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2332A - 폴링에 의한 고분자전해질연료전지용 고분자막의이온전도도 향상 - Google Patents

폴링에 의한 고분자전해질연료전지용 고분자막의이온전도도 향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2332A
KR20040092332A KR1020030026879A KR20030026879A KR20040092332A KR 20040092332 A KR20040092332 A KR 20040092332A KR 1020030026879 A KR1020030026879 A KR 1020030026879A KR 20030026879 A KR20030026879 A KR 20030026879A KR 20040092332 A KR20040092332 A KR 200400923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rane
ion conductivity
polymer membrane
conductivity
pemf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6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권필
조규진
김태희
Original Assignee
박권필
조규진
김태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권필, 조규진, 김태희 filed Critical 박권필
Priority to KR1020030026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92332A/ko
Publication of KR20040092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233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47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at the junction of two walls
    • B65D83/0852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at the junction of two walls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 B65D83/0882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at the junction of two walls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and for cutting interconnec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52Devices for discharging successive articles or portions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54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 B65D5/5405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for opening 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blank in tubular form
    • B65D5/542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for opening 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blank in tubular form the lines of weakness being provided in the container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분자전해질연료전지(PEMFC)의 전해질 막으로 사용되는 고체고분자막의 이온전도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막을 구성하고 있는 성분의 배향을 제어하여 고분자막의 이온전도도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즉 이온이 전달되는 길을 직선화시킨 배향을 갖게 해 이온이 빨리 전달되게 하는 방법으로 외부에서 고분자막에 강한 전기장을 가하면 고분자막 내부의 전기모멘트(electric moment)에 작용해 분자배향이 전기장방향으로 직선화되어 이온전도도가 증가하는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폴링에 의한 고분자전해질연료전지용 고분자막의 이온전도도 향상 {Enhancement of Ion Conductivity of Polymer Membrane used for PEMFC by Electronic Poling Method}
