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8353A - 조리장치 - Google Patents

조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8353A
KR20040098353A KR1020030030673A KR20030030673A KR20040098353A KR 20040098353 A KR20040098353 A KR 20040098353A KR 1020030030673 A KR1020030030673 A KR 1020030030673A KR 20030030673 A KR20030030673 A KR 20030030673A KR 20040098353 A KR20040098353 A KR 200400983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output signal
weight
cooking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0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6880B1 (ko
Inventor
손종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0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6880B1/ko
Priority to CNA2003101161816A priority patent/CN1550719A/zh
Priority to EP03257577A priority patent/EP1477782A3/en
Priority to US10/739,070 priority patent/US6911635B2/en
Priority to JP2004009786A priority patent/JP2004340561A/ja
Publication of KR20040098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8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6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68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52Weighing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e.g. furniture
    • G01G19/56Weighing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e.g. furniture combined with handles of tools or household imp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Ovens (AREA)
  • Control Of High-Frequency Heating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조리물이 수용되어 조리되는 조리실과, 조리물을 지지하면서 회전하는 회전 장치를 구비한다. 이 회전 장치는 조리실의 바닥 면에 구름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를 통해 회전하도록 조리실 내에 설치된다. 중량 센서는 회전 장치가 회전할 때 롤러에 의해 일시적으로 가압되도록 롤러의 이동 궤적 상의 한 곳에 설치되며, 이 중량 센서는 롤러에 의해 가압될 때 그 가압 정도에 따른 부하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고 롤러에 의해 가압되지 않을 때 무부하 출력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 장치는 부하 출력 신호와 무부하 출력 신호의 차 값을 산출하고, 그 차 값을 조리물의 중량으로 환산한다. 이와 같이 구해진 조리물의 중량에 대응하는 조리 조건을 결정하고 결정된 조리 조건에 따라 조리를 실시한다.

Description

조리 장치{COO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조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리물의 중량을 정확하게 검출하고, 검출된 조리물의 중량에 대응하는 적정 조리 시간동안 조리를 실시하기 위한 조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스/전기 오븐이나 전자레인지와 같은 자동 조리 장치에서는 미리 마련되는 제어 방법에 따라 조리물이 자동으로 조리된다. 자동 조리 장치에서 조리물이 적절한 조리 시간 동안 적절한 가열량에 의해 자동으로 조리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조리물의 종류와 양과 같은 조리물 정보가 요구된다.
이 조리물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자동 조리 장치의 입력 장치를 통해 제공된다. 이와 같이 조리물 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입력되는 경우, 사용자가 조리물의 양을 정확히 검출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중량 검출 수단을 이용해야 한다. 만약 별도의 중량 검출 수단이 구비되지 않거나, 사용자가 별도의 중량 검출 수단을 이용하는 것을 번거롭게 여겨 어림짐작으로 조리물의 양을 가늠하여 자동 조리 장치에 입력하는 경우에는 조리물의 실제 양과 입력된 정보 사이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 오차 때문에 자동 조리 장치의 제어 장치가 적절한 조리 시간 및 가열량을 결정하지 못하여 조리물의 조리 품질이 만족할만한 수준에 도달하지 못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 장치는 조리물의 양을 자동으로 정확히 검출하고, 검출된 조리물의 양에 대응하는 적정 조리 시간 동안 조리물을 조리함으로써 최적의 조리 결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조리물의 양을 검출함에 있어서, 조리물의 양을 검출하는 센서의 영점 조정 과정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레인지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전자레인지의 회전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나타낸 회전 장치 및 트랙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2에 나타낸 회전 장치의 회전에 따른 부하 출력 신호 및 무부하 출력 신호의 획득 구간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전자레인지의 제어 계통을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 장치의 조리물 중량 검출 개념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레인지의 조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 : 조리실
