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11283A - 상하부 소화기 내시경 장치 - Google Patents

상하부 소화기 내시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11283A
KR20040111283A KR1020040101427A KR20040101427A KR20040111283A KR 20040111283 A KR20040111283 A KR 20040111283A KR 1020040101427 A KR1020040101427 A KR 1020040101427A KR 20040101427 A KR20040101427 A KR 20040101427A KR 20040111283 A KR20040111283 A KR 20040111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tube
probe
holes
endosc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1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진
Original Assignee
오승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승진 filed Critical 오승진
Priority to KR1020040101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11283A/ko
Publication of KR20040111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11283A/ko
Priority to PCT/KR2005/004086 priority patent/WO2006059880A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1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haracterised by internal passages or accessories therefor
    • A61B1/018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haracterised by internal passages or accessories therefor for receiving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1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haracterised by internal passages or accessories therefor
    • A61B1/015Control of fluid supply or evacu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doscopes (AREA)
  •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부 소화기(消化器) 내시경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시경 선단부위가 계속 앞으로 진입된 후, 위장 또는 저위부 결장 등의 팽만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샤프트(shaft) 측면 외벽에 개구되는 관을 설치하여 감압조절, 수분주입, 배수기능 및 프로브 삽입 등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컴퓨터와 같은 제어장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수조작부(2) 전방으로 샤프트(3)를 연결하고 샤프트(3)의 내측에는 샤프트(3)의 선단부(4)와 수조작부(2: clip)를 연결하는 수개의 튜브를 내장 설치하여 공기와 물의 주입과 흡입이 가능하고, 조명 및 카메라에 전원공급, 조직검사등 각종 작업 기구가 내입되게 한 것이 모두 내시경 화면상 보이는 선단부(4)쪽에서만 가능하게 한 소화기 내시경장치(1)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3)의 선단부(4)보다 후방 측벽에 구멍(5b,5c)(7b,7c)을 관통하고, 수조작부(2) 하단에 형성된 주입구(5a)(7a)와 각각 D튜브(5) 및 E튜브(7)로 연결하여 감압조절하고, 수분주입과 배수가 되며, 프로브(8) 삽입이 가능하게 구성하고, D튜브(5) 또는 E튜브(7)에는 각각의 구멍(5b,5c)(7b,7c) 인접한 부분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압력센서(6)를 부착한 것으로서, 소화기 내시경장치(1)를 사용할 경우 내시경 검사 중 많은 환자들이 느끼고 있는 전방부 장기(십이지장, 상위부 결장)검사 중의 후방부 장기(위장, 저위부 결장)팽만에 의한 고통을 제거할 수 있어 피검자들은 검사 중에 편안함을 확보할 수 있고, 내시경 조작이 손쉽게 진행되도록 고안된 것이다.
특히 대장내시경(하부소화기 내시경)이 진입되는 샤프트(3)의 선단부(4)에서 공기 대신에 물을 주입하여 시야를 확보하면서 진입하고 주입된 수분은 D튜브(5) 및 E튜브(7)를 통해 배수되도록 설계되어 있어 효과적으로 내시경 진입이 가능하고 목적지 까지 진입한 후 후퇴할 때 공기를 주입하면서 병변여부를 관찰할 수 있는 기능도 있다.
따라서 많은 사람들에서 환자뿐 아니라 예방적 검진에서도 유효하게 사용될 것으로 사료되며, 피검자의 편안한 느낌으로 내시경 검사자의 다급함도 감소함으로서 신중한 검사가 가능한 것이다.

Description

상하부 소화기 내시경 장치{A up-and-down digestion endoscope device}
본 발명은 상하부 소화기(消化器) 내시경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내시경 선단부위가 계속 앞으로 진입된 후, 위장 또는 저위부 결장의 팽만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샤프트(shaft) 측면 외벽에 개구되는 관을 설치하여 감압조절, 수분주입, 배수기능 및 프로브 삽입 등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상하부 소화기 내시경은 수조작부 전방으로 샤프트를 연결하고 샤프트의 내측에는 샤프트의 선단부와 수조작부를 연결하는 수개의 튜브를 내장 설치하여 공기 및 물의 이동, 조명 및 카메라의 연결, 조직검사등 각종 작업 기구가 내입되게 한 것으로서 이들은 내시경 화면이 보이는 선단부위에만 집중적으로 개구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내시경이 십이지장 등 전방으로 진입할 때 내시경 선단부 진입 중 주입된 과도한 공기에 의해 위장이나 저위 결장이 과도하게 팽창된 상태에서 전면 관찰하게 됨으로써, 위장, 에스결장 등의 팽만으로 인한 환자의 고통이나 내시경 조작 상 어려움 등이 다소의 문제점으로 남아있다.
