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3829A - 인터넷을 이용한 반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반주 서비스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터넷을 이용한 반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반주 서비스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3829A
KR20040103829A KR1020040087779A KR20040087779A KR20040103829A KR 20040103829 A KR20040103829 A KR 20040103829A KR 1020040087779 A KR1020040087779 A KR 1020040087779A KR 20040087779 A KR20040087779 A KR 20040087779A KR 20040103829 A KR20040103829 A KR 200401038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ong
source information
user
accompani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7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자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토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토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토토
Priority to KR1020040087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03829A/ko
Publication of KR20040103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382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inance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노래에 대해 상이한 품질을 갖는 복수 개의 음악 소스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특정 품질이 음악 소스 정보가 재생되도록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반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반주 서비스 제공 방법은,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하나의 노래 식별자에 대해서 상이한 품질을 갖는 복수 개의 음악 소스 정보를, 소정의 음원 제공자로부터 수신 받는 단계와, 상기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상기 수신된 음악 소스 정보를 상기 노래 식별자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와, 상기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상기 노래 식별자에 대한 입력 신호를 소정의 사용자로부터 수신 받는 단계와, 상기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상기 입력 신호의 노래 식별자에 대응하는 적어도 일부의 음악 소스 정보를 상기 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음악 소스 정보에 대한 목록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상기 목록 정보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선택과 연동하여, 선택된 품질의 상기 음악 소스 정보가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노래에 대해서 상이한 품질을 갖는 복수 개의 음악 소스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특정 품질의 음악 소스 정보가 재생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취향에 최적한 음질의 반주를 출력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반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인터넷을 이용한 반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CCOMPANIMENT SERVICE VIA THE INTERNET}
본 발명은 반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노래에 대해 상이한 품질을 갖는 복수 개의 음악 소스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특정 품질이 음악 소스 정보가 재생되도록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반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 상에서의 데이터 전송 기술 및 멀티미디어 재생 기술의 발달과 함께 기존에 오프라인에서만 서비스 제공되었던 노래 반주 서비스를 인터넷을 통한 원격 노래 반주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통상적인 원격 노래 반주 서비스에서는 사용자가 선택한 노래 곡명을 네트워크 상의 원격지의 사용자 단말기에서 소리(반주)로서 최적하게 출력되도록 하는 데에 주로 관심을 가져 왔으며, 반주의 음질에 대한 기술 개발은 비교적 미미한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것이 주지의 사실이다.
이러한 환경하에서, 종래의 노래 반주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반주의 음질은. 단일 품질을 갖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로 인해 제공되는 품질보다 좋은 품질의 반주를 원하는 사용자의 요구를 최적하게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우수한 노래 반주 서비스 장비를 사용하여 반주의 음질을 향상시키고, 향상된 반주를 사용자에게 출력되도록 하는 노래 반주 서비스의 경우에는 반주의 재생 시에 비교적 많은 비용이 필연적으로 사용자에게 요구된다. 이러한 고음질의 노래 반주 서비스 시에, 서비스 이용자 중에서 음질보다는 저렴한 서비스 비용을 중요하게 고려하는 사용자가 있을 경우, 상기와 같은 고음질의 서비스 하에서는 저렴한 서비스 비용을 중시하는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없게 된다.
만약, 고음질의 반주와 저음질의 반주를 이원화(또는 그 이상)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하는 노래 반주 서비스가 있다면, 음질의 품질을 중시하는 사용자 뿐만 아니라 저렴한 비용을 중시하는 사용자 모두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하나의 노래에 대해 상이한 품질을 갖는 음악 소스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특정된 품질의 음악 소스가 재생되도록 하는 새로운 개념의 노래 반주 서비스 모델의 등장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더불어, 노래 곡명에 선택 뿐만 아니라, 반주되는 노래의 음질에 대한 선택을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수행되도록 함으로서 사용자의 취향을 최대한 보장하는 노래 반주 서비스 모델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하나의 노래에 대해서 상이한 품질을 갖는 복수 개의 음악 소스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특정 품질의 음악 소스 정보가 재생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취향에 최적한 음질의 반주를 출력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반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단말기로의 텍스트 입력에 따른 노래 곡명의 검색은 물론, 검색된 곡명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반주의 연주가 개시되도록 함으로써 간편한 검색/재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반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가창 소리와 반주 소리를 함께 기록하여 노래 정보로 합성하고, 압축 처리 후 네트워크 상의 