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5694A - 접착용 장식체가 부착된 시트의 제조법 및 접착용장식체가 부착된 시트 - Google Patents

접착용 장식체가 부착된 시트의 제조법 및 접착용장식체가 부착된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5694A
KR20040095694A KR1020040032046A KR20040032046A KR20040095694A KR 20040095694 A KR20040095694 A KR 20040095694A KR 1020040032046 A KR1020040032046 A KR 1020040032046A KR 20040032046 A KR20040032046 A KR 20040032046A KR 20040095694 A KR20040095694 A KR 20040095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main body
sheet
adhesive
body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2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1514B1 (ko
Inventor
세쯔오아리사와
Original Assignee
유겐가이샤 유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겐가이샤 유비 filed Critical 유겐가이샤 유비
Publication of KR20040095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5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1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15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2Superimposing layers
    • B44C3/025Superimposing layers to produce ornamental relief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001Self adhesive nail coating blan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Y10T428/149Sectional layer removable
    • Y10T428/1495Adhesive is on removable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입체감을 갖는 접착용 장식체를 제공한다. 이형 시트(1) 상에 점착층(2)을 설치하는 공정과, 점착층(2) 상에 본체층(3)을 설치하는 공정과, 본체층(3)의 열처리 공정을 포함하고, 본체층(3)은 점착층(2)보다도 큰 면적을 갖고 있는 동시에 본체층(3)에는 발포제가 혼입되어 있다. 본체층의 점착층으로부터 비어져 나온 부위(30)는 이형 시트(1)의 이형면 상에 부착되어 있다. 열처리 공정에 의해, 본체층(3)의 점착층(2)으로부터 비어져 나온 부위(30)를 이형면으로부터 박리시키고 변형시켜 입체감을 냄으로써 접착용 장식체를 얻는다. 접착용 장식체는 점착층(2)을 거쳐서 이형 시트(1) 상에 박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접착용 장식체가 부착된 시트의 제조법 및 접착용 장식체가 부착된 시트 {METHOD FOR MANUFACTURING SHEET HAVING DECORATION MEMBER ATTACHED THERETO AND SHEET HAVING DECORATION MEMBER ATTACHED THERETO}
본 발명은 접착용 장식체가 부착된 시트의 제조법 및 그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적절한 예로서는, 네일 아트(붙이는 손톱에 붙이는 경우를 포함함), 바디 시일, 휴대 전화 등에 접착하는 장식체 등을 들 수 있다.
피복이나 인체 등의 대상물에 장식체를 접착하는 것이 패션으로서 행해지고 있지만, 종래에는 장식체를 구비한 전사 시일이나 전사 시트를 이용함으로써 대상물로의 장식체의 접착을 행하고 있었다.
최근에는, 네일 아트로서 네일 시일을 손톱에 부착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또한, 바디 페인팅 대신에 시일을 부착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종류의 시일에 대해서는, 실용신안 등록 제3018143호, 제3021171호, 제3045862호, 제3060851호, 제3064939호, 제3079583호, 실용신안 공개 평5-63407호, 일본 특허 공개 평9-322818호, 일본 특허 공개 제2000-6588호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시일에서는 그림의 질감이나 볼륨감, 입체감을 낼 수 없으므로디자인성 면에서 결핍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입체감을 갖는 접착용 장식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1은 프린트 직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2는 열처리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3은 프린트 직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로, 도1이 개념도인 데 반해 도3은 실제의 태양을 도시하는 도면.
도4는 열처리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로, 도2가 개념도인 데 반해 도3은 실제의 태양을 도시하는 도면.
도5는 도4와 유사한 도면으로, 비어져 나온 부위의 다른 변형 태양을 도시하는 도면.
도6은 다색(다층) 프린트의 열처리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7은 접착용 장식체가 부착된 시트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상부로부터 평면도, 열처리 전의 측면도, 열처리 후의 측면도.
도8은 접착용 장식체가 부착된 시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상부로부터 열처리 전의 단면도, 열처리 후의 단면도.
