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3152B1 -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휴대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휴대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3152B1
KR100703152B1 KR1020050009454A KR20050009454A KR100703152B1 KR 100703152 B1 KR100703152 B1 KR 100703152B1 KR 1020050009454 A KR1020050009454 A KR 1020050009454A KR 20050009454 A KR20050009454 A KR 20050009454A KR 100703152 B1 KR100703152 B1 KR 100703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er
contact
sliding cover
contact portion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9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3695A (ko
Inventor
조필제
Original Assignee
아이티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티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티이코리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60033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3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3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3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02Book covers made of special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04Book covers loose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구동력으로서 직선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과, 제공되는 직선력을 회전력으로 변환하는 접촉부가 구비되어 직선력만으로 회전하면서 슬라이딩 커버를 개폐하는 회전아암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슬라이딩 커버의 개폐를 위한 구성이 매우 단순하고, 개폐동작이 확실하며, 장기간 사용시 부품 마모에 따른 슬라이딩 커버의 개폐성능 저하를 억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슬라이딩, 힌지모듈, 단말기, 회전아암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Slide hinge module for portable phone and portable phone using it}
도 1은 종래기술의 회전아암을 이용한 슬라이드 힌지모듈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슬라이드 힌지모듈을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를 보여주는 참조사시도.
도 3은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한 힌지모듈의 사시도.
도 4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힌지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5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힌지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6a 내지 도 6c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커버의 개폐시 힌지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7은 변형된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회전아암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8은 또 다른 형태로 변형된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회전아암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9 내지 도 14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한 구동수단의 푸셔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참조도.
도 15는 변형된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회전아암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사시도.
도 16은 또 다른 형태로 변형된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회전아암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사시도.
도 17은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드 힌지모듈의 사시도.
도 18a 내지 도 18d는 제 2실시예에 다른 본 발명의 의한 슬라이드 힌지모듈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19는 제 3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슬라이드 힌지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20은 도 19에서 슬라이드 힌지모듈의 회전아암 및 접촉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저면도.
도 21a 내지 도 21d는 제 3실시예에 다른 본 발명의 의한 슬라이드 힌지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22 내지 도 24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된 제 3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참조도.
도 25는 또 다른 형태로 변형된 제 3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 200 : 슬라이딩 커버
300 : 회전아암 310 : 접촉부
311 : 천이부 312 : 제 1경사라인
313 : 제 2경사라인 400 : 구동수단
410 : 푸셔 420 : 압축스프링
430 : 하우징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슬라이딩 커버의 개폐를 위한 구성이 매우 단순하고, 개폐동작이 확실하며, 장기간 사용시 부품 마모에 따른 슬라이딩 커버의 개폐성능 저하를 억제하는 데 적당하도록 한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 단말기는 유무선 통신 단말기로 구분될 수 있으며, 유선 통신 단말기는 사무용이나 가정용 전화기가 대표적이고, 무선 통신 단말기는 PCS, 셀룰러폰 또는 PDA가 대표적인 예이다. 통상 무선 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에게 휴대 및 이동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이동 통신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라고 명명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휴대 단말기는 그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단순한 음성 정보만을 전달하는 단계를 넘어서서 문자 정보, 화상 정보, 게임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데, 그 종류는 크게 바형(bar type), 덮개를 구비한 플립형(flip type) 및 폴더형 (folder type)으로 나눌 수 있다.
폴더형 휴대 단말기는 통화나 휴대시 폴더를 열고 닫을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바형 또는 플립형 휴대 단말기가 갖는 길이가 길다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지만, 상부폴더와 하부폴더를 연결하는 힌지 부분이 손상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폴더형 휴대 단말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휴대 단말기 본체에 대해서 커버가 슬라이딩 방식(sliding type)에 의해 반자동으로 상하 이동하는 슬라이딩형 휴대 단말기가 제시되고 있다. 지금까지의 슬라이딩형 휴대 단말기는 대부분 토션스프링(torsion spring)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커버를 반자동으로 슬라이딩시켜 개폐한다. 하지만, 이처럼 토션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는 경우 시간이 지날수록 토션스프링의 탄성력이 줄어들면서 커버의 개폐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피할 수 없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토션스프링의 사용을 탈피한 다양한 형태의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종래기술의 회전아암을 이용한 슬라이드 힌지모듈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휴대 단말기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20)와, 상기 커버(20)를 상기 본체(10)에 대해서 반자동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드 힌지모듈(H)을 포함하여 구성되었다.
이같은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가 상기 커버(20)를 위로 밀면 상기 커버(20)가 상기 본체(10)에 대해서 소정 위치까지 수동으로 이동되다가 소정의 위치를 지나면 슬라이드 힌지장치(H)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자동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커버(20)가 개방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커버(20)의 슬라이딩을 담당하는 힌지장치(H)는 회전아암(30)과 구동수단(40)으로 구성되었는데, 상기 구동수단(40)에서는 회전력을 만들어 제공하면 상기 회전아암(30)이 이를 단순히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구성되었다.
