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1508A - 관연결구조 - Google Patents

관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1508A
KR20040091508A KR1020030044428A KR20030044428A KR20040091508A KR 20040091508 A KR20040091508 A KR 20040091508A KR 1020030044428 A KR1020030044428 A KR 1020030044428A KR 20030044428 A KR20030044428 A KR 20030044428A KR 20040091508 A KR20040091508 A KR 200400915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locking cap
tube
fastening
fasten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4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8065B1 (ko
Inventor
김정순
Original Assignee
김정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순 filed Critical 김정순
Priority to KR1020030044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8065B1/ko
Publication of KR20040091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15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8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80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de by inserting one member axially into the other and rotating it to a limited extent, e.g. with bayonet action
    • F16L37/24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de by inserting one member axially into the other and rotating it to a limited extent, e.g. with bayonet action the coupling being co-axial with the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두 개의 관(한쪽의 관과 다른 한쪽의 관)을 연결 함에 있어서, 관체의 외원주면에 테이퍼면과 정착부를 갖는 제 1체결부를 형성하여 되는 한쪽의 관과, 관체 내원주면의 한쪽에는 압착부를 형성하며 관체 내원주면의 다른 한쪽에는 제 2체결부를 형성하여 되는 록킹캡과를 구비하여, 한쪽의관에 다른 한쪽의 관을 끼우고, 한쪽관의 제 1체결부와 록킹캡의 제 2체결부를 맞춘다음 록킹캡을 체결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두 개의 관을 체결고정함으로서 두 개의 관은 서로 밀착상태로 단단히 체결고정 됨으로, 관과관 사이의 밀봉상태를 확실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구조가 간단하며 체결작업이 간단하면서도 확실한 밀봉상태를 유지할수있는 관의 연결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관연결구조 {pipe fitting}
본발명은 두 개의 관을 연결하는 관연결구조로서, 좀더 자세하게는 두 개의 관을 연결 함에 있어서, 한쪽의 관에는 제 1 체결부를 형성하며, 제 2 체결부를 가공하고 있는 록킹캡을 구비하여, 상기 한쪽의 관에는 다른 한쪽의 관을 끼워 넣은 다음 이상태로 한쪽의 관의 제 1체결부와 록킹캡의 제 2체결부를 맞춘다음 록킹캡을 잠금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록킹캡을 한쪽의 관에 단단히 체결 하도록 함으로서, 두 개의 관의 연결구조를 간단하게 하고 관의 연결작업이 간단 하면서도 확실하게 되는 것이며 또한 연결된 관의 해체작업도 간단하게 할수있는 관의 연결과 분리작업이 간단한 관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는 두 개의 관을 연결함에 있어서, 나사가 가공 되어 있는 소켓관과 캡너트를 각 각 별도로 준비하고 한쪽의 관에 다른 한쪽의 관을 끼워 넣은다음 소켓관과 캡너트의 나사부를 나사 체결하도록 하고 있는 것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관연결구조는 소켓관과 캡너트에 각각 정밀한 나사부를 가공 하여야 하기 때문에 나사가공에 많은 공정과 많은 가공비를 소요하게 되는 것이며 또한 이렇게 정밀하게 나사부가 가공되어 있는 소켓관과 캡너트를 사용하여 두 개의 관을 연결함에 있어서는, 나사 체결공구를 사용하여 단단하고 확실하게 연결을 하기 위하여 나사체결공구에 체결력을 무리하게 크게 가하면 소켓관과 켑너트의나사부가 마멸되는 현상이 빈번히 발생하게 되어 불량 연결구조가 되게 되는 것이며, 이렇게 불량하게 연결된 관과관을 다시 해체 하는 작업도 어렵게 되는 것이다.
