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205Y1 - 레일 결착용 전자접촉기 - Google Patents

레일 결착용 전자접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205Y1
KR200401205Y1 KR20-2005-0025303U KR20050025303U KR200401205Y1 KR 200401205 Y1 KR200401205 Y1 KR 200401205Y1 KR 20050025303 U KR20050025303 U KR 20050025303U KR 200401205 Y1 KR200401205 Y1 KR 2004012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magnetic contactor
contactor
elastic pin
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53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호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253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2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12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2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H02B1/052Mounting on r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레일상에 전자접촉기를 설치할 때 레일로부터 전달되는 압력이 균형적으로 전달되어, 탄성핀이 전자접촉기로부터 이탈하거나 레일과 전자접촉기가 불완전하게 결착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레일 결착용 전자접촉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수의 전자접촉기를 서로 밀접하게 설치하기 위한 레일로부터 상기 전자접촉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전자접촉기의 바닥면 상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걸림턱과, 상기 전자접촉기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전자접촉기와 상기 레일 사이의결착을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핀과, 상기 전자접촉기의 바닥면에 상기 탄성핀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탄성핀을 지지하는 지지벽부와, 상기 전자접촉기의 바닥면상 상기 지지벽부의 전방에 마련되어 상기 지지벽부와 사이에 채널(CHANNEL)을 형성하여 상기 탄성핀을 수용하고 상기 탄성핀의 설치를 안내하기 위한 경사면을 갖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레일 취부용 전자접촉기에 있어서,상기 탄성핀이, 상기 채널에 수용되는 원호형의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의 양단으로부터 양방향으로 각각 수평 및 직선적으로 연장하는 두 직선 연장부와, 상기 전자접촉기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레일과의 접촉면적이 크게 되도록 상기 두 직선 연장부의 단부로부터 각각 하향 만곡하여 연장하는 두 만곡 연장부와, 상기 전자접촉기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레일과의 접촉면적이 크게 되도록 상기 두 만곡 연장부로부터 수직 절곡하여 연장되는 수직 기둥부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고안에 따른 레일 결착용 전자접촉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레일 결착용 전자접촉기{A MAGNETIC CONTACTOR FOR INSTALLING ON A RAIL}
본 고안은 레일 취부용 전자접촉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레일에 설치할 때 레일과 전자접촉기의 취부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핀 및 그 설치구조를 개량하여 레일 설치시 설치오류를 방지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레일 취부용 전자접촉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접촉기는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와 함께 전자개폐기(Magnetic Switch ; MS)를 구성하여 모터 등의 구동제어 및 과부하 소손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기기기로서 각종 산업현장 및 공장에서 유도 전동기를 제어하는 용도 및 전원개폐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접촉기는 본체프레임의 내측에 전자석부와 접점부가 설치되어 있어서, 전자석의 코일 양단에 전원이 인가되어 접점부의 접점이 폐로되면서 전원측 회로가 부하측 회로와 연결되어 부하에 전원공급이 이루어지고, 반대로 전자석 코일 양단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접점부의 접점이 개로되면 부하에 공급되던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모터등의 구동제어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전자접촉기를 취부하는 방법으로는 스크류나 볼트 등의 부품을 사용하여 전자접촉기의 모서리 네 곳을 작은 모터제어반 등의 함내 기판에 고정시킴으로써 취부할 수도 있다.
