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2111A - 단말 - Google Patents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2111A
KR20040102111A KR10-2004-7016576A KR20047016576A KR20040102111A KR 20040102111 A KR20040102111 A KR 20040102111A KR 20047016576 A KR20047016576 A KR 20047016576A KR 20040102111 A KR20040102111 A KR 200401021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data
terminal
wireless network
time perio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6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1180B1 (ko
Inventor
데이비드 이. 페나
리차드 제이. 홀드스워드
케빈 알. 보일
베르나드 헌트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40102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2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1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11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69Details
    • A44B18/0096Shape memory mater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03Fastener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03Fastener constructions
    • A44B18/0015Male or hook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05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th built-in auxiliary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15Wireless traffic scheduling for collaboration of different radio technolog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12Shape memo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200/00Constructional details of connections not cover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16B2200/77Use of a shape-memory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200/00Constructional details of connections not cover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16B2200/81Use of a material of the hooks-and-loops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09Arrangements for receiving desired information automatically according to timetab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7Buckles, buttons, clasps, etc. including readily dissociable fastener having numerous, protruding, unitary filaments randomly interlocking with, and simultaneously moving towards, mating structure [e.g., hook-loop type faste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7Buckles, buttons, clasps, etc. including readily dissociable fastener having numerous, protruding, unitary filaments randomly interlocking with, and simultaneously moving towards, mating structure [e.g., hook-loop type fastener]
    • Y10T24/2783Buckles, buttons, clasps, etc. including readily dissociable fastener having numerous, protruding, unitary filaments randomly interlocking with, and simultaneously moving towards, mating structure [e.g., hook-loop type fastener] having filaments constructed from coated, laminated, or composite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008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fastener for attaching to external sur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008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fastener for attaching to external surface
    • Y10T428/24017Hook or bar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Piezo-Electric Or Mechanical Vibrators, Or Delay Or Filter Circuits (AREA)
  • Non-Silver Salt Photosensitive Materials And Non-Silver Salt Photography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 Transceivers (AREA)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Abstract

단말(102)이 방송국(104)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동시에 무선 기지국(106)에 대한 전송들을 통해 무선 네트워크에 관여할 수 있다. 단말은 단말에 대한 관련 데이터가 방송될 시간 기간들을 결정할 수 있다. 그 후 이런 시간 기간들을 방지하도록 기지국에 대한 전송들을 스케쥴링하고, 그것에 의해 관련 데이터의 수신을 막는 전송들을 방지한다. 시간 기간들은 방송국 또는 다른 수단의 범위에 의해 전송된 스케쥴링 정보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단말{Terminal}
방송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개별적으로 무선 네트워크와 상호작용하는 결합된 성능들을 갖는 단말들이 개발 중이다. 방송 네트워크들의 예들은 DVB-T(Terrestrial Digital Video Broadcast) 및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을 포함하고, 무선 네트워크들의 예들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IEEE 802.11및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표준들을 포함한다. 통용하는 상기 단말들의 예들은 DVB-T와 GSM에 인에이블된 웹 패드(web pad) 장치들, 및 방송들을 수신하고 무선 네트워크에 관여할 수 있는 하이 엔드(high end) PDA들을 포함한다.
무선 네트워크를 위한 단말(GSM과 같은 단말)과 방송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말(DVB-T와 같은 단말)간의 상호동작가능성(inter-operability) 문제는 규제 레벨에서의, 주파수 대역들 및 전력 레벨들의 선택과 함께, 장치들의 요구된 물리적 분리의 관점에서 고려되고 있다. 그러나, 방송 데이터의 수신과 무선 네트워크와의 상호작용을 동시에 할 수 있는 단말들은 부가적인 문제들을 지닌다. 특히, 방송 네트워크들과 무선 네트워크들은 독립적이기 때문에, 방송 네트워크로부터의 관련 데이터의 수신은 무선 네트워크에 대해 이루어지는 전송들에 의해 방해될 수 있다. 이것은 전술된 주파수 대역들의 분리에도 불구하고, 전송되는 고전력 레벨들이 민감한 수신기 회로를 고장낼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방송국(broadcast station)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동시에 무선 네트워크에 관여할 수 있는 단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단말을 동작하는 방법, 방송국, 방송국에 의해 전송된 신호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방송"은 복수의 단말들에 대한 정보의 실질적인 단방향(uni-direction) 전송을 나타내는데 사용되지만, 단말과 방송국간의 리턴(return) 채널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상기 리턴 채널은, 예를 들면 고정 또는 무선 전화 접속을 통해 임의의 편리한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었다. 용어 "무선 네트워크"는 단말과 기지국간 또는 다른 단말간의 양방향(bi-directional) 통신 링크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동작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단말의 블록 개략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대안적인 단말의 블록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방송국의 블록 개략도.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들을 다루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양상에 따라, 방송국으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기 수단, 동시에 무선 네트워크에 관여하는 트랜시버 수단, 단말에 대한 관련 데이터가 방송될 시간 기간들을 결정하는 수단, 및 시간 기간들 동안 방송 수신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전송들을 스케쥴링하도록 트랜시버 수단을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단말이 제공된다.
