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2686A - 리시버 드라이어의 배플 조립 구조 - Google Patents

리시버 드라이어의 배플 조립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2686A
KR20040102686A KR1020030034243A KR20030034243A KR20040102686A KR 20040102686 A KR20040102686 A KR 20040102686A KR 1020030034243 A KR1020030034243 A KR 1020030034243A KR 20030034243 A KR20030034243 A KR 20030034243A KR 20040102686 A KR20040102686 A KR 200401026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pipe
refrigerant
baffle
refrigerant inle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4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8210B1 (ko
Inventor
정치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4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8210B1/ko
Publication of KR20040102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2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8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82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9/04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the form surface being of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1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with additional peculiarities such as surface shaping, insulating or heating, permeability to water or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에어컨 시스템에서 냉매에 포함된 이물질 및 수분을 제거하는 리시버 드라이어의 건조제를 상하방향에서 감싸는 배플의 고정위치가 이동되는 것이 원인이 되어 에어컨의 냉각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리시버 드라이어의 배플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건조제가 상부 배플 및 하부 배플로써 감싸지고, 상기 상부 배플 및 하부 배플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냉매 유입관의 도중에 상기 상부 배플 및 하부 배플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한 원반형상의 푸쉬 너트가 장착되는 리시버 엔드 드라이버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냉매 유입관의 외경을 수용하는 파이프 형상의 가이드 부쉬가 상기한 냉매 유입관의 도중에 결합되는 푸쉬 너트의 외측면부터 냉매 유입관의 일측 끝단 위치까지 장착되고, 상기한 가이드 부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냉매 유입관의 외측 끝단이 확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리시버 드라이어의 배플 조립구조{Reciever dryer}
본 발명은 리시버 드라이어의 배플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에어컨 시스템에서 냉매에 포함된 이물질 및 수분을 제거하는 리시버 드라이어의 건조제를 상하방향에서 감싸는 배플의 고정위치가 이동되는 것이 원인이되어 에어컨의 냉각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리시버 드라이어의 배플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차량용 에어컨 시스템은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팽창 밸브, 리시버 엔드 드라이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압축기에서 고온 고압의 기체상태로 압축된 냉매는 응축기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외기 혹은 라디에이터 팬 측에서 부는 바람의 작용으로 저온의 액화상태로 냉각되어진다. 액체상태로 된 냉매는 리시버 엔드 드라이버에 잠시 저장되는 과정에서 이물질과 수분이 제거된 후, 팽창 밸브를 통해서 증발기 측으로 흐르게 된다. 증발기로 유입된 액체상태의 냉매는 상기 증발기에 형성된 다수의 튜브를 통과하게 되고, 상기 튜브의 외측에 형성된 냉각 핀에서 차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열을 흡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거치면서 냉매에 의해서 냉각된 공기가 차량의 실내로 유입되어 차실내를 냉방하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상기와 같은 냉각 시스템에서 냉매에 포함된 이물질 및 수분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리시버 드라이어의 단면현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한 리시버 드라이어(10)의 케이스(11)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데, 그 케이스(11)의 내부공간은 상부 배플(12) 및 하부 배플(13)에 의해서 세 개의 공간으로 분리된다. 그 중에서 상부 배플(12)과 하부 배플(13) 사이의 공간에는 에어컨 시스템을 순환하는 냉매에 포함된 이물질 및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건조제(16)가 알갱이 형상으로 가득 채워지게 된다. 