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0988A - 가열 및 냉각 시스템에서의 차압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가열 및 냉각 시스템에서의 차압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0988A
KR20040090988A KR10-2004-7011542A KR20047011542A KR20040090988A KR 20040090988 A KR20040090988 A KR 20040090988A KR 20047011542 A KR20047011542 A KR 20047011542A KR 20040090988 A KR20040090988 A KR 20040090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differential pressure
spindle
controller
pressur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1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앤더스 엔겔브렉트쏜
Original Assignee
투르 엔드 안데르손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투르 엔드 안데르손 에이비 filed Critical 투르 엔드 안데르손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040090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0988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0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 F24D19/101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using a valve or valves
    • F24D19/1018Radiator valv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7/00Control of flow
    • G05D7/01Control of flow without auxiliary powe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6/00Control of fluid pressure
    • G05D16/028Controlling a pressure differenc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6/00Control of fluid pressure
    • G05D16/04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 G05D16/06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rane, yielding to pressure, e.g. diaphragm, bellows, capsule
    • G05D16/063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rane, yielding to pressure, e.g. diaphragm, bellows, capsule the sensing element being a membrane
    • G05D16/0644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rane, yielding to pressure, e.g. diaphragm, bellows, capsule the sensing element being a membrane the membrane acting directly on the obturator
    • G05D16/0655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rane, yielding to pressure, e.g. diaphragm, bellows, capsule the sensing element being a membrane the membrane acting directly on the obturator using one spring-loaded membrane
    • G05D16/0661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rane, yielding to pressure, e.g. diaphragm, bellows, capsule the sensing element being a membrane the membrane acting directly on the obturator using one spring-loaded membrane characterised by the loading mechanisms of the membrane

Abstract

본 발명은 가열 또는 냉각 소스(2)와, 상기 소스(2)에 연결되고 열을 수용하거나 방출하는 소비장치(5)가 사이에 개재되는 공급덕트(3) 및 복귀덕트(4)와, 이러한 방식으로 제공된 루프를 통한 흐름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적어도 일부의 밸브(6, 7, 8)와, 상기 공급덕트와 복귀덕트 사이의 차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데 사용되는 차압제어기(9)를 포함하는, 냉각 또는 가열 시스템에서의 차압 제어장치(1)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차압제어기(9)는 상기 덕트(3 또는 4)의 한쪽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며, 저압 제어측(18) 및 고압 제어측(15) 뿐만 아니라 입구(17) 및 출구(28)에도 각각 연결된 시그널링 터미널(29, 27, 32, 30, 31)을 포함한다. 차압제어기의 덕트(3, 4)에 대해 다른 덕트(4, 3)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밸브(6, 7)는 입구(24, 21) 및 출구(14, 22)에 연결된 시그널링 터미널(23, 24; 12, 33)을 포함한다. 상기 차압제어기는 상기 터미널들 사이에서 선택적 시그널링 덕트(13, 16, 19, 20)를 통해 제어된다.

Description

가열 및 냉각 시스템에서의 차압 제어장치{APPARATUS FOR CONTROL OF DIFFERENTIAL PRESSURE IN A HEATING AND COOLING SYSTEM}
이러한 장치는 공급파이프와 복귀파이프 사이의 차압을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공지의 장치와 이러한 장치에 사용되는 차압제어기는 다양한 결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기의 장착방법에는 상당한 제한이 따른다. 따라서, 공급덕트에 장착되도록 설계된 제어기는 복귀덕트에 장착되는 전형적인 케이스에서는 적합하지 않으며, 이와 반대인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작동중에는 여러 부품들의 교환 및 수리가 실행될 수 없다. 상기 제어기에 속한 여러 제어소자, 예를 들어 고무막 및 금속 피스톤 등은 동일 구조에서 호환성이 없다. 다른 시스템으로의 제어기의 재구성 및 조정 또한 실행이 불가능하거나 매우 어렵다. 일부 중요한 가동부에서는 중심조정의 문제가 발생될 수도 있고, 이로 인해 마찰 및 기타 다른 문제점이 유발되어, 필요로 하는 기능부가 손상되거나 위험해질 수도 있다. 이에 대해, 하우징에 연결된 시트가 문제를 유발시킬 수도있다. 통상적으로, 필요로 하는 시트 변형을 제공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문제이다. 때로는 안내수단이 제한을 받게 되고, 탈기 문제가 유발될 수도 있다. 액체량이 변화되는 도중에 미세한 제어 및/또는 기능으로 인해 문제가 발생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40℃ 및 +180℃ 등과 같은 극도의 매질 온도에 대한 저항과 내구성이 상당한 제한을 받게 된다.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 1항에 따른 가열 및 냉각시스템에서의 차압(差壓)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로서, 복귀덕트에 장착된 본 발명에 따른 차압제어기뿐만 아니라, 공급덕트에 장착된 하나의 제어밸브 및 하나의 측정밸브를 갖는 냉각시스템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압제어기에 연결된 입구측 및 출구측상에 제어밸브를 포함하며 측정밸브는 포함되지 않은, 도 1에 따른 장치 및 시스템.
도 3 및 도 4는 복귀덕트 및 공급덕트에서 본 발명에 따른 차압제어기를 위한 개략적인 역전장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완전개방된 작동위치에서 제어장치로서 막을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차압제어기의 제 1실시예의 축직경방향 단면도.
도 6은 거의 완전히 폐쇄된 작동위치에서의 제어기를 도시한 도면.