108 : 롤러 가이드
108a : 롤러
110 : 트레이
112 : 중량 센서
이와 같은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조리 장치는 조리물이 수용되어 조리되는 조리실과, 조리물을 지지하면서 회전하는 회전 장치를 구비한다. 이 회전 장치는 조리실의 바닥 면에 구름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를 통해 회전하도록 조리실 내에 설치된다. 중량 센서는 회전 장치가 회전할 때 롤러에 의해 일시적으로 가압되도록 롤러의 이동 궤적 상의 한 곳에 설치되며, 이 중량 센서는 롤러에 의해 가압될 때 그 가압 정도에 따른 부하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고 롤러에 의해 가압되지 않을 때 무부하 출력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 장치는 부하 출력 신호와 무부하 출력 신호의 차 값을 산출하고, 그 차 값을 조리물의 중량으로 환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 장치의 조리물 중량 검출 방법은 중량 센서가 롤러에 의해 가압될 때 중량 센서로부터 가압 정도에 따른 부하 출력 신호를 획득하고, 중량 센서가 롤러에 의해 가압되지 않을 때 중량 센서로부터 무부하 출력 신호를 획득한다. 부하 출력 신호와 무부하 출력 신호를 획득하면, 무부하 출력 신호와 부하 출력 신호의 차 값을 산출하고 이 차 값을 중량 센서의 출력 신호의 크기에 대한 조리물의 중량의 관계 데이터를 참조하여 조리물의 중량으로 환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 장치의 조리 방법은 조리가 시작되어 회전 장치가 회전하는 동안 중량 센서가 롤러에 의해 가압될 때 중량 센서로부터 가압 정도에 따른부하 출력 신호를 획득하고, 중량 센서가 롤러에 의해 가압되지 않을 때 중량 센서로부터 무부하 출력 신호를 획득한다. 부하 출력 신호와 무부하 출력 신호를 획득하면, 부하 출력 신호와 무부하 출력 신호의 차 값을 산출하고, 중량 센서의 출력 신호의 크기에 대한 조리물의 중량의 관계 데이터를 참조하여 차 값을 조리물의 중량으로 환산한다. 조리물의 중량 환산이 완료되면 조리물의 중량에 대응하는 조리 조건을 결정하고, 결정된 조리 조건에 따라 조리를 실시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레인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레인지(100)의 조리실(102)에는 조리물이 담겨 회전할 수 있도록 트레이(110)가 마련된다. 조리실(104) 밑에는 트레이(110)를 회전시키기 위한 트레이 모터(미도시)가 설치되고, 이 트레이 모터와 트레이(110)가 회전축(104a)을 통해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함께 회전한다. 트레이(110)의 아래에는 롤러(108a) 및 롤러 가이드(108)가 설치되며, 이 롤러(108a)의 작용에 의해 트레이(110)가 기울어짐이나 유동 없이 바닥 면(104) 위를 원활하게 회전한다. 조리실(102)의 바닥 면(104)에는 롤러(108a)가 일정한 궤적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트랙(106)이 형성되고, 이 트랙(106)의 어느 한 곳에 조리물의 중량을 검출하기 위한 중량 센서(112)가 설치된다. 이 중량 센서(112)는 트레이(110) 위에 있는 조리물의 중량을 자동으로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전자레인지의 회전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장치는 트레이(110)와 롤러(108a), 롤러 가이드(108), 회전축(104a)을 포함하며, 이 회전 장치에 의해 조리실(102)의 조리물이 회전한다. 롤러(108a)는 롤러 가이드(108)의 측면의 세 곳에 설치되어 조리실(102)의 바닥 면(104)에 형성되는 트랙(106)과 구름 접촉한다. 롤러 가이드(108)가 회전하는 동안 세 개의 롤러(108a)가 트랙(106)을 따라 이동하면서 중량 센서(112)위를 지난다. 각각의 롤러(108a)가 중량 센서(112) 위를 지나면서 중량 센서(112)를 가압하고, 중량 센서(112)는 그 가압 정도에 따른 전기 신호를 발생시킨다. 각각의 롤러(108a)가 중량 센서(112)를 가압할 때 그 가압 정도가 트레이(110) 위에 있는 부하(조리물)의 중량에 대응된다. 이 때 중량 센서(112)에서 발생하는 전기 신호를 부하 출력 신호라 한다. 이와 반대로 각각의 롤러(108a)가 중량 센서(112)의 설치 위치를 벗어나면 중량 센서(112)에는 아무런 부하도 가해지지 않는다. 이 때 중량 센서(112)에서 발생하는 전기 신호를 무부하 출력 신호라 한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회전 장치 및 트랙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랙(106)의 아래에는 중량 센서(112)가 설치되는데, 이 중량 센서(112)는 케이스(202) 내에 삽입되는 반도체 압력 센서(204) 및 가압부(206)로 이루어진다. 가압부(206)의 일부분은 트랙(106)에 형성된 홀을 통해 트랙(106) 위로 돌출된다. 롤러(108a)가 이 가압부(206) 위를 지날 때 트레이(110) 위에 있는 조리물의 하중에 의해 반도체 압력 센서(204)를 가압하고, 그 가압 정도에 따라 반도체 압력 센서(204)의 전기적 특성이 변화한다. 반도체 압력 센서(204)의 전기적특성 변화는 곧 그 출력 신호의 크기의 변화를 초래한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낸 회전 장치의 회전에 따른 부하 출력 신호 및 무부하 출력 신호의 획득 구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롤러 가이드(108)가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 A 구간에서는 중량 센서(112)가 가압되지 않고 B 구간에서만 일시적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A 구간에서는 중량 센서(112)로부터 무부하 출력 신호를 얻을 수 있고, B 구간에서는 중량 센서(112)로부터 부하 출력 신호를 얻을 수 있다.
