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1667A - 디지털 칼라 비디오 시퀀스를 코딩하고 디코딩하기 위한방법 및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디지털 칼라 비디오 시퀀스를 코딩하고 디코딩하기 위한방법 및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1667A
KR20040091667A KR10-2004-7013282A KR20047013282A KR20040091667A KR 20040091667 A KR20040091667 A KR 20040091667A KR 20047013282 A KR20047013282 A KR 20047013282A KR 20040091667 A KR20040091667 A KR 20040091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space
coding
video sequence
signal
conve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3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그웨나엘 마르콴트
스테판 이 발렌테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40091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166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4Quantisation

Abstract

본 발명은 고유 칼라 영상 시퀀스에 대응하는 입력 디지털 비디오 시퀀스를 코딩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적어도 공간 도메인으로부터 비디오 시퀀스를 덜 대표되는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단계, 이렇게 얻어진 usghks된 신호를 줄어든 데이터 세트로 변환하기 위한 양자화 단계,상기 양자화된 데이터를 코딩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코딩 방법은 EH한 변화 단계 이전에, 입력 비디오 시퀀스가 YUV 칼라 공간에 있는지 결정하고 상기의 YUV 칼라 공간을 비선형 변환을 통해 덜 중복되는 칼라 공간으로 변환하기 위해 마련된 프리프로세싱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칼라 비디오 시퀀스를 코딩하고 디코딩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METHOD AND DEVICE FOR CODING AND DECODING A DIGITAL COLOR VIDEO SEQUENCE}
칼라-매칭 실험에 근거한 몇몇 연구는, 칼라 공간을 선형적으로 독립적이면, 세 가지 칼라로 완전히 파라미터화 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칼라 공간은, 어떤 테스트 광이든 세가지 칼라-매칭 함수의 선형적 결합(기본 삼광원의 스펙트럼 분산)으로 표현될 수 있는, 3 차원의 벡터 공간이다. 이러한 칼라-매칭 함수는 독특한 것이 아니다, 그러나, 선형 변환을 사용해 기저를 바꾸는 방법으로 칼라-매칭 함수의 하나의 세트에서 다른 하나로 바꾸는 것이 가능하다.
데이터 압축 시스템은 잘 알려져 있다: 데이터의 크기를 전송이나 저장 동작에 일반적으로 더욱 적합한 압축 포맷으로 줄이기 위해, 이것은 고유의 데이터 스트림(stream)에서 동작하고 데이터의 중복을 이용한다. 이러한 데이터를 위해, 적색-녹색-청색(RGB) 칼라 공간이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이 칼라 공간은 매우 중복되어 있다. 칼라 공간(RGB)은 이른바 대비 색 공간이라 불리는 것, 즉, 백색/흑색(또는 WB), 적색/녹색(또는 RG), 그리고 청색/황색(또는 BY)으로 변환될 수 있고, 이것은 일반적으로, (선형 변환에 대응하는)다음의 행렬을 이용한다:
(어떤 색조의 쌍은 단일 색상에 동시에 존재할 수 있고 그 외 다른 것은 그렇지 못하다는, 대비 색 이론은 정보를 역상관(decorrelating)하는 기술의 근거가 되고, 여기서, 상기 기술은 스펙트럼의 중복이 아이 콘(eye cone)의 민감도 곡선 사이에 존재한다는 사실을 고려한다)
요소 사이에 마스킹 현상(masking phenomenon)이 고려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상기 정보의 디코리레이션(decorrelation)은 색 인지의 모델을 실로 강력하게 간략화한다. 전통적인 비디오 접근의 경우, 비디오는 다음의 세 개의 각각의 채널을 따라 바람직하게 인코딩된다: 즉, 휘도(Y), 색차(요소 U), 색차(요소 V)이다. 디지털 코딩 시스템에 있어서, 이러한 (YUV) 공간이나 (Y Cr Cb)공간이 사용된다.(U와 V값은 -128에서 127사이라는 것, Cr과 Cb는 0에서 255사이라는 것, 그리고 이러한 요소들이 그러므로 U=Cr-128 및 V=Cb-128의 관계식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그러한 표현 계획에 의해, 비율/왜곡 비를 크게 향상시키기 어려워 보인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비디오 압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 제 1 칼라 공간에서 정의된 칼라 공간 요소에 의해 표현되는 고유 칼라 영상 시퀀스에 대응하는 입력 디지털 비디오 시퀀스의 코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1)공간 도메인으로부터 얻은 입력 비디오 시퀀스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칼라 공간 요소를 덜 대표하는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 단계;
(2)그렇게 얻어진 변환된 신호를 줄어든 데이터 세트로 변환하기 위한, 양자화 단계;
(3)얻어진 양자화 된 데이터를 코딩하기 위한, 인코딩 단계.
