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2324A - 용마루 기와 - Google Patents

용마루 기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2324A
KR20040092324A KR1020030026616A KR20030026616A KR20040092324A KR 20040092324 A KR20040092324 A KR 20040092324A KR 1020030026616 A KR1020030026616 A KR 1020030026616A KR 20030026616 A KR20030026616 A KR 20030026616A KR 20040092324 A KR20040092324 A KR 200400923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ridge
roof
roof tile
ti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6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5798B1 (ko
Inventor
민건기
Original Assignee
민건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건기 filed Critical 민건기
Priority to KR1020030026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5798B1/ko
Publication of KR20040092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2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5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57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0Special roof-covering elements, e.g. ridge tiles, gutter tiles, gable tiles, ventilation t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6Devices for sealing the spaces or joints between roof-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0Special roof-covering elements, e.g. ridge tiles, gutter tiles, gable tiles, ventilation tiles
    • E04D2001/304Special roof-covering elements, e.g. ridge tiles, gutter tiles, gable tiles, ventilation tiles at roof intersections, e.g. valley tiles, ridge tiles
    • E04D2001/305Ridge or hip 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마루 기와에 관한 것으로서, 기와 위에 재치되는 대상의 토대부와, 상기 토대부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관부를 구비하여, 이를 섬유 강화 수지를 이용한 일체 성형에 의하여 형성시킴으로써, 기와가 중공 구조로서 일체로 가볍고 미려하게 성형되기 때문에, 가옥의 미관을 아름답게 장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취급이 간편하여 시공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작업중에 기와가 무너지는 일 등이 없으며, 시공 후, 지진이나 강풍 등에 강하고 방수성이 뛰어나며, 용마루 기와의 내측에 공기를 많이 보유할 수 있어 단열성을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용마루 기와{Roof Tile}
본 발명은 건물의 용마루에 시공되는 용마루 기와에 관한 것이다.
건물, 특히 가옥에 있어서, 지붕은 그 건물의 품격을 나타내는 얼굴이라 할수 있고, 특히 지붕의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는 용마루 기와는 그 지붕의 건축미를 가름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특히, 건물의 용마루 위에 시공되는 용마루 기와의 형태미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된다.
그런데 기와 지붕에서는 용마루 위에 용마루 기와를 여러 겹으로 겹쳐 길게 쌓아 올리게 되는데, 도 3 은 이와 같은 종래의 용마루 기와의 시공 상태를 나타낸 부분 종단면도로서,
종래의 용마루 기와는 각기 점토로 형성된 면기와(54)와 용마루 기와(55) 및 관기와(57)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용마루 기와의 시공은 우선, 흙막이판(51)의 상부에 아스팔트 루핑 등의 방수지를 접착하고, 그 위에 지붕기와(52)를 깐 뒤, 용마루 윗부분을 점토나 회반죽(53) 등으로 고정한다. 다음에 용마루 방향을 따라서 면기와(54)를 지붕기와(52)위에 재치한다. 그 후 면기와(54) 위에 여러 단의 용마루 기와(55)를 매 단마다 금속선(56) 등으로 이어 붙치면서 겹쳐 쌓아 올리고, 그 최상단에 관기와(57)를 얹고, 용마루 기와 전체를 금속선(58) 등으로 고정시킨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장식미를 갖춘 용마루 기와가 형성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용마루 기와는 여러 종류의 수많은 기와를 손으로 한장 한장 일일이 이어 나가면서 작업을 해야 하는 힘든 과정을 필요로 하고, 또한 기와 잇는 작업은 전통적으로 숙련된 기술을 필요로 하여 인재의 확보도 용이하지 않으며, 점토나 회반죽(53) 등을 사용하는 습식공법으로 인하여, 건조에 시간이 걸리고, 완공될 때까지 장시간을 필요로 하게 되며, 강풍이나 지진 등으로 용마루 기와의 일부가 어긋나게 되는 경우에는 용마루 기와를 모두 걷어낸 뒤, 다시 기와를 한장 한장 잇는 작업을 행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한편, 지진에 강한 건물이 되기 위해서는 무게 중심을 가능한 낮추기 위해서 지붕이 가능한 가벼운 편이 바람직하나, 종래의 용마루 기와는 점토로 형성되어 기와 한장 한장의 중량이 매우 무겁기 때문에, 지진 등에 의하여 지붕의 자중으로 가옥이 붕괴될 위험을 내포하게 된다.
