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7847A - 운동수행능력 증강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운동수행능력 증강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7847A
KR20040107847A KR1020030038486A KR20030038486A KR20040107847A KR 20040107847 A KR20040107847 A KR 20040107847A KR 1020030038486 A KR1020030038486 A KR 1020030038486A KR 20030038486 A KR20030038486 A KR 20030038486A KR 20040107847 A KR20040107847 A KR 20040107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eaweed
functional food
experiment
food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8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창원
양성범
박미현
장혜은
홍성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롬라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롬라이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롬라이프
Priority to KR1020030038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07847A/ko
Publication of KR20040107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784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동수행능력 증강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곡류, 과채류, 해조류 및 버섯류로 이루어진 운동수행능력 증강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장기간 섭취시 심폐기능의 발달 및 근력 향상 효과가 있어서 운동선수의 체력 및 운동능력 증진에 유용하며 운동 후 회복기의 혈중 글루코스 회복량을 빠르게 증가시켜 운동선수의 피로회복을 촉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특히 지구력을 요하는 운동의 기록 향상은 물론, 심폐기능 발달 및 근력 강화에 기여 할 수 있다.

Description

운동수행능력 증강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increasing power of exercise performance}
본 발명은 운동수행능력 증강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곡류, 과채류, 해조류 및 버섯류로 이루어진 운동수행능력 증강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장기간 섭취시 심폐기능의 발달 및 근력 향상 효과가 있어서 운동선수의 체력 및 운동능력 증진에 유용하며 운동 후 회복기의 혈중 글루코스 회복량을 빠르게 증가시켜 운동선수의 피로회복을 촉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운동 선수는 항상 새로운 기록을 세우기 위하여 자신이 가진 체력과 기술을 최대로 발휘하고자 노력한다. 이를 위해서는 운동 종목에 따른 과학적인 훈련 뿐 만 아니라, 균형적인 영양소 섭취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운동 선수는 운동 중 에너지원으로 근육에 축적된 글리코겐을 사용한다. 글리코겐은 탄수화물을 과량 섭취하면 체내에 축적되고, 강도가 높은 운동을 반복하면 고갈된다. 따라서, 운동 선수와 같이 지속적인 운동을 수행하는 경우에 특히, 장시간 지구력을 요하는 운동에 있어서 탄수화물의 섭취는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는 사람의 경우 총 칼로리의 55∼70%의 탄수화물을 섭취해야 한다. 운동하기 2∼3시간 전에 섭취하는 탄수화물은 지구력을 향상시키고, 운동을 시작한지 1시간 내에 탄수화물을 섭취하는 경우에는 트레이닝 효과를 향상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운동 후 탄수화물의 과량 섭취는 피로회복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운동 선수의 경우 탄수화물의 섭취와 더불어 비타민과 무기질의 섭취가 필수적이다. 비타민은 소량만 섭취하더라도 여러 가지 체내 신진대사 및 효소 작용을 촉진함으로써 운동수행능력을 증강시키는 작용을 한다. 예를 들면, 비타민 C는 힘의 평형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요소로서 운동 중에 젖산 생성을 감소시켜줌으로써 피로감을 최소화하고 지구력을 향상시키며, 근육세포가 더욱 효과적으로 산소를 이용할 수 있도록 산소의 활동을 촉진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비타민 A는 건강한 피부, 모발, 점막, 뼈, 치아 등의 유지에 필수적이며, 비타민 D(칼시페롤)는 칼슘 흡수를 도와 골격을 튼튼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비타민 E(토코페롤)의 경우산소를 혈관 내에 보존함으로써 근육의 내구력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무기질은 근육의 수축 및 이완, 골격 형성, 에너지 저장에 있어서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지속적으로 운동을 하는 사람의 경우 비타민 및 무기질을 일반인에 비해 2∼3배 과량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운동 선수의 경우 일반인과는 달리 그들의 특수 활동을 고려한 체계적인 식사관리가 요구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최근 운동선수들의 영양상태와 운동수행능력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운동수행능력을 최대화하기 위해 영양소 필요량의 설정 및 소화와 같은 기타 생리적 조건을 고려한 식사관리를 중심으로 한 연구가 진행된 바 있으며, 문헌에는 운동 종목과 체격을 고려한 기초대사량을 측정하여 제시한 바 있다(McArdle W.D. et al.,Ann. sports Med., 3:104, 1987; William M.H.,Clin Sports Med3:623, 1987; Brune M. et al.,Am. J. clin. Nuts., 43:43, 1986; Benardot D. et al.,J. Am. Diet Assoc.89:401, 1989). 또한, 운동수행능력의 향상을 위한 근육량의 증가를 위하여 단백질 섭취량의 적정수준이 제시된 바 있으며, 단백질 식품의 경우 심리적 측면에서 보상하는 역할이 큰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Benardat D.,Am. J. Diet., 2nd ed. 1992; Ellinton D.,Nutrition and athletic performance, Athletics Press, 1978; Sherman W. M.,Am. J. Sports Med., 12(Jan/Fed):44, 1984). 한편, 비타민 E와 C의 복합 섭취가 최대운동수행력과 항산화효소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된 바도 있다(박성태, 비타민E와 C의 복합섭취가 최대 운동 수행력과 항산화 효소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대한민국특허 공개 제2001-5865호에는 격렬한 운동에 대한 골격근의 적응을 촉진하고 허약 체질자의 피로 회복에 유용한 영양 보조제가 개시된 바 있으며, 대한민국특허 공개 제2002-62927호에는 근육을 키우거나 강도를 늘리기 위한 보조 식품이 개시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특허 제1997-575호에는 운동에 대한 생리적 반응을 개선시키기 위한 조성물 및 그 방법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개발된 식품들은 고열량, 고지방, 고단백 식품인 경우가 많다. 