그리고 케이스(11)의 상측 공간(14)은 상기한 건조제(16)를 통과하기 전의 냉매가 응축기 측에서 유입되는 공간으로,케이스(11)의 하측 공간(15)은 상기한 건조제(16)를 통과하여 여과된 후 증발기 측으로 향하기 전의 냉매가 채워지는 공간으로 이용된다. 이를 위해, 상기한 케이스(11)의 하부 중앙측에서 상측 공간(14)의 내부까지에는 응축기를 통과한 냉매가 상기 상측 공간(14)으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냉매 유입관(21)이 수직상으로 형성되고, 상기한 케이스(11)의 상부측에서 하측 공간(15)의 내부까지에는 상기 건조제(16)를 통과한 냉매가 증발기 측으로 흐르도록 안내하기 위한 냉매 유출관(2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한 리시버 드라이어(10)를 통과하는 냉매의 흐름 순서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응축기를 통과한 냉매가 냉매 유입관(21)을 통해서 상측 공간(14)으로 유입되고, 상기 상측 공간(14)으로 유입된 냉매는 상부 배플(12)에 다수 형성된 통공(12a)들을 통해서 건조제(16)가 채워진 챔버를 통과하게 된다. 건조제(16)를 통과하면서 수분이 제거된 냉매는 하부 배플(13)에 형성된 통공(13a)을 통해서 하측 공간(15)으로 흐르게 되고, 상기한 냉매 유출관(22)을 통해서 증발기 측으로 향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건조제(16)를 감싸고 있는 상부 배플(12)과 하부 배플(13)가 고정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한 케이스(11)의 내부 중간부에는 하부 배플(13)의 외주를 지지하기 위한 걸림턱(17)이 형성되고, 상기한 하부 배플(13)과 상부 배플(13) 사이에 건조제(16)가 채워진 상태에서 상기 상부 배플(12)이 상측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냉매 유입관(21)의 도중에는 원반형상의 푸쉬 너트(23)가 채워지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 배플(13)의 하측면과 냉매 유입관(21)의도중 간에도 푸쉬 너트(23)가 형성되는 경우도 있었다. 즉, 상기한 푸쉬 너트(23)는 상기한 리시버 드라이어(10)의 제작과정에서 상기한 상기한 건조제(16)를 상하방향에서 감싸는 상부 배플(12)과 하부 배플(13)의 위치가 냉매 유입관(21)에 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용접이나 코킹 공정을 통해서 상기 냉매 유입관(21)에 부착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한 같이 형성된 리시버 드라이어가 실차에 장착된 상태에서, 냉매의 유동 압력 및 푸쉬 너트의 장착형상 및 강도 등에 따른 요인들로 인하여 상기한 푸쉬 너트가 냉매 유입관 혹은 냉매 유출관을 따라서 상하측으로 밀리게 되고, 건조제를 감싸고 있는 상부 배플 및 하부 배플이 움직이게 되는 현상이 발생되었다. 더욱이 상기한 상부 배플 또는 하부 배플의 유동으로 인하여 건조제 간에 충돌될 수 있는 여유공간이 발생되므로서, 알갱이 형태의 건조제 간의 충돌 과정에서 작은 입자들이 발생되고, 이렇게 발생된 입자들이 냉매 라인을 따라 이동된 후 어느 한 곳에 정체되어 냉각 시스템의 작동성능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의 에어컨 시스템에서 냉매에 포함된 이물질 및 수분을 제거하는 리시버 드라이어의 건조제를 상하방향에서 감싸는 배플의 고정위치가 이동되는 것이 원인이 되어 에어컨의 냉각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리시버 드라이어의 배플 지지구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건조제가 상부 배플 및 하부 배플로써 감싸지고, 상기 상부 배플 및 하부 배플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냉매 유입관의 도중에 상기 상부 배플 및 하부 배플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한 원반형상의 푸쉬 너트가 장착되는 리시버 엔드 드라이버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냉매 유입관의 외경을 수용하는 파이프 형상의 가이드 부쉬가 상기한 냉매 유입관의 도중에 결합되는 푸쉬 너트의 외측면부터 냉매 유입관의 일측 끝단 위치까지 장착되고, 상기한 가이드 부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냉매 유입관의 외측 끝단이 확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리시버 드라이어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가이드 부쉬의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리시버 드라이어 11 : 케이스
12 : 상부 배플 13 : 하부 배플
14 : 상측 공간 15 : 하측 공간
16 : 건조제 21 : 냉매 유입관
22 : 냉매 유출관 23 : 푸쉬 너트
30 : 가이드 부쉬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리시버 드라이어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가이드 부쉬의 사시도이다.
도면 중에 표시되는 도면부호 30은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가이드 부쉬를 지시하는 것이고, 일부의 도면부호는 종래기술의 설명에서 사용된 도면부호가 그대로 인용된다.
상기한 가이드 부쉬(30)는 리시버 드라이어(10)의 케이스(11) 내부에 수용된 상부 배플(12)과 하부 배플(13)의 위치가 어느 일측으로 밀리지 않고 고정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한 가이드 부쉬(30)는 리시버 드라이어(10)의 상측 공간(14)과 하측 공간(15) 간을 연통시켜 냉매의 유출입을 안내하기 위한 냉매 유입관(21)의 외경이 수용될 수 있는 내경을 갖는 파이프 형상으로형성된다.
