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9409A - 컨베이어 장치 - Google Patents

컨베이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9409A
KR20040099409A KR10-2004-7016015A KR20047016015A KR20040099409A KR 20040099409 A KR20040099409 A KR 20040099409A KR 20047016015 A KR20047016015 A KR 20047016015A KR 20040099409 A KR20040099409 A KR 200400994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stair
sprocket
chain
drive spr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6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0461B1 (ko
Inventor
이시까와요시노부
무나까따다다시
오기무라요시오
데시마노부히꼬
나까가끼시게오
가와모또히또시
후지이겐이찌
이께다요시후미
하라가즈히사
기꾸찌다까유끼
Original Assignee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99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9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0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04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14Guiding means for carry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2Driving gear
    • B66B23/024Chai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2Driv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2Driving gear
    • B66B23/026Driving gear with a drive or carrying sprocket wheel located at end portions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계단 체인(37)에 의해 연결된 계단 롤러(35)의 이동을 안내하는 계단 가이드 레일(33)의 구동 스프로킷(39)으로의 도입부에 산 형상의 굴곡부(43)를 설치한다. 이에 의해, 계단 롤러(35)가 구동 스프로킷(39)에 맞물리는 영향으로 이 계단 롤러(35)에 생기는 속도 불균일이 굴곡부(43)에 의해 흡수되어 계단 롤러(35)의 이동 속도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고, 계단(34)의 진동이 억제된다.

Description

컨베이어 장치{CONVEYOR DEVICE}
에스컬레이터나 움직이는 보도 등의 컨베이어 장치는, 계단 롤러가 설치된 복수의 계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복수의 계단은 각 계단에 설치된 계단 롤러가 무단부형의 계단 체인에 의해 소정 피치로 연결됨으로써 이 계단 체인과 일체가 되고, 계단 체인이 체인 구동 기구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모든 계단이 동기하여 간극없이 움직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복수의 계단은 계단 롤러가 구조물에 설치된 계단 가이드 레일에 결합됨으로써, 이 계단 가이드 레일에 지지되어 입구와 출구 사이를 순환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 움직이는 보도에서는 복수의 계단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계단을 특별히 발판이라 칭하는 경우도 있지만,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움직이는 보도인 경우도 계단으로 하여 표기를 통일한다.
계단 체인을 구동하는 체인 구동 기구는,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구동 스프로킷에 계단 체인의 되접힘 단부를 권취하여, 모터의 구동력을 구동 스프로킷을 통해 계단 체인에 전달하는 타입의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체인 구동 기구는, 통상 컨베이어 장치의 입구 부근 혹은 출구 부근의 트러스라 불리우는 구조물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그런데, 체인 구동 기구가 배치되는 트러스는, 종래 거치 작업을 행하기 위한 충분한 스페이스가 필요로 되어 있었지만, 최근에는 거치 기술의 발전 등에 의해 트러스의 소형화가 실현되고, 컨베이어 장치 전체를 박형으로 하여 공간 절약화를 도모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상과 같이 트러스가 소형화된 경우에는, 이 트러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체인 구동 기구의 구동 스프로킷으로서, 소직경의 스프로킷을 이용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그러나, 소직경의 스프로킷을 체인 구동 기구의 구동 스프로킷으로서 이용한 경우, 계단 체인으로 연결된 계단 롤러에 비교적 큰 속도 불균일이 발생되고, 이 계단 롤러의 속도 불균일이 계단의 진동이 되어 나타나 컨베이어 장치의 승차감을 저하시킨다고 한 문제가 발생된다.
계단 롤러의 속도 불균일을 억제하여 계단의 이동을 순조롭게 하는 기술로서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8-217368호 공보로 개시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 일본 특허 공개 평8-217368호 공보로 개시되는 기술에서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단 체인(100)에 의해 연결된 계단 롤러(101)를 지지하는 계단 가이드 레일(102)의 지지면(주행 트랙)(102a)이 구동 스프로킷(103)의 접선(103a)으로부터 간격(ho)만큼 이격한 위치가 되도록, 계단 가이드 레일(102)과 구동 스프로킷(103)의 상대 위치 관계를 설정하고 있다. 또, 계단 가이드 레일(102)의 구동 스프로킷(103)에 근접하는 선단부측에는 보상 레일(104)을 설치하고 있다. 이 보상 레일(104)은 계단 롤러(101)를 지지하는 지지면(주행 트랙)(104a)이 계단 가이드 레일(102) 측에서는 이 계단 가이드 레일(102)의 지지면(102a)과 동일한 높이가 되고, 구동 스프로킷(103) 측에서는 이 구동 스프로킷(103)의 계단 롤러(101)가 맞물리는 홈과 동일한 높이가 되어 있는 동시에, 그 중도부가 매끄러운 곡선 형상이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보상 레일(104)의 지지면(104a)에 지지되어 이동하는 계단 롤러(101)가 직선 운동으로부터 곡선 운동을 지나서 구동 스프로킷(103)의 홈에 맞물려지고, 구동 스프로킷(103)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 운동함으로써, 계단 롤러(101)의 속도 불균일이 억제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계단 롤러(101)의 속도 불균일은 유효하게 억제할 수 있지만, 구동 스프로킷(103)에 대해 계단 가이드 레일(102)이 높은 위치에 설치되기 때문에, 컨베이어 장치 전체의 박형화를 도모하는 데 있어서 불리해진다는 문제가 있다. 즉, 구동 스프로킷(103)의 접선(103a)과 계단 가이드 레일(102)의 지지면(102a) 사이의 간격(ho)은 계단 체인(100)의 링크 길이에 비례한 값이 되기 때문에, 특히 소직경의 스프로킷을 구동 스프로킷(103)으로서 이용한 경우에는, 구동 스프로킷(103)에 관한 계단 체인(100)의 링크 길이가 상대적으로 큰 값이 되고, 그 결과 구동 스프로킷(103)의 접선(103a)과 계단 가이드 레일(102)의 지지면(102a) 사이의 간격(ho)이 커진다. 이로 인해, 트러스가 대형화되어 컨베이어 장치 전체를 박형화하는 데 지장을 초래하고 있었다.