도 7 및 도 8은 도 5 및 도 6에 대응하며, 제어장치로서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 피스톤을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차압제어기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피스톤 및 스핀들의 변형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분야에서의 기술상태를 여러가지 관점에서 더욱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복귀덕트뿐만 아니라 공급덕트에도 장착하기 적합하며, 작동방법이 간단하여 상당한 온도로 조정되거나 주로 작동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설계된 차압제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청구범위 제 1항에 개시된 방식으로 설계된 상술한 바와 같은 형태의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의 서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는 양호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면에는 순환식 가열 또는 냉각시스템(1)이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상기 시스템은 가열 소스 또는 냉각 소스(2)를 포함하며, 이러한 소스는 소스(2)에 연결된 공급덕트(3)와 상기 소스(2)로 복귀되는 복귀덕트 또는 피드백덕트(4)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덕트들은 라디에이터, 컨버터 등과 같은 소비장치(5)로 연결된다. 도 1에 따르면, 예를 들어 장치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서모스탯제어되는 제어밸브(6)는 공급덕트에 장착되고, 상기밸브(6)는 장치(5)를 정밀하게 제어하도록 설계되었으며, 그 전방에서 유동방향으로 측정기능이 부여된 제어밸브로서 설계된 안내점(7)은 루프 흐름 즉, 다수의 장치(5)로의 흐름을 미리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5)에 인접한 복귀덕트에는 조정밸브(8)가 장착되었으며, 그 후방에 흐름방향으로 차압제어기가 장착되었다.
도 1 또는 도 3에 따른 시스템(1)에 있어서, 예를 들어 물 등의 가열된 또는 냉각된 매질은 소스(2)로부터 안내점(7) 및 제어밸브(6)를 통해 소비장치(5)로 흐르며, 열은 방출되거나 수용된다. 상기 덕트(3, 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점(7) 및 차압제어기(9)의 전후에 다양한 분기부를 포함한다. 안내점(7)에서, 측정기구(도시않음)를 2개의 연결구(10, 11)(도 1))에 일시적으로 연결하므로써 흐름 연산에 대한 차압측정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안내점은 출구(14)에 연결되어 있는 터미널(12)을 시그널링 덕트(signaling duct)(13)에 연결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시그널링 덕트는 터미널(31)을 통해 그 고압 제어측(15)상에서 차압제어기(9)에 연결된다. 시그널링 덕트(16)는 차압제어기의 입구(17)에서 터미널(29)을 터미널(32)을 거쳐 제어기의 저압 제어측(18)에 연결한다. 상기 시그널링 덕트의 목적은 안내점(7) 및 제어기(9)에서 공급덕트와 복귀덕트 사이의 차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다.
도 2에 따른 시스템은 도 1에 따른 시스템에 대응하지만, 도 1에 따른 안내점은 생략되었으며, 그 대신에 제어밸브(6)의 출구측(22)의 터미널(33)과 차압제어기(9)의 저압 제어측 사이와, 제어밸브(6)의 입구측(21)의 터미널(34)과 차압제어기(9)의 고압 제어측 사이에, 시그널링 덕트(19, 20)가 사용된다. 따라서, 이러한 시스템에서는 차압 측정가능성 및 이에 따른 안내점(7)에서의 루프 흐름이 사용되지 않지만, 동일한 메인 라인에 연결된 소비장치 또는 일련의 소비장치(도시않음)의 제어영역으로부터 차압제어기로의 제어신호가 수신된다.
도 1 및 도 2에서 신호 덕트연결부를 제외하고는 차압제어기(9)는 동일하다.
상기 차압제어기(9)는 동일하며, 안내점(7)이 출구측 및 입구(24)에서 시그널링 터미널(12, 23)을 갖도록 다른 방식으로 설계되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완전히 대응한다. 도 4에 있어서, 안내점(7) 및 차압제어기(9)는 공급덕트(3)와 복귀덕트(4) 사이에서 변화된 위치를 가지며, 시그널링 덕트(25)는 입구측에서 안내점(7)의 시그널링 터미널(23)을 차압제어기(9)의 저압 제어측에 연결하며, 시그널링 덕트(26)는 차압제어기(9)의 출구(28)상의 터미널(27)을 터미널(30)을 통해 제어기의 고압 제어측(15)에 연결한다.
도 5 내지 도 8에 따른 차압제어기(9)는 입구(17)와 출구(28) 사이에서 경사진 소켓(36)을 포함한다. 상기 소켓은 입구와 출구 사이에서 격벽(37)으로 연장되며, 상기 격벽은 시트(39)를 위한 개구(38)를 포함한다. 저압 제어부(40)는 예를 들어 나선결합에 의해 소켓(36)으로 삽입되며, 상부 제어부(41)는 하부 제어부에 고정된다. 상기 하부 제어부(40)는 밀봉부가 제공된 그 자유단부(43)에 의해 개구(38)에서 O링(44) 주위와 결합되는 케이지형 바닥부(42)를 포함한다. 바닥부(42)의 숄더 단부(45)는 소켓(36)의 외측 단부내로 나선결합되며, O링(47)은 소켓 마우스(mouth)를 둘러싼다. 바닥부(42)의 두 단부 사이에 방사방향 개구(48)를 구비한 벽부분에 의해, 매질은 바닥부를 통해 흐를 수 있으며, 시트(39)는 개구가 구비된 상기 벽부분과 주위가 밀폐된 바닥부의 자유단부 사이의 연결부에서 바닥부내에 장착된다.
