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1042A - 화장품 제제에서의 그래프트 공중합체 - Google Patents

화장품 제제에서의 그래프트 공중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1042A
KR20040091042A KR10-2004-7012571A KR20047012571A KR20040091042A KR 20040091042 A KR20040091042 A KR 20040091042A KR 20047012571 A KR20047012571 A KR 20047012571A KR 20040091042 A KR20040091042 A KR 200400910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acid
polymer
polymers
polymer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2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클레멘스 마타우어
볼프강 야넬
페터 회쎌
Original Assignee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40091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104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91Graft co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6Aerosols; Fo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6Preparations for styling the hair, e.g. by temporary shaping or colou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8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08F283/0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on to polyethers, polyoxymethylenes or polyacet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8Rubbing or scrubbing compositions; Peeling or abrasive compositions; Containing exfoli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61Q1/06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1Preparations for care of the l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2Aftershave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9/00Preparations for removing hair or for aiding hair removal
    • A61Q9/02Shav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Abstract

a) N-비닐포름아미드,
b) 하기 화학식 I의 1종 이상의 공중합성 단량체
및(또는) 1종 이상의 불포화 술폰산,
및(또는) 1종 이상의 불포화 포스폰산을
c) 화학식(상기 식에서, R은 H, CH3이고, n은 5 - 50,000임)의 중합성 그래프팅 베이스에 라디칼 그래프트 공중합시킴으로써 생성되는 그래프트 공중합체가 개시되어 있다.
<화학식 I>
상기 식에서, n은 0 또는 1이고, R1및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H, C1-C4-알킬, CN 또는 COOH이다.

Description

화장품 제제에서의 그래프트 공중합체 {GRAFT COPOLYMERS IN COSMETIC FORMULATIONS}
본 발명은 화장품 조성물의 성분으로서의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그래프트 공중합체는 N-비닐아미드 단위를 함유하는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개쇄 단량체를 중합성 그래프팅 베이스에 그래프팅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중합체는 모발 화장품에 널리 사용된다. 모발 화장품에서의 그것의 목적은 모발의 성질에 영향을 주고, 특히 모발을 셋팅하고, 빗질성을 개선시키고 기분좋은 느낌을 주는 것이다.
따라서, 콘디셔너는 건조 모발이나 젖은 모발의 빗질성, 감촉, 광택 및 외관을 개선시키고 정전기 방지 특성을 모발에 부여하는데 사용된다. 극성, 주로 양이온 관능성을 가진 수용성 중합체는 모발의 구조적으로 관련된 음의 표면에 대해 비교적 큰 친화력을 가지므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각종 모발 처리 중합체의 구조 및 작용 방식은 문헌 [Cosmetics & Toiletries 103 (1988), 23]에 기재되어 있다. 시판되는 콘디셔너 중합체는, 예를 들면 양이온성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N-비닐피롤리돈계 양이온성 중합체, 예를 들면 N-비닐피롤리돈 및 4차화 N-비닐이미다졸의 공중합체, 아크릴아미드 및 디알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의 공중합체 또는 실리콘이다.
헤어스타일을 셋팅하기 위해, 비닐락탐 단독중합체 및 공중합체 및 카르복실레이트 함유 중합체가 사용된다. 모발 셋팅 수지에 대한 요건은, 예를 들면 높은 대기 습도에서의 강력한 셋팅, 탄성, 모발로부터 씻어내어지는 능력, 제제 내의 허용성 및 모발의 기분좋은 느낌이다.
다른 성질, 예를 들면 강력한 셋팅, 모발의 기분좋은 느낌 및 모발 화장품 제제에서의 중합체의 동시 증점 효과를 겸비하는데 종종 어려움이 있다.
이는 겔 제제에서 특히 중요하다. 또한, 통상의 모발 셋팅 중합체는 주로 증점제 중합체와 비상용성이므로, 화장품 제제에서 혼탁과 침전을 일으킨다. 가교된 폴리아크릴산 (카르보폴) 또는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전형적인 증점제는 가교로 인해 모발 셋팅에 적당한 막을 형성하지 않는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그들은 겔의 점조도를 보장하지만, 모발 상의 겔이 건조된 후 더이상 필요하지 않거나 제제의 성능 특징 (셋팅 효과, 감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WO-A-96/03969호는 N-비닐포름아미드 단독중합체 또는 N-비닐포름아미드 단위 및 스티렌,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의 알킬 에스테르, 화학식 CH2=CH-OCO-알킬의 비닐 에스테르, N-알킬 치환된 아크릴아미드 및 메타크릴아미드, 푸마르산, 이타콘산 및 말레산의 에스테르, 비닐 에테르, 히드록시-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드, 비-알킬-치환된 아크릴아미드 및 환식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추가의 비닐 단량체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헤어케어 조성물을 기재하고 있다. 환식 아미드의 특정 예는 N-비닐피롤리돈이다. 비닐 단량체의 추가의 예는 2차, 3차 및 4차 아민, 예를 들면 디메틸디알릴암모늄 클로라이드,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디메틸아미노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이다.
DE 19640363호는 N-비닐포름아미드 및 4차화 N-비닐이미다졸의 공중합체 및 화장품에서의 그의 용도를 기재하고 있다.
DE 19907587.5는 폴리에테르 함유 화합물의 존재하에 1종 이상의 비닐 에스테르 및 임의로 1종 이상의 공중합성 단량체의 자유 라디칼 중합 및 이후의 에스테르 관능기의 적어도 부분적인 가수분해에 의해 생성되는 중합체의 모발 화장품 제제에서의 용도를 개시하고 있다. 특히, 비닐포름아미드는 공중합성 단량체의 예로서 언급된다.
DE A1-44 09 903호는 N-비닐 단위를 함유하는 그래프트 중합체, 그의 제조 방법 및 용도를 기재한다.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는 각 경우에 5 중량% 이상의 하기 화학식의 단위를 함유하는 중합체인 그래프팅 베이스에 그래프팅된다.
및(또는)
상기 식에서, R' 및 R"는 H 또는 C1- 내지 C6-알킬이다. 적합한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는 아미노기에 의해 중합이 억제되지 않는 유리 또는 염 형태의 임의의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예를 들면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모노- 및 디카르복실산, 및 C1- 내지 C30-알코올과의 그의 에스테르 및 염이다. 이들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화장품 제제내 활성 성분으로서의 적합성은 언급되지 않는다.
WO 96/34903호는 N-비닐 단위를 함유하는 그래프트 중합체,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용도를 기재하고 있다.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는 C2- 내지 C4-알킬렌 옥사이드를 3 단위 이상 함유하고(하거나) 폴리테트라히드로푸란을 함유하는 중합체인 그래프팅 베이스에 그래프팅되고, 그후에 적어도 부분적인 가수분해가 이루어진다. 이들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화장품 제제내 활성 성분으로서의 적합성은 언급되지 않는다. 청구항 1에 따른 그래프트 중합체는 기재되지 않았다.
US-A-5 334 287호는 N-비닐카르복사미드, 바람직하게는 N-비닐포름아미드, 및 임의로 다른 단량체를 모노사카라이드, 올리고사카라이드,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그의 각각의 유도체 존재하에 자유 라디칼 개시되는 중합 반응시키고, 임의로 중합된 단위 형태로 혼입된 N-비닐카르복사미드기를 가수분해하여 비닐아민 단위를 형성함으로써 얻어지는 그래프트 중합체를 개시한다. 이들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화장품 제제내 활성 성분으로서의 적합성은 언급되지 않는다.
WO 9825981호에서, 양친성 그래프트 중합체는 소수성 단량체, 예를 들면 스티렌을, 화학식 IV 및(또는) V의 구조 요소를 함유하는 중합체에 그래프팅함으로서합성된다. 얻어진 그래프트 중합체는 특히 화장품 제제를 위한 첨가제로서 사용된다.
DE-A1-196 40 363호에서는, 화장품 제제내 활성 성분으로서의 수용성 공중합체의 용도가 청구된다. 이 공중합체는 특징적인 구조 요소로서 하기 화학식 VI의 단위를 함유한다.
상기 식에서, A는 화학 결합 또는 알킬렌기이고, 라디칼들 R17은 서로 독립적으로 H, 알킬, 시클로알킬, 아릴 또는 아르알킬이고, R18은 H, 알킬 또는 아르알킬이다.
모노알데히드 변성된 비닐아민 중합체를 함유하는 개인용 케어 크림은 US 5 270 379호에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헤어 셋팅 조성물로서 사용된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V의 N-비닐아미드 단량체로 구성되며, 공단량체는 비닐 에테르, 비닐락탐, 비닐 할라이드, 일염기성 포화된 카르복실산의 비닐 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메트)아크릴아미드 및 (메트)아크릴로니트릴, 및 말레산의 에스테르, 무수물 및 이미드이고, 이들은 DE 14 95 692호에 개시되어 있다.
<화학식 V>
상기 식에서, R1및 R2는 H 또는 C1-C5-알킬이다.
US 4 713 236호는 비닐아민 단위를 함유하는 중합체를 기재로 한 헤어 콘디셔너를 기재하고 있다. 특히, 폴리비닐아민 및 그의 염, α-치환된 폴리비닐아민, 예를 들면 폴리(α-아미노아크릴산), 또는 비닐아민 이외에 중합된 단위 형태로 혼입된 공단량체, 예를 들면 비닐 알코올, 아크릴산, 아크릴아미드, 말레산 무수물, 비닐 술폰산염 및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술폰산을 함유하는 공중합체가 언급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장품 용도 및 예를 들면 모발 화장품 분야에서 매우 유용하며, 기분좋은 느낌과 같은 우수한 성능 특징, 및 동시에 우수한 콘디셔닝 효과 또는 우수한 셋팅 효과 및 동시에 증점 특성을 나타내는 중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맑은 용액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통상의 모발 화장품 제제에서의 중합체의 용해도가 특히 중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발 화장품 (셋팅 효과, 컬 보유력)에 대한 요건 및 성능 요건 (증점 특성, 맑은 용액을 제공하기 위한 용해도) 둘다를 충족시키는 중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증점 효과 (화장품에서 통상적인 염기로 중합체를 중화시킨 후)와 막형성 특성을 겸비하여 헤어 젤 제제 내의 셋팅 중합체로서 사용될 수 있는 공중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추가의 통상의 증점제 (예를 들면, 카르보폴 (Carbopole)(등록상표) 타입의 고분자량 폴리아크릴산)를 첨가하지 않고도 증점 특성을 갖는 중합체가 특히 중요하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목적이 본 발명에 따라서
a) N-비닐포름아미드,
b) 하기 화학식 I의 1종 이상의 공중합성 단량체
(상기 식에서, n은 0 또는 1이고, R1및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H, C1-C4-알킬, CN 또는 COOH임),
및(또는) 1종 이상의 불포화 술폰산,
및(또는) 1종 이상의 불포화 포스폰산을
c) 하기 화학식의 중합성 그래프팅 베이스에
자유 라디칼 그래프트 공중합시킴으로써 생성되는 그래프트 공중합체에 의해달성됨을 발견하였다
(상기 식에서, R은 H, CH3이고, n은 5 - 50,000임).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중합체의 제조시에, 중합체의 유리한 특성을 유도할 수 있는, 중합성 그래프팅 베이스 c)에의 그래프팅이 중합 반응 중에 일어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그래프팅 기전이 또한 예상된다.
그래프팅 정도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중합체는 순수한 그래프트 중합체 및 상기 그래프트 중합체와 비그래프트 화합물 c)의 혼합물 및 단량체 a) 및 b)의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모두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신규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이다.
여기서, 수용성 중합체는 20 ℃에서 1 g/l 이상의 수 용해도를 갖는 중합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여기서, 수분산성 중합체는 교반에 의해 분산성 입자로 분해되는 중합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신규 중합체의 제조를 위하여, N-비닐포름아미드가 단량체 a)로서 사용된다.
하기 화학식 I의 1종 이상의 공중합성 단량체
<화학식 I>
(상기 식에서, n은 0 또는 1이고, R1및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H, C1-C4-알킬, CN 또는 COOH임),
및(또는) 1종 이상의 불포화 술폰산 및(또는) 1종 이상의 불포화 포스폰산이 단량체 b)로서 사용된다.
화학식 I의 단량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적합한 C1-C4-알킬 라디칼은 예를 들면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및 tert-부틸이다.
화학식 I의 단량체의 예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푸마르산, 크로톤산, 이소크로톤산, 비닐아세트산 및 이타콘산이다.
n이 0인 화학식 I의 단량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이 특히 바람직하다.