또한, 운동 선수들은 과도한 체력 소모에 대한 보상 심리로 고열량, 고지방, 고단백 식사를 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는 영양 불균형 또는 영양 과다가 초래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열량은 과다하지 않으면서도 상대적으로 운동 선수들이 소홀히 하기 쉬운 식이섬유, 탄수화물, 비타민, 미네랄 등의 영양소를 균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기능성 식품이 개발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운동 선수들에게 과학적으로 영양 공급을 함으로써 운동수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지 않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운동 선수들에게 균형적인 영양 공급을 통해 운동수행능력을 효과적으로 증강시킬 수 있는 기능성 식품에 대해 연구하던 중, 곡류, 과채류, 해조류 및 버섯류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운동 선수에게 다양한 영양소를 균형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심폐기능의 발달 및 근력을 향상시키며, 운동 후 혈중 글루코스 회복량을 빠르게 증가시켜 피로 회복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함으로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곡류, 과채류, 해조류 및 버섯류로 이루어진 운동수행능력 증강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조성물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실험 방법을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공급하기 전과 6개월간 공급한 후의 실험군 및 대조군의 1,200m 장거리 달리기의 기록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공급하기 전과 6개월간 공급한 후의 실험군 및 대조군의 각근력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공급하기 전과 6개월간 공급한 후의 실험군 및 대조군의 배근력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공급하기 전과 6개월간 공급한 후의 실험군 및 대조군의 단위시간당 최대산소섭취량(L/min)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공급하기 전과 6개월간 공급한 후의 실험군 및 대조군의 단위시간당 체중에 따른 최대산소섭취량(ml/kg/min)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공급하기 전과 6개월간 공급한 후의 실험군 및 대조군의 심박수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공급하기 전과 6개월간 공급한 후의 실험군 및 대조군의 HDL-콜레스테롤(mg/dL)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공급하기 전과 6개월간 공급한 후의 실험군 및 대조군의 LDL-콜레스테롤(mg/dL)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공급하기 전과 6개월간 공급한 후의 실험군 및 대조군의 총 콜레스테롤(mg/dL)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공급하기 전과 6개월간 공급한 후의 실험군 및 대조군의 혈중 글루코스(mg/dL)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곡류, 과채류, 해조류 및 버섯류로 이루어진 운동수행능력 증강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열량이 과다하지 않으면서도 식이섬유, 탄수화물, 비타민, 미네랄이 효과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주식:부식의 비율에 있어서 부식의 비율을 증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주식인 곡류 혼합물과 부식인 과채류 혼합물, 해조류 혼합물 및 버섯류 혼합물이 약 35∼50: 45∼65의 비율,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45:55의 비율로 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운동수행능력 증강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현미, 발아현미, 차조, 수수, 율무, 백태, 검은깨, 현미찹쌀, 흑향미 및 보리로 이루어진 곡류 혼합물 35∼50중량%; 케일, 당근, 우엉, 늙은 호박, 무, 무청, 더덕, 신선초, 양배추, 돌미나리, 쑥, 솔잎 및 유자로 이루어진 과채류 혼합물 45∼60중량%; 김, 미역 및 다시마로 이루어진 해조류 혼합물 0.1∼5중량%; 및 표고버섯 및 영지버섯으로 이루어진 버섯류 혼합물 0.1∼0.5중량%를 함유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수행능력 증강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배합비율로 이루어진 곡류 혼합물 35∼50중량%, 과채류 혼합물 45∼60중량%, 해조류 혼합물 0.1∼5중량% 및 버섯류 혼합물 0.1∼0.5중량%를 함유한다.
곡류 혼합물, 과채류 혼합물, 해조류 혼합물 및 버섯류 혼합물을 이루고 있는 각 원료의 배합비율
성분 원료명 각 성분 원료의 배합비율(중량%) 본 발명 조성물의 배합비율(중량%)
곡류 혼합물 현미 50∼70 35∼50
발아현미 10∼30
차조 1∼5
수수 1∼5
율무 1∼5
백태 1∼5
검은깨 0.1∼1
현미찹쌀 0.05∼0.2
흑향미 0.05∼0.2
보리 0.05∼0.2
과채류 혼합물 케일 15∼25 45∼60
당근 1∼5
우엉 1.5∼2.5
늙은호박 50∼60
5∼10
무청 2∼5
더덕 0.1∼0.5
신선초 1∼5
양배추 1∼5
돌미나리 5∼10
0.1∼0.2
솔잎 0.01∼0.03
유자 0.001∼0.003
해조류 혼합물 5∼10 0.1∼5
미역 35∼45
다시마 45∼55
버섯 혼합물 표고버섯 60∼80 0.1∼0.5
영지버섯 20∼40
가장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수행능력 증강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현미 62중량%, 발아현미 20중량%, 차조 4중량%, 수수 4.7중량%, 율무 3.2중량%, 백태 4.5중량%, 검은깨 1중량%, 현미찹쌀 0.2중량%, 흑향미 0.2중량% 및 보리 0.2중량%로 이루어진 곡류 혼합물 44중량%;
케일 19중량%, 당근 3중량%, 우엉 2중량%, 늙은호박 54중량%, 무 7중량%, 무청 2.4중량%, 더덕 0.4중량%, 신선초 3중량%, 양배추 3.5중량%, 돌미나리 5.5중량%, 쑥 0.18중량%, 솔잎 0.018중량% 및 유자 0.002중량%로 이루어진 과채류 혼합물 55.3중량%;
김 7중량%, 미역 38중량% 및 다시마 55중량%로 이루어진 해조류 혼합물 0.5중량%; 및
표고버섯 70중량% 및 영지버섯 30중량%로 이루어진 버섯류 혼합물 0.2중량%를 함유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연식성 등을 위한 부가 재료로서 상기 조성물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알파현미분말 10 내지 50 중량부, 맥주효모 0.5 내지 3 중량부, 유산균분말 0.05 내지 0.3 중량부, 스피루리나 0.1 내지 0.5 중량부, 올리고당 5 내지 20 중량부, 나한과추출분말 0.05 내지 0.3 중량부, 식용해조분 0.2 내지 1 중량부, 비타민 및 미네랄류 0.2 내지 1 중량부 및 과당 0.5 내지 3 중량부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현미, 발아현미, 차조, 수수, 율무, 백태, 검은깨, 현미찹쌀, 흑향미 및 보리로 이루어진 곡류 혼합물; 케일, 당근, 우엉, 늙은호박, 무, 무청, 더덕, 신선초, 양배추, 돌미나리, 쑥, 솔잎 및 유자로 이루어진 과채류 혼합물; 김, 미역 및 다시마로 이루어진 해조류 혼합물; 및 영지버섯 및 표고버섯으로 이루어진 버섯류 혼합물을 함유하고 있어 식이섬유는 물론, 엽록소, 비타민, 무기질 등의 미량 영양소가 풍부한 특징이 있다.
