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1295A - 오디오-비디오 장치에서 레코딩된 정보를 판독하는 방법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오디오-비디오 장치에서 레코딩된 정보를 판독하는 방법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1295A
KR20040101295A KR10-2004-7014223A KR20047014223A KR20040101295A KR 20040101295 A KR20040101295 A KR 20040101295A KR 20047014223 A KR20047014223 A KR 20047014223A KR 20040101295 A KR20040101295 A KR 200401012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arking
sequence
reading
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4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0798B1 (ko
Inventor
제로므 마르땡
Original Assignee
톰슨 라이센싱 소시에떼 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라이센싱 소시에떼 아노님 filed Critical 톰슨 라이센싱 소시에떼 아노님
Publication of KR20040101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1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0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07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06F3/04855Interaction with scrollba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9/022Control panels
    • G11B19/025'Virtual' control panels, e.g.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9/16Manual contro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7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tap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8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 H04N5/85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on disc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6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with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 H04N9/8063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with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using time division multiplex of the PCM audio and PCM video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H04N9/8227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the additional signal being at least another television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코딩된 정보 세트를 판독하는데 사용되며, 시퀀스 정보를 판독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판독 시스템에 적용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적어도 2개의 동작 단계, 즉, 판독되는 정보의 제 1 시퀀스를 마킹하는 것을 수반하는 단계로서, 상기 마킹은 제 2 정보 시퀀스를 판독하기 위해 고속 이동 키와 같은 특수 처리 모드 트리거 디바이스를 유저가 작동시킬 때 제 1 중단에 의해 트리거 되는, 판독되는 정보의 제 1 시퀀스를 마킹하는 것을 수반하는 단계와, 이전 마킹 단계 동안 중단되고 마킹된 제 1 정보 시퀀스로 리턴하는 것을 수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리턴 단계는, 유저가 리턴 디바이스를 작동시킬 때 제 2 시퀀스의 획득 동안 유저에 의해 트리거된다. 본 발명은 레코딩된 정보를 획득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오디오 비디오 작품을 보기 위해 유저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오디오-비디오 장치에서 레코딩된 정보를 판독하는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OF READING INFORMATION RECORDED IN AN AUDIO-VISUAL APPARATUS}
유저가 오디오비디오 프로그램을 시청할 때, 유저는 특정 시퀀스를 스킵(skip)하거나 더 앞선 시퀀스로 리와인드(rewind) 하거나 또는 레코딩되어 있는 특정 시퀀스를 서치(search)할 필요성을 느낄 수 있다. 이를 위해, 상업적인 리더(DVD 리더, CD 리더, 비디오 레코더, 등)에서 유저는 고속 리와인드 키와 고속 포워드 키, 고속 포워드 판독 키와 고속 리버스 판독 키와 저속 이동 키를 구비한다. 이후 설명에서, 이들 키는, 일반적인 방식으로, "특수 처리 모드를 트리거 하기 위한 디바이스"라는 용어로 부를 것이다.
그러나, 유저가 제 2 시퀀스를 시청하거나 서치하기 위해, 제 1 시청 시퀀스를 떠나는 경우, 유저가 제 1 시퀀스로 수동으로 차후 리턴하기 위해 제 1 시퀀스를 떠날 때 제 1 시퀀스의 어드레스를 적어두지 않는 한, 유저가 제 1 시퀀스로 리턴하는 것이 어려우며, 그리하여 여전히 유저가 제 1 시퀀스로 매우 정확히 항상 리턴하는 것은 아니다.
특허 US 5,999,688은 비디오 레코더와 같은 레코딩된 오디오비디오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 하는 장치를 개시한다. 유저는 광고 시퀀스의 시작과 끝을 지시하는 것에 의해 프로그램을 마킹할 수 있다. 일단 이 마킹 단계가 종료되면, 유저는 하나의 광고 시퀀스로부터 다른 광고 시퀀스로 네비게이트 할 수 있으며, 새로운 시퀀스의 판독은 시작시에 수행된다. 이 특허는 이전에 떠났던 곳에 있는 시퀀스로 리턴할 수 있는 것을 개시하고 있지 않다.
특허 US 6,188,831은 매체에 레코딩된 오디오비디오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를 또한 개시한다. 이 장치에는 프로그램의 이벤트를 마킹할 수 있게 하는 포인팅(광학 펜)이 구비되어 있다.
특허 US 5,623,588은 이벤트를 연대적으로 그래픽으로 표현(representation)하는 것을 디스플레이 하는 IT 장치를 개시한다. 이 표현은 대응하는 순간(moment)이 요소를 거의 포함하고 있지 않은지 또는 많은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지에 따라 변형된 형태(variations)를 나타낸다. 마커(marker)는 이벤트를 디스플레이 하면서 현재 순간을 배열할 수 있게 한다.
특허 US 5,974,015는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데이터의 디지털 레코딩 수단을 개시한다. 이들 데이터는 레코딩되기 전에 패킷으로 절단된다(chopped). 이들 문헌 어디에도 용이하고 정확하게 이전의 판독 지점으로 리턴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개시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오디오비디오 장치에서 레코딩된 정보를 판독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오디오비디오 프로그램이 레코딩 매체에 레코딩되어 있으며 이 프로그램이 비디오 레코더, DVD(digital versatile disk) 리더(reader), CD 리더, 하드 디스크 리더와 같은 리더에 의해 판독가능하기 때문에 또는 이 프로그램이 리모트 서버에 의하여 유저에게 이용가능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오디오 비디오 프로그램과 같은 정보 세트가 유저에게 이용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시스템에 특히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은, 연속적으로, 일렬로 레코딩 정보를 판독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에 특히 적용가능하다.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아래에서 오디오비디오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 하는 틀 내에서 기술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통상 순차적으로 제공되는 임의의 다른 타입의 정보를 유저에 의해 재생(판독, 청취 등)하는 것에도 적용가능하다.
