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8956Y1 - 스윙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스윙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8956Y1
KR200338956Y1 KR20-2003-0033323U KR20030033323U KR200338956Y1 KR 200338956 Y1 KR200338956 Y1 KR 200338956Y1 KR 20030033323 U KR20030033323 U KR 20030033323U KR 200338956 Y1 KR200338956 Y1 KR 2003389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er
hinge
main body
coupled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33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기원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333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89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89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89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27Rotatable in one plane,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33Including a rotatable display body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면 일부에 본체힌지홈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을 덮도록 상기 본체의 전면과 맞닿도록 위치하며, 본체힌지홈과 대응되는 부위의 상단면에 폴더힌지홈이 형성되는 폴더와; 상기 본체힌지홈에 결합 가능한 형상으로 상기 본체힌지홈에 고정되는 본체삽입부와, 상기 본체삽입부의 중앙에 자체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수평축으로 구성되어 폴더의 수평회전에 중심축이 되는 수평힌지와; 상기 폴더힌지홈에 결합 가능한 형상으로 상기 폴더힌지홈에 고정되는 폴더연결구와, 일측은 상기 폴더연결구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수평축에 직교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폴더연결구의 자체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수직축으로 구성되어 폴더의 수직회전에 중심축이 되는 수직힌지와; 상기 본체의 전면과 상기 폴더의 상면에 접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수평힌지 및 수직힌지 간의 결합부위를 감싸도록 수평힌지와 수직힌지에 결합되는 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사용자의 의지에 따라 폴더의 일면에 위치된 액정화면을 전면 또는 배면 위치시켜 외부 환경에 대한 안정성을 증대시키고,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폴더 회전에 따른 다양한 촬영 환경에서 촬영 가능한 스윙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윙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Swing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고안은 스윙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측면 슬라이딩 방식으로 수평 개폐되는 단말기에 수직회전이 가능한 힌지를 구비하여 상기 폴더의 수평 및 수직회전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산업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하여 휴대폰이나 PDA와 같은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과 종류가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고, 이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 수도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런 이동통신단말기의 종류로는 바(BAR)형, 플립형, 폴더형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 중에서 크기도 작고 무게도 가벼워 휴대하기 간편하며, 타 기종에 비하여 큰 액정화면으로 많은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 폴더형 단말기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폴더형 단말기는 전면에 신호 발생 및 정보 입력을 위한 다수개의 키버튼이 형성되며, 상단에 힌지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하며 개폐되고, 일면 내지 양면에 각종 메뉴 및 정보를 표시하는 주 액정화면이 형성된 폴더로 구성된다. 이러한 폴더형 단말기는, 통화를 하거나, 메시지(음성, 문자)를 보낼 때, 혹은 무선인터넷을 하고자할 때, 폴더를 개방하여 디스플레이부가 노출된 상태에서 사용하고, 그 외에 단순히 소지하거나 보관할 때에는 폴더가 접힌 상태에서 사용하므로 큰 액정화면을 채택할 만큼 공간적 여유가 충분하며, 반으로 접어서 휴대하기 때문에 휴대성 또한 타 단말기보다 우수하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폴더형 단말기는 힌지부를 중심으로 강한 탄성력에 의해 개폐되기 때문에, 폴더를 열고자 할 경우에는 양손을 사용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전화가 걸려오면 하던 일을 멈추고 양손을 사용하여 폴더를 개방시켜야만 한다. 또한 양면에 액정화면이 형성된 듀얼타입에서는 두 개의 액정화면이 겹치게되므로 제품의 두께를 얇게 제작하는 데에 한계가 있어 제품의 소형화 및 경량화가 어렵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본체의 측면으로 슬라이딩되어 개폐되는 폴더를 구비한 스윙 폴더형 단말기가 등장하게 되었다. 상기 스윙 폴더형 단말기는 전면에 각종 메뉴 및 정보를 표시하는 액정화면이 형성되고, 수신된 음향을 출력하는 이어피스가 구비된 폴더와, 상기 폴더와 접하는 부분에 신호 발생 및 정보 입력을 위한 다수개의 키버튼이 형성되며 음향을 입력하는 송신부가 구비된 본체 및 상기 폴더와 상기 본체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힌지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스윙 폴더형 단말기도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액정화면이 항상 단말기의 전면에 위치하므로 외부 환경에 대한 안정성이 떨어지며,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 이용하여 촬영할 경우 다양한 촬영 환경을 제공할 수 없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측면 슬라이딩 방식으로 수평 개폐되는 단말기에 수직회전이 가능한 힌지를 구비하여 상기 폴더의 수평 및 수직회전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스윙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스윙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스윙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에 적용되는 힌지의 단면도이다.
