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8560A - 도어 개폐 기구 및 이를 구비한 식기 세척기 - Google Patents

도어 개폐 기구 및 이를 구비한 식기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8560A
KR20040098560A KR1020040033679A KR20040033679A KR20040098560A KR 20040098560 A KR20040098560 A KR 20040098560A KR 1020040033679 A KR1020040033679 A KR 1020040033679A KR 20040033679 A KR20040033679 A KR 20040033679A KR 20040098560 A KR20040098560 A KR 200400985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wer door
opening
state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3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5355B1 (ko
Inventor
지쯔다겐이찌
마쯔노도모히꼬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98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85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5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53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4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 A01B59/042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having pulling means arranged on the rear part of the tractor
    • A01B59/043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having pulling means arranged on the rear part of the tractor supported at three points, e.g. by quick-release coupl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보다 양호하게 식기 투입구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 개폐 기구 및 이를 구비한 식기 세척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하부 도어(6)에 부착된 연동 아암(13)의 작용축부(132)를 받는 링크 부재(22)를 배치한다. 링크 부재(22)에는 인장 스프링(23)을 부착한다. 소정 각도(예를 들어, 약 10°이하)까지 하부 도어(5)가 폐쇄되면, 인장 스프링(23)이 링크 부재(22)의 회전축(221)보다도 하방에 위치하여 인장 스프링(23)의 링크 부재(22)에 대한 압박력이 상기 링크 부재(22)를 하방으로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상기 소정 각도까지 하부 도어(5)가 폐쇄되면, 인장 스프링(23)의 압박력에 의해 링크 부재(22)를 거쳐서 연동 아암(13)의 작용축부(132)가 하방으로 밀려 내려가, 하부 도어(5)가 로크 상태까지 폐쇄된다.
하부 도어(5)를 확실하게 로크시킬 수 있으므로, 식기 투입구(3)를 보다 확실히 수밀하게 폐쇄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어 개폐 기구 및 이를 구비한 식기 세척기 {DOOR OPENING OR CLOSING INSTRUMENT AND TABLEWARE WASHING DEVICE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식기 세척기에 구비된 식기 투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 개폐 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세정실 내에 수용된 식기를 향해 세정수(예를 들어, 세정제가 혼입된 온수)를 분사함으로써 식기를 세정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가 알려져 있다.식기는, 예를 들어 식기 세척기의 전방면에 형성된 식기 투입구를 거쳐서 세정실 내에 출입된다.
식기 투입구는, 예를 들어 상하로 나열하여 배치된 2개의 도어(상부 도어 및 하부 도어)에 의해 덮여져 있다. 상부 도어는 그 상단부 모서리를 중심으로 하여 바로 앞 상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고, 하부 도어는 그 하단부 모서리를 중심으로 하여 바로 앞 하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식기 세척기 중에는, 예를 들어 도어를 폐쇄 상태로 로크하기 위한 로크 기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하부 도어가 로크된 상태에서는 하부 도어 및 상부 도어에 의해 식기 투입구가 수밀하게 폐쇄된다. 하부 도어의 상단부 중앙에는, 예를 들어 로크 기구에 의한 도어의 로크를 해제하기 위해 압박 조작되는 압박부(조작 부재)가 배치되어 있고, 이 압박부를 압박 조작함으로써 상기 조작부에 연결되어 하부 도어의 좌우 양단부에서 결합부(하부 결합부)에 결합하는 갈고리부(돌기부)를 결합부(하부 결합부)로부터 떼어내어 하부 도어의 로크를 해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압박부를 압박 조작하여 하부 도어의 로크를 해제한 후, 파지부(손잡이)를 잡아 바로 앞으로 당김으로써 하부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부 도어를 개방할 때에는, 압박부를 압박 조작하여 하부 도어의 로크를 해제한 후에 파지부를 잡아 바로 앞으로 당기는 2단계의 조작이 필요하므로, 예를 들어 마이크로 스위치 등을 이용하여 하부 도어의 로크 해제를 검지하고, 그 검지를 기초로 하여 세정실 내에서의 세정수의 분사를 정지시키는 구성으로한 경우, 로크 해제를 검지한 후 세정수의 분사를 정지시키기까지의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세정수가 식기 투입구를 거쳐서 기기 밖으로 비산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1-212059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로크 기구에 의해 하부 도어의 좌우 양단부에서 하부 도어를 로크할 수 있지만, 이 로크 기구(갈고리부와 결합부의 결합 위치)에 덜걱거림이 생긴 경우 등에는 식기 투입구를 확실히 수밀하게 폐쇄할 수 없는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하부 도어(및 상부 도어)를 개방할 때, 예를 들어 손 등을 상방으로 향하게 한 상태에서 압박부를 손가락으로 압박 조작한 후, 손 등을 뒤집어 파지부를 손가락으로 잡아 바로 앞으로 당겨야만 하므로, 원활하게 하부 도어를 개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하에 이루어진 것으로, 보다 양호하게 식기 투입구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 개폐 기구 및 이를 구비한 식기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식기 투입구를 보다 확실히 수밀하게 폐쇄할 수 있는 도어 개폐 기구 및 이를 구비한 식기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어를 보다 원활하게 개방할 수 있는 도어 개폐기구 및 이를 구비한 식기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식기 세척기의 정면도.
도2는 도1에 있어서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3은 조작 레버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4는 래치 레버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5는 하부 도어의 종단면도.
도6은 후크과 결합부의 결합 위치 근방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
도7은 인입 기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우측면도.