원격지로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자신이 노래한 소리에 대한 다양한 형태의 응용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반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구성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b는 노래 식별자에 대한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작성되는 목록 정보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주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작업 흐름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노래 곡명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는 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작업 흐름도이고, 도 5b는 음악 소스 정보에 대한 사용자 선택에 따라 과금 비용을 결제하는 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작업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생성된 노래 정보를 소정의 원격지로 전송시키는 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작업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반주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데 채용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 210 : 제1 인터페이스
220 : 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 230 : 제2 인터페이스
240 : 음원 목록 생성기 250 : 음원 재생기
260 : 과금 제어기 270 : 노래 검색기
280 : 녹음 저장기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반주 서비스 제공 방법은,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하나의 노래 식별자에 대해서 상이한 품질을 갖는 복수 개의 음악 소스 정보를, 소정의 음원 제공자로부터 수신 받는 단계와, 상기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상기 수신된 음악 소스 정보를 상기 노래 식별자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와, 상기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상기 노래 식별자에 대한 입력 신호를 소정의 사용자로부터 수신 받는 단계와, 상기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상기 입력 신호의 노래 식별자에 대응하는 적어도 일부의 음악 소스 정보를 상기 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음악 소스 정보에 대한 목록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상기 목록 정보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선택과 연동하여, 선택된 품질의 상기 음악 소스 정보가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으로서, 인터넷을 이용한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하나의 노래 식별자에 대해서 상이한 품질을 갖는 복수 개의 음악 소스 정보를, 소정의 음원 제공자로부터 수신 받는 제1 인터페이스와, 상기 수신된 음악 소스 정보를 상기 노래 식별자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노래 식별자에 대한 입력 신호를 소정의 사용자로부터 수신 받는 제2 인터페이스와, 상기 입력 신호의 노래 식별자에 대응하는 적어도 일부의 음악 소스 정보를 상기 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음악 소스 정보에 대한 목록 정보를 상기 제2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음원 목록 생성기 및 상기 목록 정보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선택과 연동하여, 선택된 음악 소스 정보를 재생시켜 해당 품질의 반주가 생성되도록 제어하는 음원 재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인터넷을 이용한 반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지속적으로 사용되는 음악 소스 정보는 아날로그 노래 또는 반주음을 디지털화하여 압축한 것으로, 기존의 레코드(record)나 테이프 레코드(tape record) 등과 달리 보존성 및 음질 품질이 우수하여 근래 들어 디지털 음악의 전송 매체로서 다양하게 상용되고 있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는 하나의 노래 식별자에 대해서 상이한 음악 품질을 갖는 복수 개의 음악 소스 정보를 소정의 음원 제공자(예, 음원 생성 업자, 음원 가공 업자 등)로부터 제공받아 저장하고, 음악 소스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특정 품질의 음악 소스 정보가 재생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노래 식별자는 음악 소스 정보의 재생에 따라 생성되는 반주, 노래음 등을 대표하는 기호 코드의 일종으로, 예컨대 노래 곡명, 가수명, 앨범 명칭 등으로 예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하나의 노래에 대해 상이한 음악 품질을 갖는 복수의 음악 소스 정보를 구비하고, 사용자(130)의 선택에 따라 특정 품질의 음원 소스 정보가 재생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우선, 반주 서버(110)는 노래 연습이나 노래 가창을 위해 요구되는 반주에 관한 정보를 통신망(140)을 통해 사용자(130)에게 제공하거나, 소정의 검색 툴(tool)을 제공하여 사용자(130)로 하여금 반주에 관한 정보를 용이하게 검색되도록 하는 서비스 지원 웹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즉, 반주 서버(110)는 인터넷을 통해서 반주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사용자(130)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며, 반주에 관한 정보를 일목 요원하게 정리하여 인터넷 상으로 사용자(130)에게 제공함으로써 인터넷을 통한 반주 서비스의 활성화를 도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반주 서버(110)는 사용자(130)에 의해 선택된 소정 품질의 음악 소스 정보를 예컨대 음원 재생기(도 2 참조)에서 재생시켜, 해당 사용자(130)의 사용자 단말기(135) 상에서 반주가 소리로서 연주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130)로 하여금 노래할 수 있는 환경을 조정되도록 한다. 또한, 반주 서버(110)는 현재 연주되는 반주와 관련된 가사가 상기 음악 소스 정보의 재생 경과 시간에 연동하여 사용자 단말기(135)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반주 서버(110)에 의한 반주 서비스가 웹을 통한 사용자 단말기(130)에서 구현되는 것을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이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이며, 인터넷을 연결된 통상적인 노래방 기기에서도 상술한 것과 같은 반주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음원 축적 공간(120)은 소정의 노래, 반주를 디지털화한 음악 소스 정보를 축적, 저장하는 장치로서, 예컨대 소정의 음원 제공자(140)에 의해 관리되는 데이터베이스 장치일 수 있다. 특히, 음원 제공자(140)는 아날로그 형식의 노래를 소정의 디지털 압축 방식(MPEG 등)을 적용하여 작은 크기의 디지털로 가공한 음악 소스 정보를 생성하되, 하나의 노래에 대해서 초당 샘플링 수, 샘플 당 비트 수 및 음성의 압축률을 조정하여 복수 개의 품질을 갖는 음악 소스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또한, 음원 축적 공간(120)은 이러한 상이한 품질을 갖는 음악 소스 정보를 유지하고, 소정의 제공 요구에 따라 소정 개의 음악 소스 정보를 본 발명의 반주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으로 제공되도록 한다.