도 4a ~ 4g는 본 고안에 의한 스윙 폴더형 단말기의 개방과정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4a는 단말기의 폴더가 닫혀진 상태를 도시한다.
도 4b는 단말기의 폴더가 수평축을 중심으로 90°회전한 상태이다.
도 4c는 도 4b에서 폴더가 수평축을 중심으로 90°더 회전한 상태이다.
도 4d는 도 4b와 같이 완전히 개방된 폴더가 수직축을 중심으로 90°회전하여 액정화면이 측면에 위치된 상태이다.
도 4e는 도 4d에서 폴더가 수직축을 중심으로 90°더 회전하여 액정화면이 전면에 위치된 상태이다.
도 4f는 도 4e에서 폴더가 수평축을 중심으로 90°회전한 상태이다.
도 4g는 도 4f에서 폴더가 수평축을 중심으로 90°더 회전하여 단말기가 닫힌 상태이다.
도 5a ~ 5g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힌지에 관한 것으로, 도 4a ~ 4g에 도시된 폴더의 위치에 따른 상기 힌지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본체 : 100 키패드 : 102 송신부 : 104
본체힌지홈 : 110 스프링 : 120 폴더 : 200
액정화면 : 202 수신부 : 204 폴더힌지홈 : 210
수평힌지 : 300 본체삽입부 : 310 수평축 : 320
유선형 캠 : 322 스토퍼 : 330 요홈부 : 332
슬라이더 : 340 유선형 홈 : 342 샤프트 : 344
수직힌지 : 400 폴더연결구 : 410 연결부재 : 412
원형홈 : 414 관통공 : 416 돌출부 : 418
수직축 : 420 걸림턱 : 422 덮개 : 500
카메라 : 502 기능키 : 504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스윙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는, 전면 일부에 본체힌지홈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을 덮도록 상기 본체의 전면과 맞닿도록 위치하며, 본체힌지홈과 대응되는 부위의 상단면에 폴더힌지홈이 형성되는 폴더와; 상기 본체힌지홈에 결합 가능한 형상으로 상기 본체힌지홈에 고정되는 본체삽입부와, 상기 본체삽입부의 중앙에 자체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수평축으로 구성되어 폴더의 수평회전에 중심축이 되는 수평힌지와; 상기 폴더힌지홈에 결합 가능한 형상으로 상기 폴더힌지홈에 고정되는 폴더연결구와, 일측은 상기 폴더연결구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수평축에 직교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폴더연결구의 자체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수직축으로 구성되어 폴더의 수직회전에 중심축이 되는 수직힌지와; 상기 본체의 전면과 상기 폴더의 상면에 접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수평힌지 및 수직힌지 간의 결합부위를 감싸도록 수평힌지와 수직힌지에 결합되는 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형성되는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본체의 전면에 결합되는 상기 수평힌지를 중심으로 폴더가 수평회전하여 개폐되고, 상기 수평힌지와 수직이 되도록 위치하는 수직힌지를 중심으로 폴더의 수직회전이 가능하게되어 폴더의 일면에 형성된 액정화면을 사용자의 의지에 따라 전면 또는 배면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스윙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를 도시하고, 도 2는 본고안에 의한 스윙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분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스윙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에 적용되는 힌지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 스윙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는 크게 본체(100), 폴더(200), 수평힌지(300), 수직힌지(400), 그리고 덮개(500)로 분리된다.