외측 소켓 단부의 바로 외측에 밀착되어, 컵 형태로 벌어진 연결부(49)는 바닥부(42)에 연결되며, 방사방향 숄더(50)가 구비된 상기 연결부는 자유 소켓 단부에 의해 지지되며, 이를 통해 숄더 나선형 볼트(46)가 바닥부로의 나선결합에 대한 대안으로서 외측 소켓 단부에 삽입될 수 있으며, 자유단부가 구비된 연결부는 볼트(52)를 장착하기 위한 축방향 구멍(도시않음)이 구비된 돌출형 장착 컬러(51)를 형성하며, 이에 의해 장착 컬러(53) 및 정렬구멍(도시않음)이 구비된 상부(41)는 하부(40)에 고정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49)에는 터미널(32)이 제공되어, 외주에 분포된 여러개의 터미널들을 수용한다. 또한, 제어기의 상부는 가능한 설치위치에서 완전한 탈기를 보장하기 위해, 다양한 레벨 및 다양한 방사방향으로 다수의 터미널(31)을 포함한다. 시그널링 덕트 연결에 사용되지 않는 터미널은 폐쇄된다. 따라서, 터미널은 이중적인 기능, 즉 탈기 기능과 시그널링 덕트 연결기능을 갖는다. 또한, 입구 및 출구로부터의 터미널은 다양한 기능 즉, 테스트 탐침의 삽입기능 및/또는 시그널링 덕트 연결기능과, 순환 매질의 충진 및 재보충기능과 탈기 기능을 가지며, 상기 출구들은 사용되지 않을 때는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폐쇄되어 있다.
케이지형 안내부(55)는 나선결합에 의해 숄더 단부(45)로 삽입되고, O링(54)에 의해 밀봉되며, 바닥부에 비해 축방향으로는 다소 짧고 방사방향으로는 다소 두꺼우며, 방사방향 플랜지(56)에 의해 숄더 단부의 마우스 영역과 접촉한다. 상기 안내부의 후방 단부(57)는 외측으로 다각형(58) 형태를 취하며, 공구에 의해 나선결합이 실행되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상기 후방 단부(57)는 수축부(59)를 형성하기 위해 후퇴되었으며, 이를 통해 밸브 원추체(61)의 후방 단부(60)가 삽입된다. 안내부의 넓고 얇은 부분은 오목한 O링(64)이 구비된 원추체상에서 플랜지형 확장부(63)를 위한 안내채널(62)을 형성한다. 상기 후퇴된 원추부는 원추체의 개방동작에 대한 제한부를 형성한다.
원추체(61)는 축방향 관통구멍을 가지며, 그 자유단부는 판(65)으로 확장되어 있으며, 외주에 인접하여 시트(39)와 대면하는 쪽에는 축방향 중앙부와 대면하는 오목한 O링(66)이 제공되며, 부분적으로 원추형인 클램핑판(67)은 외주부분과 접촉한다. 상기 클램핑판은 홀더(69)에 고정된 나선형 볼트(68)에 의해 원추체의 자유단부에 삽입된다. 상기 클램핑판은 O링(66)을 정위치에 지지하며, 이와 동시에 양호한 방식에 의해 폐쇄위치에서 시트(39)에 가압될 수 있는 O링 물질의 일부를 짜낸다. 부분(67-69)은 선택적으로 유니트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유니트는 나선결합에 의해 공동의 하부로 삽입되고, 원추체를 통해 연장되며, 상기 볼트(68)는 공구가 삽입되도록 설계된 6각형 등의 홈으로 대체될 수 있다. 판(65)은 그 전체 이동길이중 일정거리만큼 개구(48)가 구비된 벽부분으로 둘러싸이며, 이와 동시에 저장 및 선적중 원추체 전체 및 그 민감한 부분을 보호하는 보호용 케이지(70)를 형성한다.
일체화가능하고 로킹될 수 있으며, 제어가능한 안내부에 의해 바닥부로 안내되는 원추체뿐만 아니라 보호가능한 방식으로 배치된 시트와, 바닥부가 구비된 하부를 포함하는 하나의 유니트가 구비된 이러한 구성은 매우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은 하우징의 가공을 그다지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소요비용이 저렴하며, 또한이러한 구성은 부품들의 조합 및 변경에 관해 양호한 융통성을 제공하며, 또한 상기 유니트는 수리중에는 다른 제어기부품과는 별도로 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으므로, 작업을 중단시키지 않고서도 교환 및 조정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구성은 일반적으로 시트에 관한 스핀들 및 원추체 뿐만 아니라, 매우 정밀한 가공과, 제어 및 모든 부품들에 대한 중심잡기 등에 특히 중요하다.
원추체의 후방 단부에 있어서, 스핀들(72)의 한쪽 단부(71)는 예를 들어 나선결합 및/또는 가압에 의해 고정되며; 스핀들의 다른쪽 단부(73)는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의 외측에 장착된 핸드휘일(76)의 부시(75)에서 단부(73)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개구(74)에 삽입되며; 상기 핸드휘일은 회전하지 않는 대칭의 슬리브부(77)를 포함하며; 이러한 슬리브부에는 대응형상을 갖는 부시(78)가 삽입되어 목부분(80)에서 나선결합되며; 상기 목부분(80)은 상부의 단부(79)로부터 돌출되어, 로킹링(82)이 구비된 바닥개구(81)에서 직경이 감소된 부시(75)가 구비된 단부(83)를 수용하며; 상기 단부는 6각형 키이(도시않음)를 삽입하여 부시(75)를 회전시키고, 하기에 서술되는 바와 같이 스핀들을 초기응력 장치와 연관시키기 위해, 핸드휘일의 개구를 통해 외측으로부터 접근가능한 6각형 등과 같은 개구(85)를 포함하며; 부시(75, 78)가 서로에 대해 회전하기 때문에 회전 상기 핸드휘일은 회전하지 않는다. 핸드휘일 회전의 목적은 원추체가 시트를 밀봉할 때까지, 상부 목부분의 나선피치와 부시(78)에 대한 부시(75)의 축방향 적응성을 통해, 부시(75)를 그 내측단부에서 스핀들의 계단부(86)와 접촉시키고, 스핀들을 축방향으로 변위시키기 위한 것이다. 부시(75)는 도시된 단부위치에서 상부의 단부에 대해 내측단부와 접촉하며, 상부의 목부분을 밀봉하기 위해 그 외측에 오목한 O링(87)을 포함한다.