도9의 상부 도면은 시트 상에 점착층(완충층이 있는 경우에는 점착층과 대략동일한 형상이 됨)을 날염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중앙도는 시트 상에 본체층을 날염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하부 도면은 점착층과 본체층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 평면도.
도10은 접착용 장식체가 부착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11은 도10에 도시한 장식체를 붙이는 손톱에 부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12는 접착용 장식체가 부착된 시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13은 도12에 도시한 접착용 장식체가 부착된 시트의 부분 단면도로, 상부 도면은 열처리 전, 하부 도면은 열처리 후를 도시하는 도면.
도14는 도13에 도시한 접착용 장식체의 피착체로의 부착을 설명하는 도면.
도15는 상측 본체층이 형성된 시트를 도시하는 도면.
도16은 하측 본체층이 형성된 시트를 도시하는 도면.
도17은 상측 본체층과 하측 본체층을 일체화시키는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18은 복수층의 본체층을 변형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19는 도13 및 도14에 도시한 실시예를 복수층의 본체층에 적용한 것을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 : 시트
2, 40 : 점착층
3 : 본체층
4 : 최상부층
5, 6 : 접착용 장식체
30 : 비어져 나온 부위
70 : 피착체층
S : 슬릿
본 발명이 채용한 기술 수단은 시트의 이형면 상에 점착층을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점착층 상에 1층 혹은 복수층의 본체층을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본체층의 열처리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층은 상기 이형면 상에 부착한 비어져 나온 부위를 갖고 있는 동시에 상기 본체층에는 발포제가 혼입되어 있고, 상기 열처리 공정에 있어서 상기 비어져 나온 부위가 상기 이형면으로부터 박리되어 입체적으로 변형됨으로써, 점착층과 입체감을 갖는 본체층을 포함하는 장식체가 상기 점착층을 거쳐서 이형면 상에 박리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접착용 장식체가 부착된 시트를 얻는 것이다.
본 발명이 채용한 다른 기술 수단은 이형면을 갖는 시트와 접착용 장식체로 이루어지는 접착용 장식체가 부착된 시트이며, 상기 장식체는 상기 이형면 상에 형성된 점착층과 상기 점착층 상에 형성된 1층 또는 복수층의 본체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층은 상기 점착층으로부터 비어져 나온 부위를 갖고 있고, 상기 본체층에는 발포제가 혼입되어 있어 상기 본체층의 상기 점착층으로부터 비어져 나온 부위가 열처리에 의해 입체적으로 변형되어 있고, 상기 장식체는 상기 점착층을 거쳐서 상기 이형면 상에 박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점착층은, 그 위에 본체층이 설치되었을 때에 본체층이 직접 이형면에 부착되는 비어져 나온 부위를 갖도록 미리 원하는 형상이나 혹은 크기를 갖고 있다. 1개의 태양에서는, 본체층은 점착층보다도 큰 면적을 갖고 있어 본체층의 비어져 나온 부위가 시트의 이형면 상에 부착된다. 바람직한 태양에서는, 비어져 나온 부위는 자유단부를 갖는다. 이형면 상에 부착되는 자유단부를 가짐으로써 비어져 나온 부위의 변형이 양호하게 행해진다. 발포제는 본체층의 적어도 어느 부분에 혼입되어 있으면 좋고, 반드시 본체층 전체에 혼입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비어져 나온 부위 혹은/및 비어져 나온 부위 근방에만 발포제가 혼입되어 있는 것이라도 좋다. 예를 들어, 복수회의 스크린 날염 공정으로부터 본체층을 구성하는 경우에 비어져 나온 부위를 형성하기 위한 날염제에만 발포제를 혼입시켜도 좋다.
1개의 바람직한 태양에서는, 점착층의 상면 전체를 피복하도록 완충층을 설치하는 공정을 갖는다. 완충층은 상기 점착층과 대략 동일한 면적(동일 형상)이거나 그보다도 큰 면적을 갖는다. 완충층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본체층은 완충층 상에 설치된다.
