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9166A - 화상 처리 시스템, 프로젝터, 정보 기억 매체 및 화상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 처리 시스템, 프로젝터, 정보 기억 매체 및 화상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9166A
KR20040099166A KR1020040034460A KR20040034460A KR20040099166A KR 20040099166 A KR20040099166 A KR 20040099166A KR 1020040034460 A KR1020040034460 A KR 1020040034460A KR 20040034460 A KR20040034460 A KR 20040034460A KR 20040099166 A KR20040099166 A KR 200400991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olor
value
calibr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4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0228B1 (ko
Inventor
마츠다히데키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138173A external-priority patent/JP373166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150850A external-priority patent/JP3731667B2/ja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99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9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0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02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79Video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9/3182Colour adjustment, e.g. white balance, shading or gam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G09G3/0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to project the image of a two-dimensional display, such as an array of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or a CR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colour is display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91Testing thereof
    • H04N9/3194Testing thereof including sensor feedback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6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colour parameters, e.g. colour temperatu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being ambient ligh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5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originating from the display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olor Image Communication Systems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보다 적절하게 화상의 색 재현을 행할 수 있는 화상 처리 시스템 등을 제공하기 위해서, 백색 화상용의 캘리브레이션 신호와, 백색을 구성하는 복수 종류의 원색 중 소정의 원색을 RGB마다 소정 값만큼 감소시킨 3색의 원색 감소색용의 캘리브레이션 신호를 생성하는 캘리브레이션 신호 생성부(161)와, 당해 캘리브레이션 신호에 근거해서 각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투사부(190)와, 표시된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부(180)와, 각 촬상 신호값의 차분값을 연산하고, 당해 차분값에 근거하여, RGB의 각 색의 최고 출력값의 화상 신호값을 연산하는 원색량 정보 생성부(163)와, 각 화상 신호값의 차분값에 근거해 외광량을 연산하는 외광량 정보 생성부(164)와, RGB의 각 색의 최고 출력값의 화상 신호값과, 외광량에 근거하여, 보정을 행하기 위한 보정 정보를 생성하는 보정 정보 생성부(170)를 프로젝터에 실장한다.

Description

화상 처리 시스템, 프로젝터, 정보 기억 매체 및 화상 처리 방법{IMAGE PROCESSING SYSTEM, PROJECTOR,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IMAGE PROCESSING METHOD}
본 발명은, 화상 처리 시스템, 프로젝터, 정보 기억 매체 및 화상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장기간, 프로젝터 등의 화상 표시 장치로 화상을 표시하고 있으면 화상에 색 얼룩(휘도 얼룩에 의한 색 얼룩도 포함)이 발생하여, 화상이 서서히 열화되어 간다.
예를 들면, 점포나 전시장 등에서는, 장기간에 걸쳐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스크린에 화상을 연속적으로 표시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장기간에 걸친 투영에 의해 빠르게 액정 패널이나 편광판 등이 열화되어 화상의 색 얼룩 등이 발생함으로써, 본래의 표시 효과가 손상되어버린다.
또한, 예컨대, 일본 특허 출원 제 2000-285933 호 공보(일본 특허공개 제 2002-90880호 공보)에 기재된 색 색 얼룩 보정 수단을 갖는 프로젝터에서는, 이러한 시간 경과에 따른 열화에 의한 색 얼룩을 보정하기 위한 구성으로는 되어 있지 않다.
또한, 시간 경과에 따른 열화에 의해 색 얼룩이 발생하는 원인으로서는, 예컨대, 액정 라이트 밸브나 편광판의 시간 경과에 따른 열화에 의해 누설 광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누설 광이 발생됨으로써, 본래 흑색으로 표시되어야 할 화상이 청색으로 되어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프로젝터가 예를 들어, R의 원색 화상을 투사했을 경우, R의 색에 G, B색의 성분도 포함되어버려, 촬상한 데이터에 R 이외의 색의 영향이 포함되어버릴 가능성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목적으로 하는 화상의 외양을 재현하기 위해서, 조명광 등의 주변광의 영향을 제거할 경우, 백색의 단색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촬상 정보와 흑색의 단색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촬상 정보의 차분값에 근거해서 화상의 색을 보정하고 있었다.
그러나, 흑색의 단색 캘리브레이션 화상 자체에도 색 얼룩이 발생하고 있는경우, 상기 차분값이 정확한 값으로 되지 않아, 적절한 색 보정이 행해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었다.
또한, 실제로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 조명광이나 햇빛 등의 외광의 영향을 받아, 화상의 모양은 변화되어 버린다. 이것 때문에, 적절한 화상의 색 재현을 행하기 위해서는 화상 처리에 의해 외광의 영향을 저감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제 1 목적은, 외광과 시간 경과에 따른 열화의 영향을 저감해서 적절하게 화상의 색 재현을 행할 수 있는 화상 처리 시스템, 프로젝터, 프로그램, 정보 기억 매체 및 화상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으며, 특히, 장기간 사용할 경우에도 적절하게 화상의 색 재현을 행할 수 있는 화상 처리 시스템, 프로젝터, 프로그램, 정보 기억 매체 및 화상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제 2 목적은, 누설 광의 영향을 저감해서 보다 적절하게 색 얼룩을 보정할 수 있는 화상 처리 시스템, 프로젝터, 정보 기억 매체 및 화상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실시예 1에서의 화상 투사 상황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실시예 1에서의 프로젝터의 기능 블록도,
도 3은 실시예 1에서의 프로젝터의 하드웨어 블록도,
도 4는 실시예 1에서의 색 얼룩 보정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실시예 2에서의 프로젝터의 기능 블록도,
도 6은 실시예 2에서의 색 얼룩 보정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7은 실시P 3에서의 프로젝터의 기능 블록도,
도 8은 실시예 3에서의 색 얼룩 보정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프로젝터 60 : 센서(촬상 수단)
120 : 색 보정부(보정 수단) 130 : 색 얼룩 보정부(보정 수단)
132 : 보정 기억부(보정 수단)
152, 153 : 투사 영역 추출부(화상 표시 영역 추출 수단)
156, 157 : 화소 블록 화상 정보 생성부
158 : 촬상 정보 기억부
161, 172, 261 : 캘리브레이션 신호 생성부
162 : 누설 광량 정보 생성부 163, 265 : 원색량 정보 생성부
164, 264 : 외광량 정보 생성부 165 : 색 얼룩 보정량 정보 생성부
166 : 원색 광량 정보 생성부 170 : 보정 정보 생성부(보정 수단)
180 : 촬상부 190 : 화상 투사부(화상 표시 수단)
263 : 표시색 정보 생성부 900 : 정보 기억 매체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시스템 및 프로젝터는, 백색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캘리브레이션 신호와, 백색으로부터 백색을 구성하는 복수 종류의 원색 중 하나의 원색을 소정 값만큼 감소시킨 원색 감소색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캘리브레이션 신호를 생성하는캘리브레이션 신호 생성 수단과, 당해 캘리브레이션 신호에 근거해서 각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각각 다른 시점에서 표시하는 화상 표시 수단과, 표시된 각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촬상해서 촬상 신호값을 생성하는 촬상 수단과, 상기 백색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촬상 신호값과, 상기 원색 감소색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촬상 신호값의 차분값을 연산하고, 당해 차분값과, 당해 원색 감소색의 원색의 입출력 특성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소정 값만큼 감소시킨 원색의 최고 출력값의 화상이며, 또한, 외광의 영향을 받고 있지 않는 화상의 추측 촬상 신호값을 상기 원색의 종별마다 연산하는 원색량 정보 생성 수단과, 상기 복수 종류의 원색의 최고 출력값의 추측 촬상 신호값의 합계값과, 상기 백색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촬상 신호값의 차분값을 연산하고, 당해 차분값을 외광량을 나타내는 외광량 정보로서 생성하는 외광량 정보 생성 수단과, 당해 외광량 정보와, 상기 복수 종류의 원색의 추측 촬상 신호값에 근거하여, 외광의 영향을 저감해서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서, 입력 화상 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보정을 행하는 보정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캘리브레이션 신호 생성 수단은, 상기 복수 종류의 각 원색에 대해서 각각 소정 값만큼 감소시킨 원색 감소색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용의 캘리브레이션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화상 표시 수단은, 상기 보정 수단에 의해 보정된 화상 신호에 근거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보 기억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정보 기억 매체로서, 컴퓨터를, 백색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캘리브레이션 신호와, 백색으로부터 백색을 구성하는 복수 종류의 원색 중 하나의 원색을 소정 값만큼 감소시킨 원색 감소색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캘리브레이션 신호를 생성하는 캘리브레이션 신호 생성 수단과, 당해 캘리브레이션 신호에 근거해서 각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각각 다른 시점에서 표시하는 화상 표시 수단과, 표시된 각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촬상해서 촬상 신호값을 생성하는 촬상 수단과, 상기 백색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촬상 신호값과, 상기 원색 감소색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촬상 신호값의 차분값을 연산하고, 당해 차분값과, 당해 원색 감소색의 원색의 입출력 특성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소정 값만큼 감소시킨 원색의 최고 출력값의 화상이며, 또한, 외광의 영향을 받고 있지 않는 화상의 추측 촬상 신호값을 상기 원색의 종별마다 연산하는 원색량 정보 생성 수단과, 상기 복수 종류의 원색의 최고 출력값의 추측 촬상 신호값의 합계값과, 상기 백색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촬상 신호값의 차분값을 연산하고, 당해 차분값을 외광량을 나타내는 외광량 정보로서 생성하는 외광량 정보 생성 수단과, 당해 외광량 정보와, 상기 복수 종류의 원색의 추측 촬상 신호값에 근거하여, 외광의 영향을 저감해서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서, 입력 화상 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보정을 행하는 보정 수단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상기 캘리브레이션 신호 생성 수단은, 상기 복수 종류의 각 원색에 대해서 각각 소정 값만큼 감소시킨 원색 감소색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용의 캘리브레이션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화상 표시 수단은, 상기 보정 수단에 의해 보정된 화상 신호에 근거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방법은, 백색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표시하고, 당해 백색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촬상해서 촬상 신호값을 생성하고, 백색으로부터 백색을 구성하는 복수 종류의 원색 중 하나의 원색을 소정 값만큼 감소시킨 원색 감소색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표시하는 처리와, 당해 원색 감소색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촬상해서 촬상 신호값을 생성하는 처리를 각 원색에 대하여 반복하여 실행하고, 상기 백색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촬상 신호값과, 상기 원색 감소색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촬상 신호값의 차분값을 연산하고, 당해 차분값과, 당해 원색 감소색의 원색의 입출력 특성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소정 값만큼 감소시킨 원색의 최고 출력값의 화상이며, 또한, 외광의 영향을 받고 있지 않는 화상의 추측 촬상 신호값을 상기 원색의 종별마다 연산하고, 상기 복수 종류의 원색의 최고 출력값의 추측 촬상 신호값의 합계값과, 상기 백색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촬상 신호값의 차분값을 연산하고, 당해 차분값을 외광량을 나타내는 외광량 정보로서 생성하고, 당해 외광량 정보와, 상기 복수 종류의 원색의 추측 촬상 신호값에 근거하여, 외광의 영향을 저감해서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서, 입력 화상 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보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상 처리 시스템 등은, 흑색 이외의 색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사용해서 외광량 등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완전하게는 보정할 수 없는 색 얼룩의 영향을 받지 않고 외광량을 구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화상 처리 시스템 등은, 시간 경과에 따른 열화 등에 의해 흑색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이용한 경우에는 색 얼룩의 영향을 받아버릴 것 같은 경우에도, 흑색 이외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이용하여 외광량을 구할 수 있다.
