트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드 베어링의 수평방향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패드 베어링의 상단 및 하단 언저리를 둘러 지지하는 걸림편이 각각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상기 패드 베어링과 걸림편 사이에 개재되어 양자간에 직접적인 접촉 및 충돌을 방지하는 완충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돌출편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하부의 광대부와, 상기 상부 돌출편과 교차되고 상기 광대부보다 좁은 폭을 갖는 상부의 협소부와, 상기 광대부와 협소부를 연결하는 경사 연결부로 형성되어, 소정 이상의 수평하중을 받는 경우 상기 협소부와 경사 연결부가 만나는 지점을 기점으로 절곡 또는 파단이 발생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링의 소재는 우레탄 또는 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돌출편은 하부 돌출편보다 상하길이가 짧고, 하부 돌출편 상단부의 일측과 전후측 주변을 감쌀 수 있도록 수평단면이 "ㄷ"자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돌출편은 상기 하부 돌출편보다 상하길이가 짧고, 상기 하부 돌출편 상단부의 일측에서 상기 하부 돌출편과 나란하게 수평단면이 "ㅡ"자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받침부재는 상기 교량 상판의 하단에 고정되고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좌우 양측부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상부 돌출편과, 상기 상부 플레이트를 대향하도록 상기 교각의 상단에 고정되고 양측부에는 절개부가 형성된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돌출편과 소정 간격을 두고 교차되도록 좌우 양측부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되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절개부에 끼워져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하부의 광대부와, 상기 상부 돌출편과 교차되고 상기 광대부보다 좁은 폭을 갖는 상부의 협소부와, 상기 광대부와 협소부를 연결하는 경사 연결부로 형성되어 소정 이상의 수평하중을 받는 경우 상기 협소부와 경사 연결부가 만나는 지점을 기점으로 절곡 또는 파단이 발생토록 한 한 쌍의 하부 돌출편과,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교량 상판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탄성지지하면서 상기 교량 상판의 수평 이동은 허용하는 패드 베어링과,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패드 베어링의 수평방향 이탈을 방지하도록 각각 상기 패드 베어링의 상단 및 하단 언저리를 둘러 지지하는 걸림편과, 상기 패드 베어링과 걸림편 사이에 개재되어 양자간에 직접적인 접촉 및 충돌을 방지하는 고무 또는 우레탄 소재의 완충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본 고안에 의한 교량의 받침장치는 교량의 상판과 교각 사이에 설치되며, 교량 상판의 하중과 변형을 효과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은 지진 등에 의해 발생하는 수평하중으로 변형되거나 파손되기 쉬운 소모성 부품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주요 구성품의 손상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교량의 받침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4의 I-I'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부 플레이트(110)와, 상부 돌출편(120)과, 하부 플레이트(130)와, 하부 돌출편(140)과, 패드 베어링(150)과, 완충링(1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는 스틸 소재인 사각의 넓은 판으로, 교량 상판에 매설되는 복수의 앵커(111)에 의해 교량 상판 하면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상부 돌출편(120)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의 하면에서 좌우 양단부 한 쌍으로 각각 구비되어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되고, 하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상부 돌출편(120)은 하부 돌출편(140)의 일측과 전후측 주변을 감쌀 수 있도록 수평단면이 "ㄷ"자 형태로 형성된다. 