관련 데이터가 방송국으로부터 수신될 때,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전송들을 형성하지 않는 것을 보장함으로써, 무선 네트워크상으로 전송하는 단말에 기인한 방송 데이터의 손실이 방지된다. 방송 신호는 전송할 수 있는 때를 결정하도록 단말에 대해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는 부가적인 스케쥴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거나, 단말이 부가적인 정보 없이도 전송을 위한 적합한 시간들을 추정할 수 있을 만큼 방송 신호가 충분히 규칙적일 수 있다. 부가적인 데이터는 후속 데이터 전송들상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송 신호는 단일 사용자(또는 제한된 사용자들 셋트)용으로 예정된 부가적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상에 따라, 방송국과 단말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이 제공되고, 단말은 방송국으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기 수단, 무선 네트워크에 관여하는 트랜시버 수단, 단말에 대한 관련 데이터가 방송될 시간 기간들을 결정하는 수단, 및 시간 기간들 동안 방송 수신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전송들을 스케쥴링하도록 트랜시버 수단을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양상에 따라, 복수의 단말들로 방송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송국이 제공되고, 방송국은 방송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의 타이밍에 관한 스케쥴링 정보를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그것에 의해 단말이 방송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의 수신 간섭을 방지하도록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전송들을 스케쥴링하게 한다.
본 발명의 제4 양상에 따라, 방송국으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기와 무선 네트워크에 관여하는 트랜시버를 포함하는 단말을 동작하는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방법은 단말에 대한 관련 데이터가 방송될 시간 기간들을 결정하는 단계와 시간 기간들 동안 방송 수신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전송들을 스케쥴링하도록 트랜시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5 양상에 따라, 방송국에 의해 단말에 전송을 위한 신호가 제공되고, 신호는 방송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의 타이밍에 관한 스케쥴링 정보를 포함하고, 그것에 의해 단말이 데이터 방송의 적어도 일부 수신 간섭을 방지하도록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전송들을 스케쥴링하게 한다.
본 발명은 단말이 차후 데이터 전송들에 관한 스케쥴링 정보를 결정하게 함으로써, 부적절한 시간들에 무선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단말에 의해 야기된 데이터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종래 기술에 존재하지 않는 인식에 기초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제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예로써 기술될 것이다.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대응하는 특징들을 나타내도록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무선 네트워크에 대해 단말(102), 방송국(104), 및 기지국(106)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방송국(104)에서 단말(102)로 데이터의 방송을 위해 단방향 통신 채널(114)이 있고, 단말(102)과 기지국(106)간에 양방향 통신 채널(116)이 있다. 단방향 채널(114)상에서의 방송들은 예를 들어, DVB-T 표준에 따라 발생할 수도 있고, 양방향 채널(116)상에서의 전송들은 GSM 또는 UMTS 표준들에 따라 발생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해 관련된 부분들을 도시하는, 단말(102)의 고레벨(high-level) 블록 개략도이다. 신호들은 채널들(114, 116)로부터 수신되고, 안테나(202)를 통해 채널(116)로 전송되는데, 상기 안테나는 필요하다면 다중 대역 안테나일 수 있다(또는 복수의 협대역 안테나들). 먼저 수신을 고려하면, 안테나(202)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은 다이플렉서(DP;204)를 통해 통과하는데, 상기 다이플렉서는, 방송국(104)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이 방송 수신기(Rx;206)에 라우팅되고, 기지국(104)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이 네트워크 트랜시버(Tx/Rx;208)에 라우팅되도록 필터들을 포함한다. 어느 한쪽의 경우에서, 수신된 신호들은 전송된 데이터가 공지된 방식으로 추출되는 기저 대역으로 다운-컨버팅(down-convert)된다. 이 데이터는, 데이터의 성질에 의존하여 적절한 행동들을 취하는 프로세서(PROC;210)에 통과된 것이다.