적합한 불포화 술폰산은 R이 하나 이상의 에틸렌계 불포화 기를 갖는 라디칼인 화학식 R-SO3H의 모든 화합물이다.
불포화 술폰산으로서 특히 적합한 것은 하기 화학식 II의 화합물이다.
상기 식에서, n은 0 또는 1이고, R1및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H, C1-C4-알킬,CN 또는 COOH이다.
화학식 II의 단량체의 예는 비닐술폰산 및 메탈릴술폰산이다.
방향족 불포화 술폰산, 예를 들면 m-스티렌술폰산 및(또는) p-스티렌술폰산이 또한 적합하다.
추가의 적합한 불포화 술폰산의 예는
아릴아미도프로판술폰산
술포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3-술포프로필 아크리렐이트
및 2-술포프로필 아크릴레이드이다.
적합한 불포화 포스폰산은 R이 하나 이상의 에틸렌계 불포화 기를 갖는 라디칼인 화학식 R-PO3H의 모든 화합물이다.
특히 적합한 불포화 포스폰산은 하기 화학식 III의 화합물이다.
상기 식에서, n은 0 또는 1이고, R1및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H, C1-C4-알킬, CN 또는 COOH이다.
화학식 III의 단량체의 예는 비닐포스폰산이다.
상기 단량체는 개별적으로 또는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중합성 그래프팅 베이스 c)는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로부터 선택된다.
R = H, CH3n = 5 - 50,000
폴리에테르의 분자량은 200 내지 2,500,000 (수평균),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1,000,000, 특히 400 내지 100,000, 특히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50,000, 아주 특히 바람직하게는 800 내지 40,000이다.
에틸렌 옥사이드의 단독중합체 또는 40 내지 99 중량%의 에틸렌 옥사이드를 함유하는 공중합체가 유리하게 사용된다. 에틸렌 옥사이드 중합체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경우, 중합된 단위의 형태로 혼입되는 에틸렌 옥사이드의 양은 40 내지 100 몰%이다. 이들 공중합체에 대한 적합한 공단량체는 프로필렌 옥사이드이다. 공중합체의 에틸렌 옥사이드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99 몰%이고 프로필렌 옥사이드 함량은 1 내지 60 몰%이다.
그래프팅 베이스 c)는 중합 조건 하에서 자유 라디칼을 형성하는 화합물을 사용하여 공지된 방법, 예를 들면 용액, 침전, 현탁 또는 유화 중합에 의해 제조된다. 중합 온도는 일반적으로 30 내지 200 ℃,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10 ℃이다. 적합한 개시제는 예를 들면 아조 및 퍼옥시 화합물 및 통상적인 레독스 개시제 시스템, 예를 들면 과산화 수소 및 환원 화합물, 예를 들면 아황산 나트륨, 중아황산 나트륨, 소듐 포름알데히드 술폭실레이트 및 히드라진의 조합이다. 이들 시스템은 임의로 소량의 중금속 염을 추가로 함유한다.
사용될 수 있는 연쇄 이동제는 당업계의 숙련가에게 공지된 종래의 화합물, 예를 들면 황 화합물 (예를 들면, 메르캅토에탄올, 2-에틸헥실 티오글리콜레이트, 티오글리콜산 및 도데실 메르캅탄), 및 트리브로모클로로메탄 또는 얻어진 중합체의 분자량에 조절 효과를 제공하는 기타 화합물이다.
임의로, 티올 함유 실리콘 화합물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무-실리콘 연쇄 이동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중합체는 가교제 d)의 존재하에 제조된다.
사용될 수 있는 가교성 단량체 d)는 2개 이상의 에틸렌계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화합물, 예를 들면 에틸렌계 불포화 카르복실산, 예를 들면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에스테르, 및 다가 알코올의 에스테르, 및 적어도 이가 알코올의 에테르, 예를 들면 비닐 에테르 또는 알릴 에테르이다.
기본 알코올의 예는 이가 알코올, 예를 들면 1,2-에탄디올, 1,2-프로판디올,1,3-프로판디올, 1,2-부탄디올, 1,3-부탄디올, 2,3-부탄디올, 1,4-부탄디올, 부트-2-엔-1,4-디올, 1,2-펜탄디올, 1,5-펜탄디올, 1,2-헥산디올, 1,6-헥산디올, 1,10-데칸디올, 1,2-도데칸디올, 1,12-도데칸디올, 네오펜틸글리콜, 3-메틸펜탄-1,5-디올, 2,5-디메틸-1,3-헥산디올,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1,2-시클로헥산디올, 1,4-시클로헥산디올, 1,4-비스(히드록시메틸)시클로헥산, 네오펜틸글리콜과 히드록시피발산의 모노에스테르,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4-(2-히드록시프로필)페닐]프로판,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테트라프로필렌 글리콜, 3-티오펜탄-1,5-디올,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및 폴리테트라히드로푸란이며, 각 경우의 분자량은 200 내지 10,000이다. 에틸렌 옥사이드 또는 프로필렌 옥사이드의 단독중합체 이외에, 에틸렌 옥사이드 또는 프로필렌 옥사이드의 블록 공중합체 또는 혼입된 에틸렌 옥사이드 및 프로필렌 옥사이드 기를 함유하는 공중합체가 사용될 수 있다. 2개 이상의 OH 기를 갖는 기본 알코올의 예는 트리메틸올프로판, 글리세롤, 펜타에리트리톨, 1,2,5-펜탄트리올, 1,2,6-헥산트리올, 트리에톡시시아누르산, 소르비탄 및 당, 예를 들면 수크로오스, 글루코오스 및 만노오스이다. 물론, 다가 알코올은 에틸렌 옥사이드 또는 프로필렌 옥사이드와의 반응 후에 해당하는 에톡실레이트 또는 프로폭실레이트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다가 알코올은 먼저 에피클로로히드린과의 반응에 의해 해당하는 글리시딜 에테르로 변환될 수 있다.
추가의 적합한 가교제 d)는 일가 불포화 알코올과 에틸렌계 불포화 C3- 내지 C6-카르복실산, 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산 또는 푸마르산과의 에스테르 또는 비닐 에스테르이다. 그러한 알코올의 예는 알릴 알코올, 1-부텐-3-올, 5-헥센-1-올, 1-옥텐-3-올, 9-데센-1-올, 디시클로펜테닐 알코올, 10-운데센-1-올, 신남산 알코올, 시트로넬롤, 크로틸 알코올 또는 시스-9-옥타데센-1-올이다. 그러나, 일가 불포화 알코올은 또한 일염기성 카르복실산, 예를 들면 말론산, 타르타르산, 트리멜리트산, 프탈산, 테레프탈산, 시트르산 또는 숙신산으로 에스테르화될 수 있다.
추가의 적합한 가교제 d)는 상기한 다가 알코올과 불포화 카르복실산, 예를 들면 올레산, 크로톤산, 신남산 또는 10-운데센산의 에스테르이다.
또한, 지방족 탄화수소, 예를 들면 디비닐벤젠, 디비닐톨루엔, 1,7-옥타디엔, 1,9-데카디엔, 4-비닐-1-시클로헥센, 트리비닐시클로헥산 또는 폴리부타디엔의 경우에 콘쥬게이트되지 않아야 하는 2개 이상의 이중 결합을 갖는, 200 내지 20,000의 분자량을 갖는 직쇄 또는 분지된, 선형 또는 환식 지방족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가 적합하다.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및 말레산과 같은 불포화 카르복실산, 및 1,2-디아미노메탄, 1,2-디아미노에탄, 1,3-디아미노프로판, 1,4-디아미노부탄, 1,6-디아미노헥산, 1,12-도데칸디아민, 피페라진, 디에틸렌트리아민 또는 이소포론디아민과 같은 적어도 이관능성 아민의 N-알릴아민의 아미드가 또한 적합하다. 알릴아민 및 불포화 카르복실산, 예를 들면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또는 말레산, 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적어도 이가 카르복실산의 아미드가 또한 적합하다.
트리알릴아민 또는 해당하는 암모늄염, 예를 들면 트리알릴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또는 메틸설페이트가 가교제로서 또한 적합하다.
또한, 우레아 유도체, 적어도 이관능성 아미드, 시아누레이트 또는 우레탄, 예를 들면 우레아, 에틸렌우레아, 프로필렌우레아 또는 타르타르아미드의 N-비닐 화합물, 예를 들면 N,N'-디비닐에틸렌우레아 또는 N,N'-디비닐프로필렌우레아가 사용될 수 있다.
추가의 적합한 가교제는 디비닐디옥산, 테트라알릴실란 또는 테트라비닐실란이다.
특히 바람직한 가교제는 예를 들면 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 디비닐벤젠, 트리알릴아민 및 트리알릴암모늄염, 디비닐이미다졸, N,N'-디비닐에틸렌우레아, 다가 알코올과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반응 생성물, 에틸렌 옥사이드 및(또는) 프로필렌 옥사이드 및(또는) 에피클로로히드린과 반응된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또는 다가 알코올의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및 아크릴산 에스테르, 및 다가 알코올, 예를 들면 1,2-에탄디올, 1,4-부탄디올,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글리세롤, 펜타에리트리톨, 소르비탄 및 당, 예를 들면 수크로오스, 글루코오스 또는 만노오스의 알릴 또는 비닐 에테르이다.
아주 특히 바람직한 가교제는 펜타에리트리틸 트리알릴 에테르, 당, 예를 들면 수크로오스, 글루코오스 또는 만노오스의 알릴 에테르, 디비닐벤젠, 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 N,N'-디비닐에틸렌우레아 및 글리콜, 부탄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또는 글리세롤의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또는 에틸렌 옥사이드 및(또는) 에피클로로히드린과 반응된 글리콜, 부탄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또는 글리세롤의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이다.
가교성 단량체의 양은 0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 중량%이다.
신규 중합체의 제조를 위한 중합 반응에서, 임의로 기타 중합체,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의 단독중합체 및 공중합체가 임의로 존재할 수도 있다. 그중 일부는 화장품에서 사용되기도 하는 중합체의 예는 상품명 아머홀드 (Amerhold)TM, 울트라홀드 (Ultrahold)TM, 울트라홀드 스트롱 (Ultrahold Strong)TM, 루비플렉스 (Luviflex)TMVBM, 루비머 (Luvimer)TM, 아크로날 (Acronal)TM, 아쿠다인 (Acudyne)TM, 스테판홀드 (Stepanhold)TM, 로보크릴 (Lovocryl)TM, 베르사틸 (Versatyl)TM, 암포머 (Amphomer)TM또는 이스트마 (Eastma) AQTM로 공지된 중합체이다.
예를 들어, 무기 염기, 예를 들면 탄산 나트륨,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및 암모니아, 유기 염기, 예를 들면 아미노 알코올, 특히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트리[(2-히드록시)-1-프로필]아민, 2-아미노-2-메틸-1,3-프로판디올, 2-아미노-2-히드록시메틸-1,3-프로판디올 및 디아민, 예를 들면 리신이 산기를 갖는 단량체에 대한 중화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중합체의 제조를 위해, 성분 a) 및 성분 b)의 단량체는 그래프팅 베이스 c)의 존재하에 자유 라디칼 개시제의 도움과 고에너지 방사선의 작용 (이는 또한 고에너지 전자의 작용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됨)에 의해 중합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한 통상적인 퍼옥소 및(또는) 아조 화합물은 자유 라디칼 중합을 위한 개시제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알칼리 금속 또는 암모늄 퍼옥소디설페이트, 디아세틸 퍼옥사이드, 디벤조일 퍼옥사이드, 숙시닐 퍼옥사이드, 디-tert-부틸 퍼옥사이드, tert-부틸 퍼벤조에이트, tert-부틸 퍼피발레이트, tert-부틸 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tert-부틸 퍼말레에이트, 쿠밀 히드로퍼옥사이드, 디이소프로필 퍼옥소디카르바메이트, 비스(o-톨루오일) 퍼옥사이드, 디데카노일 퍼옥사이드, 디옥타노일 퍼옥사이드, 디라우로일 퍼옥사이드, tert-부틸 퍼이소부티레이트, tert-부틸 퍼아세테이트, 디-tert-아밀 퍼옥사이드, tert-부틸 히드로퍼옥사이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 디히드로클로라이드 또는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이 있다. 개시제 혼합물 또는 레독스 개시제 시스템, 예를 들면 아스코르브산/황산 철 (II)/과황산 나트륨, tert-부틸 히드로퍼옥사이드/중아황산 나트륨, 및 tert-부틸 히드로퍼옥사이드/히드록시메탄술폰산 나트륨이 또한 적합하다.