도 1a 은 본 발명에 따라 정보를 판독하는 방법의 예시적인 간략화된 실시예에 대한 동작 흐름도.
도 1b 는 도 1a의 방법을 수행하는 것을 예시하는 레코딩 도면.
도 2a 내지 도 2c 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예시하는 도면.
도 3a 및 도 3b 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유저가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디스플레이의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의 예시적인 블록도.
본 발명은 이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판독될 정보의 특수 처리 모드를 트리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정보, 특히 시퀀스 정보를 판독할 수 있게 하는 판독 시스템에 적용가능한 레코딩된 정보 세트를 판독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방법은, 2개의 단계, 즉
- 유저가 제 2 정보 시퀀스를 판독하기 위해 특수 처리 모드를 트리거 하기 위한 상기 디바이스를 작동시킬 때 제 1 중단(interrupt)에 의하여 현재 트리거되는 현재 판독되는 제 1 정보 시퀀스를 마킹하는 단계와,
- 이전의 마킹 단계 동안 중단되고 마킹된 제 1 정보 시퀀스로 리와인드하는단계로서, 이 리와인드 단계는 유저가 리와인드 디바이스를 작동시킬 때 제 2 시퀀스를 재생하는 동안 유저에 의하여 트리거되는, 리와인드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방법은, 본 장치의 전면 패널 또는 리모트 컨트롤 상에 배열되어 있는 수 개의 제어 디바이스 또는 제어 키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적용가능하며, 이 문맥 내에서, 리와인드 단계는 이들 제어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본 방법에 따라, 제 1 마킹 단계 후에, 유저가, 결정된 시간보다 더 긴 제 2 시퀀스를 판독하는 시간 후에 특수 처리 모드를 트리거 하기 위한 상기 다비이스를 다시 작동시키는 경우, 제 2 마킹 단계가 트리거되며 이와 같이 계속된다.
다른 한편, 유저가 이 결정된 시간보다 더 작은 제 2 시퀀스를 판독하는 시간 후에 특수 처리 모드를 트리거 하기 위한 상기 디바이스를 다시 작동시키는 경우, 제 2 마킹 단계는 트리거되지 않는다.
이 방식으로 동작할 때, 여러 가지 연속적인 마킹이, 유저로 하여금 이후에 그 마킹된 곳으로 리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삭제되지 않는다.
레코딩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더 앞서 디스플레이 하는 동안 마킹되어 있는 시퀀스로 리턴할 수 있도록, 이 정보 항목을 정확하게 지시하기(pinpointing) 위한 어드레스 또는 지시값이 각 정보 항목에 할당되도록 제공된다. 각 마킹 단계는 임시 메모리에 정보 시퀀스에 해당하는 어드레스 또는 정확한 지시값을 등록하는 것을 제공하며, 이것은 후에 이 시퀀스로 리턴할 수 있게 한다. 이 목적을 위해, 리와인드 단계는 상기 메모리를 판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후, 임시 메모리로부터판독된 정확한 지시 값(pinpointing indication)에 대응하여 정보 시퀀스를 어드레스 지정하는 단계가 제공된다.
마킹을 수행하며 마킹된 시퀀스로 리와인드를 구성하는 한 가지 방법은 임시 메모리에서 여러 가지 마킹에 대응하여 여러 가지 정확한 지시값에 번호를 매기는 것이다. 나아가, 일반적으로, 유저 인터페이스인 리와인드 디바이스는 번호 키를 포함할 수 있다. 번호 키의 작동에 의해 동일한 번호를 가지는 정확한 지시값을 판독하며 이때 판독된 위치 지시값에 위치된 시퀀스로 라와인드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나아가, 이들 또는 저들 마킹된 시퀀스로 리와인드를 유저로 하여금 관리하게 하는 그래픽 디스플레이 단계를 제공한다. 이 그래픽 디스플레이는, 각 마킹된 시퀀스의 위치를 정확히 지시하는 태그(tag)의 이 그래픽 위에 디스플레이 하는 것 뿐만 아니라 레코딩되어 있는 정보 세트의 길이 또는 지속시간을 표현하는 것을 포함한다. 각 태그에는 마킹 번호가 연관되어 있을 수 있다.
그래픽 디스플레이는 타임아웃이 완료된 때에 삭제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마킹이 레코딩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간략화된 인디케이터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와 대체될 수 있다. 이후, 간략화된 인디케이터가 디스플레이된 경우, 리와인드 디바이스의 제 1 작동은 그래픽 디스플레이 단계를 트리거하며 제 2 작동은 마킹된 시퀀스로 리와인드 단계를 트리거 한다.
보다 간단하게, 적어도 하나의 마킹 단계가 트리거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간단한 그래픽 정보 항목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레코딩을 갖는 다른 시퀀스로 신속하게 이동하기 위하여 통상적인 정보 판독을 중단할 수 있는, 판독될 정보의 특수 처리 모드를 트리거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일렬로 정보를 판독할 수 있게 하는 레코딩된 정보 세트를 판독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특수 모드 신호를 수신하는 중단된 시퀀스를 마킹하며 메모리에 중단된 이 시퀀스의 어드레스의 마킹을 대신 명령하는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시스템은 상기 메모리에 중단 어드레스(Add1, Add2,...)의 판독을 명하며 이 중단 어드레스로부터 레코딩의 판독값으로 리와인드를 명하는 메모리를 판독하기 위한 회로 뿐만 아니라 중단된 시퀀스로 라와인드를 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 디바이스를 더 포함한다.