그리고, 화상 처리 시스템 등은, 당해 외광량에 근거해서 외광의 영향을 저감하기 위해 입력 화상 신호를 보정함으로써, 외광의 영향을 저감할 수 있는 동시에, 시간 경과에 따른 열화의 영향도 저감 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적절하게 화상의 색 재현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시스템 및 프로젝터는, 제 1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캘리브레이션 신호와, 색을 규정하는 복수 종류의 원색의 비율이 제 1 캘리브레이션 화상과 동일하고, 또한, 제 1 캘리브레이션 화상과는 다른 색인 제 2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캘리브레이션 신호를 생성하는 캘리브레이션 신호 생성 수단과, 각 캘리브레이션 신호에 근거해서 각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각각 다른 시점에서 표시하는 화상 표시 수단과, 표시된 각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촬상해서 촬상 신호값을 생성하는 촬상 수단과, 상기 제 1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촬상 신호값과, 상기 제 2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촬상 신호값의 차분값을 연산하고, 당해 차분값과, 제 1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출력값과 제 2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출력값의 차분값과, 상기 복수 종류의 원색의 입출력 특성 정보에 근거하여, 외광의 영향을 받고 있지 않는 상기 제 1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추측 촬상 신호값 또는 외광의 영향을 받고 있지 않는 상기 제 2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추측 촬상 신호값을 생성하는 표시색 정보 생성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으로부터의 제 1 또는 제 2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촬상 신호값과, 상기 표시색 정보 생성 수단으로부터의 제 1 또는 제 2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추측 촬상 신호값의 차분값을 연산하고, 당해 차분값을 외광량을 나타내는 외광량 정보로서 생성하는 외광량 정보 생성 수단과, 당해외광량 정보에 근거하여, 외광의 영향을 저감해서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서, 입력 화상 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보정을 행하는 보정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화상 표시 수단은, 상기 보정 수단에 의해 보정된 화상 신호에 근거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보 기억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정보 기억 매체이며, 컴퓨터를, 제 1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캘리브레이션 신호와, 색을 규정하는 복수 종류의 원색의 비율이 제 1 캘리브레이션 화상과 동일하고, 또한, 제 1 캘리브레이션 화상과는 다른 색인 제 2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캘리브레이션 신호를 생성하는 캘리브레이션 신호 생성 수단과, 각 캘리브레이션 신호에 근거해서 각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각각 다른 시점에서 표시하는 화상 표시 수단과, 표시된 각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촬상해서 촬상 신호값을 생성하는 촬상 수단과, 상기 제 1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촬상 신호값과, 상기 제 2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촬상 신호값의 차분값을 연산하고, 당해 차분값과, 제 1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출력값과 제 2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출력값의 차분값과, 상기 복수 종류의 원색의 입출력 특성 정보에 근거하여, 외광의 영향을 받고 있지 않는 상기 제 1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추측 촬상 신호값 또는 외광의 영향을 받고 있지 않는 상기 제 2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추측 촬상 신호값을 생성하는 표시색 정보 생성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으로부터의 제 1 또는 제 2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촬상 신호값과, 상기 표시색 정보 생성 수단으로부터의 제 1 또는 제 2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추측 촬상 신호값의 차분값을 연산하고, 당해 차분값을 외광량을 나타내는 외광량 정보로서 생성하는 외광량 정보 생성 수단과, 당해 외광량 정보에 근거하여, 외광의 영향을 저감해서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서, 입력 화상 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보정을 행하는 보정 수단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상기 화상 표시 수단은, 상기 보정 수단에 의해 보정된 화상 신호에 근거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방법은, 제 1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표시하고, 표시한 제 1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촬상해서 촬상 신호값을 생성하고, 색을 규정하는 복수 종류의 원색의 비율이 제 1 캘리브레이션 화상과 동일하고, 또한, 제 1 캘리브레이션 화상과는 다른 색인 제 2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표시하고, 표시한 제 2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촬상해서 촬상 신호값을 생성하고, 상기 제 1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촬상 신호값과, 상기 제 2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촬상 신호값의 차분값을 연산하고, 당해 차분값과, 제 1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출력값과 제 2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출력값의 차분값과, 상기 복수 종류의 원색의 입출력 특성 정보에 근거하여, 외광의 영향을 받고 있지 않는 상기 제 1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추측 촬상 신호값 또는 외광의 영향을 받고 있지 않는 상기 제 2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추측 촬상 신호값을 생성하고, 제 1 또는 제 2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촬상 신호값과, 제 1 또는 제 2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추측 촬상 신호값의 차분값을 연산하고, 당해 차분값을 외광량을 나타내는 외광량 정보로서 생성하고, 당해 외광량 정보에 근거하여, 외광의 영향을 저감해서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서, 입력 화상 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보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상 처리 시스템 등은, 흑색 이외의 색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사용해서 외광량 등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완전하게는 보정할 수 없는 색 얼룩의 영향을 받지 않고 외광량을 구할 수 있다. 그리고, 화상 처리 시스템 등은, 당해 외광량을 이용하여 화상 신호를 보정하는 것에 의해, 보다 적절하게 화상의 색 재현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소정의 보정 수법으로서는, 예컨대, 입력 화상 신호를 직접적으로 보정하는 수법, 입력 화상 신호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용 정보(예컨대, 룩업 테이블, 함수, 파라미터 등)를 보정함으로써 입력 화상 신호를 간접적으로 보정하는 수법 등이 해당된다.
또한, 상기 화상 처리 시스템 및 상기 프로젝터는, 상기 표시색 정보 생성 수단으로부터의 제 1 또는 제 2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추측 촬상 신호값에 근거하여, 외광의 영향을 받고 있지 않는 상기 복수 종류의 원색의 최고 출력값의 추측 촬상 신호값을 연산하는 원색량 정보 생성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보정 수단은, 상기 외광량 정보와, 상기 복수 종류의 원색의 추측 촬상 신호값에 근거하여, 입력 화상 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보정을 행해도 좋다.
또한, 상기 정보 기억 매체는, 상기 표시색 정보 생성 수단으로부터의 제 1 또는 제 2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추측 촬상 신호값에 근거하여, 외광의 영향을 받고 있지 않는 상기 복수 종류의 원색의 최고 출력값의 추측 촬상 신호값을 연산하는 원색량 정보 생성 수단으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고, 상기 보정 수단은, 상기 외광량 정보와, 상기 복수 종류의 원색의 추측 촬상 신호값에 근거하여, 입력 화상 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보정을 행해도 좋다.
또한, 상기 화상 처리 방법은, 제 1 또는 제 2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추측 촬상 신호값에 근거하여, 외광의 영향을 받고 있지 않는 상기 복수 종류의 원색의 최고 출력값의 추측 촬상 신호값을 연산하고, 상기 외광량 정보와, 상기 복수 종류의 원색의 추측 촬상 신호값에 근거하여, 입력 화상 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보정을 행해도 좋다.
이것에 의하면, 화상 처리 시스템 등은, 복수 종류의 원색의 추측 촬상 신호값에 근거하는 보정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외광량에만 근거하여 보정할 경우와 비교하여, 보다 많은 종류의 보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시스템 및 프로젝터는, Y색, M색 및 C색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출력값을 변화시키면서 표시하기 위해서, Y색의 B값을 변화시킨 Y계 색, M색의 G값을 변화시킨 M계 색, C색의 R값을 변화시킨 C계 색의 캘리브레이션 신호를 생성하는 캘리브레이션 신호 생성 수단과, 당해 캘리브레이션 신호에 근거해서 각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각각 다른 시점에서 표시하는 화상 표시 수단과, 표시된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촬상해서 촬상 정보를 생성하는 촬상 수단과, 당해 촬상 정보에 근거하여, 촬영 화상에서의 화상 표시 영역을 추출하는 화상 표시 영역 추출 수단과, 당해 화상 표시 영역을 복수의 화소 블록으로 구분하는 동시에, 소정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촬상 정보에 근거하여, 각 화소 블록의 화상 신호값의 특징값을 나타내는 화소 블록 화상 정보를 생성하는 화소 블록 화상 정보 생성 수단과, 당해 화소 블록 화상 정보에 근거하여, 각 화소 블록에서의 R색, G색,B색 각각의 누설 광의 영향도를 나타내는 누설 광 영향도 정보를 생성하는 동시에, 당해 누설 광 영향도 정보와, 상기 화소 블록 화상 정보에 근거하여, 당해 화소 블록에 있어서의 누설 광량을 나타내는 누설 광량 정보를 생성하는 누설 광량 정보 생성 수단과, 상기 누설 광 영향도 정보와, 상기 화소 블록 화상 정보에 근거하여, 각 화소 블록에서의 R색, G색, B색 각각의 누설 광이 없는 원색 광량을 나타내는 원색 광량 정보를 생성하는 원색 광량 정보 생성 수단과, 당해 원색 광량 정보와, 상기 누설 광량 정보에 근거하여, 색 얼룩 보정용 데이터의 보정량을 나타내는 보정량 정보를 생성하는 보정량 정보 생성 수단과, 당해 보정량 정보에 근거하여, 색 얼룩 보정용 데이터를 보정하는 동시에, 보정한 색 얼룩 보정용 데이터에 근거하여, 화상의 색 얼룩을 보정하는 색 얼룩 보정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화상 표시 수단은, 상기 색 얼룩 보정 수단에 의해 색 얼룩이 보정된 화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보 기억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정보 기억 매체로서, 컴퓨터를, Y색, M색 및 C색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출력값을 변화시키면서 표시하기 위해서, Y색의 B값을 변화시킨 Y계 색, M색의 G값을 변화시킨 M계 색, C색의 R값을 변화시킨 C계 색의 캘리브레이션 신호를 생성하는 캘리브레이션 신호 생성 수단과, 당해 캘리브레이션 신호에 근거해서 각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각각 다른 시점에서 표시하는 화상 표시 수단과, 표시된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촬상해서 촬상 정보를 생성하는 촬상 수단과, 당해 촬상 정보에 근거하여, 촬영 화상에서의 화상 표시 영역을 추출하는 화상 표시 영역 추출 수단과,당해 화상 표시 영역을 복수의 화소 블록으로 구분하는 동시에, 소정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촬상 정보에 근거하여, 각 화소 블록의 화상 신호값의 특징값을 나타내는 화소 블록 화상 정보를 생성하는 화소 블록 화상 정보 생성 수단과, 당해 화소 블록 화상 정보에 근거하여, 각 화소 블록에서의 R색, G색, B색 각각의 누설 광의 영향도를 나타내는 누설 광 영향도 정보를 생성하는 동시에, 당해 누설 광 영향도 정보와, 상기 화소 블록 화상 정보에 근거하여, 당해 화소 블록에서의 누설 광량을 나타내는 누설 광량 정보를 생성하는 누설 광량 정보 생성 수단과, 상기 누설 광 영향도 정보와, 상기 화소 블록 화상 정보에 근거하여, 각 화소 블록에서의 R색, G색, B색 각각의 누설 광이 없는 원색 광량을 나타내는 원색 광량 정보를 생성하는 원색 광량 정보 생성 수단과, 당해 원색 광량 정보와, 상기 누설 광량 정보에 근거하여, 색 얼룩 보정용 데이터의 보정량을 나타내는 보정량 정보를 생성하는 보정량 정보 생성 수단과, 당해 보정량 정보에 근거하여, 색 얼룩 보정용 데이터를 보정하는 동시에, 보정한 색 얼룩 보정용 데이터에 근거하여, 화상의 색 얼룩을 보정하는 색 얼룩 보정 수단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상기 화상 표시 수단은, 상기 색 얼룩 보정 수단에 의해 색 얼룩이 보정된 화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방법은, Y색, M색 및 C색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출력값을 변화시키면서 표시하기 위해서, Y색의 B값을 변화시킨 Y계 색, M색의 G값을 변화시킨 M계 색, C색의 R값을 변화시킨 C계 색의 캘리브레이션 신호를 생성하고, 당해 캘리브레이션 신호에 근거해서 각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각각 다른시점에서 표시하고, 표시된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촬상해서 촬상 정보를 생성하고, 당해 촬상 정보에 근거하여, 촬영 화상에서의 화상 표시 영역을 추출하고, 당해 화상 표시 영역을 복수의 화소 블록으로 구분하는 동시에, 소정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촬상 정보에 근거하여, 각 화소 블록의 화상 신호값의 특징값을 나타내는 화소 블록 화상 정보를 생성하고, 당해 화소 블록 화상 정보에 근거하여, 각 화소 블록에서의 R색, G색, B색 각각의 누설 광의 영향도를 나타내는 누설 광 영향도 정보를 생성하고, 당해 누설 광 영향도 정보와, 상기 화소 블록 화상 정보에 근거하여, 당해 화소 블록에서의 누설 광량을 나타내는 누설 광량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누설 광 영향도 정보와 상기 화소 블록 화상 정보에 근거하여, 각 화소 블록에서의 R색, G색, B색 각각의 누설 광이 없는 원색 광량을 나타내는 원색 광량 정보를 생성하고, 당해 원색 광량 정보와, 상기 누설 광량 정보에 근거하여, 색 얼룩 보정용 데이터의 보정량을 나타내는 보정량 정보를 생성하고, 당해 보정량 정보에 근거하여, 색 얼룩 보정용 데이터를 보정하는 동시에, 보정한 색 얼룩 보정용 데이터에 근거하여, 화상의 색 얼룩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상 처리 시스템 등은, 예컨대, RGB값이 (255, 255, 0)인 Y색을 캘리브레이션 화상으로서 이용함으로써, R색, G색의 누설 광의 영향을 받지 않고 B색의 누설 광만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화상 처리 시스템 등은, 예컨대, RGB값이 (255, 0, 255)인 M색을 캘리브레이션 화상으로서 이용함으로써, R색, B색의 누설 광의 영향을 받지 않고 G색의 누설 광만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화상 처리 시스템 등은, 예컨대, RGB값이 (0, 255, 255)인 C색을 캘리브레이션 화상으로서 이용함으로써, G색, B색의 누설 광의 영향을 받지 않고 R색의 누설 광만을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화상 처리 시스템 등은, 추출한 누설 광량으로부터 원색 광량을 구하고, 당해 원색 광량으로부터 색 얼룩의 보정량을 구할 수 있기 때문에, 누설 광의 영향을 저감해서 보다 적절하게 색 얼룩을 보정할 수 있다.
또, 상기 Y계 색으로는 RGB값이 (255, 255, m)인 색이며, 상기 M계 색으로는 RGB값이 (255, m, 255)인 색이며, 상기 C계 색으로는 RGB값이 (m, 255, 255)인 색이다. 또한, 여기에서, m은, 예컨대, 8 비트로 색을 표현할 경우 0으로부터 255까지의 정수 중 어느 하나이다.
또한, 상기 특징값으로서는, 예컨대, 평균값, 화소 블록 중앙의 화소의 화상 신호값, 최대값, 최소값, 도수 분포에서의 도수의 가장 큰 값 등이 해당된다.
또한, 상기 화상 처리 시스템, 상기 프로젝터 및 상기 정보 기억 매체에 있어서, 상기 누설 광량 정보 생성 수단은, 누설 광이 없는 화소 블록을 기준으로 하여 누설 광량을 연산하기 위해서, 백색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촬상 화상에서의 소정 화소 블록의 화소 블록 화상 정보에 포함되는 제 1 특징값 및 백색 이외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당해 소정 화소 블록의 화소 블록 화상 정보에 포함되는 제 2 특징값과, 제 1 특징값/제 2 특징값이 최대인 화소 블록의 제 1 특징값 및 제 2 특징값의 차이에 근거하여, 상기 누설 광 영향도 정보를 생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 화상 처리 방법은, 상기 누설 광량 정보를 생성할 때에, 누설 광이 없는 화소 블록을 기준으로 하여 누설 광량을 연산하기 때문에, 백색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촬상 화상에서의 소정 화소 블록의 화소 블록 화상 정보에 포함되는 제 1 특징값 및 백색 이외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당해 소정 화소 블록의 화소 블록 화상 정보에 포함되는 제 2 특징값과, 제 1 특징값/제 2 특징값이 최대인 화소 블록의 제 1 특징값 및 제 2 특징값의 차이에 근거하여, 상기 누설 광 영향도 정보를 생성해도 좋다.