상기 초기응력 장치는 나선형 스프링 등과 같은 압축스프링(88)을 포함하며, 핸드휘일에 인접한 작은 단부는 스프링 인장수단으로서 횡단바아(89)와 접촉하며, 이러한 횡단바아는 스핀들과 나선결합되어, 스핀들의 홈에서 로킹장치(90)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횡단바아(89)의 단부는 상부의 측방향 경사부(91)로 안내되기 때문에, 회전에 대해서는 고정되어 있다.
원추체에 인접한 상기 압축스프링(88)의 단부는 넓은 중앙개구(94)가 제공된 방사방향 판(93)을 갖는 홀더(92)와 접촉하므로써, 스핀들이 예를 들어 외주를 따라 배치된 아치형 개구(95)를 따라 이를 통과할 수 있게 하며; 상기 판은 압축스프링을 중심잡기 위하여 개구(95) 사이에서 내주를 따라 배치된 돌출부와 외측 링 플랜지(97)가 구비된 짧은 축방향 링벽(96)으로 둘러싸인다. 상기 플랜지(97)는 상부의 장착컬러(51, 53)에서 계단부(99) 사이에 고정된다. 링벽(96)은 플랜지(97)의 양측에 O링(102, 103)을 수용하도록 설계된 외측 링홈(100, 101)을 포함하며, 이러한 O링은 각각의 장착 컬러에 인접하여 상부 및 하부에 대해 가압되도록 설계되었다. 상부에 대해 가압되는 O링은 필요로 하는 밀봉특성 이외에, O링을 수용하는 홈과 함께 그 물성 및/또는 크기에 있어서, 상부에 대한 스프링 홀더의 정밀한 중심잡기와 이를 통한 하부의 정밀한 중심잡기를 실행하도록, 즉 스프링 홀더가 방사방향으로 가요성을 가지고 상부 및 하부에 끼워지도록 설계되며, 상기 O링은 상부 및 하부와 연합하는 모든 부품을 최적의 방식으로 즉, 경사진 위치없이 필요로하는 조정운동을 위한 최소한의 마찰로 서로에 대향하여 배치되도록 설계된다.
도 5 및 도 6에 따르면, O링(103)은 직물로 강화된 고무로 제조되는 막(104)의 단부 비이드이다. 상기 비이드로부터, 막은 완만하게 라운딩된 절첩부(104)의 한쪽을 형성하기 위해 먼저 하부의 컵형 벽에 평행하게 연장되며, 상기 벽으로부터 일정거리에서 비이드의 레벨과 동일한 레벨 또는 이보다 미세하게 낮은 레벨로 상향으로 굴곡되며, 상기 막의 중심부는 하부의 숄더를 향하여 연장되는 컵부분(107)과 외측 경계부를 갖는 회전대칭 지지판(105)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컵부분은 지지판에 오목부를 형성하며; 상기 막은 판의 상부와 마찬가지로 이러한 오목부를 따르며, 판의 경화에 의해 고정된다. 컵부분의 바닥은 스핀들이 통과하도록 설계된 중앙보어를 포함하며, 상기 막은 이러한 보어를 통해 컵부분의 바닥 경계측상의 위치에서 단부로 가압된다. 마지막으로, 원추체의 후방단부는 미세하게 오목한 판을 포함하며; 이러한 판은 스핀들을 둘러싸며, 예를 들어 플루오르에탄 플라스틱 물질 등과 같은 마찰감소형 물질로 제조되는데, 그 이유는 스핀들과 원추체가 막 및 지지판에 대해 회전이 용이해야 하기 때문이다.
도 6에 있어서, 압축스프링의 압축력에 대한 공간(15, 18) 사이의 차압은 막 및 막판을 이동시키므로써, 원추체를 거의 완전히 밸브위치에 가깝게 이동시키며, 비이드로부터 투시하였을 때 상기 막 서스펜션 또는 팽창이 증가됨을 알 수 있다.
