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0907A - 광디스크 장치 및 슬라이더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광디스크 장치 및 슬라이더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0907A
KR20040090907A KR1020040026210A KR20040026210A KR20040090907A KR 20040090907 A KR20040090907 A KR 20040090907A KR 1020040026210 A KR1020040026210 A KR 1020040026210A KR 20040026210 A KR20040026210 A KR 20040026210A KR 20040090907 A KR20040090907 A KR 200400909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objective lens
signal
tracking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6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즈키유이치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90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090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2Baths
    • A47K3/022Bath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e.g. for washing the feet, for bathing in sitting posi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46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specially adapted for operation during external perturbations not related to the carrier or servo beam, e.g. vib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10Wave-producers or the like, e.g. with devices for admitting gas, e.g. air, in the bath-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4Methods and circuits for servo offset compens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8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otherwise than during the transducing operation, e.g. for adjustment or preliminary positioning or track change or selection
    • G11B7/0857Arrangements for mechanically moving the whole head
    • G11B7/08582Sled-type positio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Moving Of The Hea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치의 자세 변화에 의해, 대물 렌즈의 위치가 광학적 시야의 중심 부근으로부터 어긋나서 슬라이더가 행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은, 대물 렌즈를, 적어도, 포커스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헤드 수단과, 상기 헤드 수단을 트래킹 방향으로 이송하는 슬라이드 수단을 구비한 광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광디스크 장치의 자세 변화에 따라 변위되는, 상기 헤드 수단에 있어서의 상기 대물 렌즈에 작용하는 정적(靜的) 가속도를 나타내는 검출 신호와, 상기 대물 렌즈를 트래킹시키기 위한 트래킹 서보 신호의 저역 성분에 따라, 상기 대물 렌즈가 상기 헤드 수단에 있어서의 광학적 시야의 중심 부근에 위치하도록, 상기 슬라이드 수단을 구동하도록 한다. 이 구성에 의해, 대물 렌즈에 작용하는 중력 레벨에 따라 보정한 트래킹 서보 신호 저역 성분을 기준으로 하여 슬라이더 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져, 장치의 자세 변화에 의한 대물 렌즈와 광학적 시야의 중심 부근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는 슬라이더의 제어가 가능해진다.

Description

광디스크 장치 및 슬라이더의 제어 방법 {OPTICAL DISC DRI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LIDER}
본 발명은, 광디스크에 대한 신호의 기록 또는 재생이 가능한 광디스크 장치 및 슬라이더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디스크에 대한 신호의 기록 또는 재생이 가능한 광디스크 장치에서는, 트래킹 서보 동작시에, 대물 렌즈가 광학적 시야 센터 부근에서 동작하도록 슬라이더의 추종 제어를 행하는 것이 있다.
즉, 트래킹 방향으로 구동된 대물 렌즈의 위치와 픽업 측에서의 광학적 시야의 센터 부근이 일치하도록, 슬라이더에 의한 픽업의 위치 제어를 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슬라이더의 추종 제어에 있어서는, 대물 렌즈와 광학적 시야의 센터의 어긋남을, 예를 들면 트래킹을 위한 트래킹 서보 신호의 저역 성분 레벨로부터 추정하게 한 것이 있다.
예를 들면, 이와 같은 트래킹 서보 신호의 저역 성분 레벨로서, 제로 레벨이 얻어지는 경우는, 대물 렌즈는 기계적인 센터 위치 부근에 있게 된다. 그리고, 픽업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대물 렌즈의 기계적인 센터 위치 부근에 대응시켜, 광학적 시야의 센터가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 때, 상기와 같은 트래킹 서보 신호의 저역 성분 레벨이 제로 레벨로 되는 위치에, 픽업이 이동하도록 슬라이더 제어를 행하면, 광학적 시야의 센터 부근을, 대물 렌즈의 위치에 추종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광디스크 장치로서는, 비디오 카메라로서의 구성을 가지는 것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비디오 카메라로서의 광디스크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사용자 등에 의해 유지되고, 장치가 모든 자세에서 사용되는 것이 상정되어 있는 것이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장치가 사용되는 방향에 따라서는, 중력의 영향에 의해,대물 렌즈가 그 자중에 의해 트래킹 방향으로 매달리는 경우가 있다.
즉, 주지와 같이 광디스크 장치에 있어서의 대물 렌즈는, 액츄에이터에 대하여 암 등을 사이에 두고 비교적 완만하게 유지되고 있으므로, 이와 같이 장치가 경사지는 것에 따라서는, 대물 렌즈가 기계적인 센터 위치로부터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어긋나 버리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장치의 자세 변화에 의해 대물 렌즈의 그 자중에 의한 매달림이 생긴 경우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슬라이더의 추종 제어를 적정하게 행할 수 없게 된다.
즉,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트래킹 서보 신호 저역 성분이 제로 레벨 부근에 있는 경우라도, 대물 렌즈는 그 자중에 의한 매달림에 의해, 실제로는 상기와 같이 기계적인 센터 위치로부터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어긋나게 된다. 그리고, 이로부터, 상기와 같이 추종 목표를 트래킹 서보 신호 저역 성분이 제로 레벨로 되는 위치로서 슬라이더 제어를 행하면, 이 경우는 대물 렌즈의 위치와 광학적 시야 센터 부근이 어긋나서 제어가 행해지게 되는 것이다.
