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417Y1 - 의사소통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의사소통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417Y1
KR200497417Y1 KR2020220001639U KR20220001639U KR200497417Y1 KR 200497417 Y1 KR200497417 Y1 KR 200497417Y1 KR 2020220001639 U KR2020220001639 U KR 2020220001639U KR 20220001639 U KR20220001639 U KR 20220001639U KR 200497417 Y1 KR200497417 Y1 KR 2004974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ound
substrate
condenser
sp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16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승완
Original Assignee
류승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승완 filed Critical 류승완
Priority to KR20202200016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4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4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41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75Mountings of transducers in earphones or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83Reduction of ambient noi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4Circuit arrangements, e.g. for selective connection of amplifier inputs/outputs to loudspeakers, for loudspeaker detection, or for adaptation of settings to personal preferences or hearing impair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01Hearing devices using active noise cancel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의사소통 보조장치가 개시된다. 소리를 집음하는 기판부;와 내부에 공간을 갖는 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기판부가 내부에 배치되며, 화자가 파지하는 커버부; 및 상기 기판부를 통해 집음된 소리가 발생되는 소리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부는, 상기 커버부의 내부에 가장자리가 고정되어, 상기 커버부의 내부에 상하측이 띄워진 상태로 고정되는, 의사소통 보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의사소통 보조장치{COMMUNICATION AID}
본 고안은 청력 감소나 난청을 갖고 있으면서 동시에 인지능력이 저하된 사람과 의사소통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는 의사소통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력이 감소되거나 난청이 있는 노인 및 환자 등은 소리를 정확하게 듣기 위해 보청기를 사용하고 있다. 즉, 보청기는 소리를 크게 증폭하여 사용자가 보다 확실하고 정확하게 소리를 듣도록 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상세하게는, 보청기는 음성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마이크로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기 및 상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신호가 증폭기를 통해 전달되어 구동되는 스피커와 같은 출력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이때, 일반적인 귓속형 보청기는 1개의 기기 안에 마이크로폰, 증폭기 및 출력장치가 포함되어, 사용자의 귓속에 삽입되는 식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보청기는 제조 기술의 발전으로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어 근래에는 귓속 삽입형 보청기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 귓속 삽입형 보청기는 착용 후에도 외부에 표시가 나지 않고 착용이 간편한 장점 등으로 인하여 대부분의 보청기 사용자들에게 선호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보청기는 모든 소리를 동일하게 증폭시키기 때문에, 어음청음능력과 인지능력이 정상인 상태에서 순음청음능력만 감소된 사용자에게는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어음청음능력은 들리는 소리가 어떤 것인지 인식하는 능력이고, 순음청음능력은 소리를 듣는 능력을 뜻한다. 이와 같이 본인에게 필요한 정보를 선택해서 집중적으로 습득할 수 있는 지각능력을 칵테일파티 효과라고 한다.