이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여 용마루 기와를 구성하는 각각의 기와를 보다 경량화 하는 방안이 강구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기와를 단순히 경량화할 경우, 종래의 용마루 기와의 구성, 즉 여러 장의 기와를 적층시킨 구조로는 지진, 강풍 등으로 중합 부분에 어긋남이 생기기 쉽고, 한장만 어긋가면 계속해서 넓은 범위로 파급될 우려가 있으며, 이 때문에 기와가 낙하하거나, 파손되어 기와를 새로 이어야 하는 문제도 생길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용마루 기와의 구성에 있어서는 중합 부분에 어긋남이 생겨 방수성이 저하될 우려도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용마루 기와가 갖고 있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가옥의 건축미를 살리면서도 보다 가볍고, 시공성이 좋으며, 내진 및 방수성 등을 두루 갖춘 용마루 기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용마루 기와의 구성을 지붕기와 위에 재치되는 대상의 토대부와, 상기 토대부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관부를 구비하고, 이를 섬유 강화 수지를 이용한 일체 성형에 의하여 형성함으로써, 용마루 기와가 중공 구조로서 일체로 가볍고 미려하게 성형되기 때문에, 가옥의 미관을 아름답게 장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취급이 간편하여 시공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작업중에 기와가 무너지는 일 등이 없으며, 시공 후, 지진이나 강풍 등에 강하고 방수성이 뛰어나고, 용마루 기와의 내측에 공기를 많이 보유할 수 있어 단열성을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는 등의 특징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용마루 기와가 시공되는 상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종단면도,
도 2 는 도 1 의 X 방향에서 본 시공 상태도,
도 3 은 종래의 용마루 기와의 시공 상태를 나타낸 부분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용마루 기와 2 : 장식부
7a,7b : 단부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며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용마루 기와가 시공되는 상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종단면도로서,
용마루 기와(1)는 지붕기와 위에 재치되는 대상의 토대부와, 이 토대부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관부를 구비하고 있고, 섬유 강화 수지에 의하여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즉, 상기 용마루 기와(1)는 종래의 용마루 기와에 대신해서 지붕기와 상에 재치하기 위한 대상의 토대부와, 종래의 관기와에 상당하는 관부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취하고, 이들을 수지로 일체화하여 성형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용마루 기와(1)의 토대부의 외측면은 복수의 단이 진 형상을 하고 있고, 또한 용마루 기와(1)의 관부의 외측면에는 토대부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된 형태를 띄고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점토로 된 용마루 기와에서와 같이, 여러장의 기와를 한장 한장 무겁게 적층시키는 일이 없이, 본 발명의 용마루 기와(1)는 수지로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용마루 기와가 가벼워 취급이 간편하여 시공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작업중에 기와가 무너지는 일 등이 없으며, 시공 후에 있어서도 지진이나 강풍 등에 강하고 방수 및 단열성이 뛰어나며, 용마루 기와의 외관이 미려하게 성형되기 때문에 가옥의 미관을 아름답게 장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용마루 기와(1)는 그 형상을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임의 형상으로 변화하여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용마루 기와(1)는 내부에 공간부(A)가 형성된 중공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보다 가볍게 지붕을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에 공기를 많이 보유할 수 있게 되어 단열성이 뛰어나고, 용마루 기와(1) 내부와 외부가 연통하도록 시공하면, 통풍성이 보다 우수한 가옥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마루 기와(1)는 성형 재료로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에폭시 수지, 페놀수지 등의 열강화성 수지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가 사용되고, 바람직하게는 섬유 강화 플라스틱, 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 등의 섬유 강화 수지가 사용된다.
상기 섬유 강화 플라스틱(FRP;Fiber Reinforced Plastics)은 상기한 열경화성 수지를 유리 섬유 등에 함침시켜 성형한 것으로 기계적 강도를 현저하게 향상시킨 강화 플라스틱이다. 또한 상기 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FRTP;Fiber Reinforced Thermo Plastics)은 상기한 열가소성 수지에 유리 섬유를 함침시켜 성형한 것으로 기계적 강도를 현저하게 향상시킨 강화 플라스틱이다.
이러한 섬유 강화 수지는, 다른 수지에 비하여 내충격성이나 강성이 뛰어나고, 치수 안정성, 내열성이 양호하며, 비교적 가격이 저렴하고, 다양한 성형법이 가능하며, 착색이 자유로운 등의 많은 이점이 있는 재료이다.
