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3078B1 - 진동방지용 투광기 - Google Patents

진동방지용 투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3078B1
KR101343078B1 KR1020120063648A KR20120063648A KR101343078B1 KR 101343078 B1 KR101343078 B1 KR 101343078B1 KR 1020120063648 A KR1020120063648 A KR 1020120063648A KR 20120063648 A KR20120063648 A KR 20120063648A KR 101343078 B1 KR101343078 B1 KR 101343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floodlight
fixing
light
fix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3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정
Original Assignee
김기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정 filed Critical 김기정
Priority to KR1020120063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30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3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3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4Resilient mountings, e.g. shock absor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03Searchlights, i.e. outdoor lighting device producing powerful beam of parallel rays, e.g. for military or attraction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30Pivoted housings or 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5/00Safety devic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광기와 상기 투광기의 양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투광기가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투광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단자와, 상기 연결부재의 상측중앙부에 형성되며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진동흡수장치와, 상기 진동흡수장치와 연결되며 공장의 천정이나 크레인에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고정부를 포함함으로서,
투광기의 상측에 다수개의 스프링을 포함하는 진동흡수장치를 설치하여 외부의 충격이나 크레인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여 투광기의 내측에 형성되는 전구가 진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진동방지용 투광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진동방지용 투광기{The floodlight for preventing vibration}
본 발명은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투광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투광기의 상부에 진동흡수장치를 형성하여 외부의 충격이나 상하, 좌우 진동이 투광기로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진동에 내구성이 강한 진동방지용 투광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투광기는 광원을 보호하고, 빛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반사갓 반사율과 배광특성 및 광원 장착 위치에 따라 등기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투광기들은 조명등의 특성상 지면으로부터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사용되므로 투광기에서 투사되는 빛은 천정에 높이에 구애를 받게 되므로 일정한 높이 이상에 장착되면 빛의 밝기 즉, 조도에 영향을 주게 되어 작업장 또는 경기장에 실내를 어둡게 만드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모갈 뒤에 형성되는 피복선에 열원이 그대로 전달되어 단선 및 안정기에 수명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에 투광기가 지면으로 낙하되어 투광기가 고정나거나 인명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910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투광기의 일측에 연결부재를 설치하여 천정이나 크레인등에 설치된 투광기를 회동가능하게 함으로서 특정 장소에 빛을 조사하기 편리할 수 있도록 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투광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투광기의 상측에 다수개의 스프링을 포함하는 진동흡수장치를 설치하여 외부의 충격이나 크레인에 의해 발생되는 상하, 좌우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투광기의 일측에 고리부재를 설치하여 투광기를 천정이나 크레인등에 설치하였을 경우 외부의 진동에 의해 상기 투광기가 천정이나 크레인 등에서 낙하되어 투광기가 망가지거나 인명사고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한다.
