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7619A - 용광로 휴지 출선구의 가스 배출공 형성및 연소 예열장치 - Google Patents

용광로 휴지 출선구의 가스 배출공 형성및 연소 예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7619A
KR20040097619A KR1020030029964A KR20030029964A KR20040097619A KR 20040097619 A KR20040097619 A KR 20040097619A KR 1020030029964 A KR1020030029964 A KR 1020030029964A KR 20030029964 A KR20030029964 A KR 20030029964A KR 20040097619 A KR20040097619 A KR 200400976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outlet
furnace
opening
tapp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9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9044B1 (ko
Inventor
김승현
안준영
엄기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30029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9044B1/ko
Publication of KR20040097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7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9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90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2Opening or sealing the tap ho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7D99/0001Heating elements or systems
    • F27D99/0033Heating elements or systems using bur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1/00Arrangements of monitoring devices; Arrangements of safety devices
    • F27D2021/0057Security or safety devices, e.g. for protection against heat, noise, pollution or too much duress; Ergonomic aspects
    • F27D2021/0071Security or safety devices, e.g. for protection against heat, noise, pollution or too much duress; Ergonomic aspects against explos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5Tapping equipment; Equipment for removing or retaining slag
    • F27D3/1509Tapping equipment
    • F27D3/1518Tap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ertical, Hearth, Or Arc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광로의 휴지시에 안정된 출선구 관리를 위해 출선구 주변의 가스를 연소시켜 정체를 방지하고,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하며, 출선구를 예열시킴으로서 출선구의 열변형을 최소화하여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용광로 휴지 출선구의 가스 배출공 형성및 연소 예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용광로내의 용융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개공기와 머드건에 의해 출선 또는 폐쇄가 이루어지는 출선구에서, 상기 출선구의 개공부를 형성하는 스탬프재의 중앙에는 상기 스탬프재가 장착되기 위한 시공부위까지 가스 배출공이 형성되어 노내부에서 발생되는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용광로 휴지 출선구의 가스 배출공 형성및 연소 예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출선구의 휴지시 가스 배출 불량과 출선구의 내,외부 온도편차 발생에 의한 출선구의 변형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휴지중에 대탕도의 보수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들의 가스 중독을 예방할 수 있으며, 출선구의 굴착 성형시 폭팔하는 문제점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용광로 조업의 안정과 안전재해를 예방할 수 있는 등의 유용한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용광로 휴지 출선구의 가스 배출공 형성및 연소 예열장치{AN APPARATUS FOR PRE-HEATING TAPPING HOLE BY BURNING LEAKED GAS THROUGH DISCHARGE HOLE FORMED ON THE TAPPING HOLE OF BLAST FURNACE}
본 발명은 용광로 내의 용융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개공기와 머드건에 의해 출선 또는 폐쇄가 이루어지는 출선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용광로의 휴지시에 안정된 출선구 관리를 위해 출선구 주변의 가스를 연소시켜 정체를 방지하고,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하며, 출선구를 예열시킴으로서 출선구의 열변형을 최소화하여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용광로 휴지 출선구의 가스 배출공 형성및 연소 예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철소에서 용광로(100) 조업이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광로(100)의 내부에 원료인 광석(110)과 열원인 코크스(120)를 장입하여 송풍구(130)를 통해 열풍을 불어넣어 환원반응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과정을 거쳐 발생하는 용융물(용선+슬래그)은 용광로(100)의 하부에 고이게 되고, 이렇게 고인 용융물(125)을 용광로(100)의 하부에 마련된 출선구(140)를 통해 배출하게 되는데 출선구(140)의 내부는 통상적으로 부정형 내화재인 머드(MUD)재로 충진되어 있고, 내부의 용융물(125)을 외부의 대탕도(150)로 배출시키기 위해서는 이러한 출선구(140)가 개방되어야 한다.
상기 출선구(140)는 통상 도 2b),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광로(100)의 세트연와(160)와 결합되어 내부로 관통된 상태에서 외부 측으로 유입재(162)가 조인트(Joint)되고, 유입재(162)의 내부에는 다시 스탬프재(STAMP REFRACTORY)(164)가 시공된다.
