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5017A - 비만억제 효능을 갖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비만억제 효능을 갖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5017A
KR20050115017A KR1020040040242A KR20040040242A KR20050115017A KR 20050115017 A KR20050115017 A KR 20050115017A KR 1020040040242 A KR1020040040242 A KR 1020040040242A KR 20040040242 A KR20040040242 A KR 20040040242A KR 20050115017 A KR20050115017 A KR 20050115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extract
powder
composition
functional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0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원국
김동우
이선영
한대석
김영언
김인호
이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바이오테크놀러지
한국식품연구원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바이오테크놀러지, 한국식품연구원,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바이오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1020040040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15017A/ko
Publication of KR20050115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501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20Reducing nutritive value; Dietetic products with reduced nutritive valu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5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20Reducing nutritive value; Dietetic products with reduced nutritive value
    • A23L33/21Addition of substantially indigestible substances, e.g. dietary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30Encapsulation of particles, e.g. foodstuff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32Citr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4T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8Yeas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60Sugars, e.g. mono-, di-, tri-, tetra-saccharides
    • A23V2250/64Sugar alcohols
    • A23V2250/6422Xylito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A23V2250/704Vitamin B
    • A23V2250/7052Vitamin B6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A23V2250/708Vitamin C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지방 및 체중 감량 효과를 갖는 비만억제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소화효소 억제 작용이 있는 차전자피(Psyllium Husk), 콜레스테롤 억제 작용이 있는 폴리만뉴로네이트(polymannuronate), 장의 연동운동을 촉진하는 바이오셀룰로오스, 탄수화물 소화 흡수에 있어 필수적인 효소인 알파 글루코시다제의 작용을 저해하여 체내 포도당의 흡수를 억제하는 포도씨 추출물 및 체지방분해와 지방합성을 저해하는 가르시니아 캄보지아(HCA)을 필수성분으로 포함하므로,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식품을 섭취하고자하는 욕구를 만족시키면서 소화효소의 작용을 억제하고 배변효과를 향상시키며 영양성분의 흡수를 억제하여 체지방 및 체중 감량에 효과적인 비만억제용 제제로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비만억제 효능을 갖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Functional Food Composition having obesity control effect and the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체지방 및 체중 감량 효과를 갖는 비만억제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비만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영양장애 중의 하나로써, 비만은 소모하는 열량에 비해 과다한 열량을 섭취함으로써 여분의 열량이 체내에 지방의 형태로 축적되어지는 현상을 말한다. WHO 통계자료에 의하면 현재 2억5천여 만 명의 인구가 비만 환자로 분류되며, 20년 후에는 약 3억의 인구가 비만으로 고통 받을 것으로 예측된다. 미국 성인의 약 50%가 BMI≥ 25인 과체중 또는 비만으로 나타났으며, 최근의 국내 통계자료에서도 성인 4명중 1명의 체질량지수가 25 이상의 비만인으로 보고되어 있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Report on 1998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2000; Lee BG., et al., J. Kor. Soc. Study Obesity, 11(2), pp131-140, 2002).
비만은 유전적 영향, 서구화되는 식생활에 의한 환경적인 영향, 스트레스에 의한 심리적인 영향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유발되어지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으나 아직 그 정확한 원인이나 기작에 관해서는 명확히 정립된 바가 없는 상황이다. 그러나 비만은 비만 그 자체가 갖는 문제점뿐만 아니라, 심혈관계 질환이나 당뇨와 같은 질병의 원인으로도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Manson, et al., New England J. Med., 333, pp677-685, 1995; Kopleman PG., Nature, 404, pp635-643, 2000; Must, et al., JAMA, 282, pp1523-1529, 1999) 전 세계적으로 비만치료에 많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또한, 비만은 외형적인 문제 뿐 아니라 각종 성인병의 발병과 매우 깊은 관련을 갖는데, 비만도가 높아질수록 당뇨병과 담석증, 고혈압, 심장질환 및 뇌졸중 등의 유병율이 증가된다(Field AE., et al., Arch. Intern, Med,. 161(13), pp1581-1586, 2001; Cha BR., et al., Kor. J. Nutr., 36(5), pp483-490, 2003). 따라서 비만으로 야기되는 재정적 부담과 인명적 손실은 막대하다. 미국에서 행해진 역학조사결과에 의하면 1991년 비만과 관련된 질병에 의한 사망자가 28만명이며, 이들의 약 80%가 BMI≥30인 고도 비만자이고, 한해에 약 120조원이 비만 관련 질병의 치료에 소모되었음을 나타냈다.
이와 같이 체중조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20대 여성의 48.1%, 30대 여성의 40%가 지난 1년간 체중감량 시도를 한 경험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Kae SH., Patterns of body weight and diet for Korean-1998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Proceeding for Korean Cummunity Nutrition., Society spring Conference, 7-28, 2001). 국내 다이어트 시장 규모는 급속한 속도로 성장하여 2001년에는 2000억원, 2002년에는 3000억원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정상가격으로 수입 승인된 체중 조절 식품이 최근 2년 사이 무려 110배나 증가한 것으로 발표했다. 그러나 이러한 제품들이 효과면에서 문제가 되고 있고, 사용기간 중 부작용이 많이 보고되고 있다(Lee BG., et al., J. Kor. Soc. Study Obesity, 11(2), pp131-140, 2002; Food and environment., 2002. 9. 18).
한편 비만 치료를 위한 다양한 방법들과 연구결과들이 제시되고 있는데, 비만은 에너지의 과다한 섭취 또는 소모량의 감소로 잉여 에너지가 체내에 축적되는 것이므로 비만을 치료하고 적절한 체중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근본적으로 생활습관의 개선을 요한다(Lee BG., et al., J. Kor. Soc. Study Obesity, 11(2), pp131-140, 2002; Wadden TA., et al., arch. of Intern. Med., 161, pp218-27, 2001). 생활습관을 개선하는 과정에서 저열량 식사요법은 기초대사율을 상회하는 열량을 섭취하게 함으로써 제지방과 기초대사율감소를 예방할 수 있다는 이론적 근거를 가지고 있다(Kang JH., et al., J. Kor. Acad. Fam. Med., 19(2), pp167-176, 1998). 한편 식이요법과 더불어 비만치료의 또 하나의 축은 운동요법이다. 규칙적인 운동이 체중조절에 유익하다는 것은 확립된 사실이지만, 저열량 식사요법의 병행이 체중조절에 추가적인 효과가 있는지는 연구에 따라 상반된 결과를 보인다(Moyer CL., et al., Am. J. clin. Nutr., 50, pp1324-327, 1989; Donnelly JE., et al., Am. J. clin. Nutr., 54, pp56-61, 1991). 또한 여러 식품의 생체조절기능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비만분야에서도 홍삼, 알로에, 하이드록시시트레이트(hydroxycitrate,HCA), 플라보노이드(flavonoid), 카르니틴(carnitine), 키토산(chitosan), 캡사이신(capsaicin) 등의 다양한 식품소재를 이용한 체중감량효과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Oh SJ., et al., J. Kor. Soc. Study Obesity, 9, pp209-218, 2000; Lee HY., J. Kor. Soc. Study Obesity, 6, pp75-84, 1997; Moon SJ., et al., Korean J. Nutrition, 30, pp155-169, 1997).
