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9515A - 조명 순응 기반 영상 보정 방법, 이를 채용한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조명 순응 기반 영상 보정 방법, 이를 채용한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9515A
KR20150119515A KR1020140044599A KR20140044599A KR20150119515A KR 20150119515 A KR20150119515 A KR 20150119515A KR 1020140044599 A KR1020140044599 A KR 1020140044599A KR 20140044599 A KR20140044599 A KR 20140044599A KR 20150119515 A KR20150119515 A KR 20150119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e
color space
image
image data
illum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4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목랑균
김학선
박원상
백종인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4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9515A/ko
Priority to US14/535,089 priority patent/US20150294485A1/en
Priority to CN201510015165.0A priority patent/CN105047147B/zh
Publication of KR20150119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95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56Processing of colour picture signals
    • H04N1/60Colour correction or control
    • H04N1/6083Colour correction or control controlled by factors external to the apparatus
    • H04N1/6088Colour correction or control controlled by factors external to the apparatus by viewing conditions, i.e. conditions at picture outpu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3Display of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6Colour space trans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조명 순응 기반 영상 보정 방법은 사용자가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영상을 시청하는 공간의 조명 환경을 분석하여 장파장 광에 대한 조명 순응 정도를 도출하고, 상기 영상을 구현하는 영상 데이터를 CIE-RGB 색공간에서 CIE-XYZ 색공간을 거쳐 CIE-LMS 색공간으로 변환시키며, CIE-LMS 색공간에서 영상 데이터에 장파장 광에 대한 조명 순응 정도를 적용함으로써 영상 데이터를 보정하고, 보정된 영상 데이터를 CIE-LMS 색공간에서 CIE-XYZ 색공간을 거쳐 CIE-RGB 색공간으로 역변환시킨다.

Description

조명 순응 기반 영상 보정 방법, 이를 채용한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METHOD OF COMPENSATING AN IMAGE BASED ON LIGHT ADAPTATION, DISPLAY DEVICE EMPLOYING THE SAME, AND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생체 시계(Bio-Clock)와 관련된 조명 순응 기반 영상 보정 방법, 이를 채용한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기기(예를 들어, 텔레비전,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가 제공하는 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시청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전자 기기에 구비된 표시 장치의 사용자에 대한 영향성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낮에는 인체 내부에서 세로토닌 호르몬이 생성되고, 밤에는 인체 내부에서 멜라토닌 호르몬이 생성된다. 이러한 멜라토닌 호르몬은 인체 내부에서 수면 유도 작용을 할 수 있다.
한편, 단파장(예를 들어, 중심파장이 464nm)의 광(예를 들어, 청색광)은 인체 내부에서 멜라토닌 호르몬이 생성되는 것을 억제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밤에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영상을 장시간 시청하는 경우, 사용자의 인체 내부에서 멜라토닌 호르몬의 생성이 억제되어 수면 장애가 야기될 수 있다. 이것은 단파장 광이 주광색에 가깝기 때문에 사용자의 뇌가 단파장 광을 낮으로 인식하기 때문이다.
다만, 현대인의 생활 패턴을 살펴볼 때 사용자가 밤에 전자 기기를 통해 영상을 시청하지 않을 수는 없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영상에 대한 보정을 인지하지 못하는 선에서 단파장 광에 의해 사용자의 인체 내부에서 멜라토닌 호르몬의 생성이 억제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사용자가 영상을 시청함에 따른 생체 시계에 대한 영향(예를 들어, 수면 장애 등)을 감소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사용자가 표시 장치에서 표시되는 영상에 대한 보정을 인지하지 못하는 선에서 단파장 광에 의해 사용자의 인체 내부에서 멜라토닌 호르몬의 생성이 억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조명 순응 기반 영상 보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조명 순응 기반 영상 보정 방법을 채용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표시 장치를 구비한 전자 기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조명 순응 기반 영상 보정 방법은 사용자가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영상을 시청하는 공간의 조명 환경을 분석하여 장파장 광에 대한 조명 순응 정도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영상을 구현하는 영상 데이터를 CIE-RGB 색공간에서 CIE-XYZ 색공간을 거쳐 CIE-LMS 색공간으로 변환시키는 단계, 상기 CIE-LMS 색공간에서 상기 영상 데이터에 상기 조명 순응 정도를 적용함으로써 상기 영상 데이터를 보정하는 단계, 및 보정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CIE-LMS 색공간에서 상기 CIE-XYZ 색공간을 거쳐 상기 CIE-RGB 색공간으로 역변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조명 순응 정도가 기 설정된 기준치보다 큰 경우에만 상기 영상 데이터가 보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장파장 광에 대한 현재 조명 순응 정도와 직전 조명 순응 정도의 차가 기 설정된 비교치보다 작은 경우, 상기 CIE-LMS 색공간에서 상기 영상 데이터에 상기 직전 조명 순응 정도가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조명 순응 정도가 클수록 상기 영상의 단파장 광의 휘도가 감소되게 상기 영상 데이터가 보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단파장 광의 상기 휘도가 감소될수록 상기 사용자의 인체 내부에 멜라토닌 호르몬의 생성은 증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표시 장치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인 경우, 상기 단파장 광의 상기 휘도가 감소될수록 상기 표시 장치의 수명은 증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단파장 광은 청색광을 포함하고, 상기 장파장 광은 적색광 및 녹색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픽셀(pixel)들을 구비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에 스캔 신호를 제공하는 스캔 구동 유닛, 상기 표시 패널에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는 데이터 구동 유닛, 상기 데이터 신호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상기 표시 패널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단파장 광의 휘도가 감소되도록 사용자의 장파장 광에 대한 조명 순응 정도에 기초하여 보정하는 영상 보정 유닛, 및 상기 스캔 구동 유닛, 상기 데이터 구동 유닛 및 상기 영상 보정 유닛을 제어하는 타이밍 제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영상 보정 유닛은 상기 타이밍 제어 유닛 및 상기 데이터 구동 유닛의 외부에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영상 보정 유닛은 상기 타이밍 제어 유닛의 내부에 구현되거나 또는 상기 데이터 구동 유닛의 내부에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에 고전원 전압과 저전원 전압을 제공하는 전원 공급 유닛을 구비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에 광(light)을 조사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영상 보정 유닛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영상을 시청하는 공간의 조명 환경을 분석하여 상기 조명 순응 정도를 도출하는 