도 5는 방송국(104)의 고레벨 블록 개략도이다. 전송을 위한 데이터는 프로세서(PROC;310)에 의해 처리되고, 그 후 안테나(314)를 통해 전송을 위한 전송기(312)에 통과된다.
기지국(106)에 대한 전송들은 프로세서(210)에 의해 역순서로 진행하는데, 상기 프로세서는 전송을 위해 데이터를 발생하고, 이 후 데이터는 전송을 위해서 트랜시버(208)에 의해 적절한 무선 주파수로 인코딩 및 변환된다. 전송을 위한 신호들은 다이플렉서(204)를 통해 안테나(202)로 통과한다. 전송 동안 다이플렉서(204)의 기능은, 전송을 위한 신호들이 방송 수신기(206)에 도달하지 않고 안테나(202)로 직접 통과하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이 시스템이 갖는 문제점은 방송 및 무선 네트워크들이 독립적이라는 점이고, 따라서 단말이 방송국(106)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동시에 기지국(106)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요구를 갖게 될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전송들은 2W 이상의 전력 레벨일 수 있고, 이것은 다이플렉서(204)상에 엄격한 요구들은 둔다. DVB-T의 예를 취하면, 수신된 신호들은 방송 수신기(206)내 전단(front-end) 증폭기들의 노이즈 플로어(noise floor)에 근접되어서 쉽게 훼손될 수 있다. 다수의 상황들에서, 100dB 이상의 분리(isolation)가 트랜시버(208)와 수신기(206)간에 요구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단말(102)에서, 이것은 방송 수신기(206)내 전단 증폭기 회로 전에 임의의 다른 필터들과 관련하여 다이플렉서(204)에 의해 제공될 필요가 있다.
도 3에 도시된, 단말(102)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방송국(104)으로부터의신호 수신을 위한 제1 안테나(202a)와 기지국(106)과의 신호 교환을 위한 제2 안테나(202b)와 같은 별개의 안테나들이 제공된다. 이 실시예에서, 별개 안테나들의 제공은 약간의 분리를 제공하지만, 이것은 극히 제한될 수 있다. 특히, 단말(102)이 핸드-헬드(hand-held) 또는 휴대용 장치들이라면, 안테나들(202a, 202b)의 분리는 매우 클 수 없고, 방송 안테나(202a)는 무선 네트워크 안테나(202b)로부터 현저한 신호들을 수신할 것이다. 비록 안테나들의 분리가 20dB의 분리를 제공할지라도, 방송 수신기(206)의 전단에서 필터링함으로써 80dB 이상의 분리가 요구된다.
상기 분리가 제공될 수 없다면, 전송된 신호는 수신기(206)내 수신 증폭기들을 차단(block)할 것이고, 방송 신호들로부터 데이터 손실을 유도한다. 이것의 효과들은 단말(102)을 위해 의도된 임의의 유니캐스트(unicast) 자료의 재전송에 대한 필요로, 저장된(cached) 방송 자료 내의 간격들(gaps)에 따라 변화할 것이다.