이에 본 발명자는 한국인의 비만 해소에 적합하며 의약품보다 규제가 엄격하지 않아 시간과 연구비 측면에서 유리한 비만 억제용 천연첨가물을 이용한 다이어트 제품의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 그 효용성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전자피(Psyllium Husk), 폴리만뉴로네이트(polymannuronate), 바이오셀룰로오스, 포도씨 추출물 및 가르시니아 캄보지아(HCA)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지방 및 체중 감량 효과를 갖는 비만억제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차전자피(Psyllium Husk), 폴리만뉴로네이트(polymannuronate), 바이오셀룰로오스, 포도씨 추출물 및 가르시니아 캄보지아(HCA)를 필수적으로 함유하는 비만억제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필수 성분 이외에 추가적으로 글루카젠효모 추출물, 효모 추출물, 건조효모, 과라나 추출분말, 녹차 추출분말, 나한과 추출분말, 자일리톨, 한약 엑기스, 아우론 에이어자임, 비타민 C, 비타민 B6, 수산화 마그네슘, 씨트러스 바이오플라보노이드, 구연산, 레몬라임맛 분말, 결정셀룰로오스, 유당 및 옥수수 전분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을 함유한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차전자피는 소화효소 억제 작용이 있고, 폴리만뉴로네이트는 콜레스테롤 억제 작용이 있으며, 바이오셀룰로오스는 장의 연동운동 촉진 작용이 있고, 포도씨 추출물는 체내 포도당 흡수 억제 작용이 있으며, 가르시니아 캄보지아(HCA)는 체지방 분해와 지방합성 저해 작용이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포만감 충족, 소화효소 작용 억제, 배변효과 향상 및 영양성분 흡수 억제로 인한 체지방 및 체중 감량 효과를 갖음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상기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필수 성분으로써 차전자피 20-60 중량 %, 폴리만뉴로네이트 1-20 중량 %, 바이오셀룰로오스 0.1-10 중량 %, 포도씨추출물 0.1-5 중량 % 및 가르시니아 캄보지아(HCA) 1-20 중량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필수 성분 이외에 추가적으로 글루카젠효모 추출물 1-20 중량 %, 효모 추출물 1-20 중량 %, 건조효모 0.1-10 중량 %, 과라나 추출분말 0.1-10 중량 %, 녹차 추출분말 0.1-10 중량 %, 나한과 추출분말 0.1-10 중량 %, 자일리톨 0.1-20 중량 %, 한약 엑기스 0.1-20 중량 %, 아우론 에이어자임 0.1-10 중량 %, 비타민 C 0.1-20 중량 %, 비타민 B6 0.01-10 중량 %, 수산화 마그네슘 0.01-10 중량 %, 씨트러스 바이오플라보노이드 0.1-10 중량 %, 구연산 0.1-10 중량 %, 레몬라임맛 분말 0.1-10 중량 %, 결정셀룰로오스 0.1-20 중량 %, 유당 0.1-30 중량 % 및 옥수수 전분 0.1-20 중량 %로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건강을 위한 식품, 음료, 또는 음료첨가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기능성 조성물은 식품 총 중량에 대하여 0.01 % 내지 10 중량 %로 물에 혼합하여 체지방 및 체중 감량 효과를 갖는 비만억제용 제제로써, 분말, 과립(Granule), 정제, 연질 또는 경질 캡슐, 드롭프스, 티백 또는 음료의 제형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과립형 제제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체지방 및 체중 감량 효과를 갖는 비만억제용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캔디, 과자류,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기능 식품류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성분을 함유하는 것 외에는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 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류, 광물(전해질), 식이성분,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주스 및 과일 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요쿠르트 등의 유산균 제제 음료 또는 페이스트 등의 혼합제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전자피, 폴리만뉴로네이트, 바이오셀룰로오스, 포도씨 추출물 및 가르시니아 캄보지아(HCA)는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전자피, 폴리만뉴로네이트, 바이오셀룰로오스, 포도씨 추출물 및 가르시니아 캄보지아(HCA)를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은 체지방 및 체중 감량을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에 본 발명의 상기 식품 조성물의 양은 일반적으로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30 중량 %로 가할 수 있으며, 음료 조성물에는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30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본 발명의 식품조성물을 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차전자피, 폴리만뉴로네이트, 바이오셀룰로오스, 포도씨 추출물 및 가르시니아 캄보지아(HCA) 등의 천연첨가제를 필수적으로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과·제빵류, 면류, 두부, 육가공류, 김치를 포함한 발효식품 등의 식품가공 생산 공정 과정이나 완제품 상에 5 내지 50,000 ppm의 농도로 첨가함으로써, 제품의 보존기간을 연장하고, 부패를 방지하며 유통기한을 연장시킬 수 있는 천연보존료 기능을 갖는 식품첨가물을 또한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식품첨가제를 식품에 대한 살균제, 향신료, 조미제,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 또는 식품소재의 필수원료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첨가제의 이용방법을 제공한다.