특히, 하부 소화기(대장) 내시경 진입 중 유입된 공기로 인하여 저위부 대장이 과도하게 팽창된 상태에서 상위부로 계속 진입되기가 어려운 경우가 있다. 그 결과 저위부 대장 팽만, 길이확장 및 루프(loop)형성 등이 문제가 되기도 한다. 또한 저위부 대장의 루프 또는 과도한 곡선형성으로 대장의 길이가 길어지는 것(elongation)으로 인해 내시경 진입이 기술적으로 어려워지는 문제점도 있다.
그리고 대장내시경 전 처치로 인하여 이미 상당 수준의 탈수상태가 되어있어 대장의 수분 흡수가 상상외로 빠르게 진행되며, 아울러 내시경 진입시 시야 확보를 위한 수분 흡입으로 인하여 대장 점막이 건조하게 되면 접착성 점액이 풍부하게 되어 내시경 샤프트(shaft)가 유동성이 제한됨으로 인하여 내시경의 조작이 힘들어지게 되는 문제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우선적으로 에스결장(sigmoid colon)에서 발생하기 쉬우며, 우측대장으로 진입된 후에는 횡행결장(transverse colon)에서 발생하기도 한다.
현재까지는 상기한 내시경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으로 체위의 변화, 샤프트의 비틀기 및 훅킹(hooking)(도 10), 복부압박법(도 11), 슬라이딩 튜브(sliding tube) 삽입법(도 12) 등의 고도의 기술이 필요로 하나 초보자에게는 성공하기가 쉽지 않으며 숙련의에서도 실패예가 가끔 발생하고 있다.
특히 환자가 비만이나 근육이 발달된 경우에는 복부압박의 효과를 기대하기가 힘들다. 이러한 경우에 슬라이딩 튜브(sliding tube) 삽입법 등의 고도의 기술을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슬라이딩 튜브 삽입시 게실염 등에 의한 고도의 연축(spasm)이나 장유착등으로 진입에 비정상적 저항을 느낄 때 계속 삽입하면 출혈이나 장관천공 등의 위험성이 있으며 실제로 보고 된 예도 있다. 또는 미니슬라이드 튜브(mini-sliding tube)가 사용되기도 하는데 이러한 경우 실수로 튜브 전체가 항문 안쪽 대장내부로 빠져 들어가 버리는 사고도 보고 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한 종래 소화기 내시경 장치가 갖는 제반 문제점을 일소함에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연구 개발한 것으로서,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할 수단으로 내시경 샤프트 선단(내장된 카메라렌즈위치)에서 10~80cm 후방의 샤프트 측벽에 적어도 1개 이상의 구멍을 천공하고 수조작부와 튜브로 연결함으로 해서 상기 구멍을 통하여 내시경을 진입하는 과정에서 내시경의 샤프트 선단부가 아닌 측면으로 감압조절, 수분주입과 배수가 가능하여 장내의 압력증가 또는 탈수증으로 인해 발생하는 샤프트(shaft)의 유동성이 제한되는 문제를 해결하고, 또한 각종 프로브(probe)를 삽입하여 하위부 대장의 직선화가 가능하여 내시경 진입이 기술적으로 어려워지는 문제점도 해결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소화기 내시경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 발췌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요부 발췌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프로브의 여러 예를 보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으로 십이지장 내시경 검사 중 샤프트(shaft)에서 위 감압조절의 실례(Duodenoscope with perishaft opening for gastric decompression)를 보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을 대장 내시경 샤프트에서 감압조절, 수분주입, 및 배수기능의 실례(Colonoscope with perishaft opening for distal decompression and hydroscope)를 보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으로 에스결장을 직선화하는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으로 횡행결장을 직선화하는 예시도
도 10은 종래 대장 내시경 방법으로 체위의 변화, 샤프트의 비틀기 및 훅킹(hooking)등의 예시도
도 11은 종래 대장 내시경 방법으로 복부압박법 예시도
도 12는 종래 대장내시경 방법으로 슬라이딩 튜브(sliding tube) 삽입법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 상하부 소화기 내시경장치 2: 수조작부(clip)
3: 샤프트 4: 선단부
5: D튜브 5a, 7a: 주입구