이같이 하여, 대물 렌즈의 위치와 광학적 시야의 센터의 위치가 어긋나도록 하여 제어하는 것에 의해서는, 양호한 광학 특성을 얻을 수 없게 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양호한 광학 특성을 얻을 수 없게 되는 것에 의해서는, 트래킹 서보의 안정성이 악화되어, 기록 재생 동작의 성능 악화를 초래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문제점에 관련된 기술로서, 예를 들면 미합중국 특허 제6,473,373호에는, 대물 렌즈의 가동 방향으로 있어서의 위치의 어긋남을 보정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예로서의 광디스크 장치의 내부 구성에 대하여, 주로 본 발명의 주요부로 되는 부분에 대하여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광디스크 장치가 행하는 슬라이더의 제어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동일하게, 광디스크 장치가 행하는 슬라이더의 제어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예의 광디스크 장치에서 얻어지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광디스크 장치의 자세 변화에 의해, 대물 렌즈의 위치가 광학적 시야의 중심 부근으로부터 어긋나서 슬라이더 제어가 행해져 버린다는 사태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이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광디스크 장치를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광디스크에 대한 신호의 기록 또는 재생이 가능한 광디스크 장치로서,
대물 렌즈를 적어도 트래킹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액츄에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대물 렌즈를 사이에 두고 레이저광을 조사(照射)함으로써, 상기 광디스크에 대한 신호를 기입하거나 또는 판독하기 위한 헤드와,
상기 헤드를 상기 트래킹 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슬라이더와,
적어도 상기 광디스크 장치의 자세 변화에 따라, 상기 대물 렌즈에 작용하는 정적(靜的) 가속도를 검출하여 출력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와,
상기 가속도 센서가 출력한 검출 신호와, 상기 대물 렌즈를 트래킹시키기 위한 트래킹 서보 신호의 저역 성분에 따라, 상기 대물 렌즈가 상기 헤드에서의 광학적 시야의 중심 부근에 위치하도록 상기 슬라이더를 구동하는 슬라이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또, 이와 동시에 본 발명에서는, 슬라이더의 제어 방법으로서 다음과 같이하도록 하였다.
즉, 본 발명의 슬라이드의 제어 방법은, 대물 렌즈를 적어도 트래킹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액츄에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대물 렌즈를 사이에 두고 레이저광을 조사함으로써, 상기 광디스크에 대한 신호를 기입하거나 또는 판독하기 위한 헤드와, 상기 헤드를 상기 트래킹 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슬라이더를 구비한 광디스크 장치를 위한 슬라이더의 제어 방법으로서,
적어도, 상기 광디스크 장치의 자세 변화에 따라, 상기 대물 렌즈에 작용하는 정적 가속도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신호와, 상기 대물 렌즈를 트래킹시키기 위한 트래킹 서보 신호의 저역 성분에 따라, 상기 대물 렌즈가 상기 헤드에 있어서의 광학적 시야의 중심 부근에 위치하도록 상기 슬라이더를 구동하도록 하였다.
이같이 하여, 장치의 자세 변화에 따라 변화되는, 상기 대물 렌즈에 작용하는 정적 가속도(중력 가속도)를 검출하는 것에 의해서는, 장치의 자세가 변화되었을 때의, 대물 렌즈를 트래킹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하여 작용하는 중력의 레벨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이 검출된 중력 가속도로서의 검출 신호와, 상기 트래킹 서보 신호 저역 성분에 따라, 대물 렌즈가 광학적 시야의 중심 부근에 위치하도록 상기 슬라이드 수단을 구동하면, 이 때에 상기 대물 렌즈에 작용하는 중력 레벨에 따라 보정된 트래킹 서보 신호를 기준으로 하여 슬라이더 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이것에 의해, 대물 렌즈에 매달림이 생긴 경우에도, 대물 렌즈의 위치가 광학적 시야의 중심 부근으로부터 어긋나서 슬라이더 제어가 행해진다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발명의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의 광디스크 장치(1)의 내부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그리고, 이 도면에 있어서는, 본 실시예로서의 슬라이더 제어를 행하는 데 있어서 주요부로 되는, 주로 트래킹 서보 및 슬라이더 제어계의 블록만을 추출하여 도시하고 있고, 그 외의 회로 부분에 대하여는 생략하고 있다.
이 도면에 나타낸 광디스크 장치(1)은, 예를 들면 비디오 카메라로서의 구성을 가지고, 카메라 블록(도시하지 않음)에 있어서 촬상된 영상에 따라 얻어진 영상 데이터를, 도시한 디스크(50)에 대하여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 이와 동시에, 디스크(50)에 대하여 기록된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일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 이와 같은 비디오 카메라로서는, 거치형이 아니고 가반성(可搬性) 즉 휴대성을 가지는 것으로 되어, 사용자의 사용 상황에 따라 본 장치가 모든 자세에서 사용되는 것이 상정되어 있다.
먼저, 도 1에 있어서, 디스크(50)는, 고밀도 디스크로서의, 이른바 블루 레이 디스크(Blu-ray Disc)로 된다.
이 블루 레이 디스크는, 예를 들면 중심 발광 파장 405nm의 청색 레이저와,NA가 0.85의 대물 렌즈의 조합이라는 조건 하에서 신호 기록·재생이 행해지게 된다. 또, 트랙 피치는 0.32μm, 선밀도 0.12μm/bit이며, 64KB(킬로바이트)의 데이터 블록을 1개의 기록 재생 단위로 하여, 포맷 효율 약 82%로 했을 때 직경 12cm의 디스크에 대하여 23.3GB(기가바이트) 정도의 용량을 기록 재생할 수 있다.
또, 마찬가지의 포맷으로 선밀도를 0.112μm/bit의 밀도로 하면, 25GB의 용량을 기록 재생할 수 있다. 또한, 기록층을 다층 구조로 할 수 있고, 예를 들면 2층으로 했을 때는, 용량을 46.6GB, 또는 50GB 정도로 하는 것도 가능해 진다.