센싱 블록, 상기 영상 데이터를 CIE-RGB 색공간에서 CIE-XYZ 색공간을 거쳐 CIE-LMS 색공간으로 변환시키는 변환 블록, 상기 CIE-LMS 색공간에서 상기 영상 데이터에 상기 조명 순응 정도를 적용함으로써 상기 영상 데이터를 보정하는 보정 블록, 및 보정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CIE-LMS 색공간에서 상기 CIE-XYZ 색공간을 거쳐 상기 CIE-RGB 색공간으로 역변환시키는 역변환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영상 보정 유닛은 상기 조명 순응 정도가 기 설정된 기준치보다 큰 경우에만 상기 영상 데이터를 보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영상 보정 유닛은 상기 장파장 광에 대한 현재 조명 순응 정도와 직전 조명 순응 정도의 차가 기 설정된 비교치보다 작은 경우, 상기 CIE-LMS 색공간에서 상기 영상 데이터에 상기 직전 조명 순응 정도를 적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영상 보정 유닛은 상기 조명 순응 정도가 클수록 상기 영상의 상기 단파장 광의 상기 휘도가 감소되게 상기 영상 데이터를 보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단파장 광은 청색광을 포함하고, 상기 장파장 광은 적색광 및 녹색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기기는 표시 장치, 메모리 장치 및 상기 표시 장치와 상기 메모리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표시 장치는 복수의 픽셀(pixel)들을 구비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에 스캔 신호를 제공하는 스캔 구동 유닛, 상기 표시 패널에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는 데이터 구동 유닛, 상기 데이터 신호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상기 표시 패널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단파장 광의 휘도가 감소되도록 사용자의 장파장 광에 대한 조명 순응 정도에 기초하여 보정하는 영상 보정 유닛, 및 상기 스캔 구동 유닛, 상기 데이터 구동 유닛 및 상기 영상 보정 유닛을 제어하는 타이밍 제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영상 보정 유닛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영상을 시청하는 공간의 조명 환경을 분석하여 상기 조명 순응 정도를 도출하는 센싱 블록, 상기 영상 데이터를 CIE-RGB 색공간에서 CIE-XYZ 색공간을 거쳐 CIE-LMS 색공간으로 변환시키는 변환 블록, 상기 CIE-LMS 색공간에서 상기 영상 데이터에 상기 조명 순응 정도를 적용함으로써 상기 영상 데이터를 보정하는 보정 블록, 및 보정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CIE-LMS 색공간에서 상기 CIE-XYZ 색공간을 거쳐 상기 CIE-RGB 색공간으로 역변환시키는 역변환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패널 상에 표시되는 그래픽을 터치(touch) 또는 드래그(drag)함으로써 상기 조명 순응 정도가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조명 순응 기반 영상 보정 방법은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영상의 단파장 광의 휘도가 감소되도록 사용자의 장파장 광에 대한 조명 순응 정도에 기초하여 영상 데이터를 보정함으로써, 사용자가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영상에 대한 보정을 인지하지 못하는 선에서 사용자의 인체 내부에서 멜라토닌 호르몬의 생성이 억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가 영상을 시청함에 따른 생체 시계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예를 들어, 수면 장애 등)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 조명 순응 기반 영상 보정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영상에 대한 보정을 인지하지 못하는 선에서 사용자의 인체 내부에서 멜라토닌 호르몬의 생성이 억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가 영상을 시청함에 따른 생체 시계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은 감소될 수 있고, 상기 표시 장치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인 경우 필요 이상으로 발생하는 소비 전력 낭비 및 픽셀 열화는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기기는 상기 표시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영상을 시청함에 따른 생체 시계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언급한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조명 순응 기반 영상 보정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영상 보정 방법에 의해 영상 데이터가 보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영상 보정 방법에 적용되는 조명 환경에 따른 시감 곡선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도 1의 영상 보정 방법에 의해 장파장 광에 대한 조명 순응 정도가 영상 데이터에 적용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영상 보정 방법에 의해 보정된 영상 데이터에 따른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6의 표시 장치에 구비된 영상 보정 유닛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기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전자 기기가 스마트폰으로 구현된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의 전자 기기가 조명 순응 기반 영상 보정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2는 도 9의 전자 기기에 구비된 조명 순응 기반 영상 보정을 위한 광 소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9의 전자 기기에 구비된 조명 순응 기반 영상 보정을 위한 광 소스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9의 전자 기기에서 장파장 광에 대한 조명 순응 정도가 결정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5는 도 9의 전자 기기에서 사용자가 장파장 광에 대한 조명 순응 정도를 결정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9의 전자 기기에서 사용자가 장파장 광에 대한 조명 순응 정도를 결정하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 때,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조명 순응 기반 영상 보정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영상 보정 방법에 의해 영상 데이터가 보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영상 보정 방법에 적용되는 조명 환경에 따른 시감 곡선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도 1의 영상 보정 방법은 사용자가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영상을 시청하는 공간의 조명 환경을 분석하여 장파장 광에 대한 조명 순응 정도를 도출(S120)하고, 상기 영상을 구현하는 영상 데이터를 CIE-RGB 색공간(10)에서 CIE-XYZ 색공간(20)을 거쳐 CIE-LMS 색공간(30)으로 변환(S140)시키며, CIE-LMS 색공간(30)에서 상기 영상을 구현하는 영상 데이터에 장파장 광에 대한 조명 순응 정도를 적용함으로써 상기 영상을 구현하는 영상 데이터를 보정(S160)시키고, 보정된 영상 데이터를 CIE-LMS 색공간(30)에서 CIE-XYZ 색공간(20)을 거쳐 CIE-RGB 색공간(10)으로 역변환(S180)시킬 수 있다. 즉, 도 1의 영상 보정 방법은 국제 조명 위원회(international commission on illumination; CIE)에 의해 정의된 색공간들(10, 20, 30)을 이용하여 영상을 보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표시 장치에서 요구되는 중요한 특성 중 하나는 사용자가 눈으로 보는 물체에 대한 색을 사용자가 표시 장치를 통해서도 같은 색으로 인지해야 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암실 환경에서 평가된 표시 패널의 발광 특성이 알고리즘화되어 전자 기기(즉, 전자 기기 내의 표시 장치)에 내장되었다. 그러나, 사용자가 전자 기기를 사용하는 환경은 다양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영상을 시청하는 공간의 조명 환경에 의해 사용자는 동일한 색을 다르게 인지할 수 있다. 즉, 사람의 눈에 존재하는 원추 세포와 관련된 시감 곡선은 서로 독립적이기 때문에, 조명 환경에 의한 원추 세포의 자극 정도가 상이하여 색순응(즉, 조명 순응)에 의해 동일한 색이 다르게 인지될 수 있다. 한편, 사람의 눈에는 감광 작용을 하는 간상 세포와 원추 세포 외에도 멜라토닌 호르몬의 분비를 제어하는 세포(예를 들어, 시상하부 교차상핵)가 존재한다. 이 때, 상기 세포가 단파장(예를 들어, 대략 464nm 근처 파장) 광(예를 들어, 청색광(B))에 의해 자극을 받으면 멜라토닌 호르몬의 생성은 억제된다. 따라서, 단파장 광이 상대적으로 많이 존재하는 낮에는 멜라토닌 호르몬의 생성이 억제되기 때문에 사람이 피곤함을 느끼지 않고, 단파장 광이 상대적으로 적게 존재하는 밤에는 멜라토닌 호르몬이 생성되기 때문에 사람은 피곤함을 느껴 숙면을 취하게 된다.