이같이 "ㄷ"자 형태를 갖는 상부 돌출편(120)은 지진 등으로 인해 교량 상판이 크게 흔들리면서 하부 돌출편(140)과 강하게 충돌하더라도 파손되지 않을 정도로 상기 하부 돌출편(140)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부 돌출편(120)은 상부 플레이트(110)와 동일한 스틸 소재로 구비되어 용접 등과 같은 방법으로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상기와 같이 상부 돌출편(120)이 "ㄷ"자 형태를 갖게 되면 교량의 폭방향(횡방향)은 물론 교축방향(교량의 길이방향)으로 상판이 변위되거나 이동하는 모든 경우에 상기 상부 돌출편(120)과 하부 돌출편(140)이 접촉 또는 충돌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 돌출편(120)이 "ㄷ"자 형태를 갖는 경우에 본 고안의 받침장치는 주로 고정단 교각에 설치되는 것을 염두하고 있다. 물론, 상기 상부 돌출편(120)이 약간만 변형되면 가동단 교각에 설치되기 적합한 형태가 된다. 이처럼 가동단 교각에 설치되기 적합한 형태로 변형된 구성에 대해서는 차후에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130)는 상부 플레이트(110)와 마찬가지로 스틸 소재인 사각의 넓은 판으로서, 교각 상단에 매설되는 복수의 앵커(131)에 의해 교각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130)의 좌우 양단부에는 상기 하부 돌출편(140)의 하단부가 끼워지는 절개부(132)가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하부 돌출편(140)은 상기 상부 돌출편(120)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어긋난 위치에 교차되도록 상기 하부 플레이트(130)로부터 상방향 돌출되게 설치된다. 상기 하부 돌출편(140)은 사각 형태를 갖고 하부를 이루는 광대부(140A)와, 상기 하부 돌출편(140)의 상부를 이루고 상단부가 상기 상부 돌출편(120)과 교차되는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광대부(140A)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되는 사각 형태의 협소부(140B)와, 상기 광대부(140A) 및 협소부(140B)를 연결하는 경사 연결부(140C)로 형성된다. 이같이 상기 하부 돌출편(140)은 상기 광대부(140A)와 협소부(140B)가 다른 폭을 갖는 폭 변화 구조에 의해 노치(Notch) 등의 가공이 없더라도 소정 이상의 수평하중을 받는 경우 쉽게 파단되거나 절곡된다. 이때 예측할 수 있듯이 상기 상부 협소부(140B)와 경사 연결부(140C)가 만나는 지점(140D)을 파단면으로 삼아 이를 기점으로 파단되거나 절곡되어 충격을 완화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 돌출편(140)은 그 좌우 폭뿐만 아니라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두께에 있어서도 상기 상부 돌출편(120)에 비해 얇기 때문에 상부 돌출편(120)과 충돌시 거의 혼자서만 절곡되거나 파단된다. 따라서, 이처럼 예측 가능한 신뢰성을 바탕으로 두 돌출편(120,140) 중 하부 돌출편(140)만을 소모품으로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하부 돌출편(140)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130)와 착탈 가능하도록 체결되는데 이를 위해 하부 돌출편(140) 하부를 이루는 광대부(140A)의 하단부가 상기 하부 플레이트(130)의 절개부(132)에 끼워진 상태에서 볼트(133)로 체결된다. 이때 상기 하부 플레이트(130)와 하부 돌출편(140)에는 미리 볼트공(135,145)이 천공되어 있으면 좋다. 이처럼 상기 하부 돌출편(140)이 상기 하부 플레이트(130)에 착탈 가능하면 상기 하부 돌출편(140)이 수평하중을 받아 소정 이상 절곡되거나 파단된 후 더 이상 기능을 발휘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게 되었을 때 간단히 새로운 것으로 교체할 수 있다.
상기 패드 베어링(150)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와 하부 플레이트(130) 사이에 개재되어 교량 상판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면서 교량 상판의 수평방향 이동을 허용한다. 이를 위해 상기 패드 베어링(150)은 소정의 탄성을 갖는 고무소재 또는 이에 상응하는 소재의 것으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패드 베어링(150)의 수평방향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와 하부 플레이트(130)에 각각 상기 패드 베어링(150)의 상단 및 하단 언저리를 둘러 지지하는 걸림편(160)이 설치된다. 그러면 교량의 상판이 변형되거나 이동하게 될 때 상기 패드 베어링(150)이 뒤틀려 변형되는 상황에서도 원래의 위치를 벗어나지 않는다.