본 발명은 또한 연관된 디코딩 방법에 관한 것이며, 대응하는 인코더 및 디코더에 관한 것이고, 상기 코딩 또는 디코딩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제 다음과 같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더 상세한 방법으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코딩 디바이스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코딩 디바이스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Y, U, V)와 (Y, Cr, Cb)의 표현식으로 얻어지는 높은 코딩 효율을 달성할 수 있는, 디지털 칼라 비디오 시퀀스의 압축을 위한 인코딩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설명의 도입부에 설명된 것과 같은 코딩 방법에 관한 것이고, 또한 다음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4) 변환 단계이전에, 입력 비디오 시퀀스의 상기의 제 1 칼라 공간이 YUV 칼라 공간인지 결정하고 상기 YUV 칼라 공간을 비선형 변환의 방법을 이용해 덜 중복되는 칼라 공간으로 변화하기위한 전처리 단계.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대응하는 코딩 디바이스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 1 칼라 공간에서 정의된 칼라 공간 요소에 의해 표현된 고유의 칼라 영상 시퀀스에 대응하는 입력 디지털 비디오 시퀀스를 코딩하기 위해 제공된 디지털 비디오 코딩 디바이스를 수행하기위해 구현된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가진 컴퓨터 사용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고, 여기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 수단은 다음의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에게 입력 칼라 비디오 시퀀스의 상기 제 1 칼라 공간이 YUV 칼라 공간인지 감지하게 하고 상기 YUV 칼라 공간을 덜 중복된 칼라 공간으로 변환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상기 컴퓨터에게 원래 공간 대표 도메인으로부터의 상기 변환된 시퀀스를 새로운 대표 도메인으로 변환하게 하는 프로그램 코드;
-상기 컴퓨터에게 상기 변환된 시퀀스의 양자화를 수행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상기 컴퓨터에게 그렇게 얻어진 양자화된 데이터를 인코드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코딩 방법을 사용해 코딩된 신호를 디코드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으로, 본 발명은 제 1 칼라 공간에 정의된 칼라 공간 요소로 대표되는 원래 칼라 영상 시퀀스에 대응하는 입력 디지탈 비디오 시퀀스를 코딩하는 방법으로써 코딩된 신호를 디코딩하는 방법을 기술하고, 상기 코딩 방법은 적어도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1)공간 도메인으로부터의 상기 입력 비디오 시퀀스에 대응하는 제 1 칼라공간 요소를 덜 대표되는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 단계;
(2)이렇게 얻어진 변환된 신호를 줄어든 데이터 세트로 바꾸는 양자화 단계;
(3)이렇게 얻어진 양자화된 데이터를 코딩하기 위한 인코딩 단계;
(4)상기 변환 단계에 앞서, 입력 비디오 시퀀스의 상기 제 1 칼라 공간이 YUV 칼라 공간인지 결정하고 상기 YUV 칼라 공간을 비선형 변환 방법을 사용해 덜 중복적인 칼라 공간으로 변환하기 위한 전처리 단계, 여기서, 상기 디코딩 방법은 적어도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1)상기 코딩된 신호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딩 단계;
(2)이렇게 얻어진 디코딩된 신호를 비양자화된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역 양자화 단계;
(3)상기 비양자화 신호를 공간 도메인의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역 변환 단계;
