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931Y1 - 내진형 조명기구 - Google Patents

내진형 조명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931Y1
KR200401931Y1 KR20-2005-0023690U KR20050023690U KR200401931Y1 KR 200401931 Y1 KR200401931 Y1 KR 200401931Y1 KR 20050023690 U KR20050023690 U KR 20050023690U KR 200401931 Y1 KR200401931 Y1 KR 2004019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olt
circular tube
diameter
heavy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36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초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삼명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삼명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삼명사
Priority to KR20-2005-00236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9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19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9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3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surface-mounted type
    • F21S8/033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surface-mounted type the surface being a wall or like vertical structure, e.g. building facade
    • F21S8/03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surface-mounted type the surface being a wall or like vertical structure, e.g. building facade by means of a rigid support, e.g. bracket or a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4Resilient mountings, e.g. shock absor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 F21V17/16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the parts being subjected to traction or compression, e.g. coi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30Pivoted housings or 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40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 F21W2131/403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for machines

Abstract

본원 고안은 내진형 조명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타워 크레인(tower crane)과 같은 중장비로부터 전달되는 심한 요동이나 진동을 효율적으로 흡수하여 램프의 목 부위와 같은 연결부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내진형 조명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원 고안은, 하우징 내부에 조명등이 구비되고, 브라켓의 일측에 상기 하우징의 양측부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브라켓의 타측이 상호 연결되어 중장비의 일측에 부착되도록 된 조명기구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타측에 제1 플레이트가 결합되며, 결합된 중심부에 소정 직경(D)의 관통공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관통공 상부측으로 상기 직경과 동일한 내경(D)을 가지는 원형관이 연장형성되며, 상기 중장비의 일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원형관에 대응되는 위치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너트가 고정결합되는 제2 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원형관 및 너트를 중심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코일 스프링이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에서 고정결합되어 상기 원형관을 관통하는 소정 직경(d)의 볼트에 의해 상기 너트와 나사결합되어지되, 상기 원형관의 내경(D)과 볼트의 직경(d) 사이에는 소정 크기의 유격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의 머리부와 상기 원형관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이 개재되어 상기 볼트의 체결정도에 따라 중장비로부터의 진동흡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내진형 조명기구{Lighting device with anti-vibration}
본원 고안은 내진형 조명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타워 크레인(tower crane)과 같은 중장비로부터 전달되는 심한 요동이나 진동을 효율적으로 흡수하여 램프의 목 부위와 같은 연결부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내진형 조명기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 타워 크레인, 콘테이너 크레인을 비롯한 각종 하역 크레인, 포크 크레인 등과 같이 작업반경이 비교적 넓은 중장비의 경우, 야간 작업을 위하여 작업반경 내를 밝힐 수 있는 조명기구가 상기 중장비의 일측에 필수적으로 장착되게 된다.
상기 조명기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 내부에 조명등(200)이 구비되고, '└┘' 형상으로 형성된 브라켓(10)의 일측에 상기 하우징(100)의 양측부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호 연결된 브라켓(10)의 타측이 중장비(300)의 소정 위치에 결합되게 된다.