그러나 수대정도의 전자접촉기가 아닌 수십대의 모터와 이를 구동제어하기 위한 전자접촉기가 필요한 공장과 같은 곳에서는 배전반과 같은 배전 및 제어용 전기설비내의 한정된 공간내에 많은 전자접촉기를 설치하기 위해서 레일과 같은 취부대에 많은 전자접촉기를 서로 밀접하게 취부하여 공간 활용과 설치의 편이성을 추구하는 설치하는 방법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레일 취부에 적합하게 취부장치가 구비된 레일 취부용 전자접촉기가 개발되었으며, 이와 같은 레일 취부용 종래의 전자접촉기를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레일 결착용(結着用) 전자접촉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종래의 레일 결착용 전자접촉기의 바닥면을 보여주기 위해서 상하부를 거꾸로 회전시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레일 결착용 전자접촉기에 구비되는 탄성핀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종래의 레일 결착용 전자접촉기의 바닥면이 레일에 결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것으로 상하를 거꾸로 회전시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레일 결착용 전자접촉기(100)는 전자접촉기(100)가 레일(도 3의 부호 400 참조)에 취부될 수 있도록 전자접촉기(100)의 바닥면(110)에는 레일로부터 상기 전자접촉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레일의 두께 이상의 수직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걸림턱(121)과, 전자접촉기(100)와 상기 레일 사이의 결착을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핀(200)과, 바닥면(110)에 탄성핀(200)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탄성핀(200)을 지지하는 지지벽부(120)와, 전자접촉기(100)의 바닥면(110)상 지지벽부(120)의 전방에 마련되어 지지벽부(120)와 사이에 채널(CHANNEL)을 형성하여 탄성핀(200)을 수용하고 탄성핀(200)의 설치를 안내하기 위한 경사면을 갖는 돌출부(13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핀(200)은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예컨대 금속재 핀으로 구성되며, 도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지지벽부(120)와 돌출부(130)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채널내에 수용되어 고정될 수 있는 원호형으로 형성된 중앙부(210)와, 레일의 측면에 밀착되며 상기 중앙부(210)의 양단으로부터 서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게 수평 및 직선적으로 연장 형성된 연장부(220, 230)를 갖는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자접촉기(100)를 레일에 결착하는 방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결착할 전자접촉기(100)를 파지하고, 레일(400)의 한 쪽 레일부(420)를 전자접촉기(100)의 걸림턱(121)과 바닥면(110) 사이로 삽입하여 탄성핀(200)의 연장부(220, 230)의 양단부를 밀착시킨다. 이 후, 레일(400)의 중앙 쪽으로 전자접촉기(100)를 잡아당기면, 탄성핀(200)의 연장부(220, 230)가 레일부(420)를 통해 전달되는 압력에 의해 뒤로 휜다. 그에 따라 반대측 레일부(410)를 반대측 걸림턱(미도시)과 바닥면(110)사이로 밀어넣은 다음, 전자접촉기(100)를 놓으면 탄성핀(20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뒤로 휘었던 탄성핀(200)의 연장부(220, 230)가 레일부(420)를 향해 복원되면서 전자접촉기(100)와 레일(400)이 결착되고 유지된다.
그러나 전자접촉기(100)를 레일(400)상에 수작업에 의해 설치할 때, 종래의 전자접촉기(100)는 탄성핀(200)과 레일(400)과의 접촉이 두 연장부(220, 230)의 단부에 의한 점접촉으로 이루어지므로, 레일(400)로부터 전달되는 압력이 탄성핀(200)의 연장부(220, 230)만 뒤로 휘도록 균형적으로 전달되지 못할 위험성이 있다. 따라서 레일(400)로부터 전달되는 압력이 탄성핀(200)의 연장부(220, 230)에 불균형적으로 전달되는 경우, 탄성핀(200)이 전자접촉기(100)로부터 이탈하여 결착작업이 지연되거나 불완전하게 결착될 수 있으며, 불완전하게 결착된 경우 전자접촉기의 개폐동작시 진동에 의해 전자접촉기가 레일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레일상에 전자접촉기를 설치할 때 레일로부터 전달되는 압력이 균형적으로 전달되어, 탄성핀이 전자접촉기로부터 이탈하거나 레일과 전자접촉기가 불완전하게 결착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레일 결착용 전자접촉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수의 전자접촉기를 서로 밀접하게 설치하기 위한 레일로부터 상기 전자접촉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전자접촉기의 바닥면 상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걸림턱과, 상기 전자접촉기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전자접촉기와 상기 레일 사이의결착을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핀과, 상기 전자접촉기의 바닥면에 상기 탄성핀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탄성핀을 지지하는 지지벽부와, 상기 전자접촉기의 바닥면상 상기 지지벽부의 전방에 마련되어 상기 지지벽부와 사이에 채널(CHANNEL)을 형성하여 상기 탄성핀을 수용하고 상기 탄성핀의 설치를 안내하기 위한 경사면을 갖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레일 취부용 전자접촉기에 있어서, 상기 탄성핀은, 상기 채널에 수용되는 원호형의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의 양단으로부터 양방향으로 각각 수평 및 직선적으로 연장하는 두 직선 연장부와; 상기 전자접촉기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레일과의 접촉면적이 크게 되도록 상기 두 직선 연장부의 단부로부터 각각 하향 만곡하여 연장하는 두 만곡 연장부와; 상기 전자접촉기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레일과의 접촉면적이 크게 되도록 상기 두 만곡 연장부로부터 수직 절곡하여 연장되는 수직 기둥부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고안에 따른 레일 결착용 전자접촉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일 결착용 전자접촉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결착용 