유기 퍼옥사이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중합은 또한 임의로 UV 개시제의 존재하에 자외선의 작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UV 작용 하의 중합을 위하여, 이러한 목적에 통상적인 적합한 광개시제 또는 증감제가 사용된다. 이들의 예는 벤조인 및 벤조인 에테르, α-메틸벤조인 또는 α-페닐벤조인과 같은 화합물이다. 벤질 디케탈과 같은 삼중 증감제가 사용될 수도 있다. 탄소 아크 램프, 수은 증기 램프 또는 크세논 램프와 같은 고에너지 UV 램프 이외에 사용되는 UV 방사선원은 예를 들면 저-UV 광원, 예를 들면 청색 함량이 높은 형광등이다.
사용된 개시제 또는 개시제 혼합물의 양은 사용된 단량체 기준으로 0.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중량%이다.
중합은 40 내지 200 ℃,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40 ℃, 특히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10 ℃에서 실시된다. 중합은 대기압 하에서 수행되지만, 감압 또는 초대기압,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bar 하에 일어날 수도 있다.
중합은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용액 중합, 괴상 중합, 유화 중합, 역유화 중합, 현탁 중합, 역현탁 중합 또는 침전 중합으로서 수행될 수 있다. 중합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침전 중합으로서 수행된다.
괴상 중합에서는, 그래프팅 베이스 c)를 성분 a) (N-비닐포름아미드)의 단량체 및 성분 b)의 추가의 공단량체에 용해시키고, 중합 개시제를 첨가한 후에 혼합물을 중합 반응시키는 절차를 이용할 수 있다. 중합은 처음에 중합될 혼합물의 일부, 예를 들면 10%를 제공하고, 그래프팅 베이스 c), 단량체 a), 성분 b)의 추가의 공단량체 및 개시제를 첨가하고, 그 혼합물을 중합 온도로 가열하고, 중합 개시 후에 중합 진행에 따라 중합될 혼합물의 나머지를 첨가함으로써 반연속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중합체는 처음에 그래프팅 베이스 c)를 반응기에 넣고, 그것을 중합 온도로 가열하고, 성분 a)의 단량체, 성분 b)의 추가의 공단량체 및 중합 개시제를 모두 한꺼번에, 또는 배치식으로 또는 바람직하게는 연속적으로 첨가하여 중합을 실시함으로써 얻어질 수도 있다.
필요시에, 상기한 중합은 용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적합한 용매는 예를 들면 알코올,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sec-부탄올, tert-부탄올, n-헥산올 및 시클로헥산올, 및 글리콜, 예를 들면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및 부틸렌 글리콜, 및 이가 알코올,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롤 및 디옥산의 메틸 또는 에틸 에테르이다. 중합은 또한 용매로서 물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초기에는 첨가된 성분 a)의 단량체의 양에 따라서 물에 다소 가용성인 용액이 존재한다. 중합 중에 형성할 수 있는 수불용성 생성물을 용해시키기 위해, 탄소 원자수 1 내지 3의 일가 알코올, 아세톤 또는 디메틸포름아미드와 같은 유기 용매가 첨가될 수 있다. 그러나, 수중에서 중합시에 통상의 유화제 또는 보호 콜로이드, 예를 들면 폴리비닐 알코올을 첨가하여 수불용성 중합체를 미분 분산액으로 변화시키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유화제, 예를 들면 HLB 값이 3 내지 13인 이온성 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사용된다. HLB 값의 정의를 위하여, 문헌 [W.C. Griffin, J. Soc. Cosmetic Chem. 5 (1954), 249]을 참고하면 된다.
계면활성제의 양은 중합체를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이다. 물이 용매로서 사용될 때, 중합체의 용액 또는 분산액이 얻어진다. 유기 용매 또는 유기 용매와 물의 혼합물 중의 중합체의 용액을 제조한다면, 중합체 100 중량부 당 5 내지 200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0 중량부의 유기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이 사용된다.
- 10 내지 90 중량%의 N-비닐포름아미드,
- 1 내지 60 중량%의 1종 이상의 공중합성 단량체 b), 특히 화학식 I의 단량체,
- 10 내지 80 중량%의, 특히 500 내지 50,000의 분자량을 갖는 중합성 그래프팅 베이스 c),
- 0 내지 10 중량%의 1종 이상의 가교성 단량체 d)를
총량이 100%가 되도록 하여 자유 라디칼 그래프트 공중합시킴으로써 생성되는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 20 내지 80 중량%의 N-비닐포름아미드,
- 10 내지 60 중량%의 1종 이상의 공중합성 단량체 b), 특히 화학식 I의 단량체,
- 20 내지 70 중량%의, 특히 500 내지 50,000의 분자량을 갖는 중합성 그래프팅 베이스 c),
- 0 내지 5 중량%의 1종 이상의 가교성 단량체 d)를
총량이 100%가 되도록 하여 자유 라디칼 그래프트 공중합시킴으로써 생성되는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 40 내지 80 중량%의 N-비닐포름아미드,
- 10 내지 40 중량%의 1종 이상의 공중합성 단량체 b), 특히 화학식 I의 단량체,
- 20 내지 80 중량%의, 특히 500 내지 50,000의 분자량을 갖는 중합성 그래프팅 베이스 c),
- 0 내지 2 중량%의 1종 이상의 가교성 단량체 d)를
총량이 100%가 되도록 하여 자유 라디칼 그래프트 공중합시킴으로써 생성되는 중합체가 아주 특히 바람직하다.
신규 중합체의 바람직한 제조 방법은 침전 중합이다. 중합을 위한 출발 물질이 가용성이고 형성된 중합체가 불용성인 용매가 이러한 중합에 사용된다. 적합한 용매는 예를 들면 방향족 탄화수소, 예를 들면 톨루엔, 크실렌, 벤젠 또는 지방족 탄화수소, 예를 들면 n-알칸, 시클로헥산, 아세트산 에스테르, 예를 들면 에틸 아세테이트 또는 부틸 아세테이트, 에테르, 예를 들면 디에틸 에테르, 디프로필 에테르, 디부틸 에테르, 메틸 tert-부틸 에테르 또는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 케톤, 예를 들면 아세톤 또는 메틸 에틸 케톤, 및 이들 용매의 혼합물이다. 예를 들면, 에틸 아세테이트와 부틸 아세테이트의 혼합물이 특히 적합한데, 그 이유는 이 용매 혼합물에서 중합체가 쉽게 단리될 수 있는 형태로 얻어지고 (침강이 촉진됨) 더우기 부틸 아세테이트와 에틸 아세테이트의 혼합물에서의 반응 온도가 에틸 아세테이트의 비등에 의한 동시 증발 냉각으로 에틸 아세테이트의 비점 이상이 되도록 선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사용될 수 있는 개시제는 용액 중합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모든 개시제이다. 사용된 단량체를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5 중량%의 개시제가 사용된다.
침전 중합은 일반적으로 20 내지 150 ℃,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20 ℃, 특히 60 내지 100 ℃에서 수행된다.
침전 중합은 일반적으로 1 내지 15 bar, 특히 1 내지 6 bar에서 수행된다.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은 중합이 대기압에서 실시된다면 해당하는 비점을 통해 최대 반응 온도를 결정한다. 그러나, 압력 하의 중합도 적합하다.
일반적으로, 침전 중합은 약 40% 이하의 고형분 함량에서 수행될 수 있다. 25 내지 4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특히, 높은 고형분 함량에서는 보호 콜로이드 중합체의 존재하에 중합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 콜로이드 중합체는 사용된 용매에 쉽게 용해되고 단량체와 반응하지 않는 것이 적합하다. 적합한 중합체는 예를 들면 말레산과 비닐 알킬 에테르 및(또는) 탄소 원자수 8 내지 20의 올레핀의 공중합체 또는 C10-C20 알코올과의 말레산 모노에스테르 또는 말레산과 C10-C20 알킬아민 모노- 및 디아미드 및 탄소 원자수 1 내지 20의 알킬기를 가진 폴리비닐 알코올 에테르, 또는 폴리비닐 메틸, 에틸, 이소부틸 또는 옥타데실 에테르의 상응하는 공중합체이다. 사용된 보호 콜로이드 중합체의 양은 일반적으로 0.05 내지 4,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 중량% (단량체 기준)이다. 종종, 다수의 보호 콜로이드 중합체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중합은 처음에 용매, 그래프팅 베이스, 보호 콜로이드 중합체 및 임의로 가교제를 제공하고, 그것들을 가열하고, 개시제 및 단량체 (동일한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에 용해될 수 있음)를 첨가하여 중합시킴으로써 수행된다. 그러한 단량체 및 개시제의 일부를 초기에 제공하고 (예를 들면, 10%), 이 혼합물을 중합 온도로 가열하고, 반응 개시 후에 중합될 혼합물의 나머지를 중합 진행 정도에 따라서 첨가한다. 사용되는 가교제를 처음에 일부분 제공하거나 처음에 전혀 제공하지 않고 첨가될 나머지를 나머지 성분과 함께 제공할 수도 있다. 비교적 낮은 고형분 함량에서는, 처음에 모든 출발 물질을 일 배치 반응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단량체 및 개시제는 일반적으로 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시간 내에 계량 첨가된다.
그후에, 침전된 중합체는 반응 혼합물로부터 단리되며, 그 목적을 위해 종래의 침전 중합에서 중합체를 단리하기 위한 임의의 일반적인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그러한 방법은 여과, 원심분리, 용매의 증발 또는 이들의 조합된 방법이다. 중합되지 않은 성분들을 제거하기 위한 중합체의 추가의 정제를 위하여, 중합체를 세척한다. 이를 위하여, 원리적으로 중합하는데 적합한 것과 동일한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중합체의 용이한 건조를 위하여, 아세톤과 같은 저비점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규 그래프트 공중합체는 중합 후에 가수분해될 수 있다. 가수분해에 의해, 양이온성 기가 중합체에서 생성된다. 이는 화장품 용도에서 증가된 수용해도 및 개선된 콘디셔닝 특성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한 그래프트 공중합체로부터, 중합체에 혼입된 N-비닐포름아미드로부터 포르밀기를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제거하여 아미노 또는 암모늄 기를 형성함으로써 하기 화학식의 단위가 얻어진다.
<화학식 IV>
및(또는)
<화학식 V>
상기 화학식 IV 및 V에서, 치환기 R' 및 R"은 각각 상기한 의미를 갖는다. 가수분해에서 선택된 반응 조건에 따라서, 단위 (IV)의 부분적인 또는 완전한 가수분해가 이루어진다.
가수분해에 반응하지 않는 비닐피롤리돈 단위 이외에, 그래프팅 베이스가 가수분해에 반응하는 공단량체, 예를 들면 비닐 아세테이트 또는 아크릴아미드를 또한 함유한다면, 가수분해는 그래프팅 베이스에서도 일어난다. 따라서, 비닐 아세테이트는 반응하여 비닐 알코올기를 제공하고, 아크릴아미드는 아크릴산기를 제공한다.
적합한 가수분해제는 할로겐화 수소와 같은 무기산이며, 이는 기체 형태로또는 수용액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염화수소산, 황산, 질산 및 인산 및 유기산, 예를 들면 C1- 내지 C5-카르복실산, 및 지방족 또는 방향족 술폰산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중합된 단위 (IV)로부터 제거될 포르밀기 당량 당 0.05 내지 2,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 몰 당량의 산이 필요하다.
화학식 IV의 중합된 단위의 가수분해는 염기, 예를 들면 금속 수산화물, 특히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수산화 나트륨 또는 수산화 칼륨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가수분해는 또한 임의로 암모니아 또는 아민 존재하에 수행될 수 있다.
산성 또는 알칼리성 pH 범위에서의 가수분해는 예를 들면 30 내지 170 ℃,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20 ℃에서 실시된다. 가수분해는 약 2 내지 8,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 시간 후에 종결된다. 이러한 반응 시간 후에, 화학식 I의 중합된 단량체 단위의 1 내지 100% 가수분해도가 이루어진다. 가수분해를 위해 수용액에 염기 또는 산을 첨가되는 방법이 특히 유용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가수분해 후에, 중화는 일반적으로 가수분해된 중합체 용액의 pH가 2 내지 8,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이 되도록 수행된다. 중화는 부분적으로 가수분해된 중합체의 가수분해가 진행되지 않거나 지연될 때 필요하다. 가수분해는 또한 효소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제조된 중합체는 이후에 중합체에 존재하는 히드록실 및(또는) 아미노 관능기와 하기 화학식 X의 에폭시드 (R31= C1- 내지 C40-알킬)의 반응에 의해 양이온화될 수 있다.
