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609Y1 - 콘테이너용 덤프 트레일러 - Google Patents

콘테이너용 덤프 트레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609Y1
KR200401609Y1 KR20-2005-0025606U KR20050025606U KR200401609Y1 KR 200401609 Y1 KR200401609 Y1 KR 200401609Y1 KR 20050025606 U KR20050025606 U KR 20050025606U KR 200401609 Y1 KR200401609 Y1 KR 2004016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mping
frame
container
disposed
trai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56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규범
Original Assignee
한국특장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특장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특장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256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6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16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6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1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6Silo or fluid transporting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7Trailers, e.g. full trailers or carav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Collection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테이너용 덤프 트레일러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콘테이너를 운반하도록 함과 동시에 이 콘테이너를 덤핑할 수 있도록 하여 다용도의 콘테이너 운반용 트레일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콘테이너용 덤프 트레일러에 관한 것으로, 상기 콘테이너용 덤프 트레일러는 평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프레임본체 상측에 배치되며, 내측 가로방향으로 다수의 보강부재가 다수 배치된 덤핑비임과, 상기 덤핑비임의 전, 후 양단에 상기 프론트, 리어볼스터가 장착된 덤핑프레임과, 상기 프레임본체 후방의 주행부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힌지프레임 상측양단에 대칭형으로 배치되며, 상기 리어볼스터의 후방하단에 대칭형으로 장착되는 힌지장치와, 상기 프레임본체와 상기 덤핑프레임 사이에 배치된 덤핑장치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기본적으로는 콘테이너를 운반하도록 함과 동시에, 콘테이너를 덤핑할 수 있도록 하여 분체수송 또는 유류탱크 콘테이너를 덤핑할 수 있는 다용도의 콘테이너 운반용 트레일러를 제공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콘테이너용 덤프 트레일러{DUMP TRAILER FOR CONTAINER}
본 고안은 콘테이너 운반용 트레일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본적으로 콘테이너를 운반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이 콘테이너를 덤핑할 수 있도록 하여 분체수송 또는 유류탱크 콘테이너를 덤핑할 수 있는 다용도 트레일러를 제공한 콘테이너용 덤프 트레일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테이너를 적재하여 운송하는 콘테이너 운반용 트레일러는 여러가지가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태의 콘테이너 운반용 트레일러(이하, "트레일러"라 칭한다.)가 사용되어 오고 있다.
이 트레일러(1)는 프레임본체(10)와 프론트 볼스터(20)와 리어볼스터(30)로 이루어진다.
프레임본체(10)는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2열의 메인비임(11)이 배치되며, 이 메인비임(11)의 내측 가로방향으로 다수의 보강부재(11a)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전방에 견인차량(미도시)과 결합할 수 있도록 하측으로 킹핀(13a)이 돌출된 견인부(13)가 마련되고, 후방에는 도로상을 주행할 수 있도록 바퀴(15a)가 다수 배치된 주행부(15)가 마련된다.
이 프레임본체(10)의 전, 후방, 다시 말해서, 견인부(13)와 주행부(15)의 각 단부에는 프론트 볼스터(20)와 리어 볼스터(30)가 배치된다.
프론트, 리어볼스터(20)(30)는 그 외형단면이 사각형태로 이루어진 볼스터프레임(20a)(30a)이 각각 배치되고, 그 볼스터 프레임(20a)(30a)의 양단에 콘테이너(5)의 코너캐스팅(5a)과 결합할 수 있도록 록킹장치(21)(31)가 각각 배치된다.
따라서, 이 트레일러(1)의 상부에 콘테이너(5)를 적재한 후, 운송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트레일러는 단순히 콘테이너를 운반하는 기능이외에는 다른 기능이 없어 다양한 용도로 트레일러를 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의 욕구를 해소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양한 기능을 갖춘 트레일러를 널리 공급하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은 콘테이너용 덤프 트레일러에 관한 것으로,
상기 콘테이너용 덤프 트레일러는 평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프레임본체의 길이방향 중심과 일치하는 간격으로 상기 프레임본체 상측에 배치되며, 내측 가로방향으로 다수의 보강부재가 다수 배치된 덤핑비임과, 상기 덤핑비임의 전, 후 양단에 상기 프론트, 리어볼스터가 장착된 덤핑프레임과;
상기 프레임본체 후방의 주행부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힌지프레임 상측양단에 대칭형으로 배치되며, 상기 리어볼스터의 후방하단에 대칭형으로 장착되는 힌지장치와;
상기 프레임본체와 상기 덤핑프레임 사이에 배치된 덤핑장치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예시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이하,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은 동일명칭과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덤프 트레일러를 평면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 "A"방향에서 바라본 일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덤프시스템을 일측과 평면에서 바라본 것으로, 가)는 도 2 "A"선을 확대하여 보인 상세도이고, 나)는 도 3 "C"선을 확대하여 보인 상세도이고, 도 5a와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덤프 트레일러의 작용을 보인 일측면도이다.(이하, 본 고안에 따른 콘테이너용 덤프 트레일러(1)의 덤핑프레임(100)과 힌지장치(200), 덤핑장치(300)의 구성을 제외한 프레임본체(10)의 메인비임(11)과 견인부(13), 주행부(15)의 구성은 종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콘테이너용 덤프 트레일러(1)(이하, "덤프 트레일러"라 칭한다.)는 덤핑프레임(100)과 힌지장치(200)와 덤핑장치(300)로 대별된다.