5b, 5c, 7b, 7c : 구멍 6: 압력센서
7: E튜브 8: 프로브
8a ,8b: 직선화 유도 및 유지형 프로브
8c: 형상기억 프로브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소화기 내시경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 발췌 확대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에서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코자 하는 상하부 소화기 내시경장치(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와 같은 제어장비(도시되지 않음)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수조작부(2) 전방으로 샤프트(3)를 연결하고 샤프트(3)의 내측에는 샤프트(3) 선단부(4)와 수조작부(2)를 연결하는 수개의 튜브를 내장 설치하여 공기 및 물의 이동, 조명 및 카메라에 전원공급, 조직검사등 각종 작업 기구가 내입되게 한 것에 있어서, 샤프트(3)의 선단부(4) 후방 샤프트(3) 측벽에 한개 또는 복수의 구멍(5b,5c)을 관통하고, 수조작부(2)에 형성된 주입구(5a)와 D튜브(5)로 연결하여 감압조절, 수압조절 및 프로브(8) 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요부 발췌확대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소화기 내시경장치(1)에 있어서, 상기 그룹화 된 구멍(5b,5c)의 후방으로 또 다른 구멍(7b,7c)을 추가하고 수조작부(2)에 형성된 주입구(7a)와 연결된 E튜브(7)으로 연결한 것이다.
상기 측벽에 형성되는 구멍(5b,5c)은 샤프트(3)를 소화기관으로 진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샤프트(3)의 선단부(4) 후방 약 10~80cm사이에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일차적 구멍(5b,5c)은 내장된 카메라렌즈 위치에서 후방20~40cm가 적당하고 2차적 구멍(7b,7c)은 내장된 카메라 렌즈위치에서 후방 40~70cm 근처가 바람직하며 추가적으로 3차 구멍도 후방 50-80cm에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측벽에 형성되는 구멍(5b)을 한개만 관통할 경우 장관 점막에 부착되어 기능 장애가 발생하기 쉬우므로 적어도 구멍(5c)을 추가하여 2개 이상을 하나의 그룹으로 하여 D튜브(5)와 분기관으로 연결하고 구멍(5b,5c)간의 거리는 10cm이내가 되게 하며, 샤프트(3)에서 서로 반대편에 구멍(5b,5c)을 관통한다.
그리고 상기 D튜브(5)의 구멍(5b,5c)과 E튜브(7)의 구멍(7b,7c)에 인접한 부분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압력센서(6)를 부착하여 장관의 정확한 압력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양측 구멍(5b,5c)(7b,7c) 그룹간의 거리는 20-40cm가 바람직하다.
상기 D튜브(5) 및 E튜브(7)로는 감압조절 및 수분이동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각종 프로브(8) 삽입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바, D튜브(5)의 주입구(5a)와 E튜브(7)의 주입구(7a)에 흡입장치(도시되지 않음)를 연결한 상태에서는 제어장비로 압력 모니터하면서 내압에 의한 수동적 감압, 또는 흡입장치에 의한 감압 조절이가능하며, 흡입장치가 닫힌 상태에서 D튜브(5)및 E튜브(7)를 통해 수분주입 및 프로브(8) 삽입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었다.
상기 프로브(8)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화 유도 및 유지형 프로브(약칭 SP: Straightening probe)(8a,8b), 형상기억 프로브(MPD: Shape memory probe for D-DO1 channel)(8c) 등 다양한 것이 선택 될 수 있다.
상기 직선화 및 유지형 프로브(8a)(8b)는 특히 대장 내시경 상부 진입 시 저위부 대장의 길이확장(elongation), 루프 형성 등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샤프트(3) 내부로 다소 견고한 프로브를 삽입한 후, 대장의 축을 직선화하는 기능을 하도록 제작한다. 이는 그 길이와 삽입되는 관의 위치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장형(8a), 단형(8b)으로 제작하고, 인체 골반 방향에 알맞게 제작한다.