상기 완충링(170)은 상기 패드 베어링(150)과 걸림편(160) 사이에 개재되어 양자간에 직접적인 접촉 및 충돌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상기 완충링(170)은 상기 패드 베어링(150)의 외곽에 맞는 사각의 링 형태를 갖고 우레탄 또는 고무소재로 구성된다. 이같은 완충링(170)은 스틸 소재인 걸림편(160)과 고무 소재인 패드 베어링(150)이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패드 베어링(150)이 걸림편에 직접 접촉되면서 찢어지는 등 손상을 입는 것을 방지해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교량용 받침장치의 작동을 도 5 및 앞서 언급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플레이트(110)와 하부 플레이트(130)는 각각 교량의 상판과 교각에 고정되고, 상부 돌출편(120)과 하부 돌출편(140)은 소정 간격을 두고 엇갈린 위치에서 교차하여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와 하부 플레이트(130) 사이에는 패드 베어링(150)이 개재되어 있다. 상기 패드 베어링(150)은 온도차에 의해 교량 상판이 팽창되거나 수축되더라도 교각의 변위 또는 수평이동을 수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돌출편(120)은 상기 하부 돌출편(140)과 어긋나 있는 범위 내에서는 교량 상판과 함께 이동하다가 하부 돌출편(140)과 맞닿아 접하는 순간부터 교각의 변위 또는 움직임을 제한하게 된다. 만일, 지진과 같이 급격하고 큰 수평하중이 발생하면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 돌출편(120)과 하부 돌출편(140)이 강하게 접촉 또는 충돌하면서 상기 하부 돌출편(140)이 크게 절곡되거나 파손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절곡이나 파손은 상기 하부 돌출편(140)의 상부 협소부(140B)와 경사 연결부(140C)가 만나는 지점(140D)을 기점으로 발생한다. 이같은 하부 돌출편(140)의 절곡 및 파손된 후 상기 패드 베어링(150)이 탄성 변형되면서 충격력의 상당 부분이 흡수된다.
여기서, 상기 패드 베어링(150)이 변형될 때 상기 패드 베어링(150)과 걸림턱(160)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완충링(170)은 이들 패드 베어링(150)과 걸림턱(160)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여 상기 패드 베어링(150)의 손상을 방지해준다. 따라서 주요부품인 상기 패드 베어링(150)의 수명이 상당히 연장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하부 돌출편(140)이 심하게 절곡되거나 파단되어 그 기능을 상실한 경우 차후를 대비하여 즉시 교체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고안 전체를 해체할 필요 없이 단지 체결용 볼트(133)를 풀어 하부 플레이트(130)의 절개부(132)로부터 하부 돌출편(140)을 간단히 분리해내고 새로운 하부 돌출편(140)을 마련하여 갈아 끼우기만 하면 된다.
한편, 차량의 이동 등으로 인해 상기 교량의 상판에서 지속적이고 불규칙적으로 전달되는 하중 및 충격에 대해서도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와 하부 플레이트(130) 사이에 개재된 패드 베어링(150)에서 흡수하게 되어 교각에는 그 영향력이 상당히 감소되어 전달된다. 즉, 교량 상판을 통행하는 자동차 등에 의한 동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패드 베어링(150)이 탄력적으로 신축되면서 하중을 감쇄시킨 상태로 교각에 전달하여 상기 교량 상판과 교각 상호간에 발생할 수 있는 하중에 의한 충격이나 파손의 우려를 상당 부분 제거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상부 돌출편(120)은 수평단면이 "ㄷ"자형이 아닌 "ㅡ"자형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에, 도 6은 본 고안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변형 실시예에서는 상부 돌출편(180)이 "ㄷ"자형이 아닌 "ㅡ"자형으로 형성되어 하부 돌출편(140)의 일측에서 나란하게 위치한다. 이처럼 상기 상부 돌출편(180)이 하부 돌출편(140)과 나란한 "ㅡ"자형으로 형성되면 교량 상판의 신축을 포함하여 교량 상판이 교축방향(교량의 길이방향)으로 변위되는 경우 변형전과는 달리 상부 돌출편(180) 및 하부 돌출편(140) 간에 접촉이나 충돌이 전혀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교량 상판의 교축방향 변위에 대해서는 아무 제한을 가하지 않으며, 돌출편(180,140) 간 접촉이나 충돌로 인한 파손도 발생하지 않는다. 하지만 교량의 폭방향(횡방향)으로 상판이 변위되는 경우에는 변형전과 동일하게 작용한다.