1개의 바람직한 태양에서는, 상기 본체층에는 1개 혹은 복수의 슬릿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본체층의 슬릿 근방 부위의 부분이 상기 비어져 나온 부위로서 이형면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점착층에는, 혹은 완충층을 설치한 경우에는 상기 점착층 및 상기 완충층에는 상기 슬릿 근방 부위에 대응하여 이형면이 노출되어 있어, 상기 본체층의 슬릿 근방 부위가 상기 노출된 이형면에 부착되어 있다.
1개의 바람직한 태양에서는, 본체층은 다층 구조를 갖고 있다. 본체층이 다층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1개의 태양에서는 열처리 전에 있어서 최하층의 본체층의 비어져 나온 부위가 이형면에 부착되고, 그 위에 위치하는 1개 혹은 복수의 본체층은 하측에 위치하는 본체층 상에 부착된다. 또한, 다른 태양에서는 다층 구조를 구성하는 각층이 각각 이형면에 부착되는 비어져 나온 부위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다층 구조의 본체층의 제조 방법을 실시예에 나타낸다. 또한, 복수의 층을 갖는 본체층에 있어서 최상위의 층으로서 보호층, 1개의 바람직한 예에서는 내용제성의 보호층을 설치하는 공정을 가져도 좋다.
다른 태양에서는, 열처리 공정의 전 혹은 후에 상기 본체층 상에 다른 하나의 점착층을 설치하는 공정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장식체는 상기 다른 하나의 점착층을 거쳐서 피착체에 접착되고, 최초에 형성된 점착층에는 다른 장식체가 더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장식체를 구성하는 각층은 스크린 날염에 의해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체층 및 완충층을 형성하기 위한 날염제는 수성의 신축성 수지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신축성 수지로서는 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실리콘 수지(실리콘 고무), 우레탄 아크릴, 혹은 이들의 임의의 혼합 수지가 예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적절한 예인 스크린판을 이용한 제조법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스크린판을 이용한 제조법의 상세에 대해서는 본 출원인의 선출원인 일본 특허 출원 제2002-136569를 참조할 수 있다. 우선, 접착용 장식체의 형상 및 무늬를 형성하기 위한 스크린판을 준비한다. 실크 스크린 날염에서는, 원칙적으로 1색 1형의 스크린판을 작성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도 복수의 색으로 그림이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미리 그림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스크린판을 준비할 필요가 있다. 스크린 날염에서는, 다색으로 하거나 소정의 층의 두께를 형성하거나 하기 위해, 1개의 층을 형성하는 데 복수회 날염을 반복하는 경우가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주지이다. 또한, 통상 각 날염 사이에 건조 공정(자연 건조, 열처리, 열풍 처리를 포함함)이 포함되는 것도 당업자에게 있어서 주지이다.
도1 내지 도4를 기초로 하여 손톱 또는 붙이는 손톱에 접착하기 위한 입체감을 구비한 장식체가 부착된 시트에 대해 설명한다. 도시하지 않은 프린트대 상에, 이형 PET 필름 혹은 이형지 등의 이형 시트(1)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한다. 이형 시트(1)의 표면에는 이형제가 도포되어 있다. 이형제로서는, 실리콘 및 불소가 예시된다. 스크린판을 이용하여 이형 시트 상에 점착제를 날염하여 점착층(2)을 형성한다. 신체 접착용 장식체에 있어서는, 점착제는 바람직하게는 의료용 테이프 등에 이용되는 의료용 점착제, 혹은 저피부 자극성 점착제이다. 이러한 점착제로서는 아크릴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가 예시된다. 또한 이러한 점착제는, 일반적으로 자연 건조형 점착제이다. 점착층(2)은 장식체의 전체 형상보다도 작은 면적을 갖고 있고, 그러한 소면적의 점착층(2)에 대응하는 스크린판이 미리 준비된다.
2층째로서, 점착층(2)과 동일한 스크린판을 이용하여 우레탄 수지 혹은 우레탄 아크릴 혼합 수지를 점착층(2) 상에 날염하여 완충층(20)을 형성한다. 완충층을 설치하는 목적은, 본체를 형성하는 수지의 날염시에 본체층 형성용의 스크린판의 이면에 점착층이 부착되어 점착층이 이형면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1개의 바람직한 태양에서는, 완충층용의 날염제는 날염시에는 본체층을 형성하는 날염제보다도 점도가 낮은 것이다.
