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6848A - 맨홀 - Google Patents

맨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6848A
KR20040096848A KR1020040077119A KR20040077119A KR20040096848A KR 20040096848 A KR20040096848 A KR 20040096848A KR 1020040077119 A KR1020040077119 A KR 1020040077119A KR 20040077119 A KR20040077119 A KR 20040077119A KR 20040096848 A KR20040096848 A KR 200400968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center
sewage
outlet
manho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7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우
Original Assignee
신우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우산업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우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7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96848A/ko
Publication of KR20040096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6848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21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between shaft elements, e.g. of rings forming said shaf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맨홀에 관한 것으로, 맨홀을 구성하는 맨홀몸체의 내측 하부구조를 바닥의 중심으로부터 일정높이의 내벽으로 확장되는 상부는 넓고 하부는 협소한 구조로 형성하는 한편 바닥의 중심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배출구를 관통 형성함으로써 맨홀의 내부로 유입된 하수가 바닥의 중심으로 모여지는 가운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유입된 하수에 포함된 이물질의 퇴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하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유입된 하수를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형성되어지되 상부가 개방된 구조의 맨홀몸체, 맨홀몸체 상부에 안착 고정되어지되 일정 크기의 맨홀공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 스라브 및 스라브의 맨홀공을 개폐시키는 맨홀뚜껑으로 이루어진 맨홀에 있어서, 맨홀몸체의 내측 하부구조를 바닥의 중심으로부터 일정높이의 내벽으로 확장되는 상부는 넓고 하부는 협소한 구조로 형성하는 한편 바닥의 중심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배출구를 관통 형성하여 하수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어느 방향의 위치에 형성하더라도 맨홀몸체의 내부로 유입된 하수가 바닥의 중심으로 모여지는 가운데 배출구를 통해 곧바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맨홀{Manhole}
본 발명은 이물질이 쌓이지 않도록 하는 구조의 맨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의 하수관·수도관·지하 케이블 및 포장도로 등을 검사하거나 청소하기 위하여 사람이 출입할 수 있게 만든 맨홀의 내측 하부구조를 바닥의 중심으로 하수가 모여질 수 있도록 한 맨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맨홀이라 함은 지하의 하수관·수도관·지하 케이블 및 포장도로 등을 검사하거나 청소하기 위하여 사람이 출입할 수 있게 만든 것으로, 이 맨홀은 관의 굵기나 방향이 바뀌는 곳, 기점이나 교차점 및 길이가 긴 직선부의 중간에 설치된다. 이러한 맨홀의 설치 거리는 50∼100m나 100∼150m 정도이며, 보통 관거(管渠)의 바로 위에 설치된다. 다음은 일반적인 맨홀을 보인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맨홀을 보인 제 1 실시 예의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맨홀(10)은 하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2a)와 내부로 유입된 하수를 배출시키는 배출구(12b)가 형성된 상부가 개방된 구조의 맨홀몸체(12), 맨홀몸체(12) 상부에 안착되어지되 일정 크기의 맨홀공(14a)이 형성된 스라브(14) 및 스라브(14)의 맨홀공(14a)을 개폐시키기 위한 맨홀뚜껑(16)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맨홀(10)의 구성에서 맨홀몸체(12)의 내측 바닥은 평평하게 구성되고, 유입구(12a)와 배출구(12b)가 맨홀몸체(12)의 내측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형성된다. 이때, 하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2a)는 배출구(12b)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맨홀은 맨홀몸체의 내측 바닥이 내측 바닥이 평평하게 형성되고,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유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하수의 유입시 하수에 포함된 이물질들이 맨홀몸체의 내측 바닥에 쌓이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유입구와 배출구가 일정각도로 형성되는 경우 유입되는 하수가 휘돌기 때문에 휘도는 부분의 바닥에는 이물질이 많이 쌓이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하수의 유입시 하수에 포함된 이물질들이 맨홀몸체의 내측 바닥에 쌓이게 되면 부패하여 악취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처럼 이물질의 부패로 인하여 악취가 발생하게 되면 맨홀몸체의 유입구를 통해 악취가 역류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더구나, 전술한 바와 같이 하수의 유입시 하수에 포함된 이물질들이 맨홀몸체의 내측 바닥에 쌓이게 되면 퇴적된 이물질이 배수구를 막게되어 맨홀의 내부로 유입된 하수가 배수되지 못하고 역류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도 3 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맨홀을 보인 제 2 실시 예의 평면도, 도 4 는 도 3 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맨홀(20)은 맨홀몸체(22)의 유입구(22a)와 배출구(22b) 방향이 직선이 아닌 일정 각도로 형성된 구조를 보인 것으로, 유입구(22a)와 배출구(22b) 사이의 바닥에는 유입구(22a)와 배출구(22b)가 이루는 각도의 형태로 일정 깊이의 유로(28)가 형성된다. 이때, 유로(28)가 형성된 바닥 이외의 부분은 유로(28)의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22c)을 이룬다.