막에 대한 대안으로서, 도 7 및 도 8은 방사방향 벽(110)이 구비된 매우 짧은 실린더(109)로 설계된 금속 피스톤(108)을 도시하고 있으며; 그 중심은 허브(111)로 도시되었으며, 이러한 허브는 스핀들을 둘러싸고 약간 긴 형태를 취하지만 방사방향 링벽 보다는 다소 짧으며, 숄더와 대면하는 허브와 링벽의 단부는 거의 동일한 레벨로 위치된다. 이러한 영역내에서, 허브는 스핀들 주위로 금속 피스톤의 선회를 허용하도록 개구(112)가 구비된 스핀들을 둘러싸며, 다른쪽 허브 단부는 선회 중심에 위치된다. 이러한 다른쪽 허브 단부에 있어서, O링(113)은 스핀들에 대해 밀봉되도록 수용된다. 2개의 허브 단부 사이에서, 허브의 내측벽과 스핀들 사이의 환형 간극(114)은 이러한 길이를 따라 마찰을 방지하고, O링과 상기 링에 인접한 최소한의 허브 벽부분과 개구(112)내의 지지영역에 대한 마찰을 최소화하는데 사용되며, 이것은 점 형상을 취하지 않는다. 실린더(109)는 O링(115)을 수용하는 링벽(96)의 짧은 연장부에 의해 안내된다. 이러한 연장부는 금속 피스톤을 수용하며, 벽 물질이 O링(15)을 정위치에 충분히 유지시킬 수 있는 길이를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금속 피스톤은 한정된 선회운동을 실행할 수 있는데, 이러한 선회운동은 중심잡기에 관한 문제점을 해소하고 누설 및 마찰이라는 문제점을 방지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방식에 따라, 금속 피스톤의 만족스러운 기능이 항상 보장된다. 금속이나 플라스틱 물질로 제조된 피스톤을 갖는 디자인이 사용될 때는 원추체의 후방 단부에 마찰감소판을 사용할 필요성이 없다. 이러한 영역내의 오목하거나 볼록한 부분은 허브의 선회운동을 양호한 방식으로 대신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이러한 방식으로 설계된 원추체는 피스톤 디자인과 마찬가지로 막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9에 따른 실시예는 허브에서 O링을 고정하는 영역이 변경되었다는 점에서 도 8에 따른 실시예와 상이하다. 도 9에 따르면, O링은 동일한 레벨로 판으로서위치되며, 이러한 거리에서 상부 또는 후방 허브 자유단부는 판이 원추체에 대해 이동할 때 횡단 바아를 향해 스핀들 직경이 감소되는 주위에 계단부(117)를 제공할 수 있는 스핀들을 둘러싼다. 상기 계단부에 의해, 허브 자유단부에 인접한 다소 내측으로 굴곡된 컬러형 엣지는 스핀들에 더욱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마지막에 언급한 O링의 영역내에서, 스핀들은 감소된 직경을 갖는다. 따라서, 이러한 영역에서는 판의 중앙 주위에서 선회운동이 일어날 수 있다. 또한, 허브의 축방향 중앙에는 O링을 위치시킬 수도 있다. 또한, 허브의 O링상에서 압력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스핀들의 길이방향으로 스핀들의 직경을 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핀들의 직경이 작으면 O링에 가해지는 압력이 작아지며, 이에 따라 피스톤은 방사방향으로 약간 이동할 수 있다(도 9에 도시된 위치 참조). 만일 피스톤이 도 9에서 상향으로 변위된다면, O링은 대직경의 스핀들 부분으로 변위될 것이며, 상기 O링은 강하게 압축될 것이다. 도 9에 있어서, 가압링(120)을 가지며 도시된 위치에서 그 후방단부에 대응하는 원추체 보다 길이가 짧은 O링을 위한 비대칭 홈 단면은 O링을 향하며, 이에 의해 축방향으로 밀봉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2개의 허브 단부 및/또는 허브의 축방향 길이의 중간부 및/또는 예를 들어 칫수선택 및/또는 0링 선택 등을 통해 O링을 장착하여, 허브 단부들중 하나의 주위에 또는 축방향 허브 중앙 주위에서 선회가능성을 실현할 수 있다. 정밀한 중심잡기를 촉진시키고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전체적으로 선회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의 실시예와 서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기의 청구범위내에서 여러 변형 및 수정보완이 가능하다. 따라서, O링은 예를 들어 X형 등과 같이 형상이 다른 단면을 취할 수도 있으며, 고무가 아닌 예를 들어 플로오르에탄 플라스틱 물질 등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Claims (15)

  1. 가열 소스 또는 냉각 소스(2)와, 상기 소스(2)에 연결되고 열을 수용하거나 방출하는 소비장치(5)가 그 사이에 개재되는 공급덕트(3) 및 복귀덕트(4)와, 이러한 방식으로 제공된 루프를 통한 흐름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적어도 일부의 밸브(6, 7, 8)와, 상기 공급덕트와 복귀덕트 사이의 차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데 사용되는 차압제어기(9)를 포함하는, 냉각 또는 가열 시스템에서의 차압 제어장치(1)에 있어서,