하지만, 표시 장치에서 표시되는 영상은 적색광(R), 녹색광(G) 및 청색광(B)을 포함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영상을 시청하는 경우, 상기 영상은 사용자의 인체 내부에서 멜라토닌 호르몬의 변화를 야기하여 사용자의 생체 시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예를 들어, 단파장 광(예를 들어, 청색광(B))은 인체 내부에서 멜라토닌 호르몬이 생성되는 것을 억제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밤에 전자 기기를 통해 영상을 시청하는 경우, 사용자의 인체 내부에서 멜라토닌 호르몬의 생성이 억제되어 사용자는 수면 장애 등을 겪을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는 주거 조명 환경이 생체 시계에 대한 영향을 감소시키고 사람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도록 전구색 조명 환경으로 변하고 있다. 이 때, 전구색 조명 환경에서는 장파장 광(예를 들어, 적색광(R) 및 녹색광(G))이 우세하기 때문에, 장파장에 위치한 L 성분과 M 성분의 감도가 떨어져, 표시 장치에서 표시되는 영상은 상대적으로 푸르게 보이게 된다. 즉, 전구색 조명 환경에서는 색순응(즉, 조명 순응)에 의해 L 원추 세포와 M 원추 세포의 민감도가 감소하여 색(color)이 더 푸르게 인식되는 것이다. 따라서, 전구색 조명 환경에서는 표시 장치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단파장 광(예를 들어, 청색광(B))의 휘도를 감소시켜야만, 사용자가 전구색 조명 환경에서 인지하는 영상을 일반 조명 환경에서 인지하는 영상과 동일한 영상으로 인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의 영상 보정 방법은 사용자가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영상을 시청하는 공간의 조명 환경을 분석하여 장파장 광에 대한 조명 순응 정도를 도출(S120)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3은 사용자가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영상을 시청하는 공간의 조명 환경에 따라 시감 곡선이 변하는 일 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광색 조명 환경의 시감 곡선 그래프(40)에 비하여 전구색 조명 환경의 시감 곡선 그래프(50)에서는 전반적으로 L 원추 세포의 민감도, M 원추 세포의 민감도 및 S 원추 세포의 민감도가 감소된다. 일반적으로, 적색광(R)은 L 원추 세포와 관련되고, 녹색광(G)은 M 원추 세포와 관련되며, 청색광(B)은 S 원추 세포와 관련된다. 이 때, 주광색 조명 환경의 시감 곡선 그래프(40)와 전구색 조명 환경의 시감 곡선 그래프(50)를 비교해보면, 주광색 조명 환경에 비하여 전구색 조명 환경에서는 L 원추 세포의 민감도, M 원추 세포의 민감도 및 S 원추 세포의 민감도가 모두 감소되고 있으나, S 원추 세포의 민감도에 비하여 L 원추 세포의 민감도 및 M 원추 세포의 민감도가 크게 감소되고 있음을 확인(즉, SDP로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전구색 조명 환경에서는 색순응(즉, 조명 순응)에 의해 L 원추 세포의 민감도와 M 원추 세포의 민감도가 S 원추 세포의 민감도보다 더 감소하여, 동일한 조건에서 S 원추 세포와 관련된 청색광(B)이 우세해질 수 있다. 그 결과, 표시 장치에서 표시되는 영상은 상대적으로 푸르게 보이게 된다.
이후, 도 1의 영상 보정 방법은 영상을 구현하는 영상 데이터를 CIE-RGB 색공간(10)에서 CIE-XYZ 색공간(20)을 거쳐 CIE-LMS 색공간(30)으로 변환(즉, CONV로 표시)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영상을 시청하는 공간의 조명 환경을 분석하면, 장파장 광에 대한 조명 순응 정도(예를 들어, L 원추 세포의 민감도 및 M 원추 세포의 민감도의 변화 정도)가 도출되기 때문에, 장파장 광에 대한 조명 순응 정도를 기초로 영상 데이터를 보정하기 위해 CIE-RGB 색공간(10)으로 표현된 영상 데이터가 CIE-LMS 색공간(30)으로 표현되어야 한다. 이 때, 영상을 구현하는 영상 데이터가 CIE-RGB 색공간(10)에서 CIE-XYZ 색공간(20)을 거쳐 CIE-LMS 색공간(30)으로 변환(즉, CONV로 표시)되는 것은 국제 조명 위원회(CIE)의 컬러 어피어런스 모델(color appearance model)인 CIECAM02를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을 구현하는 영상 데이터가 CIE-RGB 색공간(10)에서 CIE-XYZ 색공간(20)을 거쳐 CIE-LMS 색공간(30)으로 변환(즉, CONV로 표시)되는 것은 아래 [수식 1]과 [수식 2]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수식 1]
Figure pat00001
,
Figure pat00002
(단, R, G, B는 CIE-RGB 색공간으로 표현된 영상 데이터를 나타내고, X, Y, Z는 CIE-XYZ 색공간으로 표현된 영상 데이터를 나타내며,
Figure pat00003
는 국제 조명 위원회(CIE)의 컬러 어피어런스 모델에서 제안된 CAM02-매트릭스에 해당한다.)
[수식 2]
Figure pat00004
,
Figure pat00005
(단, X, Y, Z는 CIE-XYZ 색공간으로 표현된 영상 데이터를 나타내고, L, M, S는 CIE-LMS 색공간으로 표현된 영상 데이터를 나타내며,
Figure pat00006
는 국제 조명 위원회(CIE)의 컬러 어피어런스 모델에서 제안된 CAT02-매트릭스에 해당한다.)
다음, 영상을 구현하는 영상 데이터가 CIE-LMS 색공간(30)으로 표현되면, 도 1의 영상 보정 방법은 CIE-LMS 색공간(30)으로 표현된 영상 데이터에 장파장 광에 대한 조명 순응 정도를 적용함으로써 영상을 구현하는 영상 데이터를 보정(S160)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CIE-LMS 색공간(30)으로 표현된 영상 데이터에 장파장 광에 대한 조명 순응 정도를 적용함으로써 CIE-LMS 색공간(30)으로 표현된 영상 데이터를 보정하는 것은 아래 [수식 3]과 [수식 4]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수식 3]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단, L, M, S는 CIE-LMS 색공간으로 표현된 영상 데이터를 나타내고, L', M', S'는 CIE-LMS 색공간으로 표현된 보정된 영상 데이터를 나타내며,
Figure pat00010
은 L에 관한 순응조명/기준조명에 비례하는 변수를 나타내고,
Figure pat00011
은 M에 관한 순응조명/기준조명에 비례하는 변수를 나타내며,
Figure pat00012
은 S에 관한 순응조명/기준조명에 비례하는 변수를 나타내고, k1, k2, k3은 표시 장치에 따라 결정되는 각각의 인자(factor)를 나타내며, m은 멜라토닌 호르몬에 대한 영향 정도를 조절하는 인자를 나타낸다.)
[수식 4]
Figure pat00013
(단, D는 조명 순응 함수를 나타내고, F는 조명 순응 계수를 나타내며,
Figure pat00014
는 순응조명의 휘도를 나타낸다.)
상기 [수식 3]과 [수식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CIE-LMS 색공간(30)으로 표현된 영상 데이터에 장파장 광에 대한 조명 순응 정도를 적용함에 있어서, 도 1의 영상 보정 방법은 [수식 3]과 [수식 4]에 포함된 여러 변수들에 다양한 값을 할당하여, 사용자가 표시 장치에서 표시되는 영상에 대한 보정을 인지하지 못하는 선에서 단파장 광에 의해 사용자의 인체 내부에서 멜라토닌 호르몬의 생성이 억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색감 보정과 관련된 인자인 k1, k2, k3는 0.9부터 1.1까지의 범위 내에서 결정될 수 있고, 휘도 조절과 관련된 m은 0부터 1까지의 범위 내에서 결정될 수 있으며, 조명 순응 계수인 F도 0부터 1까지의 범위 내에서 결정될 수 있다. 다만, 이것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수식 3]과 [수식 4]에 포함된 여러 변수들에 할당되는 값들은 최적의 영상 보정이 이루어질 때까지 반복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나아가, 알고리즘의 단순화를 위해 상기 [수식 3]과 [수식 4]에 포함된 여러 변수들 중에서 일부 변수(예를 들어,
Figure pat00015
등)는 고정된 값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이후, CIE-LMS 색공간(30)으로 표현된 영상 데이터가 장파장 광에 대한 조명 순응 정도에 기초하여 보정되면, 도 1의 영상 보정 방법은 CIE-LMS 색공간(30)으로 표현된 보정된 영상 데이터를 CIE-LMS 색공간(30)에서 CIE-XYZ 색공간(20)을 거쳐 CIE-RGB 색공간(10)으로 역변환시킬 수 있다. 이것은 표시 장치가 CIE-RGB 색공간(10)으로 표현된 보정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기 때문이다. 이 때, CIE-LMS 색공간(30)으로 표현된 보정된 영상 데이터가 CIE-LMS 색공간(30)에서 CIE-XYZ 색공간(20)을 거쳐 CIE-RGB 색공간(10)으로 변환(즉, REV-CONV로 표시)되는 것은 국제 조명 위원회(CIE)의 컬러 어피어런스 모델인 CIECAM02를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CIE-LMS 색공간(30)으로 표현된 보정된 영상 데이터가 CIE-LMS 색공간(30)에서 CIE-XYZ 색공간(20)을 거쳐 CIE-RGB 색공간(10)으로 변환(즉, REV-CONV로 표시)되는 것은 아래 [수식 5]와 [수식 6]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수식 5]
Figure pat00016
(단, L', M', S'는 CIE-LMS 색공간으로 표현된 보정된 영상 데이터를 나타내고, X', Y', Z'는 CIE-XYZ 색공간으로 표현된 보정된 영상 데이터를 나타내며,
Figure pat00017
는 국제 조명 위원회(CIE)의 컬러 어피어런스 모델에서 제안된 CAT02-매트릭스의 역변환 매트릭스에 해당한다.)