이와 같은 섬유 강화 수지를 이용하여 용마루 기와(1)를 성형함으로써, 지진이나 강풍 등에 의한 충격에 강한 기와를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열강화성 수지로서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유리 섬유에 함침시켜 시트상 또는 괴상으로 성형한 성형 재료인 SMC(Sheet Molding Compound) 또는 BMC(Bulk Molding Compound)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수지를 이용함으로써, 기계적 강도 및 내후성이 우수하고, 저비용의 기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치수 정밀도가 좋고, 기와의 외측면에 섬세한 장식 문양 등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마루 기와(1)에는 상기 관부의 하부 외측면, 즉 용마루 기와(1)가 시공된 건물의 용마루 방향과 평행한 면에 장식면(2)이 설치되어 있다.
도 2 는 도 1 의 X 방향에서 본 시공 상태도로서, 상기 관부의 하부 외측면, 즉, 용마루 기와(1)가 시공되는 건물의 용마루 방향과 평행한 면에 장식면(2)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용마루 기와(1)의 관부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수개의 연결부(8)가 마련되어 그 단부(7a)에 인접하여 이어지는 다른 기와(1)의 일단에 형성된 단부(7b)가 연속적으로 감합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접속 부분으로 물이 진입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몇개의 용마루 기와가 연결된 형태를 취하고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용마루 기와를 건물에 시공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용마루 기와는 여러 모든 형태의 지붕에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지붕의 정점에 용마루가 수평으로 위치하고 있는 건물의 경우를 예시한다.
먼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룻대(49) 위에 놓인 서까래(50) 위에 흙막이판(51)이 재치되고, 다시 그 상부에 지붕기와(52)가 이어지며, 용마루의 정점에 위치한 마룻대(49) 위에 용마루 기와(1)의 용마루 방향의 중심축이 오도록 용마루 기와(1)를 지붕기와(52) 위에 설치하여 고정하고, 이 용마루 기와(1)는 인접된 용마루 기와(1)와 단부(7a)와 단부(7b)가 서로 연속적으로 감합되어 이어진다.
이에 따라 종래와 같이, 여러 종류의 무거운 기와를 한장 한장 일일이 시간을 들이지 않고도 한번에 여러 장의 기와를 동시에 시공할 수 있게 되어 작업을 보다 신속하게 간편히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용마루 기와(1)에는 못구멍(4a)이 형성되고, 또한 지붕기와(52)의 상부의 소정 위치에 받침목(5)이 구비되어 있다. 시공시, 상기 지붕기와(52) 상의 용마루 기와(1)의 못구멍(4a)에 상당하는 위치에 받침목(5)을 놓고, 용마루 기와(1)를 설치한 뒤, 못구멍(4a)에 스크루못 등의 못을 박아 용마루 기와(1)를 고정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용마루 기와(1)가 못으로 고정되어 용마루 방향으로 정연하게 배치될 뿐만 아니라, 점토를 필요로 하지 않아 용마루 기와(1)의 시공을 보다 가볍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시공 후에도 지진이나 강풍 등에 기와가 어긋나거나 날아갈 염려 등이 전혀 없게 된다.
상기한 못구멍(4a)에는 못 대신에 나사로 고정시켜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지붕기와(52)와 받침목(5) 사이에는 지붕기와(52)의 골 부분의 길이 방향의 일부분에 봉함재(3)가 충진되어 빗물이 거슬러 올라가 지붕기와(52) 내부로 진입되지 못하게 하는 제방의 역할을 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봉함재(3)로서, EPDM(Ethylene-Propylene-Diene Methy
lene Linkage)계 봉함재 등의 발포 봉함재 등이 사용된다. 상기 EPDM 은 대기후성, 내열성, 대노화성 등이 우수한 특징을 가지고 있고, 방수성, 기밀성에도 뛰어난 봉함재이다.
이와 같이 발포 봉함재를 사용함으로써, 시공 후, 장기간이 지나도 봉함재가 벗겨지는 일 없이 시공 당시의 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붕기와(52)와 용마루 기와(1)와의 사이에는 통기공이 형성되어 지붕기와(52)의 골 부분의 길이 방향의 일부분에 봉함재(3)를 충진시킬 경우, 봉함재(3)를 설치하는 위치를 용마루 기와(1)의 하단부가 지붕기와(52)에 접하는 위치보다 용마루 기와(1)의 내부 방향으로 비켜 놓음으로써, 화살부(Y)로 표시한 바와 같이 통기 가능한 구성으로 된다.