그러나, 순음청음능력과 함께 들리는 소리가 어떤 것인지 인식하는 어음청음능력과 인지능력 등이 같이 저하된 사용자에게는 모든 소리를 증폭시키게 되면 어떤 화자가 얘기하는 것인지 인지하기 어려워 오히려 혼란을 가중시키기도 한다. 즉, 본인에게 필요한 소리만을 선택적으로 인식하지 못하는 사용자에게는 모든 소리를 증폭시키는 보청기는 혼란을 가중시키게 되는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순음청음능력이 낮아진 사용자가 보청기를 사용하여 소리를 증폭하게 되면, 노이즈가 많은 소리가 들리게 된다. 특히, 사고나 질병이 아닌 자연스러운 노화에 의한 노인성 난청인 경우는 노화에 따라 자연스럽게 고음부터 청력이 손실되기 때문에, 위와 같은 사용자는 고음이 상대적으로 더 들리지 않게 되어, ㅊ, ㅍ, ㅌ, ㅅ과 같이 1kHz 이상에 분포하는 치찰음을 인식하는 능력이 저하된다. 그런데, 사람은 치찰음을 통해 단어를 빠르게 구분하기 때문에, 치찰음을 인식하기 어려운 상기 사용자는 더욱 단어을 인식하기 어렵게 된다. 이와 같은 상황이 지속된다면, 어음청음능력이 같이 저하되어, 보청기가 이미 효과가 없는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인지능력 및 어음청음능력이 약화된 사용자도 어떤 화자가 얘기하는 것인지 확인할 수 있으면서, 화자의 목소리만 또렷하게 인지할 수 있는 보청기가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청력 감소나 난청을 갖고 있으면서 동시에 인지능력이 저하된 노인 등과 의사소통을 원활히 진행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는 의사소통 보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고안의 실시예들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반드시 상기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상세한 설명 등 명세서의 다른 기재로부터 본 고안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소리를 집음하는 기판부;와 내부에 공간을 갖는 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기판부가 내부에 배치되며, 화자가 파지하는 커버부; 및 상기 기판부를 통해 집음된 소리가 발생되는 소리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부는, 상기 커버부의 내부에 가장자리가 고정되어, 상기 커버부의 내부에 상하측이 띄워진 상태로 고정되는, 의사소통 보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의사소통 보조장치는 대화의 대상이 되는 상대의 소리만을 증폭하여 인지능력이 저하된 청자가 대화 상대를 원활하게 인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세하게는, 화자가 커버부를 파지한 상태로 말을 하기 때문에 다자 간의 대화에 있어서, 청자가 어떤 화자가 말을 하고 있는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의사소통 보조장치는 청력 및 인지능력이 저하된 청자가 지속적인 대화를 통해 인지능력의 저하를 늦출 수 있고, 다자 간의 대화에 있어 어떤 화자인지 쉽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세하게는,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의사소통 보조장치는 주변의 소음은 줄이고 화자의 소리는 크게 들리도록 하여, 대화라는 신호와 대화를 제외한 소리인 노이즈의 비율, 즉, 신호 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 S/N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난청이 있는 청자는 주변의 소음이 많은 상황에서 화자의 말을 또렷하게 인식하기 어려울 수 있다. 그런데, 본 고안의 의사소통 보조장치는 신호 대 잡음비를 높여주어, 단순히 모든 소리를 동일하게 증폭시켜주는 종래의 보청기에 비해 난청자인 청자가 대화 상대를 인식하고 대화에 더욱 원활하게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의사소통 보조장치는 구형으로 형성된 커버부 내부에 기판부가 배치되어, 외부의 충격에 대해 기판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세하게는, 커버부를 다수 명의 화자 또는 소리 발생부로 옮기는 과정에서 추락 등에 의해 커버부가 외부의 충격을 받게 되더라도, 커버부가 내부에 공간을 갖는 구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쉽게 파손되지 않는 완충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효과들은 반드시 상기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상세한 설명 등 명세서의 다른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사소통 보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버부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커버부의 내부에 포함된 기판부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기판부의 회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의사소통 보조장치의 사용 상황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불분명하게 하거나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사소통 보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버부의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의사소통 보조장치(100)는 청력이 감소된 노인 등이 원활하게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보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의사소통 보조장치(100)는 청력이 감소된 청자(L)와 말을 하는 화자(S) 간에 사용되어 의사소통을 보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의사소통 보조장치(100)는 화자(S)의 말을 집음하는 커버부(110), 커버부(110)와 소리발생부(140)를 연결하는 연결부(130) 및 커버부(110)를 통해 집음된 소리를 발생시키는 소리발생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의사소통 보조장치(100)는 화자(S) 및 청자(L)가 각각 나눠 든 상태에서 화자(S)의 소리만을 선택적으로 증폭시킬 수 있다.