여기서, 상기 디코딩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또한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4)대응하는 역 비선형 변환을 이용해 공간 도메인의 상기 신호로부터 원래 칼라 영상을 재구성하기 위한, 후처리 단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대응하는 디코딩 디바이스를 제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 1 칼라 공간에 정의된 칼라 공간 요소에 의해 표현된 고유 칼라 영상 시퀀스에 대응하는 입력 디지털 비디오 시퀀스를 코딩하는 방법으로 코딩된 신호를 디코딩하도록 제공된 디지탈 비디오 디코딩 디바이스를 실현하기 위해 실현된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가진 컴퓨터 사용가능 매체를 포함한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코딩 방법은 적어도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1)공간 도메인으로부터의 상기 입력 비디오 시쿼스에 대응하는 제 1 칼라 공간 요소를 덜 대표하는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 단계;
(2)이렇게 얻어진 변환된 신호를 줄여진 데이터 세트로 변환하기 위한 양자화 단계;
(3)이렇게 얻어진 양자화된 데이터를 코딩하기 위한, 인코딩 단계;
(4)상기 변환 단계에 앞서, 입력 비디오 시퀀스의 상기 제 1 칼라 공간이 YUV 칼라 공간인지 판단하고 상기 YUV 칼라 공간을 비선형 변환을 이용해 덜 중복되는 칼라 공간으로 변환하기 위한, 전처리 단계;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 수단은 다음의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가 코딩된 신호를 디코드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 코드;
-상기 컴퓨터가 이렇게 얻어진 디코딩된 신호의 역 양자화를 수행할 수 있게하는 프로그램 코드;
-상기 컴퓨터가 이렇게 얻어진 비양자화된 신호를 공간 도메인의 신호로 변환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 코드;
-상기 컴퓨터가 대응하는 역 비선형 변환을 이용해 공간 도메인에서 변환된 상기 신호로부터 원래 칼라 영상을 재구성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 코드.
본 발명에 따르면, 인코딩 동작 이전에, 새로운 공간으로 비선형 변환을 이용해 비디오 시퀀스의 각각의 원래 프레임이 전처리된다. 그러므로, 인코딩 동작이 이제 이 새로운 대표 공간에서 수행된다. 여기서, 디코딩 측에서의 역 변환은 원래 공간에서 프레임과 그럼으로써 원래의 트루 칼라 영상을 회복하게 한다. 그러한 전처리 동작을 위해, 몇가지 공간 대표식이 사용될 수 있다:
(a)첫번째로, 종래의 공간(Y, U, V)은 일종의 표준화를 이용해, U=R-Y와 V=B-Y를 사용해 새로운 공간(Y, Cr/Y, Cb/Y) 또는 (Y, U/Y, V/Y)로 변환될 수 있다.
(b)휘도값이 색차값보다 큰 경우, 그러한 공간 대표식은 능동적인 문제들을 일으킨다. 스케일 요소가 도입될 수 있고, 새로운 공간은 (Y, s.U/Y, s.V/Y)가 된다.
(c)또 다른 해결책은 색조(H), 채도(S) 그리고 휘도(Y, 혹은 L)을 참조하는 것이다. 이러한 값들은 빛과 색에 대한 사람의 인지에 직접 관련되어 있고, 다음과같은 변환으로 얻어진다:2
휘도(L)=Y
색조(H)=arctan((B-Y)/(R-Y))=arctan(V/U)
채도(S)= sqrt { {(R-Y)}^{2} + {(B-Y)}^{2} ````` } = sqrt { {U}^{2} + {V}^{2} }
R-Y=S.cos H
B-Y=S.sin H
(d)네 번째 해결책은 이전 것에 대한 대안책이다(칼라 정보에 대해 더 이상의 대칭성은 없고, 이 때문에 색조와 채도 파라미터가 다른 값을 가지게 된다):
색조*= arctan(Cr/Cb)
채도 = sqrt { {Cr}^{2} + {Cb}^{2} }
입력 디지털 칼라 비디오 시퀀스의 압축을 위한 코딩 디바이스의 실현의 일예가 설명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입력 비디오 신호에 포함된 데이터는 비디오 시퀀스가 대응하는 원래 영상의 대응하는 위치의 (휘도 신호(Y), 칼라 차이 신호(U와 V)와 같은)칼라 요소를 설명하는 픽셀 값을 포함하고 있다. 도 1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이 비디오 시퀀스(비디오 신호 VS)는 먼저 프리프로세서(11)로 제공되고, 이것의 결과는 인코더(12)에 의해 수신된다. 인코더(12)는 예를 들어 DCT(이산 코싸인 변환) 회로(121)를 포함하는데, 회로(121)는 8x8픽셀 블록을 주파수 도메인내의 계수로 선형적으로 변환시킨다. 또한 인코더(12)는, 양자화기(122)를 포함하고, 이 양자화기(122)는 이렇게 얻은 DCT 계수들을 수신하여 그 양자화를 수행한다. 인코더(12)에 포함된 변수 길이 코더(123)는 양자화된 계수들의 코딩 단계를 수행하며, 인코더(12)에 포함된 비율 제어기(124)는 코더(123)의 출력 신호를 저장하고 양자화기(122)로 양자화 설정을 변경하게 하는 피드백 신호를 보낸다(그러한 비율 제어기는 일반적으로 코딩된 비트 스트림을 수신하기 위한 버퍼와, 업데이트된 양자화 설정을 생성하기 위한 업데이트 회로를 포함한다).