분리를 달성하는데 있어서의 어려움은 두개의 네트워크들에 대해 사용된 특정 주파수들에 매우 크게 의존한다. 가장 어려운 경우는 UHF 주파수 대역의 상단에서 DVB-T 수신과 함께 900MHz 근처의 GSM 전송이다. 주파수 차이가 너무 작기 때문에, 조정가능한(tunable) 필터들이 용이하게 사용될 수 없고, 따라서 다이플렉서(204)나 전단 필터들은 SAW(Surface Acoustic Wave) 필터들과 같은 진보된 필터들을 포함해야 하며, 방송 수신 주파수들의 감소된 융통성의 결과를 초래한다.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시스템에서, 관련 데이터가 방송 채널(114)상으로 방송될 때를 미리 공지하고, 간섭을 야기하지 않을 시간에 네트워크 채널(116)상으로 전송하는 것을 단말이 선택하게 하여, 단말(102)에 의해 상기 문제들이 방지된다.트랜시버(208)로부터 전송하는 시점에 관한 결정은 방송 데이터의 스케쥴로 네트워크 채널(116)상에서 이용가능한 전송 슬롯들의 세부사항들(details)을 상호참조(cross-reference)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스케쥴은 단말(102)에 구성되고, 프로세서(310)에 의해 예를 들어 방송 스케쥴의 사전 지식 또는 상기 목적을 위한 방송 데이터 스트림에 포함된 정보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방송 스케쥴의 지식은 스케쥴링 정보를 액세스하도록 무선 네트워크의 사용을 포함하여, 다양한 소스들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상기 정보를 획득하는 다른 방법들은, 관련 데이터의 방송에서 임의의 규칙성을 이용하는 단말에(102)에 의하고, 단말을 지원하는 프로세서(310)에 의해 포함된 미립자(fine-grained) 스케쥴링 정보를 전송하는 방송국(104)에 의한다.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단말의 동작 방법을 요약한 흐름도가 도 4에 도시된다. 단계 402는 방송국(104)에 관한 스케쥴링 정보로부터 관련 데이터가 방송국에 의해 전송될 시간 기간들을 결정하는 단말에 관한 것이다. 단계 404는 결정된 시간 기간들을 피하도록 기지국(106)에 대한 전송들을 스케쥴링하는 단말에 대응하고, 이것에 의해 관련 데이터가 정확하게 수신되는 것이 보장된다. 마지막으로, 단계 406은 간섭없이 방송국(104)으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102)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송 신호는 단일 사용자(또는 제한된 사용자들 셋트)를 위해 의도된 부가적인 데이터를, 예를 들면 IP 데이터 패킷들의 형태로 포함할 수 있다. 이 정보는 단말이 무선 네트워크상에서 전송들을 스케쥴링하게하도록 후속 데이터 전송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DVB-T 표준은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통신 시스템의 방송 양상을 고려하자. DVB-T는 멀티플렉싱된 신호의 부분으로서 MPEG 표준을 사용하여 비디오를 전달하도록 COFDM(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을 사용한다. 이용가능한 전송 대역폭의 일부로 IP 패킷들과 같은 다른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나의 가능한 배열은 IP 데이터의 버스트들(bursts)이 규칙적인 간격들에서 멀티플렉싱된 데이터 스트림내에 전송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1 옵션은, 수신 단말(102)이 약간의 사전 정보를 통해, 데이터 버스트들의 도착 시간이 예측될 수 있는 방식으로 정규 간격들에서 관련 데이터 스트림이 송신되는 것을 아는 것이다. 제2 옵션은, 예를 들어 방송 데이터 스트림의 IP 부분에 있는 것과 같은 부가적인 데이터가 차후(future) 데이터 전송들의 위치를 유동적으로 지정하는 것이다. 제3 옵션은, 멀티플렉싱된 데이터 스트림 그 자체가 변조 시스템에 관한 전보를 포함하는 것인데, 상기 변조 시스템은 멀티플렉싱된 스트림의 구성요소 부분들 각각이 전송될 시간을 단말이 정확히 예측하게 하도록 사용된다.
하나 이상의 상기 옵션들은, 방송 수신기(206)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어야 하는 때의 기간들과 네트워크 트랜시버(208)로부터 로컬 전송들을 간섭하는 것이 허용될 수 있는 곳의 기간들을 결정하는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이제 본 발명의 무선 네트워크 양상을 고려하자. 먼저 GSM을 고려하면, 이것은 데이터가 타임 슬롯들내에 전송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시스템이고,이것은 그들 자체가 프레임들로 그룹화된다. 음성 호에 대해, 기지국(106)은 각각의 시간 프레임 내 8개의 슬롯들 중 하나를 단말(102)에 할당할 것이고, 단말은 음성 데이터로 특정 슬롯을 채울 것이다. 이 경우는 따라서, 요구된 방송 데이터의 수신에서 간격들을 갖는 전송들을 동기화하기가 쉽지 않다. 그러나, 많은 GSM 단말들은 또한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표준에 따라 패킷 교환 데이터 세션들(packet switched data sessions)을 지원한다. GPRS를 사용하는 경우, 단말(102)은 임의의 프레임에 할당된 슬롯들의 사용 여부를 선택하는 것이 자유롭다. 그러므로, 단말(102)은 관련 인입 데이터와의 충돌을 방지하는 것이 요구된 경우 전송을 디스에이블(disable)할 수 있다.