이와 같은 블루 레이 디스크로서의 디스크(50)는, 턴테이블(도시하지 않음)에 탑재되어, 기록/재생 동작시에 있어서 스핀들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일정 선속도(CLV)로 회전 구동된다.
그리고, 도시한 픽업(2)에 의해 디스크(50) 상의 데이터, 즉 ROM 디스크의 경우의 엠보스 피트에 의한 데이터나, 재기입형 디스크의 경우의 페이즈 체인지 마크에 의한 데이터의 판독이 행해진다.
또, 재기입형 디스크의 경우, 그루브 트랙의 워블링에 의해 매입된 ADIP 정보나 디스크 인포메이션의 판독이 행해진다.
또, 재기입형 디스크에 대한 기록시에는 픽업(2)에 의해 그루브 트랙에 데이터가 페이즈 체인지 마크로서 기록된다.
상기 픽업(2) 내에는, 레이저 광원으로서 반도체 레이저가 구비된다. 또, 이 외에도, 예를 들면 반사광을 검출하기 위한 포토 디텍터, 레이저광의 출력단으로 되는 대물 렌즈(2a), 레이저광을 대물 렌즈(2a)를 사이에 두고 디스크 기록면에조사하고, 또 그 반사광을 포토 디텍터에 안내하는 광학계가 형성된다.
픽업(2) 내에 있어서, 대물 렌즈(2a)는, 이 픽업(2) 내에 구비된 2축 액츄에이터(2b)에 의해 트래킹 방향 및 포커스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고 있다.
또, 이 픽업(2) 전체는, 도시한 슬라이더(3)에 의해 디스크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디스크(50)로부터의 반사광 정보는 포토디텍터에 의해 검출되어, 수광 광량에 따른 전기 신호로 되어 매트릭스 앰프(4)에 공급된다.
매트릭스 앰프(4)에는, 포토 디텍터로서의 복수의 수광 소자로부터의 출력 전류에 대응하여 전류 전압 변환 회로, 매트릭스 연산/증폭 회로 등을 구비하고, 매트릭스 연산 처리에 의해 필요한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재생 데이터에 상당하는 고주파 신호(재생 데이터 신호), 서보 제어를 위한 포커스 에러 신호, 및 도시한 트래킹 에러 신호 TE 등을 생성한다.
트래킹 에러 신호 TE로서는, 디스크(50)가 재기입형 디스크의 경우는, 예를 들면 푸시풀 신호를 생성하고, 디스크(50)가 ROM 디스크의 경우는, DPD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그루브의 워블링에 관한 신호, 즉 워블링을 검출하는 신호로서 푸시풀 신호를 생성한다.
매트릭스 앰프(4)에서 생성된, 상기 재생 데이터 신호는, 재생 신호 처리 회로(도시하지 않음)에 공급되어 재생 신호 처리가 행해진 후, 재생 출력된다.
또, 상기 포커스 에러 신호로서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20) 내에 형성되는 포커스 서보 회로(도시하지 않음)에 공급되어 포커스 서보 제어를 위해사용된다.
또한, 상기 워블링을 검출하기 위한 푸시풀 신호로서는, 어드레스 검출 회로(도시하지 않음)에 공급되어 어드레스 검출에 이용된다.
또, 특히 이 경우, 매트릭스 앰프(4)에서 생성된, 상기 트래킹 에러 신호 TE는, 도시한 A/D변환기(5)를 통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된 후에, DSP(20) 내의 트래킹 서보 연산 회로(6)에 공급된다.
그리고, 매트릭스 앰프(4)는, 상기한 픽업(2) 내에 형성되는 경우도 있다.
트래킹 서보 연산 회로(6)에 공급된 상기 트래킹 에러 신호 TE는, 여기서 위상 보상 처리 등의 필요한 처리가 행해진 후에, 도시한 D/A변환기(13)와 이 DSP(20) 내에 형성된 로패스 필터(LPF)(7)에 대하여, 트래킹 서보 신호로서 출력된다.
D/A변환기(13)에 출력된 트래킹 서보 신호는, 여기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후, 트래킹 드라이버(15)에 공급된다. 그리고, 트래킹 드라이버(15)는, 이와 같이 공급된 트래킹 서보 신호에 따른 드라이브 신호에 의해, 픽업(2) 내의 2축 액츄에이터(2b)를 구동한다.
이로써, 대물 렌즈(2a)는, 이와 같은 트래킹 서보 신호에 따라 그 위치가 제어되는 것이며, 이 결과 트랙에 추종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와 같이 트래킹 서보 연산 회로(6)로부터 로패스 필터(7)에 출력된 트래킹 서보 신호는, 여기서 그 고주파 성분이 컷되어 저역 성분만이 추출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추출된 트래킹 서보 신호의 저역 성분은, 전술한 슬라이더제어를 위한 기준 신호로서, 도시한 가산 회로(8)를 통하여 슬라이더 서보 회로(9)에 공급된다.
슬라이더 서보 회로(9)에서는, 상기와 같은 기준 신호로서의, 트래킹 서보 신호의 저역 성분의 레벨이 제로 레벨로 되도록 하여, 슬라이더(3)를 구동하기 위한 슬라이더 서보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생성한 슬라이더 서보 신호를, 도시한 D/A변환기(12)에 대하여 출력한다.
D/A변환기(12)에 있어서는, 상기 슬라이더 서보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이것을 슬라이더 드라이버(14)에 대하여 공급한다. 그리고, 슬라이더 드라이버(14)는, 이 슬라이더 서보 신호에 따른 드라이브 신호에 의해 슬라이더(3)를 구동·제어한다.