상기 본체(100)는 전면 상부에 8각의 본체힌지홈(110)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힌지홈(110)의 아래로 신호 발생 및 정보 입력을 위한 키패드(102)가 구비되며, 음성을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를 포함하는 송신부(104)를 구비한다.
상기 폴더(200)는 상기 본체(100)의 전면을 덮도록 상기 본체(100)의 전면에 위치하고, 상기 본체(100)의 측면으로 슬라이딩방식에 의해 개폐되도록 결합되며, 일면에 여러 가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액정화면(202)과 수신된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수신부(204)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힌지홈(110)과 대응되는 상기 폴더(200)의 상단면에 폴더힌지홈(210)이 형성된다.
상기 수평힌지(300)는 측면 슬라이딩방식에 의해 개폐되는 상기 폴더(200)의 수평회전에 중심축이 되며, 상기 본체힌지홈(110)에 결합되는 본체삽입부(310)와, 상기 본체삽입부(310)의 중앙에 자체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수평축(320)으로 구성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수평축(320)은 일측 안쪽 면에 유선형 캠(322)이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수평축(320)에 대해 수직하도록 사각의 스토퍼(330)가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330)의 하단에는 요홈부(33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삽입부(310)는 상기 본체(100)의 본체힌지홈(110)과 동일한 외형으로 형성되며, 그 내부는 일측이 개방된 중공으로 형성되고, 중공의 상기 본체삽입부(310) 내부에는 상기 수평축(320)의 유선형 캠(322)을 묻을 수 있도록 유선형 홈(342)이 형성되며 상기 유선형 홈(342)의 반대편 길이방향으로 샤프트(344)가 형성되는 슬라이더(340)와, 상기 샤프트(344)를 둘러싸도록 위치하는 스프링(120)이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120)이 상기 슬라이더(340)에 탄성력을 인가하여 상기 수평축(320)이 180°회전할 때마다 상기 유선형 홈(342)에 상기 유선형 캠(322)이 삽입되므로, 상기 폴더의 수평회전 시 180°와 360°에서 멈출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직힌지(400)는 상기 폴더힌지홈(210)에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폴더힌지홈(210)에 결합되는 폴더연결구(410)와, 일측은 상기 폴더연결구(410)와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수평축(320)에 직교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폴더연결구(410)의 자체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수직축(4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힌지(400)의 폴더연결구(410)는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이고, 하단은 상기 폴더힌지홈에 결합되기 위하여 상기 폴더힌지홈(210)과 동일한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양방향으로 돌출된 연결부재(412)가 형성되고, 하면에 일정 깊이의 원형홈(414)이 형성되며, 상기 원형홈(414)의 바닥에는 관통공(416)이 형성되어 상기 수직축(420)이 관통하여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개방된 상면 둘레에는 상기 스토퍼(330)에 형성된 상기 요홈부(332)에 대응되는 돌출부(418)가 180°를 유지하며 복수개 형성된다. 상기 수평축(320)과 수직을 이루며 결합되는 수직축(420)은 상기 수평축(320)과 결합하지 않는 일측에 걸림턱(422)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422)과 상기 원형홈(414) 사이에 상기 수직축(420)을 감싸도록 스프링(120)이 위치하여 상기돌출부(418)가 상기 요홈부(332)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폴더연결구(410)에 탄성력을 인가하여 상기 폴더연결구(410)가 180°회전할 때마다 상기 돌출부(418)가 상기 요홈부(332)에 삽입되므로, 상기 폴더의 수직회전 시 180°와 360°에서 멈출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전면과 상기 폴더(200)의 상면에 접하고, 상기 수평힌지(300) 및 수직힌지(400) 간의 결합부위를 감싸도록 수평힌지(300)와 수직힌지(400)에 덮개(500)가 결합되며, 상기 덮개(500)의 전면에는 카메라(502) 및 간단한 기능키(504)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구성된 이동통신단말기의 개폐동작과 상기 폴더의 위치 따른 힌지의 회전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b ~ 4g는 본 고안에 의한 스윙 폴더형 단말기의 개방과정을 도시하며, 도 5a ~ 5g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힌지에 관한 것으로, 도 4a ~ 4g에 도시된 폴더의 위치에 따른 상기 힌지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다.