또한, 왕로와 귀로를 반전시켜 컨베이어 장치를 운전하는 경우도 생각하면, 계단 가이드 레일(102)의 귀환측도 동일한 간격(ho)에서 구동 스프로킷(103)의 하방으로 이격시켜 설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상하의 간격(2 × ho)으로서는 매우높은 치수가 필요해진다.
가령, 구동 스프로킷(103)이 348.4 ㎜의 피치 원 직경으로 치형 수가 8매, 계단 체인(100)의 링크 길이가 133.33 ㎜인 경우, 상술한 종래 기술로 계단 롤러(101)의 속도 불균일을 완전하게 없애기 위해서는, 본 발명자에 의한 시험 계산에서는 구동 스프로킷(103)의 접선(103a)과 계단 가이드 레일(102)의 지지면(102a) 사이의 간격(ho)으로서 35.3 ㎜ 이상이 필요해진다. 그리고, 왕로측과 귀환측을 합치면, 구동 스프로킷(103)의 크기 외에 70.6 ㎜(2 × ho)의 여분의 높이 치수가 필요해진다. 이로 인해, 구동 스프로킷(103)의 피치 원 직경을 348.4 ㎜에까지 작게 한 것에 의한 공간 절약 효과가 손상되는 결과가 된다.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나 움직이는 보도 등의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종래의 컨베이어 장치의 체인 구동 기구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을 적용한 컨베이어 장치의 일예를 도시하는 전체 구성도이다.
도3은 상기 컨베이어 장치에 있어서, 계단 롤러의 이동 속도와 그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으로, (a)는 계단 롤러의 위치에 따른 이동 속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 (b)는 계단 롤러의 이동 속도가 구동 스프로킷의 피치 원 속도(Vt)가 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 (c)는 계단 롤러의 이동 속도가 평균 속도(Vo)가 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 (d)는 굴곡부의 바람직한 형성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상기 컨베이어 장치에 있어서, 굴곡부의 최적 형상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을 적용한 컨베이어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전체 구성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을 에스컬레이터에 적용한 경우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종래의 실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계단 롤러의 속도 불균일을 유효하게 억제하여 양호한 승차감을 확보하는 동시에, 장치 전체의 박형화를 실현할 수 있는 컨베이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컨베이어 장치는 계단 가이드 레일과, 상기 계단 가이드 레일에 따라서 이동하는 계단 롤러를 갖는 복수의 계단과, 상기 복수의 계단의 계단 롤러를 소정 피치로 연결하는 계단 체인과, 상기 계단을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회전 구동 장치와, 상기 회전 구동 장치의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고, 상기 계단 체인에 상기 회전 구동 장치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스프로킷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 스프로킷의 원 속도를 Vt, 상기 계단 체인으로 연결되어 이동하는 상기 계단 롤러의 평균 속도를 Vo로 하고, 상기 계단 롤러의 속도가Vt로부터 Vo에까지 감소한 위치를 기준 위치로 하였을 때, 상기 계단 가이드 레일에 따라서 복수 존재하는 상기 기준 위치 중 상기 구동 스프로킷에 가장 가까운 기준 위치와, 이 기준 위치로부터 상기 계단 체인의 링크 길이만큼 이격한 상기 구동 스프로킷 상의 구동 기점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계단 가이드 레일의 부위에, 상기 계단측으로 돌출하는 산 형상의 굴곡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컨베이어 장치에서는 회전 구동 장치가 기동되면, 이 회전 구동 장치의 구동력을 받아 구동 스프로킷이 회전하고, 이 구동 스프로킷의 회전에 의해 회전 구동 장치의 구동력이 계단 체인에 전달된다. 계단 체인이 구동되면, 이 계단 체인에 의해 연결된 복수의 계단의 각 계단 롤러가 계단 가이드 레일에 따라서 순환 이동하여 계단 상에 탑승한 승객을 운반한다.
여기서, 계단 체인으로 연결된 각 계단 롤러 중 서로 인접하는 3개의 계단 롤러에 주목하면, 선두의 계단 롤러가 구동 스프로킷에 접근하여 소정의 위치(기준 위치)를 넘었을 때, 이 선두의 계단 롤러의 이동 속도는 평균 속도보다도 늦어진다. 이 때, 2번째의 계단 롤러가 구동 스프로킷에 가장 가까운 기준 위치와 구동 스프로킷 상의 구동 기점(계단 롤러가 구동 스프로킷에 의해 원 속도(Vt)로 이송 동작되는 기점이며, 구동 스프로킷에 가장 가까운 기준 위치로부터 계단 체인의 링크 길이만큼 이격한 구동 스프로킷 상의 점) 사이에 위치하는 계단 가이드 레일의 부위에 설치된 산 형상의 굴곡부에 도달하면, 그 굴곡부의 산 형상에 따라서 2번째의 계단 롤러의 높이 위치가 변화한다. 2번째의 계단 롤러의 높이 위치가 변화하면, 각 계단 롤러 사이의 피치(링크 길이)는 일정하기 때문에, 2번째의 계단 롤러의 높이 위치의 변화분만 3번째의 계단 롤러가 선두의 계단 롤러에 접근하는 것으로 되어 3번째의 계단 롤러가 증속된다. 이에 의해, 선두의 계단 롤러의 이동 속도의 저하분이 3번째의 계단 롤러의 증속분으로 상쇄되고, 3번째의 계단 롤러의 이동 속도는 평균 속도로 유지된다.