도8은 도1에 있어서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링크 부재가 대기 상태로부터 하방으로 회전하는 도중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
도9는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조작부의 외관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10은 조작부가 부착된 하부 도어 및 상부 도어의 개략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식기 세척기
3 : 식기 투입구
4 : 상부 도어
5 : 하부 도어
6 : 조작 레버
9 : 세정실
10 : 결합부
12 : 링크 기구
16 : 조작부
16A : 압박부
16B : 파지부
20 : 인입 기구
22 : 링크 부재
23 : 인장 스프링
61 : 파지부
634 : 후크
이하에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식기 세척기(1)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2는 도1에 있어서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이 식기 세척기(1)는 그 외형이 대략 직사각형의 캐비닛(2)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캐비닛(2)의 내부는, 예를 들어 세정해야 할 식기를 수용하기 위한 세정실(9)로 되어 있고, 이 세정실(9) 내에 식기를 수용한 상태에서 운전을 개시하면, 상기 세정실(9) 내에 배치된 노즐(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식기를 향해 세정수(예를 들어, 세정제가 혼입된 온수)가 분사되어 식기가 세정된다. 이 식기 세척기(1)는, 예를 들어 건조 기능도 갖고 있어 세정 후의 식기를 온풍으로 건조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캐비닛(2)의 전방면은 세정실(9) 내에 식기를 출입하기 위한 식기 투입구(3)로 되어 있다. 이 식기 투입구(3)는, 예를 들어 캐비닛(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2개의 도어[상부 도어(4) 및 하부 도어(5)]에 의해 덮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상부 도어(4)는 식기 투입구(3)의 상부 절반 정도를 덮고, 하부 도어(5)는 식기 투입구(3)의 하부 절반 정도를 덮는 것이며, 각각 전방을 향해 볼록 만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부 도어(4)는 바로 앞 상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고, 하부 도어(5)는 바로 앞 하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들 상부 도어(4)및 하부 도어(5)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식기 투입구(3)가 덮여 세정실(9)이 수밀하게 폐색된다.
하부 도어(5)의 상단부 중앙에는, 예를 들어 상기 하부 도어(5)를 개폐할 때에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조작 레버(6)가 부착되어 있다. 조작 레버(6)에는 하부 도어(5)의 전방면에 대해 소정 간격(사용자가 손가락을 넣을 수 있는 정도의 간격)을 두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고, 하부 도어(5)의 개폐시에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61)와, 이 파지부(61)의 좌우 양단부로부터 하부 도어(5)측으로 연장되는 아암부(62)가 구비되어 있다.
조작 레버(6)의 양 아암부(62)는 각각 하부 도어(5)의 전방면에 형성된 개구(51)를 거쳐서 하부 도어(5) 내로 삽입되어 있다. 양 아암부(62)의 선단부에는 각각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621)이 동일축 상에 구비되어 있고, 양 회전축(621)이 하부 도어(5) 내부의 소정 위치에 부착됨으로써 조작 레버(6)가 하부 도어(5)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되어 있다. 각 개구(51)는 그 상하 방향의 길이가 아암부(62)의 상하 방향의 길이보다도 길게 형성되어 있고, 이에 의해 조작 레버(6)는 양 아암부(62)가 개구(51)의 상단부 모서리에 접촉하는 위치와 하단부 모서리에 접촉하는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하부 도어(5) 내에는 상기 하부 도어(5)의 좌측단부로부터 우측단부까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래치 레버(63)가 배치되어 있다. 래치 레버(63)는 개구(51)로부터 삽입된 조작 레버(6)의 양 아암부(62)에 결합하여 조작 레버(6)의 회전 조작에 따라서 그 좌우 방향에 따른 회전 축선(X) 주위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상부 도어(4)의 상부 중앙에는, 예를 들어 세정실(9) 내에 연통하는 배기구(7)가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세정실(9) 내에서 고온의 세정수를 분사한 경우나 건조시 등에는 배기구(7)로부터 증기를 배기할 수 있다.
캐비닛(2)의 전방면 하부에는 상기 식기 세척기(1)의 운전을 개시시키거나, 세정 코스를 설정하거나 할 때에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 패널(8)이 배치되어 있다.
도3은 조작 레버(6)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3의 (a)는 평면도, 도3의 (b)는 우측면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3을 참조하여, 파지부(61)의 좌우 양단부에는, 예를 들어 상기 파지부(61)의 좌우 양단부를 아암부(62)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67)가 돌출 설치되어 있어, 각 결합부(67)가 대응하는 아암부(62)의 일단부(전방단부)에 끼워 넣어져 있다.
양 아암부(62)의 타단부(후방단부)는, 예를 들어 평판형의 연결부(64)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양 아암부(62)의 후방단부에는 상술한 회전축(621) 외에 상기 아암부(62)가 연장되는 방향(후방)을 향해 돌출되는 결합 부재(622)가 형성되어 있다.
도4는 래치 레버(63)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4의 (a)는 평면도, 도4의 (b)는 우측면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래치 레버(63)는, 예를 들어 회전축선(X)에 따라서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연장되는 3개의 회전축부(631)와, 이들 회전축부(631) 사이에 배치되어회전축선(X)에 평행한 소정의 축선(Y)에 따라서 연장되는 2개의 작용축부(632)와, 인접하는 회전축부(631)와 작용축부(632)를 연결하는 4개의 굴곡부(633)를 갖고 있다. 2개의 작용축부(632) 사이의 거리는, 예를 들어 조작 레버(6)의 양 아암부(62) 사이의 거리와 같은 정도이다. 회전축부(631), 작용축부(632) 및 굴곡부(633)는 각각, 예를 들어 단면 대략 원형상의 부재이며, 그 외주면에는 복수의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좌우 양측의 회전축부(631)의 선단부에는 각각 회전축선(X)에 대해 직교하는 동일 방향(후방)을 향해 후크(634)가 돌출되어 있다. 후크(634)의 선단부에는 회전축선(X) 주위(하방)로 돌출되는 갈고리부(634A)와, 상기 후크(634)가 연장되는 방향(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634B)가 형성되어 있다.
도5는 하부 도어(5)의 종단면도이며, 조작 레버(6)의 결합 부재(622)의 근방에서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하부 도어(5)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도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레버(6)의 아암부(62)가 전방을 향해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래치 레버(63)의 좌우 양측에 구비된 후크(634)의 갈고리부(634A)가 각각 식기 세척기(1) 본체[식기 투입구(3)의 주연부]에 구비된 결합부(10)에 걸려 있고, 이에 의해 하부 도어(5)가 폐쇄 상태로 로크되어 있다. 이 때, 조작 레버(6)의 아암부(62)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결합 부재(622)는 래치 레버(63)의 작용축부(632)의 하면에 형성된 접촉면(632A)에 하방으로부터 접촉하고 있다.
하부 도어(5)의 내부에는, 예를 들어 조작 레버(6)를 압박하기 위한 판 스프링(65)이 배치되어 있다. 판 스프링(65)은, 예를 들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 그 하단부가 나사(66)에 의해 하부 도어(5) 내에 고정되고, 상단부가 조작 레버(6)의 연결부(64)의 대략 중앙을 전방으로 압박하고 있다.
도5의 (a)의 상태로부터 조작 레버(6)의 파지부(61)를 쥐고 연결부(64)에 대한 판 스프링(65)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조작 레버(6)를 하방으로 밀어 내리면, 도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레버(6)의 결합 부재(622)에 의해 래치 레버(63)의 접촉면(632A)의 후방단부가 밀려 올라가고, 이에 수반하여 래치 레버(63)의 후크(634)의 결합부(10)에 대한 결합이 해제되어 하부 도어(5)의 로크가 해제된다.