여기서, 이와 같은 본 예의 광디스크 장치(1)가 행하는 슬라이더 제어에 대하여, 그 기본적인 동작을 다음의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이 도면에 서는 픽업(2) 내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 여기서는 도시한 중력 방향 G으로 중력이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먼저, 이 도 2에 있어서도, 도 1에 나타낸 디스크(50), 픽업(2), 및 이 픽업(2) 내에 설치된 대물 렌즈(2a)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픽업(2) 내에 있어서, 대물 렌즈(2a)는, 이 픽업(2) 내의 2축 액츄에이터(2b)(도시하지 않음)의 트래킹 서보에 따른 동작에 의해, 도시한 트래킹 방향의 가동 범위 M 내에서 그 위치가 제어된다. 또, 이와 같은 대물 렌즈(2a)의 기계적인 센터 위치 C1은, 도시한 바와 같이 이 가동 범위 M 내에서의 대략 중심 위치로 된다.
또, 픽업(2) 내에서의 광학적 시야 OV의 범위는, 상기 대물 렌즈(2a)의 가동 범위 M와 대응한 것으로 되고, 그 센터 위치 Co는, 도면과 같이 상기 대물 렌즈(2a)의 기계적인 센터 위치 C1과 대략 일치하는 것으로 된다.
이 도 2에 있어서, 예를 들면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여, 대물 렌즈(2a)의 위치가, 가동 범위 M 내에 있어서, 기계적인 센터 위치 C1으로부터 이동 되도록 하여 제어되고 있는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 2축 액츄에이터(2b)에 대하여는, 이와 같이 대물 렌즈(2a)를 기계적인 센터 위치 C1로부터 이동시키기 위한 드라이브 신호가 공급되고 있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2축 액츄에이터(2b)에 드라이브 신호가 공급되고 있다는 것은, 도 1에 나타낸 트래킹 드라이버(15)에 대하여는, 이 드라이브 신호의 레벨에 따른 트래킹 서보 신호가 공급되고 있는 것으로 된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이 때의 상기 트래킹 서보 신호의 레벨을, 도면과 같은 화살표 R의 길이로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이 도 2(a)의 경우의 화살표 R의 길이는, 기계적인 센터 위치 C1으로부터의 이동 거리에 따른, 도면과 같은 길이로 표현된다.
여기서, 이와 같이 트래킹 드라이버(15)에 공급되는 트래킹 서보 신호 성분은, 전술한 바와 같이, 그 저역 성분이 슬라이더 서보 회로(9)에 대하여도 공급된다. 그리고, 이 슬라이더 서보 회로(9)에 의해서는, 이와 같은 트래킹 서보 신호의 저역 성분이 제로 레벨로 되도록 슬라이더(3)를 구동하기 위한, 슬라이더 서보신호가 생성된다. 또한, 슬라이더 드라이버(14)가, 이와 같은 슬라이더 서보 신호에 따른 드라이브 신호에 의해 슬라이더(3)를 구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트래킹 서보 신호의 저역 성분의 레벨을 제로 레벨로 하기 위한 슬라이더 서보 신호에 의해, 슬라이더(3)가 구동·제어되므로, 대물 렌즈(2a)가, 기계적인 센터 위치 C1에 위치하도록 픽업(2)가 슬라이드 되게 된다.
즉, 이 경우, 도 2(a)로부터 도 2(b)에의 천이(遷移)와 같이, 도면 중 화살표 R로 나타낸 트래킹 서보 신호의 저역 성분의 레벨을, 제로 레벨로 하도록 픽업(2)을 슬라이드시키는 동작을 하게 되어, 대물 렌즈(2a)와 광학적 시야의 센터 Co가 일치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 때, 도면으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대물 렌즈(2a)는, 트래킹 서보 제어가 행해지고 있으므로, 트랙에 추종하는 위치에서 고정되어 있다. 즉, 이 경우, 이와 같은 트래킹 동작 중인 대물 렌즈(2a)의 위치에 맞추어, 픽업(2) 측, 즉 광학적 시야 측을 슬라이드시킴으로써, 각각의 센터 위치를 맞추도록 제어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여, 중력 방향 G가, 대물 렌즈(2a)의 트래킹 방향과는 직교하는 관계에 있는 경우에는, 대물 렌즈(2a)에 대한 트래킹 방향으로의 중력이 작용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이 때문에, 이 경우는 도 2 (b)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트래킹 서보 신호의 저역 성분의 레벨이 제로로 되는 위치를, 슬라이더 제어의 목표로 설정함으로써, 대물 렌즈(2a)의 위치와 광학적 시야의 센터 위치 Co의 위치를 대략 일치시킬 수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본 예의 광디스크 장치(1)로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장치가 모든 자세에서 사용되는 것이 전제로 되어 있는 것이다. 즉, 본 예의 광디스크 장치(1)로서는, 항상,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자세로 사용되는 것은 아닌 것이다.
그리고, 이 때, 만일, 대물 렌즈(2a)의 트래킹 방향으로 중력이 작용하도록 하여 장치의 자세가 변화되었을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광학적 시야의 센터 맞추기 위한 슬라이더 제어가, 적정하게 행해지지 않게 되어 버린다.
도 3은, 이와 같은 장치의 자세 변화에 의해, 예를 들면 대물 렌즈(2a)의 트래킹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중력이 작용한 경우의 슬라이더 제어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이 도면에 있어서도 앞의 도 2의 경우와 같이, 픽업(2) 내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3 (a)는, 가동 범위 M 내에 있어서, 대물 렌즈(2a)가, 기계적인 센터 위치 C1으로부터 상기한 도 2 (a)의 경우와 동등한 위치로 이동된 경우에 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이 경우도, 대물 렌즈(2a)를 이동시키기 위한 2축 액츄에이터(2b)에 대하여는, 이와 같이 대물 렌즈(2a)를 기계적인 센터 위치 C1으로부터 이동시키기 위한 드라이브 신호가 공급되고, 이로부터 트래킹 서보 연산 회로(6)로부터는, 이 드라이브 신호의 레벨에 따른 트래킹 서보 신호가 출력되어 있는 것으로 된다.