이와 같은 출선구(140)는 상기 개공기(170)의 굴착에 의해 출선된 상태에서 폐쇄시에는 머드재(172)가 출선구(140)에 충진되어 진다. 그리고, 출선구(140)를 개공시키기 위해서는 개공기(170)를 이용하여 출선구(140)를 굴착하고, 이러한 출선구(140)를 통하여 용융물(125)이 외부로 분출될 수 있도록 유로를 형성해 주는 것이다. 이렇게 개공작업이 완료되면, 일정시간 동안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광로(100)의 용융물(125) 배출을 유도한 후에 내부 용융물(125)의 배출이 거의완료되는 시점에 머드건(180)을 출선구(140)로 선회시켜 머드재(172)를 출선구(140)에 충진하는 폐쇄작업이 이루어 진다. 이와 같이 개공 및 폐쇄작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출선작업이라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출선작업에서는 개공시 출선구(140)의 굴착과정에서 개공기(170)의 기계적인 힘과, 폐쇄과정에서 머드건(180)의 충격에 의해 출선구(140)는 미세한 균열이 발생되고,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로 인해 혈절의 발생과 함께 노재 가스류(190)가 세트 연와(160) 및 출선구(140)의 머드재(172)와 유입재(162)의 균열부분을 통해 출선 작업시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용광로(100)의 출선구(140)는 용광로(100)의 내용적에 따라 그 수및 크기가 달리 하나, 대형 용광로(100)에서는 4개의 출선구(140)가 형성되어 있고, 3개의 출선구(140)는 순번에 의해 차례로 출선작업이 이루어지며, 나머지 하나의 출선구(140)는 탕도및 런너(Runner)의 보수를 위해 휴지를 하고, 보수가 끝나면 초기 출선작업을 통해 정상적으로 출선작업이 진행되도록 하며, 다른 출선구(140)중의 하나를 다시 휴지시켜 보수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상기에서 보수를 위한 출선구(140)는 대수리와 소수리로 구분하여 약 12 ~ 15일 정도를 휴지하고, 대탕도(150)와 이에 연결된 런너 경주통(미도시) 등을 보수하는 작업을 하게 된다. 이러한 휴지기간에는 출선구(140)를 개공하지 않고, 또 머드재(172)의 충진작업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출선구(140)의 휴지 전에는 머드건(180)의 동체에 머드재(172)를 가득 채운 상태에서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량 출선구(140)의 내부로 충진하여 출선구(140)의 심도를 확보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절차로 출선구(140)를 막은 다음 휴지할 경우, 제2도의 b)에서와 같이 출선구(140)가 안정되게 유지되나, 장기 휴지시에는 제 2도의 a),c)도 에서와 같이, 노내 용융물(125)의 와류 현상으로 인하여 출선구(140)의 내부에 충진된 머드재(172)로 이루어진 내부 호보벽이 용손되면서, 출선구(140)의 적정 심도 3000mm ≤ 적정 심도 ≤ 3500mm 에서 점차 짧아져 초출선 심도가 1800mm ≤ 초출선 심도 ≤ 2200mm 까지 줄어들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와 같은 경우, 그로 인해 용광로 출선구(140) 내의 균열부를 통하여 미세하게 외부로 누출되었던 가스가 출선구(140)의 심도가 짧아질수록 유로가 확대되어 더욱 증가하게 되는데 출선구(140)가 장기간 개방되지 않기 때문에 배출되지 못하고, 정체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출선구(140)의 휴지가 아닌 출선중에는 용융물(125)과 함께 가스류도 배출되고, 출선구(140)의 폐쇄시 머드재(172)의 충진에 의해 균열부의 가스 유로를 부분적으로 차단하게 되나, 출선구(140)를 장기간 휴지할 경우에는 출선구(140) 주변의 가스 배출이 되지 않아 정체 되고, 머드재(172)의 충진작업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가스 유로를 적절하게 차단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발생되는 가스류는 노내 압력, 대략 4.06 Kg/cm2에 의해 출선구(140)를 밀어내는 힘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출선구(140)의 세트 연와(160)와 유입재(162)의 사이에 조인트되어 있는 원통형의 약한 스탬프재(164)가 외부로 돌출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그리고, 용광로(100)의 출선구(140)는 노내 용융물(125)에 직접 접촉하는