전자접촉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결착용 전자접촉기의 바닥면을 보여주기 위해서 상하부를 거꾸로 회전시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결착용 전자접촉기에 구비되는 탄성핀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결착용 전자접촉기의 바닥면이 레일에 결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것으로 상하를 거꾸로 회전시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결착용 전자접촉기(100)는 전자접촉기(100)가 레일(도 6의 부호 400 참조)에 취부될 수 있도록 전자접촉기(100)의 바닥면(110)에는 레일로부터 상기 전자접촉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레일부(도 6의 부호 410, 420 참조)의 두께 이상의 수직 간격을 두고 바람직하기로 바닥면(110)과 일체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걸림턱(121)과, 전자접촉기(100)와 상기 레일 사이의 결착을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핀(300)과, 바닥면(110)에 탄성핀(200)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탄성핀(200)을 지지하는 지지벽부(120)와, 전자접촉기(100)의 바닥면(110)상 지지벽부(120)의 전방에 마련되어 지지벽부(120)와 사이에 채널(CHANNEL)을 형성하여 탄성핀(200)을 수용하고 탄성핀(200)의 설치를 안내하기 위한 경사면을 갖는 돌출부(13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핀(300)은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예컨대 바람직하기로 금속재 핀으로 구성되며, 도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지지벽부(120)와 돌출부(130)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채널에 수용되는 원호형의 중앙부(310)와; 중앙부(310)의 양단으로부터 양방향으로 각각 수평 및 직선적으로 연장하는 두 직선 연장부(320,330)와; 전자접촉기(100)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레일과의 접촉면적이 크게 되도록 두 직선 연장부(320,330)의 단부로부터 각각 하향 만곡하여 연장하는 두 만곡 연장부(321, 331)와; 전자접촉기(100)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레일과의 접촉면적이 크게 되도록 두 만곡 연장부(321, 331)로부터 수직 절곡하여 연장되는 두 수직 기둥부(340, 350)와;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두 만곡 연장부(321, 331)가 하향 만곡되었다는 표현은 도 4와 도 5 상에서 볼 때 직선 연장부(320,330) 보다 하향 만곡된 것을 의미하는 것이며, 전자접촉기(100)에 설치된 상태에서 전자접촉기(100)의 상방을 향해 만곡된 것을 의미하게 된다.
또한 두 수직 기둥부(340, 350)가 만곡 연장부(321, 331)로부터 수직 절곡하여 연장되었다는 의미도 마찬가지로 도 4와 도 5 상에서 볼 때 두 만곡 연장부(321, 331)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된 것을 의미하는 동시에 해당되는 것이며, 전자접촉기(100)에 설치된 상태에서 전자접촉기(100)의 하방을 향해 절곡된 것을 의미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자접촉기(100)를 레일에 결착하는 방법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결착할 전자접촉기(100)를 파지하고, 레일(400)의 한 쪽 레일부(420)를 전자접촉기(100)의 걸림턱(121)과 바닥면(110) 사이로 삽입하여 탄성핀(300)의 두 수직 기둥부(340, 350)를 밀착시킨다. 이 후, 레일(400)의 중앙 쪽으로 전자접촉기(100)를 잡아당기면, 탄성핀(200)의 직선 연장부(320,330)와, 만곡 연장부(321, 331)와, 수직 기둥부(340, 350)가 레일부(420)를 통해 전달되는 압력에 의해 뒤로 휜다. 그에 따라 반대측 레일부(410)를 반대측 걸림턱(미도시)과 바닥면(110)사이로 밀어넣은 다음, 전자접촉기(100)를 놓으면 탄성핀(30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뒤로 휘었던 탄성핀(300)의 직선 연장부(320,330)와, 만곡 연장부(321, 331)와, 수직 기둥부(340, 350)가 레일부(420)를 향해 복원되면서 전자접촉기(100)와 레일(400)이 결착되고 유지된다.
그리고 전자접촉기의 바닥면(110)상에는 탄성핀(300)의 직선 연장부(320,330)로부터 하향 만곡된 만곡 연장부(321, 331)를 수용하기 위해 함몰 형성된 홈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탄성핀(300)이 상기 바닥면(110)으로부터 들뜨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100)는 레일(400)에 설치시 두 수직 기둥부(340, 350)가 레일부(420)에 선접촉하므로 점접촉하는 종래기술에 비하여 레일과 탄성핀의 접촉면적이 확대되어 설치시 레일(400)을 통해 전달되는 압력이 탄성핀(300)의 직선 연장부(320,330)와, 만곡 연장부(321, 331)와, 수직 기둥부(340, 350)를 뒤로 휘는 힘으로 균형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균형적으로 휘는 힘이 전달되므로, 설치작업중 탄성핀(300)이 전자접촉기(100)로부터의 이탈하는 현상과, 전자접촉기(100)와 레일(400)의 불완전 결착으로 인해 사용중 전자접촉기(100)의 접점개폐 진동에 의한 전자접촉기(100)의 레일로부터의 이탈되는 현상도 방지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결착용 전자접촉기는, 배전반과 같은 전기설비내에 마련된 레일에 많은 전자접촉기를 서로 밀접하게 결착함에 있어, 레일로부터의 압력이 탄성핀의 휘는 힘으로 균형적으로 전달되어 탄성핀이 전자접촉기로부터 이탈하거나 불균형적으로 휘는 현상이 방지되어, 상기 전자접촉기의 레일 결착이 신속 용이해 질 수 있고 전자접촉기의 개폐시 발생되는 진동에도 전자접촉기가 레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레일 결착용(結着用) 