다음에, 장식체에 대응하는 스크린판을 이용하여, 완충층(20) 상에 우레탄 수지 혹은/및 아크릴 수지로 이루어지는 본체층(3)을 날염한다. 도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체층(3)의 면적은 점착층(2) 및 완충층(20)보다도 큰 면적을 갖고 있으며, 점착층(2)으로부터 비어져 나온 부위(30)를 갖고 있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날염시에는 비어져 나온 부위(30)는 시트(1)의 이형면 상에 부착되어 있다. 본체층(3)에는 발포제가 혼입되어 있다. 발포제를 혼입한 날염제를 날염한 부위에 있어서, 날염제가 혼입된 본체층을 얻을 수 있다. 발포제는, 1개의 바람직한 예에서는 열팽창성 마이크로 캡슐(마쯔모토 유시 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이지만, 본 발명에 이용되는 발포제는 이에는 한정되지 않고, 그 밖의 발포제로부터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체층(3) 상에는 스크린판을 이용하여, 예를 들어 내용제(특히, 매니큐어에 사용되는 아세톤 및 아세트산 부틸)제인 우레탄 수지를 날염하여 최상부층(4)을 형성한다. 최상부층(4)의 면적은 본체층(3)의 면적과 동일하거나 그보다도 작다. 최상부층(4)은 반드시 필수는 아니며, 본체층(3)을 형성하는 공정 후에 최상부층(4)을 형성하는 공정은 임의이지만, 최상부층(4)은 장식체의 중심을 압박하여 상품의 강도를 높이거나, 혹은 화심(꽃을 모방한 것인 경우) 등의 모양을 표현하는 의장적 효과를 갖는다. 최상부층은 또한, 본체층(3)을 보호하는 역할도 갖는다. 최상부층(4)은 장식체의 본체의 일부이기도 하므로, 최상부층(4)은 장식체의 본체를 구성하는 본체층의 최상위층이다.
계속해서, 장식체에 열처리를 실시한다. 열처리 공정에 의해, 점착층(2)으로부터 비어져 나와 있는 본체층(3)의 부위(30)가 이형면으로부터 박리되고, 뒤집혀 꽃잎과 같이 된다(도2 및 도4 참조). 열처리 공정은, 예를 들어 130 내지 150 ℃로 10 내지 180초 전후 행한다. 열처리 수단은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열프레스, 원척 히터, 손다리미에 의해 행해진다. 본체층(3)이 가열 처리에 의해 변형되는 것은, 본체층(3)에 발포제가 혼합되어 있기 때문이다. 본체층(3)에 있어서 점착제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부위(30)는, 열을 가함으로써 이형면으로부터 박리되어 오목형 등으로 변형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점착층(2), 완충층(20), 입체감을 갖는 본체층(3), 최상부층(4)으로 구성된 장식체를 갖는 시트(1)가 형성된다. 장식체를 이형 시트(1)로부터 박리하여, 붙이는 손톱이나 사람의 손톱에 붙여 패션으로서 즐길 수 있다.
도1 및 도2에서는 1층의 본체층(3)을 도시하였지만, 본체층(3)은 복수층으로 구성해도 좋다. 특히, 모양이 다색을 갖는 경우에는 모양의 색수 등에 따라서 다색 인쇄함으로써 복수층의 본체층(3)이 형성된다.
도6에는 열처리 후의 다색 다층 구조의 본체층을 갖는 장식체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서로 독립된 3층의 본체층(3)이 각각 뒤집힌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본체층(3)을 구성하는 층에는 발포제가 혼입되어 있어, 가열시에 상하에 위치하는 본체층끼리가 밀착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본체층(3)을 구성하는 각각의 층의 대향하는 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는, 이형 코팅(불소 및 실리콘 등)을 실시하는 것이 좋다. 혹은, 상하 인접한 층을 구성하는 수지의 종류를 서로 성질이 다른 수지로 구성해도 좋다.