이 때 식품첨가제는 식품을 침지, 분무 또는 혼합하여 상기 식품에 첨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01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식품은 과일, 야채, 과일이나 야채의 건조제품이나 절단제품, 과일주스, 야채주스, 이들의 혼합주스이거나 산성음료수를 포함하는 음료류, 쿠키, 사탕, 카라멜, 껌 등과 같은 제과류, 제빵류, 아이스크림 제품류, 다(茶)류, 요구르트와 같은 발효유식품, 유가공식품, 양념류, 주류, 통조림 또는 병조림류, 면류, 축산 가공식품, 수산가공식품, 미생물발효식품, 두류식품, 곡류식품, 육가공류, 감초류, 허브류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체지방 및 체중 감량의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열량 섭취 제한용 식사대용식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상기 식사대용식은 현미 10-40 중량 %, 알파현미분말 10-40 중량 %, 옥수수분말 1-20 중량 %, 소나무 추출물 0.01-10 중량 %, 효모 추출물 0.01-10 중량 %, 율무 0.1-10 중량 %, 차조 0.1-10 중량 %, 솔잎 0.1-10 중량 %, 쑥 분말 0.01-10 중량 %, 스피루나 0.01-10 중량 %, 프락토올리고당 1-20 중량 %, 천일염 0.01-10 중량 %, 결정과당 0.1-20 중량 %, 차가버섯 분말 0.01-10 중량 %, 누룽지 0.1-10 중량 %, 분리대두단백 0.1-10 중량 %, 치커리식이섬유 0.1-20 중량 %, 땅콩맛 분말 0.1-20 중량 %, 가시오가피 추출분말 0.01-10 중량 %, 당근 0.01-10 중량 %, 양배추 0.01-10 중량 %, 신선초 0.01-10 중량 %, 호박 0.01-10 중량 %, 검정콩 0.01-10 중량 %, 검정깨 0.01-10 중량 %, 표고 0.01-20 중량 %, 다시마 0.1-20 중량 %, 보리 0.1-20 중량 %, 아오론레이어자임 0.01-10 중량 %, 유산균 분말 0.01-10 중량 %, 산사자 추출분말 0.01-10 중량 %, 토사자 추출분말 0.01-10 중량 %, 오미자 추출분말 0.01-10 중량 %, 복분자 추출분말 0.01-10 중량 %, 구기가 추출분말 0.01-10 중량 %, 산수유 추출분말 0.01-10 중량 %, 당귀 추출분말 0.01-10 중량 %, 인진쑥 추출분말 0.01-5 중량 %, 숙지황 추출분말 0.01-5 중량 %, 감초 추출분말 0.01-10 중량 % 및 계피 추출분말 0.01-10 중량 %로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식사대용식은 열량 섭취량을 일부 제한하여 체지방 및 체중 감량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열량 섭취 제한용 식사대용식으로써, 분말, 과립, 정제, 연질 또는 경질 캡슐제 또는 드롭프스의 제형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분말형 제제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조예
본 발명의 비만억제용 제제는 차전자피, 폴리만뉴로네이트, 바이오셀룰로오스, 포도씨 추출물 및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HCA, Hydroxy Citric Acid)등의 식이섬유가 80 % 정도 함유되고, 캡사이신(capsicine) 등 비만억제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성분들과 비타민과 무기질, 그리고 췌장 아밀레이즈 저해제 등으로 조성된 과립형 제제이다(표 1 참조).
식사대용식인 분말식이는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곡류, 채소 및 두류 등을 혼합하여 총 140 kcal의 열량을 낼 수 있도록 제조되었다.
본 조성물 및 식사대용식은 하기와 같은 제조공정으로 제조되었다.
제조공정
1)원료 : 상기 원료를 자체규격검사를 거쳐 적합품에 한하여 원료로 사용한다.
2)칭량 : 미량원료(0.01g-3100g)는 정밀전자저울을 이용하고, 그 외의 원료(1kg-60kg)는 전자저울로 각각 칭량한다.
3)혼합 : 칭량한 원료를 더블콘혼합기에 투입한 후 60분간 20-25rpm으로 혼합한다.
4)정립 : 혼합된 원료를 정립기에 투입하고 메쉬망을 이용하여 일정한 크기로 정립한다.
5)포장 : 정립된 분말을 사면포장기를 이용하여 포장(히터예열(상,하) 120℃, 냉각 -5℃)한 후 케이스에 포장한다.
6)검사 : 건강기능식품 기준규격에 의한 검사를 실시한다.
실험대상자들에게 투여한 비만억제 효과를 갖는 비만억제용 제제와 식사대용식의 조성은 표 1 및 표 2와 같으며, 본 조성물은 하기의 임상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성분 %
폴리만뉴로네이트 5.5
바이오셀룰로오스 1.0
차전자피 45.5
포도씨추출물 1.0
HCA 4.0
글루카젠효모 추출물 3.0
효모 추출물 2.0
건조효모 1.0
과라나 추출분말 1.5
비타민C 0.5
비타민B6 0.1
수산화마그네슘 0.5
씨트러스 바이오플라보노이드 2.0
녹차추출분말 2.5
나한과 추출분말 1.0
자일리톨 4.0
한약엑기스 1.0
아우론 레이어자임 2.5
구연산 0.4
레몬라임맛 분말 1.5
결정셀룰로오스 4.5
유당 10.0
옥수수전분 5.0
성분 % 성분 %
현미(국산) 21.00 스피루나(중국산) 0.45
알파현미분말(국산) 24.50 프락토올리고당 11.00
옥수수분말(수입) 3.00 천일염 0.30
소나무추출물 0.15 결정과당 6.00
효모추출물 0.25 차가버섯분말 0.10
율무(수입) 1.00 누룽지(국산) 2.05
차조(국산) 1.00 분리대두단백(수입) 1.25
수수(국산) 1.00 치커리식이섬유 6.00
솔잎(국산) 1.00 땅콩맛분말(국산) 3.50
쑥분말(국산) 0.50 가시오가피추출분말 0.90
당근(국산) 0.50 산사자추출분말 0.135
양배추(국산) 0.30 토사자추출분말 0.135
신선초(국산) 0.20 오미자추출분말 0.135
호박(수입) 1.00 복분자추출분말 0.90
검정콩(국산) 1.00 구기자추출분말 0.90
검정깨(국산) 1.00 산수유추출분말 0.585
표고(국산) 0.30 당귀추출분말 0.315
다시마(국산) 3.00 인진쑥추출분말 0.09
보리(국산) 3.00 숙지황추출분말 0.045
아우론레이어자임(국산) 1.00 감초초출분말 0.18
유산균분말 0.15 계피추출분말 0.18
임상예 1. 실험대상자 선정
인터넷과 전단 공고를 통하여 비만 치료를 원하는 20세 - 50세 미만의 여성 자원자를 모집하여 신체계측과 인터뷰(interview)를 통하여 BMI 25이상이며 아래의 제외기준에 해당되지 않는 여성을 선별하여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면담을 통하여 실험대상자들의 일반적인 인적사항, 신체상황, 생리상태, 운동상태, 식습관 및 배변상황을 조사하고 연구의 목적과 진행과정, 부작용의 가능성에 대해 충분히 설명하였다. 복용 시험을 시작하는 날 선정된 피험자들에 대하여 신체계측을 행하고 공복상태에서 채혈을 하였으며 평소의 식품섭취 실태를 조사하였고, 하기의 제외기준을 적용하여 실험대상자를 선정하였다.
