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79Y1 - 거푸집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거푸집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79Y1
KR200401079Y1 KR20-2005-0025153U KR20050025153U KR200401079Y1 KR 200401079 Y1 KR200401079 Y1 KR 200401079Y1 KR 20050025153 U KR20050025153 U KR 20050025153U KR 200401079 Y1 KR200401079 Y1 KR 2004010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fixing device
main
main band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51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범수
Original Assignee
서보가설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보가설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보가설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251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0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10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2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columns or like pillars;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 E04G13/023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columns or like pillars;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with means for modifying the sectional dimensions
    • E04G13/025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columns or like pillars;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with means for modifying the sectional dimensions with stiff clamping means bracing the back-side of the form without penetrating the forming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거푸집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 타설하여 기둥을 시공할 때 콘크리트로부터 전가되는 하중에 대한 버팀강성을 증대하여 기둥의 배부름현상을 방지하고 주밴드의 취급이 용이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고정장치는, 기둥(P)의 형태를 따라 설치된 거푸집의 둘레부에 배치되는 주밴드(10), 상기 주밴드들의 마주하는 일측을 서로 연결하는 체결구(20) 및 상기 주밴드의 타측을 조여 상기 주밴드가 상기 거푸집에 밀착되도록 하는 조임부재(30)를 포함하고, 상기 주밴드는, 상하로 관통하는 체결공(11a)이 다수개 구비되며 상기 거푸집의 둘레면에 지지되는 중공의 박스형 몸체(11) 및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판형의 보강부(12)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거푸집 고정장치{A concrete form supporter}
본 고안은 거푸집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타설하여 기둥을 시공할 때 콘크리트로부터 전가되는 하중에 대한 버팀강성을 증대하여 기둥의 배부름현상을 방지하고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거푸집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둥의 성형하기 위하여 거푸집을 설치하는 경우, 종래에는 합판으로 틀을 짜거나, 유로폼과 같은 거푸집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합판으로 틀을 짜는 공법은 기둥의 치수와 동일하게 기둥 주위 네 면의 거푸집을 합판과 각재로 틀을 짜서 설치하고, 그 내측에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기둥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합판을 이용한 공법은 합판과 각재의 전용 회수가 크지 아니하여 동일 치수의 기둥을 반복적으로 시공하는 경우에는 거푸집 제작 비용이 증가하며, 거푸집의 강성이 그다지 크지 않아 몇회 사용하면 거푸집의 변형이 커지므로 콘크리트 기둥의 치수 정밀도가 저하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특히, 각재는 타 공사 현장으로 전용이 불가능하여 전량 폐기 처리되는 바, 귀중한 자원의 낭비와 폐기물 처리에 따른 환경오염의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거푸집이 등록특허공보 제322486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그 구성은 도 1에서와 같이, 기둥의 단면 형태를 유지토록 연결되는 거푸집(1)의 외측을 감싸도록 멍에(2)가 기둥(P)의 높이 방향에 교대로 적층되고, 멍에(2)를 폼타이(3)에 의해 상호 연결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거푸집은, 다수의 거푸집(1)을 성형하고자 하는 기둥(P)과 동일형상으로 연결하여 제작하고, 거푸집(1)의 외측둘레를 폼타이(3)로서 상호 연결되는 복수의 멍에(2)에 의해 지지하여 콘크리트의 측압에 의한 거푸집(1)의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거푸집은, 