UMTS의 경우, 이 시스템은 TDD와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동작 모드들 양자를 가지고 있고, 양자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를 사용하여 전송된다. FDD 모드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전송들은 연속 양방향 전송들을 인에이블하는 별개 주파수 대역들에서 발생한다. FDD 모드에서 회로 교환 세션들에 대해(예컨대, 음성 호들 또는 스트리밍 컨텐츠), 압축 모드(compressed mode)라 불리는 메커니즘이 제공되는데, 상기 메커니즘은 단말(102)이 10ms 프레임 내에 있는 15개 슬롯들 중 7개까지의 슬롯들에 대해 전송하는 것을 중지하게 한다. 약 10ms의 긴 비전송 시간들이 한 프레임의 단부와 다음 프레임의 시작부간의 전송 간격을 스케쥴링함으로써 배열될 수 있다. 상기 간격은 중요한 인입 방송 데이터의 수신을 인에이블하기가 충분할 수 있다.
FDD와 TDD 모드 양자에서, 패킷 교환 세션들은 비 실시간 중요 데이터의 전달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단말(102)은 셋업되는 전용 링크 없이, 원하는 기지국(106)에 적은 양의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허가를 요청한다. 그러므로, 단말(102)은 패킷 전달을 초기화하는 시도를 하지 않음으로써 원하는 길이의 전송 간격들을 임의의 원하는 시간에 쉽게 생성할 수 있다.
방송 및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들을 분리하는 그것의 애플리케이션에서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네트워크 모드 뿐만 아니라 방송 모드를 갖는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었다. 상기 시스템의 예는 UMTS 멀티미디어 방송 또는 멀티캐스트이다.
본 명세서를 읽음으로써, 다른 변경들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상기 변경들은 통신 시스템들과 그의 구성요소 부분들의 설계, 제조, 및 사용면에서 이미 공지된 특징들과, 여기에 이미 기술된 특징들에 부가하거나 그것 대신으로 사용될 수 있는 특징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청구항들에서, 요소 앞의 단어 "하나의(a)" 또는 "하나의(an)"는 복수의 상기 요소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단어 "포함하다"는 나열된 이상의 요소들 또는 단계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Claims (11)

  1. 방송국으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기 수단, 동시에 무선 네트워크에 관여하는 트랜시버 수단, 상기 단말에 대한 관련 데이터가 방송될 시간 기간들을 결정하는 수단, 및 상기 시간 기간들 동안 방송 수신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전송들을 스케쥴링(schedule)하도록 상기 트랜시버 수단을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단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국에 의한 데이터의 상기 전송에서 관찰된 패턴들로부터 상기 시간 기간들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전송 전에 전입(forthcoming) 데이터의 상기 전송 시간을 지정하는, 상기 방송국에 의해 전송된 부가적인 데이터로부터 상기 시간 기간들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액세스된 정보로부터 상기 시간 기간들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5. 방송국과 단말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단말은 상기 방송국으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기 수단, 무선 네트워크에 관여하는 트랜시버 수단, 상기 단말에 대한 관련 데이터가 방송될 시간 기간들을 결정하는 수단, 및 상기 시간 기간들 동안 방송 수신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전송들을 스케쥴링하도록 상기 트랜시버 수단을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국은 상기 무선 네트워크의 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네트워크의 방송 모드에 따라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7. 복수의 단말들로 방송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송국으로서,
    상기 방송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의 타이밍(timing) 관한 스케쥴링 정보를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그것에 의해 상기 단말로 하여금 상기 방송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의 수신 간섭을 방지하도록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전송들을 스케쥴링하게 하는, 방송국.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는 정규 간격들로 데이터 버스트들(bursts)로서 송신되고, 상기 스케쥴링 정보는 이전 데이터 버스트들의 상기 전송 시간들을 포함하며, 그로부터 차후 데이터 버스트들(future data bursts)의 상기 타이밍이 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국.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쥴링 정보는 전송 전에 전입 데이터의 상기 전송 시간을 지정하는 부가적인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국.