[수식 6]
Figure pat00018
(단, X', Y', Z'는 CIE-XYZ 색공간으로 표현된 보정된 영상 데이터를 나타내고, R', G', B'는 CIE-RGB 색공간으로 표현된 보정된 영상 데이터를 나타내며,
Figure pat00019
는 국제 조명 위원회(CIE)의 컬러 어피어런스 모델에서 제안된 CAM02-매트릭스의 역변환 매트릭스에 해당한다.)
다음, 도 1의 영상 보정 방법은 CIE-RGB 색공간(10)으로 표현된 보정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즉, 도 1의 영상 보정 방법은 국제 조명 위원회(CIE)에 의해 정의된 색공간들(10, 20, 30)을 이용하여 영상을 보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도 1의 영상 보정 방법은 표시 장치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단파장 광의 휘도가 감소되도록 사용자의 장파장 광에 대한 조명 순응 정도에 기초하여 영상 데이터를 보정함으로써, 사용자가 표시 장치에서 표시되는 영상에 대한 보정을 인지하지 못하는 선에서 사용자의 인체 내부에서 멜라토닌 호르몬의 생성이 억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가 밤에 전자 기기를 통해 영상을 시청하더라도, 멜라토닌 호르몬의 생성이 억제됨에 따른 수명 장애 등이 최소화될 수 있다. 즉, 도 1의 영상 보정 방법은 사용자가 영상을 시청함에 따른 생체 시계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의 영상 보정 방법은 실생활에서 사용하는 조명 환경(즉, 실내 조명 환경 및 야외 조명 환경을 모두 포함)에 의한 조명 순응에 기초하여 단파장 광의 휘도를 감소시킴으로써 색을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영상 보정 방법에 의해 장파장 광에 대한 조명 순응 정도가 영상 데이터에 적용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영상 보정 방법에 의해 보정된 영상 데이터에 따른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도 1의 영상 보정 방법은 사용자가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영상을 시청하는 공간의 조명 환경을 분석하여 장파장 광에 대한 현재 조명 순응 정도를 도출(S210)한 후, 장파장 광에 대한 현재 조명 순응 정도가 기 설정된 기준치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S220)할 수 있다. 이 때, 장파장 광에 대한 현재 조명 순응 정도가 기 설정된 기준치보다 작은 경우, 도 1의 영상 보정 방법은 영상을 구현하는 영상 데이터를 비보정(S230)시킬 수 있다. 반면에, 장파장 광에 대한 현재 조명 순응 정도가 기 설정된 기준치보다 큰 경우, 도 1의 영상 보정 방법은 장파장 광에 대한 현재 조명 순응 정도와 장파장 광에 대한 직전 조명 순응 정도의 차가 기 설정된 비교치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S240)할 수 있다. 이 때, 장파장 광에 대한 현재 조명 순응 정도와 장파장 광에 대한 직전 조명 순응 정도의 차가 기 설정된 비교치보다 큰 경우, 도 1의 영상 보정 방법은 영상을 구현하는 영상 데이터에 장파장 광에 대한 현재 조명 순응 정도를 적용함으로써 상기 영상 데이터를 보정(S250)시킬 수 있다. 반면에, 장파장 광에 대한 현재 조명 순응 정도와 장파장 광에 대한 직전 조명 순응 정도의 차가 기 설정된 비교치보다 작은 경우, 도 1의 영상 보정 방법은 영상을 구현하는 영상 데이터에 장파장 광에 대한 직전 조명 순응 정도를 적용함으로써 상기 영상 데이터를 보정(S260)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1의 영상 보정 방법은 장파장 광에 대한 조명 순응 정도에 기초하여 영상을 구현하는 영상 데이터를 보정함에 있어서, 장파장 광에 대한 현재 조명 순응 정도가 기 설정된 기준치보다 큰 경우에만 상기 영상 데이터를 보정하고, 장파장 광에 대한 현재 조명 순응 정도와 장파장 광에 대한 직전 조명 순응 정도의 차가 기 설정된 비교치보다 큰 경우에만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한 보정 정도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조명 환경의 사소한 변화가 발생할 때마다 영상 보정이 수행되는 경우에는, 상기 영상 보정의 효과도 미미할 뿐만 아니라, 잦은 변화로 인해 사용자가 상기 영상 보정을 인지할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에, 도 1의 영상 보정 방법은 장파장 광에 대한 현재 조명 순응 정도가 기 설정된 기준치보다 큰 경우에만 상기 영상 데이터를 보정할 수 있고, 장파장 광에 대한 현재 조명 순응 정도와 장파장 광에 대한 직전 조명 순응 정도의 차가 기 설정된 비교치보다 큰 경우에만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한 보정 정도를 변경할 수 있다. 다만, 이것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1의 영상 보정 방법에 의해 장파장 광에 대한 조명 순응 정도에 기초하여 영상을 구현하는 영상 데이터가 보정되는 경우, 사용자가 영상을 시청함에 따른 생체 시계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이 감소될 수 있고, 표시 장치(예를 들어,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등)인 경우 필요 이상으로 발생하는 소비 전력 낭비 및 픽셀 열화가 감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단파장 광(예를 들어, 청색광(B))의 휘도가 감소될수록 사용자의 인체 내부에 멜라토닌 호르몬의 생성이 증가될 수 있다. 반면에, 표시 장치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단파장 광(예를 들어, 청색광(B))의 휘도가 증가될수록 사용자의 인체 내부에 멜라토닌 호르몬의 생성은 감소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의 영상 보정 방법은 청색광(B)의 휘도가 높아야 하는 제 1 조건(60)과 청색광(B)의 휘도가 낮아야 하는 제 2 조건(70) 사이에서 영상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제 1 조건(60)에서는 청색광(B)의 휘도가 높기 때문에, 사용자의 인체 내부에 멜라토닌 호르몬의 생성이 감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조건(60)은 사용자가 활발하게 활동해야 하는 낮에 해당할 수 있다. 반면에, 제 2 조건(70)에서는 청색광(B)의 휘도가 낮으므로, 사용자의 인체 내부에 멜라토닌 호르몬의 생성이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조건(70)은 사용자가 숙면을 취해야 하는 밤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활발하게 활동해야 하는 낮에는 멜라토닌 호르몬의 생성이 억제되어야 하므로, 도 1의 영상 보정 방법은 사용자가 실내에 있는 이유로 전구색 조명 환경에 노출되어 조명 순응이 발생해도 청색광(B)의 휘도를 감소시키지 않을 수 있다. 