상기 구동수단(40)의 구성을 간략히 설명하면, 상기 구동수단(40)은 압축스프링(43)의 탄성 복원력을 받으면서 직선왕복 운동하는 슬라이딩 캠(41) 및 상기 슬라이딩 캠(41)의 직선왕복 운동시 프로파일간 접촉에 의해 회전하면서 그 회전력을 상기 회전아암(30)에 전달하는 액츄에이팅 캠(42)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같은 종래기술에 따르면 구동수단(40) 자체에 압축스프링(43)에 의한 직선력을 회전력으로 변환하기 위한 한 쌍의 캠(41,42)을 구비해야 하는 관계로 그 구성이 다소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접촉된 상태에서 상호 작용하여 회전력을 얻도록 구성된 슬라이딩 캠(41) 및 액츄에이팅 캠(42)의 프로파일에서 쉽게 마모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장기간 사용시에는 상기 커버(20)의 개폐성능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처럼 쉽게 마모가 발생되는 문제는 상기 슬라이딩 캠(41) 및 액츄에이팅 캠(42)이 흡사 맷돌처럼 동작하는 가운데 상호 접촉하는 프로파일이 강한 전단저항을 받는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호간 마찰접촉의 강도가 매우 높았기 때문이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슬라이딩 커버의 개폐를 위한 구성이 매우 단순하고, 개폐동작이 확실하며, 장기간 사용시 부품 마모에 따른 슬라이딩 커버의 개폐성능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휴대 단말기용 힌지모듈은, 본체와 상기 본체에서 상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개폐되는 슬라이딩 커버를 구비하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에 있어서, 구동력으로서 직선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과, 제공되는 직선력을 회전력으로 변환하는 접촉부가 구비되어 상기 직선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슬라이딩 커버를 개폐하는 회전아암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회전아암의 접촉부와 접촉하는 푸셔와, 상기 푸셔를 상기 접촉부가 설치된 방향으로 밀어주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회전아암의 후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푸셔와 접하는 프로파일이, 돌출된 천이부를 중심으로 양쪽에 경사진 열림방향의 제 1경사라인 및 닫힘방향의 제 2경사라인으로 형성되어, 상기 접촉부의 천이부와 상기 푸셔가 마주 접하는 순간을 천이시점으로 상기 접촉부가 상기 푸셔의 미는 힘에 반동되어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개폐되는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열릴 때와 닫힐 때 각각 상기 천이시점에 도달 하는 거리가 같도록, 상기 제 1경사라인 및 제 2경사라인이 서로 대칭을 이루는 ">"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열릴 때와 닫힐 때 각각 상기 천이시점에 도달하는 거리가 다르도록, 상기 제 1경사라인 및 제 2경사라인이 서로 비대칭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회전아암의 접촉부와 접촉하는 푸셔와, 상기 푸셔를 상기 접촉부가 설치된 방향으로 밀어주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회전아암의 후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푸셔와 접하는 프로파일이, 중립방향의 휴지부와, 상기 휴지부를 중심으로 양쪽에 경사진 열림방향의 제 1경사라인 및 닫힘방향의 제 2경사라인으로 형성되어, 상기 접촉부의 휴지부와 상기 푸셔가 접하는 때를 휴지기로 하고, 상기 접촉부가 상기 휴지기를 전후하여 상기 푸셔의 미는 힘에 반동하면서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개폐되는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회전아암의 접촉부와 접촉하는 푸셔와, 상호 경사면에 의해 상기 푸셔와 직각방향으로 접촉되는 방향전환용 캠과, 상기 방향전환용 캠을 상기 푸셔가 설치된 방향으로 밀어주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접촉부는 상기 회전아암의 후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푸셔와 접하는 프로파일이, 중립방향의 휴지부와, 상기 휴지부와 직각을 이루는 열림방향의 제 1경사라인과 닫힘방향의 제 2경사라인이 상기 휴지부를 중심으로 양쪽에 형성되어, 상기 접촉부의 휴지부와 상기 푸셔가 접하는 때를 휴지기로 하고, 상기 접촉부가 상기 휴지기를 전후하여 상기 푸셔의 미는 힘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개폐되는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압축스프링 및 푸셔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더욱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선단부에는 상기 회전아암의 접촉부가 상기 푸셔와 접촉을 유지하면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가 더욱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커버 또는 본체에는 랙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아암의 선단부에는 상기 랙과 치합되어 상기 회전아암의 회전시 상기 슬라이딩 커버를 개폐하는 원호상의 기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촉부의 프로파일과 접촉하는 상기 푸셔의 프로파일은 평편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푸셔에는 상기 접촉부의 양측면을 감싸면서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촉부의 프로파일과 접촉하는 상기 푸셔의 프로파일은, 상기 슬라이딩 커버의 급속한 개폐를 위하여 돌출된 변속부를 중심으로 양쪽에 경사진 제 1가속라인 및 제 2가속라인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가속라인 및 제 2가속라인이 서로 대칭을 이루는 "<"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제 1가속라인 및 제 2가속라인이 서로 비대칭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촉부의 프로파일과 접촉하는 상기 푸셔의 프로파일은, 돌출되어 경사 없는 평면으로 형성된 중립부와 상기 슬라이딩 커버의 급속한 개폐를 위하여 상기 중립부를 중심으로 양쪽에 경사진 제 1가속라인 및 제 2가속라인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촉부는 상기 회전아암의 후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푸셔와 접하는 프로파일이, 돌출된 천이부를 중심으로 양쪽에 경사진 열림방향의 제 1경사라인 및 닫힘방향의 제 2경사라인으로 형성되며,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회전아암의 접촉부와 접촉하는 푸셔와, 상기 푸셔를 상기 접촉부가 설치된 방향으로 밀어주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푸셔의 프로파일은, 상기 접촉부의 천이부와 정합되는 요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천이부와 요입홈이 정합되는 때를 휴지기로 하고 상기 휴지기를 전후하여 상기 푸셔의 미는 힘에 반동하면서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개폐되는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은 구동력으로서 직선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이 제공하는 직선력을 회전력으로 변환하여 회전하는 접촉편과, 상기 구동수단에 걸리지 않도록 상기 접촉편과 단차를 두고 결합되어 상기 접촉편과 함께 소망하는 각도로 회전하면서 상기 슬라이딩 커버를 개폐하는 회전아암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은 구동력으로서 직선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이 제공하는 직선력을 회전력으로 변환하여 회전하는 접촉편과, 상기 구동수단에 걸리지 않도록 상기 접촉편과 단차를 두고 결합 되어 상기 접촉편과 함께 소망하는 각도로 회전하면서 상기 슬라이딩 커버를 개폐하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과 치합되는 랙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접촉편과 접촉하는 푸셔와, 상기 푸셔를 상기 접촉편이 설치된 방향으로 밀어주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푸셔와 접하는 접촉편의 프로파일이 다면의 외측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접촉편 각각의 외측벽면에 상기 푸셔가 접촉되면서 상기 접촉편의 회전각도가 결정되고, 상기 접촉편의 외측벽면간 모퉁이와 상기 푸셔가 접하는 순간을 천이시점으로 상기 푸셔의 미는 힘에 의해 상기 접촉편이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개폐되는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키패드가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전면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 커버와, 돌출된 천이부를 중심으로 양쪽에 경사진 열림방향의 제 1경사라인 및 닫힘방향의 제 2경사라인으로 형성된 프로파일을 갖는 접촉부가 후단부에 형성되고, 선단부는 상기 슬라이딩 커버 또는 본체에 연결되어 회전시 상기 슬라이딩 커버를 개폐하는 회전아암과, 상기 회전아암의 접촉부와 접촉하는 푸셔와, 상기 푸셔를 상기 접촉부가 설치된 방향으로 밀어주는 압축스프링과, 상기 푸셔 및 압축스프링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고 선단부에는 상기 회전아암의 접촉부가 상기 푸셔와의 접촉을 유지하면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가 형성된 하우징으로 