선두의 계단 롤러가 더 먼저 진행하면, 이 선두의 계단 롤러의 이동 속도는 역전하여 평균 속도보다도 빠르게 된다. 이 때, 2번째의 계단 롤러가 계단 가이드 레일에 설치된 굴곡부를 넘어 버리면, 2번째의 계단 롤러의 높이 위치가 원래로 복귀하고, 3번째의 계단 롤러가 선두의 계단 롤러로부터 이격하게 되어 3번째의 계단 롤러가 감속된다. 이에 의해, 선두의 계단 롤러의 이동 속도의 상승분이 3번째의 계단 롤러의 감속분으로 상쇄되고, 3번째의 계단 롤러의 이동 속도는 평균 속도로 유지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컨베이어 장치에서는 구동 스프로킷에 가장 가까운 기준 위치와 구동 스프로킷 상의 구동 기점 사이에 위치하는 계단 가이드 레일의 부위에 설치된 산 형상의 굴곡부에서, 선행하는 계단 롤러에 생기는 속도 불균일을 흡수하여 선행하는 계단 롤러의 속도 불균일을 후속하는 계단 롤러에 전달하지 않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계단 롤러의 이동 속도를 거의 평균 속도로 유지하고, 계단 롤러의 속도 불균일에 기인하는 계단의 진동을 억제하여 양호한 승차감을 확보할 수 있다. 또, 계단 가이드 레일에 설치하는 굴곡부의 산 형상은 그다지 크게 할 필요가 없으므로, 장치 전체의 박형화를 실현하는 데 있어서 유리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을 적용한 컨베이어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2에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 도2에 도시한 컨베이어 장치(31)는, 노면에 대해 대략 수평하게 설치되어 승객을 운반하는 움직이는 보도로서 구성되어 있고, 자중 및 승객의 하중을 지지하는 트러스라 불리는 구조물(32)을 구비하고 있다. 이 구조물(32)은 노면의 하방에 오목하게 된 피트 내에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구조물(32)의 내부에는, 컨베이어 장치(31)의 입구(31a)와 출구(31b)에 걸쳐 주회하도록, 계단 가이드 레일(33)이 설치되어 있다. 이 계단 가이드 레일(3)은 승객을 운반하는 복수의 계단(34)의 이동을 안내하는 것이다. 즉, 복수의 계단(34)에는 각각 계단 롤러(35)가 설치되어 있고, 이 계단 롤러(35)가 계단 가이드 레일(33)에 따라서 이동함으로써, 각 계단(34)이 컨베이어 장치(31)의 입구(31a)와 출구(31b)에 걸쳐 순환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계단 가이드 레일(33)은 그 왕로측에 지지면을 갖는 레일 본체(33a)와, 귀환측에 설치된 압박 레일(33b)을 갖고 있다. 그리고, 왕로측을 이동하는 계단(34)은 계단 롤러(35)가 레일 본체(33a)의 지지면 상에 지지됨으로써, 노면을 노면과 거의 동일한 높이 위치로 하고 구조물(32)의 외부로 노출시키면서, 입구(31a)로부터 출구(31b)를 향해 도2 중 화살표 A 방향으로 평행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 왕로측의 입구(31a) 부근 및 출구(31b) 부근에는 선단부에 고무가 부착된 고무 플레이트(36)가 설치되어 있고, 계단(34)이 고무 플레이트(36)의 하방을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귀환측을 이동하는 계단(34)은 계단 롤러(35)가 레일 본체(33a)와 압박 레일(33b) 사이에 결합된 상태에서, 출구(31b)로부터 입구(31a)로 귀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레일 본체(33a)의 입구(31a) 측에는 이 레일 본체(33a)에 대해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 가동 레일(33c)이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계단(34)은 각 계단(34)에 설치된 계단 롤러(35)가 무단부형의 계단체인(37)에 의해 소정 피치로 연결됨으로써 이 계단 체인(37)과 일체로 되어 있다. 그리고, 각 계단(34)의 계단 롤러(35)가 계단 가이드 레일(33)에 접촉한 상태에서, 계단 체인(37)이 체인 구동 기구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각 계단(34)이 계단 가이드 레일(33)에 안내되어 입구(31a)와 출구(31b) 사이를 간극없이 움직이게 되어 있다.
체인 구동 기구는, 구동 모터(38)의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구동 스프로킷(39)에 계단 체인(37)의 되접힘 부분을 권취하여, 구동 모터(38)의 구동력을 구동 스프로킷(39)을 통해 계단 체인(37)에 전달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구동원이 되는 구동 모터(38)는 구조물(32)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구동 체인(40)을 통해 구동 스프로킷(39)에 연결되어 있다. 구동 스프로킷(39)은 컨베이어 장치(31)의 출구(31b) 측에 위치하여 구조물(32)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구동 모터(38)의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고, 계단 체인(37)에 구동 모터(38)의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즉, 구동 스프로킷(39)은 인접하는 치형과 치형 사이에, 계단 체인(37)에 의해 연결된 계단 롤러(35)를 맞물리게 한 상태에서, 구동 모터(38)의 구동력을 받아 소정의 원 속도(피치 원 속도)로 회전함으로써, 계단 체인(37) 및 이에 연결된 계단 롤러(35)를 이송 동작시키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한 컨베이어 장치(31)에서는 이 구동 스프로킷(39)으로서, 예를 들어 치형 수가 16매 정도의 소직경의 스프로킷이 이용된다. 이러한 소형의 스프로킷을 구동 스프로킷(39)으로서 이용함으로써, 구조물(32)의 소형화 및 컨베이어 장치(31) 전체의 박형화가 실현되어 공간 절약화가 도모되게 된다.
또한, 컨베이어 장치(31)의 입구(31a) 측에는 구동 스프로킷(39)에 종동하여회전하고, 구동 스프로킷(39)과 협동하여 계단 체인(37)을 이송 동작시키는 종동 스프로킷(41)이 설치되어 있다. 이 종동 스프로킷(41)은 구동 스프로킷(39)에 대략 동일 직경이 되고, 구조물(32)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종동 스프로킷(41)으로부터 구동 스프로킷(39)에 걸쳐 계단 체인(37)이 걸쳐지게 되어 있다.
