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6264A - 이동 통신 시스템 및 제어국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시스템 및 제어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6264A
KR20040106264A KR1020040043225A KR20040043225A KR20040106264A KR 20040106264 A KR20040106264 A KR 20040106264A KR 1020040043225 A KR1020040043225 A KR 1020040043225A KR 20040043225 A KR20040043225 A KR 20040043225A KR 20040106264 A KR20040106264 A KR 200401062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ividual channel
station
individual
channel
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3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5247B1 (ko
Inventor
가토야스히로
오바타카즈노리
우에다신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040106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6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5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52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6Reselecting a communication resource in the serving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18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allowing seamless reselection, e.g. soft rese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제어국(204), 기지국(201) 및 이동국(202)을 구비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어국(204)은 상기 기지국(201)을 통해 상기 이동국(202)과의 개별 채널을 설정하고, 상기 제어국(204)은, 제 2 개별 채널이 설정된 이후 소정 기간동안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개별 채널들이 보유되는 방식으로, 제 1 개별 채널을 통해 통신 동안 상기 제 1 개별 채널에 다른 상기 제 2 개별 채널이 설정되는 개별 채널 보유 동작을 실행하는 개별 채널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시스템 및 제어국{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control station}
본 발명은 제어국, 기지국 및 이동국으로 구성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과 이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제어국에 관한 것이다.
제어국, 기지국, 및 이동국으로 구성된 종래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음성 통신에서 고속 패킷 통신까지의 다양한 형태들의 멀티미디어 신호는 통합된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고, 그로 인해, 다중 콜 서비스(multi-call service)로서 알려진 복수의 서비스들이 동시에 제공될 수 있다(예를 들어, FOMA(등록 상표): Freedom of mobile multimedia access). FOMA에 기반을 둔 이동 통신 시스템은 3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서 알려져 있다. 사용자의 요구들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들을 실현화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은 서비스 요청의 컨텐트, 패킷 전송 속도, 단말기의 작업 능력, 네트워크 조건 등의 총체적 고려에서 최적의 전송 속도가 제어국에 의해 결정되고, 그로 인해, 결정된 최적 전송 속도에 대응하는 각각의 채널이 선택 및 할당되는 것에 따르는 시스템 구조를 사용한다.
종래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통신 중에 개별 채널의 변경에 관한 기술이 알려져 있다. 이 기술에 따르면, 통신이 현재 실행되는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정보량에 따라 다른 전송 능력을 갖는 무선 채널로의 천이가 이루어진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출원 특허 제 2002-271847 호 참조).
상기 종래의 이동 통신 시스템의 목적은 무선 채널의 전송 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그로 인해, 전송 용량에 통신 무선 채널에 필요한 전송 용량에 적합한 무선 채널로 천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천이 시간이나 천이 절차가 모두 고려의 대상에서 제외되었고, 결과로써, 무선 채널 변경에 필요한 시간(변경 기간)은 무선 채널 변경 타이밍이 설정되는 방식에 따라 변하는데, 이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무선 채널 변경 타이밍이 지체될 때, 변경 기간은 길어지고, 시스템 이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시간에 변경 기간이 직접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사용자는 변경 기간이 늘어남에 따라 반응의 저하의 느낌을 줄 수 있다. 변경 타이밍을 증가시킴에 따라, 변경 기간은 줄어들지만, 이 경우에는, 반응이 개선되어도, 이동국에 의해 수신되지 않는 무선 채널의 변경을 나타내는 신호의 가능성은 증가한다. 무선 채널 변경을 나타내는 신호가 이동국에 의해 수신되지 않았을 때, 무선 채널은 오직 기지국에서만 변경되고, 기지국과 이동국의 무선 채널들이 확립되지 않는 비매칭된 조건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런 경우에, 공통된 채널에서 개별 채널을 재설정하는 절차가 필요하고, 이는 응답에 있어 커다란 약화를 가져오게 한다.
따라서, 종래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응답 시간을 단축하는 것과 비매칭된 조건들을 피하는 것 사이에서의 상충(trade-off)이 존재하고, 따라서 둘 다를 달성하기는 어렵다.
도 1은 통신 개별 채널의 변경동안 이동국, 기지국 및 제어국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차트.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블럭도.
도 3은 제어국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시스템 블럭도.
도 4는 통신 개별 채널의 변경동안 이동국, 기지국 및 제어국의 제 2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차트.
도 5는 통신 개별 채널의 변경동안 이동국, 기지국 및 제어국의 제 3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차트.
도 6은 통신 개별 채널의 변경동안 이동국, 기지국 및 제어국의 제 4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차트.
도 7은 기지국에서 수행되는 잔존 채널의 확인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과의 비교로서, 제어국에 의해 타이밍(t)이 지정될 때, 통신 개별 채널의 변경동안 이동국, 기지국과 제어국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차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이동 통신 시스템 201,211...기지국
202,212...이동국 204...제어국
205...교환국 203, 213...개별 채널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도록 구상되었고,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채널이 통신 동안 변경될 때의 응답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기지국과 이동국에서 비매칭된 조건들을 제거할 수 있는 이동 통신 시스템과 이런 이동 통신 시스템에 포함된 제어국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에 기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제어국, 기지국 및 이동국으로 구성된 이동 통신 시스템이고, 여기서, 제어국은 기지국을 통해 이동국과 개별 채널을 설정하고, 제어국은, 제 2 개별 채널이 설정된 이후의 소정 기간동안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개별 채널들을 보유하는 방식으로, 제 1 개별 채널을 통해 통신 동안 상기 제 1 개별 채널에 다른 상기 제 2 개별 채널을 설정하는 개별 채널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본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제 1개별 채널과 제 2 개별 채널 모두가 보유되는 기간은 제 2 개별 채널의 설정에 따라 제어국에서 보장되고, 그로 인해, 제어국에서 개별 채널이 변경되기 전에 개별 채널을 변경하기 위한 이동국에 대한 기회가 보장될 수 있다. 따라서, 개별 채널은 개별 채널이 이동국에서 변경된 후에제어국 및 기지국에서 변경될 수 있다.