본 마킹 회로는 하나 이상의 중단 어드레스를 메모리에 등록하는 것을 명할 수 있게 한다. 본 마킹 회로는 또한 일련 번호(M1, M2, M3,...)를 각 중단 어드레스(Add1, Add2, Add3,...)로 할당할 수 있다. 나아가, 번호 키의 작동은 판독 회로(46)에 의해 작동된 번호 키의 번호와 동일한 일련 번호를 가지는 어드레스의 메모리로부터 판독을 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러 가지 목적과 특성은 첨부된 도면과 비제한적인 예를 통해 주어진 아래 설명으로 보다 더 명확해 질 것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이것에 대하여 기술된다.
본 발명은 레코딩된 정보를 유저가 재생하는 것에 적용가능하다. 명료하게 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유저가 비디오 프로그램을 보는 것과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고려하는 것에 의해 따라오는 것으로 기술된다. 본 프로그램은, 적절한 리더(reader)에 의해 판독가능한 텔레비전 디코더, 또는 예를 들어, 비디오 카세트, DVD(digital versatile disk) 디스크, 컴퓨터 하드 디스크와 같은 임의의 레코딩 매체 상에 레코딩되어 있다. 본 프로그램은, 또한 예를 들어,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본 프로그램을 수신하거나 또는 점대점 링크(point-to-point link)를 통해 서버로부터 이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는 것에 의해 원격적으로 레코딩될 수 있다. 유저는 그리하여 이 프로그램에 억세스하며 그리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TV 스크린)에서 이 프로그램을 볼 수 있다. 이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해, 유저는 알려진 방식으로 판독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키패드 또는 리모트 컨트롤이 구비되어 있다.일반적으로, 유저는 비디오 프로그램의 포워드 또는 리버스 판독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키, 다른 시퀀스를 판독하도록 스킵하기 위해 레코딩을 판독하기 위한 시스템의 고속 포워드 또는 포워드 또는 리버스 저속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키가 구비되어 있다. 유저는 또한 특정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다른 여러 가지 키 분만 아니라 시퀀스를 서치하기 위하여 고속 또는 저속 판독, 포워드 또는 리버스를 제어하기 위한 키가 제공된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고속 포워드 또는 저속 이동 키 및 포워드 또는 리버스 고속 판독 키는 본 설명에서 "특수 처리 모드를 트리거하기 위한 디바이스"라는 용어로 일반적인 방식으로 불리운다.
도 1b 는 순간(T0)에서 시작하고 순간(Tm)에서 종료하는 예를 들어 비디오 프로그램을 레코딩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이 레코딩은 그리하여 화살표 (F)로 표시된 방향으로 일반적으로 판독된다. 레코딩된 프로그램이 현재 DVD의 경우에서와 같이, 장(chapter)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현재 장을 나타내는 표현이나 현재 장을 포함하는 여러 개의 장을 나타내는 표현만을 디스플레이 하는데 개선점이 있다. 이 개선점은, 이 프로그램이 다수의 위치에서 마킹되어 있는 경우 그리고 이 여러 곳이 시간적으로 서로 매우 밀집해 있는 경우 이들을 구별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 특히 유용하다.
유저가 레코딩을 디스플레이 하며 유저가 순간(T0 및 Tm)에 대해 레코딩의 순간(T1)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태그에 있다고 가정된다. 도 1a의 도면에서, 우리는 그리하여 흐름도의 상단에 위치된 단계 1("T1에서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에 있다.
유저가 프로그램을 보고 있는 동안, 유저는 특수 처리 모드 트리거링 디바이스를 작동시킨다. 예를 들어, 유저는 레코딩의 다른 영역으로 고속 이동을 얻고자 하지만, 이것은 고속 판독 또는 저속 이동과 같은 다른 모드일 수 있다. 유저는 그리하여 "특수 이동을 작동"이라는 라벨이 붙은 흐름도의 단계 2를 수행한다. 기술되어 있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시퀀스 마킹"이라는 라벨이 있는 단계 3에서, 레코딩의 마킹이 차후 사용하기 위해 순간 T1에서 수행된다.
단계 4("T2에서 특수 이동")에서, 본 시스템은 특수 이동의 실행을 지시한다. 예를 들어, 본 시스템은 고속 포워드를 지시하고 순간 T2=T1+t1에서 이 고속 포워드를 정지시킨다. 유저는 이때 정상적인 디스플레이 모드에 따라 레코딩을 다시 보지만, 이번에는 순간 T2에서부터 본다. 이것은 흐름도의 단계 5("T2에서부터 디스플레이")에서 라벨 붙어 있다.
레코딩된 프로그램의 디스플레이 동안, 유저가 리와인드 디바이스를 작동시키는 경우, 본 프로그램은 "리와인드 디바이스를 작동"이라는 라벨이 붙은 단계 6으로 스킵한다. 이때, 도 1a의 방법은 단계 7("T1에서 디스플레이를 리와인드")을 제공하며, 이미 마킹된 레코딩 태그로 본 시스템을 리와인드 하는 것과 그리하여 순간 T1으로 리와인드 하는 것을 제공한다. 이 리와인드 디바이스는 특정 키 또는 일 변형예에 따라 리모트 컨트롤의 임의의 키 또는 유저의 키패드의 임의의 키, 또는 스크린 상에 보이는 아이콘의 선택일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방법의 보다 개선된 예시적인 실시예가 기술된다.