이 종동 스프로킷(41)은 체인 긴장 기구의 스프링 부재(42)에 의해 구동 스프로킷(39)으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압박되어 있고, 계단 체인(37)에 대해 최적의 장력을 부여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계단 체인(37)에 신장이 생긴 경우에는 종동 스프로킷(41)이 체인 긴장 기구의 스프링 부재(42)에 의한 압박력을 받아, 소정의 범위 내에서 구동 스프로킷(39)으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계단 체인(37)의 이완이 방지되게 된다. 또, 상술한 계단 가이드 레일(33)의 가동 레일(33c)은 종동 스프로킷(41)이 이동할 때, 체인 긴장 기구의 스프링 부재(42)에 의한 압박력을 받아, 종동 스프로킷(41)과 연동하여 구동 스프로킷(9)으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계단 체인(37)에 의해 연결되어 계단 가이드 레일(33)에 따라서 이동하는 계단 롤러(35)는 계단 가이드 레일(33)에 따르는 직선적인 이동으로부터, 구동 스프로킷(39)에 따르는 곡선 이동으로 절환하는 과정에 있어서, 구동 스프로킷(39)에 맞물리는 영향으로, 그 이동 속도에 속도 불균일이 생긴다. 이 계단 롤러(35)에 생기는 속도 불균일은 구동 스프로킷(39)이 소직경이 될수록 현저해지고, 계단(34)에 진동을 발생시켜 컨베이어 장치(31)의 승차감을 저하시킬 요인이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을 적용한 컨베이어 장치(31)에서는 계단 가이드 레일(33)의 선단부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레일 본체(33a)의 왕로측의 구동 스프로킷(39)에의 도입부 정도에 계단 롤러(35)의 속도 불균일을 흡수하기 위한 산 형상의 굴곡부(43)를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구동 스프로킷(39)으로의 도입부 정도라 함은, 계단 가이드 레일(33)로부터 구동 스프로킷(39)에 계단 롤러(35)를 교환하는 영역(부위)을 말한다.
또한, 이 컨베이어 장치(31)에서는 계단 가이드 레일(33)의 귀환측의 구동 스프로킷(39) 측에 위치하는 선단부나, 가동 레일(33c)의 왕로측 및 귀환측의 종동 스프로킷(41) 측에 위치하는 선단부에도 마찬가지로, 계단 롤러(35)의 속도 불균일을 흡수하기 위한 산 형상의 굴곡부(4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계단 롤러(35)가 이들 굴곡부(43)의 형상에 따른 궤적으로, 이 굴곡부(43)가 설치된 부위를 통과하도록 되어 있다. 또, 이들 굴곡부(43)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계단 롤러(35)가 이들 굴곡부(43)에 따라서 적절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오목부(4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레일 본체(33a)의 왕로측의 구동 스프로킷(39) 근방의 부위에 설치된 굴곡부(43)의 전단[입구(31a) 측]과 대향하는 위치에는, 선행하는 계단 롤러(35)가 굴곡부(43)를 통과하는 영향으로 후속하는 계단 롤러(35)에 부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압박 부재(45)가 마련되어 있다. 이 압박 부재(45)는 고무 플레이트(36)의 하방에 배치되어, 구동 스프로킷(39) 근방을 이동하는 계단 롤러(35)의 상단부에 접촉하고, 이 계단 롤러(35)의 부상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가동레일(33c)의 왕로측의 종동 스프로킷(41) 근방의 부위에 설치된 굴곡부(43)의 후단[출구(31b) 측]과 대향하는 위치에도 마찬가지로, 계단 롤러(35)의 상단부에 접촉하여, 이 계단 롤러(35)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압박 부재(45)가 마련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굴곡부(43)는, 적어도 레일 본체(33a)의 왕로측의 구동 스프로킷(39)으로의 도입부 정도에 설치되어 있으면, 계단 롤러(35)의 속도 불균일을 유효하게 흡수하여 움직임을 순조롭게 하고, 계단(34)에 생기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지만, 계단 가이드 레일(33)의 귀환측의 구동 스프로킷(39) 측에 위치하는 선단부에도 굴곡부(43)를 설치함으로써, 컨베이어 장치(31)를 역전 운전시킨 경우라도, 계단 롤러(35)의 움직임을 미끄러지게 하여 계단(34)에 생기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종동 스프로킷(41)은 계단 롤러(35)의 속도 불균일의 영향으로 회전 속도가 불안정해지기 쉬운 경향이 있지만, 가동 레일(33c)의 왕로측 및 귀환측의 종동 스프로킷(41) 측에 위치하는 선단부에도 굴곡부(43)를 설치함으로써, 종동 스프로킷(41) 측에서의 계단 롤러(35)의 속도 불균일도 유효하게 억제하고, 종동 스프로킷(41)의 회전 속도를 안정화시켜 계단(34)에 생기는 진동을 더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또 컨베이어 장치(31)를 역전 운전시킨 경우라도 대응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이상과 같은 계단 롤러(35)의 속도 불균일을 흡수하는 굴곡부(43)에 대해, 도3 및 도4를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직선적으로 이동하는 계단 롤러(35)를 원형의 구동 스프로킷(39)을 이용하여구동하는 것의 영향으로, 각 계단 롤러(35)에는 도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이동 속도의 속도 불균일이 생긴다. 즉, 구동 스프로킷(39)의 피치 원 속도(원 속도)를 Vt라 하면, 각 계단 롤러(35)에는 Vt로부터 일단 감속된 후에 증속되어 Vt로 복귀되는 속도 불균일이 생긴다. 여기서, 계단 롤러(35)의 평균 속도를 Vo라 하면, 각 계단 롤러(35)는 계단 가이드 레일(33) 상에서 도3의 (b)에 도시한 위치에 있을 때에 그 이동 속도가 Vt가 되고, 이 위치에서 차례로 감속되면서 소정 거리만큼 구동 스프로킷(39) 측에 자진하여 도3의 (c)에 도시한 위치가 되었을 때, 각 계단 롤러(35)의 이동 속도가 평균 속도(Vo)가 된다.