투광기와 상기 투광기의 양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투광기가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투광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단자와, 상기 연결부재의 상측중앙부에 형성되며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진동흡수장치와, 상기 진동흡수장치와 연결되며 공장의 천정이나 크레인에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투광기는 하부에 위치한 반사갓과, 상기 반사갓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전원단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내측에 형성되는 전구에서 빛을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반사갓과 몸체부의 사이에는 고정부재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반사갓의 상단 외주면과 몸체부의 하단 외주면을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연결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투광기는 고정부재와 상기 반사갓의 전원공급부 일측에 연결체인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상기 고정부재의 결속력이 약화되어 상기 반사갓이 탈리되어도 상기 연결체인으로 인해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연결부재는 상기 투광기의 양측에 위치하며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측 끝단부에는 반사갓의 일측에 위치한 연결편과 맞닿아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편의 내측에 형성된 장공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 끼움홈과, 상기 연결부재의 상측 중앙에 위치하며 진동흡수장치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진동흡수장치는 상기 연결부재에 형성된 고정편의 상단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외부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여 상기 투광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편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스프링고정편과, 상기 스프링고정편과 고정편의 사이에 위치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내측에 관통되어 상기 스프링고정편과 고정편을 고정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투광기는 클립을 이용하여 천정에 매달아 주거나, 연결고정부에 고정된 파이프에 고정하여 투광기가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고리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구성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방지용 투광기에 있어서, 투광기의 일측에 형성된 연결부재에 의해 투광기를 회동할 수 있도록 하여 천정이나 크레인 등에 고정된 상태라도 상기 투광기를 회동하여 특정 장소에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투광기의 일측에 고리부재를 형성하여 투광기가 외부의 충격에 의해 낙하될 경우에 지면에 떨어지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투광기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어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으며, 투광기를 조립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육각볼트를 사용하여 결합시켜 줄 수 있도록 함으로서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도 견고하게 결합시켜 주게 되는 효과가 있고, 이로 인해 작업의 단순화를 가져와 작업의 능률 및 생산성을 높여 주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방지용 투광기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방지용 투광기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방지용 투광기에 대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방지용 투광기에 대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방지용 투광기에 대한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방지용 투광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방지용 투광기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방지용 투광기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방지용 투광기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방지용 투광기에 대한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투광기(100)에 관한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광기(10)와 상기 투광기의 양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투광기(10)가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연결부재(20)와, 상기 연결부재(20)의 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투광기(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단자(30)와, 상기 연결부재(20)의 상측중앙부에 형성되며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진동흡수장치(40)와, 상기 진동흡수장치(40)와 연결되며 공장등의 천정이나 크레인등에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고정부(50)를 포함한다.
상기 투광기(10)는 하부에 위치한 반사갓(11)과, 상기 반사갓(11)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전원단자(3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내측에 형성되는 전구에 빛을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 몸체부(12)를 포함한다.
상기 반사갓(11)은 외면에 다수개의 각을 형성하고 내측에는 빛의 정반사가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반사코팅 처리한다. 또한, 상기 반사갓(11)에는 상측 바깥둘레에 일정한 간격을 갖고 장공(111-1)이 형성된 연결편(11)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편(111)의 장공(111-1)을 관통시켜 고정되는 볼트(112)를 형성하고 있어 후술되는 연결부재(20)와 연결 고정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볼트(112)가 힌지역할을 함으로서 상기 투광기가 회동가능하게 한다.
상기 몸체부(12)는 상기 반사갓(11)의 상부에 위치하며 내측에 전구 및 방열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전구에 의해 발산되는 빛이 상기 반사갓(11)의 이용하여 반사되어 특정한 곳을 비출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몸체부(12)는 열 전도성이 높은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몸체부(12)의 상단에는 후술되는 전원단자(30)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전원공급부(12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반사갓(11)과 몸체부(12)의 사이에는 고정부재(13)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반사갓(11)의 상단 외주면과 몸체부(12)의 하단 외주면을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13)에 의해 연결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부재(13)에 의해 고정된 투광기(10)는 공장의 천정이나 크레인 등에 설치되었을 경우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13)의 결속력이 약화되어 상기 반사갓(11)이 몸체부(12)로부터 탈리되어 낙하되는 문제점이 종종 발생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13)와 상기 반사갓(11)의 전원공급부(121) 일측에 연결체인(14)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상기 고정부재(13)의 결속력이 약화되어 상기 반사갓(11)이 이탈되어도 상기 연결체인(14)으로 인해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결부재(20)는 상기 투광기(10)의 양측에 위치하며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측 끝단부에는 반사갓(10)의 일측에 위치한 연결편(111)과 맞닿아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편(111)의 내측에 형성된 장공(111-1)과 동일한 위치에 끼움홈(2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20)의 상측 중앙에는 후술되는 진동흡수장치(40)가 안착될 수 있도록 고정편(22)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편(22)은 원형으로 형성되며 진동흡수장치(40)의 스프링(42)이 다수개 위치하여 볼트(43)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통공(221)을 포함한다.