그렇다고 하여 나사체결공구의 체결력을 약하게 하면 이번에는 두개의 관의 연결상태가 불확실하게 됨으로서 관과 관사이의 기밀성을 떨어뜨리게되고 따라서 두 개의 연결관 사이에서 누수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본원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하여 발명 된 것으로, 두 개의 관(한쪽의 관과 다른 한쪽의 관)을 연결 함에 있어서, 관체의 외원주면에 테이퍼면을 갖는 제 1체결부를 형성하여 되는 한쪽의 관과, 관체 내원주면의 한쪽에는 압착부를 형성하며 관체 내원주면의 다른 한쪽에는 제 2체결부를 형성하여 되는 록킹캡과를 구비하여, 한쪽의관에 다른 한쪽의 관을 끼우고, 한쪽관의 제 1체결부와 록킹캡의 제 2체결부를 맞춘다음 록킹 캡을 체결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두 개의 관을 체결고정함으로서 두 개의 관은 서로 밀착상태로 단단히 체결고정 됨으로, 관과관 사이의 밀봉상태를 확실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구조가 간단하며 체결작업이 간단하면서도 확실한 밀봉상태를 유지할수있는 관의 연결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기 제 1체결부에는 스토파를 형성하여 록킹캡을 체결방향으로 회전 시킬때에 제 2체결부가 상기 스토파에 걸리도록 함으로서, 관과관의 체결조립중 체결 회전력이 너무지나쳐서 제 2체결부가 초기 의 체결시점으로 되돌아 가버리는 일이 없도록 하는 관연결구조를 제공 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기 제 1체결부에는 걸림턱과 수납홈을 형성하여 록킹캡의 제 2체결부가 상기 걸립턱에 걸리고 수납홈에 수납되도록 함으로서, 연결된 관과관이 외부충격에 의해서 서로 벗겨저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관연결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원 발명은 록킹캡의 압착부에 보강리브를 형성하여 록킹캡의 강도를 보강함과 동시에 이 보강리브에 의해 록킹캡이 한쪽관의 간섭을 받는일이 없이 체결할수 있도록 하는 관연결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관연결구조의 분해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관연결구조의 분해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관연결구조의 제1관으로서, (가)도는 정면도, (나)도는 측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관연결구조의 록킹캡으로서, (가)도는 정면도, (나)도는 측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관연결구조의 제 2체결부의 다른실시예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관연결구조의 조립순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관연결구조의 조립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관연결구조의 록킹캡의 다른 실시예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관연결구조의 다른 실시예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제 1 관 2 : 제 1체결부
3 : 제 2 관 4 : 록킹캡
5 : 제 2체결부 6 : 패킹
7 : 링 8 : 리브부록킹캡
9 : T 보
본원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원주면에 끼움부가 가공 되어 있는 관체의 외원주면에는, 테이퍼면과 정착면을 갖는 제 1체결부를 형성하여 되는 한쪽의 관(제 1관)과, 결합부를 갖는 다른 한쪽의 관(제 2 관)과, 관체의 내원주면의 한쪽에는, 두 개의 연결관이 서로 밀착되도록 제 2관을 제 1관쪽으로 밀어부치도록 하는 압착부를 형성하며, 관체의 내원주면의 다른 한쪽에는 상기 제 1체결부에 체결된 상태에서 제 1관을 제 2 관쪽으로 밀어부치도록 하는 제 2체결부를 형성하여 되는 록킹캡과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부품을 사용하여 두 개의 관을 연결할때에는 제 1관의 끼움부에 는 제 2 관의 결합부를 끼워 조립하고, 록킹캡의 제 2체결부를 제 1 관의 제 1체결부의 사이 간격에 끼워 