거푸집(1)의 둘레 전체를 균일하게 지지하여 못하여 측압에 취약하며, 상호 대응되는 한쌍의 멍에(2)를 폼타이(3)로 연결하는 구성으로 일방향의 압력에만 작용하도록 하고,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멍에(2)에 폼타이(3)의 삽입하는 결합구조에 의해 작업성이 저하되고, 일정규격의 기둥에만 적용이 가능하여 규격의 변화시 별도의 거푸집을 제작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해결한 거푸집 고정장치로 거푸집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H"형 밴드와, 상기 "H"형 밴드들의 마주하는 단부를 연결하는 체결구로 이루어진 거푸집 고정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H"형 주밴드를 갖는 거푸집 고정장치는 콘크리트의 측압에 대한 버팀강성이 좋긴 하지만 중량이 무겁기 때문에 운반, 설치, 해체작업이 매우 힘든 단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 거푸집 고정장치로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실용신안등록 제285283호로 거푸집 고정장치가 있다.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285283호는 서로 다른 높이의 대고정빔과 소고정빔이 연속 배열되도록 측면이 통공된 삽입공이 형성되고 각각의 일단부에 수직으로 다수개의 고정공이 설치되며 타단부 일측 가장자리에 다수개의 고정홈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된 고정빔부와; 상기 고정빔부의 고정공 중 어느 하나를 각각 일치시켜 상기 고정빔부의 일단부를 서로 결합 고정시키기 위해 삽결되는 힌지핀과; 상기 고정빔부의 고정홈 중 어느 하나를 각각 일직선상에 위치시켜 상기 고정빔부의 타단부를 서로 결합 고정시키기 위해 삽설하는 조임부로 구성된다.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285283호는 중량이 가볍기 때문에 취급이 용이한 장점은 있지만 구조가 취약한 단점이 있어 기둥에 배부름현상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콘크리트 타설하여 기둥을 시공할 때 거푸집이 측압에 의해 변형되지 않고 취급(운반, 설치 및 해체)이 용이하도록 한 거푸집 고정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주밴드의 구조를 단순하게 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하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고정장치는, 거푸집의 둘레부에 배치되는 주밴드, 상기 주밴드의 일측을 체결하는 체결구 및 상기 주밴드의 타측을 체결하여 상기 주밴드를 조이는 조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주밴드는 상기 거푸집으로부터 전가되는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중공 박스의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외측면에 판상으로 형성되는 보강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고안에 의한 거푸집 고정장치는, 다수의 주밴드가 거푸집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면서 근접하는 주밴드와 체결구 또는 조임부재를 통해 결합되어 상기 거푸집을 지지하는 것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각 기둥에 적용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거푸집 고정장치(100)는, 사각 기둥(P)(도 4에 도시됨)의 형태를 따라 설치된 거푸집(1)(도 4참조)의 둘레부에 설치되는 4개의 주밴드(10), 주밴드(10)들을 결속하는 체결구(20) 및 조임부재(30)로 구성되며, 이하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조임부재(30)는 반드시 사용되는 것은 아니라 필요에 따라 사용되는 것이다. 즉, 조임부재(30)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는 주밴드(10)의 양측 모두 체결구(20)로 체결되는 것이고, 조임부재(30)가 사용될 경우에는 주밴드(10)의 일측은 체결구로(20) 타측은 조임부재(30)로 체결되는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에서 보이는 것처럼, 주밴드(10)는 거푸집(1)으로부터 전가되는 하중에 의한 휨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한 구조를 가지며, 거푸집(1)의 둘레면에 밀착되며 다수의 체결공(11a)(기둥(P)의 크기에 맞춰 사용될 수 있도록 다수개가 형성됨)을 갖는 중공의 몸체(11) 및 몸체(11)의 외측면에 연장 형성되는 판상의 보강부(12)로 구성된다. 이처럼, 주밴드(10)는 몸체(11)가 중공으로 이루어지면서 보강부(12)가 덧대어 외력에 의한 변형이 최소화되고 돌출된 부분이 없기 때문에 취급이 용이하다.
그리고, 보강부(12)가 판상이기 때문에 몸체(11)에서 먼 테두리부에 휨변형이 쉽게 발생될 수 있으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보강부(12)의 테두리부에는 보강부(12)보다 큰 단면적(보강부(12)보다 폭과 두께가 크게 형성됨)의 보강띠(13)가 형성된다.
또한, 몸체(11)와 보강부(12)의 연결부가 구조적으로 취약하기 때문에 이 연결부의 보강을 위하여 보강리브(14)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보강리브(14)는 대략 삼각형으로 형성되어 양변이 몸체(11)와 보강부(12)에 각각 연결된다.
본 고안에 의한 거푸집 고정장치는 거푸집(1)의 둘레를 따라 4개의 주밴드(10)를 배열하여 근접하는 주밴드(10)들을 결합함으로써 거푸집(1)을 지지하는 것이며, 이때, 주밴드(10)들을 결속함과 아울러 주밴드(10)들을 거푸집(1)으로 밀착할 수 있도록 주밴드(10)의 일측은 근접하는 주밴드(10)와 체결구(20)로 체결되고 타측은 조임부재(30)를 통해 거푸집(1)에 밀착되도록 조여진다.