출선구(140) 내면의 보호측벽 온도와 출선구(140) 밖의 외부 온도차가 크게 발생되게 되는데, 출선중에는 용융물(125)의 배출에 의해 출선구(140) 주변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지만, 장기간 출선을 하지 않게 되면, 출선구(140)의 외부측의 온도가 계속 떨어지게 되어 표면온도가 대략 100℃ 까지 이르게 된다. 따라서, 세트 연와(160)와 유입재(162)및 스탬프재(164)의 성상에 따른 온도변화가 용광로 휴지시에 집중되므로, 균열 발생을 더욱 빨리 진행시키는 원인이 되어 결과적으로 외부로의 누출 가스 발생량을 증가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원인으로 인해 스탬프재(164)가 외측으로 돌출됨에 따라 용광로(100)의 내벽에 가스 정체부가 일부 생기게 되면, 용광로(100)를 휴풍하거나 감풍하여 출선구(140)를 보수하는 과정이 수반된다. 이와 같은 출선구(140)의 보수 작업시 출선구(140)의 유입재(162)와 스탬프재(164) 부분을 굴착하여 재시공하여야 하는 데 굴착과정에서 정체된 가스가 폭발하여 작업자가 화상을 입는 사례 또한 종종 발생되고 있어 작업을 꺼리는 현상이 대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용광로의 출선구 휴지 중에, 출선구의 주변에서 가스가 정체되지 않고 배출이 용이하게 하여 출선구의 돌출을 방지하고, 출선구의 굴착성형 작업시 누출가스에 의한 폭팔을 방지함으로써 설비보호 및 출선구의 안정상태를 유지하고, 노황안정에 의해 용광로 조업의 안정을 실현하는 용광로 휴지 출선구의 가스 배출공 형성및 연소 예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제 1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라서, 출선구를 개공하는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로서,
a)도는 용광로의 종단면도, b)는 출선구를 통한 출선작업의 설명도,
c)도는 머드건에 의한 머드재 충진 작업을 도시한 설명도;
제 2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용광로의 출선구 상세도로서,
a)도는 용광로의 머드재가 용강에 의해서 침식되는 설명도,
b)도는 출선구의 확대 단면도, c)도는 출선구 스탬프부의 돌출상태를 나
타낸 단면도;
제 3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용광로 출선구의 상세도로서,
a)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출선구의 단면도,
b)도는 본 발명의 가스 배출공이 적용된 출선구의 확대도,
c)도는 본 발명의 가스 배출공을 통해 노내 가스가 배출되는 상태도;
제 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버너를 도시한 상세도;
제 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버너가 출선구에 장착되어 동작하는 설명도;
제 6도는 본 발명에 따른 버너에 의한 노내가스의 연소를 도시한 설명도;
제 7도는 용광로의 출선구를 구성하는 일반적인 내화물의 특성을 기재한 도표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가스 배출공 20.... 버너
22.... 몸체 24.... 방열판
26.... 집열부재 28.... 공기 유입구
32.... 씨오지 가스공급 배관 34.... 퀵 죠인트
36.... 씨오지 가스 공급관 100.... 용광로
110... 광석 120.... 코크스
125.... 용융물 130.... 송풍구
140.... 출선구 150.... 대탕도
160.... 세트연와 162.... 유입재
164.... 스탬프재(STAMP REFRACTORY) 170.... 개공기
172.... 머드재 180.... 머드건
190.... 노재 가스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용광로내의 용융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개공기와 머드건에 의해 출선 또는 폐쇄가 이루어지는 출선구에 있어서, 상기 출선구의 개공부를 형성하는 스탬프재의 중앙에는 상기 스탬프재가 장착되기 위한 시공부위까지 가스 배출공이 형성되어 노내부에서 발생되는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광로 휴지 출선구의 가스 배출공 형성및 연소 예열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광로 휴지 출선구의 가스 배출공 형성및 연소 예열장치(1)는 휴지가 계획된 출선구(140)의 폐쇄 작업후, 스탬프재(164)의 중앙에 가스 배출공(10)을 개공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가스 배출공(10)을 통해 배출되는 가스를 착화하여 연소 제거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누출가스를 연소시키기 위한 버너(20)에 의해 출선구(140) 주변의 온도편차를 방지하기 위해 예열시키는 결과를 초래하는 것이다.