도 5 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맨홀을 보인 제 3 실시 예의 평면도, 도 6 은 도 5 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맨홀(30) 구조는 맨홀몸체(32)의 유입구(32a)와 배출구(32b) 방향이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의 구조로 이루어지기는 마찬가지이나 유입구(32a)와 배출구(32b) 사이의 바닥에 유입구(32a)와 배출구(32b)를 연결하여 유입된 하수가 흐를 수 있도록 하는 유로(38)가 형성된 점이 다르다. 이때, 유로(38)의 양측 바닥은 유로(38)의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32c)을 이룬다.
도 7 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맨홀을 보인 제 4 실시 예의 평면도, 도 8 은 도 7 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맨홀(40)은 맨홀몸체(42)의 유입구(42a)와 배출구(42b) 방향이 유입구(42a) 2개 배출구(42b) 1개로 이루어진 3방향 구조를 보인 것으로, 도 7 및 도 8 의 맨홀(40) 역시 유입구(42a)와 배출구(42b) 사이의 바닥에는 유입구(42a)와 배출구(42b)가 이루는 각도의 형태로 유로(48)가 형성된다. 이때, 유로(48)가 형성된 이외의 바닥은 유로(48)의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42c)을 이룬다.
도 9 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맨홀을 보인 제 5 실시 예의 평면도, 도 10 은 도 9 의 "E-E"선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맨홀(50)은 맨홀몸체(52)의 유입구(52a)와 배출구(52b) 방향이 유입구(52a) 3개 배출구(52b) 1개로 이루어진 4방향 구조를 보인 것으로, 도 9 및 도 10 의 맨홀(50) 역시 유입구(52a)와 배출구(52b) 사이의 바닥에는 유입구(52a)와 배출구(52b)가 이루는 각도의 형태로 유로(58)가 형성된다. 이때, 유로(58)가 형성된 이외의 바닥은 유로(58)의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52c)을 이룬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도 3 내지 도 10 의 맨홀은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맨홀이 갖는 문제점을 개선하여 유입구와 배출구의 방향이 일정각도로 형성되거나 다수의 유입구를 필요로 하는 구조의 맨홀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한 것으로, 도 3 내지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의 맨홀은 하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배출구 사이에 유로를 형성하고, 유로가 형성된 이외의 바닥은 유로를 향해 경사진 구조로 하여 유입된 하수가 보다 용이하게 흐를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유입구와 배출구 사이의 바닥에 유로를 형성하는 구조의 종래 기술에 따른 맨홀은 성형시 유입구와 배출구 사이의 각도가 조금이라도 달라지는 경우 그에 따른 유로를 다시 설계하여야 하기 때문에 금형을 다르게 설계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어 맨홀을 제조하는데 따른 어려움이나 제조원가 상승 등의 문제가 따르게 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맨홀을구성하는 맨홀몸체의 내측 하부구조를 바닥의 중심으로부터 일정높이의 내벽으로 확장되는 상부는 넓고 하부는 협소한 구조로 형성하는 한편 바닥의 중심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배출구를 관통 형성함으로써 맨홀의 내부로 유입된 하수가 바닥의 중심으로 모여지는 가운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유입된 하수에 포함된 이물질의 퇴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맨홀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맨홀을 구성하는 맨홀몸체의 내측 하부구조를 바닥의 중심으로부터 일정높이의 내벽으로 확장되는 상부는 넓고 하부는 협소한 구조로 형성하는 한편 바닥의 중심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배출구를 관통 형성함으로써 하수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어느 방향의 위치에 형성하더라도 바닥의 중심으로 모여 배출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측 유입된 하수가 바닥의 중심으로 모여지는 가운데 배출구를 통해 곧바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유입된 하수에 포함된 이물질의 퇴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이물질이 퇴적시 부패로 악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맨홀을 구성하는 맨홀몸체의 내측 하부구조를 바닥의 중심으로부터 일정높이의 내벽으로 확장되는 상부는 넓고 하부는 협소한 구조로 형성하는 한편 바닥의 중심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배출구를 관통 형성하여 맨홀의 내부로 유입된 하수가 바닥의 중심으로 모여지는 가운데 배출구를 통해 곧바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수에 포함된 이물질로 인하여 배출구가 막히지 않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맨홀을 보인 제 1 실시 예의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A-A"선 단면도.