하부 도어(5)의 로크를 해제하기 위해 조작 레버(6)를 밀어 내렸을 때의 힘은 도5의 (b)에 나타내는 화살표 D1의 방향[조작 레버(6)의 회전축(621)을 중심으로 한 접선 방향]으로 작용한다. 한편, 도5의 (b)의 상태(로크 해제 상태)로부터 하부 도어(5)를 개방하기 위해 조작 레버(6)를 바로 앞으로 당길 때의 힘은 도5의 (b)에 나타내는 화살표 D2의 방향[하부 도어(5)의 회전축(52)을 중심으로 한 접선 방향]으로 작용한다. 이들 각 힘이 작용하는 방향(D1, D2)은 서로 약 90°이상의 각도(90°에 가까운 각도, 혹은 그 이상의 각도)를 이루도록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각 힘이 작용하는 방향(D1, D2)이 이루는 각도는, 예를 들어 도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도어(5)의 로크가 해제된 직후에서 약 87°이다.
본 구성에 따르면, 하부 도어(5)의 로크를 해제하기 위해 조작 레버(6)를 밀어 내렸을 때의 힘이 하부 도어(5)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일이 없거나, 혹은 작용하였다고 해도 매우 작기 때문에, 조작 레버(6)를 밀어 내린 경우에 하부 도어(5)의 로크가 해제되는 동시에 상기 하부 도어(5)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하부 도어(5)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조작 레버(6)를 밀어 내려 하부 도어(5)의 로크를 해제한 후에 조작 레버(6)를 바로 앞으로 당기는 2단계의 조작이 필요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 레버(6)를 판 스프링(65)으로 압박함으로써 조작 레버(6)를 하부 도어(5)의 표면에 대해 대략 수직인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본 구성에 따르면, 조작 레버(6)를 밀어 내리는 힘이 작용하지 않을 때에는 결합 부재(622)의 래치 레버(63)에 대한 규제가 해제된 상태가 되어, 후크(634)를 회전 가능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하부 도어(5)를 폐쇄할 때에는 조작 레버(6)가 회전하는 일 없이 후크(634)가 회전하여 후크(634)와 결합부(10)가 결합하게 된다.
도6은 후크(634)와 결합부(10)의 결합 위치 근방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치 레버(63)의 후크(634)의 후방에는 마이크로 스위치(11)가 배치되어 있다. 마이크로 스위치(11)의 액튜에이터(111)는 그 일단부(후방단부)에 구비된 회전축(112)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고, 타단부(전방단부)가 후크(634)의 돌출부(634B)의 하부 근방까지 연장되어 있다. 액튜에이터(111)는 회전축(112)을 중심으로 하여 상방향으로 압박되어 있다.
후크(634)의 갈고리부(634A)가 결합부(10)에 결합된 상태, 즉 하부 도어(5)가 폐쇄 상태로 로크된 상태에서는, 도6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액튜에이터(111)가 돌출부(634B)에 의해 하방으로 밀려 내려가 있다. 이 상태에서는 마이크로 스위치(11)의 작용 돌기부(113)가 액튜에이터(111)에 의해 본체(114) 내로 압입되어 있어,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11)가 온(ON)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조작 레버(6)를 하방으로 밀어 내려 후크(634)의 결합부(10)에 대한 결합을 해제하고자 하면, 돌출부(634B)가 상방으로 변위하여 상기 돌출부(634B)에 의해 밀려 내려가 있던 액튜에이터(111)가 상방으로 들려 올려진다. 그리고, 갈고리부(634A)의 결합부(10)에 대한 결합이 해제되기 직전에, 도6에 있어서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작용 돌기부(113)에 대한 액튜에이터(111)의 압박이 해제되어 마이크로 스위치(11)가 오프(OFF)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마이크로 스위치(11)가 오프된 것을 검출함으로써, 하부 도어(5)의 로크가 해제된 것을 검지할 수 있다. 하부 도어(5)의 로크가 해제되었다고 검지한 것에 응답하여, 예를 들어 세정실(9) 내에서의 노즐로부터의 세정수의 분사를 정지시키는 제어를 행하면, 상기 식기 세척기(1)의 운전 중에 하부 도어(5)[및 상부 도어(4)]가 개방된 경우라도 세정수가 식기 투입구(3)를 거쳐서 기기 밖으로 비산하는 일이 없다.
특히, 도5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부 도어(5)를 개방할 때에는 조작 레버(6)를 밀어 내려 하부 도어(5)의 로크를 해제한 후에 조작 레버(6)를 바로 앞으로 당기는 2단계의 조작이 필요하므로, 마이크로 스위치(11)로 하부 도어(5)의 로크 해제를 검지한 후 세정수의 분사를 정지시키기까지의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수 있다. 따라서, 세정수가 식기 투입구(3)를 거쳐서 기기 밖으로 비산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부 도어(5)를 개방할 때, 조작 레버(6)를 쥔 상태에서 상기 조작 레버(6)를 하방으로 밀어 내린 후, 그 상태에서 바로 앞으로 당기는 것만으로 하부 도어(5)를 개방할 수 있으므로, 하부 도어(5)의 로크를 해제하기 위한 조작과, 로크 해제 후에 하부 도어(5)를 개방하기 위한 조작을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압박부를 압박 조작하여 하부 도어의 로크를 해제한 후, 손 등을 뒤집어 파지부를 잡아 바로 앞으로 당김으로써 하부 도어를 개방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보다 원활하게 하부 도어(5)를 개방할 수 있다.
다시 도2를 참조하여, 상기 식기 세척기(1)의 좌우 양측단부의 캐비닛(2) 내에는 하부 도어(5)의 회전 동작에 수반하여 상부 도어(4)를 회전시키기 위한 링크 기구(12)가 구비되어 있다. 이 식기 세척기(1)의 좌우 양측단부에 구비된 각 링크 기구(12)의 구성은 마찬가지이므로, 이하에서는 식기 세척기(1)의 우측단부에 구비된 링크 기구(12)의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하부 도어(5)의 우측단부의 하단부에는 캐비닛(2) 내에 배치된 측판(2A)의 표면에 따라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연동 아암(13)이 부착되어 있다. 이 연동 아암(13)은 하부 도어(5)가 회전되는 데 연동하여 상기 하부 도어(5)의 회전축(52)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이다. 연동 아암(13)의 중간부에는 연결축부(131)가 설치되어 있고, 이 연결축부(131)는 연동 아암(13)의 변위를 상부 도어(4)로 전달하기 위한 전달 아암(14)의 일단부(하단부)에 형성된 긴 구멍(141)으로 삽입 관통되어있다. 전달 아암(14)의 긴 구멍(141)은 대략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이 긴 구멍(141)에 대해 연동 아암(13)의 연결축부(131)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됨으로써, 연동 아암(13)과 전달 아암(14)이 일정한 헐거움을 갖고 연결되어 있다.