중량 센서(112)는 롤러 가이드(108)가 1회전 하는 동안 모두 세 개의 롤러(108a)에 의해 가압되므로, 롤러 가이드(108)가 1회전하는 동안 모두 세 개의 부하 출력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정확한 중량 검출을 위해서는 보다 많은 수의 부하 출력 신호를 획득한 후 그 평균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롤러 가이드(108)가 세 번 회전하는 동안 모두 아홉 개의 부하 출력 신호를 획득하고, 그 가운데 최대 및 최소 크기의 부하 출력 신호를 제외한 나머지 일곱 개의 부하 출력 신호의 평균을 취한다. 최대 및 최소 크기의 부하 출력 신호를 제외하는 것은 노이즈 유입에 따른 비정상적인 출력 신호를 배제하기 위한 것이다. 무부하 출력 신호의 획득 구간은 부하 출력 신호의 획득 구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기 때문에 이 무부하 출력 신호의 획득 구간에서도 주기적인 샘플링을 통해 많은 수의 무부하 출력 신호를 획득하여 그 평균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전자레인지의 제어 계통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레인지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502)의 입력 포트에는 입력부(504)와 중량 센서(112)가 연결된다. 입력부(504)에는 사용자가 조리 조건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리 모드 설정 버튼이나 숫자 버튼 등이 구비된다. 중량 센서(112)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조리물의 중량을 자동으로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제어 장치(502)의 출력단에는 마그네트론 구동부(508)와 팬 구동부(512), 트레이 모터 구동부(516), 표시 구동부(520)가 각각 연결된다. 마그네트론 구동부(508)는 마그네트론(510)을 구동하여 전자파가 발생하도록 한다. 팬 구동부(512)는 냉각 팬(514)을 구동하여 전자레인지의 전장실(미도시)에 마련되어 있는 각종 전기 장치들이 과열되지 않도록 한다. 트레이 모터 구동부(516)는 트레이 모터(518)를 구동하여 조리실(102) 내의 트레이(110)가 회전하도록 한다. 표시 구동부(520)는 표시부(522)를 구동하여 조리에 필요한 도움말이나 조리 정보, 현재의 설정 값 등이 표시되도록 한다.
도 5에 나타낸 제어 장치(502)는 부하 출력 신호와 무부하 출력 신호의 차 값을 산출하고 그 차 값을 중량 센서(112)의 출력 신호의 크기에 대한 조리물의 중량의 관계 데이터를 참조하여 조리물의 중량으로 환산한다. 제어 장치(502)는 또 이와 같이 얻어진 조리물의 중량에 대응하는 조리 시간과 가열량(마그네트론 출력의 크기) 등의 조리 조건을 결정하여 조리를 실시한다. 중량 센서(112)의 출력 신호의 크기에 대한 조리물의 중량의 관계 데이터는 실험을 통해 획득하며, 제어 장치(502)에 관계 데이터의 룩업 테이블을 마련하고 조리물의 중량 검출시에 이 룩업 테이블의 데이터를 참조하여 조리물의 중량을 산출한다.