사용자(130)은 본 발명의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과의 접속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135)를 보유하며, 반주 서버(110)와 통신망(150)으로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135)로 제공되는 반주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인터넷 이용자를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35)는 인터넷 등의 통신망(140)을 통해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과의 접속 상태를 유지하며, 반주 서버(110)에 의해 재생되는 음악 소스 정보가 소리의 반주로서 생성되도록 하고, 또한 상기 반주와 관련된 가사가 재생 경과 시간에 싱크되어 소정 화면 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135)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Smart phone), 핸드헬드(handheld) PC, 핸드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이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rDA), 유무선 랜카드와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소정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소정의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이다.
음원 제공자(140)는 하나의 노래에 대하여 복수 개의 음악 소스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하는 음악 콘텐츠 공급 업자의 총칭일 수 있으며, 예컨대 특정 노래에 대한 저작 권리자로서 소정의 계약 관계 하에서 본 발명의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으로 상이한 품질의 음악 소스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하나의 노래에 대해 상이한 품질의 음악 소스 정보에 관한 목록을 제공하고, 상기 목록에 포함되는 음악 소스 정보에 대한 사용자(130)의 선택에 따라 특정 품질의 반주가 생성되도록 하여 이원화된 반주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제1 인터페이스(210), 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220), 제2 인터페이스(230), 음원 목록 생성기(240), 및 음원 재생기(250)를 포함한다.
우선, 제1 인터페이스(210)는 하나의 노래 식별자에 대해서 상이한 품질을 갖는 복수 개의 음악 소스 정보를, 소정의 음원 제공자(140)로부터 수신 받는 장치이다. 즉, 제1 인터페이스(210)는 본 시스템의 운영자와 소정의 계약 관계가 있는 음원 제공자(140)에게 음원 소스 정보의 제공에 관한 요구를 전송하며, 상기 제공 요구에 응답하여 음원 기록 공간(120)에서 추출되는 음원 소스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공 요구는 예컨대, 노래 식별자(노래 곡명)에 기준하여 발생할 수 있으며, 예컨대 제1 인터페이스(210)로부터 노래 식별자 '난 알아요'에 대한 제공 요구가 발생하는 경우, 음원 제공자(140)는 상기 제공 요구에 응답하여 노래 식별자 '난 알아요'에 상응하여 가공된 복수 개의 품질을 갖는 음악 소스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220)는 수신된 음악 소스 정보를 노래 식별자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장치이다. 즉, 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220)는 음악 소스 정보를 식별하는 노래 식별자 및, 상이한 음악 품질을 갖는 복수 개의 음악 소스 정보를 관련된 하나의 노래 식별자에 대응하여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더불어, 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220)는 노래 식별자에 대응시켜 소정의 가사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가사 정보는 음악 소스 정보의 재생에 의해 생성되는 반주의 흐름에 따라 불릴 수 있는 노래 가사(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 발명의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반주가 사용자 단말기(135)의 소정 출력 수단(예, 스피커 등)에 의해 출력되는 동안에 시간적으로 일치되는 가사 정보를 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220)로부터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기(135)의 소정 표시 화면으로 표시되도록 하고 있다.
제2 인터페이스(230)는 노래 식별자에 대한 입력 신호를 사용자(130)로부터 수신 받는 장치로서, 사용자(130)가 반주를 필요로 하는 노래 곡명을 선택하는 것에 연동하여 사용자(130)가 재생하고자 하는 음악 소스 정보와 관련된 노래 식별자를 획득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입력 신호의 발생에 대해 특별하게 한정하지 않지만, 예컨대 노래 식별자 각각으로 사전에 코드 번호를 설정하고 이에 관한 정보를 제공 받는 사용자(130)로부터 임의의 코드 번호를 입력 받거나, 또는 사용자(130)가 소정의 입력창에 노래 식별자를 직접 기입하는 것에 의해 입력 신호가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외에, 사용자(130)가 노래 곡명에 대해 검색을 요청하는 경우, 검색 결과로서 제공된 노래 식별자 중에서 사용자(130)가 임의의 노래 식별자를 선택하는 것으로도 상기 입력 신호가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 인터페이스 수단(230)은 후술되는 음원 목록 생성기(240)에 의해 작성된 목록 정보를 사용자(130)에게 전송하고, 전송된 목록 정보에 대한 사용자(130)의 선택을 수신하는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음원 목록 생성기(240)는 입력 신호가 발생된 노래 식별자에 대응하는 적어도 일부의 음악 소스 정보를 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220)로부터 추출하고, 추출된 음악 소스 정보에 대한 목록 정보를 제2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사용자(130)에게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장치이다. 