연동 아암(13)은 측판(2A)에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타단부(상단부)에는 측판(2A)의 상부에 형성된 안내 구멍(2B)으로 삽입 관통된 안내축부(142)가 형성되어 있다. 안내 구멍(2B)은, 예를 들어 그 하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바로 연장된 후, 후방을 향해 순조롭게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도어(5)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전달 아암(14)의 안내축부(142)는 안내 구멍(2B)의 하단부 모서리에 접촉하고 있다. 이 상태로부터 하부 도어(5)의 로크를 해제하여 바로 앞 하방으로 회전시키면, 그에 수반하여 연동 아암(13)이 회전축(52)을 중심으로 하여 상방으로 회전하고, 이 연동 아암(13)에 연결된 전달 아암(14)이 상방으로 들어 올려져 상기 전달 아암(14)의 안내축부(142)가 안내 구멍(2B)에 따라서 하단부 모서리로부터 상단부 모서리까지 슬라이드한다. 이 전달 아암(14)의 상단부는, 예를 들어 연결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거쳐서 상부 도어(4)에 연결되어 있고, 전달 아암(14)의 안내축부(142)가 안내 구멍(2B)에 따라서 슬라이드하는 데 수반하여 상부 도어(4)가 바로 앞 상방으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 도어(5)를 가장 개방한 상태에서는 전달 아암(14)의 안내축부(142)가 안내 구멍(2B)의 상단부 모서리에 도달하여 상부 도어(4)가 가장 개방된 상태가 된다.
연동 아암(13)은, 예를 들어 하부 도어(5)의 하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후, 일단 하방으로 절곡되어 다시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굴곡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후방단부는 하부 도어(5)를 폐쇄 상태로 인입하기(회전 보조력을 부여하기) 위한 인입 기구(20)에 결합하고 있다. 인입 기구(20)에는 측판(2A)에 부착된 고정판(21)과, 이 고정판(2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링크 부재(22)와, 이 링크 부재(22)에 대해 압박력을 부여하기 위한 인장 스프링(23)이 구비되어 있다.
고정판(21)에는 그 링크 부재(22)의 부착 위치에 상하 방향에 대해 45 °정도 경사진 후 하부 방향에 따라서 길게 연장되는 절결부(211)가 형성되어 있다. 링크 부재(22)의 일단부(후방단부)에는 회전축(221)이 형성되어 있고, 이 회전축(221)이 고정판(21)의 절결부(211) 내에 삽입 관통됨으로써 링크 부재(22)가 고정판(2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한편, 링크 부재(22)의 타단부(전방단부)에는 연동 아암(13)의 후방단부에 형성된 작용축부(132)를 받기 위한 절결부[받침부(222)]가 형성되어 있다. 인장 스프링(23)은 고정판(21)의 후방단부 하부와 링크 부재(22)의 전방단부 하부를 연결하고 있고, 도2에 도시하는 상태(로크 상태)에서는 링크 부재(22)에 대해 하방으로 압박력을 부여하고 있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부(222)에 연동 아암(13)의 작용축부(132)가 받쳐진 상태에서 하부 도어(5)를 바로 앞 하방으로 회전시키면, 인장 스프링(23)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링크 부재(22)가 상방으로 회전한다. 연동 아암(13)의 작용축부(132)는 하부 도어(5)의 회전 동작에 수반하여 상기 하부 도어(5)의 회전축(52)을 중심으로 하고, 도2에 있어서 일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궤적(L)을 그려상방으로 변위한다. 따라서, 하부 도어(5)를 바로 앞 하방으로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연동 아암(13)의 작용축부(132)의 받침부(222)에 대한 결합이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도7은 인입 기구(2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우측면도이며, 연동 아암(13)의 작용축부(132)의 받침부(222)에 대한 결합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하부 도어(5)가 바로 앞 하방으로 회전되는 데 수반하여 상방으로 회전된 링크 부재(22)는, 연동 아암(13)의 작용축부(132)의 받침부(222)에 대한 결합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상단부 모서리가 고정판(21)에 형성된 스토퍼(212)에 압박된 상태로 대기하고 있다(대기 상태). 이 대기 상태에서는 인장 스프링(23)이 링크 부재(22)의 회전축(221)보다도 약간 상방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인장 스프링(23)의 링크 부재(22)에 대한 압박력은 상기 링크 부재(22)를 상방(후방)으로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다. 즉, 대기 상태에서는 링크 부재(22)가 사안점[인장 스프링(23)이 링크 부재(22)의 회전축(221)의 연장선 상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이며, 인장 스프링(23)의 링크 부재(22)에 대한 압박력이 상기 링크 부재(22)를 상방으로 회전시키는 방향(개방 방향)으로 작용하는 상태와 하방으로 회전시키는 방향(폐쇄 방향)으로 작용하는 상태로 절환되는 경계 위치]보다도 상방(개방 방향측)으로 보유 지지되어 있다.
이 대기 상태에서 하부 도어(5)가 폐쇄 방향으로 회전되면, 연동 아암(13)의 작용축부(132)가 그 궤적(L)에 따라서 하방으로 변위해 온다. 그리고, 작용축부(132)가 링크 부재(22)의 받침부(222)에 받쳐지면, 그 작용축부(132)로부터 받침부(222)에 작용하는 힘에 의해 링크 부재(22)가 하방으로 회전한다.