이때 상기 브라켓(10)의 타측은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중장비에 직접결합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결합될 경우 포크 크레인과 같은 중장비의 경우, 엔진 등에서 전해오는 진동이 중장비 몸체를 타고 전달되면서 점차 증폭되게 되어 램프 하우징의 하중을 지탱하고 있는 브라켓이나 램프의 목 부위와 같은 연결부위가 반복적인 피로하중으로 결국 중장비와 연결되는 상기 연결부위가 부러지는 문제점이 발생되게 된다.
이에 더하여 특히 타워 크레인과 같은 경우, 짚(JIB)을 따라 트로리(TROLLEY) 이동으로 후크에 메달린 중량물을 전, 후로 움직이는 횡행동작, 타워 크레인 자체를 전, 후로 움직이는 레일트렉 동작, 크레인 상부 전체를 회전하여 중량물을 목적한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선회동작의 운동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여기에 장착되는 종래 조명기구의 경우 연결부위가 상기 동작을 수용할 수가 없는 구조로 되어있어 결국 브라켓이나 램프의 목 부위와 같은 연결부위가 부러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타워 크레인(tower crane)과 같은 중장비로부터 전달되는 심한 요동이나 진동을 효율적으로 흡수하여 램프의 목 부위와 같은 연결부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내진형 조명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운동방향의 급격한 변화와 진동이 함께 존재하는 중장비에 장착되어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내진형 조명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보다 구체적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하우징 내부에 조명등이 구비되고, 브라켓의 일측에 상기 하우징의 양측부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브라켓의 타측이 상호 연결되어 중장비의 일측에 부착되도록 된 조명기구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타측에 제1 플레이트가 결합되며, 결합된 중심부에 소정 직경(D)의 관통공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관통공 상부측으로 상기 직경과 동일한 내경(D)을 가지는 원형관이 연장형성되며, 상기 중장비의 일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원형관에 대응되는 위치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너트가 고정결합되는 제2 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원형관 및 너트를 중심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코일 스프링이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에서 고정결합되어 상기 원형관을 관통하는 소정 직경(d)의 볼트에 의해 상기 너트와 나사결합되어지되, 상기 원형관의 내경(D)과 볼트의 직경(d) 사이에는 소정 크기의 유격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의 머리부와 상기 원형관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이 개재되어 상기 볼트의 체결정도에 따라 중장비로부터의 진동흡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초하여 자세히 서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는 중장비의 일측에 부착된 본 고안에 따른 내진형 조명기구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내진형 조명기구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조명등(200)이 구비된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을 지지하면서 중장비(300)의 소정 위치에 결합되는 브라켓(10)으로 이루어진 조명기구는 종래 도 1과 동일하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10)의 형상은 종래와 같이 '└┘' 형상으로, 상부측의 연결되지 아니한 부분을 브라켓(10)의 일측으로 하고, 하부측의 연결된 부분을 타측으로 정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은 제1 플레이트(20)와 제2 플레이트(30) 사이에 복수 개의 코일 스프링(60)을 위치시키고, 상기 제1 플레이트(20)와 제2 플레이트(30)가 볼트(70)를 통해 결합되도록 하도록 하여 구성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플레이트(20)는 소정 크기의 판재로 상기 브라켓(10)의 타측에 용접 또는 볼트체결과 같은 결합방법을 통하여 결합되며, 결합된 중심부에 소정 직경의 관통공(D)이 관통형성된다.
그러나, 조명기구의 제조시에 상기 브라켓(10)의 타측을 제1 플레이트(20)의 형상이 구비되도록 바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하여 제1 플레이트(20)는 상기 브라켓(10)의 타측에 결합되며, 결합된 중심부에는 소정 직경(D)의 관통공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관통공 상부측으로 상기 직경(D)과 동일한 내경(D)을 가지는 원형관(40)이 연장형성된다.
상기 원형관(40)은 상기 브라켓(10)의 타측과 제1 플레이트(20)에 관통형성된 관통공에 그 내경을 일치시켜 용접과 같은 방법으로 하여 고정결합되며, 따라서 상하 모두 동일한 크기의 내경(D)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 플레이트(20)와 결합하여 볼트(90)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중장비의 소정 위치에 결합되는 상기 제2 플레이트(30)가 구비된다.
상기 제2 플레이트(30)의 상부면에는 상기 제1 플레이트(20)에 구비된 원형관(40)에 대응되는 위치, 즉 상기 원형관(40)과 수직되게 연결되는 동일선상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너트(50)가 위치하며, 상기 너트(50)는 상기 제2 플레이트(30)와 용접과 같은 방법으로 고정결합된다.