즉, 음원 목록 생성기(240)는 사용자(130)에 의해 선택된 노래 곡명과 관련된 복수 개의 품질을 갖는 음악 소스 정보를 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220)에서 인지하며, 인지된 음악 소스 정보에 관한 목록 정보(list)를 작성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노래 식별자에 대응하는 모든 품질의 음악 소스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예시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이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이며, 소정의 조건을 설정하여 예컨대, 가장 좋은 품질의 음악 소스 정보만이 제한적으로 추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조건은 시스템 환경을 고려한 본 시스템의 운영자에 의해 유연하게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음원 재생기(250)는 목록 정보에 대한 사용자(130)의 선택과 연동하여, 선택된 음악 소스 정보를 재생시키고, 재생된 음악 소스 정보의 해당 품질로 반주가 생성되도록 제어하는 장치이다. 즉, 음원 재생기(250)는 목록 정보에 포함된 음악 소스 정보 중에서 사용자(130)가 선택한 음악 소스 정보를 식별하고, 식별된 음악 소스 정보를 재생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130)가 원하는 품질의 반주가 사용자 단말기(135)에서 소리로서 출력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반주되는 노래 뿐만 아니라, 반주의 음악 품질에 대해서도 사용자(130)의 능동적인 선택을 보장 함으로써 사용자(130) 취향에 맞는 다양한 음원을 제공하며 반주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를 극대화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사용자(130) 선택에 따라 반주의 품질을 조정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를 설명한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구성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b는 노래 식별자에 대한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작성되는 목록 정보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220)는 하나 이상의 노래 식별자와, 이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 개의 품질을 갖는 음악 소스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사용자(130)에 의해 입력 신호가 발생한 노래 식별자를 획득하는 경우, 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220)에 의거하여 재생되어야 할 음악 소스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반주 서버(110)에 접속한 사용자(130)가 사용자 단말기(135) 상에 구현된 소정의 입력창에 가 '난 알아요' 및 '희야'라는 노래 식별자를 기입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때, 음원 목록 생성기(240)는 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220)로부터 노래 식별자 '난 알아요'에 대응되는 '서태지 1-02 품질 上', '서태지 1-02 품질 中', '서태지 1-02 품질 下'의 3개의 음악 소스 정보를 추출하게 된다. 또한, 시스템 운영자에 의해 추출되는 조건으로 '품질 MR 만을 추출'이라고 설정되는 경우, 음원 목록 생성기(240)는 '부활 1-01 품질 MR'이(MR : Music Recording) 제한적으로 추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추출된 음악 소스 정보에 대한 목록 정보를 작성하고, 입력 신호를 발생한 사용자(130)의 사용자 단말기(135)로 상기 작성된 목록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도 3b에서는 노래 식별자 '난 알아요' 및 '희야'에 각각 대응하여 추출된 음악 소스 정보에 대한 목록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135)의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즉, 목록 정보는 사용자(120)가 반주를 원하는 노래 식별자에 대해 재생이 가능한 다양한 품질의 음악 소스 정보에 관한 리스트로서, 도 3b에서의 목록 정보는 노래 식별자 '난 알아요'에 의해 추출된 3개의 음악 소스 정보에 대한 리스트 및 노래 식별자 '희야'에 의해 선별적으로 추출된 1개의 음악 소스 정보에 대한 리스트를 포함하게 된다. 이러한 목록 정보는 사용자(130)에게 반주가 가능한 노래 곡명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동시에, 서비스 지원되는 반주의 다양한 품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후, 목록 정보를 제공 받은 사용자(130)에 의해 특정 하나의 음악 소스 정보에 대한 선택이 이루어지는 경우,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해당 음악 소스 정보가 음원 재생기(250)에 의해 재생되도록 하면서 해당 품질의 반주가 사용자 단말기(135)에 소리로서 출력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또한,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음악 소스 정보의 재생과 관련되어 소정의 금액을 과금하는 과금 제어기(260), 사용자(130)가 찾고자 하는 노래 곡명을 검색하는 노래 검색기(270), 및 생성되는 반주 정보와 사용자(130)의 음성 정보를 합성하여 노래 정보로 생성하는 녹음 저장기(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이들 장치들은 특정 노래 식별자에 대해 복수 개의 상이한 품질을 갖는 음악 소스 정보를 제공하는 반주 서비스에 있어서,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우선, 과금 제어기(260)는 목록 정보에 대한 사용자(130)의 선택에 따라 소정 품질의 음악 소스 정보를 재생하는 것과 관련되어 설정된 금액을 결제 처리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해,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목록 정보에 포함되는 노래 식별자 각각으로 비용 정보가 포함되도록 할 수 있으며, 노래 식별자에 대한 사용자(130)의 선택과 연동하여 관련된 비용 정보가 과금 비용으로 결정되도록 한다. 예컨대, 사용자(130)에 의해 실제 반주와 같은 고음질(MR)인, 노래 식별자 '희야'의 '부활 1-01 품질 MR'이 선택되는 경우, 과금 제어기(260)는 목록 정보에 기 설정된 비용 정보 '1,200원'을 과금 비용으로 소정의 사용자 계좌로부터 차감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1회의 선택에 따라 설정된 비용 정보가 사용자 계좌로부터 실시간으로 차감하는 것을 예시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이외에 일정 기간 동안의 사용자(130)의 선택에 따라 발생된 과금 비용을 누산하고, 소정 경과 시점에서 일괄적으로 결제 처리되도록 하는 등의 다양한 과금 결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당업자에게 당연하다 할 것이다.