점착층(2)으로부터 비어져 나와 있는 본체층(3)의 부위 변형(30)은, 하나의 바람직한 태양에서는 뒤집히지만, 본체층(3)의 비어져 나온 부위(30)의 변형 태양은 뒤집히는 데 한정되지 않는다. 본체층(3)의 비어져 나온 부위(30)의 변형의 태양은, 점착층(2)과 본체층(3)의 면적 비율, 점착층(2) 및 본체층(3)의 형상, 최상부층(4)의 크기, 본체층(3)의 두께, 열처리 조건 등의 조건에 의해 변형 가능하며, 뒤집힘 이외에도 본체층(3)이 평면 상태로부터 입체적으로 변형됨으로써 장식체에 입체감을 부여할 수 있다(도5 참조).
도7은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시트(1)의 이형면 상에 꽃을 본뜬 복수의 접착용 장식체가 점착층을 거쳐서 박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장식체는, 열처리 전에서는 평면형의 태양이며, 열처리를 행함으로써 본체층의 비어져 나온 부위가 시트(1)의 이형면으로부터 이탈되어 입체적으로 변형된다. 도7에 도시하는 장식체는 복수의 본체층을 적층함으로써 형성되고, 각층의 주연부를 서로 엇갈리도록 본체층을 날염함으로써 각층이 이형면 상에 직접 부착되는 비어져 나온 부위를 갖는다.
도8 및 도9는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체층(3)에는 1개 혹은 복수의 슬릿(S)이 형성되어 있다. 점착층(2)에는, 슬릿(S)에 대응하는 부위에 슬릿(S)보다도 큰 면적을 갖는 시트(1)의 이형면이 노출되도록 되어 있다.본체층(3)의 슬릿(S) 근방 부위의 부분이 비어져 나온 부위(30)로서 상기 노출된 이형면에 부착되어 있다. 도8에서는, 편의상 비어져 나온 부위(30)와 이형면과는 이격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비어져 나온 부위(30)는 이형면 상에 부착되어 있다. 열처리에 의해 비어져 나온 부위(30)가 변형될 때에는, 비어져 나온 부위는 팽창 및 신장하므로 평면으로부터 보아 슬릿(S)이 은폐되어, 각 비어져 나온 부위(30)가 꽃잎이 포개지도록 변형된다.
도10은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시트(1)의 이형면 상에는 입체감을 갖는 접착용 장식체(5)와 평면형의 접착용 장식체(6)가 각각 점착층을 거쳐서 박리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입체감을 갖는 접착용 장식체(5)는 나비 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날개 부분이 이형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융기하도록 변형되어 있다. 도11은, 도10에 도시한 입체감을 갖는 접착용 장식체(5) 및 평면형의 접착용 장식체 등을 붙이는 손톱에 부착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2는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시트(1)의 이형면 상에는 입체감을 갖는 접착용 장식체(5)와 평면형의 접착용 장식체(6)가 각각 점착층을 거쳐서 박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입체감을 갖는 접착용 장식체(5)는 백합의 꽃잎 모양을 나타내고 있다.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체감을 갖는 접착용 장식체(5)의 본체층(3) 상에는 또한 점착층(40)이 형성된다.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착용 장식체(5)는 점착층(40)을 거쳐서 손톱, 붙이는 손톱, 피부, 휴대 전화 등의 피착체(70)에 부착된다. 점착층(40)을 거쳐서 피착체에 부착된 접착용 장식체(5)의 점착층(2) 상에, 또한 평면형의 접착용 장식체(6)를 설치함으로써 백합꽃 모양을 모방한 장식체가 완성된다.
도15 내지 도19에 다층 구조의 본체층을 갖는 접착용 장식체의 제조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면에 있어서, 편의상 최상부층(4)과 시트(10), 본체층(3)과 시트(1) 사이가 이격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날염 후에는 최상부층(4)은 시트(10) 상에, 본체층(3)은 시트(1)의 이형면 상에 부착되어 있다.