개별 채널 제어 수단은 제 1 개별 채널과 제 2 개별 채널을 보유할 수도 있고, 이에 의해, 이동국으로부터 개별 채널 변경 완료 통지 또는 변경 불가 통지를 제어국에서 수신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개별 채널들을 통해 통신이 실행된다.
실행에 있어서, 제어국은 개별 채널 변경의 완료 또는 비완료의 통지가 이동국에 의하여 수신될 때까지 제 1 개별 채널과 제 2 개별 채널들이 유지되는 이중 대기 조건(double standby condition)으로 설정될 수 있다.
게다가, 위에서 기술한 어떤 이동 통신 시스템들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어국은 작동 모드를 설정하는 모드 설정 수단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이 모드 설정 수단은 다른 개별 채널을 설정하는 무선 리소스의 존재 여부를 통신 개별 채널에 통보할 때 개별 채널 제어 수단을 활성화하는 개별 채널 보유 모드를 설정하고, 무선 리소스의 부재가 통보될 때 개별 채널 변경 타이밍을 기지국 및 이동국에 통지하는 타이밍 명세 모드(timing specification mode)를 설정한다.
모드 설정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제어국은 무선 리소스가 이용 가능할 때 개별 채널 보유 동작을 수행하고, 무선 리소스가 이용 가능하지 않을 때, 제어국은 개별 채널 보유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개별 채널 변경 타이밍을 기지국 및 이동국에 알린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국, 기지국과 이동국을 구비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 제공되는 제어국을 제공하는데, 여기서, 제어국은 기지국을 통하여 이동국과 개별채널을 설정한다. 상기 제어국은, 제 2 개별 채널이 설정된 이후 소정 기간동안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개별 채널들을 보유하는 방식으로, 제 1 개별 채널을 통해 통신 동안 상기 제 1 개별 채널에 다른 상기 제 2 개별 채널을 설정하는 개별 채널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국은 동작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모드 설정 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모드 설정 수단은 상기 통신 개별 채널에 상기 상이한 개별 채널을 설정하는 무선 리소스의 존재가 통지될 때 개별 채널 제어 수단을 활성화하는 개별 채널 보유 모드를 설정하고, 무선 리소스의 부재가 통지될 때 개별 채널 변경 타이밍을 기지국 및 이동국에 통지하는 타이밍 명세 모드를 설정한다.
상술한 것과 같은 본 발명에 따라, 통신 개별 채널이 변경될 때, 비매칭 조건들이 이동국 및 기지국의 무선 채널들에서 발생하지 않고, 그로 인해, 개별 채널 변경 동안 응답은 유리하게 된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주어진 상세한 설명과 단지 예로서 주어진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완전히 이해될 수 있고, 이는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고려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응용성의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특정 예들은, 비록,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로서 나타내었지만, 단지 예를 통해 주어진 것임을 알 수 있으며, 따라서, 당업자들은 본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주내에서 여러 변경과 수정안들을이 있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지금부터, 본 발명의 실시의 구현이 설명된다. 동일 부호가 동일 요소에 사용되는 것을 유의하고, 따라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구현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1)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에 보였듯이, 본 발명의 한 구현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1)은 복수의 기지국(201, 211)과 복수의 이동국(202, 212), 제어국(204)과 교환기(205)를 포함한다.
기지국(201,211)은, 제어국(204)의 관리하에 페이징 영역(paging area)(210)내에 설치되고, 따라서, 기지국(201, 211)에 의하여 각각 커버되는 (220, 221) 셀들을 방문하는 이동국(202, 212)과 통신한다. 제어국(204)은 전송로(a, b)에 의하여 기지국(201,211)과 연결된다. 제어국(204)은 기지국(201, 211)과 이동국(202, 212)을 제어하고, 개별 채널들(203, 213)과 이동국(202, 212) 간을 기지국(201, 211)을 통하여 개별 채널들(203 , 213)을 설정한다. 기지국(201, 211)을 제어국(204)에 연결시키는 전송로(a, b) 상의 라인들은 논리적으로 각 개별 무선 채널에 대하여 설정된다(편리상, 도 2에는 전송로(a, b)가 단일 선으로 도시되어 있음을 주의하자).
도 3에 보인바와 같이, 제어국(204)은 이동국 제어 수단(301), 개별 채널 제어 수단(302) 및 모드 설정 수단(303)으로 구성된다. 기지국들(201,211,n(n>2 또는 이상))과 통신 할 수 있는 각각의 이동국을 위하여 도 3에서 제공되듯이 3011로부터 301n까지의 이동국 제어 수단들이 제공된다. 각각의 이동국 제어 수단들 3011로부터 301n까지는 각각의 기지국(201,211)을 통하여 이동국(202,212)으로 신호(signal)들을 송신하고 수신하며, 각각의 이동국을 위하여 인증 처리(authentication processing) 및 핸드오버(handover)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무선 제어를 실행한다. 더욱이, 개별 채널들(203, 213)이 개별채널 제어 수단들(302)에 의하여 설정될 때, 이동국 제어 수단들(3011내지 301n)까지는 이동국들(202, 212)로부터의 서비스 요청 내용, 이동국 크기(capacity), 시스템 내에서의 혼잡 조건(congestion condition)등에 대응하는 적절한 개별 채널을 선택하고, 개별 채널 제어 수단(302)에게 선택된 개별 채널을 설정하도록 지시한다.