비닐포름아미드의 가수분해에 의해 형성된, 폴리비닐 알코올 단위 및 비닐아민 단위의 히드록실기가 에폭시드와 바람직하게 반응될 수 있다. 화학식 X의 에폭시드는 또한 상응하는 클로로히드린과 염기, 예를 들면 수산화 나트륨과의 반응에 의해 반응계 내에서 생성될 수 있다. 2,3-에폭시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또는 3-클로로-2-히드록시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중합체의 K 값은 10 내지 300,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250, 특히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200, 아주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50이어야 한다. 각 경우에 바람직한 K 값은 출발 물질의 조성에 의해 공지된 방법으로 얻어질 수 있다. K 값은 문헌 [Fikentscher, Cellulosechemie 13 (1932), 58-64 및 71-74]에 기재된 바에 따라서 N-메틸피롤리돈 중 25 ℃에서 K 값 범위에 따라 0.1 내지 5 중량%의 중합체 농도에서 결정된다.
용매를 제거하기 위해, 중합체 용액은 수증기 증류될 수 있다. 수증기 증류 후에, 성분들의 선택에 따라서 수용액 또는 분산액이 얻어진다.
얻어진 중합체는 또한 중합체 내의 히드록실기 또는 아미노기와 적어도 이관능성 시약과의 반응에 의해 후-가교될 수 있다. 가교결합도가 낮은 경우에 수용성생성물이 얻어지며, 가교결합도가 높은 경우에는 수팽윤성 또는 수불용성 생성물이 얻어진다. 예를 들면, 신규 중합체는 디알데히드 및 디케톤, 예를 들면 글리옥살, 글루타르알데히드, 숙신알데히드 또는 테레프탈알데히드와 반응될 수 있다. 또한, 지방족 또는 방향족 카르복실산, 예를 들면 말레산, 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또는 시트르산, 또는 카르복실산 유도체, 예를 들면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무수물 또는 할로겐화물이 적합하다. 다관능성 에폭시드, 예를 들면 에피클로로히드린,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1,4-부탄디올 디글리시딜 에테르 또는 1,4-비스(글리시딜옥시)벤젠이 또한 적합하다. 디이소시아네이트, 예를 들면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디비닐 술폰이 또한 적합하다.
무기 화합물, 예를 들면 붕산 또는 붕산염, 예를 들면 메타붕산 나트륨, 보락스 (테트라붕산 이나트륨), 및 다가 양이온의 염, 예를 들면 아세트산 구리 (II)와 같은 구리 (II) 염, 또는 아연, 알루미늄 또는 티타늄 염이 또한 적합하다.
붕산 또는 붕산염, 예를 들면 메타붕산 나트륨 또는 테트라붕산 이나트륨이 후-가교하는데 적합하다. 바람직하게는 염 용액으로서의 붕산 또는 붕산염이 신규 중합체의 용액에 첨가될 수 있다. 붕산 또는 붕산염이 중합체 수용액에 바람직하게 첨가된다.
붕산 또는 붕산염은 제조 직후에 중합체 용액에 첨가될 수 있다. 그러나, 붕산 또는 붕산염을 신규 중합체를 가진 화장품 제제에 차후에 첨가하거나 또는 화장품 제제의 제조 과정 중에 첨가할 수도 있다.
붕산 또는 붕산염의 양은 신규 중합체를 기준으로 0 내지 15,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0, 특히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 중량%이다.
중합체 용액 및 분산액은 각종 건조 방법, 예를 들면 분무 건조, 유동화 분무 건조, 드럼 건조 또는 동결 건조에 의해 분말 형태로 변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건조 방법은 분무 건조이다. 수용액 또는 분산액은 물에 용해시키거나 재분산시킴으로써 결과의 건조 중합체 분말로부터 다시 제조될 수 있다. 분말 형태로의 변환은 우수한 저장성, 운송 용이성 및 미생물 공격을 덜 받는 잇점을 갖고 있다.
신규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그래프트 공중합체는 화장품 제제에, 특히 증점제로서 사용하기에 아주 적합하다.
신규 중합체는 양호한 모발 셋팅 특성을 가지며 동시에 우수한 겔 형성제인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므로, 그것은 증점된 화장품 제제 (예를 들면, 젤)에 특히 적합하며, 통상의 증점제의 첨가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신규 중합체는 모발 화장품 제제, 예를 들면 헤어 리페어 트리트먼트, 헤어 로션, 헤어 린스, 헤어 에멀젼, 손상 말단 (damaged end) 유액, 퍼머넌트 웨이브용 중화 조성물, 핫오일 트리트먼트 제제, 콘디셔너, 셋팅 로션 또는 헤어 스프레이에서 스타일링 조성물 및(또는) 콘디셔닝 조성물로서 적합하다. 사용 분야에 따라서, 모발 화장품 제제는 스프레이, 폼, 젤, 젤 스프레이 또는 무스로서 적용될 수 있다.
젤 또는 젤 스프레이에서의 용도가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신규 모발 화장품 제제는
a) 0.05 내지 20 중량%의 신규 중합체,
b) 20 내지 99.95 중량%의 물 및(또는) 알코올 및
c) 0 내지 79.5 중량%의 추가의 성분들을 함유한다.
알코올은 화장품에서 통용되는 모든 알코올, 예를 들면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및 n-프로판올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추가의 성분들은 화장품에서 통용되는 첨가제, 예를 들면 추진제, 소포제, 표면 활성 화합물, 즉 계면활성제, 유화제, 발포제 및 가용화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사용된 표면 활성 화합물은 음이온성, 양이온성, 양성 또는 중성일 수 있다. 추가의 통상의 성분들은 또한 예를 들면 보존제, 퍼퓸 오일, 불투명제, 활성 성분, UV 필터, 케어 물질, 예를 들면 판텐올, 콜라겐, 비타민, 단백질 가수분해 생성물, 알파- 및 베타-히드록시카르복실산, 안정화제, pH 조절제, 염료, 점도 조절제, 겔 형성제, 염, 보습제, 윤기 부여제 (refatting agent) 및 추가의 통상의 첨가제일 수 있다.
이들은 또한 화장품 분야에 공지된 모든 스타일링 및 콘디셔너 중합체를 포함하며 아주 특별한 성질을 얻어야 한다면 신규 중합체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모발 화장품에 적합한 통상의 중합체는 예를 들면 음이온성 중합체이다. 그러한 음이온성 중합체는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 또는 그의 염의 단독- 및 공중합체, 아크릴산 및 아크릴아미드 및 그의 염의 공중합체; 폴리히드록시카르복실산의나트륨염,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Luviset (등록상표) P.U.R.) 및 폴리우레아이다. 특히 적합한 중합체는 tert-부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산의 공중합체 (예를 들면, Luvimer (등록상표) 100P), N-tert-부틸아크릴아미드, 에틸 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의 공중합체 (Ultrahold (등록상표) 8, strong), 비닐 아세테이트, 크로톤산 및 임의로 추가의 비닐 에스테르의 공중합체 (예를 들면, Luviset (등록상표) 등급), 임의로 알코올과 반응된 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음이온성 폴리실록산, 예를 들면 비닐피롤리돈, tert-부틸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산의 카르복시관능성 공중합체 (예를 들면, Luviskol (등록상표) VBM)이다.
120 이상의 산가를 갖는 아크릴레이트 및 tert-부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산의 공중합체가 음이온성 중합체로서 아주 특히 바람직하다.
모발 화장품에 적합한 추가의 중합체는 INCI에 따른 명칭 폴리쿼터늄을 갖는 양이온성 중합체, 예를 들면 비닐피롤리돈/N-비닐이미다졸륨 염의 공중합체 (Luviquat (등록상표) FC, Luviquat (등록상표) HM, Luviquat (등록상표) MS, Luviquat (등록상표) Care), 디에틸 설페이트로 4차화된, N-비닐피롤리돈/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 (Luviquat (등록상표) PQ 11), N-비닐카프로락탐, N-비닐피롤리돈/N-비닐이미다졸륨 염의 공중합체 (Luviquat (등록상표) Hold);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쿼터늄-4 및 -10), 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폴리쿼터늄-7)이다.
중성 중합체, 예를 들면 폴리비닐피롤리돈, N-비닐피롤리돈 및 비닐 아세테이트 및(또는) 비닐 프로피오네이트의 공중합체, 폴리실록산, 폴리비닐카프로락탐, 및 N-비닐피롤리돈, 폴리에틸렌이민 및 그의 염, 폴리비닐아민 및 그의 염,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아스파르트산 염 및 유도체와의 공중합체가 모발 화장품을 위한 추가의 중합체로서 적합하다.
특정 성질을 얻기 위하여, 제제는 실리콘 화합물을 기재로 하는 콘디셔닝 물질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적합한 실리콘 화합물은, 예를 들면 폴리알킬실록산, 폴리아릴실록산, 폴리아릴알킬실록산, 폴리에테르실록산, 실리콘 수지 또는 디메티콘 코폴리올 (CTFA) 및 아미노 관능성 실리콘 화합물, 예를 들면 아모디메티콘 (CTFA)이다.
신규 중합체는 헤어스타일링 제제, 특히 헤어 스프레이 (에어로졸 스프레이 및 추진제 없는 펌프 스프레이) 및 헤어 폼 (에어로졸 폼 및 추진제 없는 펌프 폼), 특히 젤 및 젤 스프레이에서 셋팅 조성물로서 특히 적합하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이들 제제는
a) 0.1 내지 10 중량%의 신규 중합체,
b) 20 내지 99.9 중량%의 물 및(또는) 알코올,
c) 0 내지 70 중량%의 추진제, 및
d) 0 내지 20 중량%의 추가의 성분들을 함유한다.
추진제는 헤어 스프레이 또는 에어로졸 폼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추진제이다. 프로판/부탄, 펜탄, 디메틸 에테르, 1,1-디플루오로에탄 (HFC-152a), 이산화탄소, 질소 또는 압축 공기의 혼합물이 적합하다.
에어로졸 헤어 폼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제는
a) 0.1 내지 10 중량%의 신규 중합체,
b) 55 내지 94.8 중량%의 물 및(또는) 알코올,
c) 5 내지 20 중량%의 추진제,
d) 0.1 내지 5 중량%의 유화제, 및
e) 0 내지 10 중량%의 추가의 성분들을 함유한다.
사용될 수 있는 유화제는 헤어 폼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유화제이다. 적합한 유화제는 비이온성, 양이온성 또는 음이온성일 수 있다.
비이온성 유화제의 예 (INCI 명명법)는 라우레쓰, 예를 들면 라우레쓰-4; 세테쓰, 예를 들면 세테쓰-1, 폴리에틸렌 글리콜 세틸 에테르; 세테아레쓰, 예를 들면 세테아레쓰-25, 폴리글리콜 지방산 글리세리드, 히드록실화 레시틴, 지방산의 락틸 에스테르, 알킬폴리글리코시드이다.
양이온성 유화제의 예는 인산 이수소 세틸디메틸-2-히드록시에틸암모늄, 염화 세틸트리모늄, 브롬화 세틸트리모늄, 메틸황산 코코트리모늄, 쿼터늄-1 비스 x (INCI)이다.
음이온성 유화제는 예를 들면 알킬 설페이트,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 알칸술포네이트, 알킬아릴술포네이트, 알킬숙시네이트, 알킬술포숙시네이트, N-알코일사르코시네이트, 아실타우레이트, 아실이세티오네이트, 알킬포스페이트, 알킬 에테르 포스페이트, 알킬 에테르 카르복실레이트, 알파-올레핀술포네이트, 특히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 염, 예를 들면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칼슘 및 암모늄 및 트리에탄올아민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 에테르 포스페이트 및 알킬 에테르 카르복실레이트는 분자 중에 1 내지 10개의 에틸렌 옥사이드 또는 프로필렌 옥사이드 단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개의 에틸렌 옥사이드 단위를 가질 수 있다.
신규 중합체는 그의 증점 효과로 인해 화장품 제제에서 유일한 겔 형성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그것은 또한 통상의 겔 형성제와 함께 사용되기에 적합하다.
놀랍게도, 맑은 젤을 얻을 수 있다.