도 3 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맨홀을 보인 제 2 실시 예의 평면도.
도 4 는 도 3 의 "B-B"선 단면도.
도 5 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맨홀을 보인 제 3 실시 예의 평면도.
도 6 은 도 5 의 "C-C"선 단면도.
도 7 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맨홀을 보인 제 4 실시 예의 평면도.
도 8 은 도 7 의 "D-D"선 단면도.
도 9 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맨홀을 보인 제 5 실시 예의 평면도.
도 10 은 도 9 의 "E-E"선 단면도.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맨홀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맨홀의 구조를 보인 일부 절결 사시도.
도 13 은 본 발명에 따른 맨홀의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도 14 는 본 발명에 따른 맨홀이 지면에 매몰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맨홀 110. 맨홀몸체
112. 유입구 114. 배출구
120. 스라브 122. 맨홀공
130. 맨홀뚜껑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맨홀은 하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유입된 하수를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형성되어지되 상부가 개방된 구조의 맨홀몸체, 맨홀몸체 상부에 안착 고정되어지되 일정 크기의 맨홀공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 스라브 및 스라브의 맨홀공을 개폐시키는 맨홀뚜껑으로 이루어진 맨홀에 있어서, 맨홀몸체의 내측 하부구조를 바닥의 중심으로부터 일정높이의 내벽으로 확장되는 상부는 넓고 하부는 협소한 구조로 형성하는 한편 바닥의 중심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배출구를 관통 형성하여 하수가 유입되는 상기 유입구를 어느 방향의 위치에 형성하더라도 맨홀몸체의 내부로 유입된 하수가 바닥의 중심으로 모여지는 가운데 배출구를 통해 곧바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맨홀몸체의 내측 하부구조는 그 종단면 형상이 바닥의 중심으로부터 일정높이의 내벽으로 곡선 형태로 확장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맨홀몸체의 내측 하부구조는 그 종단면 형상이 역삼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구성에서 맨홀몸체 내부의 바닥과 내벽에는 맨홀몸체 내부의 방수를 위한 방수코팅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맨홀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맨홀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12 는 본 발명에따른 맨홀의 구조를 보인 일부 절결 사시도, 도 13 은 본 발명에 따른 맨홀의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도 14 는 본 발명에 따른 맨홀이 지면에 매몰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맨홀(100) 역시 하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12)와 유입된 하수를 배출시키는 배출구(114)가 형성되어지되 상부가 개방된 구조의 맨홀몸체(110), 맨홀몸체(110) 상부에 안착 고정되어지되 일정 크기의 맨홀공(122)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 스라브(120) 및 스라브(120)의 맨홀공(122)을 개폐시키는 맨홀뚜껑(1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종래 기술에 따른 맨홀과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맨홀(100)은 맨홀몸체(110)의 내측 하부구조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맨홀과 다르게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맨홀(100)은 도 11 및 도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홀몸체(110)의 내측 하부구조를 내측 바닥의 중심(C)으로부터 