이와 같이 각 계단 롤러(35)의 이동 속도가 Vt로부터 감속되어 Vo가 된 위치를 기준 위치라 하면, 굴곡부(43)는 도3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단 가이드 레일(33)에 따라서 복수 존재하는 기준 위치 중에 구동 스프로킷(39)에 가장 가까운 기준 위치와, 이 기준 위치로부터 계단 체인(37)의 링크 길이 r분만큼 더 구동 스프로킷(39) 측으로 진행한 위치인 구동 스프로킷(39) 상의 구동 기점 사이에, 계단 가이드 레일(33)을 계단(34) 측으로 돌출시키는 산 형상의 곡선 형상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구동 스프로킷(39) 상의 구동 기점이라 함은, 계단 롤러(35)가 구동 스프로킷(39)에 의해 피치 원 속도(Vt)로 이송 동작되는 기점이다. 그리고, 계단 체인(37)에 의해 연결되는 각 계단 롤러(35) 중 어느 계단 롤러(35)가 굴곡부(43)의 곡선 형상에 따라서 이동하여 그 높이 위치가 변화함으로써, 이 계단 롤러(35)에 선행하는 계단 롤러(35)의 속도 불균일이 이 높이 위치의 변화에 의해 흡수되고, 후속하는 계단 롤러(35)에는 속도 불균일이 전달되지 않고, 후속하는 계단 롤러(35)의 이동 속도가 평균 속도(Vo)로 유지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굴곡부(43)는 이 굴곡부(43)를 통과하는 계단 롤러(35)에 후속하는 계단 롤러(35)의 속도 불균일을 방지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한 컨베이어 장치(31)에서는 계단 가이드 레일(33)에 따라서 복수 존재하는 기준 위치 중, 컨베이어 장치(31)의 출구(31b) 측에 설치된 구동 스프로킷(39)에 가장 가까운 기준 위치와, 구동 스프로킷(39) 상의 구동 기점 사이에 위치하는 계단 가이드 레일(33)의 부위에 굴곡부(43)를 설치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컨베이어 장치(31)의 입구(31a)로부터 출구(31b)에 걸치는 거의 전체 영역에 있어서, 계단 롤러(35)의 이동 속도를 거의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계단(34)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다음에, 굴곡부(43)의 최적의 형상에 대해,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굴곡부(43)를 넘어 구동 스프로킷(39) 측으로 이동한 계단 롤러(35)는 구동 스프로킷(39) 상의 구동 기점에서 구동 스프로킷(39)에 맞물림으로써, 그 이동 속도가 구동 스프로킷(39)의 피치 원 속도(Vt)와 같게 된다. 이와 같이, 구동 기점에서 구동 스프로킷(39)에 맞물림으로써 이동 속도가 Vt가 되는 계단 롤러(35)를, 여기서는 편의상 스프로킷 롤러(35a)라 칭한다. 또한, 이 스프로킷 롤러(35a)로부터 굴곡부(43)를 협지하여 계단 가이드 레일(33)의 전단측[컨베이어 장치(31)의 입구(31a) 측]에 2개째의 계단 롤러(35)는 스프로킷 롤러(35a)에 인접하는 계단 롤러(35b)가 굴곡부(43)에 따라서 이동함으로써, 일정 속도 평균 속도(Vo)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프로킷 롤러(35a)로부터 굴곡부(43)를 협지하여 계단 가이드레일(33)의 전단측에 2개째로, 일정 속도인 것이 기대되는 계단 롤러(35)를 여기서는 편의상 일정 속도 롤러(35c)라 칭한다.
이 때, 이들 각 계단 롤러(35a, 35b, 35c)가 1 피치만큼 이동할 때, 스프로킷 롤러(35a)의 중심으로부터 계단 체인(37)의 링크 길이(r)를 반경으로 하여 그려지는 원(C1)과, 일정 속도 롤러(35c)의 중심으로부터 계단 체인(37)의 링크 길이(r)를 반경으로 하여 그려지는 원(C2)과의 교점(P1)이 찾아가는 궤적을 롤러 중심 궤적(L)이라 하면, 굴곡부(43)는 이 롤러 중심 궤적(L)에 따르는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굴곡부(43)의 형상을 이상과 같이 설정함으로써, 스프로킷 롤러(35a)와 일정 속도 롤러(35c) 사이의 계단 롤러(35b)가 굴곡부(43)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스프로킷 롤러(35a)에 생기는 속도 불균일이, 이론상 굴곡부(43)의 형상에 따른 계단 롤러(35b)의 높이 위치의 변화에 의해 완전히 흡수되고, 일정 속도 롤러(35c)의 이동 속도가 정확하게 일정 속도 평균 속도(Vo)로 유지되게 된다.
여기서, 가령 구동 스프로킷(39)의 치형 수가 16매, 계단 체인(7)의 링크 길이가 135 ㎜인 경우, 상술한 중심 궤적(L)에 따르는 형상으로 굴곡부(43)를 설치하였다고 하면, 본 발명자에 의한 시험 계산에서는 굴곡부(43)의 고저 차는 계단 가이드 레일(33)의 상면으로부터 불과 1.53 ㎜가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한 컨베이어 장치(31)에서는 구동 스프로킷(39)에 가장 가까운 기준 위치와 구동 스프로킷(39) 상의 구동 기점 사이에 위치하는 계단 가이드 레일(33)의 부위에, 상술한 중심 궤적(L)에 따르는 형상으로 굴곡부(43)를 설치하고, 계단 체인(37)에 의해 연결되는 계단 롤러(35)가 이 굴곡부(43)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굴곡부(43)를 통과하는 계단 롤러(35)에 후속하는 계단 롤러(35)의 이동 속도를 일정하게 하고, 계단(34)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양호한 승차감을 확보할 수 있다. 또, 굴곡부(43)의 고저 차는 상술한 바와 같이 매우 미소하기 때문에, 구조물(32)을 소형화하여 컨베이어 장치(31) 전체의 박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은 굴곡부(43)를 통과하는 계단 롤러(35)에 후속하는 계단 롤러(35)의 이동 속도를 정확하게 일정 속도[평균 속도(Vo)]로 유지하도록 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계단 롤러(35)에 미소한 속도 불균일[Vo - rωsin(ωt + Ø)]이 허용되는 경우에는, 굴곡부(43)를 고저 차가 보다 적은 형상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또, 여기서 ω는 각속도, t는 시간, Ø은 위상차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즉, 구동 기점에서 구동 스프로킷(39)에 맞물림으로써 이동 속도가 Vt가 되는 계단 롤러(35)를 스프로킷 롤러(35a)라 하고, 이 스프로킷 롤러(5a)로부터 굴곡부(43)를 협지하여 계단 가이드 레일(39)의 전단측[컨베이어 장치(31)의 입구(31a) 측]에 2개째의 계단 롤러(35)이며, 스프로킷 롤러(35a)에 인접하는 계단 롤러(35b)가 굴곡부(43)에 따라서 이동함으로써, 미소한 속도 불균일[Vo-rωsin(ωt + Ø)]에 억제되어 있는 것이 기대되는 계단 롤러(35)를 대략 일정 속도 롤러(35c)라 한다. 이 때, 이들 각 계단 롤러(35a, 35b, 35c)가 1 피치만큼 이동할 때, 스프로킷 롤러(35a)의 중심으로부터 계단 체인(37)의 링크 길이(T)를 반경으로 하여 그려지는 원(C1)과, 대략 일정 속도 롤러(35c)의 중심으로부터 계단 체인(37) 링크 길이(r)를 반경으로 하여 그려지는 원(C2)과의 교점(P1)이 찾아가는 궤적을 롤러 중심 궤적(L)이라 하면, 굴곡부(43)를 이 롤러 중심 궤적(L)에 따르는 형상으로 설치함으로써, 굴곡부(43)의 고저 차를 더 적게 하면서 굴곡부(43)를 통과하는 계단 롤러(35)에 후속하는 계단 롤러(35)의 속도 불균일을 허용되는 범위 내에 억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계단 롤러(35)에 미소한 속도 불균일을 허용한 경우에는, 굴곡부(43)의 고저 차를 더 적게 할 수 있는 만큼, 컨베이어 장치(31) 전체의 박형화를 도모하는 데 있어서 유리해진다.