도 2b 는 순간(T0)에서 시작하고 순간(Tm)에서 종료하는 레코딩(P1)을 나타낸다. 유저는 레코딩을 시청한다. 순간(T1)에서, 유저는 고속 포워드를 수행하며 레코딩에서 여러 가지 서치를 하기를 원한다. 도 2a에 제시되어 있는 방법은 지나간 레코딩의 여러 가지 태그를 유저가 검색할 수 있는 방식으로 본 시스템의 동작을 관리한다. 이 목적을 위해, 우리는 도 2a의 흐름도를 참조한다.
단계 1 동안, 유저는 레코딩 P1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 하며 순간 T1까지 그렇게 한다("T1에서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
순간 T1에서, 유저는 특수 처리 모드 트리거링 디바이스를 작동시킨다(단계 2).
"시퀀스 마킹"으로 지시되어 있는 단계 3 동안, 레코딩의 순간 T1에서 마크(M1)가 이루어진다.
단계 4 동안, 본 시스템은 예를 들어 순간 T3에 위치된 레코딩의 태그까지 레코딩의 다른 시퀀스로 특수 이동을 지시한다.
단계 5 동안, 유저는 지속시간 t3 동안 순간 T3로부터 레코딩을 시청한다.
이전과 같이, 레코딩된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 하는 동안, 유저는 리와인드 디바이스를 작동시킬 수 있으며, 그리하여 본 프로그램이 "리와인드 디바이스를 작동"이라는 라벨이 붙은 단계 6으로 스킵하며 마킹된 곳에서부터 시퀀스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7로 스킵한다. 본 프로그램은 2개의 단계 6 및 7 둘레의 루프에 의해 계속된다.
이제, 순간 T3+t3에서, 유저가 특수 처리 모드 트리거링 디바이스(단계 8),예를 들어, 고속 리와인드 키를 작동시킨다고 가정해 보자.
단계 9 동안, 지속시간 t3은 미리 결정된 값(D1)과 비교된다.
지속시간 t3이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D1보다 더 크면, 우리는 단계 3 으로 리와인드하며 방금 중단된 시퀀스의 마킹을 수행한다. 그리하여 레코딩의 순간 T3+t3에서 마크(M2)가 이루어진다. 이후, 유저에 의해 지시된 특수 이동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도 2b에 제시된 바와 같이, 고속 리와인드가 순간 T2까지 수행된다.
지속시간 t3가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D1보다 더 작은 경우, 우리는 바로 단계 4로 가며 그리고 유저에 의해 지시된 고속 이동이 레코딩의 순간 T3+t3에서 마킹을 수행하지 않고 수행된다.
도 2b에서, t3가 D1보다 더 큰 것으로 가정되었다. 고속 리와인드 T2가 수행되며 레코딩의 순간 T3+t3에서 마크가 이루어진다. 순간 T2에서, 유저는 순간 T2 + t2까지 정상적인 디스플레이 모드(단계 5)에서 레코딩을 디스플레이 한다. 이 순간에, 유저는 특수 처리 모드 트리거링 디바이스를 다시 작동시킨다. t2가 D1보다 더 크다고 가정된다. 앞서와 같이 동일한 동작 방식이 단계 9, 단계 3, 및 단계 4를 지나가는 것에 의해 다시 일어난다. 레코딩의 순간 T2+t2에 위치된 태그는 그리하여 마킹(M3)에 의해 마킹되며, 특수 이동이 수행된다. 도 2b의 예에 따라, 이 특수 이동은 순간 T4에 까지 고속 포워드이다. 이때 유저는, t4가 D1보다 더 작도록 순간 T4 + t4에서 특수 처리 모드 트리거링 디바이스를 다시 작동시킨다. 이 상태 아래에서, 레코딩은 순간 T4+t4에서는 마킹되지 않으며 단계 4가 바로 수행된다. 예를 들어, 고속 포워드는 레코딩(단계 4)의 순간 T5에까지 지시된다. 유저는 T5에서부터 정상적인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레코딩을 시작하며(단계 5), 이후 순간 T6에서, 유저는 마킹된 시퀀스로 리와인드 하기 위해 리와인드 디바이스를 작동시킨다(단계 6). 예를 들어, 이 리와인드는 레코딩에서 마지막으로 마킹된 시퀀스, 다시 말해, 마크 M3에까지 이루어진다.
동작은 이후 계속된다. 그 동작은 특수 처리 모드 트리거링 디바이스의 작동(단계 8)에 의해 또는 가장 최근에 마킹된 시퀀스로 리와인드 하기 위한 리와인드 디바이스의 작동(단계 6)에 의해 이미 기술된 바와 같이 중단될 수 있다.
이 리와인드 디바이스는 본 장치의 전면 패널 또는 리모트 컨트롤의 키패드의 임의의 키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 디바이스는 특수 처리 모드를 트리거하기 위한 디바이스와는 다르며, 후자의 디바이스는 다른 키일 수 있다.