그러나, 이 경우는, 도면과 같이 중력 방향 g가, 이와 같은 기계적인 센터 위치 C1으로부터의 대물 렌즈(2a)의 이동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되어 있으므로, 이와 같은 트래킹 서보 신호의 레벨로서는, 앞의 도 2 (a)에 나타낸 경우보다 적은 레벨로 되어 있게 된다.
즉, 이 경우는, 이와 같은 중력 방향 g에 작용하는, 도면 중 파선 화살표 G로 나타내는 중력 가속도에 의해, 대물 렌즈(2a)를 이동시키는 힘이 작용하게 되기 때문에, 이 때의 트래킹 서보 신호의 레벨로서의 화살표 R의 길이는, 도 2 (a)의 경우보다 짧아지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먼저 설명한 바와 같은 슬라이더 제어를 하는 것에 의해서는, 도 3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먼저, 이와 같은 슬라이더 제어에 의해서는, 트래킹 서보 신호 저역 성분의 레벨을 제로 레벨로 하도록 픽업(2)이 슬라이드되도록 제어하게 되기 때문에, 이 경우는 도 3 (a)에 나타낸 화살표 R의 길이에 대응한 만큼, 픽업(2)이 슬라이드 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도 3(a)에 나타낸 화살표 R의 길이에 대응한 만큼의 슬라이드가 행해지는 것에 따라서는, 이 경우의 대물 렌즈(2a)의 기계적인 센터 위치 C1과, 대물 렌즈(2a)의 위치와 광학적 시야의 센터 위치 Co에는,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어긋남이 생기게 된다.
즉, 이 경우는, 상기와 같이 대물 렌즈(2a)에 원래 중력 가속도 G로서의 힘이 가해지고 있었기 때문에, 이와 같은 트래킹 서보 신호 저역 성분의 레벨만에 따른 슬라이더 제어에서는, 이 중력 가속도 G만큼의 이동량을 검출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이것에 의해 이 경우는,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중력 가속도 G에따라 이동된 대물 렌즈(2a)의 위치가, 트래킹 서보 신호의 저역 성분 레벨이 제로 레벨로 되는 위치(즉, 슬라이더 제어 목표)로 되어, 대물 렌즈(2a)의 기계적인 센터 위치 C1과, 대물 렌즈(2a)의 위치와 광학적 시야의 센터 위치 Co에 어긋남이 생겨 버리는 것이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대물 렌즈(2a)의 트래킹 방향으로 작용하는 중력을 고려한 슬라이더 제어를 행하기 위해, 광디스크 장치(1)에 대하여,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가속도 센서(10), 및 게인 조정 회로(11)을 구비하도록 하고 있다.
먼저, 이 가속도 센서(10)로서는, 가속도로서 적어도 정적 가속도에 대한 검출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이와 같은 정적 가속도가 검출 가능해 지므로, 해당 광디스크 장치(1)의 자세 변화에 따른 경사 검출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이다.
이 가속도 센서(10)는, 적어도 대물 렌즈(2a)의 트래킹 방향으로 작용하는 가속도를 검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대물 렌즈(2a)의 트래킹 방향에 있어서의, 디스크(50)의 외주 방향 측으로 작용하는 가속도에 따라는, 예를 들면 정(正)의 값의 검출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예를 들면 디스크(50)의 내주 방향 측에 작용하는 가속도에 따라서는, 부(負)의 값을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가속도 센서(10)로서는, 상기와 같이 검출 가능한 가속도로서, 예를 들면 이 경우는 2G 정도까지의 검출이 가능하게 되어 있으면 된다.
게인 조정 회로(11)는, DSP(20) 내에 구비되고, 상기 가속도 센서(10)가 출력한 검출 신호에 소정 게인을 부여한다. 그리고, 이로써 적절한 게인이 부여된 검출 신호를, 가산 회로(8)에 대하여 출력하게 된다.
즉, 이것에 의해, 슬라이더 서보 회로(9)에 공급되어야 할 트래킹 서보 신호의 저역 성분에 대하여, 상기 가속도 센서(10)로부터 출력된 검출 신호에 따른 신호 성분이 가산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의 광디스크 장치(1)에서 얻어지는 동작을, 다음의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도 4에 있어서, 도 4 (a)는, 본 예의 광디스크 장치(1)의 자세가 변화되어 사용된 경우의, 디스크(50), 픽업(2)(대물 렌즈(2a))의 모습을,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나타낸 모식도이다.
또, 도 4 (b)에서는, 이와 같이 해당 광디스크 장치(1)의 자세가 변화되어 사용된 경우에 대응한, 가속도 센서(10)의 출력 신호(검출 신호)를 나타내고 있다.
먼저, 도 4 (a)의 시점 t1과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의 자세 변화에 의해, 도면 중에 화살표 g로 나타낸 중력 방향과 대물 렌즈(2a)의 트래킹 방향 T에 있어서의, 디스크(50)의 외주측 방향이 일치하도록 된 경우에는, 가속도 센서(10)로부터는,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여, 예를 들면 1G(+1G)의 중력 가속도에 대응한 검출 신호가 출력되게 된다.