일정높이의 내벽으로 확장되는 구조로 형성하여 유입구(112)를 통해 유입되는 하수가 맨홀몸체(110)의 내측 바닥 중심(C)으로 모여질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맨홀몸체(110)의 내측 하부구조를 내측 바닥의 중심(C)으로부터 일정높이의 내벽으로 확장되는 즉, 상부는 넓고 하부는 협소한 상광하협(上廣下狹)의 구조로 이루어져 유입구(112)를 통해 유입되는 하수가 맨홀몸체(110)의 내측 바닥 중심(C)으로 모여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맨홀몸체(110)의 내측 하부구조를내측 바닥의 중심(C)으로부터 일정높이의 내벽으로 확장되는 즉, 상부는 넓고 하부는 협소한 상광하협(上廣下狹)의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어느 방향의 위치에 하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12)를 형성하더라도 유입된 하수는 바닥의 중심으로 모여지는 가운데 바닥의 중심으로부터 측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배출구(114)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서와 같이 유입되는 하수가 바닥의 중심으로 모여질 수 있도록 맨홀몸체(110)의 내측 하부구조를 내측 바닥의 중심(C)으로부터 일정높이의 내벽으로 확장되는 즉, 상부는 넓고 하부는 협소한 상광하협(上廣下狹)의 구조로 형성하고, 유입된 하수가 배출되는 배출구(114)는 바닥의 최하부 중심으로부터 측방향으로 관통 형성함으로써 도 13 에서와 같이 하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12)의 어느 방향의 위치에 형성하더라도 유입되는 하수는 바닥의 중심으로 모여져 바닥의 중심으로부터 측방향으로 형성되는 배출구(114)로 자연스럽게 배출이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전술한 바와 같이 내측 바닥의 중심(C)으로부터 일정높이의 내벽으로 확장 형성되는 맨홀몸체(110)의 내측 하부구성에 더하여 협소한 바닥의 중심(C)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배출구(114)를 관통 형성하여 맨홀몸체(110)의 내부로 유입된 하수가 바닥의 중심(C)으로 모여지는 가운데 배출구(114)를 통해 곧바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맨홀(100)의 구성에서 맨홀몸체(1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유입된 하수가 배출되는 배출구(114)는 도 13 및 도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홀몸체(110) 내측의 최저부인 바닥의 중심(C)으로부터 측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유입구(112)를 통해 유입되는 하수가 맨홀몸체(110) 바닥의 최저부인 중심(C)으로 모이는 가운데 최저부인 바닥 중심(C)과 직접적으로 연결 구성된 배출구(114)를 통해 곧바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맨홀(100)을 유입되는 하수가 맨홀몸체(110)의 바닥 중심(C)으로 모여질 수 있도록 맨홀몸체(100) 내측 바닥의 중심(C)으로부터 일정높이의 내벽으로 확장되는 즉, 상부는 넓고 하부는 협소한 상광하협(上廣下狹)의 구조로 형성하고, 또한 맨홀몸체(100) 내측 바닥의 최저부인 중심(C)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배출구(114)를 관통 형성하여 유입되는 하수와 이에 포함된 이물질이 맨홀몸체(100)의 바닥 중심(C)으로 모여진 후 곧바로 배출구(114)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기 때문에 이물질이 맨홀몸체(110)의 내측 바닥에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맨홀(100)의 구성에서 맨홀몸체(110)의 내측 하부구조는 그 종단면 형상이 바닥의 중심(C)으로부터 일정높이의 내벽으로 곡선 형태로 확장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맨홀몸체(110)의 내측 하부구조는 그 종단면 형상이 역삼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그 종단면 형상이 바닥의 중심으로부터 일정높이의 내벽으로 곡선 형태로 확장되는 구성이나 역삼각형의 형태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맨홀몸체(110)의 하부구조에서 배출구(114)는 바닥의 최저부인 중심(C)으로부터 측방향으로 관통 형성됨은 앞서의 기술과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맨홀(100)의 맨홀몸체(110) 내부에는 맨홀(100)의 방수를 방수를 위한 방수코팅층(140)이 더 형성된다. 즉, 맨홀(100)의 내부에는 상시 하수가 유입되어 하수와 접하는 곳이기 때문에 방수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 맨홀(100) 주위의 토양이 오염될 수 있음은 물론, 지하수의 오염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방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방수코팅층(140)을 형성함이 양호하다.