여기서,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컨베이어 장치(3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체인 구동 기구의 구동원이 되는 구동 모터(38)가 기동되면, 이 구동 모터(38)의 구동력을 받아 구동 스프로킷(39)이 회전하고, 이 구동 스프로킷(39)의 회전에 의해 구동 모터(38)의 구동력이 계단 체인(37)에 전달된다. 계단 체인(37)이 구동되면, 이 계단 체인(37)에 의해 연결된 복수의 계단(34)의 각 계단 롤러(35)가 계단 가이드 레일(33)에 따라서 순환 이동한다.
이 때, 계단 체인(37)에 의해 연결된 각 계단 롤러(35) 중, 구동 스프로킷(39)에 접근한 계단 롤러(35)는 구동 스프로킷(39)에 맞물리는 과정에 있어서 이동 속도에 속도 불균일이 생긴다. 그러나, 이 속도 불균일이 발생된 계단 롤러(35)에 후속하는 계단 롤러(35)가 계단 가이드 레일(33)의 구동 스프로킷(9) 측의 선단부에 설치된 굴곡부(43)를 통과함으로써, 이 굴곡부(43)를 통과하는 계단 롤러(35)에 후속하는 계단 롤러(35)의 속도 불균일은 억제되게 된다.
계단 체인(37)으로 연결된 각 계단 롤러(35) 중 상호 인접하는 3개의 계단 롤러(35a, 35b, 35c)에 주목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우선 선두의 계단 롤러(35a)가 구동 스프로킷(39) 상의 구동 기점에 도달하면, 이 선두의 계단 롤러(5a)의 이동 속도는 구동 스프로킷(39)의 피치 원 속도(Vt)가 된다. 이 때, 2번째의 계단 롤러(35b)가 계단 가이드 레일(33)의 구동 스프로킷(39) 측의 선단부에 설치된 굴곡부(43)에 도달하면, 2번째의 계단 롤러(35b)는 그 굴곡부(43)에 따라서 높이 위치를 변화시키면서 이동하게 된다.
2번째의 계단 롤러(35b)의 높이 위치가 변화하면, 각 계단 롤러(35) 사이의 피치(링크 길이)는 일정하기 때문에, 2번째의 계단 롤러(35b)의 높이 위치의 변화만큼만 3번째의 계단 롤러(35c)가 선두의 계단 롤러(35a)에 접근하게 되고, 3번째의 계단 롤러(35c)가 증속된다. 이에 의해, 계단 롤러(35b)의 이동 속도의 저하분이 계단 롤러(35c)의 증속분으로 상쇄되고, 계단 롤러(35c)의 이동 속도는 평균 속도(Vo)로 유지된다.
여기서, 가령 굴곡부(43)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를 생각하면, 선두의 계단 롤러(35a)가 더 먼저 진행하였을 때, 2번째의 계단 롤러(35b)의 이동 속도는 역전하여 평균 속도(Vo)보다도 빠르게 될 것이다. 이 때, 본 발명을 적용한 컨베이어 장치(31)에서는 2번째의 계단 롤러(35b)가 계단 가이드 레일(33)의 구동 스프로킷(39) 측의 선단부에 설치된 굴곡부(43)를 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2번째의 계단 롤러(35b)의 높이 위치가 원래로 복귀하고, 3번째의 계단 롤러(35c)가 선두의 계단 롤러(35a)로부터 이격하여 3번째의 계단 롤러(35c)가 감속되게 된다. 이에의해, 2번째의 계단 롤러(35b)의 이동 속도의 상승분이 3번째의 계단 롤러(35c)의 감속분으로 상쇄되고, 3번째의 계단 롤러(35c)의 이동 속도는 평균 속도(Vo)로 유지된다.