프리프로세서(11)는 대표 공간(Y, U, V)를 새로운 공간으로 변환하기 위해 마련된다.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본 발명을 따른 이 비선형 변환은 다른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다음의 다섯가지를 들 수 있다.
(A)정규화된 공간으로 변환.
요소(Y, Cr, Cb)은 0에서 255사이의 범위이므로, 이 아이디어는 공간(Y, Cr, Cb)을 U=Cr-128와 V=Cb-128을 사용해 새로운 공간(Y, Cr/Y, Cb/Y) 혹은 (Y, U/Y, V/Y)으로 정규화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U와 V는 채널 역학에 중심을 맞추도록 선택되었다. 이러한 변환으로, 각 채도 요소에서의 빛 변화의 감소때문에(사실, 이제 모든 요소는 오직 광원과 고려되는 사물의 성질에 달려있다) 일정한 채도 영역이 더 얻어졌다.
(B)스케일 인자를 통한 변환
위에 언급된 변환으로, 결함이 도입되기 때문에, 휘도값이 채도값보다 클 때마다 표현 문제가 야기되었다. 그후 이전의 변환에 관해, 부수적인 스케일 팩터(s)를 도입하기 위해 제안되었다. 이런 조건이 주어졌을 때, Y값이 낮으면 영상은 매우 어두운 것으로 간주되고, 휘도값(Y)이 문턱값(Yt)보다 낮게 되자마자 아무런 색을 채도 값에 할당하지 않을 것(즉, Cr 및 Cb값은 128, 혹은 U와 V는 0)이 을 제안된다. 이것은 다음과 같이 정의되는 새로운 변환 T를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만약(Y<Yt)이면, {(Y, U, V)->(Y, 0, 0)}
아니면, {(Y, U, V)->(Y, Yt.U/Y, Yt.V/Y)}
그러한 변환 덕분에, 변환된 공간의 채도 채널은 색상이 입혀진 채로 남는 반면, 원래 것보다는 덜 조명된다. 이것은 디코딩 측에서, (역변환 후에) 원래의 것에 가까운 영상을 회복할 수 있게 해준다. 이런 변환없이, 상기 역 변환은 낡은 것(artifacts)을 도입할 수 있다: 휘도 값이 채도 값보다 커지자 마자, 변환 값은 0으로 되고, 결과적으로, 역 변환은 원래값에 가까운 값을 회복할 수가 없게 된다.
(Y, Cr, Cb)에서 (Y, Yt.U/Y, Yt.V/Y)로의 변환에는 Yt를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실험에 의하면, 이러한 문턱값은 전처리된 시퀀스의 성질에 따라 많은 것을 변하게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어떤 시퀀스에서는, 일종의 울림이 주어진 문턱값 아래에서 일어난다; 다른 시퀀스의 경우, 다크 리밋(dark limit)이 문턱값 위에서 보인다; 등등). 최적의 화질 렌더링(rendering)은 그러므로 각 종류의 시퀀스에 대해 휘도 문턱값의 적절한 설정을 요구한다.
(C)또 다른 종류의 공간으로 변환.