    상기 차압제어기(9)는 상기 덕트(3 또는 4)의 한쪽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며, 저압 제어측(18) 및 고압 제어측(15) 뿐만 아니라 입구(17) 및 출구(28)에도 각각 연결된 시그널링 터미널(29, 27, 32, 30, 31)을 포함하며; 차압제어기의 덕트(3, 4)에 대해 다른 덕트(4, 3)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밸브(6, 7)는 입구(24, 21) 및 출구(14, 22)에 연결된 시그널링 터미널(23, 24; 12, 33)을 포함하며; 상기 차압제어기는 상기 터미널들 사이에서 선택적 시그널링 덕트(13, 16, 19, 20)을 통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압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소비장치(5)에 인접한 공급덕트(3)에는 소비장치(5)를 정밀제어하도록 설계된 서모스탯으로 제어되는 제어밸브(6)가 장착되고; 흐름방향의 전방으로 측정기능을 갖는 제어밸브 형태의 안내점(7)은 다수의 장치(5)로의 흐름인 루프 흐름을 예비제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장치(5)에 인접한 복귀덕트(4)에 조정밸브(8)가 장착되고 그 후방에 흐름방향으로 차압제어기(9)가 장착되며; 시그널링 와이어(13)는 터미널(12)을 통해 안내점의 출구(14)에 연결되어, 차압제어기(9)의 고압 제어측상의 터미널(13)로 연결되고; 시그널링 덕트(16)는 차압제어기의 입구(17)에 있는 터미널(29)을 제어기의 저압 제어측(18)상의 터미널(32)로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압 제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소비장치(5)에 인접한 공급덕트(3)에는 소비장치(5)를 정밀제어하도록 설계된 서모스탯으로 제어되는 제어밸브(6)가 장착되고; 상기 장치(5)에 인접한 복귀덕트(4)에 조정밸브(8)가 장착되고 그 후방에 흐름방향으로 차압제어기(9)가 장착되며; 시그널링 덕트(19, 20)는 제어밸브(6)의 출구측(22)의 터미널(33)을 차압제어기(9)의 저압 제어측(18)의 터미널(32)에 연결하며, 제어밸브(6)의 입구측(21)의 터미널(34)을 차압제어기(9)의 고압 제어측(15)의 터미널(31)에 각각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압 제어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압제어기(9)는 복귀덕트(4)에 장착되며, 안내점(7)은 공급덕트(3)에 장착되며, 시그널링 덕트(13)는 안내점의 출구(14)를 제어기의 고압 제어측(15)에 연결하고, 또 다른 시그널링 덕트(16)는 제어기의 입구(17)를 제어기의 저압 제어측(18)에 연결하며; 상기 차압제어기(9)는 공급덕트(3)에 장착되며, 안내점(7)은 복귀덕트(4)에 장착되고, 시그널링 덕트(26)는 제어기의 출구(28)를 제어기의 고압 제어측(15)에 연결하고, 또다른 시그널링 덕트(25)는 제어기의 저압 제어측(18)을 안내점의 입구(24)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압 제어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제 5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압제어기(9)는 입구(17)와 출구(28) 사이에서 경사진 소켓(36)을 구비하는 하우징(35)을 포함하며; 상기 소켓은 입구와 출구 사이에서 격벽(37)으로 연장되며, 상기 격벽은 시트(39)를 위한 개구(38)를 포함하며; 상기 소켓에서는 제어기의 하부(40)가 삽입되어 볼트(46)에 의한 나선결합으로 고정되며, 하부상에는 제어기의 상부(41)가 고정되며; 상기 제어기의 하부(40)는 케이지형 바닥부(42)와 그 자유단부(43)를 포함하며, O링(44)에 의해 밀봉되는 부분은 상기 격벽의 개구로 삽입되고, 숄더 단부가 구비된 바닥부는 소켓의 외측 단부에 삽입되어, 소켓의 마우스를 둘러싸는 O링(47)으로 소켓의 외측 단부에 나선결합되며; 바닥부(42)의 2개의 단부 사이에는 방사방향 개구(48)가 구비된 벽부분이 제공되며, 이에 의해 흐름이 바닥부를 통과할 수 있으며; 상기 시트(39)는 개구가 구비된 벽부분과 밀폐되어 있는 바닥부의 자유단부 사이의 천이영역에서 바닥부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압 제어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소켓의 바로 외측에서 바닥부(42)는 컵형의 확장된 연결부(49)로 변화되며, 방사방향 숄더(50)는 자유단부에 의해 지지되고 볼트(46)에 의해 이에 고정되며, 그 자유단부는 볼트(52)를 장착하기 위한 축방향 구멍을 갖는 돌출된 장착컬러(51)를 형성하며, 이에 의해 장착컬러(53)와 대향의 축방향구멍을 갖는 상부(41)는 하부(40)에 고정되며; 상기 하부(40)는 상부(41)와 마찬가지로 탈기 및/또는 시그널링 덕트 연결부를 위해 다양한 레벨로 및/또는 다양한 방사방향으로 터미널(30, 31, 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압 제어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숄더 단부(45)에서 안내부(55)는 나선결합에 의해 삽입되고 O링(54)에 의해 밀봉되며, 예를 들어 방사방향 플랜지(56)를 갖는 안내부는 숄더 단부의 마우스 영역과 접촉하며, 그 후방 단부(57)는 공구를 수용하도록 설계되고, 내측 수축부(59)를 형성하기 위해 내측으로 굴곡지며, 이를 통해 밸브 원추체(61)의 후방 단부(60)가 삽입되며; 상기 안내부의 넓은 내측부는 오목한 O링(64)이 구비된 원추체상에 플랜지형 확장부(63)를 위한 안내채널(62)을 형성하며; 상기 내측으로 굴곡된 원추부는 원추체의 개방운동의 제한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압 제어장치.
