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1965A - 스피커 일체형 이어폰 - Google Patents

스피커 일체형 이어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1965A
KR20040101965A KR1020040090296A KR20040090296A KR20040101965A KR 20040101965 A KR20040101965 A KR 20040101965A KR 1020040090296 A KR1020040090296 A KR 1020040090296A KR 20040090296 A KR20040090296 A KR 20040090296A KR 20040101965 A KR20040101965 A KR 200401019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speaker
hemisphere
hemispheres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0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7665B1 (ko
Inventor
이은승
Original Assignee
이은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승 filed Critical 이은승
Priority to KR1020040090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7665B1/ko
Publication of KR20040101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1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7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76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피커를 이어폰에 일체형으로 구성한 스피커 일체형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서, 결합 가능한 좌측 및 우측의 반구로 구성되고, 반구가 각각 대응하여 합쳐져 하나의 구로 만들어지게 되면 반구의 내측에 형성된 스위치의 접점이 대응하는 반대편의 접점에 자동으로 접촉하여 스피커의 기능을 수행하고 두개의 반구로 쪼개어지면 접점이 대응하는 반대편의 접점으로부터 떨어져 이어폰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므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스피커 또는 이어폰을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피커 일체형 이어폰{EARPHONE COMBINED WITH SPEAKER}
본 발명은 스피커를 이어폰에 일체형으로 구성한 스피커 일체형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피커와 이어폰을 스위치에 의해 스피커 또는 이어폰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스피커 일체형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이어폰은 이어폰 리시버(ear phone receiver)의 약칭이다. 이어폰리시버 중의 크리스털리시버는 크리스털소자(素子)의 압전효과(壓電效果)를 이용해서 진동판을 작동시키는 구조이고, 마그네틱리시버는 코일에 음성전류를 흘려서 진동판을 작동시키는 구조이다.
또 직접 귀에 꽂는 형 이외에, 머리에 걸치는 것도 있는데 이것은 헤드폰(headphone)이라 하여 이어폰과 구별한다.
그러나, 이와같이 각기 다른 진동막 또는 진동판, 그리고 자석의 크기에 있어서 각각 차이가 있지만, 모두 전자석에 전류를 흘리면 영구자석과 전자석간에 밀고 당기는 힘이 전류의 세기와 위상에 따라서 변하게 되고 거기에다 얇은 막을 설치하면 그 막이 떨려서 가청의 소리로 출력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피커와 이어폰은 그 작동 원리에 있어서, 거의 유사하지만, 그 크기에 있어서는 차이가 난다. 예컨대, 스피커, 이어폰, 헤드폰 및 스피커안에는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이 형성되어 있는 데, 이 때, 스피커는 그 막이 크고 또한 스피커에 사용되는 자석 및 전자석도 크기 때문에 그 부피가 이어폰이나, 헤드폰 보다 훨씬 크게 구성된다.
이어폰과 헤드폰의 작동원리는 거의 동일하다. 그러나, 헤드폰은 머리에 걸치는 것이고, 이어폰은 귀에 직접 삽입하는 것으로 착용하는 방법에 차이가 있다. 하지만, 세분하면, 머리에 걸치는 것이라도 수화기와 마이크로폰이 세트로 된 것은 헤드셋이라고 하여 헤드폰과 구별한다. 헤드폰 또는 헤드셋은 양쪽 귀형과 한쪽 귀형이 있는데, 양쪽 귀형에는 스테레오용과 모노용이 있다.
한편, 이어폰, 헤드폰 및 헤드셋 등은 전기음향 변환의 소자에 따라 콘덴서형, 크리스털형, 다이내믹형, 카본형 등이 있다.
한편, 이어폰, 헤드폰 및 헤드셋 등은 스피커로 듣는 것에 비하면 훨씬 작은 음성신호라도 재생 청취할 수가 있고, 제3자에게 폐를 끼치지 않고 재생음을 들을 수가 있으며, 또 주위의 잡음에 구애받지 않고, 훨씬 좋은 음질이 나온다는 이유 등으로 통신 및 방송 등의 업무용이나 학습용 및 음악감상용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어폰, 헤드폰 및 헤드셋 등이 이와 같은 장점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어폰, 헤드폰 및 헤드셋 등은 재생되는 음향을 여러 사람이 공유하여 같이 즐길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어폰을 꽂은 상태에서는 재생장치를 휴대한 상태에서 움직여야 하므로 음악을 듣는 행동 외에 다른 행동을 하는 것을 매우 부자연스럽게 된다.