반면에, 사용자가 숙면을 취해야 하는 밤에는 멜라토닌 호르몬의 생성이 촉진되어야 하므로, 도 1의 영상 보정 방법은 전구색 조명 환경이 아닌 경우에도 인위적으로 청색광(B)의 휘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7은 도 6의 표시 장치에 구비된 영상 보정 유닛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 장치(100)는 표시 패널(110), 스캔 구동 유닛(120), 데이터 구동 유닛(130), 전원 공급 유닛(140), 영상 보정 유닛(150) 및 타이밍 제어 유닛(16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보정 유닛(150)은 타이밍 제어 유닛(160) 및 데이터 구동 유닛(130)의 외부에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영상 보정 유닛(150)은 타이밍 제어 유닛(160)의 내부에 구현되거나 또는 데이터 구동 유닛(130)의 내부에 구현될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은 복수의 픽셀들을 구비할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은 복수의 스캔 라인들(SL(1), ..., SL(n))을 통해 스캔 구동 유닛(120)과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L(1), ..., DL(m))을 통해 데이터 구동 유닛(130)에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픽셀들은 복수의 스캔 라인들(SL(1), ..., SL(n))과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L(1), ..., DL(m))의 교차점들에 위치하기 때문에, 표시 패널(110)은 n*m개의 픽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스캔 구동 유닛(120)은 복수의 스캔 라인들(SL(1), ..., SL(n))을 통해 표시 패널(110)에 스캔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 유닛(130)은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L(1), ..., DL(m))을 통해 표시 패널(110)에 데이터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전원 공급 유닛(140)은 표시 패널(110)에 고전원전압(ELVDD) 및 저전원전압(ELVSS)을 제공할 수 있다. 영상 보정 유닛(150)은 데이터 신호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R, G, B)를 표시 패널(110)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단파장 광(즉, 청색광)의 휘도가 감소되도록 사용자의 장파장 광(즉, 녹색광 및 적색광)에 대한 조명 순응 정도(IAD)에 기초하여 보정함으로써 보정된 영상 데이터(R', G', B')를 생성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 유닛(160)은 제 1 내지 제 3 제어 신호들(CTL1, CTL2, CTL3)에 기초하여 스캔 구동 유닛(120), 데이터 구동 유닛(130) 및 영상 보정 유닛(150)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표시 장치(100)는 표시 패널(100) 내의 복수의 픽셀들의 발광을 제어하기 위한 발광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발광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보정 유닛(150)은 분석 블록(151), 변환 블록(152), 보정 블록(153) 및 역변환 블록(154)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석 블록(151)은 사용자가 영상을 시청하는 공간의 조명 환경(IES)을 분석하여 장파장 광에 대한 조명 순응 정도(IAD)를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파장 광은 청색광에 상응할 수 있고, 장파장 광은 적색광과 녹색광에 상응할 수 있다. 변환 블록(152)은 CIE-RGB 색공간으로 표현된 영상 데이터(R, G, B)를 CIE-RGB 색공간에서 CIE-XYZ 색공간을 거쳐 CIE-LMS 색공간으로 변환시킴으로써 CIE-LMS 색공간으로 표현된 영상 데이터(L, M, S)를 생성할 수 있다. 보정 블록(153)은 CIE-LMS 색공간에서 CIE-LMS 색공간으로 표현된 영상 데이터(L, M, S)에 장파장 광에 대한 조명 순응 정도(IAD)를 적용함으로써 CIE-LMS 색공간으로 표현된 보정된 영상 데이터(L', M', S')를 생성할 수 있다. 역변환 블록(154)은 CIE-LMS 색공간으로 표현된 보정된 영상 데이터(L', M', S')를 CIE-LMS 색공간에서 CIE-XYZ 색공간을 거쳐 CIE-RGB 색공간으로 역변환시킴으로써 CIE-RGB 색공간으로 표현된 보정된 영상 데이터(R', G', B')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구동 유닛(130)으로부터 표시 패널(110)로 제공되는 데이터 신호는 영상 보정 유닛(150)에 의해 사용자의 장파장 광에 대한 조명 순응 정도(IAD)에 기초하여 보정될 수 있다. 다만, 이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그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표시 장치(100)는 사용자가 영상을 시청하는 공간의 조명 환경(IES)을 분석하여 장파장 광에 대한 조명 순응 정도(IAD)를 도출하고, 영상 데이터(R, G, B)를 CIE-RGB 색공간에서 CIE-XYZ 색공간을 거쳐 CIE-LMS 색공간으로 변환시키며, CIE-LMS 색공간에서 영상 데이터(L, M, S)에 장파장 광에 대한 조명 순응 정도(IAD)를 적용함으로써 영상 데이터(L, M, S)를 보정하고, 보정된 영상 데이터(L', M', S')를 CIE-LMS 색공간에서 CIE-XYZ 색공간을 거쳐 CIE-RGB 색공간으로 역변환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표시 장치(100)는 보정된 영상 데이터(R', G', B')를 표시 패널(110)을 통해 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00)는 사용자가 영상에 대한 보정을 인지하지 못하는 선에서 사용자의 인체 내부에서 멜라토닌 호르몬의 생성이 억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가 영상을 시청함에 따른 생체 시계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00)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인 경우,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 청색광을 표시하는 픽셀이 적색광을 표시하는 픽셀이나 녹색광을 표시하는 픽셀에 비하여 열화에 취약하기 때문에, 청색광을 표시하는 픽셀의 수명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수명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표시 장치(100)는 장파장 광에 대한 조명 순응 정도(IAD)에 기초하여 단파장 광(즉, 청색광)의 휘도를 감소시킴으로써, 필요 이상으로 발생하는 소비 전력 낭비 및 픽셀 열화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200)는 액정 표시 장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 장치(200)는 표시 패널(210), 스캔 구동 유닛(220), 데이터 구동 유닛(230), 백라이트 유닛(240), 영상 보정 유닛(250) 및 타이밍 제어 유닛(26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보정 유닛(250)은 타이밍 제어 유닛(250) 및 데이터 구동 유닛(230)의 외부에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영상 보정 유닛(250)은 타이밍 제어 유닛(260)의 내부에 구현되거나 또는 데이터 구동 유닛(230)의 내부에 구현될 수 있다.