이하 상기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커버부(110)는 내부에 공간을 갖는 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부의 충격에 대해 완충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커버부(110)가 각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모서리에 충격이 가해지면 쉽게 파손될 수 있으나, 본 고안의 커버부(110)는 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부의 충격에 대해 완충 작용을 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110)는 내부에 후술할 기판부(120)가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커버부(110)는 연결부(130)를 통해 소리발생부(140)와 연결되어, 집음된 소리를 소리발생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커버부(110)가 플라스틱 등 단단한 소재로 형성되는 경우, 커버부(110)의 외측 또는 내측에는 완충부재(미도시)가 배치되어, 커버부(110) 및 커버부(110)의 내부에 배치된 기판부(120)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세하게는, 커버부(110)는 청자(L)가 화자(S)에게 전달하는 과정에서 부딪히거나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충격 완화를 위해 완충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커버부(110)는 스펀지(sponge) 소재로 형성되어, 커버부(110) 자체가 커버부(110)의 내부에 배치된 기판부(120)를 보호할 수 있다. 그러나, 커버부(110)의 소재는 반드시 예시된 바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커버부(110)의 소재는 내부에 기판부(120)가 배치될 수 있는 것이면 무방하다.
또한, 커버부(110)는 청자(L)의 시선을 끌 수 있도록 밝고 눈에 띄는 색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커버부(110)는 빨간색, 노란색, 흰색 등 밝은 계열의 색상 또는 형광 계열의 색상으로 형성되어, 청자(L)가 화자(S)를 원활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버부(110)는 눈에 잘 띄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건전지의 교환 및 충전이 간편하게 이뤄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부(110)는 분리될 수 있는 상부커버(111)와 하부커버(112), 연결부(130)가 연결되는 연결홀(113) 및 소정 정도 개방되어 후술할 마이크(122)가 배치되는 음성수신홀(1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커버부(110)는 상측 및 하측이 각각 상부커버(111) 및 하부커버(112)로 분리되어, 필요에 따라 개폐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커버부(110)는 상부커버(111) 및 하부커버(112)가 완전히 분리되어, 중심에 후술할 기판부(120)가 배치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커버(111) 또는 하부커버(112)가 체결되는 동일한 평면에 판형의 기판부(120)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상부커버(111)의 상단 및 하부커버(112)의 하단에는 빈 공간이 배치되고, 기판부(120)가 커버부(110)의 중심부에 띄워지게 배치되므로, 기판부(120)가 충격에 대한 완충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연결홀(113)은 커버부(110)의 일측에 개방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연결홀(113)은 커버부(110)의 상부커버(111) 및 하부커버(112)가 결합되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홀(113)은 상부커버(111) 및 하부커버(112)의 결합면에 반원형으로 마주보게 형성되어, 상부커버(111) 및 하부커버(112)를 결합하게 되면 원형의 개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연결홀(113)에는 후술할 기판부(120)의 이어폰 단자(127)가 배치되어, 연결부(130)가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연결홀(113)의 형상은 반드시 예시된 바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연결홀(113)은 이어폰 단자(127)가 배치되기 위한 다양한 구조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음성수신홀(114)은 연결홀(113)과 유사하게 커버부(110)의 일측에 개방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음성수신홀(114)은 커버부(110)의 상부커버(111) 및 하부커버(112)가 결합되는 면에 형성되되, 연결홀(113)의 반대편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음성수신홀(114)은 상부커버(111) 및 하부커버(112)의 결합면에 반원형으로 마주보게 형성되어, 상부커버(111) 및 하부커버(112)를 결합하게 되면 원형의 개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음성수신홀(114)에는 후술할 기판부(120)의 마이크(122)가 배치되어, 외측에 배치된 마이크(122)에 의해 외부의 소리를 집음할 수 있다.
