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0458A -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0458A
KR20040100458A KR1020030032830A KR20030032830A KR20040100458A KR 20040100458 A KR20040100458 A KR 20040100458A KR 1020030032830 A KR1020030032830 A KR 1020030032830A KR 20030032830 A KR20030032830 A KR 20030032830A KR 20040100458 A KR20040100458 A KR 200401004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over
rotary link
coupled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2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1927B1 (ko
Inventor
임용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2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1927B1/ko
Priority to JP2004141901A priority patent/JP2004350270A/ja
Priority to DE602004013674T priority patent/DE602004013674D1/de
Priority to EP04011769A priority patent/EP1480418B1/en
Priority to US10/850,619 priority patent/US20060135221A1/en
Priority to CNA2004100631630A priority patent/CN1574861A/zh
Publication of KR20040100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04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1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19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2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6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와,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하도록 본체의 상단면에 결합되는 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덮개가 일정위치 이상 개방되면 개방되는 방향으로 덮개에 힘을 인가하고 덮개가 일정위치 이상 폐쇄되면 폐쇄되는 덮개에 힘을 인가하는 개폐수단을 추가로 구비하여, 동작 중 덮개의 임의 유동으로 인하여 오동작이 발생하지 아니하고, 덮개를 끝까지 개방 또는 폐쇄하지 아니하더라도 자동으로 완전 개방 또는 완전 폐쇄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slide type }
본 발명은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체의 상단면에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덮개가 최대 개방점 또는 완전 폐쇄점에 위치하도록 덮개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전세계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가 점차 보급되어감에 따라 사용자의 욕구에 부응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과 디자인의 단말기가 출시되고 있다. 상기 단말기들은 일반 바 타입(bar type) 단말기에서부터 플립 타입(flip type) 단말기, 플립 업 타입(flip-up type) 단말기, 폴더 타입(folder type) 단말기 등으로 발전해 오고 있으며, 최근 들어, 폴더 타입 단말기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는 폴더 타입 단말기가 디스플레이 장치로 와이드 엘씨디 모듈을 채택할 만큼 공간적인 여유가 충분하며, 반으로 접어서 휴대하기 때문에 휴대성 또한 타 단말기보다 우수하기 때문이다.
한편, 상술한 폴더 타입 단말기와 유사한 크기의 와이드 엘씨디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단말기의 소형화에 이바지 할 수 있는 타입의 단말기가 등장하고 있다. 이는 소정의 본체 상에서 덮개가 단말기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 만큼 슬라이딩되어 개방되는 형태의 슬라이딩 타입 단말기로써, 기존의 폴더 타입 단말기에 비해 사용자의 변해 가는 다양한 기호에 부응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 슬라이딩 타입 단말기는 본체를 기준으로 볼 때, 슬라이딩 바디가 상기 본체 길이의 1/2정도까지 하측 또는 상측으로 슬라이딩되어 개방되는 상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이는 단말기의 동작 안정성을 위하여 1/2로 제한되나 그 이상 개방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덮개에 3 ×4 키패드 어셈블리가 설치될 수 있으며, 본체 전면상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상술한 덮개는 본체상에서 소정의 가이드 수단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덮개 또는 본체상에 가이드 리브를 형성시키고, 상기 덮개 또는 본체의 나머지 부분의 상기 가이드 리브와 상응하는 부분에 가이드 슬릿을 형성시켜, 슬라이딩 동작을 도모하고 있다. 또한, 상기 덮개가 슬라이딩되어 완전히 개방되거나, 완전히 폐쇄되는 부분에 소정의 스토퍼 수단을 설치 또는 형성하여 상기 본체상에서 덮개가 임의로 유동하는 현상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가이드 수단이나 스토퍼 수단을 구비한 슬라이딩 타입 단말기는 덮개가 본체상에서 완전히 개방되거나 폐쇄되어야만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개방 또는 폐쇄동작 도중에는 덮개가 임의로 유동되므로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단말기의 오동작이 유발되기도 한다. 또한, 덮개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고자 하는 경우, 덮개가 스토퍼에 걸리게 되어 고정될 때까지 덮개를 끝까지 밀어야한다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덮개를 끝까지 밀지 아니하더라도 덮개가 완전 개방 또는 완전 폐쇄 지점에 위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스토퍼를 사용하지 아니하더라도 덮개가 완전 개방 또는 폐쇄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의 분해도이다.