스타일링 젤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적합한 제제는 예를 들면
a) 0.1 내지 10 중량%의 신규 중합체,
b) 60 내지 99.85 중량%의 물 및(또는) 알코올,
c) 0.05 내지 10 중량%의 겔 형성제, 및
d) 0 내지 20 중량%의 추가의 성분들을 가질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겔 형성제는 화장품에 통용되는 모든 겔 형성제이다. 이들은 쉽게 가교되는 폴리아크릴산, 예를 들면 카르보머 (INCI), 셀룰로오스 유도체, 예를 들면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양이온 변성된 셀룰로오스,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면 크산탄 검, 카프릴/카프르산 트리글리세리드, 아크릴산 나트륨 공중합체, 폴리쿼터늄-32 (및) 액상 파라핀 (INCI), 아크릴산 나트륨 공중합체 (및) 액상 파라핀 (및) PPG-1 트리데세쓰-6, 아크릴아미도프로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스테아레쓰-10 알릴 에테르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폴리쿼터늄-37 (및) 액상 파라핀 (및) PPG-1 트리데세쓰-6, 폴리쿼터늄-37 (및) 프로필렌 글리콜 디카프레이트 디카프릴레이트 (및) PPG-1 트리데세쓰-6, 폴리쿼터늄-7, 폴리쿼터늄-44를 포함한다.
신규 중합체는 또한 셋팅 및(또는) 콘디셔닝 조성물로서 샴푸 제제에 사용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샴푸 제제는
a) 0.05 내지 10 중량%의 신규 중합체,
b) 25 내지 94.95 중량%의 물,
c) 5 내지 50 중량%의 계면활성제,
d) 0 내지 5 중량%의 추가의 콘디셔닝 조성물, 및
e) 0 내지 10 중량%의 추가의 화장품 성분을 함유한다.
샴푸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음이온성, 중성, 양성 또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샴푸 제제에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예를 들면 예를 들면 알킬 설페이트,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 알칸술포네이트, 알킬아릴술포네이트, 알킬숙시네이트, 알킬술포숙시네이트, N-알코일사르코시네이트, 아실타우레이트, 아실이세티오네이트, 알킬포스페이트, 알킬 에테르 포스페이트, 알킬 에테르 카르복실레이트, 알파-올레핀술포네이트, 특히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 염, 예를 들면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칼슘 및 암모늄 및 트리에탄올아민 염이다.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 에테르 포스페이트 및 알킬 에테르 카르복실레이트는 분자 중에 1 내지 10개의 에틸렌 옥사이드 또는 프로필렌 옥사이드 단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개의 에틸렌 옥사이드 단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소듐 라우릴설페이트, 암모늄 라우릴설페이트, 소듐 라우릴 에테르 설페이트, 암모늄 라우릴 에테르 설페이트, 소듐 라우로일사르코시네이트, 소듐 올레일숙시네이트, 암모늄 라우릴술포숙시네이트, 소듐 도데실벤젠술포네이트 및 트리에탄올아민도데실벤젠술포네이트가 적합하다.
적합한 양성 계면활성제는 예를 들면 알킬베타인, 알킬아미도프로필베타인, 알킬술포베타인, 알킬글리시네이트, 알킬카르복시글리시네이트, 알킬암포아세테이트 또는 -프로피오네이트, 알킬암포디아세테이트 또는 -디프로피오네이트이다. 예를 들면, 코코디메틸술포프로필베타인, 라우릴베타인,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또는 소듐 코캄포프로피오네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예를 들면 선형 또는 분지될 수 있는, 알킬 사슬 내에 6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족 알코올 또는 알킬페놀과, 에틸렌 옥사이드 및(또는) 프로필렌 옥사이드의 반응 생성물이다. 알킬렌 옥사이드의 양은 알코올의 몰 당 약 6 내지 60 몰이다. 또한, 알킬아민 옥사이드, 모노- 또는 디알킬알칸올아미드,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지방산 에스테르, 알킬폴리글리코시드 또는 소르비탄 에테르 에스테르가 적합하다.
삼푸 제제는 또한 통상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예를 들면 4차 암모늄 화합물, 예를 들면 세틸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를 함유할 수 있다.
샴푸 제제에서, 통상의 콘디셔닝 조성물은 특정 효과를 얻기 위해 신규 중합체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의 예는 INCI에 따른 명칭 폴리쿼터늄을 갖는 양이온성 중합체, 특히 비닐피롤리돈/N-비닐이미다졸륨 염의 공중합체 (Luviquat (등록상표) FC, Luviquat (등록상표) HM, Luviquat (등록상표) MS, Luviquat (등록상표) Care), 디에틸 설페이트로 사차화된, N-비닐피롤리돈/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 (Luviquat (등록상표) PQ 11), N-비닐카프로락탐/N-비닐피롤리돈/N-비닐이미다졸륨 염의 공중합체 (Luviquat (등록상표) Hold);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쿼터늄-4 및 -10), 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폴리쿼터늄-7)이다. 단백질 가수분해 생성물, 및 실리콘 화합물계 콘디셔닝 물질, 예를 들면 폴리알킬실록산, 폴리아릴실록산, 폴리아릴알킬실록산, 폴리에테르실록산 또는 실리콘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다른 적합한 실리콘 화합물은 디메티콘 코폴리올 (CTFA) 및 아미노 관능성 실리콘 화합물, 예를 들면 아모디메티콘 (CTFA)이다.
1. 침전 중합체 실시예 1 내지 7에 대한 일반적인 침전 방법
질소 공급기, 환류 응축기 및 계량 장치를 갖춘 교반 반응기에서, 초기에 제공된 혼합물을 질소 하에 87.5 ℃로 가열하였다. 공급물 1 및 2를 4시간 내에, 공급물 3을 5시간 내에 (3시간 내에 1/3 및 2시간 내에 2/3) 계량 첨가하였다. 95 ℃로 가열하고 이 온도에서 2시간 동안 중합을 실시하였다. 반응 종결 후에,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공급물 4로 희석시키고 침전된 중합체를 여과해내고, 아세톤으로 세척하고, 건조 흡입하고 75 ℃에서 진공 건조 오븐 (수류 펌프로부터 감압)에서건조시켰다.
모든 중합체는 > 95%의 수율로 분리되었다.
실시예 1 2 3 4 5 6 7
초기에 제공된 혼합물
n-부틸 아세테이트/에틸 아세테이트(중량비 2:1) 600 540 540 540 540 540 540
폴리에틸렌 글리콜 (M =35000) 105.6 108 108 108 108 108 108
폴리비닐에틸 에테르 K 값 (ISO1628-1에 따라서 THF 중 5%):10-17 (부틸아세테이트 중의 40% 농도 용액) 13.2 13.5 13.5 13.5 13.5 13.5 13.5
펜타에리트리틸 트리알릴 에테르(공업 등급, Aldrich) 1.48 2.16 2.16 2.16 2.16
공급물 3 8 7 7 7 7 7 7
공급물 1
n-부틸 아세테이트/에틸 아세테이트 197.12 99 99 99 99 76.5 96
N-비닐포름아미드 253.44 270 270 270 270 202.5 288
스테아릴 메타크릴레이트 42.24 27 27 27 27 27
공급물 2
n-부틸 아세테이트/에틸 아세테이트(중량비 2:1) 84.48 135 135 135 135 202.5 144
아크릴산 (AS) 126.72 135 135 135 135 202.5 144
공급물 3
n-부틸 아세테이트/에틸 아세테이트 156.83 156.76 156.76 158.38 158.38 156.76 156.76
tert-부틸 퍼옥타노에이트 3.17 3.24 3.24 1.62 1.62 3.24 3.24
공급물 4
아세톤 500 500 500 500 500 500 500
2. AMP로 중화된 수용액의 제조 방법
먼저 중합체 (실시예 1 내지 7에서의 각 경우) 8 g을 접지점 및 앵커형 교반기, 내부 온도계, 응축기 및 오일조를 갖춘 반응 플라스크에 넣고, 총 배치 기준으로 0.1%의 보존제 Euxyl (등록상표) K100 (이소티아졸리논 유도체 및 벤질 알코올의 용액, Schuelke & Mayr로부터 입수함) 및 물 400 g을 첨가하고 교반시키며 80 ℃로 가열하였다. 계산량의 염기 2-아미노-2-메틸프로판-1-올 (AMP)을 물 200 g과혼합하고 중합체 현탁액에 첨가하고 중합체가 용해될 때까지 80 ℃에서 교반을 계속하였다. 그후에, 800 g의 총 배치에 대한 나머지 양의 물을 교반 혼합하고 따뜻한 용액을 충전하였다.
3. 점도 측정
브룩필드에 따라서 25 ℃에서 점도를 측정하였다 (Brookfield viscometer LVDV-II+).
실시예 번호 AMP (물 중의 10% 농도) g 스핀들 점도 속도 CP
1 3 6 12897
2 24.4 4 30 12257
3 24.5 1 30 44.4
4 24.4 4 6 68278
5 24.5 1 30 23.4
6 36.6 4 30 7138
7 26.1 4 30 6259
4. 카르보폴 상용성
출발 물질: 상기 방법에 따른 중합체의 AMP 중화된 용액, 1% 농도 카르보폴 용액 (Carbopol 940), 트리에탄올아민
절차:
중합체 용액 100 g을 입구가 넓은 250 ㎖ 유리병에 넣고, 카르보폴 940의 1% 농도 수용액 98.68 g을 첨가하고 철저하게 혼합하였다. 그후에, 트리에탄올아민 1.32 g을 적가하고, 다시 한번 철저하게 혼합하고 얻어진 겔 또는 용액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번호 AMP 중화된 중합체 용액(2 아래 참조) 겔: 카르보폴 용액을 첨가한 중화된 중합체 용액(4 아래 참조)
1 - ++
2 ++ ++
4 ++ ++
6 - ++
7 - ++
등급:
사실상 맑은 용액 (+++) > 약간 혼탁한 용액 (++) > 상당히 혼탁한 용액 (+) > 혼탁한 용액 (-)
5. 셋팅 효과
배치: 최종 겔 50 g (1% 농도 AMP로 중화됨)
증류수 170 g
약 0.23%의 고형분 함량
굴곡 시험
칭량된, 건조한 모발 가닥을 희석 젤에 3회 통과시켜 빼내었다. 각각의 통과 후에, 과량을 손가락으로 긁어냈다. 마지막으로 적신 후에, 모발 가닥을 여과지 사이에서 눌렀다. 적셔진 모발 가닥을 칭량하고 모발이 둥근 단편이 되도록 모양을 만들었다. 가해진 양은 1.00 내지 1.30 g이었다 (점도에 좌우됨). 조정된 챔버 (20 ℃, 65% 상대 습도)에서 밤새 건조시킨 후에, 인장 시험기 (Franck로부터 입수함)를 사용하여 굴곡 시험 값을 측정하였다.
컬 (curl) 보유력:
건조한 모발 가닥을 희석 젤에 3회 통과시켜 빼내었다. 각각의 통과 후에, 과량을 손가락으로 긁어냈다. 마지막으로 적신 후에, 균일하게 적셔진 모발 가닥을 빗질하고 테플론 (Teflon) 막대 (Ø12 ㎜)에 감았다. 때때로, 모발 가닥을 다시 빗질하였다. 모발 가닥을 여과지 스트립 및 고무 고리에 의해 고정시켰다. 컬을 70 ℃에서 밤새 건조시켰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에, 여과지 및 고무 고리를제거하고 모발 가닥을 테플론 막대에서 조심스럽게 걷어냈다.
초기 길이 및 조정 챔버에서 5시간 처리 후의 길이를 측정하고 컬 보유력을 계산하였다.