  10. 방송국으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기와 무선 네크워크에 관여하는 트랜시버를 포함하는 단말을 동작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에 대한 관련 데이터가 방송될 시간 기간들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시간 기간들 동안 방송 수신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전송들을 스케쥴링하도록 상기 트랜시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 동작 방법.
  11. 방송국에 의해 단말에 전송을 위한 신호로서,
    상기 방송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의 타이밍에 관한 스케쥴링 정보를 포함하고, 그것에 의해 상기 단말로 하여금 상기 방송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의 수신 간섭을 방지하도록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전송들을 스케쥴링하게 하는, 신호.
KR1020047016576A 2002-04-15 2003-04-03 단말 KR1010011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0208555.3A GB0208555D0 (en) 2002-04-15 2002-04-15 Terminal
GB0208555.3 2002-04-15
PCT/IB2003/001347 WO2003088510A1 (en) 2002-04-15 2003-04-03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2111A true KR20040102111A (ko) 2004-12-03
KR101001180B1 KR101001180B1 (ko) 2010-12-15

Family

ID=9934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6576A KR101001180B1 (ko) 2002-04-15 2003-04-03 단말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8897710B2 (ko)
EP (1) EP1502359B1 (ko)
JP (1) JP4347706B2 (ko)
KR (1) KR101001180B1 (ko)
CN (1) CN1647394B (ko)
AT (1) ATE436120T1 (ko)
AU (1) AU2003214542A1 (ko)
DE (1) DE60328277D1 (ko)
ES (1) ES2329234T3 (ko)
GB (1) GB0208555D0 (ko)
WO (1) WO200308851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424B1 (ko) * 2006-06-15 2007-03-12 이더블유에스 코리아 주식회사 편심량하우징 조절부가 형성되어 있는 터렛공구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90695B2 (en) 2003-05-09 2009-09-15 Aol Llc Managing electronic messages
DE102004004092B3 (de) 2004-01-27 2005-05-25 Siemens Ag Mobiles Endgerät zum Empfang paketorientierter Rundfunksignale
DE102004004093B3 (de) * 2004-01-27 2005-09-01 Siemens Ag Mobiles Endgerät zum Empfang paketorientierter Rundfunksignale
JP2007533242A (ja) * 2004-04-16 2007-11-15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複数の規格を受信する受信機
JP4031776B2 (ja) * 2004-04-30 2008-01-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放送用受信機付き携帯電話
KR100630086B1 (ko) * 2004-05-12 2006-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서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을 수신하는 장치
KR101141636B1 (ko) * 2004-09-24 2012-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점대다 멀티미디어 서비스 전송 및 수신 방법
KR100672582B1 (ko) * 2004-11-22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호처리 방법
KR100672514B1 (ko) * 2004-11-23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Dmb 및 gps 서비스 수신용 이동통신 단말
US7313414B2 (en) 2004-12-13 2007-12-25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obile receiver antenna architecture for European cellular and broadcasting services
US20060128302A1 (en) * 2004-12-13 2006-06-15 Van Rooyen Pieter G W Method and system for a mobile receiver architecture for world band cellular and broadcasting
US20060128425A1 (en) * 2004-12-13 2006-06-15 Rooyen Pieter V Method and system for mobile architecture supporting cellular or wireless networks and broadcast utilizing a multichip cellular and broadcast silicon solution
US8098621B2 (en) * 2005-08-23 2012-01-17 Ipwireless, Inc. Compatible broadcast downlink and unicast uplink interference reduction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70047496A1 (en) * 2005-08-23 2007-03-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nna of wireless terminal
US9160464B2 (en) * 2005-09-19 2015-10-13 Nokia Technologies Oy Operating multi-service receiver in non-interfering manner
FR2897215A1 (fr) * 2006-02-09 2007-08-10 Thomson Licensing Sas Dispositif et procede d'annulation des interferences
KR100783112B1 (ko) * 2006-07-27 2007-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단일 안테나로 이동방송 수신과 블루투스 송수신이 가능한무선통신 장치
US11234288B2 (en) 2014-08-25 2022-01-25 Coherent Logix, Incorporated Shared spectrum access for broadcast and bi-directional, packet-switched communications