도8은 도1에 있어서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링크 부재(22)가 대기 상태로부터 하방으로 회전하는 도중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연동 아암(13)의 작용축부(132)가 링크 부재(22)의 받침부(222)에 받쳐진 후, 다시 하부 도어(5)가 폐쇄 방향으로 회전되면,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달 아암(14)의 안내축부(142)가 안내 구멍(2B)의 하단부 모서리에 접촉한 상태가 되어 상부 도어(4)가 완전히 폐쇄된다. 이 상태에서는, 연동 아암(13)의 연결축부(131)는 전달 아암(14)의 긴 구멍(141)의 상단부 모서리에 접촉하고 있어, 이 상태에서는 하부 도어(5)가 도2에 도시하는 폐쇄 상태보다도 회전축(52)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예를 들어 약 10°이하)만큼 전방으로 개방되어 있다. 즉, 하부 도어(5)의 회전 위치가 상기 소정 각도 범위 내에 있을 때에는, 하부 도어(5)의 회전 동작에 수반하여 회전하는 연동 아암(13)의 변위가 전달 아암(14)에 전달되지 않고, 연동 아암(13)과 전달 아암(14)이 서로 헐거운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도8에 도시하는 상태까지 하부 도어(5)가 폐쇄되었을 때에는, 링크 부재(22)가 상방으로부터 사안점을 초과하여 하방으로 회전되어 인장 스프링(23)이 링크 부재(22)의 회전축(221)보다도 하방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인장 스프링(23)의 링크 부재(22)에 대한 압박력은 상기 링크 부재(22)를 하방으로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이 도8에 도시하는 상태까지 하부 도어(5)가 폐쇄되었을 때에는 인입 기구(20)의 인장 스프링(23)의 압박력에 의해 링크 부재(22)를 거쳐서 연동 아암(13)의 작용축부(132)가 하방으로 밀려 내려가고, 하부 도어(5)가도2에 도시하는 상태까지 폐쇄된다.
인입 기구(20)에 의한 하부 도어(5)의 인입이 개시될 때의 하부 도어(5)의 회전 위치는 하부 도어(5)의 내면이 상부 도어(4)의 외면보다도 바로 앞으로 돌출되지 않는 범위[하부 도어(5)의 상단부면과 상부 도어(4)의 하단부면이 오버랩하는 범위], 또는 하부 도어(5)의 내면 상단부와 상부 도어(4)의 외면 하단부 사이에 손가락이 들어가지 않을 정도의 간극을 갖는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내까지 하부 도어(5)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하부 도어(5)의 상단부와 상부 도어(4)의 하단부의 간극으로부터 손가락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인입 기구(20)에 의해 하부 도어(5)가 인입될 때에 손가락이 끼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입 기구(20)는 하부 도어(5)가 비교적 작은 각도 범위 내까지 폐쇄된 상태로부터 하부 도어(5)를 인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인입 기구(20)를 측판(2A)의 바로 앞측으로 배치하여 연동 아암(13)을 짧게 한 경우에는, 하부 도어(5)의 회전량에 대한 작용축부(132)의 스트로크량이 작아져 인입 기구(20)[링크 부재(22)]의 동작 범위가 좁아지므로 오차가 생기기 쉽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인입 기구(20)가 측판(2A)의 전후 방향 중앙보다도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연동 아암(13)이 비교적 길고, 하부 도어(5)의 회전량에 대한 작용축부(132)의 스트로크량이 비교적 크다. 따라서, 인입 기구(20)[링크 부재(22)]의 동작 범위를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오차가 생기기 어렵고, 하부 도어(5)를 개방한 상태에서는 링크 부재(22)를 대기 위치에서[상기 식기 세척기(1)에 작용하는 진동 등에 대해] 안정되게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부 도어(5)가 소정 위치(도8에 도시하는 상태)까지 폐쇄되면, 그 후에는 인입 기구(20)의 작용에 의해 하부 도어(5)가 로크 상태에서 인입되므로 하부 도어(5)를 확실하게 로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식기 투입구(3)를 보다 확실히 수밀하게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이 인입 기구(20)를 구비하지 않은 도어 개폐 기구에 있어서 하부 도어(5)를 폐쇄할 때에는, 하부 도어(5)의 로크 기구 근방을 누르지 않으면 하부 도어(5)를 확실하게 로크할 수 없는 경우가 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부 도어(5)의 어느 한 위치를 들어 올려 폐쇄한 경우라도 인입 기구(20)의 작용에 의해 하부 도어(5)가 확실하게 로크되므로, 식기 투입구(3)를 보다 확실히 수밀하게 폐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부 도어(5)가 로크 상태에서 인입 기구(20)에 의해 폐쇄 방향으로 압박되고 있으므로, 하부 도어(5)를 로크 기구[후크(634)]에 의해 폐쇄 상태로 로크만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하부 도어(5)를 식기 투입구(3)에 대해 보다 수밀하게 폐쇄할 수 있다.
게다가 또한, 대기 상태에서는 링크 부재(22)가 인장 스프링(23)에 의한 압박력이 가장 큰 사안점보다도 개방 방향측(상방)으로 보유 지지되어 있으므로, 연동 아암(13)의 작용축부(132)가 링크 부재(22)에 결합할 때까지 하부 도어(5)가 폐쇄되어 링크 부재(22)가 사안점을 초과하여 폐쇄 방향(하방)으로 회전되면, 하부 도어(5)에 의해 큰 압박력이 폐쇄 방향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식기 투입구(3)를보다 확실히 수밀하게 폐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부 도어(4)가 폐쇄된 상태에서 링크 기구(12)의 헐거움의 범위 내에서 하부 도어(5)가 인입 기구(20)에 의해 폐쇄 상태로 인입되므로, 하부 도어(5)만을 인입 기구(20)에 의해 인입할 수 있다. 따라서, 연동하는 상부 도어(4) 및 하부 도어(5)의 양방을 인입 기구(20)에 의해 인입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인입에 필요한 힘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보다 양호하게 식기 투입구(3)를 개폐할 수가 있다.
하부 도어(5)를 개방할 때에는 링크 부재(22)가 하방으로부터 사안점을 초과하여 상방으로 회전되고, 인장 스프링(23)이 링크 부재(22)의 회전축(221)보다도 상방에 위치할 때까지 하부 도어(5)를 개방하면, 인장 스프링(23)의 압박력이 링크 부재(22)를 상방으로 회전시키는 방향, 즉 하부 도어(5)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하부 도어(5)를 개방할 때의 보조력을 가할 수 있으므로, 하부 도어(5)를 보다 쉽게 개방할 수 있다.
도9는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조작부(16)의 외관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10은 조작부(16)가 부착된 하부 도어(5) 및 상부 도어(4)의 개략 종단면도이다.