도15에 있어서, 시트(10)의 이형면 상에 스크린 날염에 의해 장식체를 형성해 간다. 도15의 상부 도면은, 시트(10) 상에 내용제성의 최상부층(4), 본체층(3), 본체층(3)보다도 작은 면적의 접착층(40)을 형성함으로써 상측 본체층이 형성되어 있다. 도15의 중앙도는, 시트(10) 상에 소면적 및 대면적의 내용제성의 최상부층(4), 본체층(3), 본체층(3)보다도 작은 면적의 접착층(40)을 형성함으로써 상측 본체층이 형성되어 있다. 도15의 하부 도면은, 시트(10) 상에 소면적의 점착층, 내용제성의 최상부층(4), 본체층(3), 본체층(3)보다도 작은 면적의 접착층(40)을 형성함으로써 상측 본체층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층의 적어도 일부에는 발포제가 혼입되어 있다. 도15에 있어서, 최상층의 접착층(40)으로서는 점착층 혹은 핫멜트층이 예시된다.
도16에 있어서는, 스크린 날염에 의해 시트(1) 상에 점착층(2), 본체층(3), 최상부층(4), 접착층(40)을 차례로 형성함으로써 하측 본체층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층(3)의 적어도 일부에는 발포제가 혼입되어 있다. 최상층의 접착층(40)으로서는 점착층 혹은 핫멜트층이 예시된다.
도15 및 도16에 있어서의 상측 본체층 및 하측 본체층을 각각 건조시킨 후에, 접착층끼리를 접착시킴으로써 상측 본체층과 하측 본체층을 합체시켜 일체화한다. 상측 본체층 및 하측 본체층의 건조 공정은, 바람직한 태양에서는 자연 건조 혹은 본체층의 변형이 생기지 않을 정도의 저온 건조이다.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식체끼리를 일체화시킨 후에 시트(10)를 제거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시트(1) 상에는 복수층의 본체층을 구비한 장식체가 형성된다.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층의 본체층을 구비한 장식체에 열처리를 실시함으로써 각 본체층의 비어져 나온 부위를 변형시킬 수 있다.
도19는 도13 및 도14에 도시한 실시예를 다층 구조를 갖는 본체층에 적용한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5 내지 도19에서는 2층의 본체층을 도시하였지만, 동일한 공정을 반복함으로써 3층 이상의 다층 본체층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층에는 발포제가 혼입되어 있는 동시에, 본체층은 시트의 이형면 상에 직접 부착되는 비어져 나온 부위를 갖고 있으므로, 열처리에 의해 본체층의 비어져 나온 부위가 이형면으로부터 박리되어 입체적으로 변형된다. 한편 장식체는, 점착층을 거쳐서 시트 상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열처리 공정에 의해 본체층이 발포되어도 장식체가 시트로부터 박리되어 버리는 일이 없다. 또한 장식체는, 점착층을 거쳐서 이형면 상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장식체는 입체감을 갖는 장식체를 구비한 시트의 형태로 소비자에게 제공되어, 장식체를 이형면으로부터 박리하여 점착층을 거쳐서 손톱, 붙이는 손톱, 피부 등에 접착할 수 있다.

Claims (18)

  1. 시트의 이형면 상에 점착층을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점착층 상에 1층 혹은 복수층의 본체층을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본체층의 열처리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층은, 상기 이형면 상에 부착된 비어져 나온 부위를 갖고 있는 동시에 상기 본체층에는 발포제가 혼입되어 있고, 상기 열처리 공정에 있어서 상기 비어져 나온 부위가 상기 이형면으로부터 박리되어 입체적으로 변형됨으로써, 점착층과 입체감을 갖는 본체층을 포함하는 장식체가 상기 점착층을 거쳐서 이형면 상에 박리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접착용 장식체가 부착된 시트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용 장식체가 부착된 시트의 제조법.