이어폰 잭을 여럿이 듣기 위하여 Y형 잭을 사용하여 2명 이상이 하나의 이어폰 잭을 통해 음악을 청취할 수 있으나, 만약 이런 식으로 이어폰 잭을 구성하게 되면, 모두 머리를 맞대는 형태의 매우 부자연스러운 장면이 연출될 것이다. 또한, Y형 잭을 많이 연결할수록 음질이 열화되어 원음에 가까운 음을 재생하여 들을 수 없게 된다.
또한, 이어폰, 헤드폰 및 헤드셋 등은 귀 또는 머리 등을 압박하기 때문에 장시간 재생되는 음향을 듣게 되면, 귀 또는 머리 등에 통증이 발생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어폰, 헤드폰 및 헤드셋 등의 장치와 스피커를 일체로 구성하면, 이어폰, 헤드폰 및 헤드셋 등의 장점과 스피커의 장점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전술한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스피커와 이어폰을 하나의 장치로 구성하고, 스위치에 의해 스피커로 동작하거나 또는 이어폰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한 스피커 일체형 이어폰을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일체형 이어폰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일체형 이어폰이 합쳐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일체형 이어폰이 합쳐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일체형 이어폰의 이어폰측을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일체형 이어폰의 스피커측을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일체형 이어폰의 회로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 스피커 일체형 이어폰 102, 104 : 반구
110, 112 : 외장형스피커 120 : 내측평면
122, 126 : 반구면 130, 132 : 이어폰스피커
140, 142 : 접점 150 : 헤드지지부
본 발명은 스피커를 이어폰에 일체형으로 구성한 스피커 일체형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서, 스피커 일체형 이어폰은 결합 가능한 좌측 및 우측의 반구로 구성되고, 반구가 각각 대응하여 합쳐져 하나의 구로 만들어지게 되면 반구의 내측에 형성된 스위치의 접점이 대응하는 반대편의 접점에 자동으로 접촉하여 스피커의 기능을 수행하고 두개의 반구로 쪼개어지면 접점이 대응하는 반대편의 접점으로부터 떨어져 이어폰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일체형 이어폰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일체형 이어폰이 합쳐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일체형 이어폰이 합쳐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일체형 이어폰의 이어폰측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일체형 이어폰의 스피커측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일체형 이어폰의 회로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면, 스피커 일체형 이어폰(100)은 좌측 및 우측의 반구(102, 104)가 각각 대응하여 합쳐져 하나의 구로 만들어지게 되면 스피커의 기능을 수행하고 두개의 반구로 쪼개어지면 이어폰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반구(102, 104)가 각각으로 나누어지게 되면 그 내측에는 이어폰스피커(130, 132)가 구성된다.
외측의 반구면(122, 126)에는 외장형스피커(110, 112)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어폰 또는 스피커 입력단과 연결되는 스테레오선(162)으로 연결된 연결잭(160)이 구성되어 있다. 연결잭(160)은 MP3, 카셋트, 라디오, CDP, MD 등의 오디오 장치의 스테레오 출력단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좌우측의 반구(102, 104)를 머리의 상부 또는 목의 뒷 부분에 고정시키는 헤드지지부(150)는 좌측 및 우측에 형성된 각각의 수납부(134, 136)에 접철식바 또는 톱날식기어 등에 의해 수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도면에는 좌측에 형성된 구면(102)의 내측평면(120)만이 표기되어 있지만, 반대편, 우측의 구면(104)에도 동일하게 구면(104)의 내측에 형성된 내측평면이 구성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는 2개의 반구(102, 104)에서 좌측의 반구(102)에 대하여 도시하기로 한다.
좌측 반구(102)의 내측의 중심부에는 이어폰스피커(130)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 이어폰스피커(130)의 상하 또는 좌우로 각각의 왼쪽(left) 및 오른쪽(right) 음을 담당하는 스테레오선(162)이 연결되는 각각의 접점(140, 142)이 나타나 있다. 이와 같이 접점(140, 142)이 우측의 반구(104) 평면(124)의 대응하는 접점에 접합되면, 이어폰스피커(130, 132)에 인가되는 음원 및 전원은 차단되고, 외장형스피커(110, 112)로만 전원이 인가되고, 음원이 재생된다.