개별 채널 제어 수단(302)은 이동국 제어 수단(301)으로부터 기지국(201,211)을 통하여 이동국들(202, 212)과 개별 채널들(203,213)을 설정(확립)하도록 하는 지시의 반응에 따라 활성화한다. 각각의 개별 채널에 대하여 개별 채널 제어 수단(302)이 제공된다. 도 3에서, 개별 채널 제어 수단(311a, 311b)이 이동국 제어 수단(3011)을 위하여 제공되고, 개별 채널 제어 수단(312a, 312b가) 이동국 제어 수단 3012를 위하여 제공된다. 이동 통신 시스템(1)에서, 3011로부터 301n까지의 각각의 이동국 제어 수단들로부터 두 개의 대응하는 개별 채널 제어 수단으로 명령이 시작되고, 여기서 통합(동시) 통신이 개별 채널 제어 수단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두 개의 채널을 따라 일어난다. 다른 말로는, 수신되는 동안에는 시그널들이 언제나 두 개의 개별 채널 제어 수단에 의하여 확립되는 개별 채널 모두에 의하여 수신되고, 전송되는 동안에는 똑같은 시그널이 개별 채널들 모두를 따라서전송된다.
모드 설정 수단(303)은 지금으로부터 기술할 기지국(201)으로부터의 개별 채널 변경 준비 반응의 내용에 따라서 제어국(204)의 작동 모드를 설정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구현에 따라 이동 통신 시스템 1의 특징적인 동작 절차가 기술될 것이다. 기지국들(201, 211)이 같은 동작을 수행하기 때문에, 기지국(201), 이동국(202) 및 제어국(204)의 동작이 아래에 기술될 것임을 주목한다.
[제 1 동작 절차]
도 1은 통신 중에 개별 채널 변경 동안(다른 전송 속도를 갖는 개별 채널로) 이동 통신 시스템(1)에서 실행되는 이동국(202), 기지국(201) 및 제어국(204)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차트이다. 도면에서 "CH"는 "채널"을 나타내는 것임을 주목한다.
우선, 이동국(202)은 개별 채널 변경에 대한 트리거로서 역할을 하는 서비스 요청(RQ1)을 제어국(204)에 전송한다. 서비스 요청(RQ1)의 예들은 제어 신호 통신 동안 음성 서비스 요청과, 음성 통신 동안 패킷 서비스를 부가하는 요청과, 패킷 서비스 동안 증가된 전송 속도에 대한 요청, 등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서비스 요청(RQ1)은 이동국(202)으로부터 트리거로서 역할을 하지만, 교환기(205)로부터의 트리거 또는 제어국(204)으로부터의 트리거 자체가 될 수 있다.
다음, 제어국(204)은 서비스 요청(RQ1)을 수신하고, 수신된 서비스 요청(RQ1)의 컨텐트를 검출한다, 다음 단계에 있어서, 서비스 요청(RQ1)을 전송하는 이동국[예를 들어 이동국(202)]에 대응하는 이동국 제어 수단(301)은 서비스 요청(RQ1)에 대한 컨텐트에 대한 최적의 개별 채널(예를 들어, 가장 양호한 전송 효을 갖는 개별 채널)을 선택하도록 동작되어, 개별 채널 변경 준비 응답(RP2)을 기지국(201)에 전송한다. 개별 채널 변경 준비 응답(RP2)을 전송함으로써, 제어국(204)은 통신 개별 채널과 상이한 서비스 요청(RQ1)의 컨텐트에 대한 최적의 개별 채널을 설정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기지국(201)에 질문한다.
개별 채널 변경 준비 응답(RP2)을 수신하면, 기지국(201)은 통신 개별 채널에 다른 개별 채널을 설정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개별 채널 변경 준비 응답(RP2)을 전송함으로써 결정 결과를 제어국(204)에 통지한다(여기서, 다른 개별 채널을 설정할 수 있는 무선 리소스가 존재한다는 것으로 가정한다). 다음 단계에 있어서, 개별 채널 변경 준비 응답(RP2)으로부터 다른 개별 채널이 설정될 수 있음이 결정되면, 모드 설정 수단(303)은 개별 채널 보유 모드를 설정한다. 응답에 있어서, 제어국(204)의 이동국 제어 수단(301)은 다른 개별 채널 제어 수단[예를 들어, 개별 채널 제어 수단(311b)]을, 통신 개별 채널을 설정하는 개별 채널 제어 수단[예를 들어, 개별 채널 제어 수단(311a)]으로 새롭게 동작하여, 개별 채널 설정(ST1)은 동작된 개별 채널 제어 수단에 의해 실행된다. 개별 채널 설정 ST1에서 개별 채널 삭제(DL1)까지의 기간에 있어서, 통신 개별 채널(제 1 개별 채널)과 다른 개별 채널(제 2 개별 채널) 모두는 개별 채널 제어 수단(311a, 311b)에 의해 제어국(204)에 보유된다.