즉, 이 경우의 가속도 센서(10)로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대물 렌즈(2a)의 트래킹 방향에 있어서의, 디스크(50)의 외주 방향 측으로 작용하는 가속도에 따라,정의 값의 검출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 도 4(a)에 있어서, 상기 시점 t1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해당 광디스크 장치(1)의 자세가 90도 기울여져 가면, 대물 렌즈(2a)의 트래킹 방향 T로서는, 시점 t2에 가까워짐에 따라 점차 중력 방향 g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되도록 하여 변화된다. 즉, 이에 의해서는, 상기한 시점 t1에서는 대물 렌즈(2a)를 디스크(50)의 외주 방향으로 이동시키려 하여 작용했던 중력의 레벨이, 서서히 감소하여 가게 된다.
그리고, 시점 t2에 이르러, 상기와 같이 중력 방향 g와 트래킹 방향 T가 직교하는 상태로 되면, 트래킹 방향 T에 작용하는 중력은 0G로 된다.
이와 같은 시점 t1으로부터 시점 t2로의 천이에 대응한, 가속도 센서(10)로부터 출력되는 검출 신호로서는,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 1G에 대응한 레벨로부터 서서히 0G에 대응한 레벨로 감소하여 가게 된다.
상기 시점 t2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다시 장치의 자세를 90도 기울이는 것에 의해, 이번은 대물 렌즈(2a)의 트래킹 방향 T에 있어서의 디스크(50)의 내주 방향과 중력 방향 g가 일치하도록 된 것으로 한다(시점 t3).
이와 같은 시점 t2로부터 시점 t3까지의 기간에서는, 대물 렌즈(2a)에 대하여는, 디스크(50)의 내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중력이 서서히 작용하게 된다. 그리고, 시점 t3에 이른 단계에서는, 앞의 시점 t1과는 역으로, 가속도 센서(10)로부터는, 예를 들면―1G에 대응한 검출 신호가 출력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이 시점 t2로부터 시점 t3까지 대응한 검출 신호로서는, 도 4(b)에나타낸 바와 같이, 0G에 대응한 레벨로부터 서서히 감소하여 ―1G의 레벨에 대응한 레벨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된다.
이와 같이 장치의 자세 변화에 따라 가속도 센서(10)가 출력하는 검출 신호는, 전술한 바와 같이 게인 조정 회로(11)를 통하여 적절한 레벨로 된 후, 가산 회로(8)에 공급된다. 그리고, 이것에 의해, 슬라이더 서보 회로(9)에 대하여는, 로패스 필터(7)로부터 출력된 트래킹 서보 신호의 저역 성분에 대하여, 이 검출 신호에 따른 신호 성분이 가산된 신호가 입력되게 된다.
즉, 이 경우의 슬라이더 서보 회로(9)는, 이와 같이 검출 신호에 따른 신호 성분이 가산된 트래킹 서보 신호의 저역 성분이 제로 레벨로 되도록, 제어 동작을 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같이 하여, 슬라이더 서보 회로(9)가, 검출 신호 성분이 가산된 트래킹 서보 신호의 저역 성분이 제로 레벨로 되도록 제어를 행함으로써, 예를 들면 앞의 도 3 (a)에 나타낸, 화살표 R과 화살표 G를 맞춘 만큼을 소거하도록, 픽업(2)이 슬라이드되게 된다.
즉, 이 경우는, 도 3 (a)에 나타내는 화살표 R로서의, 트래킹 서보 신호의 저역 성분의 레벨 뿐만이 아니라, 화살표 G로서의, 이 때에 대물 렌즈(2a)에 작용하는 중력 가속도에 따른 검출 신호가 가해진 만큼이, 슬라이더 제어의 목표로 되므로, 이 경우는 화살표 R과 화살표 G를 맞춘 만큼을 소거하도록 픽업(2)이 슬라이드 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같이 하여, 도면 중 화살표 R과 화살표 G를 맞춘 만큼을 소거하도록 픽업(2)이 슬라이됨으로써, 도 3 (b)에 나타낸 화살표 G에 대응한 만큼의 어긋남도 소거되게 되고, 이에 의해 대물 렌즈(2a)의 기계적인 센터 위치 C1를, 광학적 시야의 센터 위치 Co와 일치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이같이 하여, 트래킹 서보 신호 저역 성분에 대하여 검출 신호 성분이 가산되는 것에 의해서는, 슬라이더 제어의 목표를, 대물 렌즈(2a)에 작용하는 중력 가속도에 따라 보정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로부터, 앞서 설명한 것처럼, 도 4 (a)에 나타낸 자세 변화에 따라, 가속도 센서(10)로부터 도 4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검출 신호가 출력되는 것에 의해서는, 이 검출 신호에 의해, 슬라이더 제어 목표가, 장치의 자세 변화에 따른 적절한 것으로 보정되게 된다.
즉, 이것에 의해, 본 예의 광디스크 장치(1)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장치의 자세 변화가 생긴 경우에도, 이 때에 대물 렌즈(2a)의 트래킹 방향 T로 작용하는 중력 가속도 G에 따라, 슬라이더 제어 목표를 보정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그리고, 이 결과, 본 예의 광디스크 장치(1)에 의해서는, 장치의 자세 변화에 의하지 않고, 대물 렌즈(2a)의 위치를 광학적 시야의 센터 위치 Co에 일치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같이 하여, 장치의 자세 변화에 의하지 않고, 대물 렌즈(2a)의 위치를 광학적 시야의 센터 위치 Co에 일치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트래킹 동작시에 있어서 양호한 광학 특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이와 같이 양호한 광학 특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짐에 의해서는,트래킹 서보의 안정성을 유지하여, 기록 재생 동작의 성능의 안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실시예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해 둔다.