이루어진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접촉부의 천이부와 상기 푸셔가 마주 접하는 순간을 천이시 점으로 상기 접촉부가 상기 푸셔의 미는 힘에 반동되어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개폐되는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키패드가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전면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 커버와, 중립방향의 평편라인으로 형성된 천이부를 중심으로 양쪽에 경사진 열림방향의 제 1경사라인 및 닫힘방향의 제 2경사라인으로 형성된 프로파일을 갖는 접촉부가 후단부에 형성되고, 선단부는 상기 슬라이딩 커버 또는 본체에 연결되어 회전시 상기 슬라이딩 커버를 개폐하는 회전아암과, 상기 회전아암의 접촉부와 접촉하는 푸셔와, 상호 경사면에 의해 상기 푸셔와 직각방향으로 접촉되는 방향전환용 캠과, 상기 방향전환용 캠을 상기 푸셔가 설치된 방향으로 밀어주는 압축스프링과, 상기 푸셔 및 압축스프링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고 선단부에는 상기 회전아암의 접촉부가 상기 푸셔와의 접촉을 유지하면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가 형성된 하우징으로 이루어진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접촉부의 휴지부와 상기 푸셔가 접하는 때를 휴지기로 하고, 상기 접촉부가 상기 휴지기를 전후하여 상기 푸셔의 미는 힘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개폐되는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키패드가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전면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 커버와, 돌출된 천이부를 중심으로 양쪽에 경사진 열림방향의 제 1경사라인 및 닫힘방향의 제 2경사라인으로 형성된 프로파일을 갖는 접촉부가 후단부에 형성되고, 선단부는 상기 슬라 이딩 커버 또는 본체에 연결되어 회전시 상기 슬라이딩 커버를 개폐하는 회전아암과, 상기 회전아암의 접촉부와 접촉하는 푸셔와, 상기 푸셔를 상기 접촉부가 설치된 방향으로 밀어주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푸셔의 프로파일은 상기 접축부의 천이부와 정합되는 요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천이부와 요입홈이 정합되는 때를 휴지기로 하고 상기 휴지기를 전후하여 상기 푸셔의 미는 힘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개폐되는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슬라이드 힌지모듈을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를 보여주는 참조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본체(100), 슬라이딩 커버(200), 힌지모듈(H)을 이루는 회전아암(300) 및 구동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로써 사용자가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에 힘을 가하면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가 상기 본체(100)에서 소정 위치까지 수동으로 이동되다가 소정의 위치를 지나면 상기 슬라이드 힌지장치(H)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자동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슬라이딩 커버(200)가 개폐되는 동작을 하게 된다.
상기 본체(100)는 전면 하부에 키패드(110)가 설치되며, 상기 본체(100) 전면 상부에는 상기 회전아암(300)이 수용되어 회전 동작할 수 있도록 대략 부채꼴 형태의 요입부(120)가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는 상기 본체(100) 전면에 상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개폐되도록 설치된다. 단,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가 상방향으로 이동되어 본체(100)의 키패드(110)가 외부로 노출되면 슬라이딩 커버(200)가 열린 것으로, 반대로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가 하방향으로 이동되어 노출되었던 본체(100)의 키패드(110)가 숨겨지면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가 닫힌 것으로 간주한다. 이러한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의 원활한 슬라이딩 개폐를 위해 상기 본체(100) 및 슬라이딩 커버(200)에는 한 쌍을 이루는 가이드 레일(230) 및 상기 가이드 레일(230)의 안내를 받기 위한 소정의 슬라이드 돌기(13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아암(300) 및 구동수단(400)은 슬라이드 힌지모듈(H)을 이루면서 함께 협력하여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를 개폐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아래에서는 이들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도 3은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한 힌지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힌지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힌지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힌지모듈은 회전아암(300) 및 구동수단(400)으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아암(300)은 압축스프링(42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공되는 직선력을 받고 반동하여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를 개폐한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아암(300)은 후단부에 직선력을 회전력으로 변환 시켜주는 접촉부(310)가 형성된다.
상기 접촉부(310)는 샤프트(314)에 의해 상기 구동수단(400)의 연결부(44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440)를 관통한 샤프트(314) 끝단에는 이탈방지를 위해 이어링(315)이 끼워진다. 이때 상기 연결부(440)에는 상기 샤프트(314)가 관통되는 소정의 관통홀(44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접촉부(310)의 프로파일은 돌출된 천이부(311)를 중심으로 양쪽에 경사진 열림방향의 제 1경사라인(312) 및 닫힘방향의 제 2경사라인(313)으로 형성된다. 이를 전체적으로 보면 대략 ">" 형태임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촉부(310)의 천이부(311)는 접촉에 따른 마모를 억제할 수 있도록 첨예하게 형성되지 않고 곡률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경사라인(312) 및 제 2경사라인(313)은 서로 대칭된 형태로 즉, 등각 및 등변으로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가 열릴 때와 닫힐 때 각각 천이시점에 도달하는 이동거리가 같아진다. 또한, 상기 접촉부(310)에 약간의 변형을 가해 상기 제 1경사라인(312) 및 제 2경사라인(313)을 비대칭적으로 구성한다면 슬라이딩 커버(200)가 열릴 때와 닫힐 때 천이시점에 도달하는 이동거리를 각각 다르게 할 수 있다(이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로 차후 설명기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아암(300)은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아암(300)의 선단부에는 간단히 원통형의 조인트돌기(316)가 형성 또는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에는 조인트돌기(316)가 끼워지는 조인트홈(216)이 형성된다(도 2 참조). 여기서 상기 조인트홈(216)은 회전시 상기 회전아암(300) 끝단의 이동궤도에 따른 상기 조인트돌기(316)의 좌우방향 변위 또는 유격을 허용 가능하도록 좌우방향의 장공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구동수단(400)은 푸셔(410), 압축스프링(420) 및 하우징(4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푸셔(410)는 상기 하우징(430) 내에서 직선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아암(300) 접촉부(310)의 프로파일과 접촉하는 평편한 슬립면(411)이 형성된다.
상기 압축스프링(420)은 상기 하우징(430) 내 깊숙한 곳에 수용되며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푸셔(410)를 상기 접촉부(310)가 설치된 방향으로 밀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우징(430)은 상기 푸셔(410) 및 압축스프링(420)을 수용하는 소정의 수용공간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430)은 상기 푸셔(410) 및 압축스프링(420)의 수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일측 전체가 개구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430)의 선단부에는 소정의 개구부(431)가 형성되어 슬립면(411)이 형성된 푸셔(410)의 선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이에 더해, 상기 하우징(430)의 선단부에는 상기 회전아암(300)의 접촉부(31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연결부(440)가 연장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접촉부(310)는 프로파일이 상기 푸셔(410)의 슬립면(411)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440)의 적절한 위치에 결합된다.