노래 검색기(270)는 사용자 단말기(135)에 입력된 텍스트 정보를 가사 정보의 일부로서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노래 식별자를, 음악 정보 데이터베이스(220)로부터 추출하는 장치이다. 즉, 노래 검색기(270)는 사용자(130)가 사용자 단말기(135)에 입력한 텍스트를 노래의 일부로 갖는 노래 식별자를 검색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노래 검색기(270)에 의해 추출되는 노래 식별자의 수는, 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220)에 유지되는 노래 식별자의 수 및 이에 대응하는 가사 정보의 수에 따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며, 또는 본 발명의 시스템 운영자는 시스템 환경을 고려하여 추출되는 노래 식별자를 선별하거나 노래 식별자의 수를 임의로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시스템 운영자는 사용자 단말기(135)에 입력된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모든 노래 식별자가 추출되도록 소정의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녹음 저장기(280)는 사용자 단말기(135)에서 출력되는 반주 정보와, 이러한 반주에 따라 가창하는 사용자(130)의 음성 정보를 합성하여 웨이브(wave) 형식의 노래 정보를 생성하는 장치이다. 즉, 녹음 저장기(280)는 소정의 입력 수단(예, 마이크)에 의해 수집되는 사용자(130)의 노래 음성과 생성되는 반주를 실시간으로 기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녹음 저장기(280)는 소정의 변환 처리를 통해 웨이브 형식의 노래 정보를 MPEG-3 형식으로 전환하여 최적한 압축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MPEG-3로 전환된 노래 정보는 네트워크 상의 원격지, 예컨대 개인 블로그, 전자 메일, 벨소리 관리 서버, 컬러링 관리 서버 등으로 전송시켜 사용자(130)의 개인 휴대 통신기에 벨소리나 컬러링 음 등의 다른 용도로 활용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의 작업 흐름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주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작업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반주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술한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에 의해 수행된다.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하나의 노래 식별자에 대해서 상이한 품질을 갖는 복수 개의 음악 소스 정보를, 소정의 음원 제공자(140)로부터 수신 받는다(S410). 본 단계(S410)는 음악 품질이 서로 상이한 음악 소스 정보를 유지하는 음원 기록 공간(120)으로부터, 특정 노래 식별자에 대한 복수 개의 음악 소스 정보를 수신 받는 과정이다. 여기서, 음악 소스 정보의 품질은 초당 샘플링 수, 샘플 당 비트 수, 및 음성의 압축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초당 샘플링 수가 특정 수치 범위에 위치하는 것에 따라 음성 소스 정보를 '품질 上中下'로 결정할 수 있으며, 샘플 당 비트수가 소정 수에 대한 초과 여부에 따라 '품질 MR(고음질)/품질 AOD(저음질)' 등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수신된 음악 소스 정보를 노래 식별자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220)를 유지한다(S420). 본 단계(S420)는 노래 식별자 및 상기 노래 식별자와 관련이 있는 복수 개의 음악 소스 정보를 상관하여 저장하는 과정으로, 예컨대 도 3a에서와 같이, 노래 식별자 '희야'에 대응하여 '부활 1-01 품질 MR'(고음질) 및 '부활 1-01 풀질 AOD'(Audio On Demand:저음질)의 음악 소스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다음으로,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노래 식별자에 대한 입력 신호를소정의 사용자(130)로부터 수신 받는다(S430). 본 단계(S430)는 사용자(130)로부터 반주되기 원하는 노래 곡명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노래 곡명에 해당하는 노래 식별자를 획득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노래 식별자의 획득은, 상술한 바와 같이, 사전에 설정된 코드 번호의 입력을 통해 노래 식별자를 획득하거나 소정 입력창에 기입되는 노래 식별자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소정의 노래 곡명에 대한 검색 작업에 따라 검색 결과로서 추출된 노래 식별자를 이용하여, 특정 노래 식별자에 대한 입력 신호가 자동으로 생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도 5a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노래 곡명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는 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작업 흐름도이다.
우선,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사용자(130)로부터 소정의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검색 요청을 수신한다(S531). 본 단계(S531)는 사용자 단말기(135)에 구동되는 소정의 검색창에 텍스트 정보를 입력함에 따라 생성되는 사용자(130)의 검색 요청을 인지하는 과정이다. 특히, 사용자(130)로부터 입력 받는 텍스트 정보는 노래 가사의 일부일 수 있으며,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노래 가사의 일부분인 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130)가 찾고자 하는 노래 곡명을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220)는 노래 식별자에 대응시켜 소정의 가사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발생한 검색 요청에 응답하여 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220)로부터 노래 식별자를 추출한다(S532).본 단계(S532)는 상기 수신된 텍스트 정보를 일부로 포함하는 가사 정보에 대응하는 노래 식별자를 추출하는 과정으로, 사용자(130)가 사용자 단말기(135) 상에 입력된 텍스트 정보를, 가사 정보로 포함하는 적어도 일부 또는 모든 노래 식별자가 추출되도록 한다.