제외기준
1) 이뇨제를 복용하고 있는 고혈압 환자
2) 경구혈당강하제, 인슐린을 사용하는 당뇨환자
3) 심장, 신장, 간, 갑상선, 뇌혈관 질환자4) 위장관계, 통풍, 포피리아 질환자
5) 정신질환자
6) 항우울제, 식욕억제제, 피임약, 스테로이드 제제, 여성호르몬제 복용자
7) 임신이나 수유중인자
8) 연구 시작일부터 3개월 이내에 상업적인 비만 프로그램에 참여하였거나 다이어트 식품을 복용한 경우
상기의 과정을 통하여 선정된 실험대상자들은 총 15명이었으며 실험에 끝까지 참여한 대상자는 총 14명이었다. 이중 1명은 알레르기 및 복통을 일으켜 실험을 중단하였다. 실험대상자들 중 규칙적인 운동을 한 대상자는 8명이었으며, 이들의 초기 특성은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았다.
계측항목 실험대상자
인원수 14
나이(year) 37.2±7.5
체중(kg) 70.5±3.6
BMI(kg/m2) 28.0±1.7
W/H 비율 0.8±0.04
체지방율(%) 37.3±3.3
체지방량(kg) 26.2±2.9
수축기 혈압(mmHg) 118.9±11.8
이완기 혈압(mmHg) 75.7±11.1
임상예 2. 본 발명의 조성물의 복용 방법
실험은 2004년 1월 12일부터 3월 13일 까지 9주간 시행되었고, 실험기간 동안 약 500 kcal 정도의 가벼운 한식 위주의 식사를 권유하였고, 상기 실시예 1의 비만억제용 제제는 하루에 두 번 식사하기 30분전에 섭취하도록 하여 식전 포만감을 유도하였으며, 상기 실시예 1의 식사대용식은 1일 열량 섭취량을 일부 제한하고자 하루에 1번 일상 식사를 대신하여 섭취하도록 하였고, 나머지 2번은 평상시와 같이 섭취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실험대상자가 평상시 어느 한 끼를 주로 거르는 경우는 식사대용식을 점심이나 저녁 중 한 끼를 대치하도록 하여 평상시의 일일 열량 섭취량보다 다소 적은 량을 섭취하도록 하였다. 또한, 걷기, 수영, 에어로빅 등의 유산소 운동을 1주일에 3회 이상, 1회 시 약 300 kcal가 소비될 정도의 운동을 권유하였다.
임상예 3. 체중, 체지방율 및 신체계측치의 변화 측정
실험대상자들은 실험 실시 후 3 주에 한 번씩 연구소에 방문하게 하여 매 방문 시 마다 혈압, 신체계측, 체지방 측정을 실시하였고, 복용시의 부작용이나 기타 문제점들에 대해 조사하였다. 시험 종료 시에는 다시 한 번 공복 시 채혈을 실시하였다.
3-1. 신체계측
신장과 체중은 전자신장계(파닉스, 서울, 대한민국)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신체계측은 매번 일정한 시간에 측정하도록 하였고 식사 전에 가벼운 복장으로 측정하도록 하였고 신장은 0.1cm, 체중은 0.1kg 이내로 측정하여 수치를 기재하고 BMI와 비만도를 산출하였다. 허리둘레와 엉덩이 둘레는 줄자를 사용하여 동일한 연구자가 측정하였으며, 허리(waist)/엉덩이(hip)(W/H) 비율(ratio)을 산출하였다. 신체조성은 체성분 분석기인 인바디(Inbody) 3.0(바이오스페이스, 서울, 대한민국)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체지방량, 체지방률, 제지방량(lean body mass), 체수분량 및 복부지방률을 산출하였다.
3-2. 식이 섭취조사
일일 섭취 열량과 영양소에 대한 분석을 위해서 일주일에 3회 식사일기를 기록하게 하여 연구자에게 매주 온라인으로 보내도록 하였으며 검토 후 부족한 기재 내용은 전화나 면담을 통한 인터뷰로 보완하도록 하였다. 수집된 식단은 한국영양학회에서 제작한 영양평가 프로그램 캔-프로 버전 2.0(Can-pro version 2.0)을 사용하여 영양소를 분석하였다.
상기 과정을 통하여 체중, 체지방율 및 신체계측치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체중과 BMI,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체지방량 및 체지방률은 모두 비만억제용 제제 섭취 후 3주째부터 유의적으로 감소되기 시작하여 9주 째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실험대상자의 초기와 9주 후의 체중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최대 6.9kg에서 최소 2.0kg가 감소하였으며 BMI의 차이는 최대 2.6에서 최소 0.8까지 감소되었다. 9주 동안 평균 체중 변화는 4.0±1.6kg이 감소하였으며 BMI는 1.6±0.6 감소하였다. 허리둘레가 가장 많이 감소한 경우는 10.7cm에서 적게는 2.2cm로, 모든 대상자에서 감소하였으며 평균 감소치는 7.1±2.5cm였다. 엉덩이 둘레의 감소 폭은 허리둘레의 감소 폭에 비해 다소 적었지만 비만억제용 제제 복용 기간 동안 모든 대상에서 3.4 - 7.8cm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고, 평균 감소치는 5.1±1.3cm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허리둘레와 엉덩이둘레가 동시에 감소됨으로 인하여 허리/엉덩이비율이 매 측정시기마다 유의적으로 감소하지는 않았으나, 그 평균값은 꾸준히 감소하여 9주째에는 초기 값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근육량은 9주째에 2.5% 감소하였으며 체지방 감소에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어 개인간의 차이는 있으나 체지방량이 1.0 - 4.5kg의 범위에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체지방량은 3주 째부터 유의적으로 감소하기 시작하여 9주 째까지 꾸준히 감소하였으며 9주간 평균 감소량은 2.6±1.2kg이었다. 비만억제용 제제를 섭취하는 9주 동안 체지방률은 평균 1.9±1.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P<0.05, **P<0.01, ***P<0.001)(표 4 및 표 5 참조).