맣춘다음 록킹캡을 체결방향(도면에서 보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체결함으로서, 록킹캡의 제 2체결부는 제 1체결부를 통하여 제 1 관을 제 2 관쪽으로 밀착시키는 힘이 가해지며 록킹캡의 압착부는 제 2 관을 제 1 관쪽으로 밀착시키는 힘이 가해지면서 제 1 관과 제 2 관은 서로 밀착상태로 단단히체결 되도록 함으로서 관과관 사이의 밀봉상태를 확실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구조가 간단하고 체결작업이 간단하면서도 확실한 밀봉상태를 유지할수있는 관의 연결구조를 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연결된 두 개의 관을 해체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체결조립과 반대순서의 작업으로서 간단하게 관과관의 해체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관의 연결구조를 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기 제 1체결부에는 스토파를 형성하여 록킹캡을 체결방향으로 회전 시킬때에 소정의 거리(소정각도)에서 제 2체결부가 상기 스토파에 걸리도록 함으로서, 관과관의 체결작업중 록킹캡의 체결방향의 회전거리를 한정하도록 하여 록킹캡의 과잉회전으로 인하여 체결상태가 초기의 체결시점으로 되돌아 가버리는 현상이 일어 나지 아니하도록 하는 관연결구조를 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기 제 1체결부에는 걸림턱과 수납홈을 형성하여, 록킹캡의 제 2체결부가 상기 걸립턱에 걸리고 수남홈에 수납되도록 함으로서, 제 1 및 제 2의 관이 연결상태에서 외부의 충격이나 불균형한 사용상태에서도 제1체결부와 제 2체결부가 벗겨저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관연결구조를 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본원 발명은 록킹캡의 압착부에 보강리브를 형성하여 록킹캡의 강도를 보강함과 동시에 이 보강리브에 의해 제 2 관의 결합부를 밀착하도록 함으로서 제 1 관의 선단부가 제 2관의 결합부보다 돌출되어 나오더라도 록킹캡이 제 1관의 간섭을 받지 아니하고 체결할수 있도록 하는 관연결구조를 하고 있는 것이다.
본원 발명의 목적달성을 위하여 적합한 실시예를 첨부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기재하고자 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본원발명에 따른 관연결구조의 분해상태를 정면도와 단면도로, 도 3 에는 본원발명에 따른 관연결구조에 있어서의 제 1관을 정면도 및 측면도로, 도 4에는 본원발명에 따른 관연결구조에 있어서의 록킹캡을 정면도 및 측면도로 각각 도시하고 있으며, 도 5에는 관연결구조에 있어 제 1체결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두 개의 관을 여결하기위하여는 제 1관(1)과 제 2관(3)과 록킹캡(4)를구비하여 되는것으로, 제 1관(1)에는 관체(11)의 내원주면에 끼움부(13)가 가공 되어 있으며, 관체(11)의 외원주면에는 일정한 거리(L)를 갖는 간격부(17)를 띠어서 제 1체결부(2)를 형성하되. 각각의 제 1체결부(2)에는 테이퍼면(23)이 가공되며 이 테이퍼면(23)의 끝단부(23T)에 연장되여 정착부(24)가 형성되어 이 정착부(24)의 끝단에는 스토파(25)를 형성하여, 이 스토파(25)는 제 2체결부의 회전을 제한하여 회전끝점이 되도록 하고 있느 것이다.
그리고 필요에따라 상기 정착부(24)의 끝단에는 걸림턱(27)을 형성 하며 이 걸림턱(27)과 함께 수납홈(28)을 형성하여(도 5참조), 제 2체결부가 상기 걸림턱(27)에 걸리고 수납홈(28)에 수납되도록 함으로서 연결관의 사용중 외부의 강한 충격에도 관과 관의 연결상태가 풀어 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 하도록 하고 있다.
제 2관(3)에는 결합부(3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결합부(32)는 제 1관(1)의끼움부(13)에 끼워지면 결합부(32)의 한쪽은 록킹캡(4)의 압착부(43)에 면하도록 되는 것이다.
록킹캡(4)은, 관체(41)의 내원주면의 한쪽에는 제 2 관(3)을 제 1관(1)쪽으로 밀어부치도록 하는 압착부(43)를 형성하되 이 압착부(43)의 내직경은 제 2관(3)의 관체(31)이 관통할수 있는 크기를 갖도록 가공되어야 하는 것이다.