그리고 형상기억 프로브(MPD)(8c)는 좌측 대장 최단거리 직선화된 형태에 가까운 상태인 "ㄱ"형으로 형상 기억된 프로브로서 E튜브(7)에 직선화 유도 및 유지형 프로브(8b)를 내입하여 대장을 직선화 유지된 상태에서 D튜브(5)로 삽입하여 횡행결장이 처지는 것을 고정하는데 사용하게 제작된 것으로 직선화 유도 및 유지형 프로브(8b)보다 강도보다 훨씬 약하도록 제작하여 직선화 유도 및 유지형 프로브(8b)가 삽입된 상태에서 형상기억 프로브(8c)를 삽입하더라도 펴진 형태로 진입되다가 그 후에 본 형상기억 형태를 나타나게 하여 횡행결장의 축을 유지할 수 있는 기능이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상기 직선화 유도 및 유지형 프로브(8a)(8b) 및 형상기억 프로브(8c)는 그 길이를 D튜브(5) 또는 E튜브(7)의 길이보다 약 10cm 짧게 제작해서 내시경 샤프트(3) 밖으로 이들 프로브(8)의 첨단부위가 샤프트 외부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한다. 즉 프로브(8a)와 프로브(8c)는 장형으로 D튜브(5)에만 삽입되며, 프로브(8b)는 단형으로 E튜브(7)에 삽입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소화기 내시경장치(1)는 샤프트(3) 선단부(4)가 계속 앞으로 진입된 후, 위장 또는 저위부 결장의 팽만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샤프트(3) 측면 외벽에 개구되는 구멍(5b,5c)(7b,7c)을 설치하여 감압조절 수분이동 및 프로브(8) 삽입 등을 가능하게 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소화기 내시경장치(1)의 사용방법은 종래 내시경과 같으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에서 본 발명의 사용에 따른 작용 등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소화기 내시경장치(1)는 사용에 있어서, 위장 또는 결장(結腸)으로 진입되는 샤프트(3)의 선단부(4) 후방 10~80cm 범위에 수조작부(2)와 D튜브(5) 및 E튜브(7)로 연결된 구멍(5b,5c)(7b,7c)이 형성되어 있는 바, 이 구멍(5b,5c)(7b,7c)을 통해 감압조절 및 수분주입이 가능하므로 내시경 진입은 매우 유리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이 적용된 샤프트(3)를 위 또는 결장으로 진입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D튜브(5)에 흡입장치를 연결한 상태에서 압력센서(6)의 감지신호에 따라 흡입장치를 이용하여 장관 내부의 필요한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샤프트(3) 진입 과정에 있어서 특히 대장의 경우 점막이 건조하게 되면서 접착성 점액을 풍부하게 배출하게 되는데 이때 D튜브(5)와 E튜브(7)로 수분을 공급하여 접착성 점액을 희석함으로 해서 내시경 샤프트(shaft)(3)의 유동성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D튜브(5) 및 E튜브(7)로 직선화 유도 및 유지형 프로브(약칭 SP: Straightening probe)(8a)(8b), 형상기억 프로브(MPD: Shape memory probe for D-DO1 channel)(8c) 등의 프로브(8)를 내입하여 종래 시술에 있어서 많은 어려움이 있었던 에스결장, 횡행결장 등의 문제점을 보다 간편하고 안전하게 해결 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의한 여러 시술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1)간단한 경우
본 발명은 상부소화기 또는 대장 내시경 진입 후에 과도하게 팽창된 후방장기인 위장, 또는 저위부 결장내 과잉 공기를 필요시 체외부로 제거하여 환자의 고통 없이도 전방부 장기(십이지장, 또는 상위부 결장) 내시경 진입과 조작을 원활히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으로 십이지장 내시경 검사 중 샤프트(shaft)(3)에서 위 감압조절의 실례 (Duodenoscope perishaft opening for gastric decompression)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부소화기 내시경 시행 중에 내시경의 샤프트(3) 선단부(4)가 십이지장으로 진입된 후에도, 과도하게 팽창된 위장 내 공기를 D튜브(5)를 통하여 체외부로 제거 가능하여 십이지장 내시경 조작을 원활히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을 대장 내시경 샤프트(3)에서 감압조절, 수분주입 및 배수기능의 실례(Colonoscope perishaft opening for distal decompression and hydroscope)를 도시한 것으로서, 대장 내시경 시행 중에 내시경의 샤프트(3) 선단부(4)가 상위부 결장으로 진입된 후에도, 과도하게 팽창된 하부 결장 내 공기를 그림의 D튜브(5)를 통하여 체외부로 제거하여 에스결장의 직선화로 환자의 고통을 감소시키며, 아울러 D튜브(5)를 통하여 건조한 대장에 수분주입 또는 배수기능으로 샤프트(3) 조작을 원활히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어느 정도 내시경을 하행결장 입구 근처까지 진입 시 샤프트(3)를 전진 후퇴하면서 D튜브(5)로 감압조절, 수분주입 및 배수기능 만으로도 에스결장을 최단 직선형 형태로 유도할 수 있다.