다만, 연결홀(113)과 음성수신홀(114)은 후술할 기판부(120)의 이어폰 단자(127)와 마이크(122)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음성수신홀(114)의 형상은 반드시 예시된 바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음성수신홀(114)은 마이크(122)가 배치되기 위한 다양한 구조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연결부(130)는 커버부(110)와 소리발생부(140)를 연결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연결부(130)는 화자(S)가 들고 있는 커버부(110)와 청자(L)가 들고 있는 소리발생부(140) 간을 연결할 수 있도록 소정 정도의 길이를 갖는 케이블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연결부(130)는 화자(S)와 청자(L) 간을 연결하기 위해 최소 1m 이상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편의상 더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130)는 케블라(Kevlar) 섬유로 보강되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연결부(130)는 커버부(110) 및 소리발생부(140)를 유선으로 연결하여 기기를 분실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예컨대, 노령자인 청자(L)의 경우, 높은 확률로 커버부(110) 또는 소리발생부(140)를 분실할 수 있기 때문에, 연결부(130)가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130)는 커버부(110)에 연결되는 제1연결단자(131) 및 소리발생부(140)에 연결되는 제2연결단자(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단자(131)는 연결부(130)의 일측 끝단에 배치되어, 커버부(110)의 연결홀(113)에 배치된 이어폰 단자(127)에 삽입 연결될 수 있다.
제2연결단자(132)는 연결부(130)의 타측 끝단에 배치되어, 소리발생부(140)에 삽입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소리발생부(140)는 커버부(110)와 연결되어, 커버부(110)에서 집음된 소리를 발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소리발생부(140)는 헤드셋 및 이어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소리발생부(140)로 사용되는 장치 등에 이어폰 단자(127)에 연결되는 연결선이 포함된 경우, 연결부(130) 없이 이어폰 단자(127)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소리발생부(140)로 사용되는 장치 등에 연결선이 포함되더라도 청자(L) 및 화자(S) 간의 거리가 상기 연결선 이상으로 멀리 떨어지는 경우, 연장선(미도시)을 연결하여 커버부(110)와 소리발생부(140) 간의 연결 거리를 연장할 수 있다.
또한, 소리발생부(140)는 차음형 또는 노이즈 캔슬링 기능이 구비된 장치를 사용하여, 외부 소리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소리발생부(140)는 외부의 소리를 일부 차단하고, 화자(S)의 소리가 더욱 선명하게 들리도록 하여, 청자(L)가 대화에 더욱 집중할 수 있게 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소리발생부(140)는 양쪽 귀에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형성되어 청자(L)의 양쪽 귀에 착용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보청기는 고가이기 때문에 청력이 더 낮은 한 쪽의 귀에만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이와 같이 한쪽 귀에만 보청기를 사용하게 되면, 청자에게 전달되는 소리가 보청기가 없는 반대편의 귀로 전달될 때 평균적으로 6 내지 12dB 정도의 에너지가 감소되어, 말소리 구별에 어려움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양쪽 귀에 모두 난청이 있는 청자(L)가 한 쪽에만 보청기를 사용하는 경우, 말 소리를 방해할 수 있는 소음이 있거나, 거리가 먼 경우 더욱 집중해야 하므로 집중력이 저하되고 피로감이 증가할 수 있다.
반면에, 본 고안의 소리발생부(140)는 한 쌍으로 형성되어, 청자(L)가 양쪽 귀에 착용할 수 있으므로, 청취 노력으로 인한 피로감이 감소될 수 있고, 양이 합산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양이 합산효과는 양쪽 귀로 들리는 소리의 에너지가 합쳐져 약 5 내지 6dB 정도 더 크게 들리는 효과를 말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커버부의 내부에 포함된 기판부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기판부의 회로도이다.