표시 패널(210)은 복수의 픽셀들을 구비할 수 있다. 표시 패널(210)은 복수의 스캔 라인들(SL(1), ..., SL(n))을 통해 스캔 구동 유닛(220)과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L(1), ..., DL(m))을 통해 데이터 구동 유닛(230)에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픽셀들은 복수의 스캔 라인들(SL(1), ..., SL(n))과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L(1), ..., DL(m))의 교차점들에 위치하기 때문에, 표시 패널(210)은 n*m개의 픽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스캔 구동 유닛(220)은 복수의 스캔 라인들(SL(1), ..., SL(n))을 통해 표시 패널(210)에 스캔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 유닛(230)은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L(1), ..., DL(m))을 통해 표시 패널(210)에 데이터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240)은 표시 패널(210)에 광(LIG)을 제공할 수 있다. 영상 보정 유닛(250)은 데이터 신호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R, G, B)를 표시 패널(210)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단파장 광의 휘도가 감소되도록 사용자의 장파장 광에 대한 조명 순응 정도에 기초하여 보정함으로써 보정된 영상 데이터(R', G', B')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영상 보정 유닛(250)은 분석 블록, 변환 블록, 보정 블록 및 역변환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그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타이밍 제어 유닛(260)은 제 1 내지 제 3 제어 신호들(CTL1, CTL2, CTL3)에 기초하여 스캔 구동 유닛(220), 데이터 구동 유닛(230) 및 영상 보정 유닛(250)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표시 장치(200)는 사용자가 영상을 시청하는 공간의 조명 환경을 분석하여 장파장 광에 대한 조명 순응 정도를 도출하고, 영상 데이터(R, G, B)를 CIE-RGB 색공간에서 CIE-XYZ 색공간을 거쳐 CIE-LMS 색공간으로 변환시키며, CIE-LMS 색공간에서 영상 데이터(L, M, S)에 장파장 광에 대한 조명 순응 정도를 적용함으로써 영상 데이터(L, M, S)를 보정하고, 보정된 영상 데이터(L', M', S')를 CIE-LMS 색공간에서 CIE-XYZ 색공간을 거쳐 CIE-RGB 색공간으로 역변환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표시 장치(200)는 보정된 영상 데이터(R', G', B')를 표시 패널(210)을 통해 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200)는 사용자가 영상에 대한 보정을 인지하지 못하는 선에서 사용자의 인체 내부에서 멜라토닌 호르몬의 생성이 억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가 영상을 시청함에 따른 생체 시계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은 감소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기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전자 기기가 스마트폰으로 구현된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전자 기기(500)는 프로세서(510), 메모리 장치(520), 저장 장치(530), 입출력 장치(540), 파워 서플라이(550) 및 표시 장치(5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표시 장치(560)는 도 6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 또는 도 8의 액정 표시 장치(200)에 상응할 수 있다. 나아가, 전자 기기(500)는 비디오 카드, 사운드 카드, 메모리 카드, USB 장치 등과 통신하거나, 또는 다른 시스템들과 통신할 수 있는 여러 포트(port)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기기(500)는 스마트폰(500)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것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전자 기기(500)의 종류가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500)는 디지털 TV, 3D TV, 스마트 TV,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PC,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피디에이(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피엠피(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디지털 카메라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특정 계산들 또는 태스크(task)들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510)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 processor), 중앙 처리 장치(CPU) 등일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어드레스 버스(address bus), 제어 버스(control bus) 및 데이터 버스(data bus) 등을 통하여 다른 구성 요소들에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510)는 주변 구성요소 상호연결(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PCI) 버스와 같은 확장 버스에도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 장치(520)는 전자 기기(50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 장치(520)는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장치,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장치,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장치, PRAM(Phase Change Random Access Memory) 장치, RRAM(Resistance Random Access Memory) 장치, NFGM(Nano Floating Gate Memory) 장치, PoRAM(Polymer Random Access Memory) 장치, MRAM(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장치, FRAM(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 장치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또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장치,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장치, 모바일 DRAM 장치 등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장치(530)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SSD),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씨디롬(CD-RO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장치(540)는 키보드, 키패드,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마우스 등과 같은 입력 수단, 및 스피커, 프린터 등과 같은 출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표시 장치(560)는 입출력 장치(540) 내에 구비될 수도 있다. 파워 서플라이(550)는 전자 기기(500)의 동작에 필요한 파워를 공급할 수 있다.
표시 장치(560)는 상기 버스들 또는 다른 통신 링크를 통해서 다른 구성 요소들에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560)는 사용자가 영상을 시청하는 공간의 조명 환경을 분석하여 장파장 광에 대한 조명 순응 정도를 도출하고, 영상 데이터를 CIE-RGB 색공간에서 CIE-XYZ 색공간을 거쳐 CIE-LMS 색공간으로 변환시키며, CIE-LMS 색공간에서 영상 데이터에 장파장 광에 대한 조명 순응 정도를 적용함으로써 영상 데이터를 보정하고, 보정된 영상 데이터를 CIE-LMS 색공간에서 CIE-XYZ 색공간을 거쳐 CIE-RGB 색공간으로 역변환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표시 장치(560)는 영상 데이터를 표시 패널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단파장 광(즉, 청색광)의 휘도가 감소되도록 사용자의 장파장 광(즉, 녹색광 및 적색광)에 대한 조명 순응 정도에 기초하여 보정하는 영상 보정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영상 보정 유닛은 사용자가 영상을 시청하는 공간의 조명 환경을 분석하여 장파장 광에 대한 조명 순응 정도를 도출하는 분석 블록, CIE-RGB 색공간으로 표현된 영상 데이터를 CIE-RGB 색공간에서 CIE-XYZ 색공간을 거쳐 CIE-LMS 색공간으로 변환시킴으로써 CIE-LMS 색공간으로 표현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변환 블록, CIE-LMS 색공간에서 CIE-LMS 색공간으로 표현된 영상 데이터에 장파장 광에 대한 조명 순응 정도를 적용함으로써 CIE-LMS 색공간으로 표현된 보정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보정 블록, 및 CIE-LMS 색공간으로 표현된 보정된 영상 데이터를 CIE-LMS 색공간에서 CIE-XYZ 색공간을 거쳐 CIE-RGB 색공간으로 역변환시킴으로써 CIE-RGB 색공간으로 표현된 보정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역변환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그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은 도 9의 전자 기기가 조명 순응 기반 영상 보정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12는 도 9의 전자 기기에 구비된 조명 순응 기반 영상 보정을 위한 광 소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3은 도 9의 전자 기기에 구비된 조명 순응 기반 영상 보정을 위한 광 소스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전자 기기(500)가 조명 순응 기반 영상 보정을 수행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기기(500)는 조명 순응 기반 영상 보정의 수행을 결정(S320)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기기(500)는 사용자 커맨드(user command)에 기초하여 조명 순응 기반 영상 보정의 수행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의 인체 내부에서 멜라토닌 호르몬의 생성이 억제되는 것을 최소화하거나 또는 필요 이상으로 발생하는 소비 전력 낭비 및 픽셀 열화를 감소시키려는 목적으로 전자 기기(500)에 사용자 커맨드를 입력하면, 전자 기기(500)는 그에 따라 조명 순응 기반 영상 보정의 수행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기기(500)는 조명 환경을 분석하여 조명 순응 기반 영상 보정의 수행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인체 내부에서 멜라토닌 호르몬의 생성이 억제되는 것을 최소화하거나 또는 필요 이상으로 발생하는 소비 전력 낭비 및 픽셀 열화를 감소시킬 필요가 있는 조명 환경인 경우, 전자 기기(500)는 그에 따라 조명 순응 기반 영상 보정의 수행을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이것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조명 순응 기반 영상 보정의 수행 결정 방식이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후, 전자 기기(500)는 조명 순응 기반 영상 보정을 수행하기 위해 전자 기기(500)에 구비된 광 소스(light source)를 동작(S340)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기기(500)에 구비된 광 소스는 표시 패널(520) 외부의 몸체(540)에 위치하는 별도의 광 조사 장치(560)일 수 있다. 