이것에 따르면, 화상 처리 시스템 등은, 백색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특징값과 비백색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특징값의 비가 최대가 되는 누설 광이 없는 화소 블록의 특징값을 기준으로 하여, 소정 화소 블록에서의 특징값의 차이를 파악함으로써, 당해 소정 화소 블록에서 어느 정도 누설 광이 발생하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다. 이로써, 화상 처리 시스템 등은, 적절하게 누설 광량을 파악할 수 있어, 색 얼룩을 적절하게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상 처리 시스템, 상기 프로젝터 및 상기 정보 기억 매체에 있어서, 상기 원색 광량 정보 생성 수단은, 소정 화소 블록에서의 B색, G색 및 R색의 누설 광 영향도 정보와, 당해 소정 화소 블록에서의 Y색, M색 및 C색의 화소 블록 화상 정보에 근거하여, 누설 광이 없는 상태의 Y색, M색 및 C색의 화소 블록 화상 정보를 생성하는 동시에, 당해 누설 광이 없는 상태의 Y색, M색 및 C색의 화소 블록 화상 정보의 화상 신호값과, 당해 소정 화소 블록에서의 백색의 화소 블록 화상 정보의 화상 신호값에 근거하여, 누설 광이 없는 상태의 B색, G색 및 R색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촬상한 경우의 당해 소정 화소 블록에서의 화소 블록 화상 정보의화상 신호값을 나타내는 원색 광량 정보를 생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 화상 처리 방법은, 상기 원색 광량 정보를 생성할 때에, 소정 화소 블록에서의 B색, G색 및 R색의 누설 광 영향도 정보와, 당해 소정 화소 블록에서의 Y색, M색 및 C색의 화소 블록 화상 정보에 근거하여, 누설 광이 없는 상태의 Y색, M색 및 C색의 화소 블록 화상 정보를 생성하는 동시에, 당해 누설 광이 없는 상태의 Y색, M색 및 C색의 화소 블록 화상 정보의 화상 신호값과, 당해 소정 화소 블록에서의 백색의 화소 블록 화상 정보의 화상 신호값에 근거하여, 누설 광이 없는 상태의 B색, G색 및 R색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촬상한 경우의 당해 소정 화소 블록에서의 화소 블록 화상 정보의 화상 신호값을 나타내는 원색 광량 정보를 생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 화상 처리 시스템, 상기 프로젝터 및 상기 정보 기억 매체에 있어서, 상기 보정량 정보 생성 수단은 상기 원색 광량 정보에 포함되는 화상 신호값과, 상기 누설 광량 정보로 표시되는 누설 광량에 근거하여, 원색 광의 최대 출력값에 관한 누설 광량의 비율을 연산하고, 당해 비율과, 입출력 특성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보정량 정보를 생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 화상 처리 방법은, 상기 보정량 정보를 생성할 때에, 상기 원색 광량 정보에 포함되는 화상 신호값과, 상기 누설 광량 정보로 나타내는 누설 광량에 근거하여, 원색 광의 최대 출력값에 관한 누설 광량의 비율을 연산하고, 당해 비율과, 입출력 특성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보정량 정보를 생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 화상 처리 시스템, 상기 프로젝터 및 상기 정보 기억 매체에 있어서, 상기 캘리브레이션 신호 생성 수단은, 백색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캘리브레이션 신호를 생성해도 좋고, 백색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서, Y계 색, M계 색, C계 색 중 적어도 한 색을 최대 출력값으로 설정한 캘리브레이션 신호를 생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 화상 처리 방법은, 백색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캘리브레이션 신호를 생성해도 좋고, 백색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서, Y계 색, M계 색, C계 색 중 적어도 한 색을 최대 출력값으로 설정한 캘리브레이션 신호를 생성해도 좋다.
이하, 본 발명을, 화상 처리 시스템을 갖는 프로젝터에 적용했을 경우를 예로 채용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예는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내용을 조금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 나타내는 구성 전체가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실시예 1)
도 1은 실시예 1에서의 화상 투사 상황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프로젝터(20)는 스크린(10)을 향해 화상을 투사한다. 이로써, 스크린(10)에는 화상 표시 영역인 투사 영역(1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프로젝터(20) 등의 화상 표시 장치를 이용하여 장기간 화상을 표시하고 있으면, 광학계 등의 시간 경과에 따른 열화에 의해 점차 화상에 색 얼룩(휘도 얼룩에 의한 색 얼룩도 포함)이 발생한다.
게다가, 햇빛이나 조명광 등의 외광(80)에 의해서도 투사 영역(12)에서의 화상의 외양은 변화된다.
이러한 화상의 색 얼룩 등을 보정하기 위해서, 본 실시예의 프로젝터(20)는 촬상 수단인 센서(60)를 갖는다. 센서(60)는 투사 영역(12)을 포함하는 영역을 촬상한다.
또한, 본실시예에서는, 프로젝터(20)는 백색의 캘리브레이션 화상과, 백색을 구성하는 복수 종류의 원색의 일종인 RGB값 중 소정의 원색을 RGB마다 소정 값만큼 감소시킨 3색의 원색 감소색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투사한다.
그리고, 프로젝터(20)는 센서(60)를 이용하여 각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촬상하고, 센서(60)로부터 출력할 수 있는 촬상 정보(촬상 신호값)에 근거하여, 촬상 화상 내의 투사 영역을 추출한다. 그리고, 프로젝터(20)는 당해 투사 영역을 복수의 화소 블록으로 구분하고, 화소 블록 내의 모든 화소의 화상 신호값의 평균값을 화소 블록마다 연산하고, 각 화소 블록의 당해 평균값에 근거해서 화소 블록마다 보정량을 연산하고, 당해 보정량에 근거해서 화상의 색 얼룩 등을 보정한다.
이렇게, 프로젝터(20)는 백색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캘리브레이션 신호와, 백색을 구성하는 복수 종류의 원색의 일종인 RGB값 중 소정의 원색을 RGB마다 소정 값만큼 감소시킨 3색의 원색 감소색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이용하여 색 얼룩 보정 등을 실행할 수 있고, 흑색 이외의 색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사용해서 외광량 등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완전하게 보정할 수 없는 색 얼룩의 영향을 받지 않고 외광량을 구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젝터(20)는 당해 외광량을 이용하여 화상 신호를 보정함으로써 보다 적절하게 화상의 색 재현 등을 실행할 수 있다.
다음에, 이러한 기능을 실장하기 위한 프로젝터(20)의 기능 블록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실시예 1에서의 프로젝터(20)의 기능 블럭도이다.
프로젝터(20)는, 센서(60)를 포함하는 촬상부(180)와, 촬상 정보를 처리하는 촬상 정보 처리부(150)와, 캘리브레이션 정보를 처리하는 캘리브레이션 정보 처리부(160)와, 각 종 보정 정보를 생성하는 보정 정보 생성부(170)를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촬상 정보 처리부(150)는, 촬상 정보 기억부(158)와, 투사 영역 추출부(152)와, 화소 블록 화상 정보 생성부(156)를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캘리브레이션 정보 처리부(160)는, 백색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캘리브레이션 신호와, 백색을 구성하는 복수 종류의 원색의 일종인 RGB 중 하나의 원색에 대해서 소정 값만큼 감소시킨 3색의 원색 감소색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캘리브레이션 신호를 생성하는 캘리브레이션 신호 생성부(161)와, 백색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촬상 신호값과, 원색 감소색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촬상 신호값의 차분값을 연산하고, 당해 차분값에 근거하여, RGB의 최고 출력값의 추측 촬상 신호값을 연산하는 원색량 정보 생성부(163)와, 백색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촬상 신호값과, 최고 출력값의 화상의 추측 촬상 신호값의 차분값을 연산하고, 당해 차분값에 근거해 외광량을 나타내는 외광량 정보를 생성하는 외광량 정보 생성부(164)를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촬상 정보 처리부(150)는, 촬상부(180)에 의한 촬상 신호값을 기억하는 촬상 정보 기억부(158)와, 촬영 화상에서의 투사 영역(화상 표시 영역)을 추출하는 투사 영역 추출부(152)와, 당해 투사 영역을 복수의 화소 블록으로 구분하는 동시에, 소정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촬상 신호값에 근거하여, 각 화소 블록을 구성하는 모든 화소의 화상 신호값의 평균값을 나타내는 화소 블록 화상 정보를 생성하는 화소 블록 화상 정보 생성부(156)를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다.
또, 촬상 신호값과 화상 신호값은 종류가 같은 것(예컨대, 촬상 신호값이 RGB값이고 화상 신호값도 RGB값 등)이여도 좋고, 화상 신호값이 촬상 신호값을 변환한 것(예컨대, 촬상 신호값이 XYZ값이고 화상 신호값이 RGB값 등)이여도 좋다. 또, 여기에서 XYZ는 CIE(국제 조명 위원회)에서 규정되어 있는 기기 독립 색의 일종이다.
또한, 프로젝터(20)는 스크린(10)에 투사된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촬상하는 센서(60)를 갖는 촬상부(180)를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프로젝터(20)는 PC 등으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RGB 신호(R1, G1, B1)를 디지털 RGB 신호(R2, G2, B2)로 변환하는 입력 신호 처리부(110)와, 당해 디지털 RGB 신호(R2, G2, B2)에 대하여 색 변환이나 입출력 특성 변환을 행하여 디지털 RGB 신호(R3, G3, B3)를 출력하는 색 보정부(120)와, 당해 디지털 RGB 신호(R3, G3, B3)에 대하여 색 얼룩을 보정해서 디지털 RGB 신호(R4, G4, B4)를 출력하는 색얼룩 보정부(130)와, 당해 디지털 RGB 신호(R4, G4, B4)를 아날로그 RGB 신호(R5, G5, B5)로 변환하는 출력 신호 처리부(140)와, 당해 아날로그 RGB 신호(R5, G5, B5)에 근거하여, 화상을 투사하는 화상 표시 수단의 일종인 화상 투사부(190)를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프로젝터(20)는 RGB의 각 색의 최고 출력값의 화상 신호값과, 외광량에 근거하여, 외광의 영향을 저 감해서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서, 화상 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보정을 행하는 보정 수단을 포함한다. 프로젝터(20)는 이 보정 수단으로서, 색 보정부(120), 색 얼룩 보정부(130), 보정 정보 생성부(170)를 포함한다. 또한, 색 얼룩 보정부(130)는 보정 기억부(132)를 포함한다. 또, 여기에서 최고 출력값은 예컨대 8 비트로 출력값을 표현할 경우에는 255이다.
또한, 화상 투사부(190)는, 공간 광 변조기(192)와, 공간 광 변조기(192)를 구동하는 구동부(194)와, 광원(196)과, 렌즈(198)를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다.
구동부(194)는 출력 신호 처리부(140)로부터의 아날로그 RGB 신호에 근거하여 공간 광 변조기(192)를 구동한다. 그리고, 화상 투사부(190)는 광원(196)으로부터의 광을 공간 광 변조기(192) 및 렌즈(198)를 거쳐서 투사한다.
또한, 상술한 프로젝터(20)의 각 부를 실장하기 위한 하드웨어로서는 예컨대 이하의 것을 적용할 수 있다.
도 3은 실시예 1에서의 프로젝터(20)의 하드웨어 블럭도이다.
예를 들면, 입력 신호 처리부(110)로서는, 예를 들면 A/D 컨버터(930) 등, 보정 기억부(132), 촬상 정보 기억부(158)로서는 예를 들면 RAM(950)등, 색 얼룩보정부(130), 캘리브레이션 신호 생성부(161), 투사 영역 추출부(152), 화소 블록 화상 정보 생성부(156), 원색량 정보 생성부(163), 외광량 정보 생성부(164)로서는 예를 들면 CPU(910), 화상 처리 회로(970) 등, 보정 정보 생성부(170)로서는 예를 들면 화상 처리 회로(970), RAM(950), CPU(910) 등, 출력 신호 처리부(140)로서는 예를 들면 D/A 컨버터(940) 등, 공간 광 변조기(192)로서는 예를 들면 액정 패널(920) 등, 구동부(194)로서는 예를 들면 액정 패널(920)을 구동하는 액정 라이트 밸브 구동 드라이버를 기억하는 ROM(960) 등을 이용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 이들 각 부는 시스템 버스(980)를 거쳐서 서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또한, 이들 각 부는 회로와 같이 하드웨어적으로 실장해도 좋고, 드라이버와 같이 소프트웨어적으로 실장해도 좋다.
또한, 캘리브레이션 신호 생성부(161) 등으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정보 기억 매체(900)로부터 프로그램을 판독해서 캘리브레이션 신호 생성부(161) 등의 기능을 컴퓨터에 실장시켜도 좋다.
이러한 정보 기억 매체(900)로서는, 예컨대, CD-ROM, DVD-ROM, ROM, RAM, HDD 등을 적용할 수 있고, 그 프로그램의 판독 방식은 접촉 방식이여도, 비접촉 방식이여도 좋다.
또한, 정보 기억 매체(900) 대신에 상술한 각 기능을 실장하기 위한 프로그램 등을 전송로를 거쳐서 호스트 장치 등으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상술한 각 기능을 실장할 수도 있다.