개별 채널 설정(ST1)에 이어서, 제어국(204)은 개별 채널 변경 명령(ID4)을기지국(201)에 전송하고, 이에 의해 다른 개별 채널을 통신 개별 채널로 설정하는 개별 채널 설정(ST2)은 기지국(201)에서 동일하게 실행된다. 다음 단계에 있어서, 제어국(204)은 개별 채널 변경 명령(ID4)을 이동국(202)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이동국(202)은 에러없이 개별 채널 변경 명령(ID4)을 수신하고, 개별 채널 변경 명령(ID4)에 대응하는 개별 채널 변경(CH1)을 수행하는 것으로 가정함을 주목한다.
개별 채널 변경(CH1)에서 통신 개별 채널을 다른 개별 채널로 변경하면, 이동국(202)은 개별 채널 변경 완료 통지(IF1)를 제어국(204)에 전송한다. 제어국(204)은 개별 채널 변경 완료 통지(IF1)의 수신을 대기하고, 이전-변경 개별 채널을 삭제하는 개별 채널 삭제(DL1)를 수행하며, 개별 채널 삭제 명령(ID3)을 기지국(201)에 전송한다. 개별 채널 삭제 명령(ID3)을 수신하면, 기지국(201)은 이전-변경 개별 채널을 삭제하는 개별 채널 삭제(DL1)를 수행하고, 이에 따라 통신 개별 채널을 변경하는 동작은 완료된다.
일련의 동작들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개별 채널들을 보유하기 위해 제어국(204)의 개별 채널 제어 수단(302)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개별 채널 보유 동작"으로서 칭함)은 소정의 기간을 통해 실행되고, 이에 의해, 이전-변경 및 이후-변경 개별 채널들 모두가 보유되는 기간(이후, "이중 보유 기간"이라 칭함)을 보장한다. 결과적으로, 개별 채널이 제어국(204)에서 변경되기 이전에 제어국(204)으로부터 전송되는 개별 채널을 변경하기 위해 명령의 수신에 따라 개별 채널을 변경할 수 있는 이동국(202)에 대한 기회를 보정할 수 있다. 따라서, 개별 채널은 기지국(201)에서 홀로 변경되지 않는데, 이는 기지국(201) 및 이동국(202에서 비매칭된 조건이 방지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어국(204) 및 기지국(201)에서 개별 채널의 변경은 이동국(202)에서 개별 채널의 변경이 이미 완료되었을 때 실행될 수 있고, 그로 인해, 개별 채널은 기지국(201) 및 이동국(202)과 함께 동기적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변경 동작을 단축시키고, 개별 채널 변경 동안 응답의 왜곡을 방지한다.
이중 보유 기간은 적어도 개별 채널 설정(ST1)으로부터 이동국(202)으로부터의 개별 채널 변경 완료 통지(IF1)의 수신까지 계속되도록 설정된다. 그로 인해, 제 1 및 제 2 개별 채널들은 변경이 이동국에서 실행될 때까지 제어국(204)에서 보유된다. 따라서, 상술한 것처럼, 제어국(204) 및 기지국(201)은 이동국(202)으로부터의 변경 완료 통지(IF1)를 대기하고, 변경 완료 통지(IF1)를 수신한 이후에 바로 이전-변경 개별 채널[개별 채널 삭제(DL1, DL2)를 실행]을 삭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기지국(201) 및 이동국(202)에서 발생하는 비매칭된 조건들이 방지되고, 이에 의해, 개별 채널을 변경하는데 필요한 시간은 최소로 유지되고, 이에 의해, 응답 시간이 양호하게 된다. 이러한 점은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과의 비교로서, 도 8은 통신 개별 채널이 제어국(206)으로부터의 타이밍(t)의 명세에 따라 변경되는 이동국(202), 기지국(201) 및 제어국(204)의 동작 절차를 도시한 차트이다. 제어국(206)은 모드 설정 수단(303)의 생략을 제외하고 제어국(204)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도 8에 있어서, 개별 채널 변경 준비 응답(RQ2)은, 도 1에 설명된 절차와 유사하게, 제어국(206)에서 서비스 요청(RQ1)의 수신에 따라 기지국(201)에 전송된다. 이때, 개별 채널 변경 준비 응답(RP2)이 제어국(206)에 전송된 이후에, 제어국(206)은 기지국(201) 및 이동국(202) 각각에 개별 채널 변경 명령(ID4)을 전송하고, 타이밍(t)을 지정한다. 모드 설정 수단(303)은 제어국(206)에 제공되지 않았기 때문에, 개별 채널 변경 명령들(ID4, ID5)은 동작 모드를 설정하지 않고 전송된다. 개별 채널 변경 명령들(ID4, ID5)을 전송함으로써, 제어국(206)은 개별 채널을 변경하도록 기지국(201) 및 이동국(202)에 지시한다. 타이밍(t)은 이동국(202)에 수신되는 개별 채널 변경 명령(ID5)을 고려하여 설정된다[이동국(202)이 개별 채널 변경 명령(ID5)을 수신할 수 있도록]. 이는 셀 에러가 발생할 때 낮은 레이어에 따른 재전송에 필요한 시간이 이동국에 전송되는 신호들에 대해 평가되어야 한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그러나, 이동국(202)에서 개별 채널 변경 명령(ID5)의 수신을 우선으로 결정함(prioritizing)으로써, 타이밍(t)은 지체되고, 그로 인해, 개별 채널의 변경에 필요한 시간은 증가한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응답 시간의 양호하지 못한 느낌을 받게 될 수 있다. 타이밍(t)을 단축시킴으로써, 응답 시간은 개선될 수 있지만, 이동국(202)에 도달하지 않는 개별 채널 변경 통지의 가능성은 증가한다. 간단히, 기지국(201) 및 이동국(202) 모두는 개별 채널들에서 비매칭된 조건이 발생하거나 응답 시간이 역효과를 일으키거나, 타이밍(t)에서 동시에 변경을 실행한다.