이 변형예로서는, 가속도 센서(10)의 검출 신호를 이용하여, 시크(seek) 동작시의 픽업(2)의 슬라이드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다. 즉, 이와 같은 시크 동작에 있어서, 픽업(2)이 이동되는 방향과 중력 방향의 관계에 따라서는, 시크 이동 시간에 격차가 생기게 되지만, 가속도 센서(10)를 이용하여, DSP(20)는 이 때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생기는 중력 가속도에 따라 슬라이더 드라이버(14)가 출력하는 드라이브 신호 레벨을 가변시킴으로써, 장치의 자세 변화에 의하지 않고, 안정된 시크 동작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 다른 변형예로서는, 이와 같은 가속도 센서(10)로부터의 검출 신호의 레벨에 따라, 트래킹 드라이버(15)로부터 출력되는 트랙 점프 펄스를 가변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이와 같은 대물 렌즈(2a)의 트랙 점프 동작으로서는, 점프 방향과 중력 방향의 관계에 따라서는 점프 펄스에 따른 이동을 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예를 들면 DSP(20) 내에서 가속도 센서(10)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따라, 트랙 점프 펄스의 레벨을 가변하도록 하면, 장치의 자세 변화에 의하지 않고, 안정되게 트랙 점프 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광디스크 장치가 대응하는 광디스크로서, 블루 레이 디스크를 예로 들었지만, 본 발명으로서는, 예를 들면 CD(Compact Disc), MD(Mini Disc), DVD(Digital Versatile Disc) 등의 다른 광디스크(광자기 디스크를포함함)에 대하여도 매우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실시예에서는, 광디스크 장치(1)가 비디오 카메라로서의 구성을 가지는 경우를 예로 들었지만, 예를 들면 휴대용 타입의 디스크 플레이어 레코더 등의, 장치가 모든 자세에서 사용되는 것이 상정되어 있는 광디스크 장치이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는, 가속도 센서(10)가 구비되는 방향을, 대물 렌즈(2a)에 대한 디스크(50) 외주 방향 측으로의 가속도에 따라서는 정의 값을, 또 디스크(50) 내주 방향 측으로의 가속도에 따라서는 부의 값의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방향으로 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실시예에 있어서, 이와 같은 가속도 센서(10)가 구비되는 방향은, 역방향으로 되어도 상관없는 것이다.
단, 이것에 의해서는, 당연히, 장치의 자세 변화에 따른 검출 신호의 극성이 실시예의 경우와는 역전되게 된다. 그리고, 이것에 수반해서는, 상기 실시예에서는 트래킹 서보 신호에 대하여 이와 같은 검출 신호를 가산하고 있던 것을, 이 경우는 감산하는 것으로 하지 않으면, 본 예의 슬라이더 제어가 성립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것에 대응하기 위해, 이 경우는, 도 1에 나타낸 가산 회로(8)에 대응하는 부위로서, 감산 회로를 구성하도록 하면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서는, 대물 렌즈를 적어도 포커스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액츄에이터를 구비하는 헤드 수단과, 이 헤드 수단을트래킹 방향으로 이송하는 슬라이드 수단을 구비하는 광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광디스크 장치의 자세 변화에 따라 변위되는, 상기 헤드 수단에 있어서의 상기 대물 렌즈에 작용하는 정적 가속도를 검출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 검출 결과에 따른 검출 신호와, 상기 대물 렌즈를 트래킹시키기 위한 트래킹 서보 신호의 저역 성분에 따라, 상기 대물 렌즈가 상기 헤드 수단에 있어서의 광학적 시야의 중심 부근에 위치하도록, 상기 슬라이드 수단을 구동하도록 한 것이다.
이로써,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대물 렌즈에 작용하는 중력 레벨에 따라 보정한 트래킹 서보 신호 저역 성분을 기준으로 하여, 슬라이더 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이것에 의해, 대물 렌즈에 자중 누가 생겼을 경우에도, 대물 렌즈의 위치가 광학적 시야의 중심 부근으로부터 어긋나서 슬라이더 제어가 행해져 버린다고 하는 사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대물 렌즈의 위치를, 광학적 시야의 중심 부근으로부터 어긋남 없도록 제어할 수 있는 것에 의해서는, 트래킹 동작시에 있어서 양호한 광학 특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이와 같이 양호한 광학 특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에 의해, 트래킹 서보의 안정성을 유지하여 기록 재생 동작의 성능의 안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6)

  1. 광디스크에 대한 신호의 기록 또는 재생이 가능한 광디스크 장치로서,
    대물 렌즈를 적어도 트래킹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액츄에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대물 렌즈를 사이에 두고 레이저광을 조사(照射)함으로써, 상기 광디스크에 대한 신호를 기입하거나 또는 판독하기 위한 헤드와,
    상기 헤드를 상기 트래킹 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슬라이더와,
    적어도 상기 광디스크 장치의 자세 변화에 따라, 상기 대물 렌즈에 작용하는 정적(靜的) 가속도를 검출하여 출력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와,
    상기 가속도 센서가 출력한 검출 신호와, 상기 대물 렌즈를 트래킹시키기 위한 트래킹 서보 신호의 저역 성분에 따라, 상기 대물 렌즈가 상기 헤드에 있어서의 광학적 시야의 중심 부근에 위치하도록 상기 슬라이더를 구동하는 슬라이더 제어 수단
    을 구비한 광디스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도 센서는, 상기 대물 렌즈의 트래킹 방향인 광디스크의 내주 방향 및 외주 방향 중 한쪽 방향으로 작용하는 가속도에 따라 정(正)의 값의 검출 신호를 출력하고, 다른 쪽 방향으로 작용하는 가속도에 따라 부(負)의 값의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제어 수단은, 상기 트래킹 서보 신호의 저역 성분에 대하여, 상기 가속도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검출 신호에 따른 신호가 가산되도록, 상기 가속도 센서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소정 게인을 부여하기 위한 게인 조정 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도 센서는, 상기 헤드가 시크(seek) 동작할 때 그 이동 방향으로 생기는 중력 가속도를 검출하고,
    상기 슬라이더 제어 수단은, 그 중력 가속도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를 구동하는 드라이브 신호 레벨을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물 렌즈의 트랙 점프 동작시에, 상기 가속도 센서로부터의 검출 신호의 레벨에 따라 트랙 점프 펄스를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장치.