다음에 이들 각 부를 채용한 화상 처리의 흐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실시예 1에서의 색 얼룩 보정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캘리브레이션 신호 생성부(161)는, 백색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캘리브레이션 신호와, 백색을 구성하는 복수 종류의 원색의 일종인 RGB값 중 소정의 원색을 RGB마다 소정 값만큼 감소시킨 3색의 원색 감소색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캘리브레이션 신호를 순차 생성하고, 화상 투사부(190)는 각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순차적으로 투사한다. 또, 각 캘리브레이션 화상은 단색(화상 전체가 균일한 색)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촬상부(180)는 스크린(10) 상의 각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촬상해서 촬상 신호값을 생성하고, 촬상 정보 기억부(158)는 각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촬상 신호값을 기억한다(단계 S1).
또, 본 실시예에서는, 센서(60)는 촬상 신호값로서 센서(60)의 화소마다 L값(장파장값, R값), M값(중파장값, G값), S값(단파장값, B값)을 출력한다. 이 경우, 센서(60)로서는 예컨대 RGB 센서 등을 적용해도 좋다.
또, 스크린(10)은 임의의 스크린으로 좋고 색이나 재질을 따지지 않는다. 또한, 투사 영역(12)의 화상에 왜곡이 생기고 있어도 좋다. 물론, 촬상 신호값으로서 XYZ값 등을 이용하여도 좋다.
투사 영역 추출부(152)는, 백색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화소마다 촬상 신호값(예컨대, R값, G값, B값, L값, M값, S값, 휘도값 등)과, 당해 화소와 대응하는 백색 이외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화소마다 촬상 신호값의 비율을 연산해서 비율의 차이에 근거하여 촬영 화상에서의 투사 영역을 추출한다(단계 S2).
또, 투사 영역의 화소의 상기 비율은 크고(예컨대, 2 이상), 비투사 영역의 상기 비율은 작다(예컨대, 1). 이것 때문에, 투사 영역 추출부(152)는 상기 비율에 근거해서 촬영 화상 내의 투사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화소 블록 화상 정보 생성부(156)는 투사 영역 추출부(152)가 추출한 투사 영역의 네 코너를 공간 광 변조기(192)의 화상 영역의 네 코너에 대응시킨다(단계 S3).
그리고, 화소 블록 화상 정보 생성부(156)는 이 대응을 나타내는 정보에 근거하여, 촬영 화상의 투사 영역을 c×d의 격자 형상의 화소 블록으로 구분한다(단계 S4). 또, 여기에서, c, d는 임의의 정의 정수이다.
또한, 화소 블록 화상 정보 생성부(156)는, 구분한 화소 블록과, 원색량 정보 생성부(163)에서 필요로 되는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촬상 신호값에 근거하여, 화소 블록마다 화상 신호값(촬상 신호값)의 평균값을 연산한다(단계 S5). 또, 여기에서는, 화상 신호값 및 촬상 신호값으로서, L값, M값 및 S값을 적용한다.
그리고, 원색량 정보 생성부(163)는, 각 화소 블록에 있어서, 백색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촬상 신호값과, R, G, B의 각 원색을 감소시킨 원색 감소색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촬상 신호값의 차분값을 연산한다(단계 S6).
또, 백색은 RGB값=(255, 255, 255)이며, RGB의 모든 원색의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면, 백색에서 R색의 요소를 감소시킨 원색 감소색의 RGB값=(240, 255, 255)인 경우, 백색의 측정값으로부터 당해 원색 감소색의 측정값을 뺀 차분값은 RGB값=(15, 0, 0)의 R값만의 요소의 측정값으로서 취급될 수 있다. 또한, 각 촬상 신호값은 외광(80)의 영향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2개의 촬상 신호값의 차분값은 외광(80)의 영향을 포함하지 않은 값으로 된다.
원색량 정보 생성부(163)는, 당해 차분값과, 각 원색의 입출력 특성 정보에 근거하여, RGB 각 색의 최고 출력값의 화상 신호값(원색량 정보)을 연산한다(단계 S7). 보다 구체적으로는, 입출력 특성 정보는 예를 들면 감마 곡선으로서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원색량 정보 생성부(163)는, 예컨대, 상기 예에서의 R색의 출력값=15인 경우의 당해 차분값과, R색의 감마 곡선의 관계로부터 비율의 연산에 의해, R색의 최고 출력값=255인 경우의 화상 신호값을 연산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원색량 정보 생성부(163)는 동일한 수법으로 G색의 최고 출력값의 화상 신호값과, B색의 최고 출력값의 화상 신호값도 구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외광의 영향을 받고 있지 않는 경우의 백색의 화상 신호값을 각 원색의 최고 출력값 화상의 추측 촬상 신호값의 합계값으로서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외광량 정보 생성부(164)는, 백색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촬상 신호값과, 추측 촬상 신호값의 합계값의 차분값을 연산하고, 당해 차분값에 근거해 외광량을 나타내는 외광량 정보를 생성한다(단계 S8). 즉, 백색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촬상 신호값은 외광의 영향을 받고 있어, 추측 촬상 신호값의 합계값과의 차분값은 외광의 영향을 받고 있지 않는 백색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촬상 신호값이기 때문에, 외광량 정보 생성부(164)는 양자의 차분값을 연산함으로써 외광의 영향만을 외광량 정보로서 생성할 수 있다.
보정 정보 생성부(170)는 외광량 정보(LMS의 각 값)에 근거하여, 외광의 영향을 저감해서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서, 화상 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보정을 행하기 위한 보정 정보를 생성한다(단계 S9).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색 얼룩을 보정할 경우, 보정 정보 생성부(170)는 외광량 정보에 근거해서 외광(80)에 의한 영향의 정도를 파악하고, 당해 영향의 정도에 따라 색 얼룩 보정 정보를 생성하여, 색 얼룩 보정부(130)에 출력한다.
색 얼룩 보정부(130)는, 당해 색 얼룩 보정 정보에 근거하여 색 얼룩 보정용 데이터(예컨대, R, G, B의 원색마다의 1차원 룩업 테이블 등)를 갱신하고, 당해 색 얼룩 보정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입력 화상 신호(R3, G3, B3)를 보정한다.
그리고, 화상 투사부(190)는 색 얼룩 보정부(130)에 의해 색 얼룩이 보정된 화상 신호에 근거하여 화상을 투사한다(단계 S10).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프로젝터(20)는, 흑색 이외의 색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사용해서 외광량 등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완전하게는 보정할 수 없는 색 얼룩의 영향을 받지 않고 외광량을 구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화상 처리 시스템 등은, 시간 경과에 따른 열화 등에 의해 흑색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이용한 경우에는 색 얼룩의 영향을 받아버리는 등의 경우에도, 흑색 이외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이용하여 외광량을 구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젝터(20)는, 당해 외광량에 근거해서 외광의 영향을 저감하도록 입력 화상 신호를 보정함으로써, 외광의 영향을 저감할 수 있는 동시에 시간 경과에 따른 열화의 영향도 저감 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적절하게 화상의 색 재현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프로젝터(20)는, 촬상 신호값으로서 LMS값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XYZ값 등을 이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간단하고 고속으로 색 얼룩을 보정할 수 있다.
(실시예 2)
다음에, 상술한 실시예와는 다른 수법에 의해 흑색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사용하지 않고 외광량을 구하는 수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실시예 2에서의 프로젝터의 기능 블럭도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프로젝터 내의 캘리브레이션 정보 처리부(260)는, 제 1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캘리브레이션 신호와, 제 1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RGB값과 동일한 비율의 RGB값인 제 2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캘리브레이션 신호를 생성하는 캘리브레이션 신호 생성부(261)를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캘리브레이션 정보 처리부(260)는, 제 1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촬상 신호값과, 제 2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촬상 신호값의 차분 화상 신호값과, 상기 제 1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출력값과 상기 제 2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출력값의 차분 출력값을 연산하고, 차분 화상 신호값과, 차분 출력값과, 입출력 특성 정보에 근거하여, 외광의 영향을 받고 있지 않는 제 1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화상 신호값(또는 외광의 영향을 받고 있지 않는 제 2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화상 신호값)을 생성하는 표시색 정보 생성부(263)를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차분 출력값을 메모리에 기억시켜 두고, 표시색 정보 생성부(263)가 당해 메모리로부터 차분 출력값을 판독해서 사용하는 수법을 채용할 경우, 상기 차분 출력값의 연산은 불필요하다.
또한, 캘리브레이션 정보 처리부(260)는, 촬상 정보 기억부(158)로부터의 외광의 영향을 받고 있는 제 1 캘리브레이션 화상(또는 제 2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화상 신호값과, 표시색 정보 생성부로부터의 외광의 영향을 받고 있지 않는 제 1 또는 제 2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화상 신호값의 차분값을 연산함으로써 외광량을 나타내는 외광량 정보를 생성하는 외광량 정보 생성부(264)와, 표시색 정보 생성부(263)로부터의 외광의 영향을 받고 있지 않는 제 1 또는 제 2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화상 신호값에 근거하여, RGB의 각 색의 최고 출력값의 화상 신호값을 연산하는 원색량 정보 생성부(265)를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이들 각 부를 채용한 색 얼룩 보정 처리의 흐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실시예 2에서의 색 얼룩 보정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화소 블록 화상 정보 생성까지는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 처리와 거의 같다. 단지, 촬상 정보 기억부(158)는, 제 1 캘리브레이션 화상(예컨대, 소정 RGB값=(255, 255, 255)의 백색 캘리브레이션 화상 등)의 촬상 신호값과, 제 1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RGB값과 동일한 비율의 RGB값인 제 2 캘리브레이션 화상(예컨대, RGB값=(250, 250, 250)의 그레이 색 캘리브레이션 화상 등)의 촬상 신호값을 기억한다(단계 S11). 또, 본 실시예에서는, 스크린(10)은 백색 균일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프로젝터는, 투사 영역의 추출(단계 S12), 대응시킴(단계 S13), 화소 블록의 구분(단계 S14), 화소 블록마다 화상 신호값의 평균값의 연산(단계 S15)을 실행한다.
표시색 정보 생성부(263)는, 제 1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촬상 신호값과, 상기 제 2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촬상 신호값의 차분 화상 신호값과, 제 1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출력값(예컨대, 상기 예에서는 255)과 제 2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출력값(예컨대, 상기 예에서는 250)의 차분 출력값(예컨대, 상기 예에서는 5)을 연산한다(단계 S16). 또, 각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출력값이 고정일 경우에는, 미리 차분 출력값을 나타내는 정보를 메모리에 기억시켜 두고, 표시색 정보 생성부(263)는 메모리에 기억된 차분 출력값을 나타내는 정보을 이용하여도 좋다.
그리고, 표시색 정보 생성부(263)는, 차분 화상 신호값과, 차분 출력값과, 입출력 특성 정보에 근거하여, 외광의 영향을 받고 있지 않는 제 1 캘리브레이션 화상(제 2 캘리브레이션 화상으로도 좋음)의 추측 촬상 신호값(예컨대, LMS값 등)을 생성한다(단계 S17).
그리고, 외광량 정보 생성부(264)는, 화소 블록 화상 정보 생성부(156)로부터의 외광의 영향을 받고 있는 소정 화소 블록의 LMS값(촬상 신호값)으로부터 표시색 정보 생성부(263)에 의해 요구된 당해 화소 블록의 외광의 영향을 받고 있지 않는 LMS값(추측 촬상 신호값)을 감산함으로써, 외광량 정보를 생성한다(단계 S18).
원색량 정보 생성부(265)는, 표시색 정보 생성부(263)로부터의 외광의 영향을 받고 있지 않는 제 1 또는 제 2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LMS값(추측 촬상 신호값)중 하나의 값(예를 들면 M값 등)과, 원색량을 생성하는 1차원 룩업 테이블 등에 근거하여, RGB의 각 색의 최고 출력값의 화상 신호값, 즉, 외광의 영향이 없는 원색량을 연산한다(단계 S19).
이 이후의 원색량과 외광량을 이용한 처리에 대해서는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 대로다. 화상 투사부(190)는 외광량 정보에 근거해서 보정된 화상 신호에 근거하여, 화상을 투사한다(단계 S20).
이러한 수법에 의해서도, 프로젝터(20)는 흑색을 이용하지 않고 화상의 색 얼룩 등을 적절하게 보정할 수 있다.
(실시예 3)
다음에, 원색의 누설 광량에 근거해서 색 얼룩을 보정하는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로젝터(20)는, Y계 색, M계 색, C계 색의 단색(화상 전체가 균일한 색)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투사한다. 또, 여기에서, Y계 색이란 RGB값이(255, 255, m)인 색이며, M계 색이란 RGB값이(255, m, 255)인 색이며, C계 색이란 RGB값이(m, 255, 255)인 색이다. 또한, 여기에서, m은 예컨대 8 비트로 색을 표현할 경우, 0으로부터 255까지의 정수 중 어느 하나이다.
프로젝터(20)는, 이들의 화상을 투사할 때에, 예컨대, Y계 색이면 B값인 m을 0으로부터 소정량(예컨대, 1∼32 등)씩 증가시키면서 투사한다. M계 색, B계 색도 같다. 물론, 프로젝터(20)는 m을 255로부터 소정량씩 감소시켜도 좋고, m을 소정량씩이 아니라 불연속적으로 변화시켜도 좋다.
또, Y색과 B색, M색과 G색, C색과 R색은 각각 보색의 관계에 있다. 여기에서, 보색이란 양측을 적절한 비율로 혼합하면 무채색으로 되는 색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프로젝터(20)는, Y계 색, M계 색, C계 색 각각의 보색에 상당하는 색(B, G, R)의 값을 변화시키면서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투사한다.
그리고, 프로젝터(20)는, 센서(60)를 이용하여 각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촬상하고, 당해 촬상 정보에 근거하여, 촬상 화상에 포함되는 투사 영역을 추출하고, 당해 투사 영역을 복수의 화소 블록으로 구분하고, 각 화소 블록의 모든 화소의 화상 신호값의 특징값(예를 들면 평균값 등)을 연산하고, 당해 특징값에 근거해서 화소 블록마다 보정량을 연산해서 당해 보정량을 나타내는 보정량 정보를 생성하고, 당해 보정량 정보에 근거해서 화상의 색 얼룩 등을 보정한다.