도 3 내지 4를 참조하면, 기판부(120)는 커버부(1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소리를 집음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기판부(120)는 커버부(110)의 중심점을 지나는 단면과 동일하거나 작은 면적의 판형 부재로 형성되어, 커버부(110)의 중심부에 배치될 수 있다. 기판부(120)는 일측이 연결부(130)에 연결되고, 타측은 개방되어 소리를 집음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판부(120)는 전원이 연결되는 전원단자(121), 소리를 집음하는 마이크(122), 소리의 노이즈(noise)를 제거할 수 있는 콘덴서(123), 소리의 볼륨을 조절하기 위한 저항(124), 소리를 증폭시킬 수 있는 앰프 모듈(125), 회로를 연결하는 연결선인 점퍼(126), 연결부(130)가 연결되는 이어폰 단자(127), 스피커를 연결할 수 있는 스피커 출력부(128) 및 스피커 입력부(129)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단자(121)는 기판의 라운드 소켓에 끼워 고정한다. 바람직하게, 전원단자(121)는 9V 건전지 스냅 단자가 사용되어, 9V 건전지와 연결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전원단자(121)에 연결된 건전지는 커버부(110)의 상부커버(111) 또는 하부커버(112)의 내부 빈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건전지는 기판부(120)에 부딪혀 손상되지 않도록, 상부커버(111) 또는 하부커버(112)의 내부 빈 공간에 고정될 수 있다.
마이크(122)는 소리(음성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마이크(122)는 커넥터에 연결되어 기판의 라운드 소켓에 연결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마이크(122)는 커버부(110)의 음성수신홀(114)에 배치되어 외부로 소정 정도 노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콘덴서(123)는 소리의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콘덴서(123)는 직류 전원에서 신호만을 분리하여 전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콘덴서(123)는 제1, 2, 3, 4, 5, 6콘덴서(123a, 123b, 123c, 123d, 123e, 123f)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콘덴서(123a)는 입력 커플링 콘덴서로 배치되어, 마이크의 직류 전원에서 신호를 분리하여 앰프 모듈(125)의 입력 핀으로 보낼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제1콘덴서(123a)의 정전용량은 0.01μF의 작은 값을 사용하면 높은 신호만 통과되어 날카로운 소리가 나고, 10μF의 큰 값을 사용하게 되면 낮은 주파수도 통과되어 평범한 소리가 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1콘덴서(123a)는 고음을 듣기 힘든 노인성 난청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0.01μF의 정전용량이 사용되고, 스피커 또는 평범한 용도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10μF의 정전용량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의 개념을 달리 설명하면, 저음에 비해 고음 인식 능력이 과도하게 저하된 청자(L)는 정전용량이 0.01μF인 제1콘덴서(123a)를 사용하고, 저음 및 고음 인식 능력이 비등하게 저하된 청자(L)는 정전용량이 10μF인 제1콘덴서(123a)를 사용할 수 있다.
제2콘덴서(123b)는 출력 커플링 콘덴서로 배치되어, 직류 전원에서 신호를 분리하여 앰프 모듈(125)의 출력 핀으로 보낼 수 있다. 상세하게는, 이어폰 및 스피커 등에 직류 전원이 유입되면 고장이 발생되기 때문에 사용될 수 있다. 제2콘덴서(123b)도 제1콘덴서(123a)와 마찬가지로 정전용량이 작으면 높고 명료한 소리가 나고, 낮은 정전용량을 사용하면 보통의 저음이 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콘덴서(123b)는 고음을 듣기 힘든 노인성 난청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100μF의 정전용량이 사용되고, 스피커 또는 평범한 용도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220μF의 정전용량이 사용될 수 있다.