도 2a는 상기 힌지(300)의 내부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2b는 도 2a에서의 A-A'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c는 슬라이더의 펼친 형상을 도시한다.
도 3a는 덮개가 폐쇄되었을 때 회전링크의 위치를 도시한다.
도 3b는 덮개가 절반가량 개방되었을 때 회전링크의 위치를 도시한다.
도 3c는 덮개가 개방되었을 때 회전링크의 위치를 도시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본체 110 : 키패드
120 : 송신부 130 : 슬라이드 돌기
140 : 힌지 삽입구 150 : 회전링크 안착홈
200 : 덮개 210 : 이어피스
220 : 액정화면 230 : 가이드레일
240 : 회전링크 슬롯 300 : 힌지
310 : 회전링크 결합부 312 : 캠
320 : 본체 결합부 322 : 슬라이더
323 : 슬라이더홈 325 : 스프링
326 : 샤프트 400 : 회전링크
410 : 힌지 결합구 420 : 회전링크 돌기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는, 본체와,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운동이 가능하도록 본체의 상단면에 결합되는 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덮개가 일정위치 이상 개방되면 개방되는 방향으로 덮개에 힘을 인가하고 덮개가 일정위치 이상 폐쇄되면 폐쇄되는 덮개에 힘을 인가하는 개폐수단을 추가로 구비한다.
덮개는 본체와 맞닿는 면에 슬라이딩운동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레일을 구비하고, 본체는 가이드레일과 대응되는 부위에 가이드레일과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슬라이드 돌기를 구비한다.
개폐수단은, 본체의 상단면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본체 결합부와, 본체 결합부가 본체에 삽입될 때 전체 또는 일부가 본체 외부로 돌출되도록 본체 결합부 상단에 결합됨과 동시에 본체 상단면과 수직을 이루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정 주기를 가지며 자체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 회전링크 결합부를 포함하는 힌지와; 본체의 폭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 끝단은 힌지의 회전축과 직각인 방향으로 회전링크 결합부에 결합되고, 반대편 끝단에는 덮개의 하단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회전링크 돌기가 형성되는 회전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덮개는, 슬라이딩 돌기가 삽입 가능한 크기로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회전링크 슬롯을 하단면에 구비한다.
회전링크 결합부는 안쪽방향으로 유선형 캠을 구비하고; 본체 결합부는 길이방향으로 내부 중심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링크 결합부와 결합되는 샤프트와, 샤프트를 둘러싸도록 위치하는 스프링과, 스프링과 캠 사이에 위치하여 샤프트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회전링크 결합부가 회전함에 따라 캠의 삽입 및 이탈이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된 유선형 홈을 구비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체는, 힌지가 본체에 결합되었을 때 본체 외부로 돌출되는 회전링크 결합부와 회전링크를 묻을 수 있는 깊이를 가지며 회전링크가 묻힌 상태에서 180°미만의 각도로 회전 가능한 바닥면 형상을 갖는 회전링크 안착홈을 상단면에 구비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의 분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는, 숫자 및 각종 문자신호입력을 위한 키패드(110)와 음향 송신을 위한 송신부(120)를 구비하는 본체(100)와, 음향 출력을 위한 이어피스(210)와 영상 출력을 위한 액정화면(220)과 특수기능의 신호입력을 위한 다수의 기능키(250)를 구비하는 덮개(200)와, 덮개(200)의 슬라이딩운동을 보조하는 힌지(300) 및 회전링크(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체(100)의 상단면 양측에는 볼록하게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드돌기(130)가 장착되고, 본체(100)의 상단면에 겹쳐졌을 때 슬라이드돌기(130)와 대응되는 위치의 덮개(200) 하단면에는 슬라이드돌기(130)와 슬라이딩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가이드레일(230)이 덮개(20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슬라이드돌기(130)와 가이드레일(230)의 결합을 통하여 덮개(200)는 본체(100) 상단면에 겹쳐지도록 결합되고, 덮개(200)는 본체(10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며 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있다.