상기 출선구(140)의 가스 배출공(10)의 개공은 유입재(162)의 중심부인 출선구(140)에서 원통형으로 시공된 스탬프재(164)의 시공범위인 700 ≤ 개공범위 ≤ 850 mm 까지 굴착하는 것이다. 이는 노내에서 발생되는 가스류가 정체되지 않고 효과적으로 배출되게 하기 위함이다.
이렇게 굴착하는 가스 배출공(10)의 직경은 개공기(170)의 일발 비트(미도시)의 최대 직경인 60∮에 의해 개공될 경우, 개공시의 일발 비트의 회전과 진동에 의해 65~70∮의 가스 배출공(10)이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가스 배출공(10)에서 배출되는 노내 가스류의 대기 방산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용광로 휴지 출선구의 가스 배출공 형성및 연소 예열장치(1)는 이러한 누출 가스를 착화하고, 휴지중 출선구(140) 내,외부의 온도편차를 줄여 출선구(140) 균열및 돌출 방지를 위해 출선구를 예열하기 위한 버너(20)가 구비되어 있다.
이 예열 장치인 버너(20)의 구성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鋼)등의 불연성 재질을 이용하여 그 몸체(22)를 만들고, 그 구조는 출선구(140)의 유입재(162)을 커버할 수 있는 규격에 출선구(140)측으로 개방되어 열이 전달되게 하고, 반대측으로는 방열판(24)이 막혀 있는 반달형태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그 테두리에는 일정 크기의 집열부재(26)가 U 자를 엎어 놓은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방열판(24)과 집열부재(26)에는 각각 적정 크기의 공기 유입구(28)들이 전면과 측면에 각각 다수개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버너(20)의 몸체 양측으로는 이동간 손잡이의 역활을 하고, 예열시 씨오지 가스(Cokes Oven Gas)의 공급을 위한 배관(32)이 설치되며, 각각의 씨오지 가스 배관(32)의 일측으로는 퀵 죠인트(34)(또는 밸브)가 결합되어 씨오지 가스 공급관(36)이 연결되며, 그 타측은 집열부재(26)를 관통하여 몸체(22)의 내부에 삽입된 형태로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용광로 휴지 출선구 가스 배출공 형성및 연소 예열장치(1)의 작용 효과를 이하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용광로 휴지 출선구 가스 배출공 형성및 연소 예열장치(1)에서 출선구(140)의 심도는 3000mm 이상이 되어야 하며, 적정심도를 3000mm ≤ 적정심도 ≤3500mm 에서 관리할 경우에, 용융물(125)의 배출과 출선시간이 적당한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출선구(140)가 휴지중일 때는 머드재(172)의 충진작업이 불가능하므로 마지막 출선구(140)의 폐쇄작업시 최대한 많은 양의 머드재(172)를 압입하여 용광로(100) 내에 보호벽을 형성해 주어야 한다. 이는 어느 하나의 출선구(140)의 휴지시에는 용광로(100)내의 용융물(125)의 와류현상에 의해 출선구(140)의 내부 보호벽이 점차 용손되므로, 초출선 작업시 심도가 짧아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대한 많은 양의 머드재(172)를 강제 압입하는 것이다.
이렇게 할 경우, 예상되는 심도는 3000mm ≤이상으로 판단되어 진다.