제3콘덴서(123c)는 이득 조절 콘덴서로 배치되어, 이득(gain)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3콘덴서(123c)는 후술할 앰프 모듈(125)의 다리 핀 넘버 1번과 8번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3콘덴서(123c)를 사용하지 않으면 전압이 20배 증폭되고, 정전용량이 10μF인 제3콘덴서(123c)를 사용하게 되면 전압이 200배 증폭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3콘덴서(123c)는 증폭율이 높아지면 음질이 떨어지기 때문에 심한 난청자나 스피커를 연결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제4콘덴서(123d)는 바이패스 콘덴서로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4콘덴서(123d)는 일측 끝단이 접지되어 불필요한 신호인 노이즈(noise)를 흘려버리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5콘덴서(123e)는 정전용량이 0.1μF인 콘덴서가 사용될 수 있다. 제6콘덴서(123f)는 정전용량이 0.033μF인 콘덴서가 사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제5콘덴서(123e) 및 제6콘덴서(123f)는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저항(124)은 소리의 볼륨을 조절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항(124)은 제1, 2, 3, 4저항(124a, 124b, 124c, 124d)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저항(124a)은 가변 저항으로 배치되어, 소리의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저항(124a)은 반고정 저항으로 형성되고, 10kΩ의 저항값을 가질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1저항(124a)은 제1콘덴서(123a)를 통과한 신호의 크기를 조절하여 앰프 모듈(125)로 전달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1저항(124a)은 십자 홈이 형성되어 십자 드라이버를 삽입하여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소리의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
제2저항(124b)은 마이크(122) 전원용 저항으로 배치되어, 마이크(122)의 전원을 제어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2저항(124b)은 2.2 kΩ의 저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2저항(124b)은 후술할 스피커 입력부(129)에 휴대폰이나 mp3 등이 연결될 경우,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제3저항(124c)은 10Ω의 저항이 사용될 수 있다. 제3저항(124c)은 주파수가 올라감에 따라 이어폰이나 스피커의 임피던스가 상승되는 것을 상쇄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제4저항(124d)은 10kΩ의 저항이 사용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3콘덴서(123c)를 제거하고, 제6콘덴서(123f)와 제4저항(124d)을 연결하면 저음이 강화되어 부드러운 소리를 얻을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제3저항(124c) 및 제4저항(124d)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앰프 모듈(125)은 소리를 증폭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앰프 모듈(125)은 저전압 오디오 파워 앰프(Low Voltage Audio Power Amplifier)가 사용되고, 더욱 상세하게는 LM386이 사용될 수 있다. 앰프 모듈(125)은 8개의 핀을 포함하여, 기판의 홈에 고정될 수 있다.
점퍼(126)는 연결 선으로 배치되고, 0 Ω 또는 4 Ω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점퍼(126)는 적당한 부품의 다리를 절단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어폰 단자(127)는 기판의 일측에 배치되어, 이어폰, 헤드셋 또는 연결부(130)가 연결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이어폰 단자(127)는 커버부(110)의 연결홀(113)에 배치되어, 외부로 소정 정도 노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스피커 출력부(128)는 스피커를 연결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스피커 입력부(129)는 의사소통 보조장치(100)를 대화 보조 장치의 용도가 아닌 핸드폰 등의 출력을 연결하여 스피커로 사용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의사소통 보조장치의 사용 상황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의사소통 보조장치(100)의 사용하는 방법을 도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청자(L)가 소리발생부(140)를 귀에 장착한다. 이후, 소리발생부(140)와 연결부(130)로 연결된 커버부(110)를 화자(S)에게 전달한다. 내부에 기판부(120)가 배치된 커버부(110)는 화자(S)가 발생하는 소리를 집음하여 소리발생부(140)로 전달하여 청자(L)가 소리를 들을 수 있다. 또한, 청자(L)는 커버부(110)를 들고 있는 사람이 화자(S)라는 것을 인식하고, 화자(S)의 입모양도 보며 들을 수 있기 때문에, 청자(L)가 대화를 원활하게 인지하고 대화에 참여할 수 있다.
이후, 또 다른 화자(S)가 얘기하고자 하는 경우, 커버부(110)를 전달받아 얘기하면, 연결부(130)를 통해 소리발생부(140)로 소리가 전달되어 청자(L)가 들을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커버부(110)를 TV(television), 라디오, 오디오 및 스마트폰 등 소리가 발생되는 전자제품의 주위에 배치시켜, 특정 소리를 증폭시켜 청자(L)가 듣도록 할 수 있다.