이렇게 지붕에서의 통기를 확보하고, 지붕 전체를 환기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환기하는 것 보다 습기를 방지하는 것이 용마루 기와를 포함한 지붕 전체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도 있다.
다른 형태로서, 용마루 기와(1)의 하단부 근방에 있어서, 용마루 기와(1)와지붕기와(52) 사이에 틈을 메우도록 충진재(3)를 외부에서 눈에 띄지 않는 위치에 충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붕기와(52)와 용마루 기와(1) 사이에 틈을 메우기 위해 충진재(3)를 충진시킬 경우에는, 충진재(3)에 수개의 통기공을 형성하고, 이 때 빗물이 거슬러 올라가 기와 내부로 침입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마룻대(49) 상의 서까래(50)의 중심 상부에는 금속제의 지지부(6)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그 위에 목재 등으로 된 받침목(5')이 재치되어 용마루 기와(1)의 꼭대기 부분에 형성된 못구멍(4b)을 통하여 스크류못 등의 못으로 고정시키게 된다.
이처럼, 마룻대(49)의 서까래(50) 상에 지지부(6)가 설치되어 그 위에 용마루 기와(1)가 설치 고정되기 때문에, 용마루 기와(1)를 일직선 상으로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다.
상기 못구멍(4b)에는 못 대신에 나사로 고정시켜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용마루 기와에 의하면, 용마루 기와가 중공 구조로서 일체로 가볍고 미려하게 성형되기 때문에, 가옥의 미관을 아름답게 장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취급이 간편하여 시공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작업중에 기와가 무너지는 일 등이 없으며, 시공 후, 지진이나 강풍 등에 강하고 방수성이 뛰어나며, 용마루 기와의 내측에 공기를 많이 보유할 수 있어 단열성이 우수한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건물의 용마루 위에 시공되는 용마루 기와에 있어서,
    지붕기와 상에 재치되는 대상의 토대부와, 이 토대부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관부를 구비하고, 이를 수지를 이용한 일체 성형에 의하여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마루 기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대부의 외측면은 복수의 단이 진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마루 기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는 섬유 강화 수지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마루 기와.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마루 기와는 상기 관부의 하부 외측면에 장식면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마루 기와.
KR1020030026616A 2003-04-26 2003-04-26 용마루 기와 KR100545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6616A KR100545798B1 (ko) 2003-04-26 2003-04-26 용마루 기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6616A KR100545798B1 (ko) 2003-04-26 2003-04-26 용마루 기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2324A true KR20040092324A (ko) 2004-11-03
KR100545798B1 KR100545798B1 (ko) 2006-01-24

Family

ID=37372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6616A KR100545798B1 (ko) 2003-04-26 2003-04-26 용마루 기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579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5798B1 (ko) 2006-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31200A (en) Roof system
US6247280B1 (en) Insulated wall construction and forms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4226070A (en) Synthetic Spanish or Mission tile roofing system
US20070269760A1 (en) Heat Insulation Panel Serving Also as Mold Form, and Outer Heat Insulation Structure
US2017001257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olar panel module mounting inserts
KR101147011B1 (ko) 건물 장식용 알루미늄 몰딩
KR100545798B1 (ko) 용마루 기와
KR200431420Y1 (ko) 다기능성 패널을 이용한 지하 이중벽의 조립식 설치구조
JP3670619B2 (ja) 建築物の屋上緑化工法
KR102165178B1 (ko) 복합구조재료와 스틸앵글을 이용한 건축용 방수패널
KR20110020658A (ko) 한옥용 단골막이 착고 및 이를 이용한 단골막이 시공방법
JPH0781344B2 (ja) 建築用ブロック並びに壁
KR102247640B1 (ko) 조적식 벽체의 붕괴 방지용 내진보강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조적식 벽체의 붕괴 방지용 마감구조체
JP3682018B2 (ja) 棟換気装置
JPH09119195A (ja) 屋根構造
JP3686346B2 (ja) 外張り断熱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JP2000199312A (ja) 換気棟瓦桟
JP2015121081A (ja) 断熱屋根構造
JP6523616B2 (ja) 断熱屋根構造
JP4180199B2 (ja) 新生瓦屋根の改修構造
KR102682077B1 (ko) 타일부착이 용이한 구조를 가지는 중앙배수형 욕실 바닥판
CN218374756U (zh) 金属古瓦构成的安装简便的屋面系统
JPH0229150Y2 (ko)
JPH0446013Y2 (ko)
JP3883545B2 (ja) 屋外床板接続具及びそれを用いた屋外床並びに屋外床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