상기 곡류 혼합물의 원료 성분인 현미는 일반 백미보다 비타민 B군 및 식이 섬유가 풍부하고 체질을 약 알칼리성으로 만들어 신진대사를 촉진하는 효능이 있다. 발아현미는 현미를 싹틔운 것으로 아라비녹시란, 감마오리자놀, 클로로피린, SOD, 활성화된 섬유소, 비타민류 및 미네랄류가 함유되어 있다. 차조에는 전분, 환원당과 같은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비타민 B군, 칼슘 및 철이 함유되어 있다. 수수에는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비타민 B군, 미네랄 및 섬유소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율무에는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이 함유되어 있다. 백태는 리놀산이 함유되어 있고 검은깨에는 단백질, 지방, 비타민A, 비타민 C, 칼슘, 인 및 철이 함유되어 있다. 현미찹쌀과 흑향미는 탄수화물이 다량 함유되어 있고 보리에는 섬유질, 칼슘, 철분 및 비타민 B군이 함유되어 있으며 케일에는 탄수화물, 단백질, 비타민류, 칼슘, 철, 엽록소 등이 함유되어 있다.
상기 과채류 혼합물의 원료 성분인 케일은 탄수화물, 단백질, 비타민류, 칼슘, 철, 엽록소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당근에는 비타민 A가 다량 함유되어 있다.우엉에는 이눌린과 팔미트산이 함유되어 있고, 호박, 무 및 무청에는 비타민 C가 다량 함유되어 있다. 더덕에는 조혈작용 및 항 피로 작용이 있는 사포닌이 함유되어 있으며 신선초에는 비타민 B군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양배추에는 유황과 염소가 함유되어 있고 돌미나리에는 비타민류가 함유되어 있으며 쑥과 솔잎에는 비타민 A, K, C가 함유되어 있다. 유자에는 비타민 C 및 유기산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상기 해조류 혼합물의 원료 성분인 김과 미역에는 비타민 A, B1, B2, C, K와 칼슘, 인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다시마에는 비타민류, 칼륨, 칼슘, 철 및 요오드가 함유되어 있다.
상기 버섯류 혼합물의 원료 성분인 표고버섯과 영지버섯에는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비타민, 칼륨, 칼슘, 인 및 철과 같은 영양소가 골고루 함유되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당 분야에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곡류, 야채류, 과실류, 해조류 등의 원료를 세척한 후 일정한 크기로 파쇄, 절단하거나 또는 그대로 급속 동결시킨 후 동결 건조기에서 건조한 후 일정한 크기로 분쇄한 후 바람직한 배합비율로 배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식품 조성물의 바람직한 섭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1인 1회 섭취시 30∼50g, 바람직하게는 약 40g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1회 섭취하는 경우 120∼220kcal 정도의 열량이 공급되게 된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조성물의 운동수행능력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을 운동 선수들에게 장기간 섭취시킨 후 운동수행능력과 관련된 생리학적 변인들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상기 운동수행능력과 관련된 생리학적 변인들의 변화는 체격검사, 체력검사 및 운동 중 에너지 대사를 공지된 방법으로 측정함으로써 조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격검사는 신장, 체중, 신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이하 BMI), 체지방률, 지방무게(fat mass), 제지방체중(fat free mass) 및 체수분량 등을 측정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체력검사는 단거리 달리기를 통한 스피드 측정, 장거리 달리기를 통한 심폐지구력 측정, 왕복달리기를 통한 민첩성 측정, 제자리멀리뛰기를 통한 순발력 측정, 팔굽혀펴기 및 윗몸일으키기를 통한 근지구력 측정, 앉아 윗몸 앞으로 굽히기를 통한 유연성 측정 및 악력, 각근력 및 배근력 등의 근력을 측정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운동 중 에너지 대사 검사는 최대산소섭취량(maximal oxygen consumption: VO2max), 산소섭취량(oxygen consumption; VO2), 최대심박수 (maximal heart rate: HRmax), 심박수(heart rate: HR), 호흡교환률(respiratory exchange ration: RER) 및 혈액검사 등을 측정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험예에서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지속적인 운동을 하는 운동선수들에게 6개월 동안 40g씩 하루에 한끼 식사로서 1회, 간식으로서 1회, 총 1일 2회제공하고,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공하기 전과 본 발명의 조성물을 6개월 동안 제공한 후의 이들의 운동수행능력과 관련된 생리학적 변인을 측정하였다. 상기 운동수행능력과 관련된 생리학적 변인으로는 장거리 달리기의 기록 측정에 의한 심폐지구력 변화, 각근력 및 배근력의 측정에 의한 근력 변화를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 운동선수들에게 운동을 시킨 후 운동 전 휴식기, 운동 직후, 회복기의 최대산소섭취량 검사, 심박수 측정 및 혈액검사를 실시함으로써 운동 중 에너지 대사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이때 모든 실험 결과는 ANOVA 테스트 및 T 검정법을 이용하여 그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상기 실험 방법은 도 1에 간략하게 도시화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조성물을 섭취한 실험군의 경우에 장거리 달리기의 기록이 대조군에 비해 크게 단축된 것으로 나타났다(도 2 참조). 이로부터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심폐지구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섭취한 실험군의 경우 각근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도 3 참조), 최대산소섭취량과 심박수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심폐기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5 내지 도 7 참조). 나아가,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섭취한 경우에 운동 후 회복기의 혈중 글루코스 회복량이 대조군에 비해 빠른 속도로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1 참조). 이로부터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섭취함으로써 운동 후 회복기의 혈중 글루코스 회복량이 빠른 속도로 증가되어 피로를 회복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조
곡류, 야채류, 과실류, 해조류 등의 원료를 깨끗한 물로 수차례 반복 세척하고, 불가식 부분을 충분히 제거한 후, 일정한 크기로 파쇄, 절단 등의 공정을 거치거나 또는 그대로 -40℃의 냉동실에서 급속 동결시켰다. 급속 동결시킨 원료를 특성에 따라 동결 건조기에서 건조한 다음, 각각의 원료의 종류별로 60mesh의 체를 통과할 정도의 크기로 분쇄하고 혼합하여 동결 건조 식품을 제조하였다. 즉, 전체 조성물 75g에 대하여 곡류 혼합물 33g(44중량%), 과채류 혼합물 41.47g (55.3중량%), 해조류 혼합물 0.38g(0.5중량%) 및 버섯류 혼합물 0.15g(0.2중량%)을 혼합하였다. 상기 곡류 혼합물은 현미 62중량%, 발아현미 20중량%, 차조 4중량%, 수수 4.7중량%, 율무 3.2중량%, 백태 4.5중량%, 검은깨 1중량%, 현미찹쌀 0.2중량%, 흑향미 0.2중량% 및 보리 0.2중량%로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며, 과채류 혼합물은 케일 19중량%, 당근 3중량%, 우엉 2중량%, 늙은호박 54중량%, 무 7중량%, 무청 2.4중량%, 더덕 0.4중량%, 신선초 3중량%, 양배추 3.5중량%, 돌미나리 5.5중량%, 쑥 0.18중량%, 솔잎 0.018중량% 및 유자 0.002중량%로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해조류 혼합물은 김 7중량%, 미역 38중량% 및 다시마 55중량%로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며, 버섯류 혼합물은 표고버섯 70중량% 및 영지버섯 30중량%로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여기에 알파현미분말 14g, 맥주효모 1.4g, 유산균분말 1g, 스피루리나 0.2g, 올리고당 7g, 나한과추출분말 0.1g, 식용해조분 0.4g, 비타민, 미네랄류 0.05g 및 과당 0.85g의 양을 가하여 100g의 최종 조성물을 얻었다.