한편, 출선구(140)의 휴지기간이 12일 ≤휴지기간 ≤15일 정도를 지나게 되면, 용광로(100)의 내벽에 보호벽을 형성하고 있는 소성된 머드재(172)가 점차 용손되어 지며, 초출선할 시점에는 1800mm ≤초출선 심도 ≤2200mm 정도가 된다. 따라서, 용광로(100) 내부의 보호재를 형성하고 있던 머드재(172)가 없어지면서 출선구(140) 주변의 세트연와(160)와 유입재(162)등에 발생되어 있는 크고 작은 균열에 의해 누출가스의 발생 수치가 더욱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출선중에는 용융물(125)의 배출과 함께 노내 가스도 빠져 나가며, 폐쇄작업에 의해 머드재(172)가 균열부에 밀봉 충진되면서 누출 가스류(190)의 유로를 사전에 차단해주지만 장기간 휴지할 경우, 누출 가스류(190)의 유로를 차단하지 못하기 때문에 누출 가스류(190)는 출선구(140)의 외부로 더욱 새어 나오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누출 가스류(190)에 의해서 돌출되어지는 스탬프재(164)의 시공방법은 출선구(140)의 굴착성형 전에 먼저 약 1000mm 가량 개공하여 출선구(140)의 센터를 형성해 두고, 주변의 유입재(162)를 굴착한 상태에서 목재로 만든 원형의 형틀(미도시)을 가운데 삽입하고, 나머지 부분을 모두 막은 상태에서 형틀의 외측에 유입재(162)를 부어서 시공한다. 이와 같이 스템프재(164)의 시공범위는 통상 700mm ≤ 시공범위 ≤850mm 이다.
그리고, 대략 3 시간이 경과한 후, 형틀을 제거하고 완전건조를 시킨 상태에서 원통형의 목재 형틀을 제거한 부분에 스탬프재(164)를 스탬핑하는 작업이 일반적인 출선구(140)의 굴착 성형작업인 것이다. 그러므로, 출선구(140)의 가스 배출공(10)의 개공범위는 세트 연와(160)와 유입재(162)가 조인트되는 부분, 즉 스탬프재(164)의 시공범위까지 개공할 경우, 출선구(140)의 집합부에 집중되는 가스류의 배출이 용이하게 되어 출선구(140)의 스탬프재(164) 돌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출선구(140)의 균열발생을 유도하는 큰 원인으로는 출선구(140)를 장기 휴지할 경우, 출선구(140)의 내부에서 보호재를 형성하고 있는 머드재(172)와, 세트 연와(160)등이 그 외부에서 보호재를 형성하고 있는 유입재(162)와 스탬프재(164)와의 온도차를 크게 형성하여 부분적인 성상 변화에 의해 내화 연와의 균열발생을 유도하게 된다.
즉, 출선구(140)의 내부측 보호재는 1450~1550℃ 가량의 용융물(125)과 집접 접촉하므로 연와의 온도도 그에 준한다고 추정할 수 있으나, 휴지된 출선구(140)의 외부에는 출선작업이 장기간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대탕도(150)에 의한 복사열과 출선시 발생되는 잠열이 점차 없어지게 되는 데, 출선구(140) 외부의 대기 온도에 놓여 있는 휴지 말기의 유입재(162)및 스탬프재(164)의 온도는 최저 약 100℃에 이르게 되므로 온도차가 1350~1450℃ 까지 발생하게 된다.
한편, 출선구(140)를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내화물의 특성을 살펴보면 도 7에 도시된 내화물 특성 표와 같다.
그러므로, 출선구(140)를 구성하고 있는 머드재(172)와 세트 연와(160), 유입재(162)와 스탬프재(164)의 성상 차이에 의해 신축팽창의 정도가 다르게 되므로 균열발생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노내 온도와 출선구(140) 외부와의 온도편차를 줄이기 위해 씨오지 가스를 연소시키는 예열장치인 버너(20)를 이용하여 출선구(140)의 외부 온도를 높여줄 경우, 이러한 문제점을 부분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예열장치인 버너(20)에 의해, 출선구(140)의 가스 배출공(10)으로 나가는 노내 가스가 대기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착화하는 것을 겸하므로, 출선구(140)의 휴지 중에 대탕도(150)나 출선구(140) 주변의 보수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가 가스 중독에 의해 안전재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착화및 예열장치(1)는 출선구(140)의 가스 배출공(10)이 개공되면, 버너(20)를 출선구(140)측으로 옮기고 개방된 면이 출선구(140)측의 가스 배출구(10)로 향하도록 하며, 방열판(24)이 보수할 대탕도(150)측으로 향하도록 출선구(140)에 거치 한다.