계측항목 초기(Baseline) 3주 6주 9주
체중(kg) 70.5±3.6 69.0±3.9** 67.7±4.3*** 66.5±4.0***
BMI 28.0±1.7 27.4±2.0*** 26.9±2.1*** 26.4±2.0***
허리둘레(cm) 88.9±3.2 85.9±3.7*** 84.0±4.2*** 81.3±4.4***
엉덩이 둘레(cm) 106.0±1.7 103.6±1.6*** 101.8±2.0*** 100.8±2.0***
W/H 비율 0.84±0.03 0.83±0.04 0.82±0.04 0.81±0.05**
근육량(kg) 41.5±2.6 41.3±2.4 41.1±2.7 40.5±2.4**
체지방량(kg) 26.2±2.9 25.2±3.1*** 24.2±3.0*** 23.7±3.2***
체지방률(%) 37.3±3.3 36.5±3.2** 35.7±3.2*** 35.4±3.5***
복부 지방 0.93±0.03 0.92±0.03*** 0.91±0.03*** 0.90±0.03***
계측항목 감소율(reduction,%)
체중(kg) - 4.00±1.58
BMI - 1.58±0.61
허리둘레(cm) - 7.10±2.52
엉덩이 둘레(cm) - 5.13±1.29
W/H 비율 - 0.028±0.025
근육량(kg) - 1.03±0.89
체지방량(kg) - 2.59±1.17
체지방률(%) - 1.89±1.06
임상예 4. 혈압 측정 및 혈액 분석
실험대상자를 안정시킨 상태에서 디지털 방식의 자동혈압계(WS-210, 니쎄이(Nissei), 일본)를 사용하여, 최고혈압과 최저혈압을 측정하였다. 채혈은 최소 12시간 이상의 공복을 유지한 상태에서 실시하였으며 1회용 주사기로 10㎖를 채혈하여 1㎖은 헤파린(heparine)을 처리하고 나머지는 혈청을 얻고자 분리하였다. 헤파린을 처리하여 얻은 전혈에서 일부를 취해 헤모글로빈을 측정하였으며 나머지 혈액은 분리하여 혈장을 얻어 혈청과 함께 -20℃에 보관하였다가 분석에 사용하였다.
혈액 분석은 헤모글로빈, 총 단백질, 혈당, 인슐린(insulin), C-펩타이드(pepetide),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BUN 및 빌리루빈(bilirubin) 등을 측정하고 간기능 검사를 위하여 GOT, GPT 및 알칼라인 포스파타제(alkaline phosphatase)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4-1. 헤모글로빈 측정
헤모글로빈은 시안메트헤모글로빈(cyanmethemoglobin)을 이용한 색소측정 방법(colorimetric method)으로 헤모-에스 시약(Hemo-s Reagent, 영동제약, 서울, 대한민국)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혈액에 페리시안화 칼륨(potassium ferricyanide)과 시안화나트륨(sodium cyanide)을 가하여 모든 헤모글로빈을 시안메트헤모글로빈(cyanomethemoglobin)으로 전화시킨 후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정량하였다.
4-2. 글루코스(Glucose) 측정
혈당은 글루코스 옥시다제(glucose oxidase) 효소법으로 글루코스 키트(glucose E-kit, 영동제약, 서울, 대한민국)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포도당, 산소, 물은 글루코스 옥시다제에 의해 글루코닉 산(gluconic acid)과 과산화수소(H2O2)를 형성한다. 과산화수소에 색소인 4-AA와 페놀(phenol)을 가하여 발색시키는 원리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4-3. 인슐린(Insulin) 및 C-펩타이드(peptide) 측정
인슐린은 외막-A-카운트 인슐린 키트(Coat-A-count insulin kit, DPC, USA)를 사용하였고, C-펩타이드는 이중 항체 C-펩타이드 키트(double antibody C-peptide kit, EURO DPC)를 사용하여 r-카운터(counter)(COBRA 5010 series Quantum, USA)로 분석하였다.
4-4. 총 단백질 측정
단백질에 뷰렛 시약(biuret reagent)인 알칼라인 쿠퍼 타르트레이트(alkaline copper tartrate)를 가하면 구리-단백질 복합체(copper-protein complex)인 보라색의 유색화합물이 형성되고, 이 물질이 단백함량과 비례하는 원리를 이용한 영동제약(서울, 대한민국)의 키트 시약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4-5. 총 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측정
혈청 중에는 유리형 및 에스터형 콜레스테롤이 존재하며 에스터 형에 콜레스테롤에스터 하이드롤라제(cholesterolester hydrolase) 효소를 반응시키면 유리형과 지방산으로 분해 되고 유리형에 콜레스테롤 옥시다제(cholseterol oxidase)를 반응시키면 과산화수소와 4-δ-콜레스테롤이 생성된다. 생성된 과산화수소에 퍼옥시다제(peroxidase)와 4-아미노안티피린(aminoantipyrine) 및 페놀(phenol)을 동시에 반응시키면 산화적 축합반응으로 키논이 생성되며 이를 비색하여 콜레스테롤을 정량하게 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4-6. 중성지질농도(Triglyceride) 측정
혈청 중 중성지질농도(triglyceride)는 중성지질측정용 키트 시약(ASAN제약, 서울, 대한민국)을 사용하였다. 중성 지방을 지단백 가수 분해 효소(lipoprotein lipase)로 분해 시켜 얻은 글리세롤(glycerol)에 글리세롤키나제(GK)를 작용시켜 L-α-글리세롤 인산을 형성시킨다. 여기에 글리세롤 인산옥시다제(GPO)를 작용시켜 글리세롤 인산을 산화시키고, 발생되는 과산화수소에 4-아미노안티피린을 작용시켜 형성된 키노이드 색소를 측정하는 원리이다.
4-7. 요소 질소(Urea nitrogen) 측정
혈청 요소(urea)는 우레아제(urease) 효소법으로 측정하였다. 우레아제 효소법은 우레아제 효소 완충액에 혈청을 가하고 37℃에서 반응시키면 요소는 암모니아와 탄산으로 분해되며, 여기에 살리실산, 알칼리성 차아염소산을 가하면 암모니아는 크롤아민이 되고 또한 인도페놀이 생성되어 증색되면 이를 비색정량하는 방법으로 우레아 N-E 키트(Urea N-E kit, 영동제약, 서울, 대한민국)를 사용하였다.