덤핑프레임(100)은 덤핑비임(110)과 프론트, 리어 볼스터(20)(30)로 이루어진다.
덤핑비임(110)은 평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한 프레임본체(10)의 길이방향 중심과 일치하는 간격으로, 프레임본체(10) 상측에 배치되며, 내측 가로방향으로 다수의 보강부재(111)가 다수 배치된다.
이 덤핑비임(110)의 전, 후 양단에 프론트 볼스터(20)와 리어 볼스터(30)가 각각 장착된다.
프론트 볼스터(20)와 리어 볼스터(30)는 본 고안에 따른 트레일러(1)의 가로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며, 그 양단에는 콘테이너(5)의 코너캐스팅(5a)과 결합, 고정되는 록킹장치(21)(31)가 각각 대칭형으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한 리어 볼스터(30)의 양측하단에는 힌지장치(200)가 장착되어 있다.
힌지장치(200)는 상기한 프레임본체(10)의 양측에 대칭형으로 배치된 힌지프레임(210)의 상측에 배치되는데, 힌지프레임(210) 상측에 대칭형으로 장착된 제 1브라켓(201)과 상기한 리어 볼스터(30)의 양측하단에 배치된 제 2브라켓(203)과 상기 각각의 제 1, 2브라켓(201)(203)에 축결합된 힌지축(205)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힌지장치(200)에 의해 후술하는 작용에서 덤핑프레임(100)의 힌지회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프레임본체(10)와 덤핑프레임(100)의 사이에는 덤핑장치(300)가 배치되는데, 이 덤핑장치(300)는 제 1, 2덤핑부재(301)(305)와 제 1, 2힌지브라켓(303)(307)과 제 1, 2링크(310)(330)와 덤핑실린더(350)로 이루어진다.(이하, 제 1, 2덤핑부재(301)(305)와 제 1, 2힌지브라켓(303)(307)은 크기만 다를 뿐 그 구성은 동일하므로, 어느 하나의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제 1, 2덤핑부재(301)(305)는 그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금속재로서, 상술한 보강부재(111)와 마찬가지로, 상술한 프레임본체(10)의 메인비임(11)과 덤핑프레임(100)의 덤핑비임(110)의 내측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며, 길이방향 등간격으로 다수의 보강편(308)이 배치되어 있다.
이 제 1, 2덤핑부재(301)(305)의 각 일측, 즉, 후방측으로 제 1, 2힌지브라켓(303)(307)이 배치되는데, 제 1, 2힌지브라켓(303)(307)은 상기한 제 1, 2덤핑부재(301)(305)에 장착된 베이스(304)에 수평방향으로 장착되어 있다.
제 1링크(310)는 일측에서 바라볼 때, 역삼각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한 제 1힌지브라켓(303)에 하단이 힌지결합되어 있다.
이 제 1링크(310)의 상단에 제 2링크(330)의 하단이 힌지결합되는데, 이 제 2링크(330)는 상기한 제 1링크(310)와는 달리 거의 일직선으로 형성되며, 상단은 상기한 덤핑프레임(10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제 2덤핑부재(305) 일측의 제 2힌지브라켓(307)과 힌지결합 되어 있다.
상기한 제 1, 2링크(310)(330)는 프레임본체(10)와 덤핑프레임(100)의 내부양측에 배치되며, 그 내측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덤핑실린더(350)가 배치된다.
이 덤핑실린더(350)의 하단은 상기한 제 1링크(310)의 꼭지부분("M"표시부위)에 힌지결합되며, 상단은 제 2링크(330)의 각 중간부분에 힌지결합되어 일측에서 바라볼 때, 사선(斜線)으로 배치된다.
상기한 덤핑실린더(350)의 각 힌지결합부는 힌지축(HS)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후술하는 작용에서 힌지회동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트레일러(1)는 견인차량의 동력이 없어도 일반 공장의 전원(220/380V)을 이용하여 상기한 덤핑장치(300)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동력발생장치(400)를 더 포함한다.
동력발생장치(400)는 콘트롤박스(410)와 모터(430)와 유압펌프(450)와 오일탱크(470)로 이루어진다.