그리고 관체(41)의 내원주면의 다른 한쪽에는 상기 제 1체결부(2)에 체결되어 제 1관(1)을 제 2 관(3)쪽으로 밀어부치도록 하는 제 2체결부(5)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때 제 2체결부(5)는 관체(41)의 내원주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하되 그 형성위치와 크기는 제 1체결부(2)사이의 간격부(17)에 끼워질수 있는 위치와 크기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이다. 그리고 만일 제 1체결부(2)에 수납홈(28)이 가공되어 있는경우에는 상기 제 2체결부(5)의 크기는 상기 수납홈(28)에 완전히 수납될수 있는크기를 갖도록 가공 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탄력성을 갖는 패킹(6)과 링(7)을 별도로 준비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관연결구조의 각각의 부품을 조립연결하는 과정을 도 6에 따라 검토하기로 한다.
도 6에서는 관과관의 연결 순서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패킹(6)과 링(7)의 도시를 생략 하고 제 1관(1)과 록킹캡(4)만을 도시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제 1관(1)의 끼움부(13)에 패킹(6)과 링(7)을 차례로 끼우고 제 2관(3)의 결합부(32)를 제 1관(1)의 끼움부(13)에 맣춰 제 2관(3)을 끼운다. 그리고 록킹캡(4)을 화살표 A방향으로 밀어넣어 제 2체결부(5)가 제 1 관(1)의 간격부(17)사이로 들어가도록 하고(가도참조), 이상태에서 록킹캡(4)을 체결방향(도면에서는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제 2체결부(5)가 제 1체결부(2)의 테이퍼부(23)에 닿는 위치에 까지 오게되며(나도참도), 계속하여 록킹캡(4)을 체결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 2체결부(5)는 제 1체결부(2)의 테이퍼부(23)를 따라 올라 간다음 다시 정착부(24)를 올라 타게 된다(다도참조).
이와같이 록킹캡(4)을 계속 회전 시키면, 제 2체결부(5)가 제 1체결부(2)의 테이퍼부(23)를 따라 올라가면서 제 1관(1) 및 제 2관(3)은 서로 밀착상태로 단단히 체결 고정되는 것이며 제 2체결부(4)가 제 1체결부(2)의 정착부(24)를 타고 올라가면서 밀착체결작업이 완료 되는것이며, 이때 탄성재질의 패킹(6)도 함께 압축되면서 관과 관사이의 밀폐성을 확실하게 하는 것이다. 이 상태는 록킹캡(4)의 제 2체결부(5)는 제 1 관(1)을 제 2 관(3)쪽으로 밀착시키는 힘이 가해지며 록킹캡(4)의 압착부(43)는 제 2 관(3)을 제 1 관(1)쪽으로 밀착시키는 힘이 가해지면서 제 1 관(1)과 제 2(3) 관은 서로 밀착상태로 단단히 체결 됨으로서 관과관 사이의 밀봉상태를 확실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구조가 간단하며 체결작업이 간단하면서도 확실한 밀봉상태를 유지할수있는 관의 연결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위와같이 연결된 두 개의 관을 해체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체결조립과 반대의 작업으로서 간단하게 관과관의 해체작업이 가능하도록 되는 것이다.
위와같이 제 2체결부(5)가 제 1체결부(2)의 정착부(24)를 올라탄상태의 체결상태로는 연결관의 장기간 사용이나 또는 외부충격에 의해 상기 체결상태가 풀릴 우려가 있을때를 고려하여 관과관 사이의 록상태를 보다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제1체결부(2)에 걸림턱(27)과 수납홈(28)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하여 상기와 같이 제 2체결부(5)가 제 1체결부(2)의 정착부(24)를 타고 있는 상태에서 록킹캡(4)를 좀더 회전시키면 록킹캡(4)의 제 2체결부(5)는 제 1체결부(2)의 수납홈(28)에 수납되는 상태로 정지하게 되는것이다(라도참조).