또한, 각각의 내측평면(120, 124)의 좌측 반구(102)와 우측 반구(104)의 내측에 각각 상호 인력이 작용하는 자석(144)을 좌측 반구(102)와 우측 반구(104)가 대응하도록 설치하고, 좌측 반구(102)의 내측의 접점(140, 142)이 우측의 반구(104)의 내측에 접근하면 서로의 접점(140, 142)이 평면(124)의 대응하는 접점에쉽게 접촉하게 되도록 구성한다. 즉, 2개의 접점(140, 142) 중 어느 하나의 접점(140 또는 142)만이 접촉하게 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또한, 구 형태로 형성되어 스피커로 사용되는 동안 어느 정도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기 전에는 서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여 청취중에 접점(140, 142)이 떨어지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
반구(102, 104)가 하나로 합쳐서 좌측 및 우측의 접점(140, 142)이 상호 대응하는 스위치(141, 143)의 반대편 반구의 접점과 연결되면, 이어폰스피커(130, 132)로는 전원도 인가되지 않으며, 오디오장치로부터 음원이 전송되지 않게 된다. 한편, 외장형스피커(110, 112)로 전원이 인가되고, 음원도 외장형스피커(110, 112)를 통해 재생된다. 즉, 이 접점(140, 142)이 각각의 스위치(141, 143)의 일부로서, 이 접점(140, 142)이 스위치(141, 43) 내의 외장형스피커(110, 112)와 연결된 접점과 상호 연결되면, 외장형스피커(110, 112)로 동작하고, 스위치(141, 143)에서 각각의 접점(140, 142)이 떨어지면 이어폰스피커(130, 132)로 동작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헤드지지부(150)는 톱날식기어형태 또는 접철식으로 확장되어 나오며, 그 길이는 사용자의 머리 또는 목의 치수에 맞게 알맞게 빼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만약 헤드지지부(150)를 머리 위에 올려 놓지 않고, 목 뒤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귀의 상부에 걸어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귀걸이를 구면(122, 126) 또는 내측평면(120)의 일측에 구성하여 이어폰이 흘러 내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5에서는 헤드지지부(150)를 헤드폰과 같이 바의 형태로구성하였지만, 머리위에 구성하는 경우에도 더 얇게 구성할 수도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은 귀걸이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필요없을 수도 있으며, 또는 헤드지지부(150)와 귀걸이를 모두 구성할 수도 있다. 또는 목 뒤로 구성하는 경우에 도면에서와 달리 바의 표면적을 얇게 넓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어폰의 형태로 구성하여 헤드지지부(150)를 없애고 대신 구면(102, 104) 사이를 전원과 음원이 전송될 수 있는 전선으로 구성할 수 있다. 즉, 도면에는 스테레오선이 일자 형태로 출력되어 나와 있지만, Y자 형태로 구성되어 잭(160)으로부터 각각의 반구(102, 104)의 이어폰 또는 스피커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헤드지지부(150)가 있는 경우에도 Y자 형태로 스테레오선(162)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잭과 스테레오 라인을 없애고 무선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기타의 무선 규격을 사용하여 무선으로 오디오장치로부터 음원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전제 조건으로 오디오장치도 무선의 규격을 서비스할 수 있는 장치가 구성되어 있어야 함은 물론이다. 또한, 주지하는 바와 같이 이와 같이 무선으로 이어폰을 구성하게 되면, 이어폰에 사용되는 음원을 무선으로 수신할 수는 있지만, 무선 수신을 위한 전력 및 수신된 음원을 재생할 수 있는 전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건전지 등의 축전지를 사용하여 이어폰에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도 6을 참조하여 보면, 스피커 입력단, 예컨대, 워크맨, MP3플레이어, 카셋트, 라디오 등의 오디장치의 각각의 좌측 및 우측 스테레오 소켓(170)에 잭(160-1,160-2)을 연결하였다. 도 1의 잭(160)과 스테레오선(162)은 단일한 도면부호로 도시하였지만, 도 6의 잭(160-1, 160-2)과 스테레오선(162-1, 162-2)은 스테레오를 표기하기 위하여 각각 다르게 도시한 것일뿐 도 6의 잭(160-1, 160-2)를 합한 것이 도 1의 잭(160)과 동일하며, 도 6의 스테레오선(162-1, 162-2)을 합한 것이 도 1의 스테레오선(162)과 동일한 것이다.
각각의 스위치(141, 143) 내의 각각의 접점(140, 142)이 각각 연동되어 연결되면, 스테레오 소켓(170)으로부터 외장형스피커(110, 112)의 출력단으로 전원이 인가되고, 스테레오선(162-1, 162-2)을 통해 전송된 음원이 우측 및 좌측의 외장형스피커(110, 112)를 통해 재생된다.
만약 스위치(141, 143)의 접점이 점접(140, 142)에서 떨어지고, 우측 및 좌측의 이어폰 스피커(130, 132)와 스테레오 소켓(170)이 각각의 잭(160-1, 160-2)에 의해 연결되면, 이어폰스피커(130, 132)의 출력단으로 전원이 인가되고, 스테레오선(162-1, 162-2)을 통해전송된 음원이 우측 및 좌측의 이어폰스피커(130, 132)를 통해 재생된다.