<실험예 1>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운동수행능력 증강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운동수행능력 증강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운동을 수행하는 M 대학교 체육학부에 재학 중인 남자 운동선수 20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먼저, 상기 운동선수를 무작위로 선출하여 각각 10명씩 2개 그룹으로 나누고 한 그룹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섭취하도록 하고(이하 실험군) 다른 그룹은 일반식을 섭취하도록 하여(대조군), 6개월간 실험을 실시하였다.
상기 실험군은 본 발명의 조성물 40g씩을 아침식사로써 오전 8시에 1회, 아침과 점심 식사 중간에 간식으로 1회를 섭취하도록 하였으며 점심과 저녁식사는 대조군과 동일한 식단을 섭취하도록 하였다. 대조군은 일일 3식 모두를 정상적인 합숙소 식단에 따라 섭취하도록 하였으며, 본 발명의 조성물을 공급하기 전과 본 발명의 조성물을 6개월간 제공한 후의 체력 및 운동 중 에너지 대사를 각각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상기 실험군과 대조군의 연령, 신장 및 체중은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즉, 실험군의 평균 연령은 20.90±1.52세, 대조군은 20.60±1.58세로 나타났고, 실험군의 평균 신장은 180.90±7.06cm, 대조군이 179.40±5.54cm로 나타났다. 실험군의 초기 평균 체중은 75.51±10.22kg, 대조군은 75.22±7.11kg으로 나타나 2개 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1-1) 본 발명의 조성물 섭취에 따른 1,200m 달리기 기록 변화
본 발명의 조성물의 섭취에 따른 심폐지구력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공하기 전인 실험 전과 6개월간 제공한 후인 실험 종료 후의 실험군 및 대조군의 1,200m 달리기 기록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실험군의 경우 실험 시작 시점의 1,200m 달리기 기록은 339.20±33.27초로 나타났으며, 실험 종료 시점에는 289.10±47.44초로 나타나 실험 시작 시점에 비해 50.10초가 단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대조군의 경우에는 실험 시작 시점의 1,200m 달리기 기록이 337.70±21.07초로 나타났으며, 실험 종료 시점에는 308.60±47.52초로 나타나 실험 전에 비해 29.10초가 단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도 2).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섭취한 실험군의 기록 단축 정도가 훨씬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실험 결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처치시점에 따라 즉,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실험 시작 시점과 실험 종료 시점의 기록을 ANOVA 테스트로 비교한 결과, F=21.645*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 < .05). 또한, 실험군과 대조군의 집단별 t검정을 실시한 결과, 실험군에서만 t=5.374*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5).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섭취가 1,200m 장거리 달리기 기록을 단축하는데 크게 기여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1-2) 본 발명의 조성물의 섭취에 따른 각근력의 변화
본 발명의 조성물의 섭취에 따른 각근력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즉, 본 발명의 조성물을 공급하기 전인 실험 시작 시점과 6개월간 공급한 후인 실험 종료 시점의 각근력을 측정하여 이를 비교하였다. 상기 각근력은 허리를 펴고 무릎을 중심으로 다리를 굽히는 시작 위치에서 다리를 펴는 힘을 다이나모미터(dynamomether,모델명 TKK-1858, 제조원 TAKEI, Japan)로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실험군의 경우 실험 시작 시점의 각근력의 평균치는 172.70± 40.90kg이였으며, 실험 종료 시점에는 187.30±41.36kg으로 나타나 실험 시작 시점에 비해 14.60kg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대조군의 경우 실험 시작 시점 각근력의 평균치는 187.20±37.23kg으로 나타났으며, 실험 종료 시점에는 190.90±33.49kg으로 나타나 실험 시작 시점에 비해 3.70kg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도 3). 이로부터 본 발명의 조성물을 공급한 경우의 각근력이 대조군에 비해 크게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ANOVA 테스트 결과, 처치시점에서 F=4.905*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 < .05).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섭취함으로써 각근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1-3) 본 발명의 조성물의 섭취에 따른 배근력의 변화
본 발명의 조성물의 섭취에 따른 배근력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즉, 본 발명의 조성물을 공급하기 전인 실험 시작 시점과 6개월간 공급한 후인 실험 종료 시점의 배근력을 측정하여 이를 비교하였다. 배근력은 다리를 펴고 있는 시작 위치에서 등을 들어올리는 힘을 다이나모미터(dynamomether,모델명 TKK-1858, 제조원 TAKEI, Japan)로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실험군의 경우 실험 시작 시점의 배근력의 평균치는 129.60±19.24kg이였으며, 실험 종료 시점에는 167.20±39.16kg으로 나타나, 실험 시작 시점에 비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조군의 경우에도 실험 시작 시점의 배근력의 평균치는 143.10±27.15kg이였으며, 실험 종료 시점에는 175.90±41.85kg으로 나타나 실험 시작 시점에 비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도 4).