이전에 설명되었던 그러한 복잡성을 피하려면, 다른 표현 공간에서의 변환이 가능하다: 채널(H, S, L)에서 정보를 인코딩하는 것이 제안되었고, 이것은 각각 색조, 채도(혹은 선명도), 그리고 휘도(또는 강도나 밝기)를 의미하며, 사람의 시각인식 체계에 적용되는 칼라 공간이다. 이러한 값들(H, S, L)은 실제로 사람의 인식에 직접 연관되어 있다. L(혹은 I)단계는 간단히 Y단계(L의 값은 칼라가 얼마나 밝은지를 지시하고), 순순한 색을 나타내는 색조와 얼마나 적은/많은 회색이 섞였는지를 나타내는 채도는 색 차이 값 R-Y(=U)와 B-Y(=V)로부터 유도된다:
휘도 L=Y
색조 H = arctan((B-Y)/(R-Y))=arctan(V/U)
채도(S)= sqrt { {(R-Y)}^{2} + {(B-Y)}^{2} ````` } = sqrt { {U}^{2} + {V}^{2} }
디코딩 측에서의 역 변환은:
R-Y=S.cos H
B-Y=S.sin H.
(D)이전HSL에 대한 대안적인 해결책은:
색조*= arctan(Cr/Cb)
채도*= sqrt { {Cr}^{2} + {Cb}^{2} }
(더군다나, 실험에 의하면 이러한 변환과 역 변환은 유사-무손실 과정으로 고려된다).
(E)인지 변환
인지 연구는 인간의 눈이 조그마한 휘도 변화(1에서 5사이의 그레이 레벨)를 구분하지 못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휘도 다이내믹(luminance dynamic)을 압축할 때, 더 적은 그레이 레벨(예를 들어, 7비트의 휘도 코딩과 등가인, 256 휘도 그레이 레벨 대신 128 휘도 그레이 레벨)을 쓰도록 제안되었다. 시험에 의하면, 영상에 이러한 위도 다이내믹 압축 변환/역 변환이 적용되면, 사람의 눈은 원래의 영상과 재구성된 것 사이에 아무런 변화를 감지하지 못한다.
디코딩 측에서, 상기의 역 변환을 이행하기 위해 제공된 디코딩 디바이스는, 도 2에서와 같이, 트루 칼라 영상(CI)을 회복할 수 있게 역 비선형 변환을 수행하는 포스트프로세서(22)의 뒤에 이어진 디코더(21)을 포함한다. 위에서 언급된 코딩 디바이스를 이용해 비트 스트림을 수신하는 상기의 디코더는 보통 변수 길이 디코더(211), 역 양자화 회로(212), 역 DCT 회로(213), 및 재구성 회로(214)를 포함한다.
인코딩 디바이스(11, 12) 및 디코딩 디바이스(21, 22) 디바이스는 여기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실현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는, 매체에 저장된 소프트웨어로 실현되어, 전형적으로 중앙 처리 장치, 메모리, 그리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입력/출력 디바이스와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용도의 혹은 특별히 설정된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중 한 가지가 몇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거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항목의 조합 혹은 두가지가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제외하지 않고,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혹은 펌웨어의 조합으로 실현될 수 있다. 상기 기술된 방법 및 디바이스는 여기서 기술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적응된 어떠한 형태의 컴퓨터 시스템 혹은 다른 장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이 컴퓨터 시스템은, 로드되어 수행될 때, 여기 기술된 방법들을 수행할 수 있도록 컴퓨터 시스템을 제어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전문 하드웨어를 포함하는 특정 목적의 컴퓨터가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심어질 수 있으며, 여기서 기술된 방법 및 기능을 실현시키는 모든 특징을 포함하고, 그리고-컴퓨터 시스템에 로드되었을 때-이러한 방법 및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현재 이런 문맥에서, 컴퓨터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프로그램, 프로그램 제품, 혹은 소프트웨어는 어떠한 언어, 코드 혹은 주석으로 된 명령문의 세트로 된 표현을 의미한다. 여기서 이 명령문의 세트는 정보 처리 능력을 가진 시스템이 특정 기능을 수행하게 하거나 다음의 하나 또는 모두를 직접적으로 수행하게 한다: (a)또 다른 언어, 코드 혹은 주석으로 변환; 그리고/또는 (b)다른 자료 형태로 재생산.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비디오 압축 등에 이용할 수 있다.