4-8. 총 빌리루빈(bilirubin) 측정
에블린-말로이(Evelyn-Malloy) 변법(Malloy HT., et al., J. Biol. Chem., 119, pp481, 1937)에 따라 혈청 빌리루빈 성분의 다이아조(Diazo) 반응에 의한 아조빌리루빈(Azobilirubin) 증색을 비색정량하는 방법으로 영동제약(서울, 대한민국)의 키트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4-9. 글루타메이트 옥살로아세테이트 트랜스마이나제(Glutamate oxaloacetate transaminase, GOT) 측정
혈청 중의 GOT 작용으로 아스파르틱 산(aspartic acid)과 α-케토글루타릭 산(α-ketoglutaric acid)는 옥살로아세틱 산(oxaloacetic acid)와 L-글루타믹 산(L-glutamic acid)으로 변화 된다. 다시 옥살로아세틱 산은 조효소 NADH의 존재하에서 MDH 작용으로 말레이트(malate)를 생성하는데 이 때 NADH가 NAD+로 산화되면서 감소되는 흡광도를 GOT 키트(영동제약, 서울, 대한민국)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4-10. 글루타메이트 피루베이트 트랜스아미나제(Glutamate pyruvate transaminase, GPT) 측정
혈청중의 GPT 작용으로 L-알라닌(L-alanine)과 α-케토글루타릭 산은 피루빅 산(pyruvic acid)과 L-글루타믹 산으로 변화 된다. 생성된 피루베이트(pyruvate)는 조효소 NADH의 존재하에 LDH 작용으로 락테이트(lactate)를 생성하는데 이 때 NADH가 NAD+로 산화되면서 흡광도가 감소한다. 흡광도의 감소율을 측정함으로서 효소의 활성을 산출할 수 있다. GPT 활성은 GPT 키트(영동제약, 서울, 대한민국)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4-11. 알칼라인 포스파타제(Alkaline phosphatase, ALP) 측정
페닐인산과 알카리성 인산효소의 반응에 의하여 분리되는 페놀과 4-아미노산 안티피린의 축합반응으로 생성되는 키논을 비색하여 정량하는 킹 킹(Kind King) 변법(Kind PR., et al., J. Clin. Path., 7, pp322, 1954)에 의하여 ALP 키트(영동제약, 서울, 대한민국)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과정을 통하여, 혈압 및 혈액 분석을 수행한 결과, 실험대상자들의 혈압은 WHO 기준의 정상 혈압 범위(수축기 <140mmHg, 이완기 <90mmHg)에 있었다. 실험대상자들의 체중과 최고 또는 최저 혈압간에는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없었다. 또한 비만억제용 제제 섭취로 인한 유의적인 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만인의 경우 흔히 혈압이 올라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중등도의 비만 환자들인 본 실험대상자들의 혈압은 비교적 정상범위에 속해 있었다.
비만억제용 제제를 섭취하는 9주 동안 탄수화물 대사의 변화를 분석 하기위해 공복 시 측정한 혈당은 4.5%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고, 혈장 인슐린 및 C-펩타이드의 변화는 모두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다. 인슐린 민감도(insulin sensitivity)를 반영할 수 있는 어림치인 인슐린 저항성 지수(insulin resistance index, IRI)는 혈장 인슐린농도와 혈당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실험대상자들의 IRI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아니었다. 한편, 혈장 인슐린은 실험 종료시의 대상자들의 체중과 BMI와 유의적인 양의 상관성을 보여주어 공복 시 혈당이나 중성지방, 콜레스테롤 농도 보다는 체중과 BMI가 인슐린 저항성과 관련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체지방량이나 체지방 비율과 인슐린 농도간의 상관성은 보이지 않았다. 혈청 중성지방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총 콜레스테롤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으며, 혈청지질의 양은 모두 정상 범위에 속해 있었다. 간기능 검사를 위하여 측정한 혈액 지수 중 요소질소(BUN)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빌리루빈 수치는 감소경향을 나타내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GOT와 GPT는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알칼라인 포스파타제(ALP)는 유의적으로 23.1% 감소하였다. 또한, 단식이나 절식시 산혈증(acidosis)이 증가함에 따라 BUN치가 증가한다고 보고되어 있으나, 본 실험에서는 열량섭취를 크게 제한하지 않으므로 그러한 부작용은 볼 수 없었다. 오히려 비만억제용 제제 내에 함유되어있는 식이섬유로 인하여 장내 세균이 활성화됨에 따라 높아진 질소요구로 인하여 질소원이 혈액으로부터 이동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며 이러한 사실은 체내 노페질소의 대사개선이라는 바람직한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게 된다(표 6 참조).
계측항목 초기 9주
수축기 혈압(mmHg) 118.9±11.8 117.6±9.1
이완기 혈압(mmHg) 75.7±11.1 75.7±7.6
글루코스(mmol/L) 4.4±0.4 4.6±0.2
인슐린(pmol/L) 34.2±12.7 39.3±18.4
IRI(pmol 인슐린 x mmol 글루코스/L2) 149.7±58.4 181.4±88.5
C-펩타이드(ng/mL) 1.6±0.5 1.4±0.2
총 콜레스테롤(mg/dL) 160.8±25.4 174.9±26.0
중성지질농도(mg/dL) 79.6±37.5 67.1±22.0
BUN(mg/dL) 14.6±2.5 11.4±2.0**
빌리루빈(mg/dL) 0.5±0.3 0.4±0.1
ALP(U/L) 6.1±1.6 4.7±1.0***
GOT(U/L) 23.9±9.1 22.3±2.6
GPT(U/L) 12.9±4.6 12.6±5.1
총 단백질(g/dL) 7.7±1.0 7.5±0.4
헤모글로빈(g/dL) 12.7±0.8 13.3±0.9*
임상예 5. 변 배설의 변화
변 배설에 대하여는 주당 변 배설의 빈도와 1회 배변시간 및 변의 모양, 변의 색깔 등 4가지 부문에서 조사하였다.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배변 횟수는 6주 후에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변의 색도 6주 후에 밝아져 개선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또한 배변시간은 3주 이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그러나 변의 형태는 9주 동안 일관성 있는 변화를 보여주지 않았다. 자기기입식으로 배변상황을 조사할 경우 특히 3주에 한 번씩 변의 형태를 일관성 있게 판정하기는 쉽지 않다. 또한 양변기를 사용할 때는 배변 후 변이 바로 침수되므로 변의 형태를 엄밀하게 판정하기 어려우므로 변의 형태를 판정하기 위해서는 양변기의 사용을 자제하여야 하나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 일이다.
변의 색은 빌리루빈 색소에 의해 결정되는데 빌리루빈은 산성 환경에서는 밝은 노랑색을 띄며 알칼리성에서는 녹갈색을 띄게 된다. 장내 미생물인 비피더스균들이 증식하게 되면 이들 균에 의해 생성된 초산과 유산 등의 저급지방산이 장내환경을 산성으로 변화시켜 변의 색을 밝게 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안국희 외, 비피더스균과 올리고당. 유한문화사. pp175-208, 1994). 본 발명의 비만억제용 제제 내에 함유되어 있는 식이 섬유원들은 장내 비피더스균의 증식인자이므로 변의 색을 밝게 변화시켰으며 결과적으로 변 배설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P<0.05).