도 6a 내지 도 6c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커버의 개폐시 힌지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6a는 슬라이딩 커버(200)가 완전히 닫혀 있는 상태에 서 슬라이드 힌지모듈의 상태를 보여주는 것으로, 상기 접촉부(310)의 닫힘방향으로 형성된 제 1경사라인(312)과 상기 푸셔(410)의 슬립면(411)이 상호 접촉된 상태에서 힘의 균형을 이루고 있다. 이때 상기 조인트돌기(316)는 조인트홈(216)의 안쪽으로 위치한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슬라이딩 커버(200)가 닫혀진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열리는 상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슬라이딩 커버(200)가 이동하기 시작하면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에 연결되어진 회전아암(300)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아암(300)의 접촉부(310)도 회전하면서 상기 푸셔(410)를 서서히 밀어 낸다. 그러면 압축스프링(420)의 탄성 복원력은 자신을 향해 후퇴하는 푸셔(410)를 저항하면서 상기 접촉부(310)의 회전을 저항한다. 그러면 결과적으로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가 사용자의 힘에 반하여 열리지 않으려는 경향을 갖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에 가하던 힘을 제거하면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는 압축스프링(42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후퇴하여서 도 11a와 같은 원래 상태로 복귀한다. 그러나, 상기 압축스프링(420)의 저항을 극복하면서 사용자가 계속 힘을 가하게 되면 상기 접촉부(310)의 제 1경사라인(312), 뒤이어 상기 천이부(311)가 상기 푸셔(410)를 밀어내면서 도 6b의 상태에 이르게 된다. 이때 상기 조인트돌기(316)는 조인트홈(216)의 바깥쪽으로 위치한 상태가 된다.
도 6b는 상기 접촉부(310)의 천이부(311)와 상기 푸셔(410)의 슬립면(411)이 마주 접하는 순간에 있는 슬라이드 힌지모듈의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바로 이때가 상기 압축스프링(420)의 탄성 복원력이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가 닫히는 방향 에서 열리는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변환되는 천이시점이 된다. 이 상태는 상기 압축스프링(420)이 눌려 압축되면서 탄성에너지가 최고조로 축적된 상태로 상기 접촉부(310)가 조금만 더 회전하여 천이시점을 지나게 되면 상기 접촉부(310)는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가 열리는 방향으로 급격히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이후에는 사용자가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에 힘을 주지 않더라도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가 자동적으로 상방향 슬라이딩하여 도 6c와 같이 완전히 열린 상태가 된다.
도 6c는 상기 슬라이딩 커버(100)가 완전히 열린 상태에 있는 슬라이드 힌지모듈의 상태를 보여주는 것으로,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의 닫힘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접촉부(310)의 제 2경사라인(313)과 상기 푸셔(410)의 슬립면(411)이 접촉하여 있다. 이때는 상기 압축스프링(420)에 축적된 탄성에너지가 최소상태이고 상기 접촉부(310)와 푸셔(410)는 안정된 면접촉을 하고 있으므로 외부에서 다시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는 열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단. 상기와 같은 슬라이딩 커버(200)의 개폐 과정에서 상기 회전아암(300)은 곡선형 이동궤도를 그리면서 좌우간 변위가 발생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아암(300) 선단부의 조인트돌기(316)는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의 조인트홈(216) 내에서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회전아암(300)은 후단부에 형성된 접촉부(310)에 의해 별도의 회전캠을 구비하지 않고도 상기 구동수단(400)이 제공하는 직선력을 회전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를 개폐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접촉부(310)와 푸셔(410)의 프로파일간 접촉마찰이 항상 일어나기는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회전캠과는 달리 강한 전단저항에 의한 마모 발생이 거의 일어나지 않고 슬라이딩 커버(200)의 개폐동작은 더욱 분명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가 열려진 상태에서 닫혀진 상태로 되기 위해서는 도 6c의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에 닫히는 하방향으로 사용자의 힘이 가해지면 된다. 이때 상기 접촉부(310)의 천이부(311)와 푸셔(410)의 슬립면(411)이 마주 접하는 천이시점 직후까지만 사용자가 힘을 가하게 되며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는 자동으로 닫힌다. 이러한 동작에 대해서는 슬라이딩 커버(200)가 열려질 때와 대동소이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계속해서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7은 변형된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회전아암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된 본 발명에 따른 회전아암은 푸셔(410)의 슬립면(411)과 접하는 접촉부(320)의 프로파일이, 돌출된 천이부(321)를 중심으로 양쪽에 경사진 열림방향의 제 1경사라인(322) 및 닫힘방향의 제 2경사라인(323)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 1경사라인(322) 및 제 2경사라인(323)이 서로 비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매우 간단하게 변형된 상기 제 1경사라인(322) 및 제 2경사라인(323)의 비대칭적 구조에 의해서 슬라이딩 커버(200)가 열릴 때와 닫힐 때 천이시점에 도달하는 거리를 각각 다르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과 같이 상기 접촉부(320)가 열림방향으로 치우쳐 형성되면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를 열 때 천이시점 에 도달하는 거리가 닫을 때 천이시점에 도달하는 거리보다 짧아진다. 따라서 훨씬 수월하게 슬라이딩 커버(200)를 열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접촉부(310)가 닫힘방향으로 치우쳐 형성되면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를 닫을 때 천이시점에 도달하는 거리가 짧아지게 되어 수월하게 슬라이딩 커버(200)를 닫을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접촉부(310))의 비대칭 구조를 적절히 활용한다면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의 천이시점을 사용자의 편의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도 8은 또 다른 형태로 변형된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회전아암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전아암은 접촉부(330)의 프로파일이 중립방향의 휴지부(333)와, 상기 휴지부(333)를 중심으로 양쪽에 경사진 열림방향의 제 1경사라인(334) 및 닫힘방향의 제 2경사라인(335)을 갖는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푸셔(410)의 슬립면(411)이 상기 제 1경사라인(334) 및 제 2경사라인(335)을 교번하여 접촉하는 중간에 상기 휴지부(333)와 접촉되면서 힘의 균형을 이루게 되어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가 반만 열린 상태를 유지하는 휴지기를 갖는다. 한편, 상기 휴지기를 전후해서는 상기 푸셔(410)의 미는 힘에 상기 접촉부(330)가 반동하면서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가 개폐되는 다른 방향으로 회전한다. 여기서, 상기 휴지부(333)와 상기 제 1경사라인(334) 및 제 2경사라인(335)이 만나면서 형성되는 천이부(331,332)는 각각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의 열림방향과 중립방향 사이에서, 그리고 닫힘방향과 중립방향 사이에서 천이작용을 한다. 이같이 슬라이딩 커버(200)의 개폐를 단계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변형된 구성을 갖게 되면 휴대 단말기 본체(100)의 노출되는 정도를 단계적으로 설정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접촉부(330)의 프로파일은 필요에 따라 더 많은 수의 경사라인을 갖도록 변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회전아암(300) 뿐만 아니라 상기 구동수단(400)의 푸셔(410)가 변형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 도 9 내지 도 14를 참조로 아래에서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4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한 구동수단의 푸셔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참조도이다.