상기 제2 플레이트(30) 역시 소정 크기의 판재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제1 플레이트(20)와 최종 결합된 상태에서 중장비와 결합을 위하여 상기 볼트(90)가 체결될 수 있는 삽입공(95)이 테두리 부분에 확보되도록 상기 제1 플레이트(20) 보다 다소 크게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구성된 제1 플레이트(20)와 제2 플레이트(30) 사이에는 복수 개의 코일 스프링(60)이 개재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복수 개의 코일 스프링(60)은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상기 원형관(40) 및 너트(50)를 중심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코일 스프링(60)의 양단부는 각각 제1 플레이트(20)와 제2 플레이트(30)측과 용접과 같은 방법으로 고정결합되며, 이와 함께 볼트(70)에 또 다른 코일 스프링(80)을 끼운 상태에서 상기 원형관(40)을 관통시켜 상기 너트(50)와 나사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볼트(70)는 장착시 상기 원형관의 내경(D)과의 사이에 소정 크기의 유격이 형성될 수 있도록 그 직경(d)을 상기 내경(D)보다 작게 하여 형성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제1 및 제2 플레이트(20)(30)를 소정 크기의 판재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그 사이에 복수 개의 코일 스프링(60)을 수용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형태의 것도 무방함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하여 구성되는 본 고안의 결합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본 고안의 정면을 나타낸 도 4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내진형 조명기구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레이트(20)와 제2 플레이트(30) 사이에는 복수 개의 코일 스프링(60)이 구비되며, 중심부에서 상하로 관통되어 제2 플레이트(30)의 상부면에 구비된 너트(50)에 체결되는 볼트(70)의 머리부(75)와 원형관(40) 사이에도 코일 스프링(80)이 구비되어 상기 볼트(70)의 머리부와 원형관(40) 사이를 탄력지지하게 된다.
또한, 체결된 볼트(70)의 직경(d)은 관통공의 내경(D) 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어 그 사이에는 소정 크기의 유격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볼트(70)의 체결정도, 즉 죄임정도를 가변할 수가 있게 되는데, 즉 상기 볼트(70)를 도시된 상태에서 더 죄일 경우 증가된 죄임력 만큼 제1 플레이트(20)는 제2 플레이트(30) 측으로 더 압착을 하게 되며, 이와 반대로, 상기 볼트(70)를 반대로 돌려 죄임력을 보다 느슨하게 할 경우 감소된 죄임력 만큼 제1 플레이트(20)는 제2 플레이트(30) 측으로 덜 압착을 하게 된다.
여기서, 죄임력의 크기는 절대적인 크기가 아닌 상대적인 크기의 개념으로 해석되어야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볼트(70)의 체결정도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제1 플레이트(20)와 제2 플레이트(30)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코일 스프링(60)의 압축정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가 있어 중장비로부터 발생되는 요동이나 진동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대응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함께 본 고안은 상기 볼트(70)와 원형관(40) 사이에 소정 크기의 유격이 존재하게 되므로 상기 제1 플레이트(20)와 제2 플레이트(30) 사이의 복수 개의 코일 스프링(60)에 의해 흡수가 되지 않을 정도로 중장비의 급작스런 회전방향 전환으로 인한 조명기구의 휘청거림이 발생할 경우에도 상기 볼트(70)가 원형관(40)의 내측에 의해 지지가 되게 되므로 상기 복수 개의 코일 스프링(60)을 통한 1차흡수와 함께 상기 볼트(70)에 의한 2차흡수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볼트(70)와 나사결합되는 너트(50)의 높이는 상기 나사결합을 통한 죄임력 조절이 가능한 범위내에서 적당하게 선택되어 사용된다.
그 결과 제1 플레이트(20)와 제2 플레이트(30) 사이에 장착되는 복수 개의 코일 스프링(60) 및 볼트(70)에 끼워져 볼트 머리부(75)와 원형관(40) 사이에 장착되는 코일 스프링(80)의 탄성계수를 중장비의 종류, 작업환경 등에 따라 각각 적당한 것으로 선택하고, 또한 볼트(70)의 체결정도를 적절하게 가변할 경우에는 최적의 진동흡수 조건이 가능하게 되므로 상당기간 동안 브라켓이나 램프의 목 부위와 같은 연결부위의 파손 없이 지속적으로 조명기구를 사용할 수가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본원 고안은 중장비와 조명기구의 브라켓을 연결하는 부위를 직접 접촉이 아닌 탄성체를 통한 접촉방식으로 변경하여 중장비로부터 전달되는 심한 요동이나 진동을 1차 및 2차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내진형 조명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이 있음을 알 수가 있다.
그리고, 본원 고안은 단지 중장비에 연결되는 조명기구에 국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진동이 유발되는 장치와 결합하여 진동을 흡수하고자 하는 분야라면 상기와 같은 기술적 범주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게 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 고안은 심한 요동이나 진동에 의해 중장비와 연결되는 조명기구의 브라켓이나 램프의 목 부위와 같은 연결부위 파손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어 조명기구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가 있게 된다.
나아가, 심한 요동이나 진동이 유발되는 어떠한 형태의 장치와 연결되더라도 진동 흡수가 가능한 내진 장치로의 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중장비의 일측에 부착된 종래 조명기구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중장비의 일측에 부착된 본 고안에 따른 내진형 조명기구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내진형 조명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내진형 조명기구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도 4에 따른 코일 스프링의 결합관계를 예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브라켓 20, 30...제1 및 제2 플레이트
40...원형관 50....너트
60, 80..코일 스프링 70, 90....볼트