이온전도성 고분자막은 고체이지만 높은 전도성을 갖고 있어 최근에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 2차전지, 고용량capacitor 등의 용도로 많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고체전해질이기 때문에 액상 전해질의 전도도에 미치지 못해 고분자막의 이온전도성 향상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고체와 액체의 중간이라고 할 수 있는 겔 상태의 전해질을 만들어 고체와 액체의 장점을 동시에 갖게 하는 방법도 연구·개발되었는데, 겔 상의 전해질이 양쪽 전극이 접촉하지 않게 하는 역할(separator)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고 누수문제가 없으며 보다 향상된 전하운반체의 이동도(mobility)로 인해 이온전도도가 고체상보다 증가될 수 있다. 겔상에서 고체상보다 이온전도도가 높아지긴 하였지만 아직도 부족하여 고분자막의 이온전도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막 성분 자체를 변화시키거나 새로운 성분을 첨가하는 방법이 있고 또 다른 방법으로 막을 구성하고 있는 성분의 배향을 제어함으로서 전도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즉 이온이 전달되는 길을 직선화시킨 배향을 갖게 함으로서 이온이 빨리 전달되게 하는 것이다. 배향 제어방법에 의한 전도도 향상은 본 연구진에 의해 Poly(styrene-block-4-vinylpyridine)을 미세상 분리하여 3차원 배향된 막으로 확인한 바 있다. 이 때는 막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배향을 직선화 시킨 것이고 본 발명은 이미 제조된 막의 배향을 바꾸는 것이다. 외부에서 고분자막에 강한 전기장을 가하면 고분자막내부의 전기모멘트에 작용해 분자배향이 변할 수 있는 원리를 이용한 방법이다. 이와 관련한 연구들은 주로 poling으로 분자배향 변화를 일으켜 광전도도(photo conductivity) 변화가 있음을 보였으나, 본 발명처럼 고분자막에 전기장을 가해 이온전도도를 증가시킨 연구결과 보고는 아직 없다.
고체 고분자막의 이온전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막을 구성하고 있는 성분의 배향을 폴링방법으로 변화시켜 이온전도성을 증가시키는 것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정의 고분자 막 제조와 폴링방법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막을 구성하는 고분자물질을 균일하게 혼합한다. 이 고분자 물질들은 전기모멘트가 강하고 상호작용력과 수소결합 등에 의해 혼화성이 좋은 고분자들이다. 여기에 전달시키고자하는 이온 공여체(donor)를 첨가하여 이온 전도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이 혼합물을 가열하거나 적당한 용매를 사용해 균일한 sol이나 용액상태가 되게 한다. 용액이 너무 묽을 경우에는 일정온도에서 용매를 증발시킨다. 캐스팅, 프레싱 등의 방법에 의해 일정 두께의 얇은 막으로 성형하고 건조하여 겔 형태의 막을 만든다. 직류가 공급되는 두 전극 중 한쪽 극 위에 고분자막을 고정하고 다른 쪽 극은 일정 간격으로 떼어놓은 상태에서 전기장(5∼20 kV/cm)을 30∼90분간 가해 막을 poling한다. 이 때 막의 유연성을 위해 상온보다 높은 일정 온도에서 폴링을 해 막 성분의 배열 변화 효과를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PVDF/PMMA 막의 제조 및 Poling
Glove box 내에서 Propylene Carbonate와 PVDF(poly(vinylidine fluoride))를 80℃로 가열하면서 혼합하여 용해한 후 여기에 Ethylene Carbonate(EC)와 salicylic acid(SA)를 넣으면서 교반하고, 마지막으로 PMMA(poly (methylmethaacrylate))와 MF(methylformamide)를 넣고 잘 교반해 균일한 상태가 되게 한다. 각 시약의 함량은 PVDF, PMMA, PC, SA, MF를 각각 중량 %로 20, 25, 40, 10, 5%로 하여 막을 제조하였다. Vacuum Oven 에서 PC 등 solvent를 증발시킨 후 막을 일정 두께로 pressing하여 제조한다. 고분자막을 High Voltage Power Supplier(Stanford PS 350, 5000V-25W)의 한쪽 극에 접착하고 다른 쪽 극은 고분자막과 분리된 상태에서 90분간 상온에서10kV/cm을 가하였다. 막의 이온 전도도는 스텐레스 스틸 두 전극 사이에 고분자막을 넣고 인피던스분석 방법(EG&G 263A Potentiostat + Lock-in Amplifier)에 의해 측정하였다. 폴링 전후의 막의 이온전도도를 측정한 결과 폴링에 의해 약 10배 정도의 이온전도도 향상을 보였다.
이온 전도성 고분자막은 여러 장점 때문에 리튬폴리머전지,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 supercapacitor 등의 여러 용도로 연구개발 되고 있다.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는 이온전도성 고분자 막의 전도도를 향상시키는데 본 발명의 폴링방법을 적용시킬 수 있다.