2) 중등도로 복잡한 대장 내시경의 경우
도 8은 본 발명으로 에스결장을 직선화하는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는 D튜브(5) 및 E튜브(7)를 통한 수분주입, 배수기능 및 감압조절, 그리고 직선화 유도 및 유지형 프로브(장형: 8a)를 삽입한 임상적용 예이다. 대장내시경 진입초기에 샤프트(3) 선단부(4)가 하행결장 입구 근처(SD junction: sigmoid-descending colon) 부위에 진입시(A) 과도하게 확장되고 길어진 에스결장(B)을 최단거리로 직선화하기 위하여 D튜브(5)로 감압, 세척(C)하여 에스결장 공기를 제거하고 점착성 점액을 미끄럽게 한 후 직선화 유도 및 유지형 프로브(장형: 8a)를 D튜브에 삽입하여 샤프트를 직선화시킨다. 그 후 E처럼 상부로의 진입이 쉬워진다.
3) 고도로 복잡한 대장 내시경의 경우
또한 본 발명은 내시경의 샤프트(3) 진입 시 시야 확보를 위하여 과도하게 공기 주입을 한 결과로 하위부 대장인 에스결장 등이 길이가 길어진 경우(elongation)나 루프(loop)형성된 경우에는 D튜브(5)를 통해 감압시키고 수분 주입으로 건조한 대장 점막을 미끄럽게 한 후, 직선화 유도 및 유지형 프로브(8a)를 D튜브(5)에 사용하여 에스결장 직선화를 유도하여 상부로 진입을 쉽게 하는 데 유용하다. 좌측 대장이 직선화된 후 상부로 진입할 때 먼저 E튜브(7)에 직선화 유도 및 유지형 프로브(8b)를 삽입하여 좌측 대장의 직선화를 계속 유지하도록 하는 상태에서 직선화 유도 및 유지형 프로브(8a)의 제거가 안전하며, 그 후 "ㄱ"자형 최단거리 좌측 대장 형상기억 프로브(8c)를 D튜브(5)로 삽입하여 횡행 결장이 쳐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으로 횡행결장을 직선화하는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직선화 유도 및 유지형 프로브(8a)(8b)와 형상기억 프로브(8c)를 삽입한 임상적용 예이다. 대장 내시경의 샤프트(3) 선단부(4)가 횡행결장 원위부(Proximal transverse colon) 부위에 진입시 횡행결장이 밑으로 과도하게 처지는 경우(D, E)에, 직선축 유도용 프로브(단형: 8b)를 삽입 유지한 상태에서 형상기억 프로브(8c)를 삽입으로 횡행결장을 직선형의 최단거리(B, C)로 만들어 상부로 진입이 쉽게 한다.
4) 수분주입형 내시경(Hydroscopy)의 임상적용의 경우
기존의 방식은 내시경이 진입할 때 공기가 주입되어 후복막에 유착되지 않은 에스결장과 횡행결장은 공기의 비중 때문에 위로 뜨게 된다. 예를 들면 환자가 누운 자세에서는 고정되지 아니한 대장은 공기 때문에 소장보다 배꼽 쪽인 위로 뜨게 되어 후복막에 고착된 하행결장의 입구(Sigmoid-descending colon(SD) junction)와 종료부위(splenic flexure)에서 심각한 예각이 형성되어 내시경 진입이 힘들어 진다.