ANOVA 테스트 결과, 처치시점에서 F=33.998*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 < .05). 그러나, 실험군과 대조군의 실험 시작 시점과 실험 종료 시점의 평균 기록이 두 군 모두에서 크게 증가한 것으로 보아 배근력의 증가는 본 조성물 자체의 효과라 보이지는 않으며, 실험군과 대조군을 6개월 동안 트레이닝한 효과로 판단되었다.
1-4) 본 발명의 조성물의 섭취에 따른 최대산소섭취량(VO2max)의 변화
최대산소섭취량(VO2max)의 변화는 단위시간당 최대산소섭취량(L/min)과 단위시간당 체중에 따른 최대산소섭취량(ml/kg/min)으로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섭취에 따른 최대산소섭취량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본 발명의 조성물을 공급하기 전인 실험 시작 시점과 본 발명의 조성물을 6개월간 공급한 후인 실험 종료 시점에서 실험군과 대조군의 최대산소섭취량의 변화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상기 최대산소섭취량은 1973년에 브루스가 제안한 프로토콜(Bruce, R. A. et al.,American Heart Journal, 85, 546-562, 1973)에 따라, 트레드밀의 경사와 스피드를 조절하면서 심폐기능 운동부하 검사기(Vmax 229, SensorMedic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트레드밀의 경사와 스피드는 첫 3분간 1.7mph, 10도 경사도에서 시작하여, 두 번째 단계에서는 2.5mph, 12도로, 세 번째 단계에서는 3.4mph, 14도로, 네 번째 단계에서는 4.2mph, 16도로, 그리고 다섯 번째 단계에서는 5.0mph, 18도로 운동 강도를 증가시켰으며, 더 이상 운동을 수행할 수 없을 때까지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의 유효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1) 최대심박수가 연령에 의한 최대심박수 예측치의 90% 이상; 2) 운동 자각도(Rating of Perceived Exertion; RPE)가 18 이상(Balke, B.,Arbeitsphysiol. 15, 311-321, 1954); 및 3) 호흡 교환율(Respiratory Exchange Ratio; RER)이 1.15 이상(Issekutz, B.,J. Appl. Physiol.17:1, 47-50, 1962)인 경우를 기준으로 하였다.
실험 결과, 단위시간당 최대산소섭취량(L/min)은 실험군의 경우 실험 시작 시점의 평균 측정치가 4.05±0.40L/m였으며, 실험 종료 시점에는 4.46±0.53L/min으로 나타나, 실험 시작 시점에 비해 0.41L/min 정도로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조군의 경우에 단위시간당 최대산소섭취량은 실험 시작 시점의 평균 측정치가 3.93±0.29L/min으로 나타났으며, 실험 종료 시점에는 4.11±0.38L/min으로 나타나 실험 시작 시점에 비해 0.18L/min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도 5).
ANOVA 테스트 결과, 처치시점에서 F=18.452*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 < .05). 즉, 본 조성물이 운동선수들의 단위시간당 최대산소섭취량을 증가시켜 유산소 운동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개체의 신체적 특징이 반영된 단위시간당 체중에 따른 최대산소섭취량 (VO2max: ml/kg/min)을 측정한 결과, 실험군의 경우 실험 시작 시점의 평균 측정치가 54.15±6.99ml/kg/min으로 나타났으며, 실험 종료 시점에는 59.12±6.08ml/kg/min으로 나타나 실험 시작 시점에 비해 4.97ml/kg/min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조군의 경우에는 실험 시작 시점의 평균값이 52.52±4.40ml/kg/min으로 나타났으며, 실험 종료 시점에는 55.17±4.17ml/kg/min으로 나타나 실험 시작 시점에 비해 2.65ml/kg/min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도 6).
상기 실험 결과를 ANOVA 테스트한 결과, 처치시점에서 F=18.047*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 < .05). 따라서, 단위시간당 체중에 따른 최대산소섭취량(VO2max: ml/kg/min)이 본 조성물을 섭취한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더 크게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효과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섭취에 따른 효과로 판단되었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조성물을 섭취한 실험군의 심폐기능이 대조군보다 크게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1-5) 본 발명의 조성물의 섭취에 따른 심박수의 변화
운동 중 에너지대사와 관련된 변인 중 하나인 심박수(heart rate: HR)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심박수의 변화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공급하기 전인 실험 시작 시점과 상기 조성물을 6개월간 공급한 후인 실험 종료 시점의 실험군과 대조군의 심박수를 측정한 후 이를 비교함으로써 조사하였다.
심박수의 변화는 상기 실험예 1-4)에서 최대산소섭취량을 측정한 다음 최소한 48시간이 경과한 후 각 피검자들을 다시 실험실에 방문시켜 측정하였다. 먼저상기 실험예 1-4)에서 측정한 각 개체의 최대산소섭취량에 근거하여 최대산소섭취량의 70%에 해당하는 트레드밀의 속도 및 경사도를 산출하였다. 최대산소섭취량의 70% 강도에서 30분간 트레드밀에서 운동을 한 후 1시간 동안 앉은 자세에서 회복을 취하도록 한 다음 휴식시, 운동 중 15분, 운동 직후, 회복기 15분, 회복기 30분 및 회복기 60분에 심박수 측정기(heart rate monitor)를 이용하여 심박수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실험군의 경우 실험 시작 시점의 평균 심박수는 휴식기에 62.90±6.23bpm, 운동 중 15분에 153.20±9.98bmp, 운동직후에 159.30±8.89bpm, 회복기 15분에 86.00±7.27bpm, 회복기 30분에 79.80±6.34bpm, 회복기 60분에 72.20±6.56bpm으로 나타났다. 실험 종료 시점의 평균 심박수는 휴식기에 62.60±7.55bpm, 운동 중 15분에 147.60±10.79bmp, 운동직후에 151.10±9.92bpm, 회복기 15분에 80.50±6.11bpm, 회복기 30분에 76.30±6.63bpm, 회복기 60분에 64.40±6.38bpm으로 나타나 실험 시작 시점에 비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조군의 경우 실험 시작 시점의 평균 심박수는 휴식기에 56.20±7.08bpm, 운동 중 15분에 149.40±13.36bmp, 운동직후에 151.60±5.46bpm, 회복기 15분에 75.00±8.84bpm, 회복기 30분에 70.20±7.89bpm, 회복기 60분에 60.70±7.59bpm으로 나타났다. 실험 종료 시점의 평균 심박수는 휴식기에 60.10±8.45bpm, 운동 중 15분에 146.00±11.73bmp, 운동직후에 148.70±11.50bpm, 회복기 15분에 75.00±11.23bpm, 회복기 30분에 68.40±11.80bpm, 회복기 60분에 62.70±8.41bpm으로 나타나, 실험 시작 시점과 비슷하거나 또는 약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도7).