  6. 대물 렌즈를 적어도 트래킹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액츄에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대물 렌즈를 사이에 두고 레이저광을 조사함으로써, 상기 광디스크에 대한 신호를 기입하거나 또는 판독하기 위한 헤드와, 상기 헤드를 상기 트래킹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슬라이더를 구비한 광디스크 장치를 위한 슬라이더의 제어 방법으로서,
    적어도 상기 광디스크 장치의 자세 변화에 따라, 상기 대물 렌즈에 작용하는 정적 가속도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신호와, 상기 대물 렌즈를 트래킹시키기 위한 트래킹 서보 신호의 저역 성분에 따라, 상기 대물 렌즈가 상기 헤드에 있어서의 광학적 시야의 중심 부근에 위치하도록 상기 슬라이더를 구동하는, 슬라이더의 제어 방법.
KR1020040026210A 2003-04-18 2004-04-16 광디스크 장치 및 슬라이더의 제어 방법 KR200400909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13820 2003-04-18
JP2003113820A JP2004319039A (ja) 2003-04-18 2003-04-18 光ディスク装置、スライダー制御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0907A true KR20040090907A (ko) 2004-10-27

Family

ID=33473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6210A KR20040090907A (ko) 2003-04-18 2004-04-16 광디스크 장치 및 슬라이더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315494B2 (ko)
JP (1) JP2004319039A (ko)
KR (1) KR20040090907A (ko)
CN (1) CN1253868C (ko)
TW (1) TWI29169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954B1 (ko) * 2005-07-04 2013-03-25 소니 주식회사 구동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05053B2 (ja) * 2004-04-28 2007-11-07 Nec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及びスレッドモータ制御方法
US7580331B2 (en) * 2005-10-25 2009-08-25 Lsi Corporation Center error mechanical center adjustment
US7684309B2 (en) * 2005-11-03 2010-03-23 Cinram International Inc. Multi-purpose high-density optical disc
US8675464B2 (en) 2005-11-03 2014-03-18 Cinram Group, Inc. Dual sided optical storage media and method for making same
KR20080018681A (ko) * 2006-08-25 2008-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최소 편향 가속도 지점 검출, 포커스 풀인 및 레이어 점프방법과 그와 같은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광 디스크 구동기
US8739299B1 (en) 2009-12-24 2014-05-27 Cinram Group, Inc. Content unlocking
TW201142838A (en) * 2010-05-25 2011-12-01 Quanta Storage Inc Method for detecting obliquity of optical disk driv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1045A (ja) * 1995-05-23 1996-12-03 Sharp Corp 光ディスク装置
JPH10112043A (ja) * 1996-10-04 1998-04-28 Sony Corp 再生装置
US6249495B1 (en) * 1997-02-27 2001-06-1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tepping motor control method and disk drive apparatus
US6791915B1 (en) * 1998-03-18 2004-09-14 Lg Electronics Inc. Optical disc track access apparatus and method for optical disc reproducer
US6744702B2 (en) * 2000-09-29 2004-06-01 Kabushiki Kaisha Toshiba Apparatus for accessing recording disk by controlling the coarse and precise actuato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954B1 (ko) * 2005-07-04 2013-03-25 소니 주식회사 구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257929A1 (en) 2004-12-23
JP2004319039A (ja) 2004-11-11
CN1538407A (zh) 2004-10-20
TW200511285A (en) 2005-03-16
CN1253868C (zh) 2006-04-26
US7315494B2 (en) 2008-01-01
TWI291693B (en) 2007-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08838A1 (en) Disc driv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readout method
KR20040090907A (ko) 광디스크 장치 및 슬라이더의 제어 방법
JP4392193B2 (ja) 光ビームのフォーカシング制御装置
JP4133577B2 (ja) 光ディスク装置及びチルト制御量の調整方法
CN1670840A (zh) 光盘装置及其聚焦跳动控制方法数据处理装置
JP2004310936A (ja) 光ディスク装置、対物レンズ位置制御方法
CN1487513A (zh) 光盘记录再现装置的倾斜控制
JP2003248942A (ja) 光ディスク装置
JP2004158080A (ja) 光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及び光ピックアップのチルト補正方法
JP2001093166A (ja) 記憶装置のサーボ制御方法、サーボ制御回路及び記憶装置
JP2004095044A (ja)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のチルト制御方法
KR20050090616A (ko) 광 재생장치 및 그의 자동 이득 조정방법
JP2733695B2 (ja) 光ピックアップの移送制御装置
JP4161939B2 (ja) 光ディスク装置
CN101399057B (zh) 光盘驱动装置、相机装置和根据光盘歪斜控制光束倾斜的方法
JP2004192754A (ja)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のチルト制御方法
JP2004095129A (ja)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のチルト制御方法
JPH05314523A (ja) 光ディスク装置のトラッキングオフセット補正方法
TW200414128A (en) Tilt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cal disc recording and playback apparatus
JPH10255287A (ja) 光学式ディスク駆動装置
JP2000011415A (ja) スキュー検出装置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2004110990A (ja)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のチルト制御方法
JP2004348918A (ja)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のチルト制御方法
JPH06139587A (ja) 光ディスクの情報記録再生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20042198A (ko) 광 기록재생기의 트랙킹 제어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