상기 전원단자(30)는 연결부재(20)의 측면에 위치하며 외부로부터 연결된 전원을 케이블을 통해 상기 투광기(10)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원단자(30)는 배면에 고정판재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고정판재와 상기 연결부재(20)가 볼트 및 너트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전원단자(30)의 상하측에는 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는 접속단자(31,3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측에 형성된 접속단자(31)에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고, 하측에 형성된 접속단자(32)는 케이블(33)에 의해 투광기(10)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진동흡수장치(40)는 상기 연결부재(20)에 형성된 고정편(22)의 상단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외부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여 상기 투광기(10)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편(22)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스프링고정편(41)과, 상기 스프링고정편(41)과 고정편(22)의 사이에 위치하는 스프링(42)과, 상기 스프링(42)의 내측에 관통되어 상기 스프링고정편(41)과 고정편(22)을 고정하는 고정볼트(43)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고정부(50)는 상기 스프링고정편(41)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고장의 천정이나 크레인에 고정될 수 있도록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나사식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투광기(100)는 고리부재(60)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고리부재(60)는 투광기(100)를 천정이나 크레인등에 설치하였을 경우 외부의 진동에 의해 상기 투광기(100)가 천정이나 크레인 등에서 낙하되어 투광기(100)가 망가지거나 인명사고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천정에 후크(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음) 내지 텐버클(예:샤클, 비너 등)과 같이 걸 수 있는 구조물을 형성시켜 주고, 이에 상기 고리부재(60)의 일측에 형성된 클립(61)을 이용하여 천정에 매달아 주거나, 연결고정부(50)에 고정된 파이프에 고정하여 투광기(100)가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투광기(100)는 일반적으로 야간에 작업을 하거나 운동을 하는 경우에 작업현장이나 운동경기장의 천정에 설치되어 특정구역을 밝게 비춰주는 역할을 하는 조명등의 일종이다.
상기 반사갓(11)은 알루미늄 재질로 가벼운 것을 사용하며 몸체부(12)의 내측에 장착되는 전구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반사갓(11)과 몸체부(12)를 서로 밀착하여 고정함으로서 내부를 밀폐하여 물이 배선된 부위로 침투되어 전기가 누전 및 단락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 투광기 20 : 연결부재
30 : 전원단자 40 : 진동흡수장치
50 : 연결고정부

Claims (6)

  1. 투광기(10)와 상기 투광기의 양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투광기(10)가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연결부재(20)와, 상기 연결부재(20)의 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투광기(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단자(30)와, 상기 연결부재(20)의 상측중앙부에 형성되며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진동흡수장치(40)와, 상기 진동흡수장치(40)와 연결되며 공장의 천정이나 크레인에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고정부(50)를 포함하며,
    상기 투광기(10)는 하부에 위치한 반사갓(11)과, 상기 반사갓(11)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전원단자(3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내측에 형성되는 전구가 빛을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 몸체부(12)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갓(11)과 몸체부(12)의 사이에는 고정부재(13)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반사갓(11)의 상단 외주면과 몸체부(12)의 하단 외주면을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13)에 의해 연결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고정부재(13)와 상기 반사갓(11)의 전원공급부(121) 일측에 연결체인(14)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상기 고정부재(13)의 결속력이 약화되어 상기 반사갓(11)이 탈리되어도 상기 연결체인(14)으로 인해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진동흡수장치(40)는 상기 연결부재(20)에 형성된 고정편(22)의 상단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외부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여 상기 투광기(10)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편(22)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스프링고정편(41)과, 상기 