그러나 본 발명이 적용된 내시경장치(1)을 사용 시 진입되는 샤프트(3) 선단부(4)에서 공기 대신에 물을 주입하여 시야를 확보하면서 진입하고 주입된 수분은 D튜브(5) 및 E튜브(7)를 통해 배수되도록 설계되어 있어 효과적으로 내시경 진입이 가능하다. 즉 내시경 진입 중 에스결장이나 횡행결장이 수분의 무게 때문에 소장보다 척추 쪽으로 내려가므로 예각형성이 둔해진다. 목적지 까지 진입한 후 후퇴할 때 공기를 주입하면서 병변여부를 관찰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이 적용된 소화기 내시경장치(1)를 사용할 경우 소화기 내시경 검사 중 많은 환자들이 느끼고 있는 후방장기(위장, 저위부 결장)팽만에 의한 전방장기(십이지장, 상위부 결장)검사, 조작중의 고통을 제거할 수 있어 피검자들은 검사 중에 편안함을 확보할 수 있고, 상부 소화기 내시경에서는 십이지장 검사 중 위장 팽만의 감압이 가능하다.
대장 내시경에서는 진입된 내시경보다 저위부 대장 팽만의 감압(decompression)과 수분주입(water injection), 대장의 길이확장(elongation)이나 루프(loop) 교정위한 대장축 직선화 유도 및 유지형 프로브(8a)(8b) 사용 등으로 내시경 진입조작이 보다 더 쉽게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compression, water injection or straightening의 임상 예)
또한 기존의 방식은 내시경이 진입할 때 공기가 주입되어 후복막에 유착되지않은 대장(에스 결장, 횡행결장)은 공기의 비중 때문에 위로 뜨게 된다. 예를 들면 환자가 누운 자세에서는 고정되지 아니한 대장은 공기 때문에 소장보다 위로 뜨게 되어 후복막에 고착된 하행결장의 입구(SD junction)와 종료부위(splenic flexure)에서 심각한 예각이 형성되어 내시경 진입이 힘들어 진다. 그러나 본 발명이 적용된 내시경장치(1)를 사용할 시 진입되는 샤프트(3)의 선단부(4)에서 공기 대신에 물을 주입하여 시야를 확보하면서 진입하고 주입된 수분은 D튜브(5) 및 E튜브(7)를 통해 배수되도록 설계되어 있어 효과적으로 내시경 진입이 가능하고 목적지 까지 진입한 후 후퇴할 때 공기를 주입하면서 병변여부를 관찰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 (Hydroscopy의 임상 예)
그로 인하여 위험성이 내포된 고가의 수면 내시경의 필요성을 감소시켜 편안하고 안전하게 내시경 검사를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많은 사람들에서 환자뿐 아니라 예방적 검진에서도 유효하게 사용될 것으로 사료되며, 피검자의 편안한 느낌으로 내시경 검사자의 다급함도 감소함으로서 신중한 검사가 가능하게 하는 효과도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Claims (6)

  1. 컴퓨터와 같은 제어장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수조작부(2) 전방으로 샤프트(3)를 연결하고 샤프트(3)의 내측에는 샤프트(3)의 선단부(4)와 수조작부(2)를 연결하는 수개의 튜브를 내장 설치하여 공기 및 물의 이동, 조명 및 카메라에 전원공급, 조직검사등 각종 작업 기구가 내입되게 한 것이 모두 샤프트 선단부에만 개구되도록 장치되어 있는 기존의 상하부 소화기 내시경장치(1)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3)의 선단부(4) 후방 측벽에 구멍(5b,5c)을 관통하고, 수조작부(2)또는 그 하단부 샤프트(3)에 형성된 주입구(5a)와 D튜브(5)로 연결하여 감압조절, 수분주입, 배수기능 및 프로브(8)를 삽입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부 소화기 내시경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5b,5c)의 후방으로 또 다른 한개 이상의 구멍(7b,7c)을 추가로 관통하고, 수조작부(2) 또는 그 인근의 샤프트(3)에 형성된 주입구(7a)와 E튜브(7)로 연결하여 감압조절, 수분주입, 배수기능 및 프로브(8)를 삽입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부 소화기 내시경장치.
  3. 제 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3)의 측벽에 형성되는 구멍(5b,5c)(7b,7c)은 각각 2개 이상을 하나의 그룹으로 하여 D튜브(5) 또는 E튜브(7)와 분지관으로 연결하되,
    상기 같은 그룹으로 형성된 구멍간의 거리(각각의 b와 c의 간격)는 3~10cm가 되게 하며, 샤프트(3)에 서로 반대편에 관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부 소화기 내시경장치.