실시예 번호 굴곡 시험 (cN) 컬 보유력 (%)
2 88 91
4 107 85
7 120 90
비교:
중합체 굴곡 시험 (cN) 컬 보유력 (%)
상품명 루비스콜 (Luviskol)(등록상표) VA64P로시판되는 비닐피롤리돈/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59 31
상품명 루비스콜 (등록상표) K30으로 시판되는폴리비닐피롤리돈 74 27
사용예
다음 제제를 각각 7종의 신규 중합체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7: 에어로졸 헤어 폼에 대한 제제:
2.00%의 실시예 1 내지 7의 공중합체
2.00%의 루비콰트 (등록상표) 모노 LS (코코 트리모늄 메틸 설페이트)
67.7%의 물
10.0%의 프로판/부탄 3.5 bar (20 ℃)
충분량의 퍼퓸 오일
비교예:
2.00%의 루비콰트 홀드 (폴리쿼터늄-46) 중합체 함량
2.00%의 루비콰트 (등록상표) 모노 LS (코코 트리모늄 메틸 설페이트)
67.7%의 물
10.0%의 프로판/부탄 3.5 bar (20 ℃)
충분량의 퍼퓸 오일
실시예 8 내지 14: 에어로졸 헤어 폼:
INCI
4.00%의 실시예 1 내지 7의 공중합체
0.20%의 크레모포르 (Cremophor)(등록상표) A 25 세테아레쓰-25
1.00%의 루비콰트 (등록상표) 모노 CP 히드록시에틸 세틸디모늄
포스페이트
5.00%의 에탄올
1.00%의 판텐올
10.0%의 프로판/부탄 3.5 bar (20 ℃)
충분량의 퍼퓸 오일
100%까지의 물
실시예 15 내지 21: 펌프 폼:
INCI
2.00%의 실시예 1 내지 7의 공중합체
2.00%의 루비플렉스 (Luviflex)(등록상표) 소프트 (중합체 함량)
1.20%의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0.20%의 크레모포르 (등록상표) A 25
0.10%의 유비눌 (Uvinul)(등록상표) P 25 PEG-25 PABA
충분량의 보존제
충분량의 퍼퓸 오일
100%까지의 물
실시예 22 내지 28: 펌프 스프레이:
INCI
4.00%의 실시예 1 내지 7의 공중합체
1.00%의 판텐올
0.10%의 유비눌 (등록상표) MS 40 벤조페논-4
충분량의 보존제
충분량의 퍼퓸 오일
100%까지의 물
실시예 29 내지 35: 펌프 스프레이:
INCI
4.00%의 실시예 1 내지 7의 공중합체
1.00%의 판텐올
0.10%의 유비눌 (등록상표) M 40 벤조페논-3
충분량의 보존제
충분량의 퍼퓸 오일
100%까지의 에탄올
실시예 36 내지 42: 헤어 스프레이:
INCI
5.00%의 실시예 1 내지 7의 공중합체
0.10%의 실리콘유 다우 코팅 DC 190 디메티콘 코폴리올
35.00%의 디메틸 에테르
5.00%의 n-펜탄
100%까지의 에탄올
충분량의 퍼퓸 오일
실시예 43 내지 49: 헤어 스프레이 VOC 55%:
INCI
3.00%의 실시예 1 내지 7의 공중합체
7.00%의 루비세트 (Luviset)(등록상표) P.U.R. 폴리우레탄-1
40.00%의 디메틸 에테르
15.00%의 에탄올
충분량의 퍼퓸 오일
100%까지의 물
실시예 50 내지 56: 헤어 젤:
INCI
0.50%의 카르보폴 (등록상표) 980 카르보머
3.00%의 실시예 1 내지 7의 공중합체
0.10%의 피탄트리올
0.50%의 판텐올
충분량의 퍼퓸 오일
충분량의 보존제
100%까지의 물
실시예 57 내지 64: 헤어 샴푸 또는 샤워 젤
INCI
0.50%의 실시예 1 내지 7의 공중합체
40.00%의 텍사폰 (Texapon)(등록상표) NSO 소듐 라우레쓰 설페이트
5.00%의 테고 베타인 (등록상표) L 7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
5.00%의 플란타케어 (Plantacare)(등록상표) 2000 데실 글루코시드
1.00%의 프로필렌 글리콜
충분량의 시트르산
충분량의 보존제
1.00%의 염화 나트륨
100%까지의 물
사용예 65 내지 71: 스킨 크림
수/오일 크림 에멀젼을 다음 배합표에 따라서 제조하였다:
첨가제 중량%
크레모포르 (등록상표) A 6 세테아레쓰-6 및 스테아릴 알코올 2.0
크레모포르 (등록상표) A 25 세테아레쓰-25 2.0
라네트 (Lanette)(등록상표) O 세테아릴 알코올 2.0
임위토르 (Imwitor)(등록상표) 960 K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SE 3.0
액상 파라핀 5.0
호호바 오일 4.0
루비톨 (Luvitol)(등록상표) EHO 세테아릴 옥타노에이트 3.0
ABIL(등록상표) 350 디메티콘 1.0
아머콜 (Amerchol)(등록상표) L 101 광물유 및 라놀린 알코올 3.0
비검 (Veegum)(등록상표) 울트라 규산 마그네슘 알루미늄 0.5
1,2-프로필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5.0
아비올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 0.3
페녹시에탄올 0.5
D-판텐올 USP 1.0
중합체 (제조예 1 내지 7) 0.5
100까지
사용예 72 내지 78: 샤워 젤
샤워 젤 제제를 다음 배합표에 따라서 제조하였다:
첨가제 중량%
텍사폰 (Texapon)(등록상표) NSO 소듐 라우레쓰 설페이트 40.0
테고 (Tego)(등록상표) 베타인 L7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 5.0
플란타케어 (등록상표) 2000 데실 글루코시드 5.0
퍼퓸 0.2
제조예 1 내지 7에 따른 중합체 0.2
유실 (Euxyl)(등록상표) K 100 벤질 알코올, 메틸클로로이소-티아졸리논,메틸이소티아졸리논 0.1
D-판텐올 USP 0.5
시트르산 (pH 6-7) 충분량
NaCl 2.0
100까지
사용예: 모이스쳐 제제
제제 A
첨가제 중량%
a) 크레모포르 (등록상표) A 6 세테아레쓰-6 및 스테아릴 알코올 2.0
크레모포르 (등록상표) A 25 세테아레쓰-25 2.0
액상 파라핀 (고점도) 10
라네트 (등록상표) O 세테아릴 알코올 2.0
스테아르산 3.0
Nip-Nip 메틸파라벤/프로필파라벤 70:30 0.5
아비올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 0.5
b) 중합체 (제조예 1 내지 7) 3.0
100까지
두 상을 80 ℃로 가열하고, 상 a)를 b)에 교반 혼합하고 균질화하고 냉각될 때까지 교반시키고 10% 농도 NaOH 수용액으로 pH 6으로 만들었다.
사용예: 스킨 모이스쳐링을 위한 O/W 크림
첨가제 중량%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2.0
세틸 알코올 3.0
액상 파라핀 15.0
바셀린 3.0
카프릴/카프르산 트리글리세리드 4.0
옥틸도데칸올 2.0
수소화 코코넛 지방 2.0
세틸 포스페이트 0.4
중합체 (제조예 1 내지 7) 3.0
글리세롤 3.0
수산화 나트륨 충분량
퍼퓸 오일 충분량
보존제 충분량
100까지
사용예: O/W 로션
첨가제 중량%
스테아르산 1.5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1.0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1.0
액상 파라핀 7.0
세틸 알코올 1.0
폴리디메틸실록산 1.5
글리세롤 3.0
중합체 (제조예 1 내지 7) 0.5
퍼퓸 오일 충분량
보존제 충분량
100까지
사용예: W/O 크림
첨가제 중량%
PEG-7 수소화 피마자유 4.0
양모 왁스 알코올 1.5
밀납 왁스 3.0
트리글리세리드, 액상 5.0
바셀린 9.0
오조케라이트 4.0
액상 파라핀 4.0
글리세롤 2.0
중합체 (제조예 1 내지 7) 2.0
황산 마그네슘 * 7H2O 0.7
퍼퓸 오일 충분량
보존제 충분량
100까지
사용예: 스킨 케어용 하이드로겔
첨가제 중량%
중합체 (제조예 1 내지 7) 3.0
소르비톨 2.0
글리세롤 3.0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 5.0
에탄올 1.0
퍼퓸 오일 충분량
보존제 충분량
100까지
사용예: 수분산 젤
첨가제 중량%
중합체 (제조예 1 내지 7) 3.0
소르비톨 2.0
글리세롤 3.0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 5.0
트리글리세리드, 액상 2.0
에탄올 1.0
퍼퓸 오일 충분량
보존제 충분량
100까지
사용예: 액상 비누
첨가제 중량%
코코넛 지방산, 칼륨염 15
올레산 칼륨 3
글리세롤 5
중합체 (제조예 1 내지 7) 2
글리세롤 스테아레이트 1
에틸렌 글리콜 디스테아레이트 2
특정 첨가제, 착화제, 향료 충분량
100까지
사용예: 바디 케어 크림
첨가제 중량%
크레모포르 (등록상표) A 6 세테아레쓰-6 및 스테아릴 알코올 2.0
크레모포르 (등록상표) A 25 세테아레쓰-25 2.0
그레이프 (비티스 비니페라) 종자유 6.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SE 3.0
세테아릴 알코올 2.0
디메티콘 0.5
루비톨 (등록상표) EHO 세테아릴 옥타노에이트 8.0
옥시넥스 (Oxynex)(등록상표) 2004 프로필렌 글리콜, BHT, 아스코르빌팔미테이트,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시트르산 0.1
보존제 충분량
1,2-프로필렌 글리콜 USP 3.0
글리세롤 2.0
EDTA BD 0.1
D-판텐올 USP 1.0
100까지
중합체 (제조예 1 내지 7) 1.5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0.5
아래의 사용예에서, 명시된 모든 양은 중량%이다.
사용예: 액상 메이크업
A
1.7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1.70 세틸 알코올
1.70 세테아레쓰-6
1.70 세테아레쓰-25
5.20 카프릴/카프르산 트리글리세리드
5.20 광물유
B
충분량 보존제
4.30 프로필렌 글리콜
2.50 제조예 1 내지 7에 따른 중합체
59.50 증류수
C
충분량 퍼퓸 오일
D
2.00 산화 철
12.00 이산화 티탄
제조:
상 A 및 상 B를 서로 별개로 80 ℃로 가열하였다. 그후에 상 B를 교반기를 사용하여 상 A에 혼합하였다. 모든 물질을 40 ℃로 냉각시키고 상 C 및 상 D를 첨가하였다. 균질화를 반복하였다.
사용예: 오일-프리 메이크업
A
0.35 비검 (veegum)
5.00 부틸렌 글리콜
0.15 크산탄 검
B
53.0 증류수
충분량 보존제
0.2 폴리소르베이트-20
1.6 테트라히드록시프로필 에틸렌디아민
C
1.0 실리카
2.0 나일론-12
4.15 운모
6.0 이산화 티탄
1.85 산화 철
D
4.0 스테아르산
1.5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7.0 벤질 라우레이트
5.0 이소에이코산
충분량 보존제
E
1.0 증류수
0.5 판텐올
0.1 이미다졸리디닐 우레아
5.0 제조예 1 내지 7에 따른 중합체
제조:
상 A를 부틸렌 글리콜로 적시고, 상 B에 첨가하고 철저하게 혼합하였다. 상 AB를 75 ℃로 가열하였다. 상 C의 출발 물질을 분말화하고, 상 AB에 첨가하고 철저하게 균질화하였다. 상 D의 출발 물질을 혼합하고, 80 ℃로 가열하고 상 ABC에 첨가하였다. 모든 물질이 균질화될 때까지 얼마 동안 혼합을 실시하였다. 모든 물질을 프로펠러 혼합기를 갖춘 용기에 넣었다. 상 E의 출발 물질을 혼합하고, 상 ABCD에 첨가하고 철저하게 혼합하였다.
사용예: 아이라이너
A
40.6 증류수
0.2 이나트륨 EDTA
충분량 보존제
B
0.6 크산탄 검
0.4 비검
3.0 부틸렌 글리콜
0.2 폴리소르베이트-20
C
15.0 산화 철 / Al 분말 / 실리카 (예를 들면, BASF로부터 입수한
Sicopearl Fantastico Gold (상표명))
D
10.0 증류수
30.0 제조예 1 내지 7에 따른 중합체
제조:
상 B를 미리 혼합하였다. 상 B를 프로펠러 혼합기를 사용하여 상 A에 혼합하여 증점제가 팽윤되게 하였다. 상 C를 상 D로 적시고, 모든 물질을 상 AB에 첨가하여 철저히 혼합하였다.
사용예: 쉬머링 젤 (Shimmering gels)
A
32.6 증류수
0.1 이나트륨 EDTA
25.0 카르보머 (2% 농도 수용액)
0.3 보존제
B
0.5 증류수
0.5 트리에탄올아민
C
10.0 증류수
9.0 제조예 1 내지 7에 따른 중합체
1.0 폴리쿼터늄-46
5.0 산화 철
D
15.0 증류수
1.0 D-판텐올 50 P (판텐올 및 프로필렌 글리콜)
제조:
프로펠러 혼합기를 사용하여, 상 A의 출발 물질을 명시된 순서로 철저하게 혼합하였다. 그후에, 상 B를 상 A에 첨가하였다. 모든 물질이 균질하게 될 때까지 서서히 교반하였다. 안료가 잘 분포될 때까지 상 C를 철저하게 균질화하였다. 상 C 및 상 D를 상 AB에 첨가하고 철저하게 혼합하였다.