이와 같은 덮개(200)의 결합구조는 종래의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에 적용되는 결합구조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힌지(300)는 크게 나누어 본체(100)의 상단면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본체 결합부(320)와, 본체 결합부(320)가 본체에 삽입될 때 전체 또는 일부가 본체(100) 외부로 돌출되도록 본체 결합부(320) 상단에 결합되는 회전링크 결합부(310)로 구성된다.
회전링크 결합부(310)는 본체 결합부(3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자체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회전링크 결합부(310)는 한번 회전할 때마다 반바퀴씩 회전하도록 즉, 180°의 회전주기를 갖도록 구성되며, 본체 결합부(320)가 본체(100)에 삽입되더라도 회전링크 결합부(310)는 본체(100)의 상단면 외부로 돌출된다.
회전링크(400)는 본체(100)의 폭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 끝단에는 힌지(300)의 회전축과 직각인 방향으로 회전링크 결합부(310)에 결합 가능한 구멍 형상의 힌지 결합구(410)가 형성되고, 반대편 끝단에는 덮개(200)의 하단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회전링크 돌기(420)가 형성된다.
본체(100)의 상단면에는 본체 결합부(320)의 삽입이 가능한 구멍 형상의 힌지 삽입구(140)와, 회전링크 결합부(310) 및 회전링크(400)가 덮개(200)에 간섭되지 아니하도록 오목한 홈 형상으로 형성된 회진링크 안착홈(150)이 형성된다.
회전링크 안착홈(150)은, 본체 결합부(320)가 힌지 삽입구(140)에 삽입되었을 때 본체(100) 외부로 돌출되는 회전링크 결합부(310)와 회전링크(400)를 묻을 수 있는 깊이와, 회전링크(400)가 묻힌 상태에서 180°미만의 각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링크(400)의 길이보다 긴 반지름을 갖는 부채꼴 형상의 바닥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회전링크(400)는 회전링크 안착홈(150)의 벽면에 닿을 때까지 회전이 가능하므로, 회전링크(400)의 회전각은 회전링크 안착홈(150)의 내각에 따라 결정된다.
또한, 덮개(200)의 하단면에는 슬라이딩 돌기(420)가 삽입 가능하며 덮개(200)의 폭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슬롯 형상의 회전링크 슬롯(240)이 형성된다.
회전링크 슬롯(240)의 길이는 본체(100) 폭 방향으로의 회전링크 돌기(420) 최대 이동거리보다 길게 설정된다. 즉, 본체(100)의 길이방향을 y축, 본체(100)의 폭방향을 x축이라 할 때, 회전링크(400)의 회전에 의하여 형성되는 회전링크 돌기(420)의 이동선상에서 x축 방향으로의 모든 좌표를 포함하도록 회전링크 슬롯(240)의 길이와 위치가 설정되어 형성된다.
도 2a는 상기 힌지(300)의 내부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이고, 도 2b는 도 2a에서의 A-A'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300)는 크게 상기 힌지 삽입구(140)에 삽입되어 본체(100)에 고정 결합되는 본체 결합부(320)와 힌지 결합구(410)에 삽입되어 회전링크(40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링크 결합부(310)로 구분된다.
회전링크 결합부(310)는, 안쪽에 회전링크 결합부(310)의 회전축과 직각을 이루며 회전축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고, 회전링크 결합부(310)의 회전중심을 지나는 방향으로 너비를 갖는 유선형 캠(312)을 구비한다. (도 2b참조)
본체 결합부(320)는, 길이방향으로 내부 중심을 관통하여 회전링크 결합부(310)와 결합되는 샤프트(326)와; 샤프트(326)를 둘러싸도록 위치하는 스프링(325)과; 스프링(325)과 캠(312) 사이에 맞닿아 위치해 있고, 캠(312)을 묻을 수 있도록 형성된 슬라이더홈(323)을 구비하여 캠(312)과의 접점위치에 따라 샤프트(326)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는 슬라이더(322);를 구비한다.