따라서, 변형전 구성에 따른 본 고안의 받침장치는 고정단 교각에 설치되고, 변형된 구성에 따른 본 고안의 받침장치는 주로 가동단 교각에 설치되기 적당하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교량의 받침장치는 하부 돌출편 및 패드 베어링에 의해 교량 상판의 하중과 변형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부 돌출편에 비해 절곡이나 파단이 쉽게 일어날 수 있도록 폭 변화 구조를 갖는 하부 돌출편에 의해 수평하중에 의한 파손 부위가 예측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은 수평하중에 의해 파손되는 하부 돌출편을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여 하부 돌출편의 파손시 번거로움 없이 쉽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완충링에 의해 스틸 소재의 걸림턱과 고무 소재의 패드 베어링이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요 구성품인 패드 베어링의 손상을 장기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간단한 변형으로 고정단 교각 및 가동단 교각 어느 쪽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교량의 받침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4는 도 4의 I-I'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6은 본 고안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상부 플레이트 111,131 : 앵커
120 : 상부 돌출편 130 : 하부 플레이트
132 : 절개부 133 : 체결용 볼트
140 : 하부 돌출편 150 : 패드 베어링
160 : 걸림턱 170 : 완충링
Claims (8)
- 교량의 상판과 교각 사이에 설치되는 교량의 받침장치에 있어서,상기 교량 상판의 하단에 고정되는 상부 플레이트와;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좌우 양측부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상부 돌출편과;상기 상부 플레이트를 대향하도록 상기 교각의 상단에 고정되는 하부 플레이트와;상기 상부 돌출편과 소정 간격을 두고 교차되도록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좌우 양측부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되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는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교차되는 상기 상부 돌출편을 통해 소정 이상의 수평하중을 받으면 절곡되거나 파단되도록 상부 폭과 하부 폭이 다르게 형성된 한 쌍의 하부 돌출편과;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교량 상판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탄성지지하면서 상기 교량 상판의 수평 이동은 허용하는 패드 베어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교량의 받침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하부 돌출편의 착탈 가능한 결합을 위해,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양측부에는 상기 하부 돌출편의 하단부가 끼워지는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돌출편이 상기 절개부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볼트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받침장치.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패드 베어링의 수평방향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패드 베어링의 상단 및 하단 언저리를 둘러 지지하는 걸림편이 각각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에 설치되고,상기 패드 베어링과 걸림편 사이에 개재되어 양자간에 직접적인 접촉 및 충돌을 방지하는 완충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받침장치.
- 제 3항에 있어서,상기 하부 돌출편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하부의 광대부와, 상기 상부 돌출편과 교차되고 상기 광대부보다 좁은 폭을 갖는 상부의 협소부와, 상기 광대부와 협소부를 연결하는 경사 연결부로 형성되어,소정 이상의 수평하중을 받는 경우 상기 협소부와 경사 연결부가 만나는 지점을 기점으로 절곡 또는 파단이 발생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받침장치.
- 제 4항에 있어서,상기 완충링의 소재는 우레탄 또는 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받침장치.
-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상부 돌출편은 상기 하부 돌출편보다 상하길이가 짧고, 상기 하부 돌출편 상단부의 일측과 전후측 주변을 감쌀 수 있도록 수평단면이 "ㄷ"자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받침부재.
-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상부 돌출편은 상기 하부 돌출편보다 상하길이가 짧고, 상기 하부 돌출편 상단부의 일측에서 상기 하부 돌출편과 나란하게 수평단면이 "ㅡ"자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받침부재.