일반적 방식으로, 그리하여, 본 발명은, 유저가 리와인드 디바이스를 작동시킬 때 마찬가지로 자동적으로 이렇게 마킹된 시퀀스로 유저가 리턴할 수 있게 하는 방식으로 유저가 특수 처리 모드 트리거링 디바이스를 작동시킬 때 레코딩된 프로그램을 자동적으로 마킹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개선에 따라, 번호 키와 특히 비디오 리더의 리모트 제어에서, 텔레비전 방송국을 선택하기 위한 키는 리와인드 디바이스로 사용된다. 본 발명은 이후 동일한 번호를 가지는 마크를 지정할 수 있게 하는 번호 키의 작동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도 2b의 예에서, 디스플레이가 T6에 있을 때 키 번호 1의 작동은 M1으로 마킹된 레코딩의 위치로 바로 리와인드 할 수 있게 한다. 이것은 유저가 T6에있을 때 M3 및 이후 M2로 마킹된 위치를 거쳐 M1으로 리와인드하도록 다시 지나가는 것을 유저가 피할 수 있게 해준다.
이 배열을 구현하기 위해,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시퀀스 마킹 단계(단계 3)에서, 임시 메모리에서 중단된 각 시퀀스의 위치와 그리하여 중단 순간(T1, T2, ..., Tn)의 위치의 지시값을 레코딩하며 이들 지시값 각각과 마킹 일련 번호를 연결시키는 단계가 제공된다. 그리하여 도 2c 는 그러한 메모리를 나타낸다. 여러 순간(T1, T3+t3, T2+t2)이 레코딩되며 마킹 일련 번호(M1, M2, M3)가 각각 이들 순간에 할당된다. 이후, 리와인드 디바이스의 작동(단계 6) 동안, "마킹된 곳에서부터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단계 7)는 임시 메모리를 판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번호 키가 이 동작 방식으로 특수화되지 않는 경우, 이 레코딩에서 리와인드 어드레스를 얻기 위해 마지막 레코딩 마킹이 바람직하게 판독된다. 리와인드 키가 결정된 마크로 라와인드하는 가능하여야 하는 경우에, 작동된 키의 번호는 이에 대응하는 마킹 일련 번호로 직접 억세스할 수 있으며 그리하여 레코딩에서 대응하는 위치에 직접 억세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일 변형예에 따라, 레코딩이 오디오비디오 프로그램인 경우 아주 간단히 텔레비전 스크린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위에 레코딩의 지속시간이나 길이를 나타내는 그래픽 표현으로 된 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 이 그래픽에는, 각 마킹 단계(단계 3) 동안, 마킹이 수행된 것을 나타내는 태그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공된다. 마찬가지로, 현재 판독되고 있는 레코딩의 위치를 나타내는 이동가능 태그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공된다.
도 3a 는 그러한 그래픽 표현을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스크린(EC) 위에, 레코딩의 지속시간을 나타내는 요소(GR)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공된다. 이 요소는 도 3a에서 직선 형태를 가지고 있지만, 임의의 다른 형태(예를 들어, 개방되어 있는 환형 형태)를 가지고 있을 수도 있다. 이 요소(GR)의 2개의 단부에는 레코딩의 시작 순간(T0)과 종료 순간(Tm)이 나타나 있다.
도 2b의 레코딩에서 수행되어 있는 여러 가지 마킹(M1, M2, M3)은 이 그래픽 표현으로 도시되어 있다. 각 마킹 위에는 마킹 일련 번호(M1, M2, M3)가 나타나 있다. 마지막으로, 이동 가능한 화살표(fm)가 레코딩의 스크롤(scrolling)과 함께 이동한다. 예를 들어, 도 3a에서, 레코딩의 판독은 순간 T6에 도달되어 있다.
도 3b 는, 프로그램이 레코딩되는 동안, 마크의 번호의 위치가 시각적으로 마크의 순간을 정확히 지시하는 일 변형예를 도시한다. 레코딩(T0 및 Tm), 마크(M1, M2, M3)의 번호, 뿐만 아니라 레코딩 마크를 판독하는 현재 순간에 대한 시작 순간과 종료 순간이 그래픽으로 등록된다.
그리하여, 단계 6 (리와인드 디바이스를 작동) 동안, 유저가 디스플레이를 재개하기를 원하는 레코딩의 시퀀스를 유저가 선택할 수 있다.
이렇게 디스플레이된 그래픽 표현은 유저에게 불편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그리하여, 타임아웃이 종료한 때에 이 그래픽 표현이 더 이상 스크린 위에 디스플레이 되지 않는 것을 제공한다. 이 그래픽 표현은 마킹이 수행되었다는 것을 유저에게 알려주는 감소된 크기를 갖는 태그로 대체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리와인드 디바이스의 제 1 작동이 그래픽 표현의 디스플레이를 트리거하며 제 2 작동이이 리와인드를 트리거하도록 제공된다(단계 6).
간략화된 변형예에 따라, 임의의 그래픽 표현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아니라, 마킹이 본 장치에서 메모리에 배열되었다는 것을 유저에게 나타내는 아이콘과 같은 태그를 단순히 디스플레이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판독 장치를 정지시킬 때나 레코딩을 변경할 때 메모리에 배열된 마크를 삭제하는 것이다. 일 변형예는 메뉴로부터 삭제를 프롬프트(prompt)하는 것이다.
도 4 는 예를 들어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리더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방법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구현하는 시스템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다.