Claims (1)

  1. 하우징 내부에 조명등이 구비되고, 브라켓의 일측에 상기 하우징의 양측부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호 연결된 브라켓의 타측이 중장비에 부착되도록 된 조명기구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타측에 제1 플레이트(20)가 결합되며, 결합된 중심부에 소정 직경(D)의 관통공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관통공 상부측으로 상기 직경과 동일한 내경(D)을 가지는 원형관(40)이 연장형성되며,
    상기 중장비의 일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원형관에 대응되는 위치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너트(50)가 고정결합되는 제2 플레이트(30)가 구비되고,
    상기 원형관 및 너트를 중심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코일 스프링(60)이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에서 고정결합되어 상기 원형관을 관통하는 소정 직경(d)의 볼트(70)에 의해 상기 너트와 나사결합되어지되,
    상기 원형관의 내경(D)과 볼트의 직경(d) 사이에는 소정 크기의 유격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의 머리부와 상기 원형관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80)이 개재되어 상기 볼트의 체결정도에 따라 중장비로부터의 진동흡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형 조명기구.
KR20-2005-0023690U 2005-08-17 2005-08-17 내진형 조명기구 KR2004019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3690U KR200401931Y1 (ko) 2005-08-17 2005-08-17 내진형 조명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3690U KR200401931Y1 (ko) 2005-08-17 2005-08-17 내진형 조명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931Y1 true KR200401931Y1 (ko) 2005-11-23

Family

ID=43702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3690U KR200401931Y1 (ko) 2005-08-17 2005-08-17 내진형 조명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931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797B1 (ko) 2007-03-15 2009-03-13 주식회사삼명사 광원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내진형 조명기구
KR101343078B1 (ko) * 2012-06-14 2013-12-20 김기정 진동방지용 투광기
EP2743574A2 (en) 2012-12-11 2014-06-18 Vision X Asia Co., Ltd. Lighting apparatus having shock absorption assembly
KR101857882B1 (ko) * 2016-11-22 2018-05-14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하역기용 조명 보호장치
KR101963668B1 (ko) * 2018-04-17 2019-04-01 폴텍주식회사 연속하역기 버켓 엘리베이터의 석탄 분진 비산 억제 장치
KR102083395B1 (ko) * 2019-07-26 2020-03-02 주식회사 누리온 투광등기구용 진동흡수구조체
CN116336432A (zh) * 2023-02-01 2023-06-27 深圳市尚为照明有限公司 一种手提便携移动照明灯具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797B1 (ko) 2007-03-15 2009-03-13 주식회사삼명사 광원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내진형 조명기구
KR101343078B1 (ko) * 2012-06-14 2013-12-20 김기정 진동방지용 투광기
EP2743574A2 (en) 2012-12-11 2014-06-18 Vision X Asia Co., Ltd. Lighting apparatus having shock absorption assembly
KR101857882B1 (ko) * 2016-11-22 2018-05-14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하역기용 조명 보호장치
KR101963668B1 (ko) * 2018-04-17 2019-04-01 폴텍주식회사 연속하역기 버켓 엘리베이터의 석탄 분진 비산 억제 장치
KR102083395B1 (ko) * 2019-07-26 2020-03-02 주식회사 누리온 투광등기구용 진동흡수구조체
CN116336432A (zh) * 2023-02-01 2023-06-27 深圳市尚为照明有限公司 一种手提便携移动照明灯具
CN116336432B (zh) * 2023-02-01 2023-11-28 深圳市尚为照明有限公司 一种手提便携移动照明灯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1931Y1 (ko) 내진형 조명기구
CN201539634U (zh) 脉动流体管道减振支架
JP5028239B2 (ja) テンションバランサー
CN101832328A (zh) 一种方向调节装置
US8475094B2 (en) Fixing structure of spindle balancer for machine tool technical field
KR100710835B1 (ko) 파이프 고정용 클램핑 장치
JP2013231467A (ja) 減震インサートアンカー
CA2071449C (en) Universal hold-down assembly for pump assemblies and the like
CN202545525U (zh) 固定防松组件
US4793580A (en) Wireway suspension system with braced support leg construction
KR102562304B1 (ko) 나사체결구 풀림방지 시스템
KR102128747B1 (ko) 내진 조명 시스템
JP4851490B2 (ja) 配設体の支持具
JP2003240162A (ja) 流水部材等の支持装置
JP2008019992A (ja) 防振装置
KR200392716Y1 (ko) 스프링클러 리듀서 장착장치
EP0290097B1 (en) Support leg joint construction with bracing
CN203339866U (zh) 一种电机支撑装置和一种皮带传动机构
CN201739319U (zh) 活动螺母装配结构
CN210240897U (zh) 一种万向抗震底座
KR200185481Y1 (ko) 충격 흡수용 턴 버클
JP2008020985A (ja) 信号灯器の腕金用取付金具
CN219119598U (zh) 一种外接口可调的抗震锚栓
KR101516192B1 (ko) 풍력 발전기용 베어링 하우징의 지지 장치
CN111473085B (zh) 一种频率可调式阻尼吸振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2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