계측항목 기초 3주 6주 9주
배변 빈도 2.2±0.9 2.2±1.1 2.4±0.9 2.6±0.9
배변 시간 6.4±5.6 3.5±0.4* 3.5±2.3* 3.3±1.7*
변의 모양 2.4±0.7 2.4±0.5 2.6±0.5 2.4±0.7
변의 색깔 2.5±0.9 2.6±0.9 2.2±0.4 2.3±0.6
임상예 6. 자각 증상
비만억제용 제제를 섭취하면서 각 개인이 신체증상으로 느낀 것을 적도록 하여 표 8에 나타내었다. 실험시작 전 '머리가 뻐근하고 어깨, 팔, 다리가 저리다(64.29%)', '허리가 묵직하고 불편하다(57.14%)', '몸이 무겁고 나른하며 항상 피곤하다(57.14%)' 등의 자각증세를 가진 사람은 전체의 반 수 이상 되었으며 '손발이 차다(35.71%)', '어지럼증이 있다(28.57%)', '무릎이나 발목이 아프고 잘 붓는다(28.57%)' 등의 증세도 각각 4인 이상에서 나타나고 있었다. 그러나 실험이 진행되면서 개선되기 시작하여 9주 째는 거의 모든 증상이 개선되어지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자각증상은 개인의 건강에 대한 주관적인 증상이므로 객관적인 평가라 보기는 어렵지만 본 실험대상자들은 비만억제용 제제를 섭취하는 동안 부정적인 자각증상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무리 없는 체중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계측항목 초기 3주 6주 9주
머리가 뻐근하고 어깨, 팔, 다리가 저리다 9(64.29) 0(0.00) 1(7.14) 0(0.00)
허리가 묵직하고 불편하다 8(57.14) 1(7.14) 2(14.29) 2(14.29)
어지럼증이 있다 4(28.57) 3(21.43) 2(14.29) 1(7.14)
잠이 잘 오지 않는다 0(0.00) 0(0.00) 0(0.00) 0(0.00)
생리가 불규칙하고 생리통이 심하다 3(21.43) 0(0.00) 0(0.00) 0(0.00)
몸이 무겁고 나른하며 항상 피곤하다 8(57.14) 0(0.00) 0(0.00) 1(7.14)
손발이 차다 5(35.71) 0(0.00) 0(0.00) 1(7.14)
가스가 찬 듯하다 3(21.43) 3(21.43) 1(7.14) 0(0.00)
소변을 자주보고, 보고 난 뒤에도 불편하다 2(14.29) 0(0.00) 0(0.00) 0(0.00)
무릎이나 발목이 아프고 다리가 잘 붓는다 4(28.57) 0(0.00) 0(0.00) 0(0.00)
가슴이 답답하고 숨이 차다 1(7.14) 1(7.14) 1(7.14) 0(0.00)
임상예 7. 영양소 섭취량
실험 초기와 종료(9주째) 시에 식사섭취량을 조사하였을 때 초기보다 열량섭취량이 20.7% 감소되었다. 이는 한 끼 식사를 분말식이로 대치하였기 때문으로 보이며 열량 섭취량의 감소에 따라 지방, 탄수화물, 비타민 A, 비타민 B2, 비타민 C, 비타민 E 등의 섭취량이 감소하였으며, 비타민 A, 비타민 B2, 비타민 E 등은 권장량에 비하여 72 - 88% 정도로 섭취량이 급격히 감소되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아니었다. 또한, 열량 섭취량이 감소함에 따라 나트륨(Na)의 섭취량도 29.4% 감소함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비만 치료를 위하여 열량을 제한하게 되면 필수영양소의 섭취 부족이 야기될 수 있으므로 비만억제용 제제를 제조할 때 이들 영양소의 공급이 필요하다(*P<0.05, **P<0.01).
영양소 초기 9주
열량(kcal) 1600.1±376.7 (80.0) 1269.5±236.7*(63.5)
단백질(g) (114.47) (90.2)
식물성(Vegetal) 33.9±14.3 25.9±3.9
동물성(Animal) 29.1±14.4 23.7±7.3
지방(g) (90.0) (75.4)
식물성(Vegetal) 20.5±10.9 16.3±4.2
동물성(Animal) 19.1±12.6 16.9±5.2
탄수화물 (Carbohydrate)(g) 252.1±68.6 (77.6) 193.9±39.3*(59.7)
천연섬유소 (Crude fiber)(g) 5.8±2.4 4.6±0.9
칼슘(mg) (63.6) (62.0)
식물성(Vegetal) 250.9±114.3 207.7±53.9
동물성(Animal) 194.1±152.4 226.5±126.5
나트륨(mg) 4164.4±1380.0 2939.2±913.6**
칼륨(mg) 2226.8±903.4 2003.6±369.0
비타민 A(㎍ RE) 940.9±1186.1 (134.0) 503.4±243.8 (71.9)
비타민 B1(mg) 1.1±0.3 (107.0) 0.96±0.12 (96.0)
비타민 B2(mg) 1.9±3.4 (156.7) 0.79±0.17 (79.0)
비타민 B6(mg) 1.4±0.5 (101.4) 1.55±0.39 (110.7)
비타민 C(mg) 96.3±69.1 (137.5) 68.51±29.31 (97.9)
비타민 E(mg) 9.4±4.7 (93.9) 8.81±2.72 (88.1)
하기에 상기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캡슐제의 제조
실시예 1의 기능성 조성물 100 ㎎
유당 50 ㎎
전분 50 ㎎
탈크 2 ㎎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적량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건강 식품의 제조
실시예 1의 기능성 조성물 1000 ㎎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3. 건강음료의 제조
실시예 1의 기능성 조성물 1000 ㎎
구연산 100 ㎎
올리고당 100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 ℃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체지방 및 체중 감량 효과를 갖는 비만억제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식품을 섭취하고자하는 욕구를 만족시키면서 소화효소의 작용을 억제하고 배변효과를 향상시키며 영양성분의 흡수를 억제하여 체지방 및 체중 감량에 효과적이므로 비만억제용 제제로 이용될 수 있다.