도9 및 도10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조작부(16)에는 하부 도어(5)의 로크를 해제하기 위해 압박 조작되는 압박부(16A)와, 로크 해제 후에 하부 도어(5)를 바로 앞으로 당길 때에 잡기 위한 파지부(16B)가 구비되어 있다. 보다구체적으로는, 조작부(16)에는 파지부(16B)를 구성하는 상판부(161)와, 이 상판부(161)의 하단부 모서리로부터 전방측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압박부(16A)를 구성하는 하판부(162)와, 이 하판부(162)의 하단부 모서리로부터 후방으로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된 바닥판부(163)와, 이들 상판부(161), 하판부(162) 및 바닥판부(163)의 좌우 양측 모서리에 따라서 후방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된 좌우측판부(164)가 구비되어 있다.
좌우측판부(164)에는 각각 상판부(161)와 하판부(162)의 결합부 근방의 위치에 좌우 방향으로 돌출되는 회전축(165)이 동일축 상에 형성되어 있다. 각 회전축(165)을 하부 도어(5) 내의 상단부의 소정 위치에 그 축선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부착함으로써, 상기 조작부(16)를 하부 도어(5)에 대해 회전축(165)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다.
조작부(16)는,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압박 부재(스프링 등)에 의해 압박되어, 통상 도1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판부(162)가 하부 도어(5)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판부(161)가 하부 도어(5)의 표면과 동일 높이의 면으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파지부(16B)가 하부 도어(5) 내에 수용된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파지부(16B)를 잡아 바로 앞으로 당길 수 없다.
이 상태로부터 조작부(16)의 하판부(162)[압박부(16A)]를 전방으로부터 압박 조작하면, 도1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판부(162)가 하부 도어(5)의 표면과 동일 높이의 면이 되고, 상판부(161)가 하부 도어(5)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상태가 되어 하부 도어(5)의 로크가 해제된다. 이 상태에서는 파지부(16B)가 하부 도어(5) 내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어 파지부(16B)를 잡을 수 있다. 이 상태로부터 파지부(16B)를 잡아 바로 앞으로 당기면, 하부 도어(5)를 바로 앞 하방으로 회전시켜 개방할 수 있다.
하부 도어(5)의 로크를 해제하기 위해 압박부(16A)를 압박 조작하였을 때의 힘은 도10의 (b)에 나타내는 화살표 D3의 방향[조작부(16)의 회전축(165)을 중심으로 한 접선 방향]으로 작용한다. 한편, 도10의 (b)의 상태(로크 해제 상태)로부터 하부 도어(5)를 개방하기 위해 파지부(16B)를 전방으로 당길 때의 힘은 도10의 (b)에 나타내는 화살표 D4의 방향[하부 도어(5)의 회전축(52)을 중심으로 한 접선 방향]으로 작용한다. 이들 각 힘이 작용하는 방향(D3, D4)은 서로 약 90°이상의 각도를 이루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하부 도어(5)의 로크를 해제하기 위해 압박부(16A)를 압박 조작하였을 때의 힘이 하부 도어(5)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일이 없으므로, 압박부(16A)를 압박 조작한 경우에 하부 도어(5)의 로크가 해제되는 동시에 상기 하부 도어(5)가 개방되는 등의 일이 없다. 즉, 하부 도어(5)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압박부(16A)를 압박 조작하여 하부 도어(5)의 로크를 해제한 후에 파지부(16B)를 바로 앞으로 당기는 2단계의 조작이 필요하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하부 도어(5)를 개방하였을 때에는 압박부(16A)를 압박 조작하여 하부 도어(5)의 로크를 해제한 후에 파지부(16B)를 잡아 바로 앞으로 당기는 2단계의 조작이 필요하므로, 마이크로 스위치(11)로 하부 도어(5)의 로크 해제를 검지한 후 세정수의 분사를 정지시키기까지의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세정수가 식기 투입구(3)를 거쳐서 기기 밖으로 비산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예를 들어 압박부(16A)를 엄지 손가락으로 압박 조작하여 하부 도어(5)의 로크를 해제시킨 후, 그 상태에서 다른 손가락으로 파지부(16B)를 잡아 바로 앞으로 당기는 것만으로 하부 도어(5)를 개방할 수 있으므로, 하부 도어(5)의 로크를 해제하기 위한 조작과, 로크 해제 후에 하부 도어(5)를 개방하기 위한 조작을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압박부를 압박 조작하여 하부 도어의 로크를 해제한 후, 손 등을 뒤집어 파지부를 잡고, 바로 앞으로 당김으로써 하부 도어를 개방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보다 원활하게 하부 도어(5)를 개방할 수 있다.
특히, 압박부(16A)가 압박 조작되는 데 수반하여 파지부(16B)를 파지할 수 있게 되므로, 하부 도어(5)가 로크되어 있는 상태에서 파지부(16B)가 바로 앞으로 당겨져, 하부 도어(5)가 강제적으로 개방되는 등의 일이 없다. 따라서, 하부 도어(5)의 로크를 해제하기 위한 조작과, 로크 해제 후에 하부 도어(5)를 개방하기 위한 조작을 확실히 2단계로 할 수 있으므로, 하부 도어(5)의 로크가 해제된 후 운전 동작을 정지시키기까지의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세정수가 식기 투입구(3)를 거쳐서 기기 밖으로 비산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도어(4)는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링크 기구(12)의 작용에 의해 하부 도어(5)의 회전 동작에 수반하여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 형태의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인입 기구(20)는 하부 도어(5)에 부착된 연동 아암(13)에 결합하여 하부 도어(5)를 압박하는 것은 아니고, 하부 도어(5)에 직접 결합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하부 도어(5)를 압박하기 위한 수단은 인장 스프링(23)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압박 부재(예를 들어, 솔레노이드 등)라도 좋다.
하부 도어(5)를 폐쇄 상태에서 로크하기 위한 로크 기구는 후크(634)와 결합부(10)의 결합에 의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부재(예를 들어, 핀 등)를 이용한 구성이라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 레버(6)나 조작부(16)가 하부 도어(5)에 구비된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조작 레버(6)나 조작부(16)가 상부 도어(4)에 구비된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식기 투입구(3)를 2개의 도어[상부 도어(4) 및 하부 도어(5)]로 덮는 구성의 식기 세척기(1)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식기 투입구를 1개의 도어로 덮는 구성의 식기 세척기에도 적용 가능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식기 세척기(1)에 구비된 식기 투입구(3)를 개폐하기 위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도어(5)와, 상기 도어의 회전 동작에 수반하여 도어에 회전 보조력을 부여하는 회전 보조 수단(20)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보조 수단은 상기 도어가 폐쇄 상태로부터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 있을 때에 상기 도어를 폐쇄 방향으로 인입하는 회전 보조력을 부여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 기구이다.