이렇게, 프로젝터(20)는, RGB값이 (255, 255, m)인 Y계 색을 캘리브레이션 화상으로서 이용함으로써, R색, G색의 누설 광의 영향을 받지 않고 B색의 누설 광만을 추출할 수 있다. M 색, C색에 관해서도 같다.
그리고, 프로젝터(20)는, R색, G색, B색의 누설 광량을 나타내는 누설 광량 정보를 생성하고, 당해 누설 광량 정보에 근거해서 원색 광량을 나타내는 원색 광량 정보를 생성하고, 당해 원색 광량 정보에 근거해서 색 얼룩의 보정량을 나타내는 보정량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누설 광의 영향을 저감해서 보다 적절하게 색 얼룩을 보정할 수 있다.
다음에, 이러한 기능을 실장하기 위한 프로젝터(20)의 기능 블록에 대해서설명한다. 도 7은 실시예 3에서의 프로젝터(20)의 기능 블럭도이다.
프로젝터(20)는, Y계 색, M계 색, C계 색의 3색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Y계 색에 대하여는 B값을, M계 색에 대하여는 G값을, C계 색에 대하여는 R값을, 0으로부터 최대 출력값인 255로 될 때까지 각각 소정량씩 가산하면서 캘리브레이션 신호를 생성하는 캘리브레이션 신호 생성부(172)와, 당해 캘리브레이션 신호에 근거해서 각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각각 다른 시점에서 표시하는 화상 표시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화상 투사부(190)와, 표시된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촬상해서 촬상 정보를 생성하는 촬상부(180)를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다. 또, 촬상부(180)는 센서(60)를 포함한다.
또한, 프로젝터(20)는, 촬상부(180)에 의한 촬상 정보를 기억하는 촬상 정보 기억부(158)와, 촬영 화상에서의 투사 영역(화상 표시 영역)을 추출하는 투사 영역 추출부(153)와, 당해 투사 영역을 복수의 화소 블록으로 구분하는 동시에, 소정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촬상 정보에 근거하여, 각 화소 블록을 구성하는 화소의 화상 신호값의 평균값을 나타내는 화소 블록 화상 정보를 생성하는 화소 블록 화상 정보 생성부(157)를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프로젝터(20)는, 당해 화소 블록 화상 정보에 근거하여, 각 화소 블록에서의 R, G, B 각각의 누설 광의 영향도를 나타내는 누설 광 영향도 정보, 누설 광량 정보 등을 생성하는 누설 광량 정보 생성부(162)와, 누설 광 영향도 정보와, 화소 블록 화상 정보에 근거하여, 각 화소 블록에서의 R, G, B 각각의 누설 광이 없는 원색 광량을 나타내는 원색 광량 정보를 생성하는 원색 광량 정보생성부(166)를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프로젝터(20)는, 원색 광량 정보와, 누설 광량 정보에 근거하여, 색 얼룩 보정용 데이터의 보정량을 나타내는 보정량 정보를 생성하는 색 얼룩 보정량 정보 생성부(165)와, 당해 보정량 정보에 근거해서 색 얼룩 보정용 데이터를 보정하고, 보정한 색 얼룩 보정용 데이터에 근거하여, 화상의 색 얼룩을 보정하는 색 얼룩 보정부(130)를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프로젝터(20)는, PC 등으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RGB 신호(R1, G1, Bl)를 디지털 RGB 신호(R2, G2, B2)로 변환하는 입력 신호 처리부(110)와, 당해 디지털 RGB 신호(R2, G2, B2)에 대하여 색 변환이나 입출력 특성 변환을 행하여 디지털 RGB 신호(R3, G3, B3)를 색 얼룩 보정부(130)에 출력하는 전단 처리부(122)를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프로젝터(20)는, 색 얼룩 보정부(130)에 의해 보정된 디지털 RGB 신호(R4, G4, B4)에 대하여, 공간 광 변조기(192)의 입출력 특성 조정 등을 위한 보정을 가서 디지털 RGB 신호(R5, G5, B5)를 출력하는 후단 처리부(134)와, 디지털 RGB 신호(R5, G5, B5)를 아날로그 변환해서 아날로그 RGB 신호(R6, G6, B6)를 화상 투사부(190)에 출력하는 출력 신호 처리부(140)를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화상 투사부(190)는, 공간 광 변조기(192)와, 공간 광 변조기(192)를 구동하는 구동부(194)와, 광원(196)과, 렌즈(198)를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다.
구동부(194)는 출력 신호 처리부(140)로부터의 아날로그 RGB 신호에 근거하여 공간 광 변조기(192)를 구동한다. 그리고, 화상 투사부(190)는 광원(196)으로부터의 광을 공간 광 변조기(192) 및 렌즈(198)를 거쳐서 투사한다.
또한, 상술한 프로젝터(20)의 각 부를 실장하기 위한 하드웨어로서는, 예컨대, 이하의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 신호 처리부(110)로서는, 예를 들면 A/D 컨버터(930) 등, 촬상 정보 기억부(158)로서는, 예를 들면 RAM(950) 등, 색 얼룩 보정부(130), 캘리브레이션 신호 생성부(172), 투사 영역 추출부(153), 화소 블록 화상 정보 생성부(157), 누설 광량 정보 생성부(162), 원색 광량 정보 생성부(166)로서는, 예를 들면 화상 처리 회로(970) 등, 색 얼룩 보정량 정보 생성부(165)로서는, 예를 들면 CPU(910) 등, 전단 처리부(122), 후단 처리부(134)로서는, 예를 들면 화상 처리 회로(970), RAM(950), CPU(910) 등, 출력 신호 처리부(140)로서는, 예컨대 D/A 컨버터(940) 등, 공간 광 변조기(192)로서는, 예컨대 액정 패널(920) 등, 구동부(194)로서는, 예를 들면 액정 패널(920)을 구동하는 액정 라이트 밸브 구동 드라이버를 기억하는 ROM(960) 등을 이용하여 실장할 수 있다.
또, 이들 각 부는 시스템 버스(980)를 거쳐서 서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또한, 이들 각 부는 회로와 같이 하드웨어적으로 실장해도 좋고, 드라이버와 같이 소프트웨어적으로 실장해도 좋다.
또한, 캘리브레이션 신호 생성부(172) 등으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정보 기억 매체(900)로부터 프로그램을 판독해서 캘리브레이션 신호 생성부(172) 등의 기능을 컴퓨터에 실장시켜도 좋다.
이러한 정보 기억 매체(900)로서는, 예컨대, CD-ROM, DVD-ROM, ROM, RAM, HDD 등을 적용할 수 있고, 그 프로그램의 판독 방식은 접촉 방식이여도, 비접촉 방식이여도 좋다.
또한, 정보 기억 매체(900) 대신에 상술한 각 기능을 실장하기 위한 프로그램 등을, 전송로를 거쳐서 호스트 장치 등으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상술한 각 기능을 실장할 수도 있다.
다음에, 이들 각 부를 채용한 화상 처리의 흐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실시예 3에서의 색 얼룩 보정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캘리브레이션 신호 생성부(172)는, W(백)색, K(흑)색의 단색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캘리브레이션 신호를 발생하고, 화상 투사부(190)는, W색, K색을 스크린(10)을 향해 각각 투사하고, 촬상부(180)는 W색이 투사된 투사 영역(12)을 포함하는 영역과, K색이 투사된 투사 영역(12)을 포함하는 영역을 각각 촬상한다.
또, 스크린(10)은 임의의 스크린으로 좋고 색이나 재질을 따지지 않는다. 또한, 투사 화상에 이른바 사다리꼴 왜곡(키스톤 왜곡)이 생기고 있어도 좋다.
또한, W색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캘리브레이션 신호는, Y계 색, M계 색, C계 색의 m값을 최대 출력값으로 설정한 캘리브레이션 신호와 같은 것이다. 또한, K색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캘리브레이션 신호를 생성하지 않고, 촬상부(180)가 비투사 시의 스크린(10)을 촬상해도 좋다.
촬상 정보 기억부(158)는, 촬상부(180)로부터의 W색, K색 각각의 촬상 정보를 기억한다(단계 S21). 또, 본 실시예에서는, 촬상 정보로서, L값(장파장값, R값), M값(중파장값, G값), S값(단파장값, B값)을 적용한다. 물론, 촬상 정보로서, XYZ값 등을 이용하여도 좋다.
투사 영역 추출부(153)는, W색의 촬영 화상의 화소마다 화상 신호값(예컨대, R값, G값, B값, L값, M값, S값, 휘도값 등)과, 당해 화소와 대응하는 K색의 촬영 화상의 화소마다 화상 신호값의 비율을 연산해서 비율의 차이에 근거해서 촬영 화상에서의 투사 영역을 추출한다(단계 S22).
또, 투사 영역의 화소의 상기 비율은 크고(예를 들면 2 이상), 비투사 영역의 상기 비율은 작다(예를 들면 1). 이것 때문에, 투사 영역 추출부(153)는 상기 비율에 근거해서 촬영 화상 내의 투사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캘리브레이션 신호 생성부(172)는, Y색의 B값을 0으로부터 255까지 소정량(예를 들면, 1 등)씩 증가시키면서 캘리브레이션 신호를 생성한다. 화상 투사부(190)는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순차적으로 투사하고, 촬상부(180)는 각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촬상하고, 촬상 정보 기억부(158)는 각 촬상 정보를 기억한다.
또한, 캘리브레이션 신호 생성부(172)는, M색에 대해서는 G값을, C색에 대해서는 R값을 소정량씩 증가시키면서 캘리브레이션 신호를 발생한다. 촬상 정보 기억부(158)는 이들 경우에도 각 촬상 정보를 기억한다(단계 S23).
또한, 화소 블록 화상 정보 생성부(157)는, 투사 영역 추출부(153)가 추출한 투사 영역의 네 코너를 공간 광 변조기(192)의 화상 영역의 네 코너에 대응시킨다. 그리고, 화소 블록 화상 정보 생성부(157)는 이 대응을 나타내는 정보에 근거하여,촬영 화상의 투사 영역을 c×d의 격자 형상의 화소 블록으로 구분한다(단계 S24). 또, 여기에서, c, d는, 임의의 정의 정수이다.
또한, 화소 블록 화상 정보 생성부(157)는, 구분한 화소 블록과, 누설 광량 정보 생성부(162)에서 필요가 되는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촬상 정보에 근거하여, 화소 블록마다 화상 신호값의 평균값을 연산한다(단계 S25). 또, 여기에서는, 화상 신호값으로서, L값, M값 및 S값을 적용한다. 또한, 당해 평균값은 화소 블록의 특징을 나타내는 특징값의 일종이다.
누설 광량 정보 생성부(162)는, 화소 블록 화상 정보 생성부(157)로부터의 소정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화소 블록마다 L값의 평균값, M값의 평균값, S값의 평균값에 근거하여, 원색(R색, G색, B색)의 소정 출력값에서의 누설 광 영향도와 누설 광량을 연산하여(단계 S26), 누설 광 영향도 정보와 누설 광량 정보를 생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누설 광 영향도 정보를 생성할 경우, 누설 광량 정보 생성부(162)는, 예컨대, 하기의 수학식 1에 근거하여, 누설 광 영향도 정보의 일종인 CLYb(n)을 화소 블록마다 연산한다.
또, 여기에서, LW(n)은 화소 블록 n의 W색 촬영 시의 제 1 특징값인 평균 L값, LYb(n)은 화소 블록 n의 B값을 b 출력 증가시킨 Y계 색 촬영 시의 제 2 특징값인 평균 L값이다. 또한, nmax는 제 1 특징값/제 2 특징값이 최대가 되는 화소 블록위치를 나타낸다. 또, nmax는 제 2 특징값/제 1 특징값이 최소가 되는 화소 블록 위치, 제 1 특징값과 제 2 특징값의 차분값이 최대가 되는 화소 블록 위치 등이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또한, 여기에서, CLYb(n)은 B값이 b의 Y계 색 촬영 시의 화소 블록 n에서의 B색의 누설 광의 영향을 나타내는 수치이며, 누설 광 영향도 정보의 일종이다. CLYb(n)은 값이 작을수록 누설 광의 영향이 큰 것을 나타내고, 값이 1인 경우에는 누설 광의 영향이 없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누설 광량 정보 생성부(162)는, M값, S값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누설 광 영향도 정보의 일종인 CMYb(n), CSYb(n)을 화소 블록마다 연산한다. 또한, 누설 광량 정보 생성부(162)는, R색, G색에 대해서도 L값, M값, S값으로 나타내는 누설 광 영향도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누설 광량 정보를 생성할 경우, 누설 광량 정보 생성부(162)는 상기 수학식 1에 근거하여 누설 광량 정보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출력 b, 화소 블록 n에서의 B색의 누설 광량을 L값으로 나타내는 누설 광량 정보의 일종인 ΔLYb(n)을 생성하는 경우, 누설 광량 정보 생성부(162)는 ΔLYb(n)=LYb(n)-CLYb(n)LYb(n)=(1-CLYb(n))*LYb(n)을 이용하여 B색의 누설 광량을 L값으로 나타내는 누설 광량 정보를 생성한다.
마찬가지로, 누설 광량 정보 생성부(162)는 B색의 누설 광량을 M값으로 나타내는 ΔMYb(n), B색의 누설 광량을 S값으로 나타내는 ΔSYb(n)도 누설 광량 정보로서 생성한다. 또한, 누설 광량 정보 생성부(162)는, R색, G색에 있어도 L값, M값, S값으로 나타내는 누설 광량 정보를 생성한다.