스프링고정편(41)과 고정편(22)의 사이에 위치하는 스프링(42)과, 상기 스프링(42)의 내측에 관통되어 상기 스프링고정편(41)과 고정편(22)을 고정하는 고정볼트(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방지용 투광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20)는 상기 투광기(10)의 양측에 위치하며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측 끝단부에는 반사갓(10)의 일측에 위치한 연결편(111)과 맞닿아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편(111)의 내측에 형성된 장공(111-1)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 끼움홈(21)과, 상기 연결부재(20)의 상측 중앙에 위치하며 진동흡수장치(40)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편(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방지용 투광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기(100)는 클립(61)을 이용하여 천정에 매달아 주거나, 연결고정부(50)에 고정된 파이프에 고정하여 투광기(100)가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고리부재(6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방지용 투광기
KR1020120063648A 2012-06-14 2012-06-14 진동방지용 투광기 KR101343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648A KR101343078B1 (ko) 2012-06-14 2012-06-14 진동방지용 투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648A KR101343078B1 (ko) 2012-06-14 2012-06-14 진동방지용 투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3078B1 true KR101343078B1 (ko) 2013-12-20

Family

ID=49988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3648A KR101343078B1 (ko) 2012-06-14 2012-06-14 진동방지용 투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307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6019A (ko) * 2014-07-08 2016-01-18 주식회사 엘엠에이치코리아 엘이디 조명장치
KR101857882B1 (ko) 2016-11-22 2018-05-14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하역기용 조명 보호장치
KR101915720B1 (ko) 2018-10-12 2018-11-06 상보산업 주식회사 작업장 조명용 엘이디등기구 진동흡수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931Y1 (ko) * 2005-08-17 2005-11-23 주식회사삼명사 내진형 조명기구
JP2008027783A (ja) * 2006-07-24 2008-02-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屋外用照明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931Y1 (ko) * 2005-08-17 2005-11-23 주식회사삼명사 내진형 조명기구
JP2008027783A (ja) * 2006-07-24 2008-02-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屋外用照明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6019A (ko) * 2014-07-08 2016-01-18 주식회사 엘엠에이치코리아 엘이디 조명장치
KR101652058B1 (ko) * 2014-07-08 2016-08-30 주식회사 엘엠에이치코리아 엘이디 조명장치
KR101857882B1 (ko) 2016-11-22 2018-05-14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하역기용 조명 보호장치
KR101915720B1 (ko) 2018-10-12 2018-11-06 상보산업 주식회사 작업장 조명용 엘이디등기구 진동흡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6261B1 (ko) 탈착식 방열 판을 가지는 엘이디 조명등
KR101399291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조명 장치
KR101343078B1 (ko) 진동방지용 투광기
US787471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ccessing internal components of a suspended light fixture
KR101248092B1 (ko) Led 조명용 고조도 반사갓
KR101541522B1 (ko) Led 공장등
KR20110009698U (ko) 분해가 어려운 커버 유동식 엘이디 천정등
KR101159632B1 (ko) 원터치로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한 조명기구
KR200449357Y1 (ko) 조명기구용 설치구조
KR101031308B1 (ko) 엘이디 등기구 본체
KR20170074515A (ko) 반사갓 교체가 용이한 엘이디 투광등
CN210197219U (zh) 一种灯具安装支架组件
KR102472069B1 (ko) 3축 방진 댐퍼가 적용된 엘이디 조명시스템
CZ297245B6 (cs) Bezpecnostní svítidlo
KR101278037B1 (ko) 천장형 led 등기구
KR20110015182A (ko) 도로용 엘이디 조명시스템
CN215489405U (zh) 一种便于高空检修的照明装置
CN203533359U (zh) 一种防爆led泛光灯
KR20090101606A (ko) 난반사 방지용 고효율 등기구
CN208186111U (zh) Led筒灯
KR101547270B1 (ko) 조사방향 선택이 자유로운 엘이디램프 등기구
CN216243919U (zh) 一种可双向出光的线性灯具
RU2462658C2 (ru) Светильник
KR101636867B1 (ko) 조명등용 방열구조
JP3182075U (ja) シーリングライト付け替え用led光源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