사용예: 물에 녹지않는 (water-resistant) 마스카라
A
46.7 증류수
3.0 루트롤 (Lutrol) E 400 (PEG-8)
0.5 크산탄 검
충분량 보존제
0.1 이미다졸리디닐 우레아
1.3 테트라히드록시프로필 에틸렌디아민
B
8.0 카르나우바 왁스
4.0 밀납 왁스
4.0 이소에이코산
4.0 폴리이소부텐
5.0 스테아르산
1.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충분량 보존제
2.0 벤질 라우레이트
C
10.0 산화 철 / Al 분말 / 실리카 (예를 들면, BASF로부터 입수한
Sicopearl Fantastico Gold (상표명))
E
8.0 폴리우레탄-1
2.0 제조예 1 내지 7에 따른 중합체
제조: 상 A 및 상 B를 서로 별개로 85 ℃로 가열하였다. 온도를 유지하고 상 C를 상 A에 첨가하고 안료가 균일하게 분포될 때까지 균질화하였다. 상 B를 상 AC에 첨가하고 2-3분 동안 균질화하였다. 상 E를 첨가하고 서서히 교반하였다.모든 물질이 실온으로 냉각되도록 하였다.
사용예: 선스크린 젤
상 A
1.00 PEG-40 수소화 피마자유
8.00 옥틸 메톡시신나메이트 (BASF로부터 입수한 Uvinul MC 80TM)
5.00 옥토크릴렌 (BASF로부터 입수한 Uvinul N 539TM)
0.80 옥틸 트리아존 (BASF로부터 입수한 Uvinul T 150TM)
2.00 부틸 메톡시디벤조일메탄 (BASF로부터 입수한 Uvinul BMBMTM)
2.00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충분량 퍼퓸 오일
상 B
2.50 제조예 1 내지 7에 따른 중합체
0.30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
0.20 카르보머
5.00 글리세롤
0.20 이나트륨 EDTA
충분량 보존제
72.80 증류수
상 C
0.20 수산화 나트륨
제조: 상 A의 성분들을 혼합하였다. 상 B를 팽윤되게 하고 균질화하며 상 A에 교반 혼합하였다. 상 C로 중화시키고 다시 균질화하였다.
사용예: TiO2및 ZnO2를 함유하는 선스크린 에멀젼
상 A
6.00 PEG-7 수소화 피마자유
2.00 PEG-45/도데실 글리콜 공중합체
3.00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8.00 호호바 (Buxus Chinensis) 오일
4.00 옥틸 메톡시신나메이트 (Uvinul MC 80)
2.00 4-메틸벤질리덴 캄포르 (Uvinul MBC 95)
3.00 이산화 티탄, 디메티콘
1.00 디메티콘
5.00 산화 아연, 디메티콘
상 B
2.00 제조예 1 내지 7에 따른 중합체
0.20 이나트륨 EDTA
5.00 글리세롤
충분량 보존제
58.80 증류수
상 C
충분량 퍼퓸 오일
제조: 상 A 및 B를 약 85 ℃로 별개로 가열하였다. 상 B를 상 A 내로 교반 혼합하고 균질화하였다. 약 40 ℃로 냉각시키고, 상 C를 첨가하고 다시 간단하게 균질화하였다.
사용예: 자외선 차단용 로션
상 A
6.00 옥틸 메톡시신나메이트 (BASF로부터 입수한 Uvinul MC 80TM)
2.50 4-메틸벤질리덴 캄포르 (BASF로부터 입수한 Uvinul MBC 95TM)
1.00 옥틸 트리아존 (BASF로부터 입수한 Uvinul T 150TM)
2.00 부틸 메톡시디벤조일메탄 (BASF로부터 입수한 Uvinul BMBMTM)
2.00 PVP/헥사데센 공중합체
5.00 PPG-3 미리스틸 에테르
0.50 디메티콘
0.10 BHT,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시트르산,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2.00 세틸 알코올
2.00 칼륨 세틸 포스페이트
상 B
2.50 제조예 1 내지 7에 따른 중합체
5.00 프로필렌 글리콜
0.20 이나트륨 EDTA
충분량 보존제
63.92 증류수
상 C
5.00 광물유
0.20 카르보머
상 D
0.08 수산화 나트륨
상 E
충분량 퍼퓸 오일
제조: 상 A 및 B를 약 80 ℃로 별개로 가열하였다. 상 B를 상 A 내로 균질화하며 교반 혼합하고 간단하게 더 균질화하였다. 상 C를 현탁액으로 변환시키고, 상 AB에 교반 혼합하고, 상 D로 중화하고 더 균질화하였다. 약 40 ℃로 냉각시키고, 상 E를 첨가하고 다시 균질화하였다.
사용예: 떼어낼 수 있는 페이스 마스크
상 A
57.10 증류수
6.00 폴리비닐 알코올
5.00 프로필렌 글리콜
상 B
20.00 알코올
4.00 PEG-32
충분량 퍼퓸 오일
상 C
5.00 폴리쿼터늄-44
2.70 제조예 1 내지 7에 따른 중합체
0.20 알란토인
제조: 상 A를 90 ℃ 이상으로 가열하고 용해될 때까지 교반시켰다. 상 B를 50 ℃에서 용해시키고 상 A에 교반 혼합하였다. 약 35 ℃에서, 에탄올 손실을 보충하였다. 상 C를 첨가하고 혼합하였다.
사용예: 페이스 마스크
상 A
3.00 세테아레쓰-6
1.50 세테아레쓰-25
5.00 세테아릴 알코올
6.00 세테아릴 옥타노에이트
6.00 광물유
0.20 비사보롤
3.0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상 B
2.00 프로필렌 글리콜
5.00 판텐올
2.80 제조예 1 내지 7에 따른 중합체
충분량 보존제
65.00 증류수
상 C
충분량 퍼퓸 오일
0.50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제조: 상 A 및 B를 약 80 ℃로 별개로 가열하였다. 상 B를 상 A에 균질화하며 교반 혼합하고 간단하게 더 균질화하였다. 약 40 ℃로 냉각시키고, 상 C를 첨가하고 다시 균질화하였다.
사용예: 바디 로션 폼
상 A
1.50 세테아레쓰-25
1.50 세테아레쓰-6
4.00 세테아릴 알코올
10.00 세테아릴 옥타노에이트
1.00 디메티콘
상 B
3.00 제조예 1 내지 7에 따른 중합체
2.00 판텐올
2.50 프로필렌 글리콜
충분량 보존제
74.50 증류수
상 C
충분량 퍼퓸 오일
제조: 상 A 및 B를 약 80 ℃로 별개로 가열하였다. 상 B를 상 A에 교반 혼합하고 균질화하였다. 약 40 ℃로 냉각시키고, 상 C를 첨가하고 다시 간단하게 균질화하였다. 충전: 3.5 bar (20 ℃)에서 활성 성분 90% 및 프로판/부탄 10%
사용예: 건성 및 민감성 피부에 대한 페이스 로션
상 A
2.50 PEG-40 수소화 피마자유
충분량 퍼퓸 오일
0.40 비사보롤
상 B
3.00 글리세롤
1.00 히드록시에틸 세틸디모늄 포스페이트
5.00 위치 헤이즐 (Hamamelis Virginiana) 증류물
0.50 판텐올
0.50 제조예 1 내지 7에 따른 중합체
충분량 보존제
87.60 증류수
제조: 상 A를 용해하여 맑은 용액으로 만들었다. 상 B를 상 A에 교반 혼합하였다.
사용예: 박리 효과가 있는 페이스 워쉬 페이스트
상 A
70.00 증류수
3.00 제조예 1 내지 7에 따른 중합체
1.50 카르보머
충분량 보존제
상 B
충분량 퍼퓸 오일
7.00 칼륨 코코일 가수분해 단백질
4.00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
상 C
1.50 트리에탄올아민
상 D
13.00 폴리에틸렌 (BASF로부터 입수한 Luwax ATM)
제조: 상 A를 팽윤되게 하였다. 상 B를 용해시켜 맑은 용액이 되도록 하였다. 상 B를 상 A에 교반 혼합하였다. 상 C로 중화시키고, 그후에, 상 D를 교반 혼합하였다.
사용예: 세안용 비누
상 A
25.0 칼륨 코코에이트
20.0 이나트륨 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
2.0 라우라미드 DEA
1.0 글리콜 스테아레이트
2.0 제조예 1 내지 7에 따른 중합체
50.0 증류수
충분량 시트르산
상 B
충분량 보존제
충분량 퍼퓸 오일
제조: 상 A를 모든 물질이 균질하게 될 때까지 교반시키며 70 ℃로 가열하였다. 시트르산으로 pH를 7.0 내지 7.5로 만들었다. 모든 물질이 50 ℃로 냉각되도록 하고 상 B를 첨가하였다.
사용예: 페이스 클리닝 밀트 타입 O/W
상 A
1.50 세테아레쓰-6
1.50 세테아레쓰-25
2.0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2.00 세틸 알코올
10.00 광물유
상 B
5.00 프로필렌 글리콜
충분량 보존제
1.0 제조예 1 내지 7에 따른 중합체
66.30 증류수
상 C
0.20 카르보머
10.00 세테아릴 옥타노에이트
상 D
0.40 테트라히드록시프로필 에틸렌디아민
상 E
충분량 퍼퓸 오일
0.10 비사보롤
제조: 상 A 및 B를 약 80 ℃로 별개로 가열하였다. 상 B를 상 A에 균질화하며 교반 혼합하고 다시 간단하게 균질화하였다. 상 C를 현탁액으로 변환시키고 상 AB에 교반 혼합하고, 상 D로 중화시키고 다시 균질화하였다. 약 40 ℃로 냉각시키고, 상 E를 첨가하고 다시 균질화하였다.
사용예: 투명한 비누
4.20 수산화 나트륨
3.60 증류수
2.0 제조예 1 내지 7에 따른 중합체
22.60 프로필렌 글리콜
18.70 글리세롤
5.20 코코아미드 DEA
10.40 코카민 옥사이드
4.20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7.30 미리스트산
16.60 스테아르산
5.20 토코페롤
제조: 모든 성분들을 혼합하였다. 혼합물을 85 ℃로 용융시켜 맑은 용융물을 얻고 그것을 즉시 몰드에 부었다.
사용예: 필링 크림, 타입 O/W
상 A
3.00 세테아레쓰-6
1.50 세테아레쓰-25
3.0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5.00 세테아릴 알코올, 소듐 세테아릴 설페이트
6.00 세테아릴 옥타노에이트
6.00 광물유
0.20 비사보롤
상 B
2.00 프로필렌 글리콜
0.10 이나트륨 EDTA
3.00 제조예 1 내지 7에 따른 중합체
충분량 보존제
59.70 증류수
상 C
0.50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충분량 퍼퓸 오일
상 D
10.00 폴리에틸렌
제조: 상 A 및 B를 약 80 ℃로 별개로 가열하였다. 상 B를 상 A에 교반 혼합하고 균질화하였다. 약 40 ℃로 냉각하고, 상 C를 첨가하고 다시 간단하게 균질화하였다. 그후에 상 D를 교반 혼합하였다.
사용예: 쉐이빙 폼
6.00 세테아레쓰-25
5.00 폴록사머 407
52.00 증류수
1.00 트리에탄올아민
5.00 프로필렌 글리콜
1.00 PEG-75 라놀린 오일
5.00 제조예 1 내지 7에 따른 중합체
충분량 보존제
충분량 퍼퓸 오일
25.00 소듐 라우레쓰 설페이트
제조: 모든 물질을 함께 칭량하고 용해될 때까지 교반시켰다. 충전: 90 부의 활성 물질 및 10 부의 프로판/부탄 혼합물 25:75.
사용예: 에프터 쉐이브 발삼
상 A
0.25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
1.50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0.20 비사보롤
10.00 카프릴/카프르산 트리글리세리드
충분량 퍼퓸 오일
1.00 PEG-40 수소화 피마자유
상 B
1.00 판텐올
15.00 알코올
5.00 글리세롤
0.05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1.92 제조예 1 내지 7에 따른 중합체
64.00 증류수
상 C
0.08 수산화 나트륨
제조: 상 A의 성분들을 혼합하였다. 상 B를 균질화하며 상 A에 교반 혼합하고, 다시 간단하게 균질화하였다. 상 C로 중화시키고 다시 균질화하였다.