도 4a에서 단말기의 폴더(200)와 본체(100)가 맞닿아 닫힌 상태로, 상기 폴더(200)는 액정화면(202)이 구비되지 않은 일면이 전면을 향하며, 도 5a와 같이 상기 폴더연결구(410)의 연결부재(412)가 아래에 위치한 상태이고, 상기 수평힌지(300)는 내부의 유선형 캠이 유선형 홈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이다.
도 4a의 상태에서 상기 단말기의 개방을 위해 상기 폴더(200)의 측면으로 힘을 가하면, 상기 폴더(200)는 상기 수평힌지(300)의 수평축(320)을 중심으로 측면 슬라이딩 회전되며, 도 4b의 90°회전된 과정을 거쳐 도 4c와 같이 상기 폴더(200)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회전이 정지된다. 상기한 과정에서 도 5a 상태에서의 폴더연결구(410)는 상기 수평축(320)을 중심으로 도 5b와 같이 90°회전과정을 거쳐 도 5c의 상태까지 회전한 뒤 고정된다. 즉 상기 유선형 캠이 180°회전하여 상기 유선형 홈에 재삽입된 상태로 상기 폴더연결구(410)의 연결부재(412)는 상부에 위치한다.
도 4c의 상태에서 상기 수직힌지(400)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폴더(200)에 힘을 가하면 도 4d의 90°회전된 과정을 거쳐 액정화면(202)이 전면을 향하는 도 4e의 상태에서 고정된다. 상기한 과정을 도 5c, 5d, 5e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수평힌지(300)의 동작은 없고, 상기 수직힌지(400)의 폴더연결구(410)가 수직축(420)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상기 폴더연결구(410)에 형성된 상기 돌출부(418a)가 상기 요홈부(332)를 이탈하여 회전하다가 180°에 이르면 상기 돌출부(418a)와 맞은편에 형성된 다른 돌출부(418b)가 상기 요홈부(332)에 삽입되어 멈추게 된다.
도 4e상태에서 상기 폴더(200)에 수평회전방향으로 힘을 부가하면 액정화면(202)이 전면을 향한 상태로 도 4f의 과정을 거쳐 도 4g와 같이 폴더(200)가 닫힌 상태에서 회전을 멈추게 된다. 상기한 과정에서 상기 수직힌지(400)의 동작은 없으며, 상기 폴더연결구(410)는 상기 수평축(320)을 중심으로 도 5f와 같이 90°회전과정을 거쳐 도 5g의 상태까지 회전한 뒤 고정된다. 즉 상기 유선형 캠이 180°회전하여 상기 유선형 홈에 삽입된 최초의 상태로 돌아오고, 상기 폴더연결구(410)의 연결부재(412)도 최초와 같이 아래를 향해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폴더(200)의 수평 및 수직회전이 가능하므로, 단말기의 개폐 과정에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액정화면(202)이 전면 혹은 배면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윙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 및 동작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 스윙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는 수평 및 수직 힌지를 사용하여 폴더의 수평 및 수직 회전이 가능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의지에 따라 폴더의 일면에 위치된 액정화면을 전면 또는 배면 위치시켜 외부 환경에 대한 안정성을 증대시켰으며,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한 촬영시 폴더 회전에 의한 다양한 촬영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

  1. 전면 일부에 본체힌지홈(110)이 형성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전면을 덮도록 상기 본체(100)의 전면과 맞닿도록 위치하며, 본체힌지홈(110)과 대응되는 부위의 상단면에 폴더힌지홈(210)이 형성되는 폴더(200)와;
    상기 본체힌지홈(110)에 결합 가능한 형상으로 상기 본체힌지홈(110)에 고정되는 본체삽입부(310)와, 상기 본체삽입부(310)의 중앙에 자체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수평축(320)으로 구성되어 상기 폴더(200)의 수평회전에 중심축이 되는 수평힌지(300)와;
    상기 폴더힌지홈(210)에 결합 가능한 형상으로 상기 폴더힌지홈(210)에 고정되는 폴더연결구(410)와, 일측은 상기 폴더연결구(410)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수평축(320)에 직교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폴더연결구(410)의 자체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수직축(420)으로 구성되어 상기 폴더(200)의 수직회전에 중심축이 되는 수직힌지(400)와;
    상기 본체(100)의 전면과 상기 폴더(200)의 상면에 접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수평힌지(300) 및 수직힌지(400) 간의 결합부위를 감싸도록 수평힌지(300)와 수직힌지(400)에 결합되는 덮개;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힌지(300)는 수평축(420)의 안쪽면에 형성되는 유선형 캠(322)과, 상기 본체삽입부(310)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유선형 캠(322)을 묻을 수 있는 유선형 홈(342)이 구비되고 길이방향으로 샤프트(344)가 형성되는 슬라이더(340)와, 상기 샤프트(344)를 둘러싸도록 위치하는 스프링(120)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축(320)은 상기 수직축(420)이 결합되는 방향의 일측면에 요홈부(332)가 형성된 스토퍼(330)가 형성되고,