비록 예시적인 실시예가 DVD 스펙에 따라 디스크로부터 유래하는 압축된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판독하며 이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채용된 디지털 비디오 디바이스에 대해 기술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위치 정보가 판독될 데이터와 연관되거나 또는 판독될 데이터 패킷과 연관되어 있어, 판독 디바이스가 데이터 항목 또는 특정 데이터 블록을 신속하게 정확히 지시할 수 있으며 선택된 위치에서부터 판독을 시작할 수 있도록 하는 임의의 비디오 판독 디바이스에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 는 예시적인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리더의 기본 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들 요소의 구성 및 동작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에게는 알려져 있는 것이며 여기서 상세하게 취급되지 않는다. 디스크 리더(24)는 종속 프로세서(29)의 제어 하에 디스크를 회전시키며 이 디스크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판독하는 구동 및 판독 조립체(26)를 포함한다. 전치 증폭기(27) 및 DVD 데이터 처리 유닛(28)은 이 구동 및 판독 조립체(26)로부터 유래하는 전기 펄스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며, 이 디지털 데이터는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디코더 유닛(30)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데이터 처리 유닛(28)은, 데이터가 디코더 유닛(30)에 적절한 포맷으로 되도록, 디스크로부터 판독된 원 데이터(raw data)의 복조, 에러 정정, 및 디스크램블링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디코더 유닛(30)은, 복조, 디스크램블링, 및 에러 정정된 데이터를 수신하며 이 데이터를 처리하며 그리고 적절한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텔레비전 세트와 같은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공급한다. 디코더 유닛(30)은, 데이터 처리 유닛(28)으로부터 유래하는 데이터를, 비디오 열(train), 오디오 열, 및 특수 신호 열을 포함하는 복수의 개별 데이터 열로 디멀티플렉스하며, 이 데이터 열을 그 각 데이터 디코더로 공급하는 데이터 열 디멀티플렉서(32)를 포함한다. 비디오 디코더(31)는 비디오 열을 수신하며 비디오 신호를 믹서(33)에 공급한다. 부 이미지(subimage) 디코더(34)는 부 이미지 열(subimage train)을 수신하며 온스크린 디스플레이(OSD : on-screen display) 컨트롤(35)로 데이터를 공급하며,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컨트롤은 OSD 비디오 신호를 믹서(33)에 공급한다. 믹서(33)로부터 유래하는 결합된 비디오 신호는 NTSC/PAL 코더(42)로 공급되며, 이 코더는 비디오 신호에 대한 적절한 표준을 따르는 비디오 신호를 비디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공급한다. 오디오 디코더(36)는 데이터 열 디멀티플렉서(32)로부터 오디오 열을 수신하며 적절한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시스템으로 공급한다.
데이터 처리 유닛(28)은 디스크 리더(24)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유닛은, 적외선 리모트 컨트롤 디바이스, 리더 전면 패널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유저 컨트롤 디바이스(41)에 연결되며, 디스크 리더(24)의 전술된 여러 가지 요소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유저 컨트롤 디바이스(41)로부터 유래하는 데이터를 변환한다. 데이터 처리 유닛(28)은 디스크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를 표현하는 시퀀스를 결정하는 여러 가지 테이블을 저장하기 위해 메모리를 포함하거나 메모리에 연결될 수 있다. 특징적인 방식으로, 데이터 처리 유닛(28)은 또한 디스크 리더(24)의 여러 가지 억세스 특성을 제어하기 위해 또한 구성된다. 데이터 처리 유닛(28)은 전용 집적 회로 또는 디코더/제어기 유닛의 일부를 포함하는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데이터 처리 유닛(28)은 하나의 유닛 또는 복수의 적절한 제어기 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예의 틀 내에서, 아래 명시적으로 이루어지는 바와 같이, 특히 판독된 중단 어드레스를 저장하는 기능을 하는 메모리(45)가 제공된다. 이 메모리는 처리 유닛(28) 내에 있을 수 있다.
도 4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유저는 리모트 컨트롤과 같은 제어 디바이스(41)를 이용하여 리더(reader)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리모트 컨트롤에서 방출되는 고속 포워드 명령은 데이터 처리 유닛(28)에 의해 해석되며, 이 데이터 처리 유닛(28)은 디스플레이의 정지를 제어하며 종속 프로세서(29)에 의하여 디스크 리더 유닛의 고속 포워딩을 제어한다는 것은 알려져 있다. 이 명령시에, 데이터 처리 유닛(28)은 마킹 회로(44)를 이용하여 메모리에 중단 및 중단 어드레스(예를들어 Add1)의 등록을 명한다. 가능하게는, 도 2a의 방법에 적용시에, 이 데이터 처리 유닛(28)은 이 어드레스와 마킹 일련 번호(예를 들어 M1)를 연관시킨다. 이 데이터 처리 유닛은 이 방식으로 매번 진행하며 특수 처리 모드 트리거링 디바이스는 리모트 컨트롤로 작동된다. 그리하여,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45)에 저장되어 있는 리와인드 어드레스는 수 개 있을 수 있다.
유저가 특수 처리 모드 트리거링 디바이스가 아닌 또는 "포즈"나 "정지" 키가 아닌 자기의 리모트 컨트롤 키를 작동시키는 경우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유저가 번호 키를 작동시키는 경우, 데이터 처리 유닛(28)은 판독 회로(46)를 이용하여 메모리(45)에 이미 마킹된 디스크 어드레스로 리와인드를 명해야 한다는 것을 인식한다. 이 데이터 처리 유닛은 이미 저장되어 있는 어드레스의 판독을 명하며 이 어드레스를 종속 프로세서(29)로 송신하여, 종속 프로세서가 리더(24)로 하여금 데이터 처리 유닛(28)에 의해 공급되는 어드레스에 가서 디스크를 판독하게 지시하게 한다. 도 2a의 방법을 적용하는 문맥 내에서, 번호 키의 조작을 통해 판독 회로(46)가 일련 번호(M1, M2, M3,...)가 작동된 키와 동일한 번호를 갖는 어드레스의 메모리(45) 내의 판독을 명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연관된 일련 번호 뿐만 아니라 중단 어드레스 또는 리와인드 어드레스는 유저가 리더를 중지하게 명하거나 디스크를 변경하게 명하는 경우 처리 유닛의 제어 하에 삭제될 수 있다. 물론, 특정 기능 키는 메모리 내의 이 정보를 삭제하기 위해 리모트 컨트롤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오디오비디오 장치에서 레코딩된 정보를 판독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이용가능하다.