누설 광량 정보 생성부(162)는 이상의 순서에 의해 누설 광 영향도 정보와 누설 광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누설 광량 정보 생성부(162)는, Y색, M색 및 C색의 화소 블록 화상 정보와, R색, G색 및 B색의 누설 광 영향도 정보를 원색 광량 정보 생성부(166)에 출력하고, R색, G색 및 B색의 누설 광량 정보를 색 얼룩 보정량 정보 생성부(165)에 출력한다.
원색 광량 정보 생성부(166)는, 누설 광량 정보 생성부(162)로부터의 Y색, M색 및 C색의 화소 블록 화상 정보와 R색, G색 및 B색의 누설 광 영향도 정보에 근거하여, R색, G색, B색의 최대 출력 추정값, 즉, 누설 광이 없는 원색 광량을 연산하여(단계 S27), 원색 광량 정보를 생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Y색(출력값 b=0)의 촬영 화상의 화소 블록 n에서의 L값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누설 광의 영향도를 나타내는 CLY0(n)이 1이면 누설 광이 없기 때문에, LY0(n)이 CLY0(n)*LY0(n)과 같으면 누설 광이 없는 것으로 된다.
반대로, CLY0(n)이 1이 아닐 때는 누설 광이 발생되고 있는 것을 의미하고, 누설 광을 포함하는 LY0(n)값에 누설 광 영향도 CLY0(n)을 곱한 값인 CLY0(n)*LY0(n)이, 누설 광이 없는 Y색(출력값 b=0)의 촬영 화상의 화소 블록 n에서의 L값이 된다.
또한, RGB값=(0, 0, 255)인 B색의 최대 출력 추정값은, RGB값=(255, 255, 255)인 W색의 측정값으로부터 RGB값=(255, 255, 0)인 Y색의 측정값을 빼서 구한다.
따라서, 프로젝터(20)의 B색의 최대 출력 추정값 LMAXB(n)=LW(n)-CLY0(n)*LY0(n)이다. 마찬가지로, M값, S값에 관해서도, MMAXB(n), SMAXB(n)도 구해진다. R색, G색도 같다.
이렇게 하여 원색 광량 정보 생성부(166)는, 화소 블록마다 LMS값으로 표시되는 R색, G색 및 B색의 원색 광량 정보(예컨대, LMAXB(n) 등)를 생성하고, 당해 원색 광량 정보를 색 얼룩 보정량 정보 생성부(165)에 출력한다.
색 얼룩 보정량 정보 생성부(165)는, 누설 광량 정보 생성부(162)로부터의 누설 광량 정보와, 원색 광량 정보 생성부(166)로부터의 원색 광량 정보에 근거하여, 화소 블록마다, R색, G색, B색의 누설 광량이 최대 출력 추정값(원색 광량)의 몇 할 정도인지를 연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화소 블록 n, Y계 색의 출력 b에서의 B색의 누설 광의 최대 출력 추정값에 관한 비율을 나타내는 PBb(n)은, PBb(n)=AVR{ΔLYb(n)/LMAXB(n), ΔMYb(n)/MMAXB(n), ΔSYb(n)/SMAXB(n)}으로 구해진다. 또, 여기에서, AVR은 괄호 내의 값의 평균값을 출력하는 함수이다. R색의 비율PRr(n), G색의 비율 PGg(n)도 마찬가지로 구해진다.
그리고, 색 얼룩 보정량 정보 생성부(165)는, 색 얼룩 보정량을 나타내는 보정 데이터를 생성한다(단계 S28). 보다 구체적으로는, 색 얼룩 보정량 정보 생성부(165)는 이하에 나타내는 수법으로 보정 데이터를 생성한다.
전단 처리부(122)는, 예를 들면 1차원 룩업 테이블을 이용한 변환 기능 f를 이용하여, 화상 신호값인 S2(R2, G2, B2)를 화상 신호값 S3(n)으로 변환한다. 또, S3(n)=R3(n), G3(n), B3(n)이다. 이 변환 기능을 f라고 했을 경우, S3=f(S2)이다.
또한, 색 얼룩 보정부(130)는, 예컨대, 화소 블록마다, 또한, RGB마다 1차원 룩업 테이블을 갖는다. 이 경우, 색 얼룩 보정부(130)는, 화소 블록 n용의 1차원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화상 신호값인 S3(n)을 S4(n)으로 변환한다. 또, S4(n)=R4(n), G4(n), B4(n)이다. 또한, 이 변환 기능을 h라고 했을 경우, S4(n)=h{S3(n)}이 된다.
또한, 후단 처리부(134)는, 예컨대, 공간 광 변조 소자의 입출력 특성 조정 등을 위한 1차원 룩업 테이블을 갖는다. 후단 처리부(134)의 변환 기능을 j라고 했을 경우, S5=j(S4)이다. 또, S5=R5, G5, B5이다.
이것들을 정리하면, 후단 처리부(134)로부터의 출력 S5=j{h[f(S2)]}이 된다.
색 얼룩 보정량 정보 생성부(165)는 누설 광의 최대 출력 추정값에 관한 비율만큼 출력이 감소하도록 색 얼룩 보정량 정보를 생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예컨대, 화상 블록 n, Y계 색의 B값이 b인 경우에 있어서는, B색의 누설 광의 최대 출력 추정값에 관한 비율은 PBb(n)이다. 이 경우, 후단 처리부(134)가 출력해야 할 B값인 B5'b(n)은 원래의 B값인 B5b(n)으로부터 누설 광만큼을 뺀 값이다. 즉, 다음과 같다. 이것을 수학식 2라고 한다.
또, 여기에서, B5b(n)는, Y계 색의 B값이 b에서 화상 블록 n인 경우의 화상 신호값 b5의 값이며, B5max는, Y계 색의 B값이 최대 출력값인 255인 경우의 화상 신호값 b5의 값이다.
또한, 색 얼룩 보정부(130)에서의 색 얼룩 보정량을 C라고 하면, 색 얼룩 보정부(130)의 후단 처리부(134)에 출력하는 색 얼룩 보정 후의 S4(n)인 S4'(n)는, S4'(n)=h[f(B2)]-C로 된다.
이 경우, 후단 처리부(134)가 출력해야 할 B값인 B5'b(n)는, B5'b(n)=j{S4'(n)}이다.
이 수식을 변형하면 다음과 같다. 이것을 수학식 3이라고 한다.
수학식 2와 수학식 3으로부터 이하의 수학식 4가 유도된다.
그러나, 색 얼룩 보정량 C는 B5b(n)이 B5max*PBb(n) 이상인 경우, C=h[f(B2)]-j-1{B5b(n)max*PBb(n)}이 되고, B5b(n)이 B5max*PBb(n) 미만인 경우 C=h[f(B2)]이 된다.
색 얼룩 보정할 아버지정보 생성부(165)는, 이하의 순서에 의해, 화소 블록마다, RGB마다, 또한, 소정 출력값마다 색 얼룩 보정량 C를 연산하고, 색 얼룩 보정량 C를 나타내는 색 얼룩 보정량 정보를 생성해서 색 얼룩 보정부(130)에 출력한다.
색 얼룩 보정부(130)는, 당해 색 얼룩 보정량 정보에 근거하여, 색 얼룩 보정용 데이터를 갱신하고, 색 얼룩 보정용 데이터에 근거하여, 화상의 색 얼룩을 보정한다(단계 S29).
보다 구체적으로는, 색 얼룩 보정부(130)는, 색 얼룩 보정량 C에 근거하여, h[f(S2)]-C를 연산해서 색 얼룩 보정용 데이터(예컨대, R색, G색, B색의 개별의 1차원 룩업 테이블 등)를 갱신한다.
그리고, 색 얼룩 보정부(130)는, 색 얼룩을 보정하기 위한, 갱신한 색 얼룩 보정용 데이터에 근거하여, 화상의 색 얼룩을 보정하기 위해서, 화상 신호(R3, G3, B3)를 화상 신호(R4, G4, B4)로 변환한다.
그리고, 후단 처리부(134)는, 당해 화상 신호(R4, G4, B4)에 근거하여, 입출력 특성의 조정 등을 행하여 화상 신호(R5, G5, B5)를 생성한다. 또한, 출력 신호처리부(140)는, 당해 디지털 화상 신호(R5, G5, B5)를 아날로그 화상 신호(R6, G6, B6)로 변환한다.
그리고, 화상 투사부(190)는, 색 얼룩이 보정되어, 입출력 특성의 조정 등이 행하여진 화상 신호(R6, G6, B 6)에 근거하여, 화상을 투사한다(단계 S30).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프로젝터(20)는, Y색, M색, C색을 기준으로 한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적용함으로써, 다른 색의 영향을 받지 않고 각 원색(R색, G색, B색)의 누설 광량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젝터(20)는, 원색 광량을 구하고, 당해 원색 광량으로부터 색 얼룩의 보정량을 구할 수 있기 때문에, 누설 광의 영향을 저감해서 보다 적절하게 색 얼룩을 보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20)는, 시간 경과에 따른 열화에 의한 색 얼룩 등을 보정할 수 있으므로, 특히, 예컨대, 전시회장과 같이 장기간 연속해서 화상을 투사할 경우에도, 화질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시간 경과에 따른 열화에 의해 프로젝터(20)를 수리하거나, 프로젝터(20)의 광학 부품을 교환하거나 하는 빈도를 줄일 수 있고, 장기간에 걸쳐 프로젝터(20)를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프로젝터(20)는, 화상 신호값(L값, M값, S값 등)의 비율이 최대가 되는 화소 블록을 이용함으로써, 가장 누설 광의 영향이 적은 화소 블록을 기준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20)는, 상기 비율이 최대로 된 화소 블록에서의 화상 신호값과, 다른 화소 블록에서의 화상 신호값을 비교함으로써, 다른 화소 블록에서 어느정도 누설 광이 발생하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다. 이로써, 프로젝터(20)는 적절하게 누설 광량을 파악할 수 있어, 색 얼룩을 적절하게 보정할 수 있다.
특히, 프로젝터(20)는, 연산을 실행할 때에, 누설 광이 없는 백색광의 캘리브레이션 화상 촬상 시의 화상 신호값 C색 등의 캘리브레이션 화상 촬상 시의 화상 신호값의 비율을 채용함으로써, 스크린(10)의 색 등의 영향을 제거하고, 프로젝터(20)의 투사 각도에 의하지 않고 색 얼룩 보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원색 광량 정보 생성부(166)는, 연산을 실행할 때에, b가 0 출력인 Y색, g가 0 출력인 M색, r이 0 출력인 C색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인 경우의 출력값과, 캘리브레이션 화상인가 백색인 경우의 출력값의 비율이 최대가 되는 화소 블록의 화상 정보를 채용함으로써, 누설 광에 의한 색 얼룩이 발생하고 있는 상황하에서도, 누설 광에 의한 색 얼룩을 포함하지 않는 원색 광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20)는, 촬상 정보로서 LMS값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XYZ값 등을 이용할 경우와 비교하여, 간단하고 고속으로 색 얼룩을 보정할 수 있다.
(변형예)
이상, 본 발명을 적용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해 왔지만, 본 발명의 적용은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외광(80) 등의 사용 상황에 의한 영향을 저감하는 것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공간 광 변조기(192) 등의 광학계의 시간 경과에 따른 열화는 사용 시간에 의존하고, 사용 상황에는 거의 의존하지 않는다.
따라서, 프로젝터(20)는, 미리 광학계의 시간 경과에 따른 열화에 의한 영향을 저감하기 위한 보정을 행하고, 이 보정을 행했는 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보정 이력 정보를 보정 기억부(132)에 기억시켜 두어도 좋다.
그리고, 실제로 사용된 시점에서, 프로젝터(20)는, 보정 기억부(132) 내의 보정 이력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보정을 행하고 있을 경우에는, 외광(80) 등의 영향을 저감하기 위한 보정을 행하고, 상기 보정을 행하지 않고 있을 경우에는, 광학계의 열화에 대한 보정과, 외광(80) 등의 영향을 저감하기 위한 보정을 행해도 좋다.
이것에 의하면, 프로젝터(20)는, 시간 경과에 따른 열화에 의한 영향을 저감 할 수 있기 때문에, 실제로 사용되는 시점에서의 보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색 얼룩 보정을 예로 채용해 설명했지만, 색 보정(색조 및 밝기의 보정)이나 투사 영역(12)에서의 색이나 밝기의 차이에 근거하는 화상 왜곡 보정 등을 실행할 경우에도 본 발명은 유효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원색으로서 RGB을 이용했지만, 예컨대, XYZ나 CMY 등의 RGB 이외의 표색계를 채용해도 좋다.
또한, 예컨대,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특징값으로서 평균값을 이용했지만, 예컨대, 화소 블록의 중앙의 화소의 화상 신호값, 최대값, 최소값, 도수 분포에서의 도수의 가장 큰 값 등을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상술한 수학식은 일 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얻기 위한 수학식은 상술한 수학식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예컨대,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화상 처리 시스템을 프로젝터(20)에 실장한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프로젝터(20) 이외에도 CRT(Cathode Ray Tube) 등의 각 종 화상 표시 장치에 실장해도 좋다. 또한, 프로젝터(20)로서는, 액정 프로젝터 이외에도, 예컨대,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를 이용한 프로젝터 등을 이용하여도 좋다. 또, DMD는 미국 텍사스 인스트루먼트사의 상표이다.