JP6705809B2 (ja) * 2014-08-25 2020-06-03 コーヒレント・ロジック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放送及び双方向パケット交換通信のための共有スペクトルアクセス
CN111277998B (zh) * 2019-01-18 2021-08-1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无线通信方法及终端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41542A (en) * 1991-08-23 1993-08-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Battery efficient operation of scheduled access protocol
JP3704003B2 (ja) * 1999-08-16 2005-10-05 株式会社東芝 無線基地局装置、無線端末装置及び情報通信方法
KR20050044939A (ko) 1999-08-27 2005-05-13 노키아 코포레이션 Dvb-t용 이동 멀티미디어 단말기 및 대규모와 소규모셀 통신
GB2364211A (en) * 2000-06-30 2002-01-16 Nokia Oy Ab A terminal comprising two receivers for receiving an encrypted first signal from a first network and a decryption second signal from a second network
US6895255B1 (en) * 2000-10-20 2005-05-17 Symbol Technologies, Inc. Dual mode wireless data communications
DE60119567T2 (de) * 2000-11-16 2007-05-03 Broadcom Corp., Irvin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kennung und klassifikation von störungen in einem rf-modulierten netzwerk
US7099671B2 (en) * 2001-01-16 2006-08-2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ollaborative mechanism of enhanced coexistence of collocated wireless networks
US6598274B1 (en) * 2002-04-11 2003-07-2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Electrically releasable hook and loop fastener
US6892076B2 (en) * 2002-06-05 2005-05-10 Nokia Corporation Digital video broadcast-terrestrial (DVB-T) receiver interoperable with a GSM transmitter in a non-interfering manner using classmark change procedure
GB0307325D0 (en) * 2003-03-29 2003-05-07 Pace Micro Tech Plc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avoidance of RF interferen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424B1 (ko) * 2006-06-15 2007-03-12 이더블유에스 코리아 주식회사 편심량하우징 조절부가 형성되어 있는 터렛공구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329234T3 (es) 2009-11-24
US20050163964A1 (en) 2005-07-28
KR101001180B1 (ko) 2010-12-15
AU2003214542A1 (en) 2003-10-27
CN1647394B (zh) 2012-12-05
JP4347706B2 (ja) 2009-10-21
DE60328277D1 (de) 2009-08-20
JP2005522931A (ja) 2005-07-28
CN1647394A (zh) 2005-07-27
EP1502359A1 (en) 2005-02-02
US8897710B2 (en) 2014-11-25
GB0208555D0 (en) 2002-05-22
ATE436120T1 (de) 2009-07-15
WO2003088510A1 (en) 2003-10-23
EP1502359B1 (en) 2009-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1180B1 (ko) 단말
US7460846B2 (en) Digital video broadcast-terrestrial (DVB-T) receiver interoperable with a GSM transmitter in a non-interfering manner using classmark change procedure
CN101297507B (zh) 以非干扰方式操作多服务接收器
US8780877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managing a reference signal in a communications system
EP2078374B1 (en) Communication on a plurality of carriers
FI108763B (fi) Menetelmä, matkaviestinjärjestelmä ja matkaviestin tietoliikenneyhteyden muodostamiseksi
JPH08256097A (ja) 狭帯域/広帯域情報分配ネットワーク用アクセスディレクタインターフェース
KR20120103723A (ko) 무선 수신 및 무선 송신 간의 간섭을 감소시키는 방법 및 해당 장치
JP2002335204A (ja) 基地局間通信方法
US7263365B2 (en) Recep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0979156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오버헤드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장치
US7200129B2 (en) Method of signaling reverse channel information with minimal voice/data delay
JP2005341297A (ja) 無線通信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
US7315532B2 (en) Time-divided transmission between adjacent cells
US20120320777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in a Radio Network, a Radio Network and a Receiver
EP1583379A2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utilising a frequency resource
KR20120095881A (ko) 다수의 무선 채널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그를 구현하는 무선 신호 리피터 및 이동국 장치
JP2002335199A (ja) 無線中継装置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MXPA00000478A (en) Automatic gain control for a receiver and method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