Claims (19)

  1. 판독될 정보를 특수 처리하는 모드를 트리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정보, 특히 순차 정보를 판독할 수 있게 하는 판독 시스템에 적용가능한 레코딩된 정보 세트를 판독하는 방법에 있어서,
    a. 현재 판독되고 있는 제 1 정보 시퀀스를 마킹(marking)하는 단계(단계 3)로서, 제 2 정보 시퀀스를 판독하기 위해 특수 처리 모드를 트리거하기 위한 상기 디바이스를 유저가 작동하는 경우 제 1 중단(T1)에 의해 트리거되는, 마킹 단계와,
    b. 이전의 마킹 단계 동안 중단되고 마킹된 상기 제 1 정보 시퀀스로 리와인드(rewind)하는 단계( 단계 7)로서, 이 리와인드 단계는, 유저가 리와인드 디바이스를 작동하는 경우, 상기 제 2 시퀀스를 재생하는 동안, 유저에 의해 트리거되는, 리와인드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코딩된 정보 세트를 판독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수 개의 제어 디바이스 또는 제어 키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적용가능하며 그리고 상기 리와인드 단계는 이들 제어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코딩된 정보 세트를 판독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마킹 단계(단계 3) 후에, 유저가 결정된 시간보다 더 긴 상기 제 2 시퀀스를 판독하는 시간 후에 특수 처리 모드를 트리거하기 위한상기 디바이스를 다시 작동하는 경우, 제 2 마킹 단계(3)가 트리거되며, 이와 같이 계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코딩된 정보 세트를 판독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이전의 마킹은 순차 마킹에 의해 삭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코딩된 정보 세트를 판독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마킹 단계 후에, 유저가 결정된 시간(D1)보다 더 작은 상기 제 2 시퀀스를 판독하는 시간(Ti) 후에 특수 처리 모드를 트리거하기 위한 상기 디바이스를 다시 작동하는 경우, 제 2 마킹 단계는 트리거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코딩된 정보 세트를 판독하는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각 정보 항목에는 이 정보 항목을 정확히 지시하는 어드레스 또는 지시값(M1 내지 M3)이 할당되며 그리고 각 마킹 단계는 정보 시퀀스에 대응하는 상기 정확한 지시 값 또는 어드레스를 임시 메모리에 등록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코딩된 정보 세트를 판독하는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리와인드 단계는 상기 메모리를 판독하는 단계와, 상기 임시 메모리로부터 판독된 정확한 지시값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 시퀀스를 어드레스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코딩된 정보 세트를 판독하는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여러 가지 마킹에 대응하는 여러 가지 정확한 지시값이 상기 임시 메모리에 번호 매겨지며, 그리고 상기 리와인드 디바이스는 번호 키를 포함하며, 상기 번호 키의 작동에 의해 동일한 번호를 갖는 정확한 지시값을 판독하며, 상기 리와인드 단계는 판독된 정확한 지시값에 위치된 시퀀스로 리와인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코딩된 정보 세트를 판독하는 방법.
  9. 제 1 항 또는 제 3 항 또는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마킹된 각 시퀀스의 위치를 정확히 지시하는 태그(M1 내지 M3)의 이 그래픽 위에 디스플레이 하는 것 뿐만 아니라 레코딩된 정보 세트의 길이 또는 지속시간의 표현(GR)을 포함하는 그래픽 디스플레이 단계를 제공하는, 레코딩된 정보 세트를 판독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각 태그에는 마킹 번호(M1 내지 M3)가 연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코딩된 정보 세트를 판독하는 방법.
  11. 제 1 항 또는 제 3 항 또는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마킹 단계가 트리거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그래픽 정보 항목을 디스플레이 단계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코딩된 정보 세트를 판독하는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타임아웃(timeout) 단계는 각 마킹 단계 후 결정된 시간이 종표한 때에 트리거되며 디스플레이 단계를 중단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코딩된 정보 세트를 판독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타임아웃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마킹이 레코딩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간략화된 인디케이터(indicator)의 디스플레이를 트리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코딩된 정보 세트를 판독하는 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간략화된 인디케이터가 디스플레되는 경우, 상기 리와인드 디바이스의 제 1 작동은 상기 그래픽 디스플레이 단계를 트리거하며 제 2 작동은 상기 리와인드 단계를 트리거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코딩된 정보 세트를 판독하는 방법.