ANOVA 테스트 결과, 본 발명의 조성물의 섭취 여부에 대해서는 F=4.836*로 나타났으며, 처치시점에 대하여는 F=5.245*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5).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섭취함으로써 운동 중이나 회복기의 심박수를 감소시켜 심장의 기능에 도움을 준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1-6) 본 발명의 조성물의 섭취에 따른 휴식기 혈중 콜레스테롤 함량 변화
본 발명의 조성물을 공급하기 전인 실험 시작 시점과 본 발명의 조성물을 6개월간 공급한 후인 실험 종료 시점의 실험군과 대조군의 혈액을 채취하여 혈중 총 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상기에서 혈액의 채취는 대조군과 실험군이 상기 실험예 1-5)의 휴식기 일 때 실시하였다. 상기 혈중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상업적으로 구입한 분석용 키트(R208영동 Cholesterol-R시약, KOREA) 및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 HITACHI 747 (HITACHI, Japan)를 사용하여 효소법으로 분석하였다. HDL-콜레스테롤 역시 분석키트(HDL-C, BOHRINGER MANNHEIM,독일)와 분광광도계(HITACHI 7150, HITACHI, Japan)를 사용하여 효소법으로 분석하였다. LDL-콜레스테롤은 분석키트(LDL-Cholesterol, Daichi사, Japan)를 이용하였으며 분석기기는 HDL-콜레스테롤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실험군과 대조군의 HDL-콜레스테롤(mg/dL) 측정치는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실험군의 경우 실험 시작 시점의 평균 측정치가 58.90±15.18mg/dL였으며, 실험 종료 시점의 평균 측정치가 64.50±16.27mg/dL로 나타나, 실험 시작 시점에 비해 5.60mg/dL가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대조군의 경우에는 실험 시작 시점의 평균 측정치가 52.30±12.69mg/dL였으며 실험 종료 시점에는 55.90±14.87mg/dL로 나타나 실험 시작 시점에 비해 소량 (3.60mg/dL)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도 8 및 표 2).
또한, LDL-콜레스테롤(mg/dL)의 함량도 대조군과 실험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실험군의 경우 실험 시작 시점의 평균 측정치가 87.40±20.00mg/dL였으며, 실험 종료 시점에는 86.60±mg/dL로 나타나 실험 시작 시점에 비해 0.80mg/dL 감소한 반면, 대조군은 실험 전에 79.50±22.47mg/dL였으며, 실험 후 84.20±21.67mg/dL로 나타나, 실험 시작 시점에 비해 오히려 4.70mg/dL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도 9 및 표 2).
마찬가지로 총 콜레스테롤(mg/dL)의 함량도 대조군과 실험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그러나, 실험군의 경우 실험 시작 시점의 평균 측정치가 168.10±29.03mg/dL였으며, 실험 종료 시점에는 164.60±32.75mg/dL로 나타나 실험 시작 시점에 비해 3.50mg/dL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대조군의 경우 실험 시작 시점의 평균 측정치가 149.60±27.75mg/dL였으며 실험 종료 시점에는 153.80±25.37mg/dL로 나타나, 실험 시작 시점에 비해 4.20mg/dL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도 10 및 표 2). 따라서, 본 조성물의 섭취가 혈중 콜레스테롤 감소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로부터, 대조군과 실험군과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섭취는 HDL-콜레스테롤(mg/dL)은 증가시키고 LDL-콜레스테롤 (mg/dL)과 총 콜레스테롤(mg/dL)은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혈중 콜레스테롤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조절하는데 기여할 수 있으며, 인체 내 지질대사에 큰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섭취에 따른 콜레스테롤 함량 변화
변 인 집 단 검 사
실험 시작 시점 실험 종료 시점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HDL-콜레스테롤(mg/dL) 실험군 58.90 15.18 64.50 16.27
대조군 52.30 12.69 55.90 14.87
LDL-콜레스테롤(mg/dL) 실험군 87.40 20.00 86.60 22.30
대조군 79.50 22.47 84.20 21.67
총 콜레스테롤(mg/dL) 실험군 168.10 29.03 164.60 32.75
대조군 149.60 27.75 153.80 25.37
1-7) 본 발명의 조성물의 섭취에 따른 혈중 글루코스, 유리 지방산, 인슐린, 헤마토크리트 및 헤모글로빈 함량의 변화
본 발명의 조성물의 섭취에 따른 혈중 글루코스, 유리 지방산(free fatty acid; FFA), 인슐린, 헤마토크리트(hematocrit) 및 헤모글로빈 함량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공급하기 전인 실험 시작 시점과 본 발명의 조성물을 6개월간 공급한 후인 실험 종료 시점에 실험군과 대조군의 피험자들을 실험예 1-5)와 동일한 방법으로 운동시킨 후 운동 전 휴식기, 운동 직후, 회복기 30분, 회복기 60분에 혈액을 채취하였다. 혈중 글루코스 함량을 분석키트를 사용하여 효소법에 의해 측정하였으며(사용키트: GLU, BOEHRINGER MANNHEIM, Germany, 분석기기: HITACHI 747, HITACHI, Japan), 유리 지방산 역시 분석키트를 사용하여 효소법(사용키트: SICDIA NEFAZYME, 영연화학주식회사. KOREA, 분석기기: HITACHI 7150, HITACHI, Japan)으로 측정하였다. 인슐린 함량은 RIA(Radio Immuno Assay)법으로 분석기기(Coat-A-Count Insulin, DPC Diagnostic products Co. U.S.A, 및 γ- counter, COBRA 5010 Quantum, PACKARD,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헤마토크리트 및 헤모글로빈 함량은 세포 카운터(Cell counter) 방법으로 분석키트(Isoton III, Beckman Coulter, U.S.A; Coulter clenz, Beckman Coulter, U.S.A; Lyse S III, Beckman Coulter, U.S.A; 4% sod. hypochloride-solution, Beckman Coulter, U.S.A; 4C-plus, Beckman Coulter, U.S.A; Scatter Pak, Beckman Coulter, U.S.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실험군의 혈중 글루코스 함량은 실험 시작 시점의 휴식기에 평균 84.00±10.20mg/dL, 운동직후 87.40±12.49mg/dL, 회복기 30분 83.40±13.44mg/dL,회복기 60분 82.50±5.19mg/dL로 나타났으며, 실험 종료 시점의 휴식기에 84.70±12.04mg/dL, 운동직후 71.60±11.35mg/dL, 회복기 30분 88.40±19.14mg/dL, 회복기 60분 81.60±9.30mg/dL로 나타나 실험 시작 시점에 비해 회복기의 글루코스의 회복량이 빠르게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대조군의 혈중 글루코스 함량은 실험 시작 시점의 휴식기에 평균 77.60±17.78mg/dL, 운동직후에 81.70±8.72mg/dL, 회복기 30분에 83.60± 4.35mg/dL, 회복기 60분에 82.10±11.96mg/dL로 나타났으며, 실험 종료 시점의 휴식기에 88.50±21.18mg/dL, 운동직후에 75.80±7.18mg/dL, 회복기 30분에 79.10±6.77mg/dL, 회복기 60분에 79.70±9.24mg/dL로 나타났다(도 11 및 표 3).
