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8635A - 위어를 구비한 스크류 디캔터형 원심분리기 - Google Patents

위어를 구비한 스크류 디캔터형 원심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8635A
KR20040098635A KR10-2004-7011720A KR20047011720A KR20040098635A KR 20040098635 A KR20040098635 A KR 20040098635A KR 20047011720 A KR20047011720 A KR 20047011720A KR 20040098635 A KR20040098635 A KR 200400986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nozzle
centrifuge
screw decanter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1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7950B1 (ko
Inventor
파울 브뤼닝
위르겐 헤어멜러
헬무트 피게너
Original Assignee
베스트팔리아 세퍼레이터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스트팔리아 세퍼레이터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베스트팔리아 세퍼레이터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40098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86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7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79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2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2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B04B2001/2075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with means for recovering the energy of the outflowing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2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B04B2001/2083Configuration of liquid outlets

Landscapes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럼(3)으로부터 정제된 유체를 소산(diverting)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위어(weir, 15)를 포함하는 스크류 디캔터형 원심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위어(15)는 쓰로틀링(throttling) 장치, 특히 쓰로틀 디스크(31)가 할당된 포트(17)를 가진다. 상기 쓰로틀링 장치는 상기 포트(17)로부터 가변적인 거리를 두고 배치되며, 원심분리기의 작동시 드럼(3)에 대해 상대적으로 정지되어 있는 부품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포트(17)에는 드럼(3)과 함께 회전하며 정제된 유체를 방출하는 하나 이상의 노즐(21)이 할당된다.

Description

위어를 구비한 스크류 디캔터형 원심분리기{FULL-JACKET HELIX CENTRIFUGE WITH A WEIR}
그러한 원심기가 DE 43 20 265 A1으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상기 문서에 공개된 스크류 디캔터형 원심분리기의 유체 배출측에는 포트를 가진 위어(weir)가 제공되고, 상기 포트는 위어의 내경으로부터 시작되는 다수의 홈 또는 위어의 벽들에 제공된 개구들로 형성될 수 있다. 포트에는 드럼이 회전할 때 상기 드럼과 달리 정지되어 있는 쓰로틀 디스크가 할당되며, 상기 쓰로틀 디스크는 나사형 부시(threaded bush)를 통해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나사형 부시가 회전함으로써 위어와 쓰로틀 디스크 사이의 간격이 변동될 수 있다. 그로 인해 원심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유체의 배출 단면적이 변동되는데, 상기 배출 단면적은 포트 진입 에지의 전체 길이 그리고 위어와 쓰로틀 디스크 사이의 간격으로 구성된다.
배출 단면적이 변동되면 원심 드럼 내 액위가 변동되므로, 쓰로틀 디스크를 이동시켜 상기 액위를 연속으로 조정할 수 있다.
스로틀 디스크의 축방향 이동은 상기 스로틀 디스크의 바깥 둘레가 피벗되어 편향되게 하는 방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위어의 영역에서 상기 위어와 쓰로틀 디스크 사이에 거의 축방향에 준하는 이동이 야기된다.
공개문서 "일본 특허 초록" 제 11179236 A호는, 포트에 드럼으로부터 방출되는 유체에 회전을 일으키는 배플판(baffle plate)을 설치할 수 있으며, 이 때 발생하는 반동 효과는 에너지 절약에 활용된다고 기술하고 있다.
DE 43 20 265 A1의 구조는 DE 41 32 029 A1의 구조에서 나타나는 문제, 즉 위어에서 진입 직경을 조정하기 위한 장치들이 작동시 드럼과 함께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는 원심 드럼으로의 조정력 전달이 상대적으로 복잡해질 수 밖에 없다는 문제의 해결 방안을 제시하고 있으므로, 그 자체로 이미 신뢰성이 입증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간단한 수단으로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이한 공급율에 적절하게 스크류 디캔터형 원심분리기의 위어를 조정할 수 있는 추가적 가능성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스크류 디캔터형 원심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 디캔터형 원심분리기의 위어의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방수로로서 형성된 위어를 구비한 공지된 스크류 디캔터형 원심분리기의 개략도이다.