계속해서,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추출된 노래 식별자를 사용자(130)에게 전달한다(S533). 본 단계(S533)는 추출된 노래 식별자 또는 노래 식별자에 관한 리스트를 검색을 요청한 사용자(130)에 검색 결과로서 제공하는 과정이다. 특히, 본 단계(S533)에서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검색 결과로 추출된 노래 식별자에 대해서 상기 입력 신호가 자동으로 발생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입력 신호를 수신 받는 단계(S430)에서 수행되던 노래 식별자의 획득 과정이 사용자(130)의 선택 없이도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130)는 자신이 찾고자 하는 노래 곡명의 가사 일부를 사용자 단말기(130)에 텍스트 입력하는 것만으로 해당 가사를 포함하는 노래에 대한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130)에게 노래 검색에 있어 보다 정확하면서도 편리한 검색 방식을 제공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입력 신호의 발생에 대한 다른 일예로서,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전달된 하나 이상의 노래 식별자 중에서 임의의 노래 식별자에 대한 사용자(130)의 선택에 따라 생성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도록 제어한다(S534). 본 단계(S534)는 검색 결과로서 사용자(130)에게 정보 제공된 하나 이상의 노래 식별자 중에서 사용자(130)가 소정의 노래 식별자를 선택함으로써 해당 노래 식별자에 대한 입력 신호가 발생되도록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노래 곡명에 대한 검색과 함께, 반주되도록 하는 노래 곡명에 대한 선택을 동시에 할 수 있어, 서비스 사용에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게 된다.
다시, 도 4를 살펴 보면,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입력 신호의 노래 식별자에 대응하는 적어도 일부의 음악 소스 정보를 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220)로부터 추출하고, 추출된 음악 소스 정보에 대한 목록 정보를 사용자(130)에게 전송한다(S440). 본 단계(S440)는 입력 신호가 발생된 노래 식별자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음악 소스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음악 소스 정보에 관한 목록 정보를 작성하는 과정이다. 특히, 본 단계(S440)에서의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추출되는 음악 소스 정보가 소정의 조건에 의해 제한적으로 추출되도록 할 수 있어, 본 시스템의 운영자의 영업 전략에 맞거나 또는 사용자(130)의 취향에 맞은 음악 소스 정보가 선별되도록 할 수 있다.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목록 정보에 대한 사용자(130)의 선택과 연동하여, 선택된 품질의 음악 소스 정보가 재생되도록 제어한다(S450). 본 단계(S450)는 사용자(130)가 선택한 품질의 음악 소스 정보를 음원 재생기(250)의 제어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35)에서 소리로서 출력되도록 하는 과정이다. 또한, 본 단계(S450)에서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음악 소스 정보에 대한 사용자(130)의 선택에 따라 설정되는 비용이 과금되도록 하되, 재생되는 음악 소스 정보의 품질에 따라 과금 비용의 차등이 생기도록 하고 있다. 이하, 도 5b를 참조하여 과금 비용의 발생에 대해 설명한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음악 소스 정보에 대한 사용자 선택에 따라 과금 비용을 결제하는 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작업 흐름도이다.
우선,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사용자(130)의 선택이 이루어진 음악 소스 정보의 비용 정보에 대한 결제 여부를 판단한다(S551). 본 단계(S551)는 목록 정보에 포함되는 비용 정보에 의거하여 선택된 음악 소스 정보에 대응하는 비용을 인지하고, 인지된 비용이 결제 처리되었는가를 확인하는 과정이다. 즉, 본 단계(S551)에서의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음악 소스 정보에 대한 사용자(130)의 선택과 연동하여, 사용자의 계좌로부터 비용 정보와 관련된 금액이 정상적으로 차감되는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판단 결과,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결제가 이루어진 음악 소스 정보에 한하여 재생이 수행되도록 한다(S552). 본 단계(S552)는 과금 처리가 확인된 음악 소스 정보에 대해 음원 재생기(250)에 의한 재생을 허용하는 과정이다.
반면, 상기 판단 결과,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결제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 사용자(130)에게 해당 음악 소스 정보의 재생 불가에 관한 정보가 제공되도록 한다(S553). 본 단계(S553)는 사용자 계좌에 보유되는 잔액이 결제해야 할 비용 보다 적을 경우, 해당 음악 소스 정보에 대한 재생이 불허되도록 하는 과정으로, 사용자(130)에는 재생 불가의 이유와 함께 예컨대, 사용자 계좌로의 추가적인 입금 안내나 다른 결제 방식의 안내 등이 통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사용자의 가창 소리와 반주 소리를 합성하여 MPEG-3 형식의 노래 정보를 생성하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생성된 노래 정보를 소정의 원격지로 전송시키는 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작업 흐름도이다.