또한, 회전링크 결합부(310)가 힌지 결합구(410)에 삽입되고 본체 결합부(320)가 힌지 삽입구(140)에 삽입된 이후, 힌지(300)를 중심으로 회전링크(400)가 회전할 때에, 회전링크 결합부(310)는 회전링크(40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고 힌지 삽입구(140)에 삽입된 본체 결합부(320)는 회전하지 아니하고 고정될 수 있도록, 회전링크 결합부(310) 및 힌지 결합구(410), 본체 결합부(320), 힌지 삽입구(140)는 하나이상의 모서리를 갖는 단면 또는 비대칭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도 2c는 슬라이더의 펼친 형상을 도시한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322)에는 중심축을 지나는 오목한 홈 형상의 슬라이더홈(3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캠(312)은 회전링크 결합부(310)의 자전에 의하여 슬라이더홈(323)으로의 삽입 및 이탈이 반복된다.
캠(312)이 슬라이더홈(323)에 완전히 묻힌 상태에서 회전링크 결합부(310)가 90°회전하게되면 캠(312)은 슬라이더홈(323)으로부터 완전하게 이탈이 되고, 90°이상 회전하게되면 캠(312)은 또 다시 슬라이더홈(323)에 묻히게된다.
이때, 회전링크 결합부(310)의 회전각이 0°∼ 90°인 경우 캠(312)은 0°위치의 슬라이더홈(323)에 묻히는 방향으로 이동하게되고, 회전링크 결합부(310)의 회전각이 90°∼ 180°인 경우 캠(312)은 180°위치의 슬라이더홈(323)에 묻히는방향으로 이동하게된다.
또한, 회전링크 결합부(310)의 회전각이 90°인 경우, 캠(312)은 어느 방향으로도 이동을 하지 않는 중립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힌지(300)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a의 형상과 같이 캠(312)이 슬라이더홈(323)에 묻혀있는 상태에서 회전링크 결합부(310)가 회전링크(400)에 결합되고 본체 결합부(320)가 힌지 삽입구(140)에 삽입된 후, 회전링크(400)가 힌지(30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면 회전링크 결합부(310)는 회전링크(400)를 따라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322)는 샤프트(326)의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자전을 함과 동시에 캠(312)과의 접촉으로 인하여 슬라이더홈(323)의 깊이만큼 스프링(325)이 압축되는 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게된다. 회전링크 결합부(310)의 회전각이 180도에 이르러 캠(312)이 또 다시 슬라이더홈(323)의 위치에 이르게되면, 슬라이더(322)는 스프링(325)의 탄성력에 의해 스프링(325)이 복원되는 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게되고, 캠(312)은 다시 슬라이더홈(323)에 묻히게된다.
도 3a는 덮개가 폐쇄되었을 때 회전링크의 위치를 도시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링크(400)가 회전링크 안착홈(150)의 하단면에 밀착되어있는 상태는, 덮개(미도시)가 닫혔을 때 즉, 본체(100)의 상단면에 덮개가 완전히 겹쳐졌을 때이다. 회전링크 돌기(420)는 회전링크 슬롯(240)의 내측 끝단에 위치하며 회전링크 슬롯(24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운동이 가능한 구조로 결합된다.
이때, 캠(312)은 도 2c에 도시된 ⓐ지점의 슬라이더(322) 상단면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캠(312)은 0°위치의 슬라이더홈(323)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되고, 회전링크 결합부(31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회전력을 인가 받는다.
그러나, 회전링크(400)가 회전링크 안착홈(150)의 하단 벽면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회전링크 결합부(31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게 되고, 이에 따라 캠(312) 역시 0°위치의 슬라이더홈(323)에 완전히 삽입되지 못하고 ⓐ지점에서 정지상태를 유지하게된다.
도 3b는 덮개가 절반가량 개방되었을 때 회전링크의 위치를 도시한다.
도 3a의 상태에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링크(400)가 본체(100)의 폭 방향과 평행하도록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되면, 덮개는 절반 가량 개방되는 상태가 된다.
이때, 회전링크 돌기(420)는 회전링크 슬롯(240)의 외측 끝단을 향하여 슬라이딩하며 덮개를 상향으로 이동시키고, 캠(312)은 도 2c에 도시된 90°지점의 슬라이더(322) 상단면에 위치하게된다.