본 출원에 있어서, 다른 한편으로, 제어국(204) 및 기지국(201)은 이동국(202)으로부터 변경 완료 통지(IF1)를 대기하고, 그의 수신에 따라 이전-변경 개별 채널을 바로 삭제한다. 그로 인해, 기지국(201) 및 이동국(202)이 함께 개별 채널을 동시에 변경시키는데 필요한 최소 기간은 보장된다. 결과적으로, 기지국(201) 및 이동국(202)이 함께 개별 채널을 동시에 변경시키는데 필요한 기간은 도 8에 도시된 경우보다도 단축될 수 있다.
[제 2 동작 절차]
지금, 통신 개별 채널의 변경 동안 실행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1)의 제 2 동작 절차를 설명한다. 도 4는 통신 개별 채널 변경 동안 이동국(202), 기지국(201) 및 제어국(204)의 제 2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차트이다.
도 4에 있어서, 도 1의 동작들과 유사한 동작들은 이동국(202)에 의한 서비스 요청(RQ1)의 전송에서 제어국(204)에 의한 개별 채널 변경 명령(ID1)의 전송까지 실행된다. 개별 채널 변경 명령(ID1)의 전송에 이어서, 도 4는 개별 채널 설정(ST2)이 기지국(201)에서 실행되는 경우를 설명하고, 여기서, 제어국(204)은 개별 채널 변경 명령(ID2)을 이동국(202)에 전송하며, 이 시점에서 개별 채널 변경 명령(ID2)에 관한 이동국(202)에서 에러(이 에러는 도면에서 "x"로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낮은 레이어 재전송 요청(RQ3)은 이동국(202)으로부터 전송된다. 그러나, 제어국(204)으로부터 낮은 레이어 재전송(T1)은 실패하고(도면에서 "x"로 표시됨), 그로 인해, 더 낮은 레이어 재전송 요청(RQ4)은, 낮은 레이어 재전송(T2)이 제어국(204)에 의해 실행됨에 따라, 이동국(202)으로부터 전송된다. 이러한 재전송(T2)의 결과로서, 이동국(202)은 개별 채널 변경 명령(ID2)을 수신하는 동안에 계속된다. 이 경우에, 이동국(202)은 재전송(T2)에 따라 개별 채널 변경 명령(ID2)을 수신하는 동안 계속되고, 개별 채널 변경 명령(ID2)에 응답하여 개별채널 변경(CH1)을 실행한다. 이후에, 이동국(202)에 의한 개별 채널 변경 완료 통지(IF1)의 전송, 제어국(204)의 개별 채널 삭제(DL1), 제어국(204)에 의한 개별 채널 삭제 명령(ID3)의 전송 및, 기지국(201)에 의한 개별 채널 삭제(DL2)는 도 1에서 그들 상대물들과 유사하게 실행된다.
일련의 동작들에 있어서, 제어국(204)으로부터 낮은 레이어 전송은 개별 채널 변경 명령(ID2)에 관련된 비율 에러에 응답하여 반복적으로 실행되고, 그로 인해, 기대된 것보다 더 이상의 기간은 개별 채널 변경 명령(ID2)을 수신하기 위해 이동국(202)에 대해 요구된다. 그러나, 개별 채널 보유 동작은 상기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어국(204)에 의해 실행되고, 그로 인해, 개별 채널 설정(ST1)에 따른 이중 보유 기간은 보장된다. 결과적으로, 개별 채널이 제어국(204)에서 변경되기 이전에 제어국(204)으로부터 전송되는 개별 채널을 변경하기 위해 명령의 수신에 따라 개별 채널을 변경할 수 있는 이동국(202)에 대한 기회를 보장할 수 있다.
따라서, 개별 채널은 기지국(201)에서 홀로 변경되지 않는데, 이는 기지국(201) 및 이동국(202에서 비매칭된 조건이 방지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어국(204) 및 기지국(201)에서 개별 채널의 변경은 이동국(202)에서 개별 채널의 변경이 이미 완료되었을 때 실행될 수 있고, 그로 인해, 개별 채널은 기지국(201) 및 이동국(202)과 함께 동시에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변경 동작을 단축시키고, 개별 채널 변경 동안 응답의 왜곡을 방지한다.
이전-변경 개별 채널은 이동국(202)으로부터 변경 완료 통지(IF1)를 수신한 이후에 바로 제어국(204) 및 기지국(201)에서 삭제되고, 그로 인해, 비록, 요구된기간이 재전송으로 인해 연장되어도, 개별 채널을 변경하는데 필요한 시간은 최소로 유지될 수 있다.
[제 3 동작 절차]
지금, 통신 개별 채널의 변경 동안 실행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1)의 제 3 동작 절차를 설명한다. 도 5는 통신 개별 채널의 변경 동안 이동국(202), 기지국(201) 및 제어국(204)의 제 3 동작 절차를 도시한 챠트이다.
도 5에 있어서, 도 1의 동작들과 유사한 동작들은 이동국(202)에 의한 서비스 요청(RQ1)의 전송에서 제어국(204)에 의한 개별 채널 변경 명령(ID1)의 전송까지 실행된다. 도 5는, 개별 채널 변경 명령(ID2)에 따라, 이동국(202)이 개별 채널을 변경하기 위해 개별 채널 변경(CH1)을 수행하는 경우를 설명하고, 이에 따라, 무선 동기화(FL)를 확립하는 실패는 이후-변경 개별 채널에 따른 약간의 이유로 발생한다.