이 경우, 광 조사 장치(560)는 표시 패널(520)을 통해 영상을 시청하는 사용자에게 장파장 광을 조사할 수 있다. 한편, 도 12에서는 하나의 광 조사 장치(560)가 몸체(540)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광 조사 장치(560)들이 몸체(540) 전반에 걸쳐 위치(예를 들어, 베젤(bezel)을 따라 반복적으로 위치)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기기(500)에 구비된 광 소스는 표시 패널(520)의 일부 영역(520b)일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패널(520)의 일부 영역(520b)은 표시 패널(520)의 다른 일부 영역(520a)을 통해 영상을 시청하는 사용자에게 장파장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전자 기기(500)가 조명 순응 기반 영상 보정을 수행하지 않을 때에는 표시 패널(520)의 전체 영역(520a, 520b)에서 영상이 출력되는 반면, 전자 기기(500)가 조명 순응 기반 영상 보정을 수행할 때에는 표시 패널(520)의 일부 영역(520b)에서 장파장 광이 출력되고, 표시 패널(520)의 다른 일부 영역(520a)에서 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 한편, 도 13에서는 표시 패널(520)의 일부 영역(520b)이 표시 패널(520)의 외곽 영역이고, 표시 패널(520)의 다른 일부 영역(520a)이 표시 패널(520)의 중앙 영역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표시 패널(520)의 일부 영역(520b)과 표시 패널(520)의 다른 일부 영역(520a)은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위치가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다음, 전자 기기(500)는 광 소스에서 출력되는 장파장 광에 대한 조명 순응 정도에 기초하여 표시 패널(520)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단파장 광의 휘도가 감소되도록 영상 데이터를 보정(S360)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기기(500)는 사용자가 표시 패널(520)에서 출력되는 영상에 대한 보정을 인지하지 못하는 선에서 사용자의 인체 내부에서 멜라토닌 호르몬의 생성이 억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 기기(500)는 조명 순응 기반 영상 보정을 수행하기 위한 환경을 인위적으로 조성하고, 그에 기초하여 조명 순응 기반 영상 보정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가 전자 기기(500)를 통해 영상을 시청함에 따른 생체 시계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예를 들어, 수면 장애 등)을 감소시킬 수 있고, 전자 기기(500)가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경우 필요 이상으로 발생하는 소비 전력 낭비 및 픽셀 열화까지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전자 기기(500)가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인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전자 기기(500)가 고정된 위치에서 사용되는 텔레비전, 컴퓨터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조명 순응 기반 영상 보정을 수행하기 위한 환경을 인위적으로 조성하기 위한 광 소스가 전자 기기(500)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 조명 순응 기반 영상 보정을 수행하기 위한 환경을 인위적으로 조성하기 위한 광 소스는 전자 기기(500)의 외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도 14는 도 9의 전자 기기에서 장파장 광에 대한 조명 순응 정도가 결정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15는 도 9의 전자 기기에서 사용자가 장파장 광에 대한 조명 순응 정도를 결정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6은 도 9의 전자 기기에서 사용자가 장파장 광에 대한 조명 순응 정도를 결정하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전자 기기(500)에서 장파장 광에 대한 조명 순응 정도(즉, 조명 순응 기반 영상 보정의 강도)가 결정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이 때, 전자 기기(500)는 사용자로 하여금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 기초하여 표시 패널 상에 표시되는 그래픽을 터치 또는 드래그함으로써 장파장 광에 대한 조명 순응 정도를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기기(500)는 표시 패널 상에 장파장 광에 대한 조명 순응 정도를 결정하기 위한 그래픽을 표시(S420)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기기(500)는 장파장 광에 대한 조명 순응 정도를 결정하기 위한 그래픽을 표시 패널 상에 바(bar) 형태의 그래픽으로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기기(500)는 장파장 광에 대한 조명 순응 정도를 결정하기 위한 그래픽을 표시 패널 상에 아이콘(icon) 형태의 그래픽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전자 기기(500)는 상기 그래픽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 또는 드래그 입력에 기초하여 장파장 광에 대한 조명 순응 정도를 결정(S440)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파장 광에 대한 조명 순응 정도를 결정하기 위한 그래픽이 바 형태의 그래픽인 경우, 사용자는 바 형태의 그래픽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드래그함으로써 장파장 광에 대한 조명 순응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 형태의 그래픽에서 좌측으로 드래그될수록 장파장 광에 대한 조명 순응 정도가 감소될 수 있고, 바 형태의 그래픽에서 우측으로 드래그될수록 장파장 광에 대한 조명 순응 정도가 증가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파장 광에 대한 조명 순응 정도를 결정하기 위한 그래픽이 아이콘 형태의 그래픽인 경우, 사용자는 아이콘 형태의 그래픽을 터치함으로써 장파장 광에 대한 조명 순응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콘들 각각은 장파장 광에 대한 서로 다른 조명 순응 정도를 나타내고, 사용자에 의해 특정 아이콘이 터치되면, 특정 아이콘이 나타내는 장파장 광에 대한 조명 순응 정도가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 기기(500)는 사용자로 하여금 장파장 광에 대한 조명 순응 정도를 결정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능동적으로 자신에게 맞는 영상을 결정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표시 패널을 구비한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텔레비전,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태블릿PC, 피디에이, 피엠피, MP3 플레이어, 차량용 네비게이션, 비디오폰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10: 표시 패널
120: 스캔 구동 유닛 130: 데이터 구동 유닛
140: 전원 공급 유닛 150: 영상 보정 유닛
160: 타이밍 제어 유닛 200: 액정 표시 장치
210: 표시 패널 220: 스캔 구동 유닛
230: 데이터 구동 유닛 240: 백라이트 유닛
250: 영상 보정 유닛 260: 타이밍 제어 유닛

Claims (20)

  1. 사용자가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영상을 시청하는 공간의 조명 환경을 분석하여 장파장 광에 대한 조명 순응 정도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영상을 구현하는 영상 데이터를 CIE-RGB 색공간에서 CIE-XYZ 색공간을 거쳐 CIE-LMS 색공간으로 변환시키는 단계;
    상기 CIE-LMS 색공간에서 상기 영상 데이터에 상기 조명 순응 정도를 적용함으로써 상기 영상 데이터를 보정하는 단계; 및
    보정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CIE-LMS 색공간에서 상기 CIE-XYZ 색공간을 거쳐 상기 CIE-RGB 색공간으로 역변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명 순응 기반 영상 보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순응 정도가 기 설정된 기준치보다 큰 경우에만 상기 영상 데이터가 보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순응 기반 영상 보정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파장 광에 대한 현재 조명 순응 정도와 직전 조명 순응 정도의 차가 기 설정된 비교치보다 작은 경우, 상기 CIE-LMS 색공간에서 상기 영상 데이터에 상기 직전 조명 순응 정도가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순응 기반 영상 보정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순응 정도가 클수록 상기 영상의 단파장 광의 휘도가 감소되게 상기 영상 데이터가 보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순응 기반 영상 보정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파장 광의 상기 휘도가 감소될수록 상기 사용자의 인체 내부에 멜라토닌 호르몬의 생성은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순응 기반 영상 보정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인 경우, 상기 단파장 광의 상기 휘도가 감소될수록 상기 표시 장치의 수명은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순응 기반 영상 보정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파장 광은 청색광을 포함하고, 상기 장파장 광은 적색광 및 녹색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순응 기반 영상 보정 방법.