이와 같이, 중량 센서를 채용한 조리 장치를 대량 생산할 경우, 각각의 조리장치에 설치되는 중량 센서의 특성이 모두 동일해야만 제어 장치의 제어에 따른 조리물의 중량 검출 결과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일례로 반도체 압력 센서의 경우에는 모든 반도체 소자의 특성을 일치시키기 위해 별도의 트리밍 작업(trimming operation)을 실시하는데, 이 트리밍 작업은 반도체 압력 센서의 가격을 높이는 주요한 원인이 된다. 만약 이 트리밍 작업을 생략할 수 있으면 반도체 압력 센서의 가격을 크게 낮출 수 있고, 나아가 이 반도체 압력 센서를 중량 센서로 이용하는 조리 장치의 가격도 크게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 장치는 부하 중량과 무부하 중량의 상대적인 차이를 통해 조리물의 중량을 판별하기 때문에 중량 센서의 트리밍 작업이나 중량 센서 설치 후의 영점 조정 작업이 불필요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조리 장치에서는, 서로 다른 전기적 특성을 가진 반도체 압력 센서라도 동일한 중량의 조리물에 대해 항상 동일한 중량 검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 장치의 조리물 중량 검출 개념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전기적 특성이 다른 세 개의 반도체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동일한 조리물의 중량을 검출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에는 제 1 내지 제 3 중량 검출 곡선(602, 604, 606)이 나타나 있는데, 이 제 1 내지 제 3 중량 검출 곡선(602, 604, 606)을 보면 각 반도체 압력 센서의 초기값이 40mV와 20mV, 0mV로서 서로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반도체 압력 센서는 매우 선형적인 특성을 갖기 때문에 그 초기값은 서로 다르더라도 조리물의 중량 증가 비율과 이에 대한 각 반도체 압력 센서의출력 변화 비율이 동일하다. 이는 곧 각 반도체 압력 센서의 출력 곡선의 기울기가 항상 일정함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선형적 특성을 이용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부하 중량과 무부하 중량의 상대적인 차이를 통해 조리물의 중량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도 6에서, 제 1 중량 검출 곡선(602)의 초기 센서 출력(602A)은 40mV이고, 부하의 중량이 600g일 때의 센서 출력(602B)은 76mV이다. 이 두 값의 차의 절대 값은 36mV이다. 제 2 중량 검출 곡선(604)의 초기 센서 출력(604A)은 20mV이고, 부하의 중량이 600g일 때의 센서 출력(604B)은 56mV이다. 이 두 값의 차의 절대 값 역시 36mV이다. 제 3 중량 검출 곡선(606)의 초기 센서 출력(606A)은 0mV이고, 부하의 중량이 600g일 때의 센서 출력(606B)은 36mV이다. 이 두 값의 차의 절대 값 역시 36mV이다. 각 반도체 압력 센서의 초기 출력이 40mV와 20mV, 0mV로 서로 다르더라도 검출된 중량은 600g으로 모두 동일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레인지의 조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리가 시작되면 롤러(108a) 및 롤러 가이드(108), 트레이(110)를 포함하는 회전 장치가 회전하면서 트레이(110)에 올려져있는 조리물도 함께 회전한다(702). 이때 마그네트론(510)이 가동하면서 조리실(102) 내부로 마이크로파를 조사한다.
회전 장치가 회전하는 동안, 중량 센서(112)가 롤러(108a)에 의해 가압될 때 제어 장치(502)는 중량 센서(112)로부터 그 가압 정도에 따른 부하 출력 신호(VA)를 획득하고(704), 반대로 중량 센서(112)가 롤러(108)에 의해 가압되지 않을 때에는 중량 센서(112)로부터 무부하 출력 신호(VB)를 획득하여(706), 부하 출력 신호(VA)와 무부하 출력 신호(VB)의 차 값(VD)을 산출한다(708). 부하 출력 신호(VA)와 무부하 출력 신호(VB)의 차 값(VD)이 미리 설정된 수(n)만큼 확보되면(710) 이 차 값(VD)들의 평균 값을 산출하고(712) 이 평균 값을 중량(W)으로 환산한다(714).
제어 장치(502)는 이와 같이 얻어진 조리물의 중량(W)에 대응하는 조리 조건을 결정하고(716), 결정된 조리 조건을 적용하여 조리를 실시한다(718). 이 때 제어 장치(502)에 의해 결정되는 조리 조건으로는 조리 시간과 가열량(마그네트론의 출력의 크기)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 장치는 부하 중량과 무부하 중량의 상대적인 차이를 통해 조리물의 중량을 판별하기 때문에 반도체 압력 센서의 트리밍 작업이나 중량 센서 설치 후의 영점 조정 작업 없이도 정확하게 조리물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온도 변화에 대한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별도의 온도 보상 수단이 필요치 않다.