이 경우에, 이동국(202)은 원래의 이전-변경 개별 채널로 복귀하도록 개별 채널 변경(CH2)을 수행하고, 상기 개별 채널 변경(CH2)을 수행한 이후에, 개별 채널 변경이 불가능한 통지(IF2)를 제어국(204)에 전송한다. 이때, 개별 채널은 이동국(202)에서 개별 채널의 변경 실패의 결과로서 변경되지 않기 때문에, 제어국(204)은 설정된 이후-변경 개별 채널을 삭제하기 위해 개별 채널 삭제(DL3)를 실행하고, 기지국(201)은 이후-변경 채널을 삭제하기 위해 개별 채널 삭제(DL4)를 실행한다. 따라서, 통신은 이전-변경 개별 채널을 사용하여 이동 통신 시스템(1)에서 실행된다.
또한, 제어국(204)은 상기 일련의 동작들에서 개별 채널 보유 동작을 실행하고, 그로 인해, 개별 채널 설정(ST1)에 따른 이중 보유 기간은 보장된다. 이에 의해, 원래의 이전-변경 개별 채널은 제어국(204) 및 기지국(201)에서 보유되어, 심지어 이동국(202)이 개별 채널을 변경하는데 실패하고 원래의 개별 채널로 복귀할 때도, 원래의 개별 채널로 복귀함으로써 통신은 연속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기지국(201) 및 이동국(202)의 무선 채널들에서 비매칭된 조건들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제어국(204) 및 기지국(201)은 이동국(202)으로부터 변경 실패의 통지(IF2)를 수신한 이후에 바로 이후-변경 개별 채널을 삭제하고, 그로 인해, 개별 채널을 변경하는데 필요한 기간은 최소로 유지될 수 있고, 응답을 개선시킬 수 있다.
여기서, 원래의 개별 채널이 개별 채널 변경에 이어서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이중 보유 기간이 보장되지 않는다면(예를 들어, 도 8에 설명된 경우), 공통 채널로 복귀함으로써 개별 채널을 재설정하기 위한 제어가 필요하다. 이 경우에는 통신을 재시작하기 위한 시간이 필요하다. 이와 대비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중 보유 기간이 보장되고, 그로 인해, 공통 채널로 복귀시킴으로써 개별 채널을 재설정하기 위한 제어가 필요치 않다. 따라서, 이동 통신 시스템(1)에 있어서, 통신을 재시작하는데 필요한 시간은 단축될 수 있다.
[제 4 동작 절차]
지금, 통신 개별 채널의 변경 동안 이동 통신 시스템(1)에 의해 수행되는 제 4 동작 절차를 설명한다. 도 6은 통신 개별 채널의 변경 동안 이동국(202), 기지국(201) 및 제어국(204)의 제 4 동작 절차를 도시한 챠트이다.
상술한 동작 절차들에 있어서, 개별 채널 변경 준비 요청(RQ2)이 제어국(204)에 의해 기지국(201)에 전송될 때 상이한 개별 채널을 통신 개별 채널에 설정하는 무선 리소스가 기지국(201)에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나, 통신 조건 등에 따라, 그와 같은 무선 리소스는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통신 개별 채널에 상이한 개별 채널이 설정될 수 없고, 그로 인해, 다음 동작은 이동 통신 시스템(1)에서 실행된다.
도 6에 있어서, 이동국(202)에 의해 서비스 요청(RQ1)의 전송과 제어국(204)에 의해 개별 채널 변경 준비 요청(RQ2)의 전송은 도 1에서 그들 상대물들과 동일하다. 그러나, 도 6에 있어서, 개별 채널 변경 준비 요청(RQ2)을 수신한 기지국(201)이 상이한 개별 채널을 설정하는 무선 리소스를 포함하지 못함을 결정한다. 그로 인해, 개별 채널 변경 준비 응답(RP2)은 제어국(204)에 전송되어, 무선 리소스의 부재를 제어국(204)에 알린다.
상술한 제 1 내지 제 4 동작 절차들에 있어서, 기지국(201)은 개별 채널 변경 준비 요청(RQ2)의 수신에 따라 상이한 개별 채널을 설정하기 위해 무선 리소스가 이용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따라서, 기지국(201)은 잔류 체킹 수단으로서 동작하여 도 7에 도시된 흐름도에 따라 잔류 채널 체크를 수행한다. 도 7에서 "스텝"은 약어로 "S"로 칭함을 주의한다.
특히, 절차의 개시에 이어서, 기지국(201)은 상이한 개별 채널을 설정하는 무선 리소스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1)로 진행한다. 무선 리소스가 존재하면, 기지국(201)은 단계(2)로 진행하고, 만일, 존재하지 않으면, 기지국(201)은 단계(4)로 진행한다. 단계(2)로 진행한 이후에, 기지국(201)은 잔류 개별 채널들의 수가 임계치(통신 혼잡 조건 등에 따라 설정된 제로보다 큰 값)를 초과하는지를 결정한다. 만일, 초과하면, 기지국(201)은 단계(3)로 진행하고, 초과하지 않으면, 기지국(201)은 단계(4)로 진행한다. 단계(3)로 진행한 이후에, 기지국(201)은 상기 설명한 개별 채널 변경 준비 응답(RP2)을 전송하고, 단계(4)로 진행한 이후에, 기지국(201)은 개별 채널 변경 준비 응답(RP2)을 전송하고, 그로 인해, 잔류 채널 체크를 종료한다.