먼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푸셔(450)의 프로파일이 돌출된 변속부(451)를 중심으로 양쪽에 경사진 제 1가속라인(452) 및 제 2가속라인(453)에 의한 대칭된 "<"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기 접촉부(310)의 천이부(311)가 상기 푸셔(450)의 변속부(451)에 접촉된 후 제 1가속라인(452) 또는 제 2가속라인(453)으로 넘어가는 순간동작이 급속하게 이루어지면서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의 개폐 방향이 바뀌는 천이동작이 급속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의 개폐속도 역시 빨라진다.
여기서, 상기 푸셔(450)의 제 1가속라인(452) 및 제 2가속라인(453)이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면,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가 열리고 닫히는 속도 및 천이시점에 이르는 거리가 같아진다.
한편, 도 10의 경우처럼 푸셔(450')의 변속부(451')를 중심으로 제 1가속라 인(452') 및 제 2가속라인(453')이 서로 비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면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가 열리고 닫히는 속도 및 개폐시 천이시점에 이르는 거리가 달라진다. 그러므로, 푸셔(450')의 비대칭 구조를 적절히 활용한다면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의 천이시점을 사용자의 편의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1은 푸셔(460)의 프로파일이 가속라인(462,463)과 함께 중립부(461)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푸셔(460)의 프로파일이 돌출되어 경사 없이 평면으로 형성된 중립부(461)와 상기 중립부(461)를 중심으로 양쪽에 경사진 제 1가속라인(462) 및 제 2가속라인(463)으로 형성된다. 이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기 접촉부(310)가 상기 푸셔(460)의 중립부(461)에 접촉될 때에는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의 개폐속도가 변형전과 같이 완만하게 이루어지다가 상기 제 1가속라인(462) 또는 제 2가속라인(463)으로 넘어가 접촉되면서 급격하게 이루어지는 동작특성을 갖는다.
도 12는 푸셔(470)의 프로파일이 평편하게 형성되지만 중앙에 상기 천이부(311)가 정합되는 요입홈(47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같은 구성에 의하면 슬라이딩 커버(200)를 열고 닫을 때 상기 천이부(311)와 요입홈(471)이 정합되는 시점에서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의 개폐동작이 일시 중단되는 휴지기 및 천이시점을 동시에 갖게 된다. 따라서, 중간에 휴지기를 두면서 슬라이딩 커버(200)의 개폐를 단계적으로 시행할 수 있다.
도 13 및 14는 상기 푸셔(490)에 접촉부(310)의 양측면을 감싸면서 회전동작을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491,49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참고로 도 14는 도 13의 푸셔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처럼 푸셔(490)에 상기 접촉부(310)의 양측면을 감싸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491,492)이 형성되면 상기 회전아암(300)의 회전시 상기 접촉부(310)가 안내를 받으면서 안정적인 회전동작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이어링(315) 없이도 상기 연결부(440)를 관통한 샤프트(314)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도 15는 변형된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회전아암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회전아암(300')은 신축 가능하게 2절 링크구조로 변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아암(300')은 후단부에 접촉부(310)가 형성되어 주로 회전을 담당하는 1절 아암(300a)과 상기 1절 아암(300a)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신축을 담당하는 2절 아암(300b)으로 구성된다.
이처럼, 상기 회전아암(300')이 2절 링크구조로 신축 가능하게 구성되면 그 끝단부가 원호형태가 아닌 직선형태의 궤도를 그리면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요입부(120')는 부채꼴 형태에서 삼각형태로 변형된다. 같은 이유로 조인트돌기(316)가 끼워지는 슬라이딩 커버(200)의 조인트홈(216')은 좌우방향 장공의 형태에서 조인트돌기(316)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정도로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아암(300')이 신축 가능한 2절 링크구조로 변형되면 회전시 그리는 궤도의 좌우폭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딩 커버(200)의 개폐를 위한 구성공간은 줄이고 다른 부품들의 설치를 위한 공간은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좌우폭 및 두께가 얇은 슬림한 형태의 휴대 단말기를 구현하는 데 용이하게 된다.
도 16은 또 다른 형태로 변형된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회전아암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아, 본 발명의 회전아암(500)은 선단부에 기어치형을 갖는 기어부(510)가 형성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에는 상기 기어부(510)와 치합되는 랙(600)이 상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기어부(510)는 상기 회전아암(500)의 회전시 언제나 상기 랙(600)과 원활한 치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회전아암(500)의 회전반경과 동일한 크기의 곡률반경을 갖는 원호형태로 형성된다.
도 17은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드 힌지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18a 내지 도 18d는 제 2실시예에 다른 본 발명의 의한 슬라이드 힌지모듈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힌지모듈은 구동력으로서 직선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800) 및 제공되는 직선력을 접촉부(710)에 의해 회전력으로 변환하여 회전하면서 슬라이딩 커버(200)를 개폐하는 회전아암(700)을 구비하는 구성을 기본적으로 취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구동수단(800)이 압축스프링(820)의 의한 직선력의 방향을 전환하여 전달해주는 방향전환용 캠(810b)을 구비함으로서 상기 회전아암(700)과 구동수단(800)의 배치가 직각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같은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구동수단(800)은 상기 회전아암(700)의 접촉부(710)와 접촉하는 푸셔(810a)와, 선단부가 상기 푸셔(810a)의 후단부와 접촉되어 힘의 방향을 직각방향으로 전환하여 전달하는 방향전환용 캠(810b)과, 상기 방향전환용 캠(810b)을 상기 푸셔(810a)가 설치된 방향으로 밀어주는 압축스프링(8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푸셔(810a)의 후단부 및 상기 방향전환용 캠(810b)의 선단부는 상호 대응하여 접촉하는 대략 45° 경사진 경사면(813,815)에 의해 직각방향으로 접촉된다. 또한, 상기 푸셔(810a)의 후단부 및 상기 방향전환용 캠(810b)의 선단부는 상호 안정적인 접촉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각각 돌출된 가이드 편(812)과 상기 가이드 편(812)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딩 홈(814)이 형성된다.