Claims (6)

  1. 차전자피(Psyllium Husk), 폴리만뉴로네이트(polymannuronate), 바이오셀룰로오스, 포도씨 추출물 및 가르시니아 캄보지아(HCA)를 필수적으로 함유하는 비만억제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차전자피 20-60 중량 %, 폴리만뉴로네이트 1-20 중량 %, 바이오셀룰로오스 0.1-10 중량 %, 포도씨추출물 0.1-5 중량 % 및 가르시니아 캄보지아(HCA) 1-20 중량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제 1항의 필수 성분 외에 추가적으로 글루카젠효모 추출물, 효모 추출물, 건조효모, 과라나 추출분말, 녹차 추출분말, 나한과 추출분말, 자일리톨, 한약 엑기스, 아우론 에이어자임, 비타민 C, 비타민 B6, 수산화 마그네슘, 씨트러스 바이오플라보노이드, 구연산, 레몬라임맛 분말, 결정셀룰로오스, 유당 및 옥수수 전분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글루카젠효모 추출물 1-20 중량 %, 효모 추출물 1-20 중량 %, 건조효모 0.1-10 중량 %, 과라나 추출분말 0.1-10 중량 %, 녹차 추출분말 0.1-10 중량 %, 나한과 추출분말 0.1-10 중량 %, 자일리톨 0.1-20 중량 %, 한약 엑기스 0.1-20 중량 %, 아우론 에이어자임 0.1-10 중량 %, 비타민 C 0.1-20 중량 %, 비타민 B6 0.01-10 중량 %, 수산화 마그네슘 0.01-10 중량 %, 씨트러스 바이오플라보노이드 0.1-10 중량 %, 구연산 0.1-10 중량 %, 레몬라임맛 분말 0.1-10 중량 %, 결정셀룰로오스 0.1-20 중량 %, 유당 0.1-30 중량 % 및 옥수수 전분 0.1-20 중량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분말, 과립(Granule), 정제, 연질 또는 경질 캡슐, 드롭프스, 티백 또는 음료 형태인 기능성 식품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과립(Granule) 형태인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20040040242A 2004-06-03 2004-06-03 비만억제 효능을 갖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501150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0242A KR20050115017A (ko) 2004-06-03 2004-06-03 비만억제 효능을 갖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0242A KR20050115017A (ko) 2004-06-03 2004-06-03 비만억제 효능을 갖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5017A true KR20050115017A (ko) 2005-12-07

Family

ID=37289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0242A KR20050115017A (ko) 2004-06-03 2004-06-03 비만억제 효능을 갖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15017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605B1 (ko) * 2006-11-01 2008-11-10 김종태 라한과 추출물을 함유하는 녹차 조성물
WO2011046768A2 (en) * 2009-10-12 2011-04-21 Board Of Supervisors Of Louisiana State University And Agricultural And Mechanical College Masking bitter flavors
KR101045279B1 (ko) * 2011-01-26 2011-07-25 주식회사 티어트 비만억제효능을 갖는 기능성 식품의 조성물
EP2012752A4 (en) * 2006-03-28 2013-03-06 Gelesis Inc USE OF POLYMERIC MATERIALS WITH OTHER SUBSTANCES FOR IMPROVED PERFORMANCE
KR101341475B1 (ko) * 2013-05-16 2013-12-13 주식회사 소울네이처푸드 부작용 없이 건강하게 체중감량이 가능한 다이어트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68088B1 (ko) * 2020-07-09 2021-06-23 주식회사 지바이오 맞춤형 건강 기능 식품 레시피의 제공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12752A4 (en) * 2006-03-28 2013-03-06 Gelesis Inc USE OF POLYMERIC MATERIALS WITH OTHER SUBSTANCES FOR IMPROVED PERFORMANCE
US10272155B2 (en) 2006-03-28 2019-04-30 Gelesis Llc Use of polymeric materials with other substances for improved performance
KR100867605B1 (ko) * 2006-11-01 2008-11-10 김종태 라한과 추출물을 함유하는 녹차 조성물
WO2011046768A2 (en) * 2009-10-12 2011-04-21 Board Of Supervisors Of Louisiana State University And Agricultural And Mechanical College Masking bitter flavors
WO2011046768A3 (en) * 2009-10-12 2011-10-06 Board Of Supervisors Of Louisiana State University And Agricultural And Mechanical College Masking bitter flavors
KR101045279B1 (ko) * 2011-01-26 2011-07-25 주식회사 티어트 비만억제효능을 갖는 기능성 식품의 조성물
KR101341475B1 (ko) * 2013-05-16 2013-12-13 주식회사 소울네이처푸드 부작용 없이 건강하게 체중감량이 가능한 다이어트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68088B1 (ko) * 2020-07-09 2021-06-23 주식회사 지바이오 맞춤형 건강 기능 식품 레시피의 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lia et al. Physiological aspects of energy metabolism and gastrointestinal effects of carbohydrates
World Health Organization et al. Keep fit for life: meeting the nutritional needs of older persons
Katsilambros et al. Clinical nutrition in practice
WO1996039052A2 (en) Compliance support package for increasing health management system compliance
EP0833570A1 (en) Therapeutic system for dietary health management
TW200812503A (en) Compositions, methods and kits for enhancing weight loss while inhibiting loss of lean body mass
WO1996039073A1 (en) Method for determining diet program effectiveness
WO1996039051A2 (en) Prepackaged therapeutic meal
US10149882B2 (en) Weight management systems and related methods
CN110663872A (zh) 一种全营养代餐减肥食品、制备方法及食用方法
CN110800904A (zh) 一种有效控制体重及减脂的固体饮料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9770368A (zh) 一种多口味植物多肽减肥代餐粉及其制备方法
Bajerska et al. Effects of rye bread enriched with green tea extract on weight maintenan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metabolic syndrome following weight loss: a pilot study
CN110623270A (zh) 一种活力餐及其制备方法
Olagunju et al. Nutritional compositions, bioactive properties, and in-vivo glycemic indices of amaranth-based optimized multigrain snack bar products
US20060099240A1 (en) Nutritional weight loss agent and method
Lightowler et al. Glycemic response of mashed potato containing high-viscocity hydroxypropylmethylcellulose
KR20050115017A (ko) 비만억제 효능을 갖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80020617A (ko)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의 신규 용도
Hassan et al. The Prevailing Nutritional Problems among Children with Down Syndrome; Case-Control Study.
CN111165816A (zh) 一种润肠通便的减肥代餐粉及其制备方法
CN110037251A (zh) 一种适合高糖人群食用的大鲵代餐食品及其制备方法
KR20050115393A (ko) 비만 억제 효능이 있는 미생물 셀룰로오스를 함유하는바이오셀룰로오스
AU2018354417A1 (en) Oral hypoglycemic agents as food additives and supplements
WO2024034424A1 (ja) やる気増加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