Claims (6)

  1. 제 1 칼라 공간에 정의된 칼라 공간 요소에 의해 대표되는 원래 칼라 영상 시퀀스에 대응하는 입력 디지털 비디오 시퀀스를 코딩하는 방법에 있어서,
    (1)공간 도메인으로부터의 상기 입력 비디오 시퀀스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칼라 공간 요소를 덜 대표하는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 단계;
    (2)이렇게 얻어진 변환된 신호를 줄어든 데이터 세트로 변환하기 위한, 양자호 단계;
    (3)이렇게 얻어진 양자화된 데이터를 코딩하기 위한, 인코딩 단계를 포함하는 입력 디지털 비디오 시퀀스를 코딩하는 방법,
    여기서 상기 코딩 방법은
    (4)상기 변환 단계 이전에, 입력 비디오 시퀀스의 상기 제 1 칼라 공간이 YUV 칼라 공간인지 결정하고 그 후 상기의 YUV 칼라 공간을 비선형 변환 방법을 사용해 덜 중복적인 칼라 공간(less redundant color space)으로 변환하기 위한 전처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으로 하는 입력 디지털 비디오 시퀀스를 코딩하는 방법.
  2. 제 1 칼라 공간에 정의된 칼라 공간 요소에 의해 대표되는 고유 칼라 영상 시퀀스에 대응하는 입력 디지털 비디오 시퀀스를 코딩하기 위한 디바이스에 있어서,
    (1)공간 도메인으로부터 상기 입력 비디오 시퀀스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칼라 공간 요소를 덜 대표되는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 수단;
    (2)이렇게 얻어진 변환된 신호를 줄어든 데이터 세트로 변환하기 위한 양자화 수단;
    (3)이렇게 얻어진 양자화된 데이터를 코딩하기 위한 인코딩 수단을 포함하는 입력 디지털 비디오 시퀀스를 코딩하기 위한 디바이스;
    여기서 상기 코딩 디바이스는
    (4)상기 변환 수단 이전에, 입력 비디오 시퀀스의 상기 제 1 칼라 공간이 YUV 칼라 공간인지 결정하고 상기 YUV 칼라 공간을 비선형 변환을 통해 덜 중복적인 칼라 공간으로 바꾸기 위한 전처리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디지털 비디오 시퀀스를 코딩하기 위한 디바이스.
  3. 제 1 칼라 공간에 정의된 칼라 공간 요소에 의해 대표되는 고유 칼라 영상 시퀀스에 대응하는 입력 디지털 비디오 시퀀스를 코딩하기 위해 마련된 디지털 비디오 코딩 디바이스를 수행하기 위해 실현된 컴퓨터 판독가능 코드 수단을 가진 컴퓨터 사용가능 매체를 포함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코드 수단은:
    -상기 컴퓨터가 입력 칼라 비디오 시퀀스의 상기 제 1 칼라 공간이 YUV 칼라 공간인지 감지하고 그 후 상기의 YUV 칼라 공간을 덜 중복된 칼라 공간으로 변환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상기 컴퓨터가 고유 공간 대표 도메인으로부터 상기 변환된 시퀀스를 새로운 대표 도메인으로 변환하게 하는 프로그램 코드;
    -상기 컴퓨터가 상기 변환된 시퀀스의 양자화를 수행하게 하는 프로그램 코드;
    -상기 컴퓨터가 이렇게 얻어진 양자화된 데이터를 인코딩하게 하는 프로그램 코드인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시스템.
  4. 제 1 칼라 공간에 정의된 칼라 공간 요소에 의해 대표되는 고유 칼라 영상 시퀀스에 대응하는 입력 디지털 비디오 시퀀스를 코딩하는 방법에 의해 코딩된 신호를 디코딩 방법에 있어서,
    (1)공간 도메인으로부터 상기 입력 비디오 시퀀스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칼라 공간 요소를 덜 대표되는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 단계;
    (2)이렇게 얻어진 변환된 신호를 줄어든 데이터 세트로 변환하기 위한, 양자화 단계;
    (3)이렇게 얻어진 양자화된 데이터를 코딩하기 위한, 인코딩 단계;
    (4)변환 단계 이전에, 입력 비디오 시퀀스의 상기 제 1 칼라 공간이 YUV 칼라 공간인지 결정하고 상기의 YUV 칼라 공간을 비선형 변환의 방법에 의해 덜 중복적인 칼라 공간으로 변환하기 위한 전처리 단계를 적어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디코딩 방법은,
    (1)상기 코딩된 신호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딩 단계;
    (2)이렇게 얻어진 디코딩된 신호를 비양자화된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역 양자화 단계;
    (3)상기 비양자화된 신호를 공간 도메인의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역 변환 단계를 포함하는 디코딩 방법.