주밴드(10)의 일측은 서로 중첩된 상태에서 체결공(11a)에 체결구(20)가 체결됨으로써 결합되며, 조임부재(30)의 설치를 위하여 주밴드(10)의 타측에는 조임부재(30)가 장착되는 중공의 조임부재 수용부(15)가 더 형성된다. 조임부재 수용부(15)는 좌우가 관통되는 중공 구조이며 개구부 중 일측이상에는 보강판(16)이 더 결합된다. 보강판(16)에는 볼트(31)가 관통되는 볼트관통공(16a)(타원형)이 형성된다.
조임부재(30)는 조임부재 수용부(15)의 내부에 삽입되는 볼트(31)(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디비닥볼트가 사용가능) 및 볼트의 양측에 각각 체결되어 볼트(31)를 조임부재 수용부(15)에 고정하는 윙너트(32,33)로 구성된다. 조임부재 수용부(15)는 도면에서 보이는 것처럼,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체결구(20)는 볼트와 너트로 구성되어 근접되는 주밴드(10)들을 결합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2a는 주밴드(10)의 중량을 줄이기 위한 구멍이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거푸집 고정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거푸집(1)의 높이에 따라 전가되는 하중이 달라지므로 우선적으로 주밴드(10)의 위치를 결정한다.
주밴드(10)의 위치가 결정되면 2개의 주밴드(10)를 직각(거푸집(1)의 모서리부에 설치하기 위함)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체결공(11a)을 일치시킨 후 체결구(20)를 체결공(11a)에 체결하여 2개의 주밴드(10)를 결합함으로써 한 셋트를 제작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사각 기둥(P)에 사용하기 위한 두 개의 주밴드(10) 셋트를 제작한다.
이어서, 두 개의 주밴드(10) 셋트의 마주하는 조임부재 수용부(15)를 서로 일치한 후, 볼트(31)를 조임부재 수용부(15)에 삽입하고, 조임부재 수용부(15)의 외부로 돌출된 볼트(31) 양측에 각각 윙너트(32,33)를 체결하여 주밴드(10)들이 거푸집(1)에 밀착되도록 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방법에 의거하여 하나의 기둥을 만들기 위한 거푸집(1)에 거푸집 고정장치(100)를 하중에 따라 다단으로 설치하고(도 7참조), 기둥(P)의 단면적에 따라 체결공(11a)의 위치를 달리함으로써 하나의 거푸집 고정장치(100)만으로 모든 크기의 기둥에 적용할 수 있다(도 8참조).
한편, 거푸집 고정장치(100)를 설치한 상태에서 거푸집(1)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둥(P)을 시공하며, 이 과정에서 콘크리트의 수직응력이 거푸집(1)에 횡압력으로 전가되는데, 몸체(11)가 중공의 박스형이기 때문에 외력에 대한 버팀공간을 갖고 있으므로 거푸집(1)에 배부름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조임부재(30)의 볼트(31)가 조임부재 수용부(15) 내부에 삽입되어 우천시 볼트(31)가 젖지 않으므로 부식을 막을 수 있고, 공구/부품이 충돌할 때 1차적으로 조임부재 수용부(15)에서 상쇄되고 튕겨나가기 때문에 볼트(31)가 변형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고정장치에 의하면, 주밴드의 몸체가 중공의 박스형이지만 판상의 보강부와 함께 외력에 대한 버팀강성을 발휘함으로써 거푸집을 통해 전가되는 하중에 의한 휨변형이 줄어들어 결과적으로 기둥의 배부름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주밴드의 몸체가 중공부를 갖는 박스형태이기 때문에 자중이 가벼워 운반, 설치, 해체시 무리한 힘을 들이지 않아도 되므로 취급이 매우 용이하다.