상기 접촉부(710)는 상기 회전아암(700)의 후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푸셔(810a)와 접하는 프로파일이, 중립방향의 휴지부(713), 상기 휴지부(713)와 직각을 이루는 열림방향의 제 1경사라(714)인 및 닫힘방향의 제 2경사라인(715)이 상기 휴지부 양쪽에 형성된다.
이같은 구성에 의하면, 도 18a와 같이 상기 접촉부(710)의 제 1경사라인(714)과 푸셔(810a)의 프로파일(811)이 접하게 되면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가 완전히 닫힌 상태가 된다. 도 18c와 같이 상기 접촉부(710)의 휴지부(713)와 상기 푸셔(810a)의 프로파일(811)이 접하게 되면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가 반 정도 열리다 멈춘 휴지기가 된다. 도 18d와 같이 상기 접촉부(710)의 제 2경사라인(715)과 푸셔(810a)의 프로파일(811)이 접하게 되면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가 완전히 열린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경사라인(714,715)과 휴지부(713) 사이의 모퉁이는 천이부(711,712)가 되며, 도 18b과 같이 상기 모퉁이 천이부(712)와 푸셔(810a)의 프 로파일(811)이 접하는 순간이 상기 푸셔(810a)의 미는 힘에 의해 상기 접촉부(710) 및 회전아암(700)의 회전방향이 순간적으로 바뀌는 천이시점이 된다.
이같은 제 2실시예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구동수단(800)이 슬라이딩 커버(200) 및 본체(100)와 동일한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고, 회전아암(700)의 회전각도가 180°에 이르기 때문에 슬라이딩 커버(200)의 개폐되는 길이를 더욱 늘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9는 제 3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슬라이드 힌지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20은 도 19에서 슬라이드 힌지모듈의 회전아암 및 접촉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저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슬라이드 힌지모듈은 슬라이딩 커버(200)를 개폐하는 회전아암(900)이 소망하는 각도(360°까지)로 제한 없이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제 3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이 구동수단(400)과, 접촉편(910)과, 회전아암(9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수단(400)은, 구동력으로서 직선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접촉편(910)과 접촉하는 푸셔(410), 상기 푸셔(410)를 상기 접촉편(910)이 설치된 방향으로 밀어주는 압축스프링(420), 이들을 수용하는 하우징(4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수단(400)은 제 1실시예와 대동소이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접촉편(910)은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푸셔(410)의 프로파일(411)과 접 하는 프로파일이 네 개의 외측벽면(911,912,913,914)으로 형성된 사각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접촉편(910) 각각의 외측벽면(911,912,913,914)에 상기 푸셔(410)의 프로파일(411)이 접촉되면서 상기 접촉편(910) 및 회전아암(900)의 회전각도가 결정된다. 또한, 상기 접촉편(910)의 외측벽면(911,912,913,914)간 모퉁이가 천이부가 되어 상기 푸셔(410)가 접하는 순간을 천이시점으로 상기 푸셔(410)의 미는 힘에 의해 상기 접촉편(910) 및 회전아암(900)이 슬라이딩 커버(200)가 개폐되는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아암(900)은 상기 구동수단(400)에 걸리지 않도록 상기 접촉편(910)과 단차를 두고 결합되어 상기 접촉편(910)과 함께 소망하는 각도로 제한 없이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도 21a 내지 도 21d는 제 3실시예에 다른 본 발명의 의한 슬라이드 힌지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회전아암(900)이 상기 구동수단(400)에 걸리지 않고 중간 중간에 휴지기를 가지면서 소망하는 각도로 제한 없이 회전하게 된다.
즉, 도 21a 내지 21d는 각각 회전아암(900)이 제한 없이 회전하는 가운데 0°, 90°, 180°, 270°에서 휴지기를 갖고 정지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같이 상기 회전아암(900)이 구동수단(400) 등에 걸리지 않고 소망하는 각도로 제한 없이 회전할 수 있다. 이같은 구성에 따르면 슬라이딩 커버(200)가 긴 개폐거리를 갖고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를 상하방향만 이 아니라 좌우방향으로도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체(100) 전면의 작동부를 더 많이 노출시킬 수 있는 다양한 컨셉의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도 22 내지 도 24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된 제 3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슬라이드 힌지모듈은 저촉편(920,930,940)의 간단한 변형만으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22, 도 23 및 도 24는 접촉편(920,930,940)이 각각 두 개, 세 개, 여섯 개의 외측벽면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같은 구성에 따르면 회전아암(900)이 소망하는 각도로 제한 없이 회전하지만 회전하는 동안 각각 두 번, 세 번, 여섯 번의 휴지기를 거치게 된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간단히 상기 접촉편(920,930,940)을 변형시킴으로서 회전하는 동안 다양한 수의 휴지기를 갖는 슬라이드 힌지모듈을 구성할 수 있다.
도 25는 또 다른 형태로 변형된 제 3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형태로 변형된 제 3실시예는 변형전과 비교하여 동일한 구동수단(400) 및 접촉편(950)이 구비되지만 바 형태의 회전아암 대신 피니언(900')으로 구비되는 특징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피니언(900') 역시 상기 구동수단(400)에 걸리지 않도록 상기 접촉편(950)과 단차를 두고 결합되어 상기 접촉편(950)과 함께 소망하는 각도로 회전하면서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를 개폐하게 된다.
상기 피니언(900')을 구비함에 따라 상기 피니언(900')과 치합되는 랙(미도시 됨)이 설치되며, 상기 랙은 도 16의 랙(600)과 동일한 형태로 슬라이딩 커버(200)에 설치된다.