또한, 상술한 프로젝터(20)의 기능은, 예컨대, 프로젝터 단체(單體)로 실장해도 좋고, 복수의 처리 장치로 분산되어서(예컨대, 프로젝터와 PC로 분산 처리) 실장해도 좋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르면, 장기간 사용할 경우에도 적절하게 화상의 색 재현을 행할 수 있는 화상 처리 시스템, 프로젝터, 프로그램, 정보 기억 매체 및 화상 처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누설 광의 영향을 저감해서 보다 적절하게 색 얼룩을 보정할 수 있는 화상 처리 시스템, 프로젝터, 정보 기억 매체 및 화상 처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6)

  1. 백색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캘리브레이션 신호와, 백색으로부터 백색을 구성하는 복수 종류의 원색 중 하나의 원색을 소정 값만큼 감소시킨 원색 감소색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캘리브레이션 신호를 생성하는 캘리브레이션 신호 생성 수단과,
    당해 캘리브레이션 신호에 근거해서 각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각각 다른 시점에서 표시하는 화상 표시 수단과,
    표시된 각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촬상해서 촬상 신호값을 생성하는 촬상 수단과,
    상기 백색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촬상 신호값과, 상기 원색 감소색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촬상 신호값의 차분값을 연산하여, 당해 차분값과, 당해 원색 감소색의 원색의 입출력 특성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소정 값만큼 감소시킨 원색의 최고 출력값의 화상으로서, 또한, 외광의 영향을 받고 있지 않는 화상의 추측 촬상 신호값을 상기 원색의 종별마다 연산하는 원색량 정보 생성 수단과,
    상기 복수 종류의 원색의 최고 출력값의 추측 촬상 신호값의 합계값과, 상기 백색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촬상 신호값의 차분값을 연산하여, 당해 차분값을 외광량을 나타내는 외광량 정보로서 생성하는 외광량 정보 생성 수단과,
    당해 외광량 정보와, 상기 복수 종류의 원색의 추측 촬상 신호값에 근거하여, 외광의 영향을 저감해서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서, 입력 화상 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보정을 행하는 보정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캘리브레이션 신호 생성 수단은, 상기 복수 종류의 각 원색에 대해서 각각 소정 값만큼 감소시킨 원색 감소색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용의 캘리브레이션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화상 표시 수단은, 상기 보정 수단에 의해 보정된 화상 신호에 근거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시스템.
  2. 제 1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캘리브레이션 신호와, 색을 규정하는 복수 종류의 원색의 비율이 제 1 캘리브레이션 화상과 동일하고, 또한, 제 1 캘리브레이션 화상과는 다른 색인 제 2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캘리브레이션 신호를 생성하는 캘리브레이션 신호 생성 수단과,
    각 캘리브레이션 신호에 근거해서 각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각각 다른 시점에서 표시하는 화상 표시 수단과,
    표시된 각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촬상해서 촬상 신호값을 생성하는 촬상 수단과,
    상기 제 1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촬상 신호값과 상기 제 2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촬상 신호값의 차분값을 연산하고, 당해 차분값과, 제 1 캘리브레이션 화상의출력값과 제 2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출력값의 차분값과, 상기 복수 종류의 원색의 입출력 특성 정보에 근거하여, 외광의 영향을 받고 있지 않는 상기 제 1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추측 촬상 신호값 또는 외광의 영향을 받고 있지 않는 상기 제 2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추측 촬상 신호값을 생성하는 표시색 정보 생성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으로부터의 제 1 또는 제 2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촬상 신호값과, 상기 표시색 정보 생성 수단으로부터의 제 1 또는 제 2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추측 촬상 신호값의 차분값을 연산하고, 당해 차분값을 외광량을 나타내는 외광량 정보로서 생성하는 외광량 정보 생성 수단과,
    당해 외광량 정보에 근거하여, 외광의 영향을 저감해서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서, 입력 화상 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보정을 행하는 보정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화상 표시 수단은, 상기 보정 수단에 의해 보정된 화상 신호에 근거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색 정보 생성 수단으로부터의 제 1 또는 제 2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추측 촬상 신호값에 근거하여, 외광의 영향을 받고 있지 않는 상기 복수 종류의 원색의 최고 출력값의 추측 촬상 신호값을 연산하는 원색량 정보 생성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보정 수단은, 상기 외광량 정보와, 상기 복수 종류의 원색의 추측 촬상 신호값에 근거하여, 입력 화상 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보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시스템.
  4. 청구항 1에 기재된 화상 처리 시스템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5.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기재된 화상 처리 시스템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6.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정보 기억 매체로서,
    컴퓨터를,
    백색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캘리브레이션 신호와, 백색으로부터 백색을 구성하는 복수 종류의 원색 중 하나의 원색을 소정 값만큼 감소시킨 원색 감소색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캘리브레이션 신호를 생성하는 캘리브레이션 신호 생성 수단과,
    당해 캘리브레이션 신호에 근거해서 각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각각 다른 시점에서 표시하는 화상 표시 수단과,
    표시된 각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촬상해서 촬상 신호값을 생성하는 촬상 수단과,
    상기 백색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촬상 신호값과, 상기 원색 감소색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촬상 신호값의 차분값을 연산하고, 당해 차분값과, 당해 원색 감소색의 원색의 입출력 특성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소정 값만큼 감소시킨 원색의 최고 출력값의 화상으로서, 또한, 외광의 영향을 받고 있지 않는 화상의 추측 촬상 신호값을 상기 원색의 종별마다 연산하는 원색량 정보 생성 수단과,
    상기 복수 종류의 원색의 최고 출력값의 추측 촬상 신호값의 합계값과, 상기 백색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촬상 신호값의 차분값을 연산하고, 당해 차분값을 외광량을 나타내는 외광량 정보로서 생성하는 외광량 정보 생성 수단과,
    당해 외광량 정보와, 상기 복수 종류의 원색의 추측 촬상 신호값에 근거하여, 외광의 영향을 저감해서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서, 입력 화상 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보정을 행하는 보정 수단
    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상기 캘리브레이션 신호 생성 수단은, 상기 복수 종류의 각 원색에 대해서 각각 소정 값만큼 감소시킨 원색 감소색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용의 캘리브레이션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화상 표시 수단은, 상기 보정 수단에 의해 보정된 화상 신호에 근거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기억 매체.
  7.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정보 기억 매체로서,
    컴퓨터를,
    제 1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캘리브레이션 신호와, 색을 규정하는 복수 종류의 원색의 비율이 제 1 캘리브레이션 화상과 동일하고, 또한, 제 1 캘리브레이션 화상과는 다른 색인 제 2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캘리브레이션 신호를 생성하는 캘리브레이션 신호 생성 수단과,
    각 캘리브레이션 신호에 근거해서 각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각각 다른 시점에서 표시하는 화상 표시 수단과,
    표시된 각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촬상해서 촬상 신호값을 생성하는 촬상 수단과,
    상기 제 1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촬상 신호값과, 상기 제 2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촬상 신호값의 차분값을 연산하고, 당해 차분값과, 제 1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출력값과 제 2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출력값의 차분값과, 상기 복수 종류의 원색의 입출력 특성 정보에 근거하여, 외광의 영향을 받고 있지 않는 상기 제 1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추측 촬상 신호값 또는 외광의 영향을 받고 있지 않는 상기 제 2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추측 촬상 신호값을 생성하는 표시색 정보 생성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으로부터의 제 1 또는 제 2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촬상 신호값과, 상기 표시색 정보 생성 수단으로부터의 제 1 또는 제 2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추측 촬상 신호값의 차분값을 연산하고, 당해 차분값을 외광량을 나타내는 외광량 정보로서 생성하는 외광량 정보 생성 수단과,
    당해 외광량 정보에 근거하여, 외광의 영향을 저감해서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서, 입력 화상 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보정을 행하는 보정 수단
    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상기 화상 표시 수단은, 상기 보정 수단에 의해 보정된 화상 신호에 근거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기억 매체.
  8. 백색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표시하고,
    당해 백색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촬상해서 촬상 신호값을 생성하고,
    백색으로부터 백색을 구성하는 복수 종류의 원색 중 하나의 원색을 소정 값만큼 감소시킨 원색 감소색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표시하는 처리와, 당해 원색 감소색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촬상해서 촬상 신호값을 생성하는 처리를 각 원색에 대하여 반복하여 실행하고,
    상기 백색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촬상 신호값과, 상기 원색 감소색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촬상 신호값의 차분값을 연산하고,
    당해 차분값과, 당해 원색 감소색의 원색의 입출력 특성 정보에 근거하여,상기 소정 값만큼 감소시킨 원색의 최고 출력값의 화상으로서, 또한, 외광의 영향을 받고 있지 않는 화상의 추측 촬상 신호값을 상기 원색의 종별마다 연산하고,
    상기 복수 종류의 원색의 최고 출력값의 추측 촬상 신호값의 합계값과, 상기 백색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촬상 신호값의 차분값을 연산하고,
    당해 차분값을 외광량을 나타내는 외광량 정보로서 생성하고,
    당해 외광량 정보와, 상기 복수 종류의 원색의 추측 촬상 신호값에 근거하여, 외광의 영향을 저감해서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서, 입력 화상 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보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9. 제 1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표시하고,
    표시한 제 1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촬상해서 촬상 신호값을 생성하고,
    색을 규정하는 복수 종류의 원색의 비율이 제 1 캘리브레이션 화상과 동일하고, 또한, 제 1 캘리브레이션 화상과는 다른 색인 제 2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표시하고,
    표시한 제 2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촬상해서 촬상 신호값을 생성하고,
    상기 제 1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촬상 신호값과, 상기 제 2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촬상 신호값의 차분값을 연산하고,
    당해 차분값과, 제 1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출력값과 제 2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출력값의 차분값과, 상기 복수 종류의 원색의 입출력 특성 정보에 근거하여, 외광의 영향을 받고 있지 않는 상기 제 1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추측 촬상 신호값 또는 외광의 영향을 받고 있지 않는 상기 제 2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추측 촬상 신호값을 생성하고,
    제 1 또는 제 2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촬상 신호값과, 제 1 또는 제 2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추측 촬상 신호값의 차분값을 연산하고, 당해 차분값을 외광량을 나타내는 외광량 정보로서 생성하고,
    당해 외광량 정보에 근거하여, 외광의 영향을 저감해서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서, 입력 화상 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보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10. Y색, M색 및 C색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출력값을 변화시키면서 표시하기 위해서, Y색의 B값을 변화시킨 Y계 색, M색의 G값을 변화시킨 M계 색, C색의 R값을 변화시킨 C계 색의 캘리브레이션 신호를 생성하는 캘리브레이션 신호 생성 수단과,
    당해 캘리브레이션 신호에 근거해서 각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각각 다른 시점에서 표시하는 화상 표시 수단과,
    표시된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촬상해서 촬상 정보를 생성하는 촬상 수단과,
    당해 촬상 정보에 근거하여, 촬영 화상에서의 화상 표시 영역을 추출하는 화상 표시 영역 추출 수단과,
    당해 화상 표시 영역을 복수의 화소 블록으로 구분하고, 또한 소정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촬상 정보에 근거하여, 각 화소 블록의 화상 신호값의 특징값을 나타내는 화소 블록 화상 정보를 생성하는 화소 블록 화상 정보 생성 수단과,
    당해 화소 블록 화상 정보에 근거하여, 각 화소 블록에서의 R색, G색, B색 각각의 누설 광의 영향도를 나타내는 누설 광 영향도 정보를 생성하고, 또한 당해 누설 광 영향도 정보와, 상기 화소 블록 화상 정보에 근거하여, 당해 화소 블록에서의 누설 광량을 나타내는 누설 광량 정보를 생성하는 누설 광량 정보 생성 수단과,
    상기 누설 광 영향도 정보와, 상기 화소 블록 화상 정보에 근거하여, 각 화소 블록에서의 R색, G색, B색 각각의 누설 광이 없는 원색 광량을 나타내는 원색 광량 정보를 생성하는 원색 광량 정보 생성 수단과,
    당해 원색 광량 정보와, 상기 누설 광량 정보에 근거하여, 색 얼룩 보정용 데이터의 보정량을 나타내는 보정량 정보를 생성하는 보정량 정보 생성 수단과,
    당해 보정량 정보에 근거하여, 색 얼룩 보정용 데이터를 보정하고, 또한 보정한 색 얼룩 보정용 데이터에 근거하여, 화상의 색 얼룩을 보정하는 색 얼룩 보정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화상 표시 수단은, 상기 색 얼룩 보정 수단에 의해 색 얼룩이 보정된 화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 광량 정보 생성 수단은, 누설 광이 없는 화소 블록을 기준으로 하여 누설 광량을 연산하기 위해서, 백색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촬상 화상에서의 소정 화소 블록의 화소 블록 화상 정보에 포함되는 제 1 특징값 및 백색 이외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당해 소정 화소 블록의 화소 블록 화상 정보에 포함되는 제 2 특징값과, 제 1 특징값/제 2 특징값이 최대인 화소 블록의 제 1 특징값 및 제 2 특징값의 차이에 근거하여, 상기 누설 광 영향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색 광량 정보 생성 수단은, 소정 화소 블록에서의 B색, G색 및 R색의 누설 광 영향도 정보와, 당해 소정 화소 블록에서의 Y색, M색 및 C색의 화소 블록 화상 정보에 근거하여, 누설 광이 없는 상태의 Y색, M색 및 C색의 화소 블록 화상 정보를 생성하고, 또한, 당해 누설 광이 없는 상태의 Y색, M색 및 C색의 화소 블록 화상 정보의 화상 신호값과, 당해 소정 화소 블록에서의 백색의 화소 블록 화상 정보의 화상 신호값에 근거하여, 누설 광이 없는 상태의 B색, G색 및 R색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촬상한 경우의 당해 소정 화소 블록에서의 화소 블록 화상 정보의 화상 신호값을 나타내는 원색 광량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량 정보 생성 수단은, 상기 원색 광량 정보에 포함되는 화상 신호값과, 상기 누설 광량 정보로 표시되는 누설 광량에 근거하여, 원색 광의 최대 출력값에 대한 누설 광량의 비율을 연산하고, 당해 비율과 입출력 특성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보정량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시스템.