Claims (16)

  1. 조리물이 수용되어 조리되는 조리실과;
    상기 조리물을 지지하고, 상기 조리실의 바닥 면에 구름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를 통해 회전하도록 상기 조리실 내에 설치되는 회전 장치와;
    상기 회전 장치가 회전할 때 상기 롤러에 의해 일시적으로 가압되도록 상기 롤러의 이동 궤적 상의 한 곳에 설치되며, 상기 롤러에 의해 가압될 때 그 가압 정도에 따른 부하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롤러에 의해 가압되지 않을 때 무부하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중량 센서와;
    상기 부하 출력 신호와 상기 무부하 출력 신호의 차 값을 산출하고, 그 차 값을 상기 조리물의 중량으로 환산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중량 센서의 출력 신호의 크기에 대한 조리물의 중량의 관계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무부하 출력 신호와 상기 부하 출력 신호의 차 값을 상기 조리물의 중량으로 환산하는 조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 센서는 외부로부터의 가압 정도에 대응하는 크기의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압력 센서인 조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서는 반도체 압력 센서인 조리 장치.
  5. 조리물이 수용되어 조리되는 조리실과, 상기 조리물을 지지하고 상기 조리실의 바닥 면에 구름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를 통해 회전하도록 상기 조리실 내에 설치되는 회전 장치와, 상기 회전 장치가 회전할 때 상기 롤러에 의해 일시적으로 가압되도록 상기 롤러의 이동 궤적 상의 한 곳에 설치되는 중량 센서를 구비하는 조리 장치의 조리물 중량 검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량 센서가 상기 롤러에 의해 가압될 때 상기 중량 센서로부터 상기 가압 정도에 따른 부하 출력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중량 센서가 상기 롤러에 의해 가압되지 않을 때 상기 중량 센서로부터 무부하 출력 신호를 획득하며;
    상기 무부하 출력 신호와 상기 부하 출력 신호의 차 값을 산출하고, 상기 중량 센서의 출력 신호의 크기에 대한 조리물의 중량의 관계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무부하 출력 신호와 상기 부하 출력 신호의 차 값을 상기 조리물의 중량으로 환산하는 조리 장치의 조리물 중량 검출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무부하 출력 신호와 상기 부하 출력 신호의 차 값을 n개 획득하고, 상기n개의 차 값 가운데 최대 값 및 최소 값을 제외한 나머지 차 값들의 평균 값을 취하고, 상기 평균 값을 상기 조리물의 중량으로 환산하는 조리 장치의 조리물 중량 검출 방법.
  7. 조리물이 수용되어 조리되는 조리실과, 상기 조리물을 지지하고 상기 조리실의 바닥 면에 구름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를 통해 회전하도록 상기 조리실 내에 설치되는 회전 장치와, 상기 회전 장치가 회전할 때 상기 롤러에 의해 일시적으로 가압되도록 상기 롤러의 이동 궤적 상의 한 곳에 설치되는 중량 센서를 구비하는 조리 장치의 조리 방법에 있어서,
    조리가 시작되면 상기 회전 장치가 회전하고;
    상기 회전 장치가 회전하는 동안 상기 중량 센서가 상기 롤러에 의해 가압될 때 상기 중량 센서로부터 상기 가압 정도에 따른 부하 출력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중량 센서가 상기 롤러에 의해 가압되지 않을 때 상기 중량 센서로부터 무부하 출력 신호를 획득하며;
    상기 부하 출력 신호와 상기 무부하 출력 신호의 차 값을 산출하고, 상기 중량 센서의 출력 신호의 크기에 대한 조리물의 중량의 관계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차 값을 상기 조리물의 중량으로 환산하고;
    상기 조리물의 중량에 대응하는 조리 조건을 결정하여 조리를 실시하는 조리 장치의 조리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무부하 출력 신호와 상기 부하 출력 신호의 차 값을 n개 획득하고, 상기 n개의 차 값 가운데 최대 값 및 최소 값을 제외한 나머지 차 값들의 평균 값을 취하고, 상기 평균 값을 상기 조리물의 중량으로 환산하는 조리 장치의 조리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조건은 상기 조리물의 중량에 대응하는 조리 시간인 조리 장치의 조리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조건은 상기 조리물의 중량에 대응하는 가열량인 조리 장치의 조리 방법.