도 3 및 도 4는 종래 기술과 본 발명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다이어그램이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대상을 통해 상기 목적을 해결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정제된 유체를 방출하기 위해 드럼과 함께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즐 또는 다수의 노즐이 포트에 할당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작동시 노즐이 드럼으로부터 고정된 기본량을 방출하고 특히 쓰로틀 디스크와 같은 가변 쓰로틀링 장치를 이용하여 스크류 디캔터형 원심분리기 내 액위를 더욱 미세하게 조절 또는 조정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스크류 디캔터형 원심분리기의 노즐 및 상기 노즐이 드럼 축에 대해 기울어지게 정렬될 경우의 에너지 절약 효과에 대해서는 예컨대 DE 39 004 151 A1으로부터 이미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노즐이 유체 방출구에서 쓰로틀 장치와 결합됨으로써 나타나는 바람직한 효과는 아직 알려져 있지 않다. 쓰로틀 장치는 원심분리기 내 액위를 조절하는데 사용된다. 쓰로틀 장치에서 유체가 방출될 때 통과하는 갭에서의 흐름 저항이 증가함에 따라 포트에서 더 큰 유압이 요구되고, 그러한 큰 유압은 원심분리기 내 액위를 상승시킨다. 이러한 압력 변동에 의해 노즐을 통해 배출되는 유체량도 변동되기 때문에, 두 가지 효과, 즉 조절 가능 범위가 확대되는 효과 및 조절 특성에 바람직한 영향을 미치는 효과가 추가된다. 상기 효과는 종래 기술에 의해서는 나타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종래 기술에서는 노즐이 전방에 연결된 쓰로틀 장치는 제공되지 않고 단지 후방에 과류 개구가 연결된 노즐만 제공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종래 기술에 따른 노즐에 대해서는 오히려 에너지 절약 효과 및 고체 방출 비율의 개선 효과도 기대된다.
예컨대 유량 변동이 심한 경우 유동하는 액체량의 사전 조정을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노즐을 교체 가능하게 형성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치의 또 다른 장점은, 노즐이 교체를 통해 상이한 직경을 가진 다른 노즐로 교체됨에 따라 조절 특성 및 설정 특성을 변동시키는 간단한 방법이 추가로 제공된다는 것이다. 블라인드 보어(blind bore, 막힌 보어)를 가진 "노즐"도 사용될수 있으며, 그 결과 마찬가지로 노즐의 수 및 특성이 변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노즐이 포트의 후방에 연결되고, 상기 노즐의 후방에 다시 쓰로틀 장치가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노즐 챔버(nozzle chamber) 역시 포트의 바깥 둘레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다. 그로 인해 노즐 챔버 내에서 매우 유리한 흐름 조건이 보증됨에 따라 오염물의 축적이 전반적으로 또는 완전히 방지된다. 특히 이러한 변형 구조에서는 노즐 챔버 내에 세척기도 필요없다.
막힘 방지를 위해 노즐이 2 mm 이상의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노즐이 드럼 외부 재킷에 대해 반경방향 안쪽으로 엇갈려 배치되도록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노즐이 드럼 외경으로부터 상기 드럼 외경의 25% 내지 75%의 간격을 두고 드럼축에 수직인 평면에 놓이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일정한 배출 효율을 구현하기 위해, 노즐이 안쪽으로 더 멀리 배치될수록 상기 노즐의 직경이 더 크게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노즐이 더 안쪽으로 배치됨으로써, 근본적으로 막힘 현상이 확실하게 방지되는 노즐 설계가 가능하다. 이는 종래 기술에서는 알지 못했던 것이다. 또한 이러한 이유에서 상기 노즐은 실제로 비중있게 보급되지 않았다.
노즐을 회전축을 향해 더 안쪽으로 배치하는 방법의 또 다른 장점은, DE 43 20 265 A1에 따라 제공된 링 챔버(상기 문서에서는 링 채널로 명명됨)를 상기 링 채널 내에 배치되어 있던, 오염물이 축적되지 않도록 하는데 필요한 기존의 세척 공구를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개조할 수 있다는 점이다.
스크류 디캔터형 원심분리기로부터 배출되는 유량의 원활한 조정 및 조절이 가능하다는 것 외에 또 다른 장점으로, 노즐의 개구들이 대칭축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로 적절하게 배열되면 노즐로부터 배출되는 유체가 스크류 디캔터형 원심분리기의 제공되어야 할 구동력 및 구동 에너지를 감소시킨다는 점을 언급할 수 있다. 이러한 에너지 절약은 결코 경미한 것이 아니며, 이는 스크류 디캔터형 원심분리기의 에너지 소비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에너지 절약을 달성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노즐의 개구들이 - 드럼의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볼 때 - 뒤쪽으로 배열된다.