또한, 이 때 계단 체인(37)에는 상술한 체인 긴장 기구에 의해 소정의 장력이 부여되어 있지만, 3번째의 계단 롤러(35c)는 압박 부재(45)에 의해 부상이 방지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2번째의 계단 롤러(35b)가 굴곡부(43)에 따라서 그 높이 위치를 변화시켰을 때, 3번째의 계단 롤러(35c)는 적절하게 증속 혹은 감속되는 것이 되고, 3번째의 계단 롤러(35c)의 이동 속도가 확실하게 평균 속도(Vo)로 유지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계단 가이드 레일(33)의 왕로측의 구동 스프로킷(39) 측에 위치하는 선단부 외에 계단 가이드 레일(33)의 귀환측의 구동 스프로킷(39) 측에 위치하는 선단부에도 굴곡부(43)를 설치하도록 한 경우에는, 컨베이어 장치(31)를 역전 운전시킨 경우라도, 계단 롤러(35)의 속도 불균일을 유효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컨베이어 장치(31)의 입구(31a) 측에 위치하는 가동 레일(33c)의 왕로측 및 귀환측의 종동 스프로킷(41) 측에 위치하는 선단부에도 굴곡부(43)를 설치하도록 한 경우에는, 종동 스프로킷(41) 측에서의 계단 롤러(35)의 속도 불균일도 유효하게 억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한 컨베이어 장치(31)에서는 계단 롤러(35)가 구동 스프로킷(39)에 맞물린 것의 영향으로 계단 롤러(35)에 생기는 이동 속도의 속도 불균일을 계단 가이드 레일(33)에 설치한 굴곡부(43)로 흡수하여, 계단 롤러(35)가 일정 속도로 이동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계단(34)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양호한 승차감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계단 가이드 레일(33)에 설치하는 굴곡부(43)는 그다지 큰 고저 차가 필요로 되지 않기 때문에, 구조물(32)을 소형화하여 컨베이어 장치(31) 전체의 박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특히, 굴곡부(43)의 하류의 계단 롤러(35)에 미소한 속도 불균일을 허용하는 경우에는, 굴곡부(43)의 고저 차를 더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컨베이어 장치(31) 전체를 더 박형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이상 설명한 컨베이어 장치(31)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예를 나타낸 것이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술한 컨베이어 장치(31)에서는 구동 스프로킷(39)과 종동 스프로킷(41) 사이에 계단 체인(37)을 걸치도록 하고 있지만,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동 스프로킷(41) 대신에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된 가동 레일(51)을 이용하고, 구동 스프로킷(39)과 가동 레일(51) 사이에 계단 체인(37)을 걸치도록 해도 된다. 이 도5에 도시한 컨베이어 장치(50)는 이상의 특징점 이외는 상술한 컨베이어 장치(31) 마찬가지의 구성이 되어 있기 때문에, 상술한 컨베이어 장치(31)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면 중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가동 레일(51)은 계단 체인(37)이 걸쳐진 부분이 구동 스프로킷(39)과 대략 동일 직경의 원형부로 되어 있다. 그리고, 그 외주에 계단 체인(37)에 의해 연결된 각 계단 롤러(35)를 접촉시켜 계단 롤러(35)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가동 레일(51)은 상술한 컨베이어 장치(31)에 있어서의 종동 스프로킷(41)과 마찬가지로, 체인 긴장 기구의 스프링 부재(42)에 의해 구동 스프로킷(39)으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압박되어 있고, 계단 체인(37)에 대해 최적의 장력을 부여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가동 레일(51)은 계단 롤러(35)에 속도 불균일이 생기고 있으면, 그 영향으로 구동 스프로킷(39)에 근접 이격하는 방향으로 진동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이러한 가동 레일(51)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이 가동 레일(51)의 왕로측 및 귀환측에 상술한 굴곡부(43)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가동 레일(51)의 왕로측 및 귀환측에 굴곡부(43)를 설치하도록 하면, 이 가동 레일(51) 측에서의 계단 롤러(35)의 속도 불균일이 유효하게 억제되게 되고, 계단(34)에 생기는 진동 외에 가동 레일(51)의 진동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컨베이어 장치(50)의 승차감을 매우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가동 레일(51)의 왕로측 및 귀환측의 양방으로 굴곡부(43)를 설치함으로써, 컨베이어 장치(50)를 역전 운전시킨 경우라도 대응 가능해진다.
또, 이상은 노면에 대해 대략 수평하게 설치되어 승객을 운반하는 움직이는 보도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건물 상하층에 걸쳐 설치되어 승객을 운반하는 에스컬레이터에 대해서도 유효하게 적용 가능하다.
에스컬레이터에서는, 통상 1개의 계단에 대해 계단 체인(37)의 복수 피치가 대응하여 있고, 각 계단마다에 복수의 계단 롤러(35)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에스컬레이터에서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움직이는 보도에 비해 구동 스프로킷(39)의 치형 수가 많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에스컬레이터에본 발명을 적용하여 계단 가이드 레일(33)의 구동 스프로킷(39)으로의 도입부에 굴곡부(43)를 설치하도록 한 경우에는, 상술한 움직이는 보도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와 같이, 계단(34)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양호한 승차감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이러한 에스컬레이터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에는 계단 롤러(35)가 굴곡부(43)에 따라서 들어 올려지는 데 기인하여, 계단 롤러(35)의 구동 스프로킷(39)에 대한 맞물림이 악화된다는 등의 문제도 생기지 않는다.
본 발명에 관한 컨베이어 장치에 따르면, 계단 롤러에 생기는 이동 속도의 속도 불균일이 구동 스프로킷에 가장 가까운 기준 위치와 구동 스프로킷 상의 구동 기점 사이에 위치하는 계단 가이드 레일의 부위에 설치된 산 형상의 굴곡부에서 흡수되고, 이 굴곡부의 하류에 위치하는 계단 롤러에 속도 불균일이 전달되지 않도록되어 있기 때문에, 계단 롤러의 이동 속도를 거의 평균 속도로 유지하고, 계단 롤러의 속도 불균일에 기인하는 계단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양호한 승차감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고저 차가 작은 굴곡부를 계단 가이드 레일에 설치함으로써, 계단 롤러의 이동 속도의 속도 불균일을 흡수할 수 있게 되어 있기 때문에, 양호한 승차감의 확보하면서 장치 전체의 박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Claims (7)

  1. 계단 가이드 레일과,
    상기 계단 가이드 레일에 따라서 이동하는 계단 롤러를 갖는 복수의 계단과,
    상기 복수의 계단의 계단 롤러를 소정 피치로 연결하는 계단 체인과,
    상기 계단을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회전 구동 장치와,