그리고, 상기 씨오지 배관(36)의 호스를 버너(20)의 손잡이에 있는 퀵죠인트(34)에 연결하고, 버너(20)의 내부에 불씨를 넣은 상태에서 씨오지 가스 배관(36)의 밸브(미도시)를 서서히 열어주면 상기 씨오지 가스는 착화되어 몸체(22)에 형성된 다수개의 공기 유입구(28)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와, 씨오지 가스의 착화에 의해 씨오지 가스가 연소되고, 이때 발생되는 씨오지 가스의 열량에 의해 출선구(140)의 필요한 예열온도가 확보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예열장치(1)는 고온의 공기가 외기에 의해 상실되는 것을 방지하여 출선구(140)측에 집중되도록 하여 바람이나, 외부의 요인에 의해 온도편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외부 요인에 의해 불꽃이 소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활을 한다.
통상 씨오지 가스는 이론 공기비 4.9 에서 착화 온도 560℃, 이론 화염온도 2180℃로서 씨오지 가스 배관(36)이 삽입된 버너(20)에 의해 발생하는 열은 1150~1200℃이나, 열손실을 감안하더라도 출선구(140)의 주위에서 작용하는 분위기 온도는 대략 1000℃ 이상이다. 따라서, 출선구(140) 내부의 온도 1450~1550℃와 비교하여 약 450~550℃의 차이가 발생되나, 종래의 작업 방법에서의 출선구(140)의 내,외부의 온도편차인 1350~1450℃에 비하여 무려 950~1050℃ 가량 감소시키게 된다.
또한, 출선구(140)에 형성된 가스 배출공(10)으로 직접적인 열이 전달되어 출선구(140)의 내부 약 700~850mm 까지 열기가 전달되어 온도가 1000℃ 이하로 떨어지지 않게 되므로 출선구(140)의 변형을 방지하는 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탕도및 런너의 보수는 휴지 상태의 출선구(140)및 탕도,런너등을 보수하는 것으로, 통상의 작업공정은 냉각 - 굴착(파쇄) - 시공 - 건조순으로 이루어지고, 모든 보수작업이 종료되면 다른 출선구(140)의 휴지 준비와 함께 보수작업이 완료된 출선구의 초출선 준비작업을 하는 과정이다.
만약, 출선구(140)의 보수가 필요하고, 용광로 정수시점에 포함된다면, 출선구(140)의 성형작업을 병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추가로 가스 배출공(10)을 개공하지 않아도 무난하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용광로의 휴지중에 출선구(140)가 안정되고, 대탕도와 런너의 보수가 끝나면 초출선작업을 통해 가스 배출공(10)의 나머지 부분을 관통하여 용융물(125)을 배출하고, 배출이 완료되면 머드건(180)에 의한 폐쇄작업을 통해 출선구(140)의 심도보강과 균열부의 가스 유로를 차단함으로써 정상적으로 출선구(140)를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출선구(140)의 휴지시 가스 배출 불량과 출선구(140)의 내,외부 온도편차 발생에 의한 출선구(140)의 변형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휴지중에 대탕도(150)의 보수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들의 가스 중독을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가스 배출공(10)을 통한 출선구(140)의 스탬프부(164)의 돌출 문제를 해소하고, 가스 정체구간의 발생에 따라 출선구(140)의 굴착 성형시 폭팔하는 문제점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용광로(100) 조업의 안정과 안전재해를 예방할 수 있는 등의 유용한 효과가 얻어진다.

Claims (4)

  1. 용광로내의 용융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개공기와 머드건에 의해 출선 또는 폐쇄가 이루어지는 출선구에 있어서, 상기 출선구(140)의 개공부를 형성하는 스탬프재(164)의 중앙에는 상기 스탬프재(164)가 장착되기 위한 시공부위까지 가스 배출공(10)이 형성되어 노내부에서 발생되는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광로 휴지 출선구의 가스 배출공 형성및 연소 예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배출공(10)의 개공은 스탬프재(164)의 시공범위인 700 ≤ 개공범위 ≤ 850 mm 까지 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광로 휴지 출선구의 가스 배출공 형성및 연소 예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선구(140)에는 노내 온도와 출선구(140) 외부와의 온도편차를 줄이기 위해 씨오지 가스를 연소시키는 예열장치인 버너(20)를 장착하여 출선구(140)의 외부 온도를 높이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광로 휴지 출선구의 가스 배출공 형성및 연소 예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20)는 강(鋼)등의 불연성 재질로서 몸체(22)가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22)는 출선구(140)측으로 개방되어 열이 전달되게 하고, 반대측으로는 방열판(24)이 막혀 있으며, 그 테두리에는 일정 크기의 집열부재(26)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방열판(24)과 집열부재(26)에는 각각 적정 크기의 공기 유입구(28)들이 전면과 측면에 각각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버너(20)의 몸체 양측으로는 씨오지 가스 공급배관(32)이 설치되며, 각각의 씨오지 가스 배관(32)의 일측으로는 씨오지 가스 공급관(36)이 연결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광로 휴지 출선구의 가스 배출공 형성및 연소 예열장치.