이후, 대화가 종료되거나 더 이상 소리를 듣고자 하지 않는 경우, 청자(L)가 커버부(110)를 회수하기 위해 이동하지 않고, 연결부(130)를 잡아당기는 방법으로 커버부(110)를 회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의사소통 보조장치(100)는 대화의 대상이 되는 상대의 소리만을 증폭하여 인지능력이 저하된 청자(L)가 대화 상대를 원활하게 인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세하게는, 화자(S)가 커버부(110)를 파지한 상태로 말을 하기 때문에 다자 간의 대화에 있어서, 청자(L)가 어떤 화자(S)가 말을 하고 있는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의사소통 보조장치(100)는 청력 및 인지능력이 저하된 청자(L)가 지속적인 대화를 통해 인지능력의 저하를 늦출 수 있고, 다자 간의 대화에 있어 어떤 화자(S)인지 쉽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세하게는,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의사소통 보조장치(100)는 주변의 소음은 줄이고 화자(S)의 소리는 크게 들리도록 하여, 대화라는 신호와 대화를 제외한 소리인 노이즈의 비율, 즉, 신호 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 S/N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난청이 있는 청자(L)는 주변의 소음이 많은 상황에서 화자(S)의 말을 또렷하게 인식하기 어려울 수 있다. 그런데, 본 고안의 의사소통 보조장치(100)는 신호 대 잡음비를 높여주어, 단순히 모든 소리를 동일하게 증폭시켜주는 종래의 보청기에 비해 난청자인 청자(L)가 대화 상대를 인식하고 대화에 더욱 원활하게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의사소통 보조장치(100)는 구형으로 형성된 커버부(110) 내부에 기판부(120)가 배치되어, 외부의 충격에 대해 기판부(12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세하게는, 커버부(110)를 다수 명의 화자(S) 또는 소리 발생부로 옮기는 과정에서 추락 등에 의해 커버부(110)가 외부의 충격을 받게 되더라도, 커버부(110)가 내부에 공간을 갖는 구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쉽게 파손되지 않는 완충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고,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의사소통 보조장치 110: 커버부
111: 상부커버 112: 하부커버
113: 연결홀 114: 음성수신홀
120: 기판부 121: 전원단자
122: 마이크 123: 콘덴서
124: 저항 125: 앰프 모듈
126: 점퍼 127: 이어폰 단자
128: 스피커 출력부 129: 스피커 입력부
130: 연결부 131: 제1연결단자
132: 제2연결단자 140: 소리발생부

Claims (7)

  1. 소리를 집음하는 기판부(120);
    내부에 공간을 갖는 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측 및 하측이 각각 상부커버(111) 및 하부커버(112)로 분리되며, 상기 기판부(120)가 내부에 배치되고, 화자(S)가 파지하는 커버부(110);
    상기 기판부(120)를 통해 집음된 소리가 발생되는 소리발생부(140); 및
    청자(L)가 대화 상대를 인식하도록, 1m 이상의 길이로 상기 커버부(110)와 상기 소리발생부(140)를 유선으로 연결하는 연결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110)는,
    상기 상부커버(111)와 상기 하부커버(112)의 결합면에 반원형으로 마주보게 개방부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커버(111)와 상기 하부커버(112)의 결합 시 원형의 개방부가 형성되는, 연결홀(113)과 음성수신홀(114);을 더 포함하여, 상기 기판부(120)와 상기 커버부(110)의 조립 시 상기 기판부(120)에 배치된 이어폰 단자(127)와 마이크(122)가 외부로 일부 노출 배치되고,
    상기 기판부(120)는,
    상기 커버부(110)의 내부에 가장자리가 고정되어, 상기 커버부(110)의 내부에 상하측이 띄워진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상부커버(111)와 상기 하부커버(112)가 체결되는 평면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부(110)의 중심부에 배치되는, 의사소통 보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판부(120)는,
    전원이 연결되는 전원단자(121);
    상기 커버부(110)를 통해 일측이 외부로 노출 배치되는 마이크(122);
    소리를 증폭시키기 위한 앰프 모듈(125);
    직류 전원에서 신호를 분리하여 상기 앰프 모듈(125)로 전달하여, 상기 마이크(122)를 통해 집음된 소리에서 노이즈를 제거하는 콘덴서(123); 및
    소리의 볼륨 조절 및 전원 제어를 위해 배치되는 저항(124); 및
    상기 커버부(110)를 통해 일측이 외부로 노출 배치되어, 연결부(130) 또는 상기 소리발생부(140)가 연결되는 이어폰 단자(127); 을 더 포함하는, 의사소통 보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콘덴서(123)는,
    저음에 비해 고음 인식 능력이 과도하게 저하된 청자(L)는 정전용량이 0.01μF인 것을 사용하고, 저음 및 고음 인식 능력이 비등하게 저하된 청자(L)는 정전용량이 10μF인 것을 사용하는 제1콘덴서(123a);를 포함하는, 의사소통 보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리발생부(140)는,
    차음형 또는 노이즈 캔슬링 기능이 구비된 장치가 사용되어, 외부의 소리를 일부 차단하는, 의사소통 보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리발생부(140)는,
    한 쌍으로 형성되어, 청자(L)의 양쪽 귀에 착용되는, 의사소통 보조장치.