위에서 제 2체결부(5)가 수납홈(28)에 수납되는 동안에는 순간적이나마 관과관 사이의 체결력(압착력)이 다소 약화될것으로(제 2체결부(5)가 직선부(24)에 있을때보다) 우려되지만 제 2체결부(5)가 수납홈(28)에 맣닺는 순간에 지금까지 압축되어 있던 패킹(6)은 제 2체결부(5)를 밀어내는쪽으로 탄성팽창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제1관(1)과 제 2관(3)의 체결력은 단단하게 유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원 발명은 상기 제 1체결부(2)에는 걸림턱(27)을 형성하여 록킹캡(4)의 제 2체결부(5)가 상기 걸립턱(27)에 걸리도록 함으로서, 제 1 및 제 2의 관이 연결상태에서 외부의 충격이나 불균형한 사용상태에서도 제1체결부(2)와 제 2체결부(5)가 벗겨저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 2체결부(5)가 수납홈(28)에 수납되여 있는 상태의 연결관을 분리 하고자 할 때에는 록킹캡(4)을 화살표 A방향(도 6 참조)으로 눌러서 제 2체결부(5)가 수납홈(28)으로부터 빠져 나오며 다시 걸림턱(27)을 벗어 나게 한다음 이 상태에서 해체방향(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연결관이 분리되는 것이다. 이때 만일 제 2체결부(5)가 걸림턱(27)을 빠져나오도록 하기 위하여 록킹캡(4)를 화살표 A방향으로의 눌르는 힘에 무리가 있을정도이라면 걸림턱(27)과 상기 정착부(24)의 사이를 약간 경사지도록 하여 테이퍼부(29)를 가공 하여도 좋을 것이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기 제 1체결부(2)에는 스토파(25)를 형성하여 록킹캡(4)의 제 2체결부(5)가 상기 스토파(25)에 걸리도록 함으로서, 관과관의 체결작업중 록킹캡(4)의 체결방향의 회전거리를 한정하도록 하여 록킹캡(4)의 과다회전으로 인하여 체결상태가 초기 의 체결시점으로 되돌아 가지 아니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8에는 본원 발명에 따른 록킹캡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9에는 도 8의 록킹캡을 사용하여 제 1관인 T보(9)에 제 2관(3)을 연결하고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는것으로,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록킹캡(8)을 형성함에 있어 압착부(83)에 보강리브(86)를 형성하여 록킹캡(8)의 강도를 보강함과 동시에 이 보강리브(86)에 의해 제 2 관(3)의 결합부(22)를 밀착하도록 함으로서 제 1 관(9)의 선단부(97)가 제 2관(3)의 결합부(32)보다 돌출되어 나오더라도 록킹캡(8)이 제 1관(9)의 간섭을 받지 아니하고 체결할수 있도록 하는 관연결구조를 제공할수 있는 것이다.
위에서 도면과 함께 실시예를 설명 하였지만 본원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원발명의 기술사상에 기초하여 여러 가지의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이는 모두가 가 본원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제 1관에 는 제 1체결부를, 록킹캡에는 제 2체결부를 형성하고 있으나 상기 제 1 및 제 2 체결부의 형성위치를 반대로 할수도 있는것이며, 본원고안의 관열결구조에 따른 연결관을 운동부분이나 진동이 심한 장소에서 사용하는 경우로서 사용중 연결관의 분리가 우려되여 체결부의 걸림홈의 깊이를 깊게 하고자 할 때에는 이 깊이에 따른 체결력의 약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 1관과 제 2관 그리고록킹캡과의 사이에 스프링과 같은 탄성복원력이 뛰어난 탄성체를 끼워서 관을연결하여도 되는것이다.