  8. 제 1항 내지 제 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추체(61)는 축방향 구멍을 가지며, 그 자유단부는 판(65)을 향해 확장되며, 외주에 인접하여 시트(39)와 대면하는 그 측부는 오목한 O링(66)을 포함하며, 부분적으로 구형인 클램핑판(67)은 축방향 중앙부와 대면하는 부분과 접촉하며; 상기 클램핑판은 원추체의 자유단부에 삽입된 홀더(69)에 나선형 볼트(68)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클램핑판(67)과 홀더(69)와 공구 삽입부(68)는 원추체에 삽입될 수 있는 유니트를 형성하며; 상기 판(65)은 일정거리만큼 그 전체 행정중에 개구(48)가 구비된 바닥부의 벽부분으로둘러싸이며, 저장 및 선적중 시트(39)와 원추체의 민감한 부분 주위에 보호용 케이지(7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압 제어장치.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원추체의 후방단부에서 스핀들(72)의 한쪽 단부(71)는 나선결합 및/또는 가압에 의해 고정되며, 스핀들의 다른쪽 단부(73)는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의 외측에 장착되고 비회전 대칭 하우징(77)을 갖는 핸드휘일(76)의 부시(75)에서 상기 다른쪽 단부와 끼워맞춤되는 형상을 갖는 개구(74)에 삽입되며; 핸드휘일 부시(78)는 상부의 단부(79)로부터 돌출되는 목부분(80)에서 나선결합되는 부분에 삽입되며, 로킹 링(82)이 구비된 바닥 개구(81)는 스핀들 부시(75)의 직경감소된 단부(83)를 수용하며, 상기 단부는 핸드위칠의 개구(84)를 통해 접근가능한 6각형 개구(85)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는 핸들휘일에 회전을 유발하지 않고 초기응력 장치에 대해 스핀들 부시 및 스핀들을 공구를 수납하도록 설계되며; 핸드휘일의 회전은 부시(78)에 대한 스핀들 부시(75)의 축방향 적응성과 상부의 목부분에서의 나선피치에 의해 이루어지며, 내단부를 갖는 상기 스핀들 부시(75)는 원추체가 시트를 밀봉할 때까지 스핀들을 축방향으로 변위시키기 위하여 스핀들상에서 계단부(86)와 접촉하며; 가압된 단부위치에서 스핀들 부시(75)는 그 내단부에서 플랜지(119)와 접촉하며, 상부의 단부와 그 외측은 상부의 목부분을 밀봉하기 위하여 오목한 O링(8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압 제어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응력 장치는 나선형 스프링 등과 같은 압축스프링(88)을 포함하며, 핸드휘일에 인접한 작은 단부는 스프링 인장장치로서 횡단바아(89)와 접촉하며, 이러한 횡단바아는 스핀들과 나선결합되어, 스핀들의 홈에서 로킹장치(90)에 의해 나선 외측에 고정되며; 상기 횡단바아(89)의 단부는 상부의 측방향 경사부(91)로 안내되므로써, 회전에 대해서는 고정되어 있으며; 원추체에 인접한 압축스프링(88)의 단부는 스핀들이 통과할 수 있는 넓은 중앙 개구(94)와, 방사방향 판(93)과, 외주를 따라 분포된 아치형 개구(95)를 구비한 홀더(92)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압 제어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판은 압축스프링을 중심잡기 위하여 판 개구(95) 사이에서 외주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따라 외측링 플랜지(97)가 구비된 짧은 축방향 링벽(96)으로 둘러싸이며; 상기 링 플랜지는 장착컬러(51)의 계단부(99)와 상부의 컬러(53) 사이에서 고정되며; 상기 링벽(96)은 각각의 장착컬러에 인접하여 상부 및 하부와 접촉하며 O링(102, 103)을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링 플랜지의 양측에서 외측의 환형 홈(100, 10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압 제어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하부와 접촉하는 링벽의 O링(103)은 직물로 강화된 고무로 제조되는 막(104)의 단부 비이드이며; 상기 비이드로부터, 막은 완만하게 라운딩된 절첩부(104)의 한쪽을 형성하기 위해 먼저 하부의 컵형 벽에 평행하게 연장되며, 상기 벽으로부터 일정거리에서 비이드의 레벨과 동일한 레벨 또는 이보다 미세하게 낮은 레벨로 상향으로 굴곡되며, 상기 막의 중심부는 하부의 숄더를 향하여 연장되는 컵부분(107)과 외측 경계부를 갖는 회전대칭 지지판(105)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컵부분은 지지판에 오목부를 형성하며, 상기 막은 판의 외측 상부와 마찬가지로 상기 오목부를 따르며, 판의 경화에 의해 고정되며; 컵부분의 바닥은 스핀들이 통과하도록 설계된 중앙보어를 포함하며, 상기 막은 상기 보어를 통과하여, 컵부분의 바닥의 하부측으로부터 짧은 거리에서 종료되며; 원추체의 후방단부는 미세하게 오목한 표면을 포함하며, 스핀들을 둘러싸고, 플루오르에탄 플라스틱 물질 등과 같은 마찰감소형 물질로 제조되는 미끄럼판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압 제어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제어장치로서 고압 제어측과 저압 제어측(15, 18) 사이에는 금속 및/또는 플라스틱 물질로 제조된 피스톤(108)이 사용되며, 상기 피스톤은 방사방향 벽(110)이 구비된 짧은 실린더(109)이며, 그 중심은 스핀들을 둘러싸는 허브(111)이며, 상기 허브는 약간 긴 형태를 취하지만 방사방향 링벽 보다는 다소 짧으며, 숄더와 대면하는 허브와 링벽의 단부는 거의 동일한 레벨로 위치되며; 그 단부들 사이의 허브는 매우 넓은 환형 갭(114)으로 스핀들을 둘러싸며; 한쪽 허브단부의 내측 개구(112)는 스핀들 보다 넓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내측 허브의 적어도 하나와 허브의 축방향 중간영역에서 O링(113)이 오목하게 되므로써, 스핀들 주위로 피스톤의 선회가 이루어지고, 다른쪽 허브 단부와 축방향 허브 중심은 선화 중심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압 제어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109)는 O링(115)이 오목한 링벽(96)의 짧은 연장부에 의해 안내되며; 상기 연장부는 피스톤을 수용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벽의 물질은 O링(115)을 정위치에 유지시키고, 외주 영역내에서 피스톤의 선회운동이 실행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압 제어장치.
  15.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스핀들의 직경은 상기 링상에 압력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스핀들과 접촉하는 피스톤의 O링(113)의 운동 영역내에서 스핀들의 길이방향으로 변화되며; 상기 링은 원추체에 대해 짧은 홈벽을 갖는 비대칭 단면의 홈에 장착되며, 가압링(120)에 의해 원추체의 후방 단부에 끼워지는 그 형상은 O링과 접촉하고 축방향으로 밀봉효과를 갖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압 제어장치.