콘트롤박스(410)는 공장으로 부터의 전원을 전달 받을 수 있도록 전선이 마련되며, 그 내부에는 후술하는 덤핑장치(300)의 덤핑실린더(350)를 작동시키는 동작버튼(미도시)이 마련되어 있다.
이 콘트롤박스(410)로 부터 공급된 전원으로 모터(430)가 회전하며, 이 모터(430)의 회전력에 의해 유압펌프(450)가 오일탱크(470)의 오일을 가압하여 상술한 덤핑실린더(350)를 움직여 덤핑장치(300)의 덤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계속해서, 도 5a와 도 5b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덤프 트레일러(1)의 작용을 설명한다.(작용에서는 견인차량의 동력을 이용하지 않고, 상기한 동력발생장치(400)로 덤핑하는 실시예를 기초로 설명한다.)
우선, 본 고안에 따른 덤프 트레일러(1)를 지게차(미도시)를 이용하여 사이로(S)의 하측으로 이동한다.
그런 다음, 콘트롤박스(410)의 전선을 이용하여 공장으로 부터의 전원(220/380V)을 공급받고, 그 콘트롤박스(410) 내에 마련된 동작버튼(미도시)을 작동하면, 이 전원에 의해 모터(430)가 회전하고, 이 회전력에 의해 유압펌프(450)가 오일탱크(470) 내의 오일을 가압하며 덤핑실린더(350)를 작동시킨다.
이 덤핑실린더(350)의 전진행정에 의해 콘테이너(1)의 후방하측에 배치된 리어 볼스터(30)와 프레임본체(10)사이에 배치된 힌지장치(200)를 힌지점으로 하여 덤핑이 이루어진다.
도 5b를 참조하면, 제 2링크(330)의 선단이 상측으로 회동함에 따라, 제 1링크(310)의 상단도 힌지회동하며, 상기한 덤핑프레임(100)의 선단이 힌지회동하며 덤핑된다. 이 때, 상기한 바와 같이, 프레임본체(10)와 덤핑프레임(100)의 후방이 힌지장치(200)에 의해 힌지결합됨으로서, 제 1링크(310)의 상단도 제 2링크(330)의 회동동작을 따라, 상측으로 회동하며, 본 고안에 따른 콘테이너용 덤프 트레일러(1)에 적재된 콘테이너(5)의 전방이 상측으로 회동한다.
이 때, 대기하고 있던 작업자(W)는 사이로(S)의 공급호스(SH)를 콘테이너(5)상측의 공급구(5b)에 집어넣고, 원료를 공급한다.
그런 다음, 원료의 공급이 완료되면, 동력발생장치(400)의 동작버튼(미도시)을 반대로 작동시키면, 덤핑실린더(350)의 후진행정에 의해 제 1, 2링크(310)(330)와 덤핑프레임(100)은 상술한 동작의 반대로 동작을 하며, 최초의 상태로 복귀한다.
이와 같이, 원료의 공급이 완료된 콘테이너(5)는 각 사용처로 이동하거나, 공장에 대기시킨 상태에서 견인차를 이용하여 다른 현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원료의 수출의 경우에도 상기한 콘테이너(5)만 선박에 선적하여 수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덤프 트레일러(1)에 의하면, 기본적으로는 콘테이너를 운반하도록 함과 동시에, 분체수송 콘테이너 또는 유류탱크 콘테이너를 덤핑할 수 있는 다용도의 콘테이너용 트레일러를 제공하였으며, 공장의 전원(220, 380V)으로 작동하는 동력발생장치(400)에 의해 견인차의 동력 없이도 콘테이너를 덤핑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들로 부터 신뢰를 얻었다.
본 고안에 따른 콘테이너용 덤프 트레일러(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콘테이너(5)를 덤핑하는 용도로도 사용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그 것은 당업계의 사정상 일반 콘테이너 운반용으로 사용해도 본 고안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용이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항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콘테이너용 덤프 트레일러에 의하면, 기본적으로는 콘테이너를 운반하도록 함과 동시에, 분체수송 콘테이너 또는 유류탱크 콘테이너를 덤핑할 수 있는 다용도의 콘테이너용 트레일러를 제공한 효과가 있다.