사용예: 개인 위생용 크림
상 A
2.00 세테아레쓰-6
2.00 세테아레쓰-25
2.00 세테아릴 알코올
3.0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SE
5.00 광물유
4.00 호호바 (Buxus Chinensis) 오일
3.00 세테아릴 옥타노에이트
1.00 디메티콘
3.00 광물유, 라놀린 알코올
상 B
5.00 프로필렌 글리콜
0.50 비검
1.00 판텐올
1.70 제조예 1 내지 7에 따른 중합체
6.00 폴리쿼터늄-44
충분량 보존제
60.80 증류수
상 C
충분량 퍼퓸 오일
제조: 상 A 및 B를 약 80 ℃로 별개로 가열하였다. 상 B를 균질화하였다. 상 B를 상 A에 균질화하며 교반 혼합하고 다시 간단하게 균질화하였다. 약 40 ℃로 냉각하고, 상 C를 첨가하고 다시 간단하게 균질화하였다.
사용예: 치약
상 A
34.79 증류수
3.00 제조예 1 내지 7에 따른 중합체
0.30 보존제
20.00 글리세롤
0.76 소듐 모노플루오로포스페이트
상 B
1.20 소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상 C
0.80 아로마 오일
0.06 사카린
0.10 보존제
0.05 비사보롤
1.00 판텐올
0.50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2.80 실리카
1.00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7.90 인산 이칼슘 무수물
25.29 인산 이칼슘 이수화물
0.45 이산화 티탄
제조: 상 A를 용해하였다. 상 B를 상 A 내로 분산시키고 용해하였다. 상 C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감압하에 약 45분 동안 교반시켰다.
사용예: 구강 세정제
상 A
2.00 아로마 오일
4.00 PEG-40 수소화 피마자유
1.00 비사보롤
30.00 알코올
상 B
0.20 사카린
5.00 글리세롤
충분량 보존제
5.00 폴록사머 407
0.5 제조예 1 내지 7에 따른 중합체
52.30 증류수
제조: 상 A 및 상 B를 별개로 용해시켜 맑은 용액을 얻었다. 상 B를 상 A에 교반 혼합하였다.
사용예: 보철 접착제
상 A
0.20 비사보롤
1.00 베타-카로틴
충분량 아로마 오일
20.00 세테아릴 옥타노에이트
5.00 실리카
33.80 광물유
상 B
5.00 제조예 1 내지 7에 따른 중합체
35.00 PVP (물 중의 20% 농도 용액)
제조: 상 A를 철저하게 혼합하고 상 B를 상 A에 교반 혼합하였다.
사용예 32: 스킨 케어 크림, 타입 O/W
상 A
8.00 세테아릴 알코올
2.00 세테아레쓰-6
2.00 세테아레쓰-25
10.00 광물유
5.00 세테아릴 옥타노에이트
5.00 디메티콘
상 B
3.00 제조예 1 내지 7에 따른 중합체
2.00 판텐올, 프로필렌 글리콜
충분량 보존제
63.00 증류수
상 C
충분량 퍼퓸 오일
제조: 상 A 및 B를 약 80 ℃로 별개로 가열하였다. 상 B를 상 A에 균질화하며 교반 혼합하고 더 균질화하였다. 약 40 ℃로 냉각하고, 상 C를 첨가하고 다시 균질화하였다.
사용예: 스킨 케어 크림, 타입 W/O
상 A
6.00 PEG-7 수소화 피마자유
8.00 세테아릴 옥타노에이트
5.00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15.00 광물유
2.00 PEG-45/도데실 글리콜 공중합체
0.50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0.50 스테아르산 알루미늄
상 B
3.00 글리세롤
3.30 제조예 1 내지 7에 따른 중합체
0.70 황산 마그네슘
2.00 판텐올
충분량 보존제
48.00 증류수
상 C
1.00 토코페롤
5.00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충분량 퍼퓸 오일
제조: 상 A 및 B를 약 80 ℃로 별개로 가열하였다. 상 B를 상 A에 교반 혼합하고 균질화하였다. 약 40 ℃로 냉각하고, 상 C를 첨가하고 다시 간단하게 균질화하였다.
사용예: 립 케어 크림
상 A
10.00 세테아릴 옥타노에이트
5.00 폴리부텐
상 B
0.10 카르보머
상 C
2.00 세테아레쓰-6
2.00 세테아레쓰-25
2.0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2.00 세틸 알코올
1.00 디메티콘
1.00 벤조페논-3
0.20 비사보롤
6.00 광물유
상 D
8.00 제조예 1 내지 7에 따른 중합체
3.00 판텐올
3.00 프로필렌 글리콜
충분량 보존제
54.00 증류수
상 E
0.10 트리에탄올아민
상 F
0.50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0.10 토코페롤
충분량 퍼퓸 오일
제조: 상 A를 용해시켜 맑은 용액을 얻었다. 상 B를 첨가하고 균질화하였다. 상 C를 첨가하고 80 ℃에서 용융시켰다. 상 D를 80 ℃로 가열하였다. 상 D를 상 ABC에 첨가하고 균질화하였다. 약 40 ℃로 냉각하고, 상 E 및 상 F를 첨가하고 다시 균질화하였다.
사용예: 글로시 립스틱
상 A
5.30 칸데릴라 (Euphorbia Cerifera) 왁스
1.10 밀납 왁스
1.10 미세결정성 왁스
2.00 세틸 팔미테이트
3.30 광물유
2.40 피마자유, 글리세릴 리시놀레에이트, 옥틸도데칸올,
카르나우바, 칸데릴라 왁스
0.40 비사보롤
16.00 세테아릴 옥타노에이트
2.00 수소화 코코글리세리드
충분량 보존제
1.00 제조예 1 내지 7에 따른 중합체
60.10 피마자 (Ricinus Communis) 오일
0.50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상 B
0.80 C.I. 14 720:1, 액시드 레드 14 알루미늄 레이크
상 C
4.00 운모, 이산화 티탄
제조: 상 A의 성분을 칭량 첨가하고 용융시켰다. 상 B를 균질하게 혼합하였다. 상 C를 첨가하고 교반 혼합하였다. 교반시키며 실온으로 냉각되도록 하였다.

Claims (6)

  1. a) N-비닐포름아미드,
    b) 하기 화학식 I의 1종 이상의 공중합성 단량체
    및(또는) 1종 이상의 불포화 술폰산
    및(또는) 1종 이상의 불포화 포스폰산을
    c) 화학식(상기 식에서, R은 H, CH3이고, n은 5 - 50,000임)의 중합성 그래프팅 베이스에 자유 라디칼 그래프트 공중합시킴으로써 생성되는 그래프트 공중합체.
    <화학식 I>
    상기 식에서, n은 0 또는 1이고, R1및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H, C1-C4-알킬, CN 또는 COOH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자유 라디칼 그래프트 공중합이 가교제 d)의 존재하에 수행되는 그래프트 중합체.
  3. 제1항에 있어서, 사용된 단량체 b)가 화학식 I의 화합물인 그래프트 중합체.
  4.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500 내지 50,000, 특히 5000 내지 40,000의 분자량을 가진 중합성 그래프팅 베이스 c)가 사용되는 그래프트 중합체.
  5. 화장품 조성물, 특히 모발 화장품에서의, 제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그래프트 중합체의 용도.
  6. 제5항에 있어서, 증점제로서의 용도.
KR10-2004-7012571A 2002-02-15 2003-02-04 화장품 제제에서의 그래프트 공중합체 KR200400910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6596A DE10206596A1 (de) 2002-02-15 2002-02-15 Pfropfcopolymere in kosmetischen Formulierungen
DE10206596.9 2002-02-15
PCT/EP2003/001064 WO2003068834A1 (de) 2002-02-15 2003-02-04 Pfropfcolpolymere in kosmetischen formulierung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1042A true KR20040091042A (ko) 2004-10-27

Family

ID=27635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2571A KR20040091042A (ko) 2002-02-15 2003-02-04 화장품 제제에서의 그래프트 공중합체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050042193A1 (ko)
EP (1) EP1476482B1 (ko)
JP (1) JP2005535735A (ko)
KR (1) KR20040091042A (ko)
CN (1) CN100509888C (ko)
AT (1) ATE389677T1 (ko)
AU (1) AU2003218971A1 (ko)
DE (2) DE10206596A1 (ko)
PL (1) PL370667A1 (ko)
RU (1) RU2334763C2 (ko)
WO (1) WO20030688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31479A (ja) * 2005-07-22 2007-02-08 Toyo Aerosol Ind Co Ltd 噴霧用エアゾール組成物およびエアゾール製品
DE102005056436B4 (de) * 2005-11-26 2009-06-25 Allessachemie Gmbh Wasserfreie Dispersionen,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sowie deren Verwendung
DE102005063376B4 (de) 2005-11-26 2018-10-11 Tougas Oilfield Solutions Gmbh Pfropfcopolymere und deren Verwendung
KR101411886B1 (ko) 2006-03-08 2014-06-27 루브리졸 어드밴스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안정한 비누 기재 클렌징 시스템
FR2926981B1 (fr) * 2008-01-31 2013-03-15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un copolumere vinylformamide/vinylformamine et un polymere cationique
CA2736595C (en) * 2009-01-30 2015-04-14 Hercules Incorporated Quaternary vinylamine-containing polymers as additives in papermaking
JP6365225B2 (ja) * 2014-10-21 2018-08-01 日油株式会社 枠練り固形石けん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3236A (en) * 1981-12-07 1987-12-15 Morton Thiokol, Inc. Polymeric amine conditioning additives for hair care products
CA2029631A1 (en) * 1989-11-22 1991-05-23 Kathleen A. Hughes Graft polymers as biodegradable detergent additives
DE4127733A1 (de) * 1991-08-22 1993-02-25 Basf Ag Pfropfpolymerisate aus saccharidstrukturen enthaltenden naturstoffen oder deren derivaten und ethylenisch ungesaettigten verbindungen und ihre verwendung
DE19515943A1 (de) * 1995-05-02 1996-11-07 Basf Ag Pfropfpolymerisate aus Alkylenoxideinheiten enthaltenden Polymerisaten und ethylenisch ungesättigten Verbindung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10015468A1 (de) * 2000-03-29 2001-10-11 Basf Ag Hartkapseln, enthaltend Polymerisate und Vinylestern und Polyethern, deren Verwendung und Herstellung
DE10041211A1 (de) * 2000-08-22 2002-03-07 Basf Ag Verwendung hydrophiler Pfropfcopolymere mit N-Vinylamin-und /oder offenkettigen n-Vinylamdeinheiten in kosmetischen Formulierung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68834A1 (de) 2003-08-21
ATE389677T1 (de) 2008-04-15
DE10206596A1 (de) 2003-08-28
CN100509888C (zh) 2009-07-08
AU2003218971A1 (en) 2003-09-04
US20050042193A1 (en) 2005-02-24
PL370667A1 (en) 2005-05-30
EP1476482A1 (de) 2004-11-17
EP1476482B1 (de) 2008-03-19
CN1630672A (zh) 2005-06-22
JP2005535735A (ja) 2005-11-24
DE50309410D1 (de) 2008-04-30
RU2334763C2 (ru) 2008-09-27
RU2004127609A (ru) 2005-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13432B1 (de) Verwendung hydrophiler pfropfcopolymere mit n-vinylamin- und/oder offenkettigen n-vinylamideinheiten in kosmetischen formulierungen
KR101026326B1 (ko) (메트)아크릴아미드 단위를 함유하는 1종 이상의 수용성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화장품
DE102005004298A1 (de) Verwendung von Wasser-in-Wasser-Emulsionspolymerisaten in kosmetischen Zubereitungen
EP1578817B1 (de) Wässrige polymerdispersion
US20030224025A1 (en) Skin cosmetic formulations
US7422735B1 (en) Use of crosslinked cationic polymers in skin cosmetic and dermatological preparations
EP1646663B1 (de) Wässrige polymerdispersion und deren verwendung in der kosmetik
US20060228317A1 (en) Graft polymers and use thereof in cosmetic formulations
EP1530601B1 (de) Verwendung von vernetzten kationischen copolymeren mit reglern in haarkosmetischen zubereitungen und als konditionierungsmittel in kosmetischen zubereitungen
EP1545445A1 (de) Verwendung von polymerisaten auf basis von n-vinylcaprolactam
WO2005053624A1 (de) Verwendung von polymerisaten auf basis von n-vinylcaprolactam für die haarkosmetik
KR20040091042A (ko) 화장품 제제에서의 그래프트 공중합체
DE10260100A1 (de) Kationische Makromonomere enthaltende Polymere und ihre Verwendung in kosmetischen Zubereitung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