전자접촉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종래의 레일 결착용 전자접촉기의 바닥면을 보여주기 위해서 상하부를 거꾸로 회전시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레일 결착용 전자접촉기에 구비되는 탄성핀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레일 결착용 전자접촉기의 바닥면이 레일에 결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것으로 상하를 거꾸로 회전시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결착용 전자접촉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결착용 전자접촉기의 바닥면을 보여주기 위해서 상하부를 거꾸로 회전시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결착용 전자접촉기에 구비되는 탄성핀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결착용 전자접촉기의 바닥면이 레일에 결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것으로 상하를 거꾸로 회전시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전자접촉기 110 : 바닥면
111, 112 : 홈부 120 : 지지벽부
121 : 걸림턱 130 : 돌출부
200 : 탄성핀 210 : 중앙부
220, 230 : 연장부 300 : 탄성핀
310 : 중앙부 320, 330 : 직선 연장부
321, 331 : 만곡 연장부 340, 350 : 수직 기둥부
400 : 레일 410, 420 : 레일부

Claims (2)

  1. 다수의 전자접촉기를 서로 밀접하게 설치하기 위한 레일로부터 상기 전자접촉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전자접촉기의 바닥면 상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걸림턱과, 상기 전자접촉기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전자접촉기와 상기 레일 사이의결착을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핀과, 상기 전자접촉기의 바닥면에 상기 탄성핀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탄성핀을 지지하는 지지벽부와, 상기 전자접촉기의 바닥면상 상기 지지벽부의 전방에 마련되어 상기 지지벽부와 사이에 채널(CHANNEL)을 형성하여 상기 탄성핀을 수용하고 상기 탄성핀의 설치를 안내하기 위한 경사면을 갖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레일 결착용 전자접촉기에 있어서,
    상기 탄성핀은,
    상기 채널에 수용되는 원호형의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의 양단으로부터 양방향으로 각각 수평 및 직선적으로 연장하는 두 직선 연장부와;
    상기 전자접촉기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레일과의 접촉면적이 크게 되도록 상기 두 직선 연장부의 단부로부터 각각 하향 만곡하여 연장하는 두 만곡 연장부와;
    상기 전자접촉기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레일과의 접촉면적이 크게 되도록 상기 두 만곡 연장부로부터 수직 절곡하여 연장되는 수직 기둥부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결착용 전자접촉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접촉기의 바닥면 상에는 상기 탄성핀의 만곡 연장부를 수용하기 위해 함몰 형성된 홈부가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결착용 전자접촉기.
KR20-2005-0025303U 2005-09-01 2005-09-01 레일 결착용 전자접촉기 KR2004012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303U KR200401205Y1 (ko) 2005-09-01 2005-09-01 레일 결착용 전자접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303U KR200401205Y1 (ko) 2005-09-01 2005-09-01 레일 결착용 전자접촉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205Y1 true KR200401205Y1 (ko) 2005-11-15

Family

ID=43702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5303U KR200401205Y1 (ko) 2005-09-01 2005-09-01 레일 결착용 전자접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20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76471Y1 (ko) 전자접촉기의 단자 접속장치
JP4990955B2 (ja) 回路遮断器の取付構造
JP4743753B2 (ja) プラグイン端子装置
JP4562545B2 (ja) プラグインアダプタ
WO2018001024A1 (zh) 隔离开关及配电系统
US20160307710A1 (en) Contact element
KR200401205Y1 (ko) 레일 결착용 전자접촉기
JP6593197B2 (ja) 接続モジュール、これを使用したコンビネーションスタータ及びコンビネーションスタータの電磁接触器交換方法
WO2013065609A1 (ja) インバータ装置
US8314670B2 (en) Switching device
KR200446415Y1 (ko) 전자 접촉기의 가동 코어 어셈블리
JP5291167B2 (ja) 回路遮断機用外部操作ハンドルのトリップボタン装置
KR200453418Y1 (ko) 전자접촉기용 안전커버
KR20080003858U (ko) 전자접촉기의 도선연결장치
JP2001197621A (ja) コントロールセンタ
JP6589591B2 (ja) 電力変換装置及びその組立方法
JP7474983B2 (ja) 盤用ボックス及び分電盤
JP7361307B2 (ja) 盤用ボックス及び分電盤
JP5257942B2 (ja) 電子機器
KR200436013Y1 (ko) 배전함
JPH0134253Y2 (ko)
KR20030058227A (ko) 전자접촉기의 레일 결합장치
KR100670993B1 (ko) 코일 터미널의 단자 구조
KR100277923B1 (ko) 전자접촉기
KR200150074Y1 (ko) 전자접촉기의 베이스와 아크박스의 체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