  6. 삭제
  7. 삭제
KR2020220001639U 2022-07-05 2022-07-05 의사소통 보조장치 KR2004974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639U KR200497417Y1 (ko) 2022-07-05 2022-07-05 의사소통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639U KR200497417Y1 (ko) 2022-07-05 2022-07-05 의사소통 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7417Y1 true KR200497417Y1 (ko) 2023-11-02

Family

ID=88742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1639U KR200497417Y1 (ko) 2022-07-05 2022-07-05 의사소통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417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4500Y1 (ko) * 2002-11-18 2003-02-15 김원길 휴대용 음성 증폭기
KR20050018241A (ko) * 2003-08-14 2005-02-23 충청북도 전음성 난청 및 신경 감음성 난청 겸용 보청기
KR102046803B1 (ko) * 2018-07-03 2019-11-21 주식회사 이엠텍 청음 보조 시스템
KR20200046803A (ko) * 2018-10-25 2020-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4500Y1 (ko) * 2002-11-18 2003-02-15 김원길 휴대용 음성 증폭기
KR20050018241A (ko) * 2003-08-14 2005-02-23 충청북도 전음성 난청 및 신경 감음성 난청 겸용 보청기
KR102046803B1 (ko) * 2018-07-03 2019-11-21 주식회사 이엠텍 청음 보조 시스템
KR20200046803A (ko) * 2018-10-25 2020-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01057B2 (en) Hearing assistance system
CN110915238B (zh) 语音清晰度增强系统
US6671379B2 (en) Ear microphone apparatus and method
US7388962B2 (en) Directional hearing enhancement systems
US20020039427A1 (en) Audio apparatus
JP2008283326A (ja) イヤホーンマイク
US20080240477A1 (en) Wireless multiple input hearing assist device
US20200213776A1 (en) External ear insert for hearing enhancement
KR100809549B1 (ko) 보청기 겸용 무선 헤드셋 및 그 제어방법
KR200497417Y1 (ko) 의사소통 보조장치
EP3072314B1 (en) A method of operating a hearing system for conducting telephone calls and a corresponding hearing system
CN213403429U (zh) 一种耳机
JP3356287B2 (ja) 補聴器
KR101109748B1 (ko) 마이크로폰
CN217849683U (zh) 一种蓝牙助听电路、蓝牙助听装置和耳机
TWI345923B (ko)
CN214799882U (zh) 一种自适应方向助听器
US20050271228A1 (en) Handheld device with hearing aid function
CN215729150U (zh) 带助听功能的眼镜
KR200364252Y1 (ko) 이어폰 결합형 보청기
Choi et al. Implementation of Digital Hearing Aid Using Bluetooth Audio Digital Signal Processor
CN114007159A (zh) 一种辅听耳机及其实现方法、电子设备、存储介质、程序产品
JP3159527U (ja) 高齢者用集音器
TW200920165A (en) Earphones with a hearing aid function
Einhorn Modern hearing aid technology—A user's critiqu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