유리 지방산 함량은 실험 초기 시점과 종료 시점에서 각각 동일한 운동을 실시 한 후, 휴식기, 운동직후, 회복 30분, 회복 60분에 측정한 결과, 실험군의 경우 실험 초기 시점에 비해 실험 종료 시점에 각 운동 시점의 유리 지방산 함량이 다소 낮게 나타났으며, 대조군의 경우 실험 초기 시점과 실험 종료 시점에 유리 지방산 함량이 다소 높은 경향이 있었으나 조성물 섭취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인슐린 함량은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실험 초기 시점에 비해 실험 종료 후에 증가되었으며, 운동직후 급격히 감소하였다가 회복기에 서서히 증가하였으나 조성물 섭취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헤마토크리트 및 헤모글로빈 수치는 대조군과 실험군간에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운동시점에 따라서도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섭취에 따른 운동 중 혈중 글루코스, 유리 지방산, 인슐린, 헤마토크리트 및 헤모글로빈 함량의 변화
구분 시점 실험군실험 초기 시점 실험군실험 종료 시점 대조군실험 초기 시점 대조군실험 종료 시점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글루코스(mg/dL) 휴식기 84.00 10.20 84.70 12.04 77.60 7.78 88.50 21.18
운동직후 87.40 12.49 71.60 11.35 81.70 8.72 75.80 7.18
회복30분 83.40 13.44 88.40 19.14 83.60 4.35 79.10 6.77
회복60분 82.50 5.19 81.60 9.30 82.10 11.96 79.70 9.24
유리 지방산(μEq/L) 휴식기 344.80 133.39 234.30 217.12 193.60 157.10 190.20 127.00
운동직후 472.80 304.98 263.50 152.32 281.70 187.88 369.70 244.26
회복30분 461.40 166.50 344.90 213.15 319.60 209.84 390.20 259.10
회복60분 441.70 156.74 291.50 198.29 261.20 229.99 342.60 223.58
인슐린(μIU/mL) 휴식기 9.38 13.60 16.21 14.38 8.60 5.50 18.13 14.71
운동직후 2.31 1.64 2.40 1.55 2.88 2.66 2.70 1.55
회복30분 6.04 8.30 10.83 10.67 6.08 6.10 7.60 4.99
회복60분 3.56 2.56 6.58 5.66 5.17 2.45 5.39 2.56
헤마토크리트(%) 휴식기 45.00 2.54 47.40 2.76 44.80 3.22 46.20 2.74
운동직후 47.50 2.42 50.20 2.94 47.30 3.71 49.90 2.51
회복30분 40.80 13.10 47.10 3.45 45.10 4.28 47.00 3.53
회복60분 44.10 3.31 47.00 3.68 45.40 4.27 47.50 2.80
헤모글로빈(g/dL) 휴식기 15.06 0.93 15.09 0.95 14.93 1.22 14.95 0.97
운동직후 15.88 0.81 15.78 0.98 15.84 1.31 15.70 0.84
회복30분 14.96 0.87 15.08 1.21 14.99 1.33 15.09 1.00
회복60분 15.19 0.96 15.02 1.00 15.02 1.46 15.09 0.98
상기 측정된 글루코스 함량을 운동시점(운동 전 및 운동 후), 처치시점(실험 시작 시점과 실험 종료 시점) 및 본 발명의 조성물의 섭취 여부를 동시에 고려하여 ANOVA 테스트한 결과, F=4.715*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5).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회복기 글루코스 회복량 (glucose uptake)을 빠르게 증가시킴으로써 운동 선수들의 과도한 운동 후 선수들의 피로 회복을 촉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장기간 섭취시 심폐기능의 발달 및 근력 향상 효과가 있어서 운동선수의 체력 및 운동능력 증진에 유용하며 운동 후 회복기의 혈중 글루코스 회복량을 빠르게 증가시켜 운동선수의 피로회복을 촉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현미, 발아현미, 차조, 수수, 율무, 백태, 검은깨, 현미찹쌀, 흑향미 및 보리로 이루어진 곡류 혼합물 35∼50중량%;
    케일, 당근, 우엉, 늙은호박, 무, 무청, 더덕, 신선초, 양배추, 돌미나리, 쑥, 솔잎 및 유자로 이루어진 과채류 혼합물 45∼60중량%;
    김, 미역 및 다시마로 이루어진 해조류 혼합물 0.1∼5중량%; 및
    표고버섯 및 영지버섯으로 이루어진 버섯류 혼합물 0.1∼0.5중량%로 이루어진 운동수행능력 증강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류 혼합물은 현미 50∼70중량%, 발아현미 10∼30중량%, 차조 1∼5중량%, 수수 1∼5중량%, 율무 1∼5중량%, 백태 1∼5중량%, 검은깨 0.1∼1중량%, 현미찹쌀 0.05∼0.2중량%, 흑향미 0.05∼0.2중량% 및 보리 0.05∼0.2중량%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수행능력 증강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채류 혼합물은 케일 15∼25중량%, 당근 1∼5중량%, 우엉 1.5∼2.5중량%, 늙은호박 50∼60중량%, 무 5∼10중량%, 무청 2∼5중량%, 더덕 0.1∼0.5중량%, 신선초 1∼5중량%, 양배추 1∼5중량%, 돌미나리 5~10중량%, 쑥 0.1∼0.2 중량%, 솔잎 0.01∼0.03중량% 및 유자 0.001∼0.003중량%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수행능력 증강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조류 혼합물은 김 5∼10중량%, 미역 35∼45중량% 및 다시마 45∼55중량%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수행능력 증강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섯 혼합물은 표고버섯 60∼80중량% 및 영지버섯 20∼40중량%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수행능력 증강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현미 62중량%, 발아현미 20중량%, 차조 4중량%, 수수 4.7중량%, 율무 3.2중량%, 백태 4.5중량%, 검은깨 1중량%, 현미찹쌀 0.2중량%, 흑향미 0.2중량% 및 보리 0.2중량%로 이루어진 곡류 혼합물 44중량%;
    케일 19중량%, 당근 3중량%, 우엉 2중량%, 늙은호박 54중량%, 무 7중량%, 무청 2.4중량%, 더덕 0.4중량%, 신선초 3중량%, 양배추 3.5중량%, 돌미나리 5.5중량%, 쑥 0.18중량%, 솔잎 0.018중량% 및 유자 0.002중량%로 이루어진 과채류혼합물 55.3중량%;
    김 7중량%, 미역 38중량% 및 다시마 55중량%로 이루어진 해조류 혼합물 0.5중량%; 및