    상기 회전 구동 장치의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고, 상기 계단 체인에 상기 회전 구동 장치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스프로킷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 스프로킷의 원 속도를 Vt, 상기 계단 체인으로 연결되어 이동하는 상기 계단 롤러의 평균 속도를 Vo로 하고, 상기 계단 롤러의 속도가 Vt로부터 Vo에까지 감소한 위치를 기준 위치로 하였을 때, 상기 계단 가이드 레일에 따라서 복수 존재하는 상기 기준 위치 중, 상기 구동 스프로킷에 가장 가까운 기준 위치와, 이 기준 위치로부터 상기 계단 체인의 링크 길이만큼 이격한 상기 구동 스프로킷 상의 구동 기점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계단 가이드 레일의 부위에, 상기 계단측으로 돌출하는 산 형상의 굴곡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 가이드 레일 왕로측의 상기 굴곡부가 설치된 부위의 전단과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계단 롤러에 접촉하는 압박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점에서 상기 구동 스프로킷에 맞물리는 계단 롤러를 스프로킷 롤러라 하고, 이 스프로킷 롤러로부터 상기 굴곡부를 협지하여 상기 계단 가이드 레일에 따라서 2개째의 계단 롤러이며 일정 속도인 것이 기대되는 계단 롤러를 일정 속도 롤러라 하고, 상기 스프로킷 롤러 및 상기 일정 속도 롤러가 1 피치분 이동할 때, 상기 스프로킷 롤러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계단 체인의 링크 길이를 반경으로 하여 그려지는 원과, 상기 일정 속도 롤러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계단 체인의 링크 길이를 반경으로 하여 그려지는 원과의 교점이 찾아가는 궤적을 도입 롤러 중심 궤적으로 하였을 때, 상기 굴곡부가 상기 도입 롤러 중심 궤적에 따르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점에서 상기 구동 스프로킷에 맞물리는 계단 롤러를 스프로킷 롤러라 하고, 이 스프로킷 롤러로부터 상기 굴곡부를 협지하여 상기 계단 가이드 레일에 따라서 2개째의 계단 롤러이며 미소한 속도 불균일이 허용되어 있는 계단 롤러를 대략 일정 속도 롤러라 하고, 상기 스프로킷 롤러 및 상기 대략 일정 속도 롤러가 1 피치분 이동할 때, 상기 스프로킷 롤러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계단 체인의 링크 길이를 반경으로 하여 그려지는 원과, 상기 대략 일정 속도 롤러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계단 체인의 링크 길이를 반경으로 하여 그려지는 원과의 교점이 찾아가는 궤적을 도입 롤러 중심 궤적으로 하였을 때, 상기 굴곡부가 상기 도입 롤러 중심 궤적에 따르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가 상기 계단 가이드 레일 귀환측의 상기 구동 스프로킷측에 위치하는 선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스프로킷과 대략 동일 직경의 종동 스프로킷과,
    상기 종동 스프로킷을 상기 구동 스프로킷으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압박하여 상기 계단 체인에 소정의 장력을 부여하는 체인 긴장 기구와,
    상기 체인 긴장 기구의 압박력을 받아 상기 종동 스프로킷과 연동하여 상기 구동 스프로킷으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 가동 레일을 더 구비하고,
    상기 굴곡부가 상기 가동 레일의 상기 종동 스프로킷측에 위치하는 선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스프로킷과 대략 동일 직경의 원형부를 갖고, 상기 구동 스프로킷으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동 레일과,
    상기 가동 레일을 상기 구동 스프로킷으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압박하여상기 계단 체인에 소정의 장력을 부여하는 체인 긴장 기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굴곡부가 상기 가동 레일의 상기 종동 스프로킷측에 위치하는 선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장치.
KR1020047016015A 2002-04-09 2003-04-09 컨베이어 장치 KR1006904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07208 2002-04-09
JPJP-P-2002-00107208 2002-04-09
JPJP-P-2003-00060919 2003-03-07
JP2003060919A JP4158970B2 (ja) 2002-04-09 2003-03-07 コンベア装置
PCT/JP2003/004517 WO2003084854A1 (fr) 2002-04-09 2003-04-09 Dispositif de transpor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9409A true KR20040099409A (ko) 2004-11-26
KR100690461B1 KR100690461B1 (ko) 2007-03-09

Family

ID=28793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6015A KR100690461B1 (ko) 2002-04-09 2003-04-09 컨베이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158970B2 (ko)
KR (1) KR100690461B1 (ko)
CN (1) CN100494035C (ko)
TW (1) TWI224076B (ko)
WO (1) WO20030848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57557B2 (ja) * 2004-01-21 2010-10-06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JP2006232445A (ja) * 2005-02-23 2006-09-07 Toshiba Elevator Co Ltd コンベア装置
JP4747640B2 (ja) * 2005-04-04 2011-08-17 三菱電機株式会社 チェーンコンベヤの動力伝達装置と、それに用いるスプロケット
JP5091394B2 (ja) * 2005-08-31 2012-12-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乗客コンベア
CN110127302B (zh) * 2019-05-20 2021-07-30 北京百正创源科技有限公司 带式输送机及其运行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38993B2 (ko) * 1972-03-08 1976-10-25
US4498890A (en) * 1982-12-20 1985-02-12 General Electric Company Fixed track chain drive
JPS59230984A (ja) * 1983-06-14 1984-12-25 三菱電機株式会社 曲線エスカレ−タのステツプ軸案内レ−ル
US5697486A (en) * 1994-11-14 1997-12-16 Investio Ag Device for the guidance of an endless belt for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JPH09202583A (ja) * 1996-01-30 1997-08-05 Hitachi Building Syst Co Ltd 動く歩道の降口予告装置
KR100214671B1 (ko) * 1996-10-22 1999-09-01 이종수 에스컬레이터의 상부레일 구조
JP4235296B2 (ja) * 1998-12-14 2009-03-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乗客コンベア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94035C (zh) 2009-06-03
JP2004002007A (ja) 2004-01-08
KR100690461B1 (ko) 2007-03-09
JP4158970B2 (ja) 2008-10-01
TWI224076B (en) 2004-11-21
WO2003084854A1 (fr) 2003-10-16
TW200400912A (en) 2004-01-16
CN1646408A (zh) 2005-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8269B1 (ko) 컨베이어 장치
US8083048B2 (en) Conveyer apparatus
US6832678B2 (en) Escalator with high speed inclined section
KR100690461B1 (ko) 컨베이어 장치
US8739957B2 (en)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device and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escalator including the same
JPH10129962A (ja) 乗客用コンベアのターミナルレール
JP4236846B2 (ja) 傾斜部高速エスカレーター
JP2003146569A (ja) 傾斜部高速エスカレータ
JP2002326780A (ja) 可変速エスカレーター
WO2003062118A1 (fr) Escalier mecanique incline a grande vitesse
JP3627574B2 (ja) 移動体の可変速機構
JPH10226480A (ja) 乗客コンベアのハンドレール駆動装置
JP2019202848A (ja) 乗客コンベア装置
JP2005082353A (ja) 乗客コンベア
JPH04350093A (ja) 中間加速マンコンベヤ
JP2005067878A (ja) 傾斜部高速エスカレータ
JP2006008308A (ja) 傾斜部高速エスカレータ
JP2000344453A (ja) 移動体の可変速機構
JPH04371486A (ja) マンコンベ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