노즐의 개구들이 드럼 표면 상에 있는 드럼 회전축에 대해 수직인 평면 내 접선을 기준으로 0°내지 30°의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울기가 0°일 때 최대 에너지 이득이 얻어진다. 구조상 0°보다 크고 30°보다 작은 값이 구현하기가 좋다.
노즐 개구들이 반경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변형되면, 드럼의 구동시 에너지 절약의 이점을 얻을 수 없다. 그러나 상이한 유량에의 손쉬운 매칭 가능성이 유지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변형도 종래 기술에 비해서는 더 장점이 있다.
작동시 드럼 외경의 원주 속도가 70 m/s 이상이 되도록 설계된 스크류 디캔터형 원심분리기의 경우 에너지 이득이 매우 크고, 그러한 원심분리기에서는 에너지 이득이 매우 명백한 영향을 미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에 제시되어 있다.
하기에는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이 더 상세히 기술된다.
도 2는 스크류 디캔터형 원심분리기의 기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는 스크류(5)가 배치되어 있는 드럼(3)을 구비한 스크류 디캔터형 원심분리기(1)가 도시되어 있다. 드럼(3) 및 스크류(5)는 각각 대체로 원통형 단면을 가지며, 여기서는 원뿔형으로 좁아지는 단면을 갖고 있다.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 유입 파이프(7)는 분배기(9)를 통해 스크류(5)와 드럼(3) 사이에 있는 원심 분리 챔버(11) 내로 원심 분리 재료를 공급하는데 사용된다.
예컨대 현탁성 납이 원심분리기 내로 공급되면, 드럼 벽에 더 거친 고체 입자가 융착된다. 계속해서 안쪽으로 유체상(fluid phase)이 형성된다.
스크류(5)는 드럼(3)보다 조금 더 느리게 또는 더 빠르게 회전하며 원심 분리된 고체를 드럼(3)으로부터 원뿔형 섹션쪽을 향해 고체 배출부(13)로 운반한다. 그에 반해 유체는 드럼(3)의 원통형 섹션의 뒷쪽 단부에 있는 직경이 더 큰 부분으로 흘러간 후 거기서 위어(15)를 통해 방출된다.
상기 위어(15)가 본 발명의 범주에서 어떻게 형성될 수 있는지에 대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따르면 위어(15)는 드럼(3)의 축방향 커버(19) 내에 포트(17)를 가지며, 상기 포트(17)에는 하나 이상의 노즐들(21)로 이루어진 결합체 및 조정 가능한 쓰로틀링 장치가 할당된다(여기서는 후방 연결됨).
노즐들(21)은 드럼 축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또는 기울어지게 형성된, 계단식 링 쇼울더(25)의 개구들(23) 내에 삽입된 나사 바디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노즐의 보어 또는 개구(27)는 드럼의 드럼 축(S)에 대해 수직으로 또는 각을 이루도록 정렬되어 있다.
링 쇼울더(25)는 포트(17)에 연결되는 영역 또는 섹션 내에 상기 포트(17)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다. 따라서 노즐 챔버(33)도 마찬가지로 포트(17)의 바깥쪽 가장자리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다. 또한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노즐의 유입 개구(27)가 방수로 방식의 포트(17) 직경에 나란히 놓인다. 이로써 노즐 챔버(33) 내에 오염물이 축적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링 쇼울더(25)는 포트(21)의 반대편 단부에 축방향 배출구(29)를 형성하고, 상기 배출구(29)에는 쓰로틀 디스크(31)가 후방 연결되며, 상기 배출구(29)로부터 쓰로틀 디스크(31)까지의 거리는 예컨대 DE 43 20 265 A1에 기술된 방식으로 매우 다양한 구동 장치들(여기에는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변동된다.
바람직하게는 배출구(29)로부터 쓰로틀 디스크(31)까지의 거리가 회전하는드럼(3)에 대해 상대적으로 정지되어 있는 쓰로틀 디스크(31)의 축방향 운동, 특히 (피벗팅에 의해서도 구현 가능한) 축방향 이동에 의해 변동된다. 대안으로 쓰로틀 디스크(31)가 작동시 드럼(3)과 함께 회전하는 것(도시되지 않음)도 고려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해결 방안은 함께 회전하지 않는 변형예보다 구조상 더 복잡하다.