    여기서, 상기 디코딩 방법은
    (4)대응하는 역 비선형 변환의 방법을 통해 공간 도메인의 상기 신호로부터 원래 칼라 영상을 재구성하기 위한, 후처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딩 방법
  5. 제 1 칼라 공간에 정의된 칼라 공간 요소에 의해 대표되는 고유 칼라 영상 시퀀스에 대응하는 입력 디지털 비디오 시퀀스를 코딩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통해 코딩된 신호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바이스에 있어서,
    (1)공간 도메인으로부터 상기 입력 비디오 시퀀스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칼라 공간 요소를 덜 대표되는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 수단;
    (2)이렇게 얻어진 변환된 신호를 줄어든 데이터 세트로 변환하기 위한, 양자화 수단;
    (3)이렇게 얻어진 양자화된 데이터를 코딩하기 위한, 인코딩 수단;
    (4)변환 수단 이전에, 입력 비디오 시퀀스의 상기 제 1 칼라 공간이 YUV 칼라공간인지 결정하고 상기의 YUV 칼라 공간을 비선형 변환을 통해 덜 중복되는 칼라 공간으로 변환하기 위한 전처리 수단을 적어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디코딩 디바이스는
    (1) 상기 코딩된 신호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딩 수단;
    (2)이렇게 얻어진 디코딩된 신호를 비양자화된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역 양자화 수단;
    (3)상기 비양자화된 신호를 공간 도메인의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역 변환 수단을 적어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디코딩 디바이스는
    (4)대응하는 역 비선형 변환을 통해 공간 도메인의 변환된 상기 신호로부터 원래 칼라 영상을 재구성하기 위한 후처리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딩 디바이스.
  6. 제 1 칼라 공간에 정의된 칼라 공간 요소에 의해 대표되는 고유 칼라 영상 시퀀스에 대응하는 입력 디지털 비디오 시퀀스를 코딩하는 방법을 통해 코딩된 신호를 디코딩하기 위해 마련된 디지털 비디오 디코딩 디바이스를 실현하기 위해 구현된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가진 컴퓨터 사용가능 매체를 포함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코딩 방법은;
    (1)공간 도메인으로부터 상기 입력 비디오 시퀀스에 대응하는 제 1 칼라 공간 요소를 덜 대표되는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 단계;
    (2)이렇게 얻어진 변환된 신호를 줄어든 데이터 세트로 변환하기 위한, 양자화 단계;
    (3)이렇게 얻어진 양자화된 데이터를 코딩하기 위한 인코딩 단계
    (4)변환 단계 이전에, 입력 비디오 시퀀스의 상기 제 1 칼라 공간이 YUV 칼라 공간인지 결정하고 상기의 YUV 칼라 공간을 비선형 변환을 통해 덜 중복되는 칼라 공간으로 변환하기 위한 전처리 단계를 적어도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 수단은:
    -상기 컴퓨터가 상기 코딩된 신호를 디코딩하게 하는 프로그램 코드;
    -상기 컴퓨터가 이렇게 얻어진 디코딩된 신호의 역 양자화를 수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 코드;
    -상기 컴퓨터가 이렇게 얻어진 비양자화된 신호를 공간 도메인으로 변환하게 하는 프로그램 코드;
    -상기 컴퓨터가 역 대응 비선형 변환을 통해 공간 도메인에서 변환된 상기 신호로부터 칼라 영상을 재구성하게 하는 프로그램 코드인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시스템.