기지국(201)으로부터 개별 채널 변경 준비 응답(RP2)의 전송에 응답하여, 모드 설정 수단(303)은 동작 모드를 설정하기 위해 제어국(204)내에서 동작하고, 그로 인해, 동작 모드는 타이밍 명세 모드(timing specification mode)로 설정된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제어국(204)은 기지국(201) 및 이동국(202)에 각각 개별 채널 변경 명령(ID4)을 전송하고, 타이밍(t)을 지정한다. 개별 채널 변경 명령(ID4, ID5)을 전송함으로써, 제어국(204)은 개별 채널을 변경하도록 기지국(201) 및 이동국(202)에 지시하고, 그러면, 기지국(201) 및 이동국(202)은 타이밍(t)에서 동시에(한번에) 개별 채널 변경(CH3)을 수행한다. 그러면, 이동국(202)은 제어국(204)에 개별 채널 변경 완료 통지(IF1)를 전송하고, 그로 인해, 개별 채널 변경 동작은 종료한다.
상술한 것처럼, 타이밍(t)을 지정하는 개별 채널 변경 명령(ID4)은 도 8에 도시된 동작 절차에서 또한 전송되고, 그로 인해, 기지국(201) 및 이동국(202)은 타이밍(t)에서 개별 채널을 동시에 변경한다. 그러나, 도 8의 동작 절차에 있어서, 기지국(201)에서 무선 리소스의 존재에 관한 결정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모드 설정 수단(303)은 제어국(204)에 제공되지 않는다. 그로 인해, 기지국(201) 및 이동국(202)은 통신 개별 채널과 상이한 개별 채널이 설정될 수 있는 것과 무관하게 타이밍(t)에서 개별 채널을 변경하고, 그 결과로서, 확보 가능한 이중 보유 기간이 제어국(204)에서 안정되지 않는다.
반면에, 도 6에 도시된 절차에 있어서, 타이밍(t)에서 개별 채널을 변경하는 타이밍 명세 모드는 기지국(201) 측에서 무선 리소스가 존재하지 않음이 결정될 때만, 또는 바꾸어 말하면, 통신 개별 채널이 설정될 때만 설정된다. 무선 리소스가 사용 가능하다면, 제 3 내지 제 5 동작 절차들에 따라 개별 채널 보유 동작이 실행되고, 이에 따라, 상술한 동작들 및 효과들이 나타날 수 있도록 이중 보유 기간을 보장한다.
따라서, 상술한 본 발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많은 방법으로 변경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경안들은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고, 그러한 모든 변경안들이 다음 청구 범위의 범주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는 점을 당업자는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무선 채널이 통신 동안 변경될 때의 응답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기지국과 이동국에서 비매칭된 조건들을 제거할 수 있는 이동 통신 시스템과 이런 이동 통신 시스템에 포함된 제어국을 제공한다.

Claims (5)

  1. 제어국, 기지국 및 이동국을 구비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어국은 상기 기지국을 통해 상기 이동국과의 개별 채널을 설정하는,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국은, 제 2 개별 채널이 설정된 이후 소정 기간동안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개별 채널들을 보유하는 방식으로, 제 1 개별 채널을 통해 통신 동안 상기 제 1 개별 채널에 다른 상기 제 2 개별 채널을 설정하는, 개별 채널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채널 제어 수단은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개별 채널들을 보유하고, 이에 의해, 상기 제 2 개별 채널을 설정으로부터,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개별 채널 변경 완료 통지 또는 변경 불가 통지를 상기 제어국에서 수신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개별 채널들을 통해 통신이 실행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국은 동작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모드 설정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모드 설정 수단은 상기 통신 개별 채널에 상기 상이한 상기 개별 채널을 설정하는 무선 리소스의 존재가 통지될 때 상기 개별 채널 제어 수단을 활성화하는 개별 채널 보유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무선 리소스의 부재가 통지될 개별 채널 변경 타이밍을 상기 기지국 및 상기 이동국에 통지하는 타이밍 명세 모드를 설정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4. 제어국, 기지국 및 이동국을 구비하는 제어국으로서, 상기 기지국을 통해 상기 이동국과의 개별 채널을 설정하는 상기 제어국에 있어서,
    제 2 개별 채널이 설정된 이후 소정 기간동안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개별 채널들을 보유하는 방식으로, 제 1 개별 채널을 통해 통신 동안 상기 제 1 개별 채널에 다른 상기 제 2 개별 채널을 설정하는, 개별 채널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제어국.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국은 동작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모드 설정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모드 설정 수단은 상기 통신 개별 채널에 상기 상이한 상기 개별 채널을 설정하는 무선 리소스의 존재가 통지될 때 상기 개별 채널 제어 수단을 활성화하는 개별 채널 보유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무선 리소스의 부재가 통지될 때 개별 채널 변경 타이밍을 상기 기지국 및 상기 이동국에 통지하는 타이밍 명세 모드를 설정하는, 제어국.