    표고버섯 70중량% 및 영지버섯 30중량%로 이루어진 버섯류 혼합물 0.2중량%로 이루어진 운동수행능력 증강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7. 제1항의 조성물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알파현미분말 10 내지 50 중량부, 맥주효모 0.5 내지 3 중량부, 유산균분말 0.05 내지 0.3 중량부, 스피루리나 0.1 내지 0.5 중량부, 올리고당 5 내지 20 중량부, 나한과추출분말 0.05 내지 0.3 중량부, 식용해조분 0.2 내지 1 중량부, 비타민, 미네랄류 0.2 내지 1 중량부 및 과당 0.5 내지 3 중량부의 양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수행능력 증강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20030038486A 2003-06-14 2003-06-14 운동수행능력 증강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200401078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8486A KR20040107847A (ko) 2003-06-14 2003-06-14 운동수행능력 증강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8486A KR20040107847A (ko) 2003-06-14 2003-06-14 운동수행능력 증강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7847A true KR20040107847A (ko) 2004-12-23

Family

ID=37381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8486A KR20040107847A (ko) 2003-06-14 2003-06-14 운동수행능력 증강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0784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2001B1 (ko) * 2011-05-24 2013-01-15 (주)휴벳 지구력 향상용 혼합곡 식품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구력 향상용 건강기능식품
KR20180000036A (ko) * 2016-06-21 2018-01-02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비환원성 말단의 불포화형 만뉴론산 올리고당(OligoM)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운동 능력 개선용 조성물
CN107927747A (zh) * 2017-11-16 2018-04-20 湖州每天果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减肥功能的果蔬谷物代餐食品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2001B1 (ko) * 2011-05-24 2013-01-15 (주)휴벳 지구력 향상용 혼합곡 식품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구력 향상용 건강기능식품
KR20180000036A (ko) * 2016-06-21 2018-01-02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비환원성 말단의 불포화형 만뉴론산 올리고당(OligoM)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운동 능력 개선용 조성물
CN107927747A (zh) * 2017-11-16 2018-04-20 湖州每天果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减肥功能的果蔬谷物代餐食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larkson Minerals: exercise performance and supplementation in athletes
CN101292697B (zh) 一种运动营养糖果
Van Erp-Baart et al. Nationwide survey on nutritional habits in elite athletes. Part II. Mineral and vitamin intake
CN110326782A (zh) 一种具有减肥功效的营养代餐及其制备方法
Mironenko et al. Magnesium (Mg, Magnesium)–description, effect on the body, the best sources of magnesium
CN105454967A (zh) 一种减缓运动疲劳或提高运动能力的组合物及其运动饮料
KR102396152B1 (ko) 간편식 영양균형 건강식품
KR101107848B1 (ko) 고령자용 기능성 면 및 이의 제조방법
US6008252A (en) Method for increasing muscle mass in a mammal
Okoye et al. Evaluation of nutritional and organoleptic properties of maize-based complementary foods supplemented with black bean and crayfish flours
Bhardwaj et al. Product development, nutrient and sensory analysis of sports drink based on chia seeds (Salvia hispanica L.)
Volpe et al. Vitamins, minerals, and sport performance
Iyer Uma et al. Glycemic and lipemic responses of selected spirulina-supplemented rice-based recipes in normal subjects
Abraham et al. Effect of crayfish inclusion on the 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ogi prepared from maize, millet and sorghum
KR0180453B1 (ko) 다이어트 영양조성물
KR20040107847A (ko) 운동수행능력 증강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CN113854565A (zh) 一种增肌且缓解疲劳的蛋白棒及其制备方法
KR20050115017A (ko) 비만억제 효능을 갖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35600A (ko) 가르시니아 캄보지아를 이용한 다이어트식품 제조방법
Żyła et al. Assessment of dietary intake and anthropometric parameters among rugby union players
Nichole Dandrea-Russert The Vegan Athlete's Nutrition Handbook: The Essential Guide for Plant-Based Performance
Bachl et al. Sport nutrition
Vogel The Effect of the Glycemic Index on Endurance Performance
Naiknaware et al. Nutritional Status and Diet of Female Athletes
Labrosse et al. The effects of a recommended dose of a pre-workout supplement on anaerobic perform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0909

Effective date: 20060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