KR10-2004-7013282A 2002-02-28 2003-02-12 디지털 칼라 비디오 시퀀스를 코딩하고 디코딩하기 위한방법 및 디바이스 KR200400916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2290484.1 2002-02-28
EP02290484 2002-02-28
PCT/IB2003/000567 WO2003073771A1 (en) 2002-02-28 2003-02-12 Method and device for coding and decoding a digital color video sequen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1667A true KR20040091667A (ko) 2004-10-28

Family

ID=27763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3282A KR20040091667A (ko) 2002-02-28 2003-02-12 디지털 칼라 비디오 시퀀스를 코딩하고 디코딩하기 위한방법 및 디바이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50105613A1 (ko)
EP (1) EP1481556A1 (ko)
JP (1) JP2005519500A (ko)
KR (1) KR20040091667A (ko)
CN (1) CN1640144A (ko)
AU (1) AU2003205996A1 (ko)
WO (1) WO200307377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11753B2 (en) 2005-03-04 2013-04-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lor space scalable video coding and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252665B (zh) * 2008-03-06 2010-04-14 华为技术有限公司 接口装置
JP5796899B2 (ja) * 2012-03-26 2015-10-21 Kddi株式会社 画像符号化装置及び画像復号装置
TWI676389B (zh) * 2013-07-15 2019-11-01 美商內數位Vc專利控股股份有限公司 至少一種色彩轉換之編碼方法和編碼器、解碼器、顯示裝置、編碼視訊訊號、電腦程式製品及處理器可讀式媒體
EP3198556B1 (en) * 2014-09-26 2018-05-16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 Encoding and decoding perceptually-quantized video content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87151A (en) * 1986-06-30 1989-12-12 Canon Kabushiki Kaisha Encoding apparatus for color image data with block-by-block individual quantizing or individual encoding of luminosity, structure, and color information
JPH04323963A (ja) * 1991-04-23 1992-11-13 Canon Inc 画像処理方法及び装置
GB2264415B (en) * 1992-02-13 1995-09-20 Sony Broadcast & Communication Motion compensation for colour video signals
MY114249A (en) * 1993-10-27 2002-09-30 Sharp Kk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at can provide image data of high quality without deterioration in picture quality.
JPH0997319A (ja) * 1995-09-28 1997-04-08 Fujitsu Ltd 色空間画像を補正する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
JP3260284B2 (ja) * 1996-08-29 2002-02-25 旭光学工業株式会社 画像圧縮装置および画像伸張装置
US6650337B2 (en) * 2000-03-28 2003-11-18 Silicon Graphics, Inc. Increasing color accuracy
US6870962B2 (en) * 2001-04-30 2005-03-22 The Salk Institute For Biological Studies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ly encoding chromatic images using non-orthogonal basis functio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11753B2 (en) 2005-03-04 2013-04-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lor space scalable video coding and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105613A1 (en) 2005-05-19
EP1481556A1 (en) 2004-12-01
AU2003205996A1 (en) 2003-09-09
JP2005519500A (ja) 2005-06-30
CN1640144A (zh) 2005-07-13
WO2003073771A1 (en) 2003-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14653B2 (ja) 高ダイナミックレンジおよび広色域シーケンスを符号化するシステム
KR100782818B1 (ko) Yuv에서 rgb로 휘도 보존 컬러 변환 방법 및 시스템
US8509310B2 (en) Method, medium, and system encoding and/or decoding an image
CN102812705B (zh) 图像编码器和图像解码器
JPH04323963A (ja) 画像処理方法及び装置
US11582489B2 (en) Techniques for video compression
KR20180044291A (ko) 코딩 및 디코딩 방법과 대응하는 디바이스
KR20070009486A (ko)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과 장치
JP2009508427A (ja) 画像強調および圧縮
JPH02100465A (ja) 画像符号化方式
KR20040091667A (ko) 디지털 칼라 비디오 시퀀스를 코딩하고 디코딩하기 위한방법 및 디바이스
JPH11164152A (ja) カラー画像データ圧縮装置
CN107027027B (zh) 图像的编码、解码方法及装置、以及图像的编解码系统
EP3308541B1 (en) System for coding high dynamic range and wide color gamut sequences
JP2005522957A (ja) コーディング/デコーディング方法及びコーディング/デコーディング装置
JP2618944B2 (ja) カラー画像情報の符号化方法
CA2924461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visible artifacts in the display of compressed and decompressed digital images and video
Zhang et al. H. 264 based screen content coding with HSV quantization
JPS62283776A (ja) カラ−画像入出力装置
JPH0799853B2 (ja) 印刷用画像データの圧縮/復元方法
JPH0514741A (ja) カラーフアクシミリ画像圧縮伝送方法
REDDY et al. LUMINANCE AND CHROMINANCE BY USING BPT AND BWTCOMPRESSION TECHNIQUE
JPH03231565A (ja) 画像符号化装置
JPS63184477A (ja) カラ−画像処理装置
JPH0197085A (ja) 画像符号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