본 발명에 따른 맨홀(100)의 매설은 도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맨홀(100)을 매설할 깊이로 구덩이를 형성한 후, 먼저 맨홀몸체(110)를 매설한다. 이처럼 구덩이에 맨홀몸체(110)를 매설한 후에는 맨홀몸체(110)의 유입구(112)와 배출구(114) 각각에 하수가 유입되는 하수 유입관(200)과 유입된 하수가 배출되는 하수 배출관(200a)을 연결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맨홀몸체(110)를 매설한 후, 하수 유입관(200)과 하수 배출관(200a)을 연결한 후에는 맨홀몸체(110)의 상부로 스라브(120)를 안착시켜 고정한다. 이때, 맨홀몸체(110)와 스라브(120) 사이에는 시멘트 모르타르를 이용하여 맨홀몸체(110) 상부에 스라브(120)를 고정시킨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시멘트 모르타르를 이용하여 맨홀몸체(110) 상부에 스라브(120)를 고정시킨 후에는 스라브(120)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 맨홀공(122) 상에 맨홀뚜껑(130)을 안착시켜 이물질이 맨홀(10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이처럼 한 상태에서 맨홀(100) 주위의 구덩이에 흙을 다져 맨홀(100)의 상부면만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맨홀(100)을 유입되는 하수가 맨홀몸체(110)의 바닥 중심(C)으로 모여질 수 있도록 맨홀몸체(100) 내측 바닥의 중심(C)으로부터 일정높이의 내벽으로 확장되는 상광하협(上廣下狹)의 구조로 형성하고, 맨홀몸체(100) 내측 바닥의 최저부인 중심(C)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배출구(114)를 관통 형성하여 유입되는 하수와 이에 포함된 이물질이 맨홀몸체(100)의 바닥 중심(C)으로 모여진 후 곧바로 배출구(114)를 통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유입되는 하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맨홀몸체(110)의 내측 바닥에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따라서, 맨홀(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하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맨홀몸체(110)의 내측 바닥에 쌓임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악취와 맨홀몸체(110)의 내측 바닥에 쌓인 이물질로 인하여 배출구(114)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맨홀을 구성하는 맨홀몸체의 내측 하부구조를 바닥의 중심으로부터 일정높이의 내벽으로 확장되는 상부는 넓고 하부는 협소한 구조로 형성하는 한편 바닥의 중심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배출구를 관통 형성함으로써 맨홀의 내부로 유입된 하수가 바닥의 중심으로 모여지는 가운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유입된 하수에 포함된 이물질의 퇴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로는 맨홀을 구성하는 맨홀몸체의 내측 하부구조를 바닥의 중심으로부터 일정높이의 내벽으로 확장되는 상부는 넓고 하부는 협소한 구조로형성하는 한편 바닥의 중심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배출구를 관통 형성함으로써 하수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어느 방향의 위치에 형성하더라도 바닥의 중심으로 모여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로는 내측 유입된 하수가 바닥의 중심으로 모여지는 가운데 배출구를 통해 곧바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유입된 하수에 포함된 이물질의 퇴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이물질이 퇴적시 부패로 악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맨홀을 구성하는 맨홀몸체의 내측 하부구조를 바닥의 중심으로부터 일정높이의 내벽으로 확장되는 상부는 넓고 하부는 협소한 구조로 형성하는 한편 바닥의 중심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배출구를 관통 형성하여 맨홀의 내부로 유입된 하수가 바닥의 중심으로 모여지는 가운데 배출구를 통해 곧바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수에 포함된 이물질로 인하여 배출구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4)