- 교량의 상판과 교각 사이에 설치되는 교량의 받침장치에 있어서,상기 교량 상판의 하단에 고정되고 상부 플레이트와;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좌우 양측부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상부 돌출편과;상기 상부 플레이트를 대향하도록 상기 교각의 상단에 고정되고 양측부에는 절개부가 형성된 하부 플레이트와;상기 상부 돌출편과 소정 간격을 두고 교차되도록 좌우 양측부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되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절개부에 끼워져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하부의 광대부와, 상기 상부 돌출편과 교차되고 상기 광대부보다 좁은 폭을 갖는 상부의 협소부와, 상기 광대부와 협소부를 연결하는 경사 연결부로 형성되어 소정 이상의 수평하중을 받는 경우 상기 협소부와 경사 연결부가 만나는 지점을 기점으로 절곡 또는 파단이 발생토록 한 한 쌍의 하부 돌출편과;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교량 상판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탄성지지하면서 상기 교량 상판의 수평 이동은 허용하는 패드 베어링과;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패드 베어링의 수평방향 이탈을 방지하도록 각각 상기 패드 베어링의 상단 및 하단 언저리를 둘러 지지하는 걸림편과;상기 패드 베어링과 걸림편 사이에 개재되어 양자간에 직접적인 접촉 및 충돌을 방지하는 고무 또는 우레탄 소재의 완충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교량의 받침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24550U KR200402150Y1 (ko) | 2005-08-25 | 2005-08-25 | 교량의 받침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24550U KR200402150Y1 (ko) | 2005-08-25 | 2005-08-25 | 교량의 받침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2150Y1 true KR200402150Y1 (ko) | 2005-11-25 |
Family
ID=43703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24550U KR200402150Y1 (ko) | 2005-08-25 | 2005-08-25 | 교량의 받침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02150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32346B1 (ko) * | 2006-05-12 | 2007-06-27 |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 유지보수가 용이한 교량용 탄성받침 |
KR101618229B1 (ko) * | 2016-01-27 | 2016-05-04 | 진충한 | 교량받침용 이동량 게이지 및 이를 구비한 교량받침 |
-
2005
- 2005-08-25 KR KR20-2005-0024550U patent/KR200402150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32346B1 (ko) * | 2006-05-12 | 2007-06-27 |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 유지보수가 용이한 교량용 탄성받침 |
KR101618229B1 (ko) * | 2016-01-27 | 2016-05-04 | 진충한 | 교량받침용 이동량 게이지 및 이를 구비한 교량받침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397141B1 (ko) | 이중곡률 곡면을 가진 다경간 연속교량의 지진력 분산전달장치 | |
KR101702272B1 (ko) |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핑거플레이트 | |
KR200402150Y1 (ko) | 교량의 받침장치 | |
KR101396577B1 (ko) | 유지보수가 용이한 교량용 탄성받침 | |
JP4383963B2 (ja) | ボルト破断型緩衝ストッパー装置及び橋梁の免震装置 | |
KR200289990Y1 (ko) | 교량용 탄성받침대 | |
JP2009235847A (ja) | 橋梁用伸縮装置及び橋梁用伸縮構造 | |
KR100809064B1 (ko) | 기존교량의 내진보강공법 | |
KR100599207B1 (ko) | 거더의 재질 및 지간의 길이가 서로 다른 신구 교량이서로 접속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서로 다른 신축량을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이음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 |
KR20210019264A (ko) | 교량용 풀림 방지 신축이음장치 | |
JP7165555B2 (ja) | 機能分離型衝撃吸収装置 | |
JP4858848B2 (ja) | 桁間連結装置 | |
JP6269928B2 (ja) | 橋台補強構造体 | |
KR100564093B1 (ko) | 발포성 고무를 이용한 교량의 신축이음구조 | |
KR200222321Y1 (ko) | 교량 신축조인트 | |
JP3677573B2 (ja) | 橋梁用伸縮装置 | |
JP6473426B2 (ja) | 落橋防止構造 | |
KR100448486B1 (ko) | 교좌장치 | |
KR200332005Y1 (ko) | 거더의 재질 및 지간의 길이가 서로 다른 신구 교량이서로 접속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서로 다른 신축량을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이음장치 | |
KR200271596Y1 (ko) | 지진 및 수평하중에 저항하여 교량 상부구조물의 탈락을방지하기 위한 교좌장치 | |
JP4481804B2 (ja) | 橋梁用伸縮装置の遊間構造 | |
JP2004036236A (ja) | 橋梁用ジョイントにおけるミドルビームの逸脱防止装置 | |
JP2017227122A (ja) | 橋台補強構造体 | |
KR100742304B1 (ko) | 도로의 충격 와해 흡수시설 | |
KR200232756Y1 (ko) | 교량용 탄성받침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1019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