이때의 캠(312)은 어느 쪽의 슬라이더홈(323)에 삽입되는 방향으로도 힘을 받지 아니하므로, 회전링크 결합부(310)와 회전링크(400)에는 회전력이 인가되지 아니한다.
도 3c는 덮개가 개방되었을 때 회전링크의 위치를 도시한다.
도 3a의 상태에서 도 3b의 상태를 거쳐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회전링크(400)가 회전링크 안착홈(150)의 상단 벽면에 밀착되도록 회전되면, 덮개는 완전히 개방된 상태가 된다.
이때, 회전링크 돌기(420)는 회전링크 슬롯(240)의 내측 끝단을 향하여 슬라이딩하며 덮개를 상향으로 이동시키고, 캠(312)은 도 2c에 도시된 ⓑ지점의 슬라이더(322) 상단면에 위치하게된다.
따라서, 캠(312)은 180°위치의 슬라이더홈(323)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되고, 회전링크 결합부(31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힘을 인가 받는다.
그러나, 회전링크(400)가 회전링크 안착홈(150)의 상단 벽면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회전링크 결합부(31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게 되고, 이에 따라 캠(312) 역시 180°위치의 슬라이더홈(323)에 완전히 삽입되지 못하고 ⓑ지점에서 정지상태를 유지하게된다.
즉, 덮개(200)가 닫혀있는 상태에서부터 절반 가량 개방되는 상태까지는 덮개(200)가 닫히는 방향으로 덮개(200)에 힘이 인가되고, 덮개(200)가 절반 가량 개방되는 상태부터 완전히 개방되는 상태까지는 덮개(200)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덮개(200)에 힘이 인가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닫혀있는 상태의 덮개(200)를 절반 이상만 개방하게되면 덮개(200)는 자동으로 완전 개방되고, 개방되어있는 상태의 덮개(200)를 절반 이상만 닫게되면 덮개(200)는 자동으로 완전 폐쇄되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해 진다.
또한, 본 실시예서는 슬라이더홈(323)이 좌우 대칭 형상으로 형성되어있어 덮개(200)가 절반만큼 개방되었을 때 중립상태가 되지만, 슬라이더홈(323)의 형상을 좌우 비대칭 형상으로 형성하여 덮개(200)의 중립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는 덮개가 완전한 개방 또는 폐쇄동작 시 별도의 스토퍼 없이 최대 개방위치 또는 최대 폐쇄위치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동작중 덮개가 임의로 유동하여 단말기 오동작하는 문제점이 해소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용하면, 덮개를 끝까지 개방하지 아니하더라도 절반 이상만 개방하게 되면 완전히 개방되고, 덮개를 끝까지 닫지 아니하더라도 절반 이상만 닫게되면 완전히 폐쇄되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해 진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7)

  1.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100)의 상단면에 결합되는 덮개(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덮개(200)가 일정위치 이상 개방되면 개방되는 방향으로 상기 덮개(200)에 힘을 인가하고, 상기 덮개(200)가 일정위치 이상 폐쇄되면 폐쇄되는 방향으로 상기 덮개(200)에 힘을 인가하는 개폐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200)는,
    상기 본체(100)와 맞닿는 면에 슬라이딩운동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레일(230)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100)는,
    상기 가이드레일(230)과 대응되는 부위에 상기 가이드레일(230)과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가이드레일(230)을 따라 슬라이딩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드 돌기(1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본체(100)의 상단면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본체 결합부(320)와, 상기 본체 결합부(320)가 상기 본체(100)에 삽입될 때 전체 또는 일부가 상기 본체(100)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본체 결합부(320) 상단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본체(100) 상단면과 수직을 이루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자체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 회전링크 결합부(310)를 포함하는 힌지(300)와;
    상기 본체(100)의 폭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 끝단은 상기 힌지(300)의 회전축과 직각인 방향으로 상기 회전링크 결합부(310)에 고정 결합되고, 반대편 끝단은 상기 덮개(200)의 하단면에 상기 덮개(200)의 폭 방향으로 슬라이딩운동이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회전링크(4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링크 결합부(310)는,
    안쪽방향으로 유선형 캠(312)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 결합부(320)는,
    길이방향으로 내부 중심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링크 결합부(310)와 결합되는 샤프트(326)와, 상기 샤프트(326)를 둘러싸도록 위치하는 스프링(325)과, 상기 스프링(325)과 상기 캠(312)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샤프트(326)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회전링크 결합부(31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캠(312)의 삽입 및 이탈이 가능한 유선형 형상으로 형성된 슬라이더홈(323)을 구비하는 슬라이더(3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홈(323)은,
    상기 캠(312)의 안착주기가 180°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상기 힌지(300)가 상기 본체(100)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회전링크 결합부(310)와 상기 회전링크(400)를 묻을 수 있는 깊이를 가지며, 상기 회전링크(400)가 묻힌 상태에서 180°미만의 각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바닥면이 형성되는 회전링크 안착홈(150)을 상단면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7.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링크(400)는,