본 발명은 스피커와 이어폰을 하나의 장치로 구성하고, 스피커 모양으로 구성하면, 스위치의 접속에 의해 자동으로 스피커로 동작하고, 이를 떼어 내어 이어폰 모양으로 구성하면 자동으로 스위치으 접속에 의해 자동으로 이어폰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스피커 또는 이어폰을 모두 사용할수 있도록 구성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스피커 일체형 이어폰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일체형 이어폰(100)은 결합수단에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한 좌측 및 우측의 반구(102, 104)로 구성하고,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각각의 반구(102, 104)의 내측평면(120, 124)의 좌측 반구(102)와 우측 반구(104)의 의 일측에 각각 인력이 작용하는 자석(144)을 형성하여 좌측 반구(102)와 우측 반구(104)가 대응하여 접근하면 상기 접점(140, 142)이 상기 우측 반구(104) 평면(124)의 상기 대응하는 접점에 접촉하게 되어 스피커의 기능을 수행하고 두개의 반구로 쪼개어지면 상기 접점이 상기 대응하는 반대편의 접점으로부터 떨어져 이어폰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일체형 이어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구(102, 104)를 머리의 상부 또는 목 뒷부분 및 귀에 걸어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반구(102, 104)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반구(102, 104)를 헤드, 목 뒤 또는 귀에 걸어 지지할 수 있도록 확장 및 그 크기를 줄여 수납 가능하도록 구성된 헤드지지부(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일체형 이어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일체형 이어폰은 무선으로 오디오장치로부터 음원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이를 재생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일체형 이어폰.
KR1020040090296A 2004-11-08 2004-11-08 스피커 일체형 이어폰 KR100627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0296A KR100627665B1 (ko) 2004-11-08 2004-11-08 스피커 일체형 이어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0296A KR100627665B1 (ko) 2004-11-08 2004-11-08 스피커 일체형 이어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1965A true KR20040101965A (ko) 2004-12-03
KR100627665B1 KR100627665B1 (ko) 2006-09-25

Family

ID=37378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0296A KR100627665B1 (ko) 2004-11-08 2004-11-08 스피커 일체형 이어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766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957B1 (ko) * 2006-12-29 2008-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음향데이터 출력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05252B1 (ko) * 2006-12-20 2009-06-29 (주)준성테크 개방형 청취장치
KR20140074735A (ko) * 2012-12-10 2014-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드폰
KR20220143071A (ko) * 2020-04-30 2022-10-24 썬전 샥 컴퍼니 리미티드 이어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9471A (ko) * 2002-02-20 2003-08-27 삼성물산 주식회사 음향 입출력장치 및 이를 적용한 마이크 일체형 이어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252B1 (ko) * 2006-12-20 2009-06-29 (주)준성테크 개방형 청취장치
KR100835957B1 (ko) * 2006-12-29 2008-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음향데이터 출력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74735A (ko) * 2012-12-10 2014-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드폰
KR20220143071A (ko) * 2020-04-30 2022-10-24 썬전 샥 컴퍼니 리미티드 이어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7665B1 (ko) 2006-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6806B1 (ko) 목걸이형 무선 헤드셋
US7388960B2 (en) Multimedia speaker headphone
JP3150873U (ja) ヘッドホン
JP2010516122A (ja) 自己内臓式デュアルイヤバッドまたはイヤホンシステムおよびその用途
US20070223762A1 (en) External sound outputting device
JP2007325042A (ja) 無線通信装置
KR100627665B1 (ko) 스피커 일체형 이어폰
JP2001292489A (ja) 骨伝導マイク付きヘッドホン
JP3476764B2 (ja) 聴覚補助器
CN213403429U (zh) 一种耳机
CN208891027U (zh) 一种磁吸式快拆耳机
KR200253605Y1 (ko) 서라운드 기능을 갖는 헤드폰
KR200341662Y1 (ko) 모노 스테레오 겸용 무선 헤드셋
JP4707160B2 (ja) ヘッドホン
KR20100024594A (ko) 외부음향 청취 이어폰
CN219611991U (zh) 一种集nfc功能于一体的耳机
US20050271228A1 (en) Handheld device with hearing aid function
KR200497417Y1 (ko) 의사소통 보조장치
CN218772434U (zh) 一种应用于助听系统的信号中转器以及助听系统
JP2001309476A (ja) 音声情報切換装置
KR100324393B1 (ko) 컴퓨터용 멀티 커넥터
JP2008113062A (ja) スピーカ装置及び音響装置
Einhorn Modern hearing aid technology—A user's critique
KR200189848Y1 (ko) 컴퓨터용 멀티 커넥터
KR20010081882A (ko) 카세트를 통해 음악을 들을 수 있고 핸드폰이 울릴경우통화도 가능한 헤드폰/이어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