본 발명에서 노즐(21)의 개념은 보어(27)가 개구의 축방향 연장부에 걸쳐서 일정하거나 변동하는 직경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노즐(21)은 링 쇼울더(25) 내에 보어로서 형성될 수도 있고, 배출량을 사전 조정할 수 있도록 교체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 나사 바디도 물론 제공할 수 있다.
내부 노즐 챔버(33) 내에서는 (도시되지 않은) 리브(rib)들에 의해 운반 기능이 개선될 수 있다.
노즐(21)을 통해 교체 가능한 나사 바디의 개구들의 레이아웃 및 직경에 따라 사전 조정된 기본량의 유체가 드럼(3)으로부터 방출된다. 최대 에너지 절약을 위해 가장 적절한 노즐(21)의 배열은 간단한 실험들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스크류 디캔터형 원심 분리기에서, 300 m3/h의 공급율 및 30 m3/h의 고체 방출량으로, 즉 1:10의 비율로 현탁액을 농후화하기 위해 예컨대 200 m3/h에 적합한 노즐 설계 및 쓰로틀 디스크(31)를 통한 액위 조절을 위한 70 m3/h의 방출량이 권장된다.
예컨대 200 m3/h의 더 작은 비율로 공급이 실시되면, 예컨대 20 m3/h의 고체량이 발생한다. 이러한 고체량에서는 110 m3/h에 적합한 노즐 설계 및 쓰로틀 디스크(31)를 통한 액위 조절을 위한 70 m3/h의 방출량이 권장된다.
즉, 노즐(21)은 다양한 성능에 매칭되기 위해 다른 직경을 가진 노즐로 간단하게 교체된다. 고가의 복잡한 부품들이 교환될 필요가 없다.
바람직하게는 노즐들(12)이 드럼 축에 수직인 평면 내에서 드럼 외경 또는 드럼 외측 둘레로부터 상기 드럼 외경의 25% 내지 75%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데, 이 때 노즐(21)이 드럼 둘레에 가깝게 놓일수록 에너지 이득이 더 커진다. 물론 더 안쪽으로 배치하는 경우에 더 바깥쪽에 배치하는 경우보다 노즐의 직경 또는 노즐 개구의 횡단면이 더 클 수 있기 때문에 노즐의 막힘 속도가 더 느리다는 장점이 제공된다. 전술한 범위는 전술한 효과들 사이의 적절한 절충을 의미한다.
DE 43 20 265 A1에서처럼 쓰로틀 디스크(31)와 배출구(29) 사이의 간격 조정을 통해 방출 횡단면이 변동됨에 따라 드럼(3) 내 액위가 변동된다. 이 때, 쓰로틀 디스크(31)에 의해서는 특히 스크류 디캔터형 원심 분리기 내 액위(FS)가 미세하게 조정된다.
도 2의 스크류 디캔터형 원심 분리기에서는 직경이 dW인 위어(15)를 통해 배출되는 부분 흐름(QW)에 대해 위어 직경(dW)에서의 원주 속도(UW)가 아래와 같이 적용된다:
P(QW) = ρx QWx U2 W
그와 반대로 본 발명에서는, 위어 직경(dW)에서 유량의 대부분이 노즐(21)을 통해 방출되고(유량 = QD), 나머지 부분 흐름은 쓰로틀 디스크(31)의 배출구(29)를 통해 방출된다.
쓰로틀 디스크(31)에 의해 챔버 내 액위가 위어 직경(dW)에 유지되면, 노즐(21)로부터 배출되는 유동 할당량(QD)에 의한 능률은 다음과 같다.
P(QD) = ρx QDx U2 Wx A
상기 식으로부터 노즐 경사각이 0°내지 30°일 때 명백한 요구 능률 감소량이 산출된다. A는 노즐(21)의 직경 및 횡단면 형태, 드럼 내 액위 및 노즐의 방사각에 따라 좌우된다. 노즐(21)의 횡단면 구조는 예컨대 원형 또는 장방형 또는 다른 방식으로 임의의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도 3에는 노즐을 구비하지 않은 DE 43 20 265 A1에 따른 구조에서의 비례관계가 도시되어 있다. X축에는 쓰로틀 디스크(31)와 드럼 위어 배출구(17) 사이의 갭 폭이 기입되어 있고, Y축에는 유량(V')이 기입되어 있다. 따라서 갭 폭이 X일 때 유량은 V1'이다. 갭 폭(S)이 클수록, 쓰로틀 디스크(31)와 드럼 위어(17) 사이에서 드럼(3)으로부터 방출되는 유량이 더 크다. 역으로 유량이 작을수록, 쓰로틀 디스크(31)와 드럼 위어 사이의 갭 폭이 더 좁게 조정된다. 동시에 갭 폭이 더 안쪽으로 감소함에 따라 디캔터형 드럼 내 수심, 즉 수위가 요동하면서 상승한다.