    상기 폴더연결구(410)는 상기 요홈부(332)와 대응되는 상기 폴더연결구(410)의 상부에 돌출부(418)가 복수개 이상 형성되어,
    상기 폴더(200)가 상기 수직축(420)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상기 돌출부(418)가 형성된 각도마다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연결구(410)는 상기 수직축(420)과 결합되는 부위에 원형홈(414)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축(420)은 상기 폴더연결구(410)와 결합되는 일단에 걸림턱(422)이 형성되며,
    상기 원형홈(414)의 바닥과 상기 걸림턱(422) 사이에 스프링(120)을 위치시켜, 상기 돌출부(418)가 상기 요홈부(332)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폴더연결구(410)에 탄성력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KR20-2003-0033323U 2003-10-24 2003-10-24 스윙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389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3323U KR200338956Y1 (ko) 2003-10-24 2003-10-24 스윙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3323U KR200338956Y1 (ko) 2003-10-24 2003-10-24 스윙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4495A Division KR100614705B1 (ko) 2003-10-24 2003-10-24 스윙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8956Y1 true KR200338956Y1 (ko) 2004-01-24

Family

ID=49422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3323U KR200338956Y1 (ko) 2003-10-24 2003-10-24 스윙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895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0677B1 (ko) 휴대 단말기의 다축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연결 부재
JP4113738B2 (ja) 回転可能な液晶表示装置を有する移動通信端末器
US7117564B2 (en) Hinge device for mobile phone having rotation type display
JP2002158758A (ja) 開閉型携帯情報端末
KR100800711B1 (ko) 휴대 단말기의 프리 스톱 힌지 장치
US7949378B2 (en) Rotatable connecting mechanism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338956Y1 (ko) 스윙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14705B1 (ko) 스윙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90076B1 (ko) 휴대 단말기의 회전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듀얼 힌지장치, 스윙형 휴대 단말기
KR100499885B1 (ko) 액정화면 회전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465941B1 (ko) 수평 회전식 상폴더를 구비하는 휴대폰
KR100592182B1 (ko) 360도 회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033298A (ko) 스윙 폴더형 휴대폰의 회전 힌지
KR100528550B1 (ko)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KR100455767B1 (ko) 멀티 액정화면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50862B1 (ko) 스윙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39507B1 (ko) 더블 폴더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291131Y1 (ko) 이동 단말기
KR100614528B1 (ko) 회전형 폴더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492001B1 (ko) 회전식 보조액정표시부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KR100592169B1 (ko) 보조 액정화면을 구비한 슬라이드형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408297Y1 (ko) 로터리 힌지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72884Y1 (ko) 회전형 폴더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009617A (ko) 듀얼힌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30137B1 (ko) 회전 제한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28

Year of fee payment: 3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