  11. 조리물이 수용되어 조리되는 조리실과;
    마이크로파를 발생시켜 상기 조리실에 제공하는 마그네트론과;
    상기 조리실의 외부에 마련되는 모터와;
    상기 조리물을 수용하고,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도록 상기 조리실의 바닥 면 위에 마련되는 트레이와;
    상기 조리실의 바닥 면에 구름 접촉하는 적어도 세 개의 롤러를 통해 회전하도록 상기 트레이의 하부 면과 상기 조리실의 바닥 면 사이에 설치되는 롤러 가이드와;
    상기 롤러 가이드가 회전할 때 상기 적어도 세 개의 롤러에 의해 일시적으로 가압되도록 상기 롤러의 이동 궤적 상의 한 곳에 설치되며, 상기 적어도 세 개의 롤러에 의해 가압될 때 그 가압 정도에 따른 부하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적어도 세 개의 롤러에 의해 가압되지 않을 때 무부하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중량 센서와;
    상기 부하 출력 신호와 상기 무부하 출력 신호의 차 값을 산출하고, 그 차 값을 상기 중량 센서의 출력 신호의 크기에 대한 조리물의 중량의 관계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차 값을 상기 조리물의 중량으로 환산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레인지.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 센서는 외부로부터의 가압 정도에 대응하는 크기의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반도체 압력 센서인 조리 장치.
  13. 조리물이 수용되어 조리되는 조리실과, 상기 조리물을 지지하고 상기 조리실의 바닥 면에 구름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를 통해 회전하도록 상기 조리실 내에 설치되는 회전 장치와, 상기 회전 장치가 회전할 때 상기 롤러에 의해 일시적으로 가압되도록 상기 롤러의 이동 궤적 상의 한 곳에 설치되는 중량 센서를 구비하는 조리 장치의 조리물 중량 검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량 센서가 상기 롤러에 의해 가압될 때 상기 중량 센서로부터 상기 가압 정도에 따른 부하 출력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중량 센서가 상기 롤러에 의해 가압되지 않을 때 상기 중량 센서로부터 무부하 출력 신호를 획득하며;
    상기 무부하 출력 신호와 상기 부하 출력 신호의 차 값을 n개 획득하고, 상기 n개의 차 값 가운데 최대 값 및 최소 값을 제외한 나머지 차 값들의 평균 값을 취하고, 상기 중량 센서의 출력 신호의 크기에 대한 조리물의 중량의 관계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평균 값을 상기 조리물의 중량으로 환산하는 조리 장치의 조리물 중량 검출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조건은 상기 조리물의 중량에 대응하는 조리 시간인 조리 장치의 조리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조건은 상기 조리물의 중량에 대응하는 가열량인 조리 장치의 조리 방법.
  16. 조리물이 수용되어 조리되는 조리실과, 상기 조리물을 지지하고 상기 조리실의 바닥 면에 구름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를 통해 회전하도록 상기 조리실내에 설치되는 회전 장치와, 상기 회전 장치가 회전할 때 상기 롤러에 의해 일시적으로 가압되도록 상기 롤러의 이동 궤적 상의 한 곳에 설치되는 중량 센서를 구비하는 조리 장치의 조리 방법에 있어서,
    조리가 시작되면 상기 회전 장치가 회전하고;
    상기 회전 장치가 회전하는 동안 상기 중량 센서가 상기 롤러에 의해 가압될 때 상기 중량 센서로부터 상기 가압 정도에 따른 부하 출력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중량 센서가 상기 롤러에 의해 가압되지 않을 때 상기 중량 센서로부터 무부하 출력 신호를 획득하며;
    상기 무부하 출력 신호와 상기 부하 출력 신호의 차 값을 n개 획득하고, 상기 n개의 차 값 가운데 최대 값 및 최소 값을 제외한 나머지 차 값들의 평균 값을 취하고, 상기 중량 센서의 출력 신호의 크기에 대한 조리물의 중량의 관계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평균 값을 상기 조리물의 중량으로 환산하고;
    상기 조리물의 중량에 대응하는 조리 조건을 결정하여 해당 시간 동안 조리를 실시하는 조리 장치의 조리 방법.