도 4에는 노즐(21)에서의 유량(V') 변화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노즐 유입시 유체 내에 나타나는 압력에 의해 수심이 증가할수록 유량이 증가된다. 두 가지 효과가 중첩되는 것이다. 이로써 실제로 도 1에 따른 디캔터에서의 조절 범위가 노즐(21)을 구비하지 않은, 도 3에 따른 방식의 디캔터에 비해 2배까지 확대된다.
*도면 부호 목록*
1: 스크류 원심 분리기
3: 드럼
5: 스크류
7: 유입 파이프
9: 분배기
11: 원심 분리 챔버
13: 고체 배출부
15: 위어
17: 포트
19: 커버
21: 노즐
23, 27: 개구
25: 링 쇼울더
29: 배출구
31: 쓰로틀 디스크
33: 노즐 챔버
FS: 액위
S: 대칭축 및 회전축

Claims (19)

  1. 드럼(3)으로부터 정제된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위어(15)를 구비하고, 상기 위어(15)는 쓰로틀링(throttling) 장치, 특히 쓰로틀 디스크(31)가 할당된 포트(17)를 가지며, 상기 포트(17)로부터 상기 쓰로틀 디스크(31)까지의 거리가 가변적인 스크류 디캔터형 원심 분리기로서,
    상기 포트(17)에는 상기 정제된 유체를 배출하기 위해 상기 드럼(3)과 함께 회전하는 하나 이상의 노즐(21)도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 디캔터형 원심 분리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21)은 드럼 외경으로부터 상기 드럼 외경의 25% 내지 75%의 간격을 두고 드럼축에 수직인 평면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 디캔터형 원심 분리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21)은 2 mm 이상의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 디캔터형 원심 분리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21)은 상기 포트(17)의 후방에 연결되고, 상기 노즐(21)의 후방에는 다시 상기 쓰로틀 장치(31)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 디캔터형 원심 분리기.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21)은 교체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 디캔터형 원심 분리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21)은 나사 바디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 디캔터형 원심 분리기.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노즐(21)이 드럼 커버(19) 또는 상기 드럼 커버에 부착된 부품(19)에 분포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 디캔터형 원심 분리기.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 바디는 상기 드럼(3)의 커버(19)에 있는 링 쇼울더(25)의 개구(23)에 조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 디캔터형 원심 분리기.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21)은 바람직하게 상기 링 쇼울더(25)에 의해 형성된 노즐 챔버(33) 내에 배치되고, 상기 노즐 챔버(33)의 내경이 방수로 형태의 상기 포트(17)의 외경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 디캔터형 원심 분리기.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유입 개구들(27)이 상기 노즐 챔버(33)의 직경에 나란히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 디캔터형 원심 분리기.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21)의 개구들이 상기 드럼(3)의 회전축(S)에 대해 각을 이루어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 디캔터형 원심 분리기.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21)의 개구들(27)이 상기 드럼의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뒤쪽으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 디캔터형 원심 분리기.
  13.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21)의 개구들(27)이 드럼 회전축에 대해 수직인 평면 내에서 드럼 표면에 대한 접선을 기준으로 0°내지 30°의 기울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스크류 디캔터형 원심 분리기.
  14.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21)의 개구들(27)이 상기 드럼(3)의 외벽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바깥쪽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 디캔터형 원심 분리기.
  15. 제 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 쇼울더(25)는 상기 포트(21)의 반대편 단부에 축방향 배출구(29)를 가지거나 형성하며, 상기 배출구(29)의 후방에 상기 쓰로틀 디스크(31)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 디캔터형 원심 분리기.
  16. 제 1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29)로부터 쓰로틀 디스크(31)까지의 거리가 상기 쓰로틀 디스크(31)의 축방향 운동, 특히 축방향 이동에 의해 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 디캔터형 원심 분리기.