우선,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음악 소스 정보의 재생에 의해 생성되는 반주 정보에, 소정의 음성 입력 수단에 의해 수집된 사용자(130)의 음성 정보를 시간적으로 싱크시켜 소정의 노래 정보를 합성한다(S610). 본 단계(S610)는 상기 반주에 따라 노래를 부르는 사용자(130)의 가창 소리를 음성 입력 수단(예, 마이크)을 이용하여 수집하고, 수집된 음성 정보와 생성된 반주 정보를 실시간으로 녹음하고 이를 노래 정보로서 합성하는 과정이다.
또한,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합성된 노래 정보를 소정의 압축 처리를 통해 MPEG 3-형식으로 전환한다(S620). 본 단계(S620)는 음성을 실시간으로 녹음하여 기록된 WAVE 형식의 노래 정보를, 우수한 압축률과 복원률을 갖는 MPEG 형식으로 변환하는 과정이다.
계속해서,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형식 전환된 노래 정보를 네트워크 상의 원격지로 전송되도록 한다(S630). 본 단계(S630)는 네트워크 상으로 전송에 있어 손실률이 적은 MPEG-3 형식을 노래 정보를 사용자(130)에 원하는 임의의 위치로 전송시키는 과정이다. 여기서, 원격지는 설정된 네트워크 주소에 의해 네트워크 상의 위치를 식별하는 블로그, 전자 메일, 벨소리 관리 서버, 컬러링(Ring-Back Tone) 관리 서버 등일 수 있다. 이후, 사용자(130)는 원격지로 전송한 노래 정보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부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개인 블로그에 상기 노래 정보를 배경 음악으로 이용하거나 전자 메일을 통한 전송, 또는 전화벨 소리 또는 컬러링 소리가 노래 정보로 대체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반주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데 채용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컴퓨터 장치(700)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720)과 롬(ROM: Read Only Memory)(730)을 포함하는 주기억장치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71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710)는 중앙처리장치(CPU)로 불리기도 한다. 본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롬(730)은 데이터(data)와 명령(instruction)을 단방향성으로 CPU에 전송하는 역할을 하며, 램(720)은 통상적으로 데이터와 명령을 양방향성으로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램(720) 및 롬(730)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어떠한 적절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Mass Storage)(740)는 양방향성으로 프로세서(710)와 연결되어 추가적인 데이터 저장 능력을 제공하며, 상기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중 어떠한 것일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740)는 프로그램,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며, 통상적으로 주기억장치보다 속도가 느린 하드 디스크와 같은 보조기억장치이다. CD 롬(760)과 같은 특정 대용량 기억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710)는 비디오 모니터, 트랙볼, 마우스, 키보드, 마이크로폰, 터치스크린 형 디스플레이, 카드 판독기, 자기 또는 종이 테이프 판독기, 음성 또는 필기 인식기, 조이스틱, 또는 기타 공지된 컴퓨터 입출력장치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750)와 연결된다. 마지막으로, 프로세서(71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70)를 통하여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연결을 통하여 상기된 방법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된 장치 및 도구는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노래에 대해서 상이한 품질을 갖는 복수 개의 음악 소스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특정 품질의 음악 소스 정보가 재생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취향에 최적한 음질의 반주를 출력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반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로의 텍스트 입력에 따른 노래 곡명의 검색은 물론, 검색된 곡명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반주의 연주가 개시되도록 함으로써 간편한 검색/재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반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가창 소리와 반주 소리를 함께 기록하여노래 정보로 합성하고, 압축 처리 후 네트워크 상의 원격지로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자신이 노래한 소리에 대한 다양한 형태의 응용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반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블로그, 벨소리 서버 등 네트워크 상의 원격지로 전송된 노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노래 정보가 전화 단말 수단의 벨소리나 컬러링(RBT)에 삽입되도록 하거나, 개인 블로그에 배경 음악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Claims (10)

  1. 인터넷을 이용한 반주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하나의 노래 식별자에 대해서 상이한 품질을 갖는 복수 개의 음악 소스 정보를, 소정의 음원 제공자로부터 수신 받는 단계;
    상기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상기 수신된 음악 소스 정보를 상기 노래 식별자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상기 노래 식별자에 대한 입력 신호를 소정의 사용자로부터 수신 받는 단계;
    상기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상기 입력 신호의 노래 식별자에 대응하는 적어도 일부의 음악 소스 정보를 상기 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음악 소스 정보에 대한 목록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상기 목록 정보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선택과 연동하여, 선택된 품질의 상기 음악 소스 정보가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주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 소스 정보의 품질은 초당 샘플링 수, 샘플 당 비트 수, 및 음성의 압축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주 서비스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록 정보는 상기 추출된 음악 소스 정보 각각에 설정되는 비용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선택된 품질의 상기 음악 소스 정보가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선택이 이루어진 음악 소스 정보의 비용 정보에 대한 결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결제가 이루어진 음악 소스 정보에 한하여 상기 재생이 수행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결제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 상기 사용자에게 해당 음악 소스 정보의 재생 불가에 관한 정보가 제공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주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여부를 판단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음악 소스 정보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선택과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의 계좌로부터 상기 비용 정보와 관련된 금액이 차감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주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노래 식별자에 대응시켜 소정의 가사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노래 식별자에 대한 입력 신호를 소정의 사용자로부터 수신 받는 상기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검색 요청은 사용자 단말기에 구동된 소정의 검색창에 상기 텍스트 정보가 입력되는 것에 의해 생성됨 -;