위에서 검토 한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 따른 관열결구조는 제 1관과 제 2관을 연결함에 있어서 제 1관에 는 제 1체결부를 형성하며, 제 2체결부를 가공하고 있는 록킹캡을 형성하여 제 1관에 제 2관을 삽입한다음 록킹캡의 제 2체결부를 제 1관의 제 1체결부에 걸어 체결방향으로 약간만 회전시킴으로서 두 개의 관은 밀착상태로 연결되기 때문에 종전의 나사가공 부품보다 그 구조가 간단하면서 조립과 해체작업이 극히 단시간에 이루어 짐으로 작업능률을 최대화 할수 있으며 또한 매우 경제적인 관연결구조를 얻을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제 1체결부에 는 수납홈을 형성하여 제 2체결부가 수납홈에 걸린 상태로 수납할 수가 있기 때문에 연결관의 사용중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도 연결관이 분해되는 일을 방지할수 있는 효과를 얻을수가 있는 것이디.

Claims (4)

  1. 제 1관과 제 2관과 록킹캡을 구비하되, 상기 제 1관에는 관체의 외원주면에는 간격부를 띄어 테이퍼면이 가공되며 이 테이퍼면의 끝단부에 연장되여 정착부가 가공된 제 1체결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 2관에는 결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록킹캡은 관체 내원주면의 한쪽에는 압착부를 형성하며 관체 내원주면의 다른 한쪽에는 제 2체결부를 형성하여, 제 1관과 제 2관과를 패킹과 함께 조립하고, 제 1관의 제 1체결부와 록킹캡의 제 2체결부를 맞춘다음 록킹캡을 체결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서, 두 개의 관을 연결하도록 하여 되는 관연결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체결부에는 수납홈을 형성하여 되는 관연결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체결부에는 스토퍼를 형성하여되는 관연결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캡의 압착부에는 리브를 형성하여 되는 관연결구조.
KR1020030044428A 2003-04-22 2003-07-01 관연결구조 KR100588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4428A KR100588065B1 (ko) 2003-04-22 2003-07-01 관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450U KR200319225Y1 (ko) 2003-04-22 2003-04-22 관연결구조
KR1020030044428A KR100588065B1 (ko) 2003-04-22 2003-07-01 관연결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2450U Division KR200319225Y1 (ko) 2003-04-22 2003-04-22 관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1508A true KR20040091508A (ko) 2004-10-28
KR100588065B1 KR100588065B1 (ko) 2006-06-14

Family

ID=3737216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2450U KR200319225Y1 (ko) 2003-04-22 2003-04-22 관연결구조
KR1020030044428A KR100588065B1 (ko) 2003-04-22 2003-07-01 관연결구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2450U KR200319225Y1 (ko) 2003-04-22 2003-04-22 관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31922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4483A (ko) * 2007-05-18 2007-10-26 주식회사 아임즈 관연결구조
KR100841441B1 (ko) 2007-07-03 2008-06-25 (주)에스엔피월드 분산부를 갖는 화장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8065B1 (ko) 2006-06-14
KR200319225Y1 (ko) 200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0670B2 (en) Coupling apparatus
JP4939826B2 (ja) 管継手の組立て方法
JP2007155044A (ja) 管継手ロック装置
KR20140044320A (ko) 테이퍼 나사를 가진 파이프 라인 또는 호스 라인용 내고압성 나사 연결 장치
JP2001124258A (ja) 管継手
US8056939B2 (en) Plug connector for piping
JP5269178B2 (ja) 管継手の組立て方法
KR200319225Y1 (ko) 관연결구조
KR200165067Y1 (ko) 관연결구
JP4045305B1 (ja) 管継手
JP2009041702A (ja) 異種管継手
KR100432656B1 (ko) 파이프연결구
JPH0262497A (ja) 管継手
KR100943787B1 (ko) 슬라이드 조임식 파이프 연결 소켓
JPH07103379A (ja) フレキシブル管用継手
JP4599158B2 (ja) 管継手
JP2002174376A (ja) 継 手
JPH11210955A (ja) 管接続装置
KR200473400Y1 (ko) 파이프와 연결관의 연결장치
JP2000146045A (ja) 管接合用治具
JP4810267B2 (ja) 管継手
KR20070104483A (ko) 관연결구조
JP2002295752A (ja) 管継手
JP4159156B2 (ja) フレキシブルチューブ用継手
KR20080024789A (ko) 관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