Claims (1)

  1.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용 고분자전해질막의 이온전도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내부에 전기모멘트가 있는 막에 외부에서 강한 전기장을 가해 막 내부의 배향을 변화시키는 폴링방법
KR1020030026879A 2003-04-23 2003-04-23 폴링에 의한 고분자전해질연료전지용 고분자막의이온전도도 향상 KR200400923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6879A KR20040092332A (ko) 2003-04-23 2003-04-23 폴링에 의한 고분자전해질연료전지용 고분자막의이온전도도 향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6879A KR20040092332A (ko) 2003-04-23 2003-04-23 폴링에 의한 고분자전해질연료전지용 고분자막의이온전도도 향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2332A true KR20040092332A (ko) 2004-11-03

Family

ID=37372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6879A KR20040092332A (ko) 2003-04-23 2003-04-23 폴링에 의한 고분자전해질연료전지용 고분자막의이온전도도 향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92332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26088A1 (en) * 2009-11-25 2013-01-31 Hans Gerard Leonard Coster Membrane and membrane separation system
KR20160087505A (ko) 2015-01-14 2016-07-22 광주과학기술원 이온 교환막의 연속 제조장치
KR20170001095A (ko) 2015-06-25 2017-01-04 광주과학기술원 이온 교환막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US11515573B2 (en) 2020-05-01 2022-11-29 Robert Bosch Gmbh Battery systems and methods for accelerating ion diffusion in polymer electrolyte materials
KR20230090577A (ko) 2021-12-15 2023-06-22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고분자 전해질막,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 어셈블리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26088A1 (en) * 2009-11-25 2013-01-31 Hans Gerard Leonard Coster Membrane and membrane separation system
EP2504082A4 (en) * 2009-11-25 2016-11-09 Univ Sydney MEMBRANE AND MEMBRANE SEPARATION SYSTEM
US9901881B2 (en) 2009-11-25 2018-02-27 Cms Innovations Pty Ltd Membrane and membrane separation system
KR20160087505A (ko) 2015-01-14 2016-07-22 광주과학기술원 이온 교환막의 연속 제조장치
KR20170001095A (ko) 2015-06-25 2017-01-04 광주과학기술원 이온 교환막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US10363688B2 (en) 2015-06-25 2019-07-30 Gwangju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Device for fabricating ion exchange membran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ion exchange membrane
US11515573B2 (en) 2020-05-01 2022-11-29 Robert Bosch Gmbh Battery systems and methods for accelerating ion diffusion in polymer electrolyte materials
KR20230090577A (ko) 2021-12-15 2023-06-22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고분자 전해질막,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Xu et al. Gel polymer electrolyte based on PVDF-HFP matrix composited with rGO-PEG-NH2 for high-performance lithium ion battery
Bocharova et al. Perspectives for polymer electrolytes: a view from fundamentals of ionic conductivity
Yue et al. Sulfonated bacterial cellulose/polyaniline composite membrane for use as gel polymer electrolyte
Park et al. New battery strategies with a polymer/Al2O3 separator
Zhu et al. Advanced nanoclay-based nanocomposite solid polymer electrolyte for lithium iron phosphate batteries
Wang et al. A single-ion gel polymer electrolyte based on polymeric lithium tartaric acid borate and its superior battery performance
CN109786820B (zh) 一种含硼的塑晶聚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8598560A (zh) 复合固体电解质及其制备方法和应用
Li et al. Suppressing shuttle effect using Janus cation exchange membrane for high-performance lithium–sulfur battery separator
CN104577005A (zh) 一种陶瓷复合隔膜及其制备方法
Kwon et al. Highly conductive solid-state hybrid electrolytes operating at subzero temperatures
CN107565159A (zh) 一种固态复合电解质及其制备方法以及正极组件和负极组件与非水电解质二次电池
CN111073184B (zh) 一种用于二次电池的凝胶电解质薄膜、其制备及应用
CN108075088A (zh) 含磺化石墨烯锂盐的锂电池隔膜、其制备方法及应用
Chaudoy et al. Cross-linked polymer electrolytes for Li-based batteries: from solid to gel electrolytes
CN109244537A (zh) 复合固态电解质、其制备方法及其应用
Wang et al. Electrochemical performances of a new solid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based on hyperbranched star polymer and ionic liquid for lithium-ion batteries
Kim et al. Poly-vinylidene-fluoride/p-benzoquinone gel polymer electrolyte with good performance by redox mediator effect for Li-air battery
CN108538633B (zh) 一种新型超级电容器用高电导率聚合离子液体电解质
Abraham et al. PEO‐Like Polymer Electrolytes with High Room Temperature Conductivity
Hu et al. Room-temperature all-solid-state sodium battery based on bulk interfacial superionic conductor
CN110467703B (zh) 一种基于原位聚合基体制备固态聚合物电解质薄膜的方法
CN103137932A (zh) 具有对电解液良好润湿性能的微孔聚合物隔膜及其制备方法
Kang et al. Co-blending based tribasic PEO-PS-PMMA gel polymer electrolyte for quasi-solid-state lithium metal batteries
Li et al. A novel and shortcut method to prepare ionic liquid gel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for lithium-ion batt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