상기 도어를 폐쇄 상태에서 로크하기 위한 로크 기구(634, 1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괄호 내의 영숫자는 후술하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대응 구성 요소 등을 나타낸다. 이하, 이 항에 있어서 같다.
이 구성에 따르면, 도어가 상기 소정의 각도 범위 내까지 폐쇄되면, 그 후에는 회전 보조 수단의 회전 보조력에 의해 도어가 폐쇄 방향으로 인입되므로, 도어를 확실하게 로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식기 투입구를 보다 확실히 수밀하게 폐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과 같은 도어 개폐 기구를 구비하지 않은 구성의 경우, 도어를 폐쇄할 때에는 도어의 로크 기구 근방을 누르지 않으면 도어를 확실하게 로크할 수 없는 경우가 있지만,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도어의 어느 한 위치를 눌러 폐쇄한 경우라도 회전 보조 수단의 회전 보조력에 의해 도어가 확실하게 로크되므로 식기 투입구를 보다 확실히 수밀하게 폐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 폐쇄 방향의 회전 보조력을 받고 있으므로, 도어를 로크 기구에 의해 폐쇄 상태에서 로크만 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도어를 식기 투입구에 대해 보다 수밀하게 폐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보다 양호하게 식기 투입구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 개폐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각도 범위는 약 10°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도어가회전 보조 수단에 의해 폐쇄 방향으로 인입될 때에 도어와 식기 투입구 사이에 손가락이 끼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과 같이, 상기 회전 보조 수단(20)은 상기 도어(5)가 상기 소정의 각도 범위를 초과하여 개방되었을 때에 상기 도어에 개방 방향의 회전 보조력을 부여하는 것이라도 좋다.
이 경우, 상기 회전 보조 수단은 상기 도어의 회전 동작에 수반하여 도어에 결합 가능한 결합 부재(22)와, 상기 결합 부재를 압박함으로써 상기 도어에 회전 보조력을 부여하는 압박 부재(23)를 포함하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압박 부재(23)는 상기 도어(5)가 상기 소정의 각도 범위를 초과하여 개방되었을 때에 상기 결합 부재(22)에 결합하는 상기 도어를 개방 방향으로 압박하는 것이며, 상기 도어가 상기 결합 부재에 결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압박 부재의 상기 도어에 대한 압박력이 개방 방향과 폐쇄 방향에서 절환되는 사안점보다도 개방 방향측으로 보유 지지되어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따르면, 결합 부재가 압박 부재에 의한 압박력이 가장 큰 사안점보다도 개방 방향측으로 보유 지지되어 있으므로 도어가 결합 부재에 결합할 때까지 폐쇄되고, 결합 부재가 사안점을 초과하여 폐쇄 방향으로 회전되면 도어에 의해 큰 압박력이 폐쇄 방향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식기 투입구를 보다 확실히 수밀하게 폐쇄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도어(5)와 함께 상기 식기 투입구를 개폐하기 위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연동 도어(4)와, 상기 도어의 회전 동작과 상기 연동 도어의 회전 동작을 연동시키기 위한 링크 기구(12)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 기구는 상기 도어를 상기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시켜도 상기 연동 도어가 폐쇄 상태 그대로 회전하지 않을 정도의 헐거움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도어 개폐 기구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연동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 링크 기구의 헐거움의 범위 내에서 도어가 회전 보조 수단에 의해 폐쇄 방향으로 인입되므로, 도어만을 회전 보조 수단에 의해 인입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 및 연동 도어의 양방을 폐쇄 방향으로 인입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인입에 필요한 힘을 작게 억제할 수 있으므로, 보다 양호하게 식기 투입구를 개폐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식기 세척기(1)에 구비된 식기 투입구(3)를 개폐하기 위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도어(5)와, 상기 도어를 폐쇄 상태로 로크하기 위한 로크 기구(634, 10)와, 상기 도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도어를 개방할 때에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 부재(6, 16)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 부재에 대해 제1 방향(D1, D3)으로 힘을 부여함으로써 상기 조작 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로크 기구에 의한 상기 도어의 로크를 해제할 수 있는 동시에, 그 로크 해제 상태로부터 상기 조작 부재에 대해 상기 제1 방향과는 다른 제2 방향(D2, D4)으로 힘을 부여함으로써 상기 도어를 개방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 기구이다.
상기 로크 기구에 의한 상기 도어의 로크가 해제된 것을 검지하기 위한 로크 검지부(11)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크 검지부에 의해 상기 도어의 로크가 해제되었다고 검지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식기 세척기의 운전 동작(세정실 내에서의 세정수의 분사)을 정지시키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조작 부재를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압박하는 압박 부재(65)를 더 포함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도어를 개방할 때에는 조작 부재에 대해 제1 방향으로 힘을 부여하여 도어의 로크를 해제한 후에 제2 방향으로 힘을 부여하는 2단계의 조작이 필요하므로, 도어의 로크가 해제된 후 운전 동작을 정지시키기까지의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세정수가 식기 투입구를 거쳐서 기기 밖으로 비산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도어를 개방할 때, 조작 부재에 대해 제1 방향으로 힘을 부여하여 회전시킨 후, 그 상태에서 상기 조작 부재에 대해 제2 방향으로 힘을 부여하는 것만으로 도어를 개방할 수 있으므로, 도어의 로크를 해제하기 위한 조작과, 로크 해제 후에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조작을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원활하게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보다 양호하게 식기 투입구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 개폐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로크 해제 상태에서는 상기 제1 방향(D1, D3)과 상기 제2 방향(D2, D4)이 이루는 각도가 약 90°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4에 기재된 도어 개폐 기구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도어의 로크를 해제하기 위해 조작 부재를 회전시켰을 때의 힘이 도어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일이 없거나, 혹은 작용했다고 해도 매우 작기 때문에 조작 부재를 회전시킨 경우에 도어의 로크가 해제되는 동시에 상기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의 로크가 해제된 후 운전 동작이 정지되기까지의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세정수가 식기 투입구를 거쳐서 기기 밖으로 비산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조작 부재(6)는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방향(D1) 및 상기 제2 방향(D2)으로 힘을 부여할 수 있는 파지부(6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4에 기재된 도어 개폐 기구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도어를 개방할 때 파지부를 쥔 상태에서 상기 파지부에 대해 제1 방향으로 힘을 부여하여 회전시킨 후, 그 상태에서 파지부를 쥔 상태에서 제2 방향으로 힘을 부여하는 것만으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원활하게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조작 부재(16)는 상기 로크 기구(634, 10)에 의한 상기 도어(5)의 로크를 해제하기 위해 압박 조작되는 압박 조작부(16A)와, 상기 로크 해제 상태로부터 상기 도어를 개방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파지되는 파지부(16B)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압박 조작부가 압박 조작되는 데 수반하여 파지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4에 기재된 도어 개폐 기구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예를 들어 압박 조작부를 엄지 손가락으로 제1 방향으로 압박 조작하여 도어의 로크를 해제시킨 후, 그 상태에서 다른 손가락으로 파지부를쥐고 제2 방향으로 힘을 부여하는 것만으로 도어를 개방할 수 있으므로, 도어의 로크를 해제하기 위한 조작과, 로크 해제 후에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조작을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원활하게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특히, 압박 조작부가 압박 조작되는 데 수반하여 파지부를 파지할 수 있게 되므로, 도어가 로크되어 있는 상태에서 파지부에 대해 제2 방향으로 힘이 부여되어 도어가 강제적으로 개방되는 등의 일이 없다. 