    상기 검색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노래 식별자를 추출하는 단계로서, 상기 수신된 텍스트 정보를 일부로 포함하는 가사 정보에 대응하는 노래 식별자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노래 식별자를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주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된 하나 이상의 노래 식별자 중에서 임의의 노래 식별자에 대한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생성되는 상기 입력 신호를, 상기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주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 소스 정보의 재생에 의해 생성되는 반주 정보에, 소정의 음성 입력 수단에 의해 수집된 상기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시간적으로 싱크시켜 소정의 노래 정보를 합성하는 단계;
    상기 합성된 노래 정보를 소정의 압축 처리를 통해 MPEG 3-형식으로 전환하는 단계; 및
    형식 전환된 상기 노래 정보를 네트워크 상의 원격지로 전송되도록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주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지는 설정된 네트워크 주소에 의해 네트워크 상의 위치를 식별하는 블로그, 전자 메일, 벨소리 관리 서버, 컬러링(Ring-Back Tone) 관리 서버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주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0. 인터넷을 이용한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하나의 노래 식별자에 대해서 상이한 품질을 갖는 복수 개의 음악 소스 정보를, 소정의 음원 제공자로부터 수신 받는 제1 인터페이스;
    상기 수신된 음악 소스 정보를 상기 노래 식별자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노래 식별자에 대한 입력 신호를 소정의 사용자로부터 수신 받는 제2 인터페이스;
    상기 입력 신호의 노래 식별자에 대응하는 적어도 일부의 음악 소스 정보를 상기 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음악 소스 정보에 대한 목록 정보를 상기 제2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음원 목록 생성기; 및
    상기 목록 정보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선택과 연동하여, 선택된 음악 소스 정보를 재생시켜 해당 품질의 반주가 생성되도록 제어하는 음원 재생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040087779A 2004-11-01 2004-11-01 인터넷을 이용한 반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반주 서비스제공 시스템 KR200401038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7779A KR20040103829A (ko) 2004-11-01 2004-11-01 인터넷을 이용한 반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반주 서비스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7779A KR20040103829A (ko) 2004-11-01 2004-11-01 인터넷을 이용한 반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반주 서비스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3829A true KR20040103829A (ko) 2004-12-09

Family

ID=37379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7779A KR20040103829A (ko) 2004-11-01 2004-11-01 인터넷을 이용한 반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반주 서비스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0382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89608A (zh) * 2019-08-22 2021-03-12 北京峰趣互联网信息服务有限公司 生成歌曲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89608A (zh) * 2019-08-22 2021-03-12 北京峰趣互联网信息服务有限公司 生成歌曲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73230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real-time feedback for karaoke
US8046689B2 (en) Media presentation with supplementary media
RU2381548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предназначенные для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информации, связанной с музыкой, с помощью использования dna аудио
KR20080079182A (ko) 협연용 악곡 재생 시스템, 프로그램 재생기, 악곡 데이터분배기 및 프로그램 생성기
JPH09244900A (ja) 通信カラオケ装置、通信カラオケ用ホストコンピュータ及び通信カラオケシステム
US20030003431A1 (en) Music delivery system
JP2007066497A (ja) 情報処理装置,再生装置,通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1551997A (zh) 一种乐曲辅助学习系统
JP4327165B2 (ja) 楽曲再生装置
CN201397672Y (zh) 乐曲学习系统
JP5173380B2 (ja) パーソナルメディアの楽曲作品集合に基づいてカラオケ選曲予約を行えるカラオケ装置
KR20040048333A (ko) 멀티미디어 파일의 데이터 구조, 파일 배신 방법, 파일 배신 장치 및 파일 배신 프로그램이 기록된 저장 매체
KR20040103829A (ko) 인터넷을 이용한 반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반주 서비스제공 시스템
CN102822887A (zh) 混频数据递送服务器
JP2001209389A (ja) 携帯電話を用いたカラオケシステム
KR200374485Y1 (ko) 노래 반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반주 제공 장치
JP2002049626A (ja) 楽曲検索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1043714A (ja) 歌声の特徴に基づいて顧客別の歌唱履歴を自動的に作成する通信カラオケシステム
KR100805631B1 (ko) 온라인 음악 동기 재생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08191536A (ja) 歌声の録音及び伴奏曲との合成装置
JP2007516468A (ja) ネットワークを用いたジュークボックスサービス提供方法
KR100778016B1 (ko) 멀티미디어 파일 제공 서버의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채용한 멀티미디어 파일 제공 서버
JP6628579B2 (ja) カラオケシステム及び携帯端末に備えられるカラオケ用プログラム
JP5551983B2 (ja) カラオケ演奏制御システム
KR100923095B1 (ko)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이 저장된 저장매체 및 휴대용단말기,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 제공 시스템, 멀티미디어제공방법 및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패키지 파일의 재생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