KR1020030030673A 2003-05-14 2003-05-14 조리장치 KR100966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0673A KR100966880B1 (ko) 2003-05-14 2003-05-14 조리장치
CNA2003101161816A CN1550719A (zh) 2003-05-14 2003-11-19 烹饪装置和方法
EP03257577A EP1477782A3 (en) 2003-05-14 2003-12-02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US10/739,070 US6911635B2 (en) 2003-05-14 2003-12-19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JP2004009786A JP2004340561A (ja) 2003-05-14 2004-01-16 調理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0673A KR100966880B1 (ko) 2003-05-14 2003-05-14 조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8353A true KR20040098353A (ko) 2004-11-20
KR100966880B1 KR100966880B1 (ko) 2010-06-30

Family

ID=33028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0673A KR100966880B1 (ko) 2003-05-14 2003-05-14 조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911635B2 (ko)
EP (1) EP1477782A3 (ko)
JP (1) JP2004340561A (ko)
KR (1) KR100966880B1 (ko)
CN (1) CN155071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9814A (ko) 2005-01-03 2006-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레인지의 조리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2008134231A (ja) * 2006-10-31 2008-06-12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シートの荷重検知感度の調整方法
JP4875633B2 (ja) * 2008-01-17 2012-02-1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車両及びその充電制御方法
US8167006B1 (en) * 2010-04-29 2012-05-01 Jason Mathis Automated baby formula dispenser
US9528753B1 (en) * 2011-07-14 2016-12-27 Michael E. Conner, Sr. Refrigerator with rotatable shelves
CN107327878B (zh) * 2017-07-21 2020-03-31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微波炉空载检测装置、方法以及微波炉
CN109041314B (zh) * 2018-07-17 2020-05-29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微波处理装置和微波处理装置的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51828A (en) * 1981-03-14 1982-09-20 Ishida Scales Mfg Co Ltd Automatic zero point adjustment prohibitor
JPH0735908B2 (ja) * 1984-07-11 1995-04-19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レンジ
KR900002322B1 (ko) * 1984-11-27 1990-04-11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가열 조리기의 중량 검출장치
US5302792A (en) * 1992-05-18 1994-04-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High frequency cooking device with turntable and weight sensor
KR950004638Y1 (ko) * 1992-10-20 1995-06-12 구자홍 전자레인지의 중량센서 취부구조
US5565655A (en) * 1992-11-19 1996-10-15 Goldstar Co., Ltd. Method of detecting food weight in microwave oven by processing weight sensor signals
JPH0780809A (ja) * 1993-09-10 1995-03-28 Masao Ogawa バガス基材耐水性ボードおよびその製造法
KR970005758B1 (ko) * 1994-02-28 1997-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총의 전극간격 자동 측정장치
KR0136117B1 (ko) * 1994-08-29 1998-04-27 배순훈 텔레비전을 이용한 전화메시지 저장방법
JP3644672B2 (ja) * 1999-07-09 2005-05-11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77782A3 (en) 2006-07-26
JP2004340561A (ja) 2004-12-02
CN1550719A (zh) 2004-12-01
EP1477782A2 (en) 2004-11-17
US6911635B2 (en) 2005-06-28
US20040226943A1 (en) 2004-11-18
KR100966880B1 (ko) 2010-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03151A (en) Heating cooking appliance having weight detecting function
US571366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rmal diffusivity measurement
KR100966880B1 (ko) 조리장치
KR900002322B1 (ko) 가열 조리기의 중량 검출장치
EP1150117A2 (en)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FI85541B (fi)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maetning av deformationen hos en roterande axel.
JPH05312862A (ja) 誘電率測定装置
JP3100231B2 (ja) 粘着性試験装置および方法
KR100186402B1 (ko) 전자레인지의 음식물 온도 감지 보상 방법 및 회로
KR100512034B1 (ko) 조리 장치 및 조리 장치를 이용한 중량 검출 방법
EP1659829A2 (en) Microwave oven controlling a cooking time with the use of a humidity sens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H11252957A (ja) リニア型振動アクチュエータの特性測定装置
JPS6129657B2 (ko)
CA1043003A (en) Depth sensing system for tillage implements
US4228439A (en) Level and frequency measuring recorder
JP2002022513A (ja) 流量測定装置
JPS6240654B2 (ko)
CN117664379A (zh) 基于激励信号的温度测量装置及其测量方法
KR920004036B1 (ko) 전자레인지의 조리물 중량감지장치 및 중량감지제어방법
SU149059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непрерывного контрол износа металлических пар трени
KR0113182Y1 (ko) 전자레인지의 중량감지장치
RU1827533C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дискретного регулировани чувствительности тензопреобразовател
US4093902A (en) High sensitivity electronic integrating torque rheometer
JPH0317133Y2 (ko)
CN115014480A (zh) 一种高精度皮带秤校准系统及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