  2. 시트의 이형면 상에 점착층을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점착층 상에 상기 점착층의 상면 전체를 덮도록 완충층을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완충층 상에 1층 혹은 복수층의 본체층을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본체층의 열처리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층은, 상기 이형면 상에 부착된 비어져 나온 부위를 갖고 있는 동시에 상기 본체층에는 발포제가 혼입되어 있고, 상기 열처리 공정에 있어서 상기 비어져 나온 부위가 상기 이형면으로부터 박리되어 입체적으로 변형됨으로써, 점착층과 입체감을 갖는 본체층을 포함하는 장식체가 상기 점착층을 거쳐서 이형면 상에 박리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접착용 장식체가 부착된 시트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용 장식체가 부착된 시트의 제조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1층의 본체층은 점착층보다도 큰 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용 장식체가 부착된 시트의 제조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어져 나온 부위는 자유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용 장식체가 부착된 시트의 제조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층에는 1개 혹은 복수의 슬릿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층의 슬릿 근방 부위가 상기 비어져 나온 부위로서 이형면 상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용 장식체가 부착된 시트의 제조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층은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어 있고, 본체층의 최상위층으로서 보호층을 설치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용 장식체가 부착된 시트의 제조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처리 공정의 전 혹은 후에 상기 본체층 상에 다른 하나의 점착층을 설치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용 장식체가 부착된 시트의 제조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층은 다층 구조로 열처리 전에는 적어도 하층 본체층의 비어져 나온 부위가 상기 이형면 상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용 장식체가 부착된 시트의 제조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층은 스크린 날염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용 장식체가 부착된 시트의 제조법.
  10. 제9항에 있어서, 본체층을 형성하기 위한 날염제는 수성의 신축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용 장식체가 부착된 시트의 제조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신축성 수지는 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실리콘 수지, 우레탄 아크릴, 혹은 이들의 임의의 혼합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용 장식체가 부착된 시트의 제조법.
  12. 이형면을 갖는 시트와 접착용 장식체로 이루어지는 접착용 장식체가 부착된 시트이며, 상기 장식체는 상기 이형면 상에 형성된 점착층과 상기 점착층 상에 형성된 1층 혹은 복수층의 본체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층은 상기 점착층으로부터 비어져 나온 부위를 갖고 있고, 상기 본체층에는 발포제가 혼입되어 있어 상기 본체층의 상기 점착층으로부터 비어져 나온 부위가 열처리에 의해 입체적으로 변형하고 있고, 상기 장식체는 상기 점착층을 거쳐서 상기 이형면 상에 박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용 장식체가 부착된 시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적어도 1층의 본체층은 점착층보다도 큰 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용 장식체가 부착된 시트.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과 상기 본체층 사이에는 상기 점착층의 상면 전체를 덮도록 완충층을 설치하고 있고, 상기 완충층 상에 상기 본체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용 장식체가 부착된 시트.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층은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최상위층은 보호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용 장식체가 부착된 시트.
  16.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층 상에 다른 하나의 점착층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용 장식체가 부착된 시트.
  17. 제12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층은 신축성 수지를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용 장식체가 부착된 시트.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수지는 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실리콘 수지, 우레탄 아크릴, 혹은 이들의 임의의 혼합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용 장식체가 부착된 시트.
KR1020040032046A 2003-05-08 2004-05-07 접착용 장식체가 부착된 시트의 제조법 및 접착용장식체가 부착된 시트 KR1010515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29806 2003-05-08