KR10-2004-7011542A 2002-01-28 2003-01-07 가열 및 냉각 시스템에서의 차압 제어장치 KR200400909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0200239A SE521082C2 (sv) 2002-01-28 2002-01-28 Anordning för reglering av differenstrycket i värme- och kylsystem
SE0200239-2 2002-01-28
PCT/SE2003/000005 WO2003065141A1 (en) 2002-01-28 2003-01-07 Apparatus for control of differential pressure in a heating and cooling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0988A true KR20040090988A (ko) 2004-10-27

Family

ID=20286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1542A KR20040090988A (ko) 2002-01-28 2003-01-07 가열 및 냉각 시스템에서의 차압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20050163638A1 (ko)
EP (1) EP1470461B1 (ko)
KR (1) KR20040090988A (ko)
CN (1) CN100495276C (ko)
AT (1) ATE327530T1 (ko)
CA (1) CA2471978A1 (ko)
DE (1) DE60305441D1 (ko)
DK (1) DK1470461T3 (ko)
ES (1) ES2266769T3 (ko)
HK (1) HK1073364A1 (ko)
NO (1) NO326222B1 (ko)
SE (1) SE521082C2 (ko)
WO (1) WO200306514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7793B1 (ko) * 2022-10-21 2023-05-31 주식회사 광림 전기식 동력인출장치 제어시스템
KR102549321B1 (ko) * 2022-10-21 2023-06-29 주식회사 광림 특장차의 전기구동식 동력인출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28703C2 (sv) * 2004-09-15 2007-01-30 Tour & Andersson Ab Anordning för flödesreglering av ett medium i ett värme-och kylsystem
SE532137C2 (sv) * 2006-10-04 2009-10-27 Tour & Andersson Ab Ventil med reglerfunktion
CN100445916C (zh) * 2006-12-30 2008-12-24 浙江大学 定压差跟随压力气动控制阀
DK179725B1 (en) * 2017-07-10 2019-04-12 Danfoss A/S Heating system
JP7035955B2 (ja) * 2018-10-19 2022-03-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サーモスタット及び冷却水の通路構造
CN114322041A (zh) * 2022-01-15 2022-04-12 安徽埃夫利舍建筑技术有限公司 一种小区域扩展地暖组件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79334A (en) * 1949-07-30 1951-12-18 Shell Dev Adjustable-rate differential pressure responsive device
US3023591A (en) * 1958-09-08 1962-03-06 Alco Valve Co Rate of flow control system for refrigeration
US3195805A (en) * 1961-10-25 1965-07-20 Garrett Corp Turbocharger differential pressure control
FI41326B (ko) * 1968-07-09 1969-06-30 Valmet Oy
JPS5471432A (en) * 1977-11-17 1979-06-08 Sotokazu Rikuta Flow rate constant value automatic control valve
FR2675598A1 (fr) * 1991-04-17 1992-10-23 Emerit Michel Dispositif de regulation du debit d'un fluide dans un reseau de distribution de fluide.
FR2701306B1 (fr) * 1993-02-05 1995-04-21 Comap Réseau de distribution de fluide à dispositif de régulation.
FR2724160B1 (fr) * 1994-09-07 1997-01-17 Comap Installation de distribution d'un fluide circulant en circuit ferme, a regulation, et procede de reglage de cette installation
US5743102A (en) * 1996-04-15 1998-04-28 Hussmann Corporation Strategic modular secondary refrigera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7793B1 (ko) * 2022-10-21 2023-05-31 주식회사 광림 전기식 동력인출장치 제어시스템
KR102549321B1 (ko) * 2022-10-21 2023-06-29 주식회사 광림 특장차의 전기구동식 동력인출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327530T1 (de) 2006-06-15
NO20042896L (no) 2004-07-09
SE521082C2 (sv) 2003-09-30
SE0200239D0 (sv) 2002-01-28
HK1073364A1 (en) 2005-09-30
ES2266769T3 (es) 2007-03-01
EP1470461A1 (en) 2004-10-27
CN100495276C (zh) 2009-06-03
DE60305441D1 (de) 2006-06-29
SE0200239L (sv) 2003-07-29
EP1470461B1 (en) 2006-05-24
US20050163638A1 (en) 2005-07-28
DK1470461T3 (da) 2006-08-14
NO326222B1 (no) 2008-10-20
WO2003065141A1 (en) 2003-08-07
CA2471978A1 (en) 2003-08-07
CN1623129A (zh) 2005-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06477B (zh) 具有套筒的恒温阀
JP5007858B2 (ja) 流量制御弁
KR20040090988A (ko) 가열 및 냉각 시스템에서의 차압 제어장치
RU2500956C2 (ru) Клапан с функцией δр (перепада давления) и функцией ограничения потока
US6401744B1 (en) Valve actuator
HU218449B (hu) Termosztatikus keverőszelep
CA1280727C (en) Fitting for a thermostatic valve
EP1117957B1 (en) Non-return valve
ES2247251T3 (es) Distribuidor giratorio con junta para sitemas de refrigeracion por liquido.
RU2142081C1 (ru) Клапан радиатора
US6953055B2 (en) Pneumatic gate valve with an injection-molded valve housing
CA2001227C (en) Radiator valve fitting
CN105026126A (zh) 具有三功能的部件的软管头部以及用于送出熔体软管的方法
KR200400828Y1 (ko) 자동 온도조절 밸브
US2479554A (en) Valve
US11216019B2 (en) Thermostat for a transmission oil circuit and transmission oil circuit
KR100742656B1 (ko) 자동 온도조절 밸브
US2966164A (en) Fluid temperature-pressure relief valve
US7063048B2 (en) Arrangement for integration of a double thermostat in an engine
AU2003201788A1 (en) Apparatus for control of differential pressure in a heating and cooling system
US5961039A (en) Rapidly mounted thermostat
KR101787971B1 (ko) 차량용 워터 밸브 조립체
KR100318122B1 (ko) 볼밸브
CN211778905U (zh) 一种温控装置及温控系统
CN109578639A (zh) 一种微型单向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