상기한 리시버 드라이어(10)는 종래기술의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통형상으로 형성되는 케이스(11)의 내부에 상부 배플(12) 및 하부 배플(13)에 의해서 그 내부공간이 나뉘어지고, 상기 상부 배플(12)과 하부 배플(13)에는 에어컨 냉매 시스템을 순환하는 냉매 중에 포함된 이물질 및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알갱이 형태의 건조제(16)가 채워진다. 즉, 상기한 알갱이 형태의 건조제(16)는 상부 배플(12)과 하부 배플(13)에 의해 감싸진 상태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상부 배플(12)의 상부에 마련되는 상측 공간(14)과 케이스(11)의 하부 간에는 냉매 유입관(21)이 형성되며, 상기 냉매 유입관(21)의 하단이 냉매 라인에 의해서 에어컨 시스템의 응축기 측과 접속된다. 또한, 상기한 하부 배플(13)의 하부에 마련되는 하측 공간(15)과 케이스(11)의 상부 간에는 냉매 유출관(22)이 형성되어, 상기 냉매 유출관(22)의 상단이 냉매 라인에 의해서 에어컨 시스템의 증발기와 연결된다.
한편, 상기한 냉매 유입관(21)과 냉매 유출관(22)은 상기한 상부 배플(12)과 하부 배플(13)의 도중을 관통하게 되며, 상기 상부 배플(12)과 하부 배플(13)이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냉매 유입관(21)의 도중에는 원반 형상의 푸쉬 너트(23)가 용접 혹은 코킹 공정을 통해서 부착되어진다.
그리고 상기한 코킹(23)이 결합되는 냉매 유입관(21)의 외측으로는 상기한 가이드 부쉬(30)가 끼워진다. 가이드 부쉬(30)의 길이는 일단은 상기 푸쉬 너트(23)의 외측면에 접하고 다른 일단은 냉매 유입관(21)의 끝단에 위치되는 길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한 가이드 부쉬(30)의 내경을 냉매 유입관(21)의 외경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냉매 유입관(21)의 끝단이 확관 가공되는데, 이는 상기 가이드 부쉬(30)가 확관부(21a)에 의해서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므로서 상기 푸쉬 너트(23)를 지지하기 위한 목적이 달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한 하부 배플(13)의 경우에는 케이스(11) 내주연에 형성된 걸림턱(17)에 의해 지지된 상태이기는 하지만, 상기 상부 배플(12)의 경우와 같이 푸쉬 너트(23) 및 가이드 부쉬(30)로써 보강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의 냉각 시스템이 가동되면, 응축기를 통과한 냉매는 냉각 사이클에 따라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10)의 냉매 유입관(21)을 통해 상측 공간(14)으로 유입된다. 상측 공간(14)으로 유입된 냉매는 상부 배플(12)의 도중에 마련된 다수의 통공(12a)을 통해서 상부 배플(12)과 하부 배플(13) 사이에 채워진 건조제를 통과하게 되면서 냉매에 포함된 수분이 제거된다. 그런 다음 하부 배플(13)의 통공(13a)을 통과해서 하측 공간(15)으로 유입된 냉매는 냉매 유출관(22)을 통해서 증발기 측으로 흐르게 된다.
상기와 같은 냉매 흐름과정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상기한 케이스(11)의 내부를 구성하는 상부 배플(12) 및 하부 배플(13)에는 냉매의 압력에 의한 힘이 전달되는데, 본 발명에 의한 리시버 드라이어(10)의 경우에는 상기 상부 배플(12) 및 하부 배플(13)이 푸쉬 너트(23) 뿐만이 아니라 가이드 부쉬(30)에 의해서도 지지되므로서, 상대적으로 약한 부위인 푸쉬 너트(23)의 용접부 혹은 코킹부에 걸리는 하중이 분산된다.