    상기 덮개(200)와 결합되는 끝단에는 상기 덮개(200)의 하단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회전링크 돌기(420)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200)는,
    상기 슬라이딩 돌기(420)가 삽입 가능한 크기로 상기 덮개(100)의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회전링크 슬롯(240)을 하단면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2003-0032830A 2003-05-23 2003-05-23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KR100531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2830A KR100531927B1 (ko) 2003-05-23 2003-05-23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JP2004141901A JP2004350270A (ja) 2003-05-23 2004-05-12 スライド型移動通信端末機
DE602004013674T DE602004013674D1 (de) 2003-05-23 2004-05-18 Verschiebbares mobiles Kommunikationsendgerät mit Scharniermechanismus
EP04011769A EP1480418B1 (en) 2003-05-23 2004-05-18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slide type with hinge mechanism
US10/850,619 US20060135221A1 (en) 2003-05-23 2004-05-21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slide type
CNA2004100631630A CN1574861A (zh) 2003-05-23 2004-05-21 滑动式移动通信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2830A KR100531927B1 (ko) 2003-05-23 2003-05-23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0281U Division KR200336301Y1 (ko) 2003-09-25 2003-09-25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0458A true KR20040100458A (ko) 2004-12-02
KR100531927B1 KR100531927B1 (ko) 2005-11-28

Family

ID=36596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2830A KR100531927B1 (ko) 2003-05-23 2003-05-23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60135221A1 (ko)
EP (1) EP1480418B1 (ko)
JP (1) JP2004350270A (ko)
KR (1) KR100531927B1 (ko)
CN (1) CN1574861A (ko)
DE (1) DE602004013674D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3276A (ko) * 2005-06-20 2006-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KR100690866B1 (ko) * 2006-04-25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 모듈 및 그 슬라이드 모듈을 갖는 휴대 단말기
KR100703152B1 (ko) * 2004-10-14 2007-04-05 아이티이코리아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휴대단말기
KR100712206B1 (ko) * 2003-09-09 2007-05-02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슬라이딩 개폐되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0778030B1 (ko) * 2006-06-05 2007-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92457B1 (ko) * 2006-04-25 2008-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 모듈 및 그 슬라이드 모듈을 갖는 휴대 단말기
KR101144799B1 (ko) * 2005-06-18 2012-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03104B2 (en) * 2003-10-13 2006-02-21 Hanbit Precision Co., Ltd.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cover of cellular phone
US7181257B2 (en) * 2004-12-28 2007-02-20 Motorola, Inc. Slider mechanism for handheld devices
KR100685388B1 (ko) * 2005-10-07 2007-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곡형 슬라이딩 타입 휴대 통신 장치 및 그의 슬라이딩 장치
GB2438632B (en) * 2006-05-18 2010-06-16 Nokia Corp Slider mechanism and associated devices and methods
JP4499078B2 (ja) * 2006-08-31 2010-07-07 株式会社ストロベリーコーポレーション スライド装置並びにスライド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JP4641998B2 (ja) * 2006-10-05 2011-03-02 株式会社オーハシテクニカ ヒンジ装置
JP4742369B2 (ja) * 2006-12-28 2011-08-10 並木精密宝石株式会社 携帯情報端末装置
JP2009251080A (ja) * 2008-04-02 2009-10-29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ロック機構、スライド装置および携帯端末装置
TWI369117B (en) 2008-07-30 2012-07-21 Asustek Comp Inc Sliding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4638937B2 (ja) * 2008-12-26 2011-02-23 三菱製鋼株式会社 スライド型ヒンジ機構
KR101008701B1 (ko) * 2009-04-16 2011-01-17 암페놀피닉스 유한회사 휴대 기기용 슬라이딩 장치
CN101977254A (zh) * 2010-10-13 2011-02-16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检测移动终端翻盖或者滑盖的装置及方法