JP2003129806A JP3662569B2 (ja) 2003-05-08 2003-05-08 貼着用装飾体付きシートの製造法
KR1020030066104A KR101011895B1 (ko) 2003-05-08 2003-09-24 부착용 장식 부재가 달린 시트의 제조법 및 부착용 장식부재가 달린 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5694A true KR20040095694A (ko) 2004-11-15
KR101051514B1 KR101051514B1 (ko) 2011-07-22

Family

ID=3948509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6104A KR101011895B1 (ko) 2003-05-08 2003-09-24 부착용 장식 부재가 달린 시트의 제조법 및 부착용 장식부재가 달린 시트
KR1020040032046A KR101051514B1 (ko) 2003-05-08 2004-05-07 접착용 장식체가 부착된 시트의 제조법 및 접착용장식체가 부착된 시트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6104A KR101011895B1 (ko) 2003-05-08 2003-09-24 부착용 장식 부재가 달린 시트의 제조법 및 부착용 장식부재가 달린 시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50236100A1 (ko)
JP (1) JP3662569B2 (ko)
KR (2) KR101011895B1 (ko)
CN (1) CN157254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44575B2 (ja) * 2005-05-30 2008-02-06 株式会社ビー・エヌ 装飾用立体構造シールの製造方法
KR100765334B1 (ko) * 2006-09-19 2007-10-09 장성용 인조네일 제조방법
IL183686A0 (en) * 2007-06-05 2007-09-20 Shay Azani Method and device for the preparation of a template to make a prototype for jewelry
CN102283491B (zh) * 2011-06-28 2013-03-13 廖静宜 一种凝胶指甲贴饰生产工艺
CN103796547A (zh) * 2011-09-22 2014-05-14 普罗溥思股份有限公司 指甲装饰用贴片及其制造方法
JP6275114B2 (ja) * 2012-04-09 2018-02-07 パーク、ファ、ヤング ネイルアップリケ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6782038B (zh) * 2016-12-20 2022-12-13 深圳市华星祥科技有限公司 金属树脂立体商标及金属树脂立体商标的成型方法
CN107253406A (zh) * 2017-07-08 2017-10-17 海宁市恒康塑料包装有限公司 一种凹凸热转印膜的生产工艺以及一种吊顶或墙板的制造方法
PL242063B1 (pl) 2019-01-10 2023-01-09 Magdalena Drozdowska Sztuczne paznokcie w postaci naklejki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19396A (en) * 1982-08-18 1983-12-06 Terutaka Sugimoto Three-dimensional perfumed seal
JPH0372691U (ko) * 1989-11-17 1991-07-23
JPH0732797A (ja) * 1993-07-19 1995-02-03 Sakura Color Prod Corp 転写紙
JP3954157B2 (ja) * 1997-05-30 2007-08-08 スリーエム カンパニー 装飾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9990012694U (ko) * 1997-09-12 1999-04-15 변영민 일회용 문신 스티커
JP2001100638A (ja) * 1999-09-30 2001-04-13 Koou Kogei Kk ぬり絵可能な粘着シール
US20040187417A1 (en) * 2003-03-24 2004-09-30 Thomas Paul J. Changeable display system for the exterior of a house and ornaments for exterior window shutt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1895B1 (ko) 2011-02-01
JP3662569B2 (ja) 2005-06-22
KR101051514B1 (ko) 2011-07-22
CN1572542A (zh) 2005-02-02
KR20050029862A (ko) 2005-03-29
JP2004329578A (ja) 2004-11-25
US20050236100A1 (en) 2005-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1514B1 (ko) 접착용 장식체가 부착된 시트의 제조법 및 접착용장식체가 부착된 시트
JP3756916B2 (ja) 貼着用装飾体付きシートの製造法および貼着用装飾体付きシート
JP2014050966A (ja) 装飾用シール及び装飾用シールの製造方法
JP4423742B2 (ja) 粘着剤付き化粧シート
JPS62104792A (ja) 層間剥離型転写材
JPH06125719A (ja) 食用箔及びその使用法
KR20220037584A (ko) 미세한 돌출 엠보싱이 표면에 생성된 액자용 금장그림
JP2021121494A (ja) 装飾用シールの製造方法及び装飾用シール
KR100528302B1 (ko) 장식용 보석 스티커 및 그의 제조방법
JP3197611U (ja) 装飾用シール
JP3665303B2 (ja) 貼着用装飾体付きシートの製造法
TW201945206A (zh) 立體層面貼紙之製造方法
JPH11305665A (ja) ステッカー
JP7041785B1 (ja) 画像箔転写シート、画像箔転写シートの製造方法、画像箔の転写方法
JP2005212168A (ja) 人体用装飾シート
JP4044575B2 (ja) 装飾用立体構造シールの製造方法
CN218400014U (zh) 一种用于将装饰物施加至人体皮肤的套件
KR200176515Y1 (ko) 치장용 스티커 시트
JP2004148808A (ja) 貼着用装飾体付きシートの製造法および貼着用装飾体付きシート
JP3231014U (ja) ネイルシール
KR100324346B1 (ko) 치장용 스티커 시트
JP2004330747A (ja) 装飾品
JP3054587U (ja) ステンドグラス風装飾セット
JPH1156450A (ja) 爪の化粧用転写シート、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使用した爪の化粧方法
JP3144121U (ja) 装飾用シ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