따라서 종래기술의 경우에 냉매 유입관(21)과 푸쉬 너트(23)의 용접부 혹은 코킹부가 파손되므로서 상부 배플(12)이 위치이동되거나 이탈되어 건조제(16)의 입자가 냉매 라인으로 유입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상부 배플 및 하부 배플의 위치이동을 막기 위한 푸쉬 너트의 외측면이 추가로 형성되는 가이드 부쉬에 의해서 지지되어 푸쉬 너트의 용접부 혹은 코킹부에 걸리던 하중이 분산되므로서, 종래기술의 경우와 같이 푸쉬 너트의 결합부가 파손되어 상부 배플 및 하부 배플의 위치가 이동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커다란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건조제가 상부 배플 및 하부 배플로써 감싸지고, 상기 상부 배플 및 하부 배플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냉매 유입관의 도중에 상기 상부 배플 및 하부 배플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한 원반형상의 푸쉬 너트가 장착되는 리시버 엔드 드라이버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냉매 유입관(21)의 외경을 수용하는 파이프 형상의 가이드 부쉬(30)가 상기한 냉매 유입관(21)의 도중에 결합되는 푸쉬 너트(23)의 외측면부터 냉매 유입관의 일측 끝단 위치까지 장착되고, 상기한 가이드 부쉬(3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냉매 유입관(21)의 외측 끝단이 확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시버 드라이어의 배플 지지구조.
KR10-2003-0034243A 2003-05-29 2003-05-29 리시버 드라이어의 배플 조립 구조 KR100528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4243A KR100528210B1 (ko) 2003-05-29 2003-05-29 리시버 드라이어의 배플 조립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4243A KR100528210B1 (ko) 2003-05-29 2003-05-29 리시버 드라이어의 배플 조립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2686A true KR20040102686A (ko) 2004-12-08
KR100528210B1 KR100528210B1 (ko) 2005-11-15

Family

ID=37378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4243A KR100528210B1 (ko) 2003-05-29 2003-05-29 리시버 드라이어의 배플 조립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821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2841A (ko) * 2014-09-17 2016-03-25 아르네코리아(주) 원터치 결합형 쇼케이스
CN105444479A (zh) * 2014-09-22 2016-03-30 株式会社不二工机 储存器
US9599414B2 (en) 2010-11-17 2017-03-21 Zhejiang Sanhua Automotive Components Co., Ltd Liquid reservoir
CN116465122A (zh) * 2023-05-08 2023-07-21 浙江恒睿丰新能源科技有限公司 新能源车用倒置高压储液罐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99414B2 (en) 2010-11-17 2017-03-21 Zhejiang Sanhua Automotive Components Co., Ltd Liquid reservoir
KR20160032841A (ko) * 2014-09-17 2016-03-25 아르네코리아(주) 원터치 결합형 쇼케이스
CN105444479A (zh) * 2014-09-22 2016-03-30 株式会社不二工机 储存器
CN105444479B (zh) * 2014-09-22 2019-03-29 株式会社不二工机 储存器
CN116465122A (zh) * 2023-05-08 2023-07-21 浙江恒睿丰新能源科技有限公司 新能源车用倒置高压储液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8210B1 (ko) 2005-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77336B2 (en) Receiver-drier for air-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6500839B2 (ja) アキュムレータおよび冷凍サイクル
JP2005114353A (ja) 受液器一体型冷媒凝縮器
KR100528210B1 (ko) 리시버 드라이어의 배플 조립 구조
JP2000213826A (ja) 受液器一体型冷媒凝縮器
KR100948141B1 (ko) 리시버 드라이어를 갖는 응축기
US5787573A (en) Method of making air conditioner receiver dryer
EP1319908B1 (en) Heat exchanger
KR20160123117A (ko) 차량용 응축기
JP2006258415A (ja) 熱交換器
KR101896359B1 (ko) 배플타입에 의한 응축기용 리시버 드라이어의 제조방법
KR100925113B1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응축기
KR101631572B1 (ko) 응축기
KR19990032502U (ko)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의 리시버 드라이어
KR200287956Y1 (ko) 자동차공기조화장치용리시버드라이어
KR101588049B1 (ko) 응축기
KR19980024698U (ko) 자동차용 공기조화기의 리시버 드라이어
KR101543609B1 (ko) 일체형 열교환기
CN208914927U (zh) 一种具有减震功能的汽车空调用铝合金外壳
JPH07243720A (ja) 冷凍装置
KR100492362B1 (ko) 차량용 냉방 시스템
KR101734273B1 (ko) 차량용 컨덴서
KR200341734Y1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리시버 드라이어
KR20040015863A (ko) 자동차용 냉방시스템
KR200142120Y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기의 응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