KR1020030029964A 2003-05-12 2003-05-12 용광로 출선구의 가스 제거장치 KR100979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9964A KR100979044B1 (ko) 2003-05-12 2003-05-12 용광로 출선구의 가스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9964A KR100979044B1 (ko) 2003-05-12 2003-05-12 용광로 출선구의 가스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7619A true KR20040097619A (ko) 2004-11-18
KR100979044B1 KR100979044B1 (ko) 2010-08-30

Family

ID=37375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9964A KR100979044B1 (ko) 2003-05-12 2003-05-12 용광로 출선구의 가스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90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0335B1 (ko) * 2020-02-25 2021-05-10 현대제철 주식회사 출선구용 가스 유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6609A (en) 1979-07-23 1981-02-17 Kawasaki Steel Corp Preventing method for gas leakage from circumference of tap hole of blast furnace
JPS5779146U (ko) 1980-11-04 1982-05-15
JPH0216982Y2 (ko) 1986-05-30 1990-05-11
KR19990038767U (ko) * 1998-03-31 1999-10-25 이구택 용광로 출선구보호벽 유출가스 착화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0335B1 (ko) * 2020-02-25 2021-05-10 현대제철 주식회사 출선구용 가스 유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9044B1 (ko) 2010-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7684B1 (ko) 로저의 승온 방법 및 그것에 이용하는 버너 랜스
JP6544175B2 (ja) 高炉炉底部における装入物および炉内残留物の昇温方法
KR100979044B1 (ko) 용광로 출선구의 가스 제거장치
AU2014363701B2 (en) Tap-hole refurbishing
KR20020048161A (ko) 출선구 보호벽 형성장치
JP3860624B2 (ja) 炉を操作しながら炉を酸素−燃料用の炉に変換する方法及びバーナーブロック組立品
JPH0825025A (ja) 取鍋溶鋼排出用ノズル孔詰まり除去ランス
KR100480359B1 (ko) 노즐브릭 보수 장치
KR100306593B1 (ko) 전로 내화물 보열방법 및 그 장치
KR100406435B1 (ko) 탄소가 함유된 착화 팁을 갖는 산소 파이프
JPH07247481A (ja) コークス炉熱間補修方法
KR101907318B1 (ko) 고로 출선구 굴착용 산소 파이프 착화 장치
KR101065844B1 (ko) 고로 출선구 가스 통로 수리장치
KR100418981B1 (ko) 미분탄 취입 랜스 위치 조절 장치
KR200382877Y1 (ko) 랜싱파이프의 자동 점화장치
KR960008748Y1 (ko) 코크스로 연와보수용 작업도어
JPS6026115Y2 (ja) 溶鉱炉用羽口冷却函
KR101091978B1 (ko) 턴디쉬 가열장치
KR100399820B1 (ko) 고로 출선구 내화물 축조 및 보수 방법
SU1709162A1 (ru) Торкрет-фурма дл гор чего ремонта нагревательных печей методом керамической наплавки
KR100822971B1 (ko) 보조재를 이용한 용광로의 출선구 폐쇄방법
KR101038554B1 (ko) 턴디시 내화물의 수분통로 형성용 y스터드 및 이를 이용한 턴디시 내화물 시공방법
SU4211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вдувани воздуха или пара внутрь рабочего пространства мартеновской печи под ее свод с целью охлаждени и защиты его
RU2013695C1 (ru) Горел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080076647A (ko) 고로 풍구 밀봉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