따라서, 도어의 로크를 해제하기 위한 조작과, 로크 해제 후에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조작을 확실하게 2단계로 할 수 있으므로, 도어의 로크가 해제된 후 운전 동작을 정지시키기까지의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세정수가 식기 투입구를 거쳐서 기기 밖으로 비산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세정해야 할 식기를 수용하기 위한 세정실(9)과, 상기 세정실 내에 식기를 출입하기 위한 식기 투입구(3)와, 상기 식기 투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도어 개폐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1)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도어 개폐 기구를 구비한 식기 세척기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양호하게 식기 투입구를 개폐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8)

  1. 식기 세척기에 구비된 식기 투입구를 개폐하기 위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도어와,
    상기 도어의 회전 동작에 수반하여 도어에 회전 보조력을 부여하는 회전 보조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보조 수단은 상기 도어가 폐쇄 상태로부터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 있을 때에 상기 도어를 폐쇄 방향으로 인입하는 회전 보조력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보조 수단은 상기 도어가 상기 소정의 각도 범위를 초과하여 개방되었을 때에 상기 도어에 개방 방향의 회전 보조력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와 함께 상기 식기 투입구를 개폐하기 위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연동 도어와,
    상기 도어의 회전 동작과 상기 연동 도어의 회전 동작을 연동시키기 위한 링크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 기구는 상기 도어를 상기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시켜도 상기 연동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 회전하지 않을 정도의 헐거움을 갖고 있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 기구.
  4. 식기 세척기에 구비된 식기 투입구를 개폐하기 위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도어와,
    상기 도어를 폐쇄 상태로 로크하기 위한 로크 기구와,
    상기 도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도어를 개방할 때에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 부재에 대해 제1 방향으로 힘을 부여함으로써 상기 조작 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로크 기구에 의한 상기 도어의 로크를 해제할 수 있는 동시에, 그 로크 해제 상태로부터 상기 조작 부재에 대해 상기 제1 방향과는 다른 제2 방향으로 힘을 부여함으로써 상기 도어를 개방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 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해제 상태에서는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약 90°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 기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힘을 부여할 수 있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 기구.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로크 기구에 의한 상기 도어의 로크를 해제하기 위해 압박 조작되는 압박 조작부와, 상기 로크 해제 상태로부터 상기 도어를 개방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파지되는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압박 조작부가 압박 조작되는 데 수반하여 파지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 기구.
  8. 세정해야 할 식기를 수용하기 위한 세정실과,
    상기 세정실 내에 식기를 출입하기 위한 식기 투입구와,
    상기 식기 투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도어 개폐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KR1020040033679A 2003-05-14 2004-05-13 도어 개폐 기구 및 이를 구비한 식기 세척기 KR1005853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36239 2003-05-14
JP2003136239A JP3913710B2 (ja) 2003-05-14 2003-05-14 扉開閉機構およびこれを備えた食器洗い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8560A true KR20040098560A (ko) 2004-11-20
KR100585355B1 KR100585355B1 (ko) 2006-06-01

Family

ID=33526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3679A KR100585355B1 (ko) 2003-05-14 2004-05-13 도어 개폐 기구 및 이를 구비한 식기 세척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913710B2 (ko)
KR (1) KR100585355B1 (ko)
CN (1) CN126575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61681B2 (ja) * 2006-04-14 2010-10-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食器洗い機
KR20090122008A (ko) * 2008-05-23 2009-1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JP5243342B2 (ja) * 2009-05-12 2013-07-24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開閉蓋付き電気機器
KR102304268B1 (ko) * 2014-10-14 2021-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CN108478150B (zh) * 2018-02-02 2024-04-09 江苏玖星精密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具自动闭合和悬停功能的单支点洗碗机铰链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65759C (zh) 2006-07-26
JP2004337306A (ja) 2004-12-02
KR100585355B1 (ko) 2006-06-01
CN1550202A (zh) 2004-12-01
JP3913710B2 (ja) 2007-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45898A (en) Door locking device for electric apparatus
JP5158121B2 (ja) 食器洗い機
KR20140120883A (ko) 잠금 디바이스 및 이를 구비하는 장치
EP3119935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20040103928A1 (en) Dishwasher
EP2740830B1 (en) Detergent case apparatus for washing machine
KR100585355B1 (ko) 도어 개폐 기구 및 이를 구비한 식기 세척기
US11788340B2 (en) Domestic electrical appliance
JP2002004652A (ja) ハンドル装置
KR102201741B1 (ko) 의류처리장치
CN111236774B (zh) 烹饪电器及其锁止机构
KR20150109817A (ko) 의류처리장치
JP6226602B2 (ja) 食器洗浄機
US20230175296A1 (en) Push-push door latch and domestic electrical appliance equipped therewith
KR102201743B1 (ko) 의류처리장치
US11889965B2 (en) Domestic appliance with a latching and opening function for a door of the domestic appliance
US20190226254A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laundry
JP2004121312A (ja) 食器洗い機
KR970003226B1 (ko) 걸쇠장치
KR102201742B1 (ko) 의류처리장치
CN217109677U (zh) 一种推接式门锁夹紧结构
CN220955105U (zh) 用于清洗机的门锁及清洗机
KR930000006Y1 (ko) 식기세척기 도어 잠금장치
KR101294777B1 (ko)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
GB2049020A (en) Safety latch for appliance d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