  4. 제 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3)의 측벽에 형성되는 구멍(5b,5c)(7b,7c)은 샤프트(3)의 선단부(4) 카메라 렌즈 위치보다 후방 10~80cm 범위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부 소화기 내시경장치.
  5. 제 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D튜브(5) 또는 E튜브(7)에는 구멍(5b,5c)(7b,7c) 인접한 부분에 제어장비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압력센서(6)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부 소화기 내시경장치.
  6. 제 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8)는 직선화 유도 및 유지형 프로브(약칭 SP: Straightening probe)(8a)(8b), 형상기억 프로브(MPD: Shape memory probe for D-DO1 channel)(8c)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부 소화기 내시경장치.
KR1020040101427A 2004-12-03 2004-12-03 상하부 소화기 내시경 장치 KR2004011128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1427A KR20040111283A (ko) 2004-12-03 2004-12-03 상하부 소화기 내시경 장치
PCT/KR2005/004086 WO2006059880A1 (en) 2004-12-03 2005-12-02 Endoscope device for perishaft decompression of digestive orga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1427A KR20040111283A (ko) 2004-12-03 2004-12-03 상하부 소화기 내시경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11283A true KR20040111283A (ko) 2004-12-31

Family

ID=36565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1427A KR20040111283A (ko) 2004-12-03 2004-12-03 상하부 소화기 내시경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0111283A (ko)
WO (1) WO2006059880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634B1 (ko) * 2013-12-24 2015-04-15 주식회사 인트로메딕 식도 내압 검사 장치
KR101633736B1 (ko) 2015-03-25 2016-06-27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시경
KR20180101825A (ko) 2017-03-06 2018-09-14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시경 캡 및 이를 포함하는 내시경
KR102323451B1 (ko) 2020-09-24 2021-11-09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내시경을 이용한 공기압 자동 조절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506904C1 (ru) * 2012-07-16 2014-02-20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ур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медицин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Министерства здравоохранения и социального развит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Способ хирургического лечения хронических нарушений дуоденальной проходимости из минидоступ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60525A (ja) * 1987-12-17 1989-06-23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
JP3331273B2 (ja) * 1994-12-26 2002-10-07 富士写真光機株式会社 内視鏡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634B1 (ko) * 2013-12-24 2015-04-15 주식회사 인트로메딕 식도 내압 검사 장치
KR101633736B1 (ko) 2015-03-25 2016-06-27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시경
KR20180101825A (ko) 2017-03-06 2018-09-14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시경 캡 및 이를 포함하는 내시경
KR102323451B1 (ko) 2020-09-24 2021-11-09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내시경을 이용한 공기압 자동 조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59880A1 (en) 2006-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9131B1 (ko) 의료 검사 장치를 위한 커버링
CN106659357B (zh) 细径内窥镜用的辅助系统
JP2008502421A5 (ko)
CA2535129C (en) Gastrointestinal lavage system
WO2006073725A1 (en) Catheter with multiple visual elements
CN102215735B (zh) 手术内窥镜
Witte et al. The difficult colonoscopy
JP3770902B1 (ja) 大腸内視鏡検査補助具
KR20040111283A (ko) 상하부 소화기 내시경 장치
CN110403567A (zh) 一种磁体与“麦芒”仿生联合动力下行逆向结肠检查的装置
CN1868414A (zh) 肛肠内镜治疗仪
JP2002125921A (ja) 内視鏡の付属品及び内視鏡
Dover et al. Flexible and rigid endoscopy in marine mammals
Cadoni et al. How to perform water exchange colonoscopy, with tips and tricks
CN109846449B (zh) 多功能消化内镜治疗装置
CN104771129B (zh) 放射线下能够显影的小肠镜引导装置
Vargo et al. Clinical utility of the Olympus single balloon enteroscope: the initial US experience
RU80325U1 (ru) Одноразовая трансэзофагеальная трубка
WO2022119069A1 (ko) 흡입 및 위치조절이 가능한 위장관수술용 발광형 튜브
CN218338807U (zh) 一种结直肠esd术后引流球囊肛管组件
WO2022255805A1 (ko) 담관 내시경 튜브
Gay et al. Push enteroscopy
CN108013857A (zh) 医疗用内窥镜
CN213722165U (zh) 腹腔镜下保护性扩张辅助牵拉器
CN208709840U (zh) 医疗用内窥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