  17. 제 1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작동시 상기 드럼(3)의 외경에서 상기 드럼(3)의 원주 속도가 70 m/s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 디캔터형 원심 분리기.
  18. 제 1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쓰로틀 디스크(31)는 상기 원심 분리기의 작동시 상기 드럼(3)에 비해 상대적으로 정지해 있는 부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 디캔터형 원심 분리기.
  19. 제 1항 내지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쓰로틀 디스크(31)는 상기 원심 분리기의 작동시 상기 드럼과 함께 회전하는 부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 디캔터형 원심 분리기.
KR1020047011720A 2002-01-30 2003-01-27 위어를 구비한 스크류 디캔터형 원심분리기 KR1008579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3652.7 2002-01-30
DE10203652A DE10203652B4 (de) 2002-01-30 2002-01-30 Vollmantel-Schneckenzentrifuge mit einem Wehr
PCT/EP2003/000776 WO2003064054A1 (de) 2002-01-30 2003-01-27 Vollmantel-schneckenzentrifuge mit einem weh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8635A true KR20040098635A (ko) 2004-11-20
KR100857950B1 KR100857950B1 (ko) 2008-09-09

Family

ID=27588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1720A KR100857950B1 (ko) 2002-01-30 2003-01-27 위어를 구비한 스크류 디캔터형 원심분리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326169B2 (ko)
EP (1) EP1474241A1 (ko)
KR (1) KR100857950B1 (ko)
CN (1) CN100337754C (ko)
CA (1) CA2473640C (ko)
DE (1) DE10203652B4 (ko)
WO (1) WO200306405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5819A (ko) 2013-08-01 2015-02-1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세퍼레이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3652B4 (de) * 2002-01-30 2006-10-19 Westfalia Separator Ag Vollmantel-Schneckenzentrifuge mit einem Wehr
US20040072668A1 (en) * 2002-10-15 2004-04-15 Baker Hughes Incorporated Liquid phase discharge port incorporating chamber nozzle device for centrifuge
US7022061B2 (en) * 2002-10-15 2006-04-04 Andritz Ag Centrifuge discharge port with power recovery
DE10336350B4 (de) 2003-08-08 2007-10-31 Westfalia Separator Ag Vollmantel-Schneckenzentrifuge, mit Schälscheibe
JP4740950B2 (ja) * 2004-09-08 2011-08-03 アルファ ラヴァル コーポレイト アクチボラゲット 遠心ノズルおよびそのノズルを遠心ボウルに挿入する方法および装置
DE102005027553A1 (de) 2005-06-14 2006-12-28 Westfalia Separator Ag Drei-Phasen-Vollmantel-Schneckenzentrifuge und Verfahren zur Regelung des Trennprozesses
DE102006030477A1 (de) * 2006-03-30 2007-10-04 Westfalia Separator Ag Vollmantel-Schneckenzentrifuge mit Abflußöffnungen zur Teil- und Restentleerung der Trommel
US7374529B2 (en) * 2006-04-26 2008-05-20 Hutchison Hayes, Lp Liner for a centrifuge discharge port
US8192342B2 (en) 2006-05-11 2012-06-05 Westfalia Separator Ag Separator having a liquid outlet including a throttling device
DK176946B1 (da) * 2007-05-09 2010-06-14 Alfa Laval Corp Ab Centrifugalseparator og et væskefaseafløbsportelement
DK200800555A (en) * 2008-04-16 2009-10-17 Alfa Laval Corp Ab Centrifugal separator
US8579783B2 (en) 2009-07-02 2013-11-12 Andritz S.A.S. Weir and choke plate for solid bowl centrifuge
DE102010032503A1 (de) 2010-07-28 2012-02-02 Gea Mechanical Equipment Gmbh Vollmantel-Schneckenzentrifuge mit Überlaufwehr
DK178254B1 (en) * 2010-11-12 2015-10-12 Alfa Laval Corp Ab Centrifugal separator, abrasion resistant element and set of abrasion resistant elements for a centrifugal separator
US9393574B1 (en) * 2010-12-14 2016-07-19 Ray Morris Wear insert for the solids discharge end of a horizontal decanter centrifuge