  8. 복수의 픽셀(pixel)들을 구비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에 스캔 신호를 제공하는 스캔 구동 유닛;
    상기 표시 패널에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는 데이터 구동 유닛;
    상기 데이터 신호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상기 표시 패널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단파장 광의 휘도가 감소되도록 사용자의 장파장 광에 대한 조명 순응 정도에 기초하여 보정하는 영상 보정 유닛; 및
    상기 스캔 구동 유닛, 상기 데이터 구동 유닛 및 상기 영상 보정 유닛을 제어하는 타이밍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보정 유닛은 상기 타이밍 제어 유닛 및 상기 데이터 구동 유닛의 외부에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보정 유닛은 상기 타이밍 제어 유닛의 내부에 구현되거나 또는 상기 데이터 구동 유닛의 내부에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에 고전원 전압과 저전원 전압을 제공하는 전원 공급 유닛을 구비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에 광(light)을 조사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보정 유닛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영상을 시청하는 공간의 조명 환경을 분석하여 상기 조명 순응 정도를 도출하는 센싱 블록;
    상기 영상 데이터를 CIE-RGB 색공간에서 CIE-XYZ 색공간을 거쳐 CIE-LMS 색공간으로 변환시키는 변환 블록;
    상기 CIE-LMS 색공간에서 상기 영상 데이터에 상기 조명 순응 정도를 적용함으로써 상기 영상 데이터를 보정하는 보정 블록; 및
    보정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CIE-LMS 색공간에서 상기 CIE-XYZ 색공간을 거쳐 상기 CIE-RGB 색공간으로 역변환시키는 역변환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보정 유닛은 상기 조명 순응 정도가 기 설정된 기준치보다 큰 경우에만 상기 영상 데이터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보정 유닛은 상기 장파장 광에 대한 현재 조명 순응 정도와 직전 조명 순응 정도의 차가 기 설정된 비교치보다 작은 경우, 상기 CIE-LMS 색공간에서 상기 영상 데이터에 상기 직전 조명 순응 정도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보정 유닛은 상기 조명 순응 정도가 클수록 상기 영상의 상기 단파장 광의 상기 휘도가 감소되게 상기 영상 데이터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단파장 광은 청색광을 포함하고, 상기 장파장 광은 적색광 및 녹색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8. 표시 장치, 메모리 장치 및 상기 표시 장치와 상기 메모리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구비한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복수의 픽셀(pixel)들을 구비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에 스캔 신호를 제공하는 스캔 구동 유닛;
    상기 표시 패널에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는 데이터 구동 유닛;
    상기 데이터 신호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상기 표시 패널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단파장 광의 휘도가 감소되도록 사용자의 장파장 광에 대한 조명 순응 정도에 기초하여 보정하는 영상 보정 유닛; 및
    상기 스캔 구동 유닛, 상기 데이터 구동 유닛 및 상기 영상 보정 유닛을 제어하는 타이밍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보정 유닛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영상을 시청하는 공간의 조명 환경을 분석하여 상기 조명 순응 정도를 도출하는 센싱 블록;
    상기 영상 데이터를 CIE-RGB 색공간에서 CIE-XYZ 색공간을 거쳐 CIE-LMS 색공간으로 변환시키는 변환 블록;
    상기 CIE-LMS 색공간에서 상기 영상 데이터에 상기 조명 순응 정도를 적용함으로써 상기 영상 데이터를 보정하는 보정 블록; 및
    보정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CIE-LMS 색공간에서 상기 CIE-XYZ 색공간을 거쳐 상기 CIE-RGB 색공간으로 역변환시키는 역변환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패널 상에 표시되는 그래픽을 터치(touch) 또는 드래그(drag)함으로써 상기 조명 순응 정도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KR1020140044599A 2014-04-15 2014-04-15 조명 순응 기반 영상 보정 방법, 이를 채용한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KR2015011951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4599A KR20150119515A (ko) 2014-04-15 2014-04-15 조명 순응 기반 영상 보정 방법, 이를 채용한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US14/535,089 US20150294485A1 (en) 2014-04-15 2014-11-06 Method of compensating an image based on light adaptation, display device employing the same, and electronic device
CN201510015165.0A CN105047147B (zh) 2014-04-15 2015-01-12 基于光适应来补偿图像的方法、显示装置及电子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4599A KR20150119515A (ko) 2014-04-15 2014-04-15 조명 순응 기반 영상 보정 방법, 이를 채용한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9515A true KR20150119515A (ko) 2015-10-26

Family

ID=54265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4599A KR20150119515A (ko) 2014-04-15 2014-04-15 조명 순응 기반 영상 보정 방법, 이를 채용한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50294485A1 (ko)
KR (1) KR20150119515A (ko)
CN (1) CN10504714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4163A (ko) * 2016-02-27 2018-10-17 포칼 샤프 인코포레이티드 컬러-보존 스펙트럼 재성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18409B (zh) * 2017-03-09 2018-07-03 深圳达四海科技有限公司 光学品质参数获取方法和系统
CN107680544B (zh) * 2017-09-14 2020-07-1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色温校准方法及移动终端
KR102423637B1 (ko) 2017-10-27 2022-07-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102531616B1 (ko) * 2018-07-31 2023-05-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색 보상 장치, 이를 갖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색 보상 방법
CN111402348B (zh) * 2019-01-03 2023-06-09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光照效果的形成方法、装置和渲染引擎
CN112004075A (zh) * 2020-09-03 2020-11-27 北京印刷学院 邻域色差补偿方法及装置
CN113539206A (zh) * 2021-08-02 2021-10-22 集创北方(珠海)科技有限公司 显示驱动方法及装置、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58104B2 (ja) * 1996-10-01 2005-06-08 キヤノン株式会社 環境照明光特定装置
US7969478B1 (en) * 2003-04-18 2011-06-28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lor correction of color devices for various operating conditions
TWI249959B (en) * 2003-05-16 2006-02-21 Seiko Epson Corp Image processing system, projector, information memorizing medium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7679686B2 (en) * 2004-12-30 2010-03-16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gamma correction unit, a process for using the electronic device, and a data processing system readable medium
JP4434073B2 (ja) * 2005-05-16 2010-03-17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撮像装置
KR101160838B1 (ko) * 2005-11-14 2012-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US8773545B2 (en) * 2006-10-23 2014-07-08 Nikon Corporation Image processing method for executing color conversion processing, image processing program, image processing device and camera
US20080303918A1 (en) * 2007-06-11 2008-12-11 Micron Technology, Inc. Color correcting for ambient light
KR101108176B1 (ko) * 2010-07-07 2012-01-3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더블 게이트형 박막 트랜지스터 및 이를 구비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2013105220A (ja) * 2011-11-11 2013-05-30 Murata Mach Ltd 産業機械の地震等災害発生後状況遠隔監視システム
JP6051605B2 (ja) * 2012-06-13 2016-12-27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9039746B2 (en) * 2013-02-08 2015-05-26 Cree, Inc. Solid state light emitting devices including adjustable melatonin suppression effects
WO2014128193A1 (en) * 2013-02-20 2014-08-28 Norbert Gretz Portable illuminating device for manipulating the circadian clock of a subject
DE112014002456B4 (de) * 2013-05-17 2017-07-13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Organisches elektrolumineszierendes Element und Beleuchtungs-Einrichtu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4163A (ko) * 2016-02-27 2018-10-17 포칼 샤프 인코포레이티드 컬러-보존 스펙트럼 재성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94485A1 (en) 2015-10-15
CN105047147B (zh) 2019-08-30
CN105047147A (zh) 2015-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19515A (ko) 조명 순응 기반 영상 보정 방법, 이를 채용한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CN106067287B (zh) 显示装置以及用于控制该显示装置的方法
CN108538260B (zh) 图像显示处理方法及装置、显示装置及存储介质
CN109036295B (zh) 图像显示处理方法及装置、显示装置及存储介质
TWI423198B (zh) 依據環境光之亮度調整畫面灰階度的顯示裝置及方法
EP2685446B1 (en) Display control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ower saving
CN104123926B (zh) 伽马补偿方法及使用该伽马补偿方法的显示装置
CN105493170B (zh) 显示装置及其亮度控制方法
CN102726036B (zh) 用于在液晶显示器上显示的图像的增强
WO2019134605A1 (zh) 根据人眼特性进行背光亮度调节的方法、装置和设备
US20140368483A1 (en) Method of adjusting display unit and electronic device
US20140198084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 brightness and color optimization
CN104769665B (zh) 采用帧特定复合贡献色彩的显示设备
WO2018072270A1 (zh) 一种图像显示增强方法及装置
US20150325176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image display method, and program
CN106558292A (zh) 电子显示器驱动方案系统及其方法
US9633607B1 (en) Adaptive RGBW conversion
CN205959595U (zh) 电子设备和控制器
KR20140030468A (ko) 디밍 동작 제어 방법, 디밍 동작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표시 장치
JP6271496B2 (ja) 自発光型表示装置の焼き付き防止システム、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50140514A (ko)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의 색 보상 방법
CN103559694A (zh) 一种基于hsv色彩空间的oled低功耗方法
US20210027722A1 (en) Adaptive Low Power Touch and Display Device
CN112740319B (zh)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US10062360B2 (en) Method of driving 3D shutter glasseses (spectacles), a shutter spectacles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hutter spectacles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