US20120194053A1 (en) * 2011-02-01 2012-08-02 Chia-Hao Hsu Hinge, sliding assembly and portabl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5517A (en) * 1993-12-07 1996-01-16 Gray; Robert R. Portable wireless telephone having swivel chassis
US20020010007A1 (en) * 2000-06-16 2002-01-2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means for a portable de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3530475B2 (ja) * 2000-09-25 2004-05-24 三洋電機株式会社 折畳式通信端末装置および情報表示方法
WO2002030090A1 (en) * 2000-10-02 2002-04-11 Nokia Corporation Sliding cover
US6766180B2 (en) * 2001-03-01 2004-07-20 Qualcomm, Incorporated Preferential deflection hinge mechanism with an idler for foldable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100417248B1 (ko) * 2001-03-22 2004-02-05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슬라이드 모듈을 이용한 슬라이드 타입 휴대폰
TW507979U (en) * 2001-04-04 2002-10-21 Benq Corp magnetic hinge apparatus
JP2003179678A (ja) * 2001-10-03 2003-06-27 Nec Corp 携帯電話機
US6813143B2 (en) * 2002-10-21 2004-11-02 Nokia Corporation Mobile device featuring 90 degree rotatable front cover for covering or revealing a keyboard
US6856792B2 (en) * 2002-12-30 2005-02-15 Motorola, Inc. Self operating opening mechanism for use in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206B1 (ko) * 2003-09-09 2007-05-02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슬라이딩 개폐되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0703152B1 (ko) * 2004-10-14 2007-04-05 아이티이코리아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휴대단말기
KR101144799B1 (ko) * 2005-06-18 2012-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133276A (ko) * 2005-06-20 2006-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KR100690866B1 (ko) * 2006-04-25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 모듈 및 그 슬라이드 모듈을 갖는 휴대 단말기
KR100792457B1 (ko) * 2006-04-25 2008-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 모듈 및 그 슬라이드 모듈을 갖는 휴대 단말기
KR100778030B1 (ko) * 2006-06-05 2007-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350270A (ja) 2004-12-09
EP1480418B1 (en) 2008-05-14
EP1480418A1 (en) 2004-11-24
DE602004013674D1 (de) 2008-06-26
KR100531927B1 (ko) 2005-11-28
CN1574861A (zh) 2005-02-02
US20060135221A1 (en) 2006-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1927B1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KR100675734B1 (ko) 통신단말기용 슬라이드 업 개폐장치
KR100404696B1 (ko) 이동 단말기
KR100518168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KR200336301Y1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KR20060086739A (ko)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개폐장치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
KR10061927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스윙 모듈
KR100499885B1 (ko) 액정화면 회전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678060B1 (ko)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0528549B1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KR200350698Y1 (ko) 슬라이드타입 무선단말기의 바디 구동장치
KR100595674B1 (ko)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장치
KR20030032223A (ko) 덮개의 완전개방을 위한 폴더형 휴대폰
KR101155242B1 (ko) 휴대용 단말기
KR200396211Y1 (ko) 회전식 슬라이드 장치와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KR200340081Y1 (ko) 슬라이드타입 무선단말기의 바디 구동장치
KR100660819B1 (ko) 슬라이드 및 회전형 통신단말기
KR20060019202A (ko) 슬라이딩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36311Y1 (ko)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KR100528550B1 (ko)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KR100710318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058778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중 힌지구조
KR200338956Y1 (ko) 스윙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50066092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중 힌지구조
KR100592169B1 (ko) 보조 액정화면을 구비한 슬라이드형 이동 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