  14. 청구항 10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상 처리 시스템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15.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정보 기억 매체로서,
    컴퓨터를,
    Y색, M색 및 C색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출력값을 변화시키면서 표시하기 위해서, Y색의 B값을 변화시킨 Y계 색, M색의 G값을 변화시킨 M계 색, C색의 R값을 변화시킨 C계 색의 캘리브레이션 신호를 생성하는 캘리브레이션 신호 생성 수단과,
    당해 캘리브레이션 신호에 근거해서 각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각각 다른 시점에서 표시하는 화상 표시 수단과,
    표시된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촬상해서 촬상 정보를 생성하는 촬상 수단과,
    당해 촬상 정보에 근거하여, 촬영 화상에서의 화상 표시 영역을 추출하는 화상 표시 영역 추출 수단과,
    당해 화상 표시 영역을 복수의 화소 블록으로 구분하고, 또한, 소정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촬상 정보에 근거하여, 각 화소 블록의 화상 신호값의 특징값을 나타내는 화소 블록 화상 정보를 생성하는 화소 블록 화상 정보 생성 수단과,
    당해 화소 블록 화상 정보에 근거하여, 각 화소 블록에서의 R색, G색, B색 각각의 누설 광의 영향도를 나타내는 누설 광 영향도 정보를 생성하고, 또한, 당해 누설 광 영향도 정보와, 상기 화소 블록 화상 정보에 근거하여, 당해 화소 블록에서의 누설 광량을 나타내는 누설 광량 정보를 생성하는 누설 광량 정보 생성 수단과,
    상기 누설 광 영향도 정보와, 상기 화소 블록 화상 정보에 근거하여, 각 화소 블록에서의 R색, G색, B색 각각의 누설 광이 없는 원색 광량을 나타내는 원색 광량 정보를 생성하는 원색 광량 정보 생성 수단과,
    당해 원색 광량 정보와, 상기 누설 광량 정보에 근거하여, 색 얼룩 보정용 데이터의 보정량을 나타내는 보정량 정보를 생성하는 보정량 정보 생성 수단과,
    당해 보정량 정보에 근거하여, 색 얼룩 보정용 데이터를 보정하고, 또한, 보정한 색 얼룩 보정용 데이터에 근거하여, 화상의 색 얼룩을 보정하는 색 얼룩 보정 수단
    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상기 화상 표시 수단은, 상기 색 얼룩 보정 수단에 의해 색 얼룩이 보정된 화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기억 매체.
  16. Y색, M색 및 C색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출력값을 변화시키면서 표시하기 위해서, Y색의 B값을 변화시킨 Y계 색, M색의 G값을 변화시킨 M계 색, C색의 R값을 변화시킨 C계 색의 캘리브레이션 신호를 생성하고,
    당해 캘리브레이션 신호에 근거해서 각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각각 다른 시점에서 표시하고,
    표시된 캘리브레이션 화상을 촬상해서 촬상 정보를 생성하고,
    당해 촬상 정보에 근거하여, 촬영 화상에서의 화상 표시 영역을 추출하고,
    당해 화상 표시 영역을 복수의 화소 블록으로 구분하고, 또한, 소정의 캘리브레이션 화상의 촬상 정보에 근거하여, 각 화소 블록의 화상 신호값의 특징값을 나타내는 화소 블록 화상 정보를 생성하고,
    당해 화소 블록 화상 정보에 근거하여, 각 화소 블록에서의 R색, G색, B색 각각의 누설 광의 영향도를 나타내는 누설 광 영향도 정보를 생성하고,
    당해 누설 광 영향도 정보와, 상기 화소 블록 화상 정보에 근거하여, 당해 화소 블록에서의 누설 광량을 나타내는 누설 광량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누설 광 영향도 정보와 상기 화소 블록 화상 정보에 근거하여, 각 화소 블록에서의 R색, G색, B색 각각의 누설 광이 없는 원색 광량을 나타내는 원색 광량 정보를 생성하고,
    당해 원색 광량 정보와, 상기 누설 광량 정보에 근거하여, 색 얼룩 보정용 데이터의 보정량을 나타내는 보정량 정보를 생성하고,
    당해 보정량 정보에 근거하여, 색 얼룩 보정용 데이터를 보정하고, 또한, 보정한 색 얼룩 보정용 데이터에 근거하여, 화상의 색 얼룩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KR1020040034460A 2003-05-16 2004-05-14 화상 처리 시스템, 프로젝터, 정보 기억 매체 및 화상처리 방법 KR1006002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38173A JP3731666B2 (ja) 2003-05-16 2003-05-16 画像処理システム、プロジェクタ、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JP-P-2003-00138173 2003-05-16
JPJP-P-2003-00150850 2003-05-28
JP2003150850A JP3731667B2 (ja) 2003-05-28 2003-05-28 画像処理システム、プロジェクタ、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および画像処理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9166A true KR20040099166A (ko) 2004-11-26
KR100600228B1 KR100600228B1 (ko) 2006-07-13

Family

ID=33032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4460A KR100600228B1 (ko) 2003-05-16 2004-05-14 화상 처리 시스템, 프로젝터, 정보 기억 매체 및 화상처리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7061506B2 (ko)
EP (2) EP1478192B1 (ko)
KR (1) KR100600228B1 (ko)
CN (1) CN100426325C (ko)
DE (2) DE602004026958D1 (ko)
TW (1) TWI249959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214B1 (ko) * 2005-04-07 2007-06-11 주식회사 와이드 모니터의 화면 보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US9022576B2 (en) 2006-08-10 2015-05-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correction apparatus, method and mediu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80557B2 (ja) * 2005-02-15 2009-12-09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チャート画像の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7163725A (ja) * 2005-12-13 2007-06-28 Seiko Epson Corp 画像表示システム、画像表示方法、情報処理装置、画像表示装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8058574A (ja) * 2006-08-31 2008-03-13 Seiko Epson Corp 画像表示システ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4692531B2 (ja) * 2007-09-13 2011-06-0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投影装置及び光測距方法。
JP5430950B2 (ja) * 2008-04-01 2014-03-05 ミツミ電機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WO2009134229A1 (en) * 2008-05-02 2009-11-05 Thomson Licens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automated color management in digital cinema
US20100079503A1 (en) * 2008-09-30 2010-04-0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olor Correction Based on Light Intensity in Imaging Systems
JP4479845B2 (ja) * 2008-09-30 2010-06-09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画像補正装置、画像補正方法、画像補正プログラム
JP5430254B2 (ja) * 2009-07-01 2014-02-2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8400468B2 (en) * 2009-08-27 2013-03-19 Seiko Epson Corporation Projector masks for calibrating projector-based display systems
US8201950B2 (en) * 2009-08-27 2012-06-19 Seiko Epson Corporation Camera-based registration for projector display systems
US8368803B2 (en) * 2009-09-10 2013-02-05 Seiko Epson Corporation Setting exposure attributes for capturing calibration images
US8503776B2 (en) * 2009-10-09 2013-08-0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display information for color calibration of display device
JP5338718B2 (ja) * 2010-02-26 2013-11-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補正情報算出装置、画像処理装置、画像表示システム、および画像補正方法
JP5440250B2 (ja) * 2010-02-26 2014-03-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補正情報算出装置、画像処理装置、画像表示システム、および画像補正方法
US8262229B2 (en) * 2010-03-22 2012-09-11 Seiko Epson Corporation Multi-projector display system calibration
CN101917631B (zh) * 2010-07-30 2012-04-25 浙江大学 一种在日常照明环境下的投影显示颜色再现方法
CN102540681A (zh) * 2010-12-15 2012-07-0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投影仪及其投影画面自动调整方法
CN102611822B (zh) * 2012-03-14 2015-07-01 海信集团有限公司 投影仪及其投影图像校正方法
CN102547306B (zh) * 2012-03-14 2014-05-14 海信集团有限公司 投影仪及其投影图像颜色校正方法
EP2663080A1 (en) * 2012-05-11 2013-11-13 ST-Ericsson SA Image projection method on a color non neutral projection surface
US9495936B1 (en) * 2012-09-21 2016-11-15 Amazon Technologies, Inc. Image correction based on projection surface color
WO2014071302A1 (en) * 2012-11-02 2014-05-08 Variable, Inc. Computer-implemented system and method for color sensing, storage and comparison
CN103561223B (zh) * 2013-09-05 2016-10-05 苏州佳世达光电有限公司 根据显示背景进行投影的方法及系统
US9232201B2 (en) * 2013-12-30 2016-01-05 Lenovo (Singapore) Pte. Ltd. Dynamic projected image color correction based on projected surface coloration
JP6228469B2 (ja) * 2014-01-20 2017-11-08 株式会社東芝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投影装置
KR20150119515A (ko) * 2014-04-15 2015-10-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조명 순응 기반 영상 보정 방법, 이를 채용한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CN104977739B (zh) * 2015-07-17 2018-09-1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控制方法及显示控制装置、显示系统
US20170094238A1 (en) * 2015-09-30 2017-03-30 Hand Held Products, Inc. Self-calibrating projection apparatus and process
KR102402051B1 (ko) * 2015-10-12 2022-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그의 디스플레이 장치 보정 방법 및 보정 시스템
EP3424403B1 (en) * 2016-03-03 2024-04-24 Sony Group Corporation Medical image processing device, system, method, and program
CN105702227B (zh) * 2016-03-08 2018-06-01 上海大学 一种rgb信号数据到rgbw信号数据的转换系统
US10871884B1 (en) * 2018-03-09 2020-12-22 Amazon Technologies, Inc. Product image characteristic detection and manipulation
US10746599B2 (en) 2018-10-30 2020-08-18 Variable, Inc. System and method for spectral interpolation using multiple illumination sources
CN110166755A (zh) * 2019-06-03 2019-08-23 广州二元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颜色侦测的投影颜色校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21494A (en) 1992-03-23 1994-06-14 Eastman Kodak Company Subtractive measure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CRT output intensity measurement
JPH06217242A (ja) 1993-01-14 1994-08-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表示装置
JPH1093984A (ja) 1996-09-12 1998-04-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投写型画像表示装置の画像補正装置
JP3514776B2 (ja) 1998-04-15 2004-03-31 三菱電機株式会社 マルチビジョンシステム
JP3707350B2 (ja) 2000-05-08 2005-10-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表示システム、プロジェクタ、画像処理方法および情報記憶媒体
JP2002072364A (ja) 2000-08-23 2002-03-12 Noritsu Koki Co Ltd 画像記録装置
JP4605987B2 (ja) * 2000-08-28 2011-01-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画像処理方法および情報記憶媒体
JP2002090880A (ja) 2000-09-20 2002-03-27 Seiko Epson Corp プロジェクタ
JP2002140060A (ja) 2000-11-01 2002-05-17 Seiko Epson Corp 画像表示システム
JP3692989B2 (ja) * 2000-11-13 2005-09-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表示システム、プロジェクタ、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記憶媒体
KR100396683B1 (ko) 2001-01-08 2003-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티브이의 화면밝기/색도 보정장치 및 방법
JP3729252B2 (ja) * 2001-03-26 2005-12-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記憶媒体
JP2002369227A (ja) 2001-06-08 2002-12-20 Chinon Ind Inc 輝度調整システム
JP3705180B2 (ja) 2001-09-27 2005-10-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表示システム、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3514257B2 (ja) 2002-05-20 2004-03-3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プロジェクタ、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記憶媒体
JP4200742B2 (ja) 2002-11-15 2008-12-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検出装置、画像検出方法、画像検出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214B1 (ko) * 2005-04-07 2007-06-11 주식회사 와이드 모니터의 화면 보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US9022576B2 (en) 2006-08-10 2015-05-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correction apparatus, method and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26325C (zh) 2008-10-15
US7417643B2 (en) 2008-08-26
KR100600228B1 (ko) 2006-07-13
CN1550866A (zh) 2004-12-01
US20060152529A1 (en) 2006-07-13
TWI249959B (en) 2006-02-21
US20050001986A1 (en) 2005-01-06
EP1791370A2 (en) 2007-05-30
DE602004032580D1 (de) 2011-06-16
EP1478192A3 (en) 2006-02-01
US20070222792A1 (en) 2007-09-27
DE602004026958D1 (de) 2010-06-17
EP1478192A2 (en) 2004-11-17
US7061506B2 (en) 2006-06-13
EP1791370B1 (en) 2011-05-04
TW200427339A (en) 2004-12-01
US7245307B2 (en) 2007-07-17
EP1791370A3 (en) 2007-08-08
EP1478192B1 (en) 2010-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0228B1 (ko) 화상 처리 시스템, 프로젝터, 정보 기억 매체 및 화상처리 방법
KR100577494B1 (ko) 화상 처리 시스템, 프로젝터 및 화상 처리 방법
JP3719411B2 (ja) 画像表示システム、プロジェクタ、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3775666B2 (ja) 画像表示装置
JP5157358B2 (ja) 画像表示システム、及び画像補正方法
JP2004226608A (ja) 画像処理システム、プロジェクタ、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3731666B2 (ja) 画像処理システム、プロジェクタ、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3515042B2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信号補正装置
JP5509610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2008139709A (ja) 色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101101328B1 (ko) 주위 밝기에 따른 영상 기기의 색 보정 장치 및 방법
JP2007171744A (ja) 画像表示システム、画像表示方法、情報処理装置、液晶表示装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H09138673A (ja) 色障害および輝度障害の補正方法および補正装置
JP3731667B2 (ja) 画像処理システム、プロジェクタ、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3675298B2 (ja) 表示装置
JP2009071783A (ja) 補正データ生成システム、補正データ生成方法
KR20060004687A (ko) 증가된 칼라 정밀도를 갖는 액정 프로젝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