KR1020040043225A 2003-06-11 2004-06-11 이동 통신 시스템 및 제어국 KR1006352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66942A JP4199603B2 (ja) 2003-06-11 2003-06-11 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制御局
JPJP-P-2003-00166942 2003-06-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6264A true KR20040106264A (ko) 2004-12-17
KR100635247B1 KR100635247B1 (ko) 2006-10-19

Family

ID=33296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3225A KR100635247B1 (ko) 2003-06-11 2004-06-11 이동 통신 시스템 및 제어국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406326B2 (ko)
EP (1) EP1487229B1 (ko)
JP (1) JP4199603B2 (ko)
KR (1) KR100635247B1 (ko)
CN (1) CN100346667C (ko)
DE (1) DE602004011427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1673A (ko) * 2004-08-16 2006-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및 멀티캐스트(mbms) 서비스를 위한 무선 통신시스템 및 방법
US8737402B2 (en) * 2005-05-11 2014-05-2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ulti-carrier scheduling
US20070142071A1 (en) * 2005-12-20 2007-06-21 Hart Thomas B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establishment of a communication resource
US8917673B2 (en) 2006-07-14 2014-12-23 Qualcomm Incorporation Configurable downlink and uplink channels for improving transmission of data by switching duplex nominal frequency spacing according to conditions
WO2008052383A1 (en) * 2006-10-30 2008-05-08 Huawei Technologies Co., Ltd. Load control of ue mbms measurement reporting
EP2084922A1 (en) * 2006-10-31 2009-08-05 Thomson Licensing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map for mobile reception at each cell tower
JP4828386B2 (ja) * 2006-11-29 2011-11-30 京セラ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基地局及び通信方法
JP4845719B2 (ja) * 2006-12-25 2011-12-28 京セラ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基地局、端末及び通信方法
WO2008066120A1 (fr) * 2006-11-29 2008-06-05 Kyocera Corporation Système de communications, station de base, terminal et procédé de communication
CN101442734B (zh) * 2007-11-23 2010-12-2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用于WiMAX系统的多业务流操作的优化方法
JP4632104B2 (ja) * 2008-07-28 2011-02-16 ソニー株式会社 通信方法及び通信端末装置
JP4846047B2 (ja) * 2010-08-11 2011-12-28 京セラ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基地局、端末及び通信方法
WO2012022822A1 (en) * 2010-08-18 2012-02-23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networks
KR101910827B1 (ko) * 2017-01-06 2018-10-24 (주)언맨드솔루션 자율 주행 차량용 변속 제어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16504A1 (en) 1998-09-16 2000-03-23 Nokia Networks Oy A method of base station reconfiguration
JP2000175258A (ja) * 1998-12-01 2000-06-23 Nec Commun Syst Ltd 通話チャネル切り替え方式および方法
DE60023334T2 (de) * 1999-11-17 2006-07-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Beschleunigungsabhängige kanalumschaltung in mobilen telekommunikationsnetzen
GB2368234A (en) * 2000-10-10 2002-04-24 Ericsson Telefon Ab L M Channel switching in a UMTS network
JP3583401B2 (ja) 2000-12-19 2004-11-0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チャネル切換方法、移動通信システム、基地局及び移動局
BR0101757B1 (pt) * 2001-04-05 2008-11-18 sistema de bombeamento de àleo para compressor hermÉtico alternativo.
JP3630134B2 (ja) * 2001-11-28 2005-03-16 日本電気株式会社 チャネル切替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移動通信端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199603B2 (ja) 2008-12-17
DE602004011427T2 (de) 2009-02-26
CN1592479A (zh) 2005-03-09
US7406326B2 (en) 2008-07-29
JP2005006019A (ja) 2005-01-06
CN100346667C (zh) 2007-10-31
DE602004011427D1 (de) 2008-03-13
EP1487229A1 (en) 2004-12-15
EP1487229B1 (en) 2008-01-23
US20040266448A1 (en) 2004-12-30
KR100635247B1 (ko) 2006-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3524B2 (en) Radio access network apparatus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EP0881852B1 (en) Low traffic handoff method for CDMA cellular network using different frequencies among base stations
KR100635247B1 (ko) 이동 통신 시스템 및 제어국
US20190200266A1 (en) Access network switching method in heterogeneous radio access network and user equipment performing the same
WO2021232910A1 (zh) 一种网络接入方法及通信装置
KR20010032521A (ko) 부호 분할 다원 접속 이동 전기 통신용 다단계 다이버시티조정 방법 및 장치
JPH11164346A (ja) 移動通信システム
US20070222852A1 (en) Method for providing video communication service, and terminal and system therefor
JPH1132370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移動加入者交換機、マルチキャスト通信方法および記憶媒体
JP3458803B2 (ja) 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回線接続制御方法
EP4366455A1 (en) Communication method, resource configuration method, device, network node, system, and medium
WO2023116338A1 (zh) N2切换的实现方法、会话管理功能网元、网络设备和介质
WO2020113520A1 (zh) 用于建立连接的方法、网络设备和终端设备
WO2022083411A1 (zh) 辅小区变换的错误类型的判定方法及设备
WO2021088642A1 (zh) 一种辅基站变更方法、主基站、辅基站和终端
JP2002238074A (ja) 移動通信システム
CN101998548A (zh) 无线链路管理方法、装置和系统
JP2002135823A (ja) ハンドオーバ方法および移動通信システム
US2004007736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group of subscribers with access to a wireless telecommunication system
KR100525382B1 (ko) Cdma 통신 시스템의 핸드오프 방법
US8549179B2 (en) Collaborative state machine framework for use in a communication network
JP2000278741A (ja) セル半径の制御方法
JP2001177858A (ja) 移動体通信ハンドオフ方法
JPH1098756A (ja) 簡易型携帯電話端末
KR100408046B1 (ko) 이동 통신망에서 하드 핸드오버가 수행될 때 데이터 호유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