  1. 하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유입된 하수를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형성되어지되 상부가 개방된 구조의 맨홀몸체, 상기 맨홀몸체 상부에 안착 고정되어지되 일정 크기의 맨홀공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 스라브 및 상기 스라브의 맨홀공을 개폐시키는 맨홀뚜껑으로 이루어진 맨홀에 있어서,
    상기 맨홀몸체의 내측 하부구조를 바닥의 중심으로부터 일정높이의 내벽으로 확장되는 상부는 넓고 하부는 협소한 구조로 형성하는 한편 바닥의 중심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상기 배출구를 관통 형성하여 하수가 유입되는 상기 유입구를 어느 방향의 위치에 형성하더라도 상기 맨홀몸체의 내부로 유입된 하수가 바닥의 중심으로 모여지는 가운데 상기 배출구를 통해 곧바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맨홀몸체의 내측 하부구조는 그 종단면 형상이 바닥의 중심으로부터 일정높이의 내벽으로 곡선 형태로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맨홀몸체의 내측 하부구조는 그 종단면 형상이 역삼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4. 제 1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맨홀몸체 내부의 바닥과 내벽에는 맨홀몸체 내부의 방수를 위한 방수코팅층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KR1020040077119A 2004-09-24 2004-09-24 맨홀 KR200400968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7119A KR20040096848A (ko) 2004-09-24 2004-09-24 맨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7119A KR20040096848A (ko) 2004-09-24 2004-09-24 맨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6848A true KR20040096848A (ko) 2004-11-17

Family

ID=37375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7119A KR20040096848A (ko) 2004-09-24 2004-09-24 맨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9684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6813B1 (ko) * 2015-11-06 2016-02-23 (주)서부전기 지중배전선로의 맨홀 배수 및 환풍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6813B1 (ko) * 2015-11-06 2016-02-23 (주)서부전기 지중배전선로의 맨홀 배수 및 환풍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0953B2 (en) Integrated below-ground vault with a filtered catch basin
US7163635B2 (en) Integrated below-ground vault with a filtered catch basin
US7614192B2 (en) Building drainage system
JP2008267023A (ja) 雨水貯留システム
KR100601227B1 (ko) 감소된 월류수 발생 개소를 갖는 지하수 배수 장치
US6986226B2 (en) Manhole water seal-cap/diverter
KR200434066Y1 (ko) 차도 측구용 우수받이
JP2011074563A (ja) 雨水浸透システム
US10060117B1 (en) Stormwater runoff separator and collector for curb inlet type catch basins
KR20040096848A (ko) 맨홀
JP3888857B2 (ja) 雨水流出抑制処理施設
KR200378186Y1 (ko) 높이조절이 용이한 트랩받이
JP2014009490A (ja) 雨水貯溜配管構造及びそれに用いる排水桝
KR20040096849A (ko) 맨홀
KR200265463Y1 (ko) 악취차단 및 토사유입방지 맨홀
JP2008138374A (ja) 雨水流出抑制施設
KR101569048B1 (ko) 자동 배수 기능을 갖는 제수변 보호통
KR100834532B1 (ko) 합류식 하수구의 토사유입 방지구
KR200187320Y1 (ko) 개폐식 덮개를 가진 합류식 하수도의 우수토실
KR200405377Y1 (ko) 맨홀
KR200224158Y1 (ko) 공동구조물
KR101022645B1 (ko) 하수구용 배수트랩
JP2010156164A (ja) 雨水貯溜及び流出抑制のためのタンク
JP4119165B2 (ja) 通水ダクト式雨水浸透装置
KR20230166470A (ko) 수생태계 저영향개발(lid)을 위한 경사배수공 빗물받이 덮개 수로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