DE102010061563A1 (de) 2010-12-27 2012-06-28 Gea Mechanical Equipment Gmbh Vollmantel-Schneckenzentrifuge mit Überlaufwehr
DK2551021T3 (da) * 2011-07-29 2017-01-02 Andritz Sas Centrifuge og udløbsåbningselement til en centrifuge for effektreduktion
DE102012106226A1 (de) 2012-07-11 2014-01-16 Gea Mechanical Equipment Gmbh Vollmantel-Schneckenzentrifuge mit Überlaufwehr
JP5220950B1 (ja) * 2012-11-02 2013-06-26 巴工業株式会社 分離液噴射ノズル付き遠心分離機
DE102014101205B4 (de) 2014-01-31 2021-08-05 Flottweg Se Auslassvorrichtung einer Vollmantelschneckenzentrifuge
EP3085449B1 (en) * 2015-04-24 2020-06-03 Alfa Laval Corporate AB Centrifugal separator and thereto relate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782260A1 (de) * 1967-08-23 1971-08-12 Alfa Laval Ab Zentrifuge
FR2120537A5 (en) * 1971-01-07 1972-08-18 Saget Pierre Continuous centrifugal separator - for liquids of similar density applicable with sediment present
SE371110B (ko) * 1973-03-22 1974-11-11 Alfa Laval Ab
US4190194A (en) * 1978-07-28 1980-02-26 Bird Machine Company, Inc. Solids liquid separating centrifuge with solids classification
US4761157A (en) * 1983-05-18 1988-08-02 Pennwalt Corporation Centrifuge apparatus
DE3344432A1 (de) * 1983-12-08 1985-06-20 Flottweg Bird Mach Gmbh Zentrifuge zur trennung einer suspension mit zwei getrennt abzufuehrenden fluessigkeitsphasen
US4575370A (en) * 1984-11-15 1986-03-11 Pennwalt Corporation Centrifuge employing variable height discharge weir
DE3446166A1 (de) * 1984-12-18 1986-06-26 Flottweg-Werk Bird Machine GmbH, 8313 Vilsbiburg Einstellbare wehrplatte fuer vollmantel-schneckenzentrifugen
DE3620912A1 (de) * 1986-06-21 1987-12-23 Kloeckner Humboldt Deutz Ag Zentrifuge zum kontinuierlichen trennen von stoffen unterschiedlicher dichte
US4764163A (en) * 1986-07-03 1988-08-16 Pennwalt Corporation Decanter plate dam assembly with pond adjustment
ES2042718T3 (es) * 1987-10-26 1993-12-16 Akzo Nv Procedimiento para la preparacion de una vacuna para proteger aves de corral contra septicemia producida por e. coli.
DE3822983A1 (de) * 1988-07-07 1990-01-11 Hiller Gmbh Vollmantel-schneckenzentrifuge
US4950219A (en) * 1988-10-20 1990-08-21 Alfa-Laval Ab Adjustable weir structure for a decanter centrifuge
DE3904151A1 (de) * 1989-02-11 1990-08-16 Heckmann Wolfgang Zentrifuge
DE3911320A1 (de) * 1989-04-07 1990-10-11 Kloeckner Humboldt Deutz Ag Zentrifuge zum kontinuierlichen trennen von stoffen unterschiedlicher dichte
DE3921327A1 (de) * 1989-06-29 1991-01-03 Kloeckner Humboldt Deutz Ag Wehr zum einstellen des fluessigkeitsstandes in vollmantelzentrifugen
DE4007666C1 (ko) * 1990-03-10 1991-03-07 Westfalia Separator Ag, 4740 Oelde, De
JP2997700B2 (ja) * 1990-03-19 2000-01-11 月島機械株式会社 デカンタ型遠心分離機
DE4106276A1 (de) * 1991-02-28 1992-09-03 Kloeckner Humboldt Deutz Ag Schneckenzentrifuge
US5257968A (en) * 1991-06-06 1993-11-02 Alfa Laval Separation Inc. Inflatable dam for a decanter centrifuge
DE4130759A1 (de) * 1991-09-16 1993-03-18 Flottweg Gmbh Zentrifuge zur kontinuierlichen trennung von stoffen unterschiedlicher dichte
DE4132029A1 (de) * 1991-09-26 1993-04-01 Westfalia Separator Ag Wehrscheibe zum einstellen des fluessigkeitsstandes in vollmantelschleudertrommeln von schneckenzentrifugen