또한, 공장의 전원(220, 380V)으로 작동하는 동력발생장치에 의해 견인차의 동력 없이도 콘테이너를 덤핑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들로 부터 신뢰를 얻은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콘테이너 운반용 트레일러를 보인 일측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덤프 트레일러를 평면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 "A"방향에서 바라본 일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덤핑장치를 일측과 평면에서 바라본 것으로, 가)는 도 2 "A"선을 확대하여 보인 상세도이고, 나)는 도 3 "C"선을 확대하여 보인 상세도이고,
도 5a와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덤프 트레일러의 작용을 보인 일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덤프 트레일러 100;덤핑프레임
110;덤핑비임 200;힌지장치
210;힌지프레임 300;덤핑장치
400;동력발생장치

Claims (3)

  1.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2열로 배치되며, 내측 가로방향 등간격으로 가수의 보강부재가 마련된 메인비임과, 상기 메인비임의 전방에 견인차량과 결합할 수 있도록 하측으로 킹핀이 돌출된 견인부와, 상기 견인부의 대향하는 후방에 도로상을 주행할 수 있도록 바퀴가 다수 배치된 주행부로 이루어진 프레임본체와, 상기 프레임본체의 전, 후방 가로방향으로 배치되어 콘테이너가 결합할 수 있도록 록킹장치가 마련된 프론트, 리어볼스터를 포함하는 콘테이너용 트레일러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러는 평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프레임본체의 길이방향 중심과 일치하는 간격으로 상기 프레임본체 상측에 배치되며, 내측 가로방향으로 다수의 보강부재가 다수 배치된 덤핑비임과, 상기 덤핑비임의 전, 후 양단에 상기 프론트, 리어볼스터가 장착된 덤핑프레임과;
    상기 프레임본체 후방의 주행부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힌지프레임 상측양단에 대칭형으로 배치되며, 상기 리어볼스터의 후방하단에 대칭형으로 장착되는 힌지장치와;
    상기 프레임본체와 상기 덤핑프레임 사이에 배치된 덤핑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테이너용 덤프 트레일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덤핑장치는 상기 프레임본체의 중간부분 하측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제 1덤핑부재 일측의 제 1힌지브라켓에 하단이 힌지결합된 제 1링크와, 상기 제 1링크 상단과 하단이 힌지결합되며, 상단은 상기 덤핑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제 2덤핑부재 일측의 제 2힌지브라켓과 힌지결합된 제 2링크와, 상기 제 1, 2링크의 각 중간부분에 힌지결합된 덤핑실린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테이너용 덤프 트레일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러는 공장으로 부터의 전원을 전달 받을 수 있도록 전선이 마련되며, 그 내부에는 동작버튼이 배치된 콘트롤박스와, 상기 콘트롤박스로 부터 인가된 전원으로 상기 덤핑장치의 덤핑실린더를 동작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오일탱크의 오일을 가압할 수 있는 유압펌프로 이루어진 동력발생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테이너용 덤프 트레일러.
KR20-2005-0025606U 2005-09-06 2005-09-06 콘테이너용 덤프 트레일러 KR2004016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606U KR200401609Y1 (ko) 2005-09-06 2005-09-06 콘테이너용 덤프 트레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606U KR200401609Y1 (ko) 2005-09-06 2005-09-06 콘테이너용 덤프 트레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609Y1 true KR200401609Y1 (ko) 2005-11-21

Family

ID=43702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5606U KR200401609Y1 (ko) 2005-09-06 2005-09-06 콘테이너용 덤프 트레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60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453Y1 (ko) * 2010-12-21 2013-08-19 한국특장차주식회사 콘테이너 운반용 덤프 트레일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453Y1 (ko) * 2010-12-21 2013-08-19 한국특장차주식회사 콘테이너 운반용 덤프 트레일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08253B (zh) 用于汽车的挂车
KR200401609Y1 (ko) 콘테이너용 덤프 트레일러
RU2703698C1 (ru) Прицеп самосвальный с увеличенной грузоподъемностью
FR2515594A1 (fr) Procede et equipement pour le transport de conteneurs sur des wagons de chemin de fer
KR200443831Y1 (ko) 판형 광폭 화물운반용 평판 트레일러
CN201068380Y (zh) 换盘叉车
JP4990090B2 (ja) コンテナ積載用セミトレーラ
KR200440105Y1 (ko) 콘테이너 운반용 구즈넥 콤비네이션 트레일러
GB1601320A (en) Delivery vehicles
KR200159691Y1 (ko) 농업용 트랙터의 덤프 트레일러
US3881764A (en) Dump bed
KR100424976B1 (ko) 적재함의 화물 이동장치
US3231309A (en) Dump trailer
KR0139700Y1 (ko) 화물차량의 덤핑장치
KR200347906Y1 (ko) 코일 운반용 트레일러
CN2790839Y (zh) 车厢底板双面侧倾装置
RU211522U1 (ru) Полноприводное универсальное шарнирно-сочлененн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EP1526062A3 (en) Split-chassis trailer
CN217048415U (zh) 自卸车
SU1400924A1 (ru) Самосвальный грузовой прицеп дл легкового автомобил
RU2104885C1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с устройствами для перемещения грузов
JP2023097215A (ja) ダンプトラック
KR19990013163U (ko) 적재함이 구비된 스키드스티어 로우더
US188541A (en) Improvement in dumping-wagons
SU1703512A1 (ru) Самосвальн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