상기 접촉편(950)은 제 3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프로파일이 다면의 외측벽(951,952,953,954)으로 형성되어, 각각의 외측벽면(951,952,953,954)에 의해 상기 접촉편(950) 및 피니언(900')의 회전각도가 결정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는, 직선력을 회전력으로 변한할 수 있는 회전아암 자체의 간단한 구성만으로 슬라이딩 커버를 개폐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회전캠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별도의 회전캠을 구비하지 않기 때문에 전체 구성이 간단해지고 휴대 단말기를 제작하는 데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종래 회전캠의 마모로 인하여 슬라이딩 커버의 개패성능이 저하되던 현상을 장기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간에 휴지기를 두어 슬라이딩 커버를 단계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약간의 변형을 통하여 슬라이딩 커버의 개폐동작을 더욱 확실하고 빠르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약간의 변형을 통하여 슬라이딩 커버가 열리고 닫힐 때의 속도를 차별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약간의 변형을 통하여 슬라이딩 커버가 천이시점에 이르기 위해 필요로 하는 거리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약간의 변형을 통하여 슬라이딩 커버의 작동을 위한 구성공간을 최소화하는 대신 부품 실장을 위한 공간은 더욱 확보함으로서 좌우폭 및 두께를 대폭 줄여 슬림화한 휴대 단말기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약간의 변형을 통하여 구동수단을 슬라이딩 커버 및 본체의 길이방향과 일치한 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촉편과 회전아암에 단차를 두는 구성에 의하여 회전아암을 제한 없이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회전아암을 제한 없이 회전시키되 회전아암이 회전하는 동안 다양한 수의 휴지기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Claims (21)

  1. 본체와 상기 본체에서 상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개폐되는 슬라이딩 커버를 구비하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에 있어서,
    구동력으로서 직선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과;
    제공되는 직선력을 회전력으로 변환하는 접촉부가 구비되어 상기 직선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슬라이딩 커버를 개폐하는 회전아암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회전아암의 접촉부와 접촉하는 푸셔와, 상기 푸셔를 상기 접촉부가 설치된 방향으로 밀어주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회전아암의 후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푸셔와 접하는 프로파일이, 돌출된 천이부를 중심으로 양쪽에 경사진 열림방향의 제 1경사라인 및 닫힘방향의 제 2경사라인으로 형성되어,
    상기 접촉부의 천이부와 상기 푸셔가 마주 접하는 순간을 천이시점으로 상기 접촉부가 상기 푸셔의 미는 힘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개폐되는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열릴 때와 닫힐 때 각각 상기 천이시점에 도달하는 거리가 같도록, 상기 제 1경사라인 및 제 2경사라인이 서로 대칭을 이루는 ">"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열릴 때와 닫힐 때 각각 상기 천이시점에 도달하는 거리가 다르도록, 상기 제 1경사라인 및 제 2경사라인이 서로 비대칭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회전아암의 접촉부와 접촉하는 푸셔와, 상기 푸셔를 상기 접촉부가 설치된 방향으로 밀어주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회전아암의 후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푸셔와 접하는 프로파일이, 중립방향의 휴지부와, 상기 휴지부를 중심으로 양쪽에 경사진 열림방향의 제 1경사라인 및 닫힘방향의 제 2경사라인으로 형성되어,
    상기 접촉부의 휴지부와 상기 푸셔가 접하는 때를 휴지기로 하고, 상기 접촉부가 상기 휴지기를 전후하여 상기 푸셔의 미는 힘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개폐되는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회전아암의 접촉부와 접촉하는 푸셔와, 상호 경사면에 의해 상기 푸셔와 직각방향으로 접촉되는 방향전환용 캠과, 상기 방향전환용 캠을 상기 푸셔가 설치된 방향으로 밀어주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접촉부는 상기 회전아암의 후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푸셔와 접하는 프로파일이, 중립방향의 휴지부와, 상기 휴지부와 직각을 이루는 열림방향의 제 1경사라인과 닫힘방향의 제 2경사라인이 상기 휴지부를 중심으로 양쪽에 형성되어,
    상기 접촉부의 휴지부와 상기 푸셔가 접하는 때를 휴지기로 하고, 상기 접촉부가 상기 휴지기를 전후하여 상기 푸셔의 미는 힘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개폐되는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
  7. 제 2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압축스프링 및 푸셔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더욱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선단부에는 상기 회전아암의 접촉부가 상기 푸셔와 접촉을 유지하면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가 더욱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
  8. 제 2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커버 또는 본체에는 랙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아암의 선단부에는 상기 랙과 치합되어 상기 회전아암의 회전시 상기 슬라이딩 커버를 개폐하는 원호상의 기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
  9. 제 2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의 프로파일과 접촉하는 상기 푸셔의 프로파일은 평편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에는 상기 접촉부의 양측면을 감싸면서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
  11. 제 2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의 프로파일과 접촉하는 상기 푸셔의 프로파일은, 상기 슬라이딩 커버의 급속한 개폐를 위하여 돌출된 변속부를 중심으로 양쪽에 경사진 제 1가속라인 및 제 2가속라인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가속라인 및 제 2가속라인이 서로 대칭을 이루는 "<" 형태로 형성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가속라인 및 제 2가속라인이 서로 비대칭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
  14. 제 2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의 프로파일과 접촉하는 상기 푸셔의 프로파일은, 돌출되어 경사 없는 평면으로 형성된 중립부와 상기 슬라이딩 커버의 급속한 개폐를 위하여 상기 중립부를 중심으로 양쪽에 경사진 제 1가속라인 및 제 2가속라인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회전아암의 후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푸셔와 접하는 프로파일이, 돌출된 천이부를 중심으로 양쪽에 경사진 열림방향의 제 1경사라인 및 닫힘방향의 제 2경사라인으로 형성되며,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회전아암의 접촉부와 접촉하는 푸셔와, 상기 푸셔를 상기 접촉부가 설치된 방향으로 밀어주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푸셔의 프로파일은, 상기 접촉부의 천이부와 정합되는 요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천이부와 요입홈이 정합되는 때를 휴지기로 하고 상기 휴지기를 전후하여 상기 푸셔 의 미는 힘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개폐되는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
  16. 본체와 상기 본체에서 상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개폐되는 슬라이딩 커버를 구비하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에 있어서,
    구동력으로서 직선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이 제공하는 직선력을 회전력으로 변환하여 회전하는 접촉편과;
    상기 구동수단에 걸리지 않도록 상기 접촉편과 단차를 두고 결합되어 상기 접촉편과 함께 소망하는 각도로 회전하면서 상기 슬라이딩 커버를 개폐하는 회전아암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
  17. 본체와 상기 본체에서 상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개폐되는 슬라이딩 커버를 구비하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에 있어서,
    구동력으로서 직선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이 제공하는 직선력을 회전력으로 변환하여 회전하는 접촉편과;
    상기 구동수단에 걸리지 않도록 상기 접촉편과 단차를 두고 결합되어 상기 접촉편과 함께 소망하는 각도로 회전하면서 상기 슬라이딩 커버를 개폐하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과 치합되는 랙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