DE4320265C2 (de) * 1993-06-18 1995-08-03 Westfalia Separator Ag Wehr für Vollmantelschleudertrommeln
DE19500600C1 (de) * 1995-01-11 1996-02-08 Westfalia Separator Ag Vollmantelzentrifuge
US5653674A (en) * 1996-03-27 1997-08-05 Baker Hughes Incorporated Decanter centrifuge with discharge opening adjustment control and associated method of operating
DE19618249A1 (de) * 1996-05-07 1997-11-13 Deutz Ag Schneckenzentrifuge mit Fliehkraft-Ventil
JP3543597B2 (ja) * 1997-12-22 2004-07-14 株式会社クボタ 横型遠心分離機における分離水の排出装置
JPH11197547A (ja) * 1998-01-13 1999-07-27 Kubota Corp 横型遠心分離機における分離水の排出装置
DE19962645C2 (de) * 1999-12-23 2003-04-30 Flottweg Gmbh Wehreinrichtung für eine Zentrifuge
US6290636B1 (en) * 2000-04-28 2001-09-18 Georg Hiller, Jr. Helix centrifuge with removable heavy phase discharge nozzles
DE10021642C2 (de) * 2000-05-04 2003-05-08 Flottweg Gmbh Vollmantelzentrifuge mit verstellbarer Einrichtung
DE10021983A1 (de) * 2000-05-05 2001-11-08 Baker Hughes De Gmbh Vollmantelzentrifuge zur Trennung von Feststoff-Flüssigkeitsgemischen
DE10065060B4 (de) * 2000-12-27 2004-07-08 Westfalia Separator Ag Vollmantel-Schneckenzentrifuge mit Tellereinsatz
DE10203652B4 (de) * 2002-01-30 2006-10-19 Westfalia Separator Ag Vollmantel-Schneckenzentrifuge mit einem Wehr
DE10209925B4 (de) * 2002-03-07 2010-06-17 Gea Westfalia Separator Gmbh Dreiphasen-Vollmantel-Schneckenzentrifuge, Vollmantel-Schneckenzentrifuge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Dreiphasen-Vollmantel-Schneckenzentrifuge
US7022061B2 (en) * 2002-10-15 2006-04-04 Andritz Ag Centrifuge discharge port with power recovery
US20040072668A1 (en) * 2002-10-15 2004-04-15 Baker Hughes Incorporated Liquid phase discharge port incorporating chamber nozzle device for centrifuge
DE202004005353U1 (de) * 2004-04-06 2005-08-18 Westfalia Separator Ag Vollmantelzentrifuge mit einem Wehr mit einer Drosselscheibe
DE102004019368B4 (de) * 2004-04-21 2008-03-27 Flottweg Gmbh & Co. Kgaa Wehreinrichtung für eine Zentrifu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5819A (ko) 2013-08-01 2015-02-1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세퍼레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473640A1 (en) 2003-08-07
CN100337754C (zh) 2007-09-19
US20050164861A1 (en) 2005-07-28
DE10203652A1 (de) 2003-08-14
DE10203652B4 (de) 2006-10-19
US7326169B2 (en) 2008-02-05
CA2473640C (en) 2010-08-17
EP1474241A1 (de) 2004-11-10
WO2003064054A1 (de) 2003-08-07
KR100857950B1 (ko) 2008-09-09
CN1691985A (zh) 2005-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7950B1 (ko) 위어를 구비한 스크류 디캔터형 원심분리기
CA2124924C (en) Feed accelerator system including accelerating vane apparatus
CN106238230B (zh) 用以功率减小的离心机及离心机的排放口部件
US5403486A (en) Accelerator system in a centrifuge
US5840007A (en) Decanter centrifuge for producing cake with reduced moisture content and high throughput
EP2288444B1 (en) A centrifugal separator
CA2931511C (en) Decanter centrifuge
JP3473974B2 (ja) デカンター型遠心分離装置
CA2419997C (en) Conveyor for a centrifuge and method of separation
US6290636B1 (en) Helix centrifuge with removable heavy phase discharge nozzles
US7753834B2 (en) Solid-wall centrifuge comprising a weir provided with a stationary angled deflector plate
JP3957336B2 (ja) 遠心分離機
EP1304170B1 (en) Centrifugal separator
KR102184106B1 (ko) 디캔터 원심분리기
JP7324608B2 (ja) 遠心分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