  15. 레코딩의 다른 순서로 이동하기 위해 정상적인 정보 판독을 중단할 수 있는, 판독될 정보의 특수 처리 모드를 트리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일렬로 정보를 판독할 수 있게 해 주는 레코딩 정보 세트를 판독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특수 모드 신호를 수신하는 중단된 시퀀스를 마킹하며 메모리(45)에 중단된 시퀀스의 어드레스의 마킹을 대신 지시하는 회로(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코딩된 정보 세트를 판독하기 위한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내의 중단 어드레스(Add1, Add2,...)의 판독을 지시하며 이 중단된 어드레스에서부터 레코딩의 판독하기 위해 리와인드를 지시하는 메모리(45)를 판독하기 위한 회로(46) 뿐만 아니라 상기 중단된 시퀀스로 리와인드를 지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코딩된 정보 세트를 판독하기 위한 시스템.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 회로(44)는 하나 이상의 중단 어드레스(Add1, Add2, Add3,...)의 메모리(45)에 등록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코딩된 정보 세트를 판독하기 위한 시스템.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 회로(44)는 각 중단 어드레스(Add1, Add2, Add3,...)에 일련 번호(M1, M2, M3,...)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코딩된 정보 세트를 판독하기 위한 시스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리와인드 제어 디바이스는 번호 키를 포함하며, 상기 번호 키의 작동에 의해 방출되는 신호는 작동된 번호 키의 번호와 동일한 일련 번호를 가지는 어드레스의 메모리(45)에서부터 판독을 지시하기 위해 상기 판독 회로(46)에 의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코딩된 정보 세트를 판독하기 위한 시스템.
KR1020047014223A 2002-03-15 2003-03-17 판독 디바이스와 이러한 디바이스에서 레코딩된 오디오 비디오 프로그램을 판독하는 방법 KR1009407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2/03197 2002-03-15
FR0203197A FR2837341A1 (fr) 2002-03-15 2002-03-15 Procede et systeme de lecture d'informations enregistrees dans un appareil audiovisuel
PCT/FR2003/000836 WO2003079679A1 (fr) 2002-03-15 2003-03-17 Procede et systeme de lecture d'informations enregistrees dans un appareil audiovisu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1295A true KR20040101295A (ko) 2004-12-02
KR100940798B1 KR100940798B1 (ko) 2010-02-05

Family

ID=27772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4223A KR100940798B1 (ko) 2002-03-15 2003-03-17 판독 디바이스와 이러한 디바이스에서 레코딩된 오디오 비디오 프로그램을 판독하는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783156B2 (ko)
EP (1) EP1543681B1 (ko)
JP (1) JP2005530282A (ko)
KR (1) KR100940798B1 (ko)
CN (1) CN1643911B (ko)
AU (1) AU2003233379A1 (ko)
FR (1) FR2837341A1 (ko)
MX (1) MXPA04008920A (ko)
WO (1) WO20030796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58896B (en) 2008-03-31 2012-03-14 Sony Corp Recording apparatus
CN101692701B (zh) * 2009-03-30 2013-12-11 索尼株式会社 记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74015A (en) * 1990-05-14 1999-10-26 Casio Computer Co., Ltd. Digital recorder
US5623588A (en) * 1992-12-14 1997-04-22 New York University Computer user interface with non-salience deemphasis
US5999688A (en) * 1993-01-08 1999-12-07 Srt,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video player to automatically locate a segment of a recorded program
WO1997039451A1 (fr) * 1996-04-12 1997-10-2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que optique multimedia contenant des titres d'images de sorte qu'il soit possible de determiner instantanement si des fonctions av sont necessaires pour leur reproduction, appareil et procede pour reproduire ceux-ci
JP3733984B2 (ja) * 1997-01-29 2006-01-1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蓄積装置および情報蓄積方法
AU4185800A (en) * 1999-03-30 2000-10-16 Tivo, Inc. Multimedia program bookmark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43681A1 (fr) 2005-06-22
EP1543681B1 (fr) 2014-10-22
CN1643911B (zh) 2010-05-12
US20050105882A1 (en) 2005-05-19
JP2005530282A (ja) 2005-10-06
FR2837341A1 (fr) 2003-09-19
AU2003233379A1 (en) 2003-09-29
KR100940798B1 (ko) 2010-02-05
US7783156B2 (en) 2010-08-24
WO2003079679A1 (fr) 2003-09-25
CN1643911A (zh) 2005-07-20
MXPA04008920A (es) 2004-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04938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audio and/or video data and method to be run on said apparatus
US7949230B2 (en) Electronic equipment, system for video content, and display method
CN101843096A (zh) 显示记录材料的方法以及使用该方法的显示装置
US8212707B2 (en) Remote control system and remote control signal processing method
JPH08505729A (ja) ビデオ・テープ・カセット・プレーヤの動作の強化
JPH01175471A (ja) 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
EP1313315A2 (en) Information recording and playback apparatus
JP2002185889A (ja) コンテンツの検索・提示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記憶媒体
JPH09259515A (ja) Avコントローラ
US20060165354A1 (en) Digital video recording apparatus
KR100940798B1 (ko) 판독 디바이스와 이러한 디바이스에서 레코딩된 오디오 비디오 프로그램을 판독하는 방법
KR100493701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녹화 목록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JPS5894287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2004297649A (ja) 映像信号記録再生装置
JP5065939B2 (ja) 映像記録再生装置
JP2008312025A (ja) 映像コンテンツデータ再生装置
JP4052812B2 (ja) ビデオ装置
JP2007300438A (ja) 入出力装置、映像表示システム、入出力制御方法、入出力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0244903A (ja) 操作画面表示方法およびその表示を使った監視録画装置
US20020126587A1 (e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playing back information
JP3897033B2 (ja) 情報記録再生装置
JP2000244904A (ja) 監視記録装置およびそのパネルの表示方法
JP2013085207A (ja) 電子番組表表示装置及び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
JP2010068462A (ja) デジタル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
JP2002182834A (ja) 仮想ボタン式電子機器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システム、並びに仮想ボタンによるモード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