또한, 조임부재(30)의 볼트(31)의 부식과 변형이 방지되어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거푸집 고정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거푸집 고정장치의 결합 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거푸집 고정장치의 결합 상태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고정장치에 적용된 주밴드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거푸집 고정장치에 적용된 주밴드의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고정장치가 설치된 거푸집의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거푸집 고정장치를 기둥폼의 크기에 따라 가변한 상태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거푸집, P : 기둥
10 : 주밴드, 11 : 몸체
11a : 체결공, 12 : 보강부
13 : 보강띠, 14 : 보강리브
15 : 조임부재 수용부, 20 : 체결구
30 : 조임부재, 31 : 볼트
32 : 윙너트,

Claims (6)

  1. 기둥의 형태를 따라 설치된 거푸집의 둘레부에 배치되는 주밴드(10) 및 상기 주밴드들의 마주하는 일측 이상을 서로 연결하는 체결구(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밴드는, 상하로 관통하는 체결공(11a)이 하나 이상 구비되며 상기 거푸집의 둘레면에 지지되는 중공의 박스형 몸체(11) 및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판형의 보강부(1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의 테두리부에는 상기 보강부보다 큰 단면적의 보강띠(13)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고정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보강부의 사이에는 상기 몸체와 보강부에 각각 이어지는 다수의 보강리브(14)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고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밴드들의 마주하는 타측을 조여 상기 주밴드들이 상기 거푸집에 밀착되도록 하는 조임부재(3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고정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재(30)는 상기 마주하는 주밴드들의 타측에 각각 형성된 조임부재 수용부(15)에 관통되는 볼트(31) 및 상기 볼트의 양측에 각각 체결되어 상기 볼트를 상기 주밴드들에 고정하는 윙너트(32,3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고정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주밴드의 조임부재 수용부(15)는 상기 조임부재의 볼트가 외부와 밀폐되도록 수용되는 중공 박스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고정장치.
KR20-2005-0025153U 2005-08-31 2005-08-31 거푸집 고정장치 KR2004010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153U KR200401079Y1 (ko) 2005-08-31 2005-08-31 거푸집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153U KR200401079Y1 (ko) 2005-08-31 2005-08-31 거푸집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79Y1 true KR200401079Y1 (ko) 2005-11-25

Family

ID=43702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5153U KR200401079Y1 (ko) 2005-08-31 2005-08-31 거푸집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07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014B1 (ko) 2010-08-30 2012-04-26 서보산업 주식회사 가변형 기둥폼
CN104453219A (zh) * 2014-12-17 2015-03-25 中建六局土木工程有限公司 一种采用箍锁式定型卡具加固柱模板的施工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014B1 (ko) 2010-08-30 2012-04-26 서보산업 주식회사 가변형 기둥폼
CN104453219A (zh) * 2014-12-17 2015-03-25 中建六局土木工程有限公司 一种采用箍锁式定型卡具加固柱模板的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9877B1 (ko) 파형강판 구조물의 보강라이너 설치용 거푸집
US5632923A (en) Concrete molding form member
US7455349B2 (en) Truck platform construction
KR100917833B1 (ko) 기둥 축조용 거푸집 고정 구조
KR200401079Y1 (ko) 거푸집 고정장치
KR200437257Y1 (ko) 거푸집 고정장치
JP6144304B2 (ja) 分離帯構造体
JPH0949320A (ja) コンクリート型枠変形防止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型枠組立方法
KR100638846B1 (ko) 기둥폼
JP2012067519A (ja) 外壁パネルの取付構造
KR100976934B1 (ko) 조립식 건물 구조체
KR970004946B1 (ko) 콘크리트 기둥 구조물 전용 조립식 철제 거푸집
KR200303750Y1 (ko) 건축물 축조용 거푸집 보강대의 클램프
KR20110000140U (ko) 알루미늄 거푸집 판넬의 이음부재 구조
KR100478731B1 (ko) 기둥프레임 연결장치
JPH11148226A (ja) コンクリート型枠およびその締結金具
KR20070043641A (ko) 각도조절 가능한 거푸집
KR100322486B1 (ko) 거푸집용몰딩바및이를이용한거푸집설치방법
KR200303783Y1 (ko) 조립식 피씨 암거용 거푸집장치
JP2002206338A (ja) プラスチック製パネル
CN220054549U (zh) 一种榫卯卡扣式可重复利用包装箱
KR200187741Y1 (ko) 거푸집용 몰딩바
JP3848590B2 (ja) 型枠用締付構造体
KR0140138Y1 (ko) 가변성 거푸집판넬
KR200459170Y1 (ko) 시스템판넬 결합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