  18. 제 16항 또는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접촉편과 접촉하는 푸셔와, 상기 푸셔를 상기 접촉편이 설치된 방향으로 밀어주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푸셔와 접하는 접촉편의 프로파일이 다면의 외측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접촉편 각각의 외측벽면에 상기 푸셔가 접촉되면서 상기 접촉편의 회전각도가 결정되고, 상기 접촉편의 외측벽면간 모퉁이와 상기 푸셔가 접하는 순간을 천이시점으로 상기 푸셔의 미는 힘에 의해 상기 접촉편이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개폐되는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
  19. 키패드가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전면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 커버와;
    돌출된 천이부를 중심으로 양쪽에 경사진 열림방향의 제 1경사라인 및 닫힘방향의 제 2경사라인으로 형성된 프로파일을 갖는 접촉부가 후단부에 형성되고, 선단부는 상기 슬라이딩 커버 또는 본체에 연결되어 회전시 상기 슬라이딩 커버를 개폐하는 회전아암과;
    상기 회전아암의 접촉부와 접촉하는 푸셔와, 상기 푸셔를 상기 접촉부가 설치된 방향으로 밀어주는 압축스프링과, 상기 푸셔 및 압축스프링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고 선단부에는 상기 회전아암의 접촉부가 상기 푸셔와의 접촉을 유지하면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가 형성된 하우징으로 이루어진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접촉부의 천이부와 상기 푸셔가 마주 접하는 순간을 천이시점으로 상기 접촉부가 상기 푸셔의 미는 힘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개폐되는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0. 키패드가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전면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 커버와;
    중립방향의 평편라인으로 형성된 천이부를 중심으로 양쪽에 경사진 열림방향의 제 1경사라인 및 닫힘방향의 제 2경사라인으로 형성된 프로파일을 갖는 접촉부가 후단부에 형성되고, 선단부는 상기 슬라이딩 커버 또는 본체에 연결되어 회전시 상기 슬라이딩 커버를 개폐하는 회전아암과;
    상기 회전아암의 접촉부와 접촉하는 푸셔와, 상호 경사면에 의해 상기 푸셔와 직각방향으로 접촉되는 방향전환용 캠과, 상기 방향전환용 캠을 상기 푸셔가 설치된 방향으로 밀어주는 압축스프링과, 상기 푸셔 및 압축스프링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고 선단부에는 상기 회전아암의 접촉부가 상기 푸셔와의 접촉을 유지 하면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가 형성된 하우징으로 이루어진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접촉부의 휴지부와 상기 푸셔가 접하는 때를 휴지기로 하고, 상기 접촉부가 상기 휴지기를 전후하여 상기 푸셔의 미는 힘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개폐되는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1. 키패드가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전면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 커버와;
    돌출된 천이부를 중심으로 양쪽에 경사진 열림방향의 제 1경사라인 및 닫힘방향의 제 2경사라인으로 형성된 프로파일을 갖는 접촉부가 후단부에 형성되고, 선단부는 상기 슬라이딩 커버 또는 본체에 연결되어 회전시 상기 슬라이딩 커버를 개폐하는 회전아암과;
    상기 회전아암의 접촉부와 접촉하는 푸셔와, 상기 푸셔를 상기 접촉부가 설치된 방향으로 밀어주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푸셔의 프로파일은 상기 접축부의 천이부와 정합되는 요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천이부와 요입홈이 정합되는 때를 휴지기로 하고 상기 휴지기를 전후하여 상기 푸셔의 미는 힘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개폐되는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50009454A 2004-10-14 2005-02-02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휴대단말기 KR1007031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2003 2004-10-14
KR20040082003 2004-10-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3695A KR20060033695A (ko) 2006-04-19
KR100703152B1 true KR100703152B1 (ko) 2007-04-05

Family

ID=37142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9454A KR100703152B1 (ko) 2004-10-14 2005-02-02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휴대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31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224B1 (ko) * 2006-09-01 2008-03-07 진혜민 휴대폰용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20100025953A (ko) * 2008-08-28 2010-03-10 (주)엘티엠에이피 휴대단말기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개폐하는데 사용되는 액체댐퍼를 가진 슬라이드 조립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800B1 (ko) 2000-02-01 2004-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로어 타입 휴대전화기
KR20040100458A (ko) * 2003-05-23 2004-12-02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KR20050014097A (ko) * 2003-07-30 2005-02-07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KR20050026173A (ko) * 2003-09-09 2005-03-15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슬라이딩 개폐되는 이동통신단말기
KR20060025830A (ko) * 2004-09-17 2006-03-22 조필제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휴대단말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800B1 (ko) 2000-02-01 2004-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로어 타입 휴대전화기
KR20040100458A (ko) * 2003-05-23 2004-12-02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KR20050014097A (ko) * 2003-07-30 2005-02-07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KR20050026173A (ko) * 2003-09-09 2005-03-15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슬라이딩 개폐되는 이동통신단말기
KR20060025830A (ko) * 2004-09-17 2006-03-22 조필제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휴대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3695A (ko) 2006-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9844B2 (en) Sliding mechanism for opening and closing of cellular phone
KR100685388B1 (ko) 곡형 슬라이딩 타입 휴대 통신 장치 및 그의 슬라이딩 장치
KR100665709B1 (ko) 힌지장치
US7450979B2 (en) Sliding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KR10071342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EP1921830A1 (en) Push rod and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EP1814285A1 (en) Sliding/swing-type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positioning liquid crystal display at center portion thereof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20070041816A1 (en) Swing-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03152B1 (ko)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휴대단말기
KR100573452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
KR100785368B1 (ko) 휴대폰용 다단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100570071B1 (ko) 폴더형 휴대폰
KR10068953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105871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200389766Y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 바디 구동장치
KR100691774B1 (ko)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휴대단말기
KR100686398B1 (ko) 슬라이드와 로테이트가 가능한 휴대 단말기
KR200350760Y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 바디 구동장치
KR200350570Y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
KR200382471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힌지장치
KR200240011Y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힌지 구조
KR101110448B1 (ko) 폴더 타입 및 바 타입 겸용